KR101733445B1 -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 Google Patents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45B1
KR101733445B1 KR1020150137206A KR20150137206A KR101733445B1 KR 101733445 B1 KR101733445 B1 KR 101733445B1 KR 1020150137206 A KR1020150137206 A KR 1020150137206A KR 20150137206 A KR20150137206 A KR 20150137206A KR 101733445 B1 KR101733445 B1 KR 10173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casing
socket
body modul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138A (ko
Inventor
장승우
Original Assignee
(주)우경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경메디텍 filed Critical (주)우경메디텍
Priority to KR102015013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8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를 기능별로 구분된 단위 모듈로 구성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한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상 환자의 배변을 처리하기 위하여 본체 모듈, 상기 본체 모듈과 연결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연결되어 와상 환자가 착용하여 배변을 처리하는 와변기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형성되어 관로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관로 소켓; 상기 케이싱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오물 저장부; 상기 케이싱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소독수 저장부; 및 상기 오물 저장부의 측면 상기 세정부 저장부 및 소독수 저장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오물 저장부에 진공을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세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상기 소독수 저장부의 소독수를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Main body module for automatic excretion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지보수가 편리한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급격한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 환자들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일부 노인 환자의 경우 단일 거동이 불가하여 와상으로 생활을 하며, 용변을 처리를 위하여 별도의 기저기를 착용하고 있다.
상기 기저기는 한번 사용 후 폐기하는 것으로 정기적으로 교체를 해야하나, 용변에 의한 냄새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특히 간병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병원의 중환자들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용변 처리의 애로점이 있으며, 역시 별도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와상 환자의 용변을 편리하게 처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993-0007424호에는 의식이 없는 환자가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배설을 하여도, 보호자의 도움없이도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한 용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가 배설을 하면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착용부에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동작시켜 환자의 착용부 내부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 배설물을 파쇄하여 수거탱크로 흡인모터로 흡인수거하고 깨끗이 세척된 다음에는 염류의 검출여부를 감지하여 물 대신 공기를 착용부 내부로 불어넣어 세척된 부위를 건조시키는 환자의 용변 처리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72842호에는 용변을 볼 때 그 주변에 국부적으로 밀폐된 공간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세정을 하고 세정된 오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킨 후 강제송풍에 의해 건조를 하는 일련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초음파의 캐비테이션을 이용하여 밀폐된 공간의 내면에 부착되는 오물을 깨끗이 분리하면서 배설물을 분쇄하여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아울러 간병인의 수고를 덜 수 있고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거동이불편한 환자에게 착용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대소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93444호에는 배설물을 흡인하여 보관하는 배설물 처리부와, 환자의 둔부에 설치되어 환자의 배변 시 배설물을 일정시간 보관하는 것으로, 배변시 배설물을 일시 보관하는 동시에 배변 후 환자의 둔부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와변기 케이스와 환자의 신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밴드로 이루어진 와변기 모듈과, 상기 배설물 처리부와 와변기 모듈을 연결하며, 상기 와변기 케이스 내에 배설된 배설물을 흡입하여 배설물 처리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배관부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은 신체적 결함에 의해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 등의 배설물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 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들은 환자가 둔부에 직접 착용하는 와변기와 상기 와변기에 일시 보관되는 배설물을 흡입하여 처리하는 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적으로 환자 둔부의 세척을 위한 다수의 노즐과 상기 노즐에 공급되는 수공급장치와 둔부 건조를 위한 건조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처리장치는 와변기를 통하여 배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고, 세정수와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본체라 칭한다.
특히 상기 본체는 내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통과 물 분사를 위한 펌프, 그리고 배설물을 흡입하기 위한 펌프 등과 같이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며, 또한 장치의 순차적인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본체는 케이싱 내부에 각종 장치들이 배치되어 사용되며, 대부분의 경우, 기본적인 특성 강화를 위하여 배치되고, 또한 전체가 하나의 모듈로 제조되어 일부 부품이 망실되는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 내부를 기능별로 구분된 단위 모듈로 구성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한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상 환자의 배변을 처리하기 위하여 본체 모듈, 상기 본체 모듈과 연결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연결되어 와상 환자가 착용하여 배변을 처리하는 와변기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형성되어 관로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관로 소켓; 상기 케이싱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오물 저장부; 상기 케이싱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소독수 저장부; 및 상기 오물 저장부의 측면 상기 세정부 저장부 및 소독수 저장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오물 저장부에 진공을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세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상기 소독수 저장부의 소독수를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은 개방 시 작동부가 노출되는 정면도어와, 개방시 오물 저장부의 상단이 개방되는 상면도어, 상면에 상기 세정수 저장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유입구와 상기 소독수 저장부에 소독수를 공급하는 소독수 유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우측에 배치되는 가열기; 상기 베이스판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베이스판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어 다른 부재와 연결된 배관과 배선이 결합하는 소켓부; 상기 베이스판 좌측에 배치되는 제어용 기판; 및 상기 제어용 기판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는 메인 펌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펌프 모듈은, 상단에 위치하고 오물 저장부에 연결되어 오물 저장부에 진공을 인가하는 유입파트, 상기 유입파트 하단에 위치하며, 진공을 생성하는 펌프와 모터를 포함하는 메인파트 및 상기 메인파트 하단에 위치하여 진공 형성을 위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부와 연결된 배관, 상기 소독수 유입구에 연결된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관로 소켓에 세정수, 소독수 및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은 오물 저장부, 세정수 저장부, 소독수 저장부 및 작동부를 별도의 단위 모듈을 제조한 후 케이싱 내부에 안착시킨 후, 소켓 형태로 각 단위 모듈에 필요한 배관과 배선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케이싱 전면에는 와변기와 연결되는 관로가 장착되는 관로 소켓이 형성되어, 전체 조립이 편리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단위 모듈의 교체 역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로 소켓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작동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작동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100)는 도 1에 도시된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200)에 적용된다.
상기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200)는 물을 분사하고, 처리된 물을 흡입하여 저장하며, 건조를 위한 공기를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 모듈(100), 상기 본체 모듈(100)에서 배출되는 고압수, 공기, 흡입되는 오염수 및 센서 신호를 이송하는 관로(220), 상기 관로(220)의 끝단에 장착되어 환자가 착용하는 와변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로(220)는 세척용 물의 이송을 위한 통로, 오염수 흡입을 위한 통로, 건조를 위한 공기의 유동 통로, 센서 신호 전달을 위한 배선 등을 위하여 다수의 개별관이 결합된 형태이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기능을 위하여 개별관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변기(230)는 내부에 형성되는 배변 공간과 환자의 배변 후처리를 위한 고압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 건조를 위한 건조 노즐, 배변을 파쇄를 위한 파쇄 노즐 등을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배변이 된 경우 또는 소변이 배출된 경우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 모듈(10)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복수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변을 흡입을 위한 배출홀이 상기 배변 공간 내에 형성되어 배변이 완료된 경우, 상기 파쇄 노즐를 통한 배변 파쇄 후에 전체 오염수가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 관로(220)를 통하여 본체 모듈(100)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본체 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박스 형태의 케이싱(10)을 기본으로 구성되며, 측면 상단에는 관로 소켓(20)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내부 공간 개방을 위한 정면도어(11)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10) 상면에는 역시 내부 공간 개방을 위한 상면도어(12)가 형성되고, 상면도어(12) 측면에는 세정수 유입을 위한 세정수 유입구(13)와 소독수 유입을 위한 소독수 유입구(14)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3, 14)는 케이싱(10) 상면부(15)에 형성되며, 상기 상명부(15)는 슬라이드 형태로 상기 케이싱(10)에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케이싱(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13, 14)는 상기 상면부(15)와 나사에 의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세정수와 소독수를 보충하는 경우 상기 유입구(13, 14)를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면부(15)와 분리하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 유입구(13, 14)가 분리된 경우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 내부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하여 단위 모듈들이 손쉽게 안착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관로 소켓(20)은 관로(220)가 결합하여 케이싱(10) 내부의 부재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220)가 삽입되는 사각형 형태의 함몰부(21)와 상기 함몰부(21) 내면에 형성되는 공기 이동구(22), 오물 이동구(23), 세정수 이동구(24) 및 소독수 이동구(25)를 포함하며, 상기 함몰부(21) 측면에는 센서 신호를 연결하는 배선이 삽입되는 신호구(26)가 형성되며, 관로(220)가 삽입되는 경우, 관로(220) 측에는 상기 구성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연결구들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10)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위치, 즉, 상기 관로 소켓(20)과 근접한 부분에 오물 저장부(30)가 위치하고, 우측 상단에는 세정수 저장부(40)와 소독수 저장부(50)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오물 저장부(30)는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수직 길이 전체로 배치되고, 상기 세정수 저장부(40)와 소독수 저장부(50)는 케이싱(10) 상단의 일부 공간에만 배치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오물 저장부(30)는 오물 탱크(31)와 상기 오물 탱크(31) 상단에 부착되는 상단 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 부재(32)에 오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흡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는 오물 이동구(25)와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는 후술하는 작동부(6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물 탱크(31)에는 오물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설치되며, 각종 센서들의 배선을 오물 탱크(31) 배면으로 연장형성되어 후술하는 작동부(60)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연결의 편리를 위해서 배선의 끝단에는 연결 소켓이 부착된다.
상기 세정수 저장부(40)는 하단에 세정수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유연성 배관과 연통되며, 상기 유연성 배관은 소켓 형태로 후술하는 작동부(60)와 연결된다.
또한 세정수 저장부(40)에도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센서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역시 소켓이 부착되며, 상기 소켓 역시 후술하는 작동부(6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소독수 저장부(50)도 상기 세정수 저장부(4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하단에 소독수를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유연성 배관과 연통되며, 상기 유연성 배관은 소켓 형태로 후술하는 작동부(60)와 연결된다.
그리고 소독수 저장부(50)에도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센서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역시 소켓이 부착되며, 상기 소켓 역시 후술하는 작동부(6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오물 저장부(30), 세정수 저장부(40) 및 소독수 저장부(50)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며, 해당 관로와 배선 역시 서로 간섭 없이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정면도어(11)가 위치한 내부 공간, 즉, 오물 저장부(30) 우측, 세정수 저장부(40) 및 소독수 저장부(50) 하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60)가 위치한다.
상기 작동부(60)는 오물 저장부(30)의 진공을 유지하는 역할, 세정수 저장부(40)의 세정수를 전송하는 역할, 소독수 저장부(50)의 소독수를 전송하는 역할, 각종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알람하는 역할,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6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70)을 기본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판(70)의 우측면에는 가열기(71)와 복수의 펌프로 구성되는 펌프부(72) 그리고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밸브부(7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70) 상단에는 소켓부(74)가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74)에 세정수 저장부(40) 및 소독수 저장부(50)에 형성된 배관과 배선이 결합하며, 상기 배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정수 또는 소독수가 상기 펌프부(72)를 통하여 가압되어 배출되며, 특히 세정수의 경우에는 상기 가열기(71)를 통하여 예열되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74)의 일부는 관로 소켓(20)과 연결되며, 상기 펌프부(72)를 통하여 가압된 세정수 또는 소독수는 상기 소켓부(74)를 통하여 관로 소켓(20)으로 배출된다.
또한 가압된 공기 역시 상기 펌프부(72)의 펌프를 통하여 가압되어 상기 관로 소켓(20)으로 배출된다.
상기 벨브부(73)는 상기 펌프부(72)를 통하여 가압된 물 또는 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70)의 좌측면에는 전체 장치의 제어를 위한 기판(79)이 위치하며, 상기 기판(79)의 신호에 따라 상기 가열기(71), 펌프부(72) 및 밸브부(73)가 동작한다.
또한, 상기 기판(79)의 좌측에는 메인 펌프 모듈(80)이 위치한다. 상기 메인 펌프 모듈(80) 역시 상기 기판(79)의 신호에 따라 동작되며, 유입파트(81), 메인파트(82) 및 배출파트(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파트(82)는 모터와 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파트(81)에 펌프의 진공부가 연결되고, 상기 배출파트(83)에는 펌프의 고압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파트(82)가 동작하면, 상기 유입파트(81)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파트(83)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입파트(81)는 오물 저장부(30) 상단부재(32)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며, 습기 제거를 위한 필터가 위치한다.
상기 배출파트(83)는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냄새 제거를 위한 필터가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부(60)는 본체 모듈(100)의 동작을 위한 액추에이터, 제어 기능 모두를 포함하고, 다른 부재들과는 배관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설치 및 교체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0: 케이싱 11: 정면도어
12: 상면도어 13: 세정수 유입구
14: 소독수 유입구 15: 상면부
20: 관로 소켓 21: 함몰부
22: 공구 이동구 23: 오물 이동구
24: 세정수 이동구 25: 소독수 이동구
26: 신호구 30: 오물 저장부
31: 오물 탱크 32: 상단 부재
40: 세정수 저장부 50: 소독수 저장부
60: 작동부 70: 베이스판
71: 가열기 72: 펌프부
73: 밸브부 74: 소켓부
79: 기판 80: 메인 펌프 모듈
81: 유입파트 82: 메인파트
83: 배출파트 100: 본체 모듈
200: 배설물 자동 저리 장치 220: 관로
230: 완변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와상 환자의 배변을 처리하기 위하여 본체 모듈, 상기 본체 모듈과 연결되는 관로, 상기 관로에 연결되어 와상 환자가 착용하여 배변을 처리하는 와변기를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형성되어 관로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관로 소켓;
    상기 케이싱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오물 저장부;
    상기 케이싱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소독수 저장부; 및
    상기 오물 저장부의 측면 상기 세정수 저장부 및 소독수 저장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오물 저장부에 진공을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세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상기 소독수 저장부의 소독수를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며,
    상기 케이싱은 개방 시 작동부가 노출되는 정면도어와, 개방시 오물 저장부의 상단이 개방되는 상면도어, 상면에 상기 세정수 저장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유입구와 상기 소독수 저장부에 소독수를 공급하는 소독수 유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 우측에 배치되는 가열기;
    상기 베이스판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베이스판 우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상기 베이스판에 형성되어 다른 부재와 연결된 배관과 배선이 결합하는 소켓부;
    상기 베이스판 좌측에 배치되는 제어용 기판; 및
    상기 제어용 기판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결합하는 메인 펌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펌프 모듈은, 상단에 위치하고 오물 저장부에 연결되어 오물 저장부에 진공을 인가하는 유입파트, 상기 유입파트 하단에 위치하며, 진공을 생성하는 펌프와 모터를 포함하는 메인파트 및 상기 메인파트 하단에 위치하여 진공 형성을 위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부와 연결된 배관, 상기 소독수 유입구에 연결된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관로 소켓에 세정수, 소독수 및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KR1020150137206A 2015-09-29 2015-09-29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KR10173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206A KR101733445B1 (ko) 2015-09-29 2015-09-29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206A KR101733445B1 (ko) 2015-09-29 2015-09-29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138A KR20170038138A (ko) 2017-04-06
KR101733445B1 true KR101733445B1 (ko) 2017-05-10

Family

ID=5858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206A KR101733445B1 (ko) 2015-09-29 2015-09-29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93A (ko) 2020-12-14 2022-06-21 김종규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405A (ja) 2007-08-10 2009-02-26 Kotobuki Giken:Kk 介護用オムツ及び介護用マット
KR100977612B1 (ko) 2010-04-08 2010-08-23 주식회사 큐라코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110725A1 (en) 2009-05-07 2012-05-10 Cura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405A (ja) 2007-08-10 2009-02-26 Kotobuki Giken:Kk 介護用オムツ及び介護用マット
US20120110725A1 (en) 2009-05-07 2012-05-10 Cura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ta
KR100977612B1 (ko) 2010-04-08 2010-08-23 주식회사 큐라코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93A (ko) 2020-12-14 2022-06-21 김종규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138A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4431B2 (ja) 中央集積介護機器
KR100872458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JP3749097B2 (ja) 自動***物処理装置
CN101869523B (zh) 卧床人体护理器
KR101093444B1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0797578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7065790B2 (ja) ***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101771472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KR101733445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JP2008036018A (ja) 使用者装着装置及び自動***処理装置
KR100795149B1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CN111921081A (zh) 一种清洁装置
KR10082952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29524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7330760A (ja) ***物処理用介護カプセル
KR20180126985A (ko)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용 오물통 착탈구조
KR101558560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노즐 조립체
JP5170546B2 (ja) ***物自動処理装置
KR20110101681A (ko) 환자 오물 처리용 흡입장치
KR200485598Y1 (ko) 대소변 처리장치의 세척기
KR102520869B1 (ko)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US8205278B2 (en) Washing apparatus
CN208426039U (zh) 清洁结构、盖板及座便器
JPH0426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