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109B1 - Roll-type cleaning mop - Google Patents

Roll-type cleaning m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109B1
KR101732109B1 KR1020160044007A KR20160044007A KR101732109B1 KR 101732109 B1 KR101732109 B1 KR 101732109B1 KR 1020160044007 A KR1020160044007 A KR 1020160044007A KR 20160044007 A KR20160044007 A KR 20160044007A KR 101732109 B1 KR101732109 B1 KR 101732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peration lever
mop
unit
le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정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일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일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일렉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1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type cleaning mop comprising: a bar-shaped stick unit (100); a body plate (200) which is coupled to the stick unit (100), has a connection bracket (210)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o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ick unit (100),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220, 230) formed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 (210); a rag (300) which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220, 230) respectively, and is wound to be leaned to the first roller unit (220); and an operation lever unit (400)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unit (230), and selectively determines the rotation direction to rotate the second roller unit (23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pending on the determination. While a rag contaminated from cleaning is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a clean rag is ex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at the same time, and the contaminated rag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unit can be removed at once, thereby providing user convenience.

Description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Roll-type cleaning mop}Roll-type cleaning mop [0002]

본 발명은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막대형상의 밀대부(100);와, 상기 밀대부(100)와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밀대부(100)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2 롤러부(220, 230)를 포함하는 몸체플레이트(200);와, 그 일단 및 그 타단이 상기 제1, 2 롤러부(220, 230)에 각각 감긴 상태로 상기 몸체플레이트(200)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 롤러부(220)에 편향되게 감겨지는 걸레(300);와, 상기 제2 롤러부(230) 일측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롤러부(2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유닛(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type cleaning mop,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 type cleaning mop which comprises a bar-shaped barb 100, a connection bracket 210 coupled to the barb 100 a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rb 100, A body plate 200 having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220 and 2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 210 so as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 210, A rake 300 positioned under the body plate 200 while being 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220 and 230 and wound on the first roller portion 220 in a deflected manner; And an operation lever unit 4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wo roller unit 230 to selectively rotate the second roller unit 23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pending on the rotation, And a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the roll.

일반적으로, 걸레는 일반가정, 학교 또는 공공장소 실내의 바닥이 더럽거나 지저분하게 될 경우 오염된 곳을 닦거나 훔쳐 내는 데 쓰는 헝겊형태의 청소도구이다.In general, a mop is a cloth-like cleaning tool used to wipe or stain a contaminated floor when the floor of a home, school, or public place is dirty or messy.

이러한 걸레는 보통 사용자가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물에 적신 걸레를 파지하여 바닥의 오염된 곳을 닦아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해 준다.These mops usually allow the user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by wiping the dirt on the floor by grasping the mop that the user has soaked in the water with the waist bent.

그러나, 이처럼 헝겊으로 구성된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 굽힌자세로 청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 무릎 및 발목 등의 관절에 무리를 주어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cleaning is performed using a rag made of a cloth, since the cleaning is performed in a bent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joints such as the back, the knee, and the ankle are given a load,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서서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긴 막대기형태의 밀대걸레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고, 그 일시예중 하기 특허문헌 1의 “청소용 밀대 걸레(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2987호)”가 게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long stick type mop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user can stand up and wipe the floor. In this case, a cleaning mop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 0002987) " is published.

상기 특허문헌 1의 “청소용 밀대 걸레”는 플레이트의 상면 중앙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밀수 있는 밀대가 결합되는 청소용 밀대 걸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밀대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레일이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면에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홀더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홀더는 밀대를 중심으로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걸레 패드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청소의 효율성 및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플레이트의 규격에 맞는 사이즈의 걸레패드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부담감을 줄여줌으로써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The cleaning mop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11-24305 has a cleaning mop which is engaged with a pusher which is held by the user with the han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a guide rail, And a fixing holder having a fixing piece formed on its upper surface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the fixing holder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around the pressing rod to stably fix the mop pad,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use are improved and the burden of purchasing and using a mop pad of a size suit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late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청소용 밀대 걸레”는 청소 전에는 플레이트 하부에 결합되는 걸레를 고정하기 위하여 걸레의 일부분을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된 고정편에 일일이 삽입고정한 후 청소 후에는 고정편에 삽입된 걸레의 일부분을 탈거하여 오염된 걸레를 일일이 분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청소 때마다 매번 걸레를 고정, 분리, 교체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실행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leaning mop mop" of Patent Document 1, before cleaning, a part of the mop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xing member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in order to fix the mop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The mop is detached and the contaminated mop is separately separat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fixing, separating, and replacing the mop each time is repeated every time the cleaning is performed.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2987호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000298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2 롤러부를 포함하는 몸체플레이트와, 그 일단 및 그 타단이 제1, 2 롤러부에 각각 감긴 상태로 몸체플레이트 하부에 위치되되, 제1 롤러부에 편향되게 감겨지는 걸레와, 제2 롤러부 일측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회전여부에 따라 제2 롤러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유닛을 구비하여, 조작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청소에 의해 오염된 걸레를 제2 롤러부에 감기게 함과 동시에 깨끗한 걸레가 몸체플레이트 하부에 노출되게하고, 제2 롤러부에 감긴 오염된 걸레를 한 번에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확보된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ody plate including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rotatably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second roller un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unit and selectively determines the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roller unit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allow the cleaned mop to be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and allow the clean mop to be ex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ll type cleaning mop which is easy to use by ensuring that the contaminated mop wound around the two roller portions can be removed at a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는, 막대형상의 밀대부(100);와, 상기 밀대부(100)와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밀대부(100)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2 롤러부(220, 230)를 포함하는 몸체플레이트(200);와, 그 일단 및 그 타단이 상기 제1, 2 롤러부(220, 230)에 각각 감긴 상태로 상기 몸체플레이트(200)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 롤러부(220)에 편향되게 감겨지는 걸레(300);와, 상기 제2 롤러부(230) 일측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롤러부(2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유닛(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r-shaped barb 100, and an upper bar 100 coupled to the barb 100, A body plate 200 including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220 and 2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racket 21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and having a connection bracket 21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 first roller unit 220 and a second roller unit 220. The first roller unit 220 and the second roller unit 220 ar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in a state where one end and the other end thereof are 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220 and 230, A second roller portion 230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s rotated,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은,Further, the operating lever unit (400)

상부에 거치부(411)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 결합공(412)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공(412)의 내주면에 제1 결합돌기(413)가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재(410)와,A first engaging hole 41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 first engaging protrusion 413 is protru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hole 412, 410,

상기 제1 결합공(412)에 삽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 결합돌기(413)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421)이 함몰형성되고, 내측에 제2 결합공(422)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공(422)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423)가 돌출형성되는 방향가이드링부재(420)와,The first insertion hole 4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422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421, A direction guiding member 420 in which a rotation protrusion 423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422,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와 결합되되, 내측에 제3 결합공(431)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공(4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안착홈(432)이 구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제2 롤러부(23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부(433)가 돌출형성되는 연결핀부재(430)와,A semicircular seating groove (not show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third engaging hole 431 and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 connecting pin member 430 having a connecting protrusion 433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상부 양측에 상기 회전돌기(423)와 맞물리는 제한돌기(441)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곡면형상의 이동안내면(442)이 형성되는 스토퍼부재(440)와,A restricting projection 441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and engages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423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is formed with a curved moving guide surface 442 Stopper member 440,

전면은 상기 제2 결합공(422)에 삽입되고 후면은 상기 제3 결합공(431)에 삽입되되, 전면에 돌림돌기(451)가 돌출형성되고, 후면에 삽입돌기(45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452)의 내측에 스프링안착홈(453)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홈(453)에는 스프링(454)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454)의 상부에 스프링캡(455)이 결합되는 돌림부재(4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422 and the rea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hole 431.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45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A spring seating groove 45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and a spring 454 is provided in the spring seating groove 453. A spring cap 455 is provided on the spring 454, And the pivot member 45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또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의 후면에 이동가이드돌기(414)가 곡면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Further, a movement guide projection 414 is form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돌기(414)가 삽입되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동가이드함몰부(240)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414 is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late 20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dur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240) is formed to be recessed.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돌기(414)와 상기 이동가이드함몰부(240) 사이에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사용자 가압 해제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탄성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ser depressurizes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after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rotated clockwise by the user's pressing action between the movement guide projection 414 and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part 240, )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또한,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표면에는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에 의해 상기 제2 롤러부(2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표면에 감겨져 있는 상기 걸레(300)가 고정되도록 고정돌기(250)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while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50 are form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300 are fixed.

또한, 상기 제2 롤러부(230)에는 상기 걸레(300)를 붙이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벨크로부재(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s formed with a Velcro member 600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mop 300.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2 롤러부를 포함하는 몸체플레이트와, 그 일단 및 그 타단이 제1, 2 롤러부에 각각 감긴 상태로 몸체플레이트 하부에 위치되되, 제1 롤러부에 편향되게 감겨지는 걸레와, 제2 롤러부 일측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회전여부에 따라 제2 롤러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유닛을 구비하여, 조작레버유닛의 조작에 따라 청소에 의해 오염된 걸레를 제2 롤러부에 감기게 함과 동시에 깨끗한 걸레가 몸체플레이트 하부에 노출되게하고, 제2 롤러부에 감긴 오염된 걸레를 한 번에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body plate including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rotatably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 body plate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And the second roller portion is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pending on the rotation of the first roller portion, The operation lever unit is provided to wind the cleaned mop on the second roller p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and allow the clean mop to be ex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late, The mop can be removed at a time,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의 구성 중 조작레버유닛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조작레버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조작레버유닛의 일측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A의 단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의 구성 중 이동가이드돌기 및 이동가이드함몰부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의 구성 중 제2 롤러부에 형성된 벨크로부재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hole of a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n operation lever unit in a configuration of a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operation lever unit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one side of the operation lever unit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S. 7 to 8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a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ement guide projection and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t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Velcro member formed on a second roller portion of the structure of a roll type cleaning mop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a roll type cleaning mo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는 크게, 밀대부(100), 본체플레이트(200), 걸레(300) 및 조작레버유닛(400)으로 구성된다.The roll type cleaning mo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comprises a push rod 100, a body plate 200, a mop 300, and an operation lever unit 400.

먼저, 밀대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밀대부(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종의 막대로서, 후술할 몸체플레이트(200)의 연결브라켓(210)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기립한 상태로 상기 밀대부(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실내 바닥을 가압하면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위치된 후술할 걸레(300)를 밀어 실내 바닥의 오염된 곳을 닦을 수 있게 해준다.First, the mill base 1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or FIG. 2, the barb 100 is a rod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with a connection bracket 210 of a body plate 20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user moves the floor while pressing the floor while holding the floor 100, it can push the mop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located below the body plate 200 to clean the contaminated floor of the floor.

다음으로, 몸체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플레이트(200)는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고정된 상기 걸레(300)를 바닥에 밀착시켜 상기 밀대부(1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걸레(300)가 실내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고정틀로서, 연결브라켓(210), 제1 롤러부(220), 제2 롤러부(230), 이동가이드함몰부(240)로 구성된다.Next, the body plate 200 will be described. The body plate 200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mop 300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o that the mop 300 can clean the floor A first roller portion 220, a second roller portion 230, and a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The fixing bracket 210 includes a fixing bracket 210, a first roller portion 220, a second roller portion 230,

상기 연결브라켓(210)은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밀대부(100)와 상기 몸체플레이트(200)를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밀대부(100)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밀대부(100)가 전, 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 연결소켓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bracket 210 is formed at an upper center of the body plate 200 to connect the push rod 100 and the body plate 200.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rod 100 is inserted (Not shown) hing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 제1 롤러부(220)는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전 깨끗한 상태의 상기 걸레(300)의 일단이 계속 감겨져 롤(ROLL)상태의 상기 걸레(300)가 위치된다.The first roller unit 220 is a component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One end of the mop 300 in a clean state before use is continuously wound, The mop 300 is positioned.

상기 제2 롤러부(230)는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상부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롤러부(230)에 감겨져 있는 상기 걸레(300)의 일부를 풀어 상기 걸레(300)의 타단이 감겨지게 되고, 청소에 의해 상기 걸레(300)가 오염되어 상기 제1 롤러부(230)에 감겨져 있는 깨끗한 상기 걸레(300)를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려는 경우, 후술할 조작레버유닛(400)에 의해 회전되어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감아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보관하는 동시에 깨끗한 상기 걸레(300)가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The second roller part 230 is a component rotatably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plate 200. The second roller part 230 looses a part of the mop 300 wound on the first roller part 230,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ller unit 300 is wound and the clean mop 300 which is contaminated by the cleaning and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unit 230 is positioned below the body plate 200 The contaminated mop 300 is wound by rotating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store the contaminated mop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clean mop 300 is placed under the body plate 200 It guides you to be located.

한편,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표면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수개의 고정돌기(25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돌기(250)는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에 의해 상기 제2 롤러부(2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롤러부(200)의 표면에 최초 감겨져 있는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고정시킴으로써, 청소 후 깨끗한 상기 걸레(300)를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롤러부(230)에 감겨지는 오염된 상기 걸레(300)가 헛돌지 않고 연속적으로 감겨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2,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50 are protrud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230. The fixing protrusions 250 are formed on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The contaminated mop 300 initially woun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unit 200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ller unit 230 is fixed by the first roller unit 230 to the cleaned mop 300, When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200, the contaminated mop 300 wound on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can be wound continuously without loosing.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부(230)에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벨크로부재(600)가 더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벨크로부재(600)에 상기 걸레(300)를 붙이거나 떼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걸레(300)의 설치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해 준다.10,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may further include a Velcro member 600. The Velcro member 600 may be provided with the mop 300 attached thereto, Thereby facilitating installation or replacement of the mop 300.

상기 이동가이드함몰부(240)는 상기 제2 롤러부(230)의 일측방향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전면에 곡면으로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조작레버유닛(400)의 이동가이드돌기(414)가 삽입되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이동가이드돌기(414)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상기 제2 롤러부(230)를 회전시켜 오염된 상기 걸레(300)가 상기 제2 롤러부(230)에 감겨지도록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is a component that is curved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late 200 in the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unit 230.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of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414 when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rotated clockwise by inserting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nto the second roller unit 230, When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mop 300 is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230, To be accurately moved about the rotation axis.

한편, 상기 이동가이드돌기(414)와 상기 이동가이드함몰부(240) 사이에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사용자 가압 해제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탄성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 between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414 and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when the user pushes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lastic member 500 such that the operating lever unit 40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다음으로, 상기 걸레(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레(3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일종의 헝겊으로서, 상기 걸레(300)의 일단은 상기 제1 롤러부(220)에 감겨지고, 상기 걸레(300)의 타단은 상기 제2 롤러부(230)에 감겨진다.Next, the mop 300 will be described. 1 or 2, one end of the mop 300 is wound on the first roller 220 and the other end of the mop 300 Is wound on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s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한편,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걸레(300)를 상기 제1 롤러부(220)에 편향되게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에 의해 오염된 상기 걸레(300)는 상기 제2 롤러부(230)에 연속적으로 감겨지도록 하여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항상 깨끗한 상기 걸레(300)가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7, the mop 300 may be wound on the first roller 220 in a deflected manner, so that the mop 300 contaminated by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may be wound around the second So that the clean mop 300 can always be position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by being continuously wound around the roller portion 230.

다음으로, 조작레버유닛(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은 도 3,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롤러부(2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롤러부(2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방향에 따라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상기 제2 롤러부(230)에 감거나, 상기 제2 롤러부(230)에 감긴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상기 제2 롤러부(230)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구성요소로서, 손잡이부재(410), 방향가이드링부재(420), 연결핀부재(430), 스토퍼부재(440) 및 돌림부재(450)로 구성된다.Next,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will be described. 3, 4, or 5,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unit 230 to rotate the second roller unit 23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contaminated mop 300 may be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230 or may be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23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direction guide ring member 420, the connecting pin member 430, the stopper member 440, and the rotation member 450, which are members to be guided to be removed from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

상기 손잡이부재(410)는 상기 제2 롤러부(230)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거치부(411)가 형성된다.The handle member 410 is a component in which a user's hand is held to rotate the second roller unit 230, and a mount 411 on which a user's hand is gripped is formed on the handle member 410.

한편, 상기 손잡이부재(410)의 내측에는 후술할 스토퍼부재(440)와 연동되어 후술할 돌림부재(4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방향가이드링부재(420)가 삽입되도록 제1 결합공(412)이 타공형성된다.The handle member 410 includes a guide member 410 coupled to a stopper member 440 to guide a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rotation member 450 The first engaging hole 41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ember 420 is inserted.

이때, 상기 제1 결합공(4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손잡이부재(410)와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가 일체화를 위해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가 상기 제1 결합공(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되는 후술할 제1 삽입홈(421)에 삽입되도록 제1 결합돌기(413)가 돌출형성된다.At this time, the direction guide ring member 4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hole 412 in order to integrate the pull member 410 and the direction guide ring member 42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hole 412 A first engaging protrusion 413 is protruded to be inserted into a first insertion groove 4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420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한편, 상기 손잡이부재(410)의 후면에는 상기 이동가이드함몰부(240)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가이드함몰부(240)의 안내를 받는 이동가이드돌기(414)가 돌출형성된다.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inserted into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on the rear surface of the handle member 410 so that when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 movement guide protrusion 414 for guiding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240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accurately move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movable guide 230.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는 상기 손잡이부재(410)에 고정결합되고, 후술할 연결핀부재(4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부재(440)와 연동되어 상기 돌림부재(4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외주면에 상기 제1 결합돌기(413)가 삽입되도록 제1 삽입홈(421)이 함몰형성된다.The direction guiding member 420 is fixedly coupled to the handle member 410 and interlocked with the stopper member 44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connection pin member 430 A first insertion groove 421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so that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413 is inserted.

또한,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핀부재(43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제2 결합공(422)이 타공형성된다.A second engaging hole 422 is formed in the direction guiding member 420 so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n member 430 is inserted.

한면 상기 제2 결합공(42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와 상기 연결핀부재(4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핀부재(43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후술할 스토퍼부재(440)의 제한돌기(441)와 맞물리도록 회전돌기(423)가 돌출형성된다.Described directional guide member 420 and the connection pin member 430 are connec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ngagement hole 422. The stopper member 43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in member 430, 440, the rotation protrusion 423 is protruded.

상기 연결핀부재(430)는 일측은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롤러부(23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재(4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롤러부(23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는 후술할 돌림부재(450)의 삽입돌기(452)가 삽입되도록 제3 결합공(431)이 타공형성된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in member 430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guide ring member 42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n member 4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ull member 410, As a component for rotating the roller unit 230, a third engagement hole 431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of the rotation member 4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핀부재(430)의 내측에는 상기 제3 결합공(4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안착홈(432)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에 상기 스토퍼부재(440)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림부재(450)와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양바닥면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44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향되게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extending from the third fitting hole 431 and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n member 430, so that the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The stopper member 440 is positioned to be deflected toward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both bottom surfaces of the projecting member 450 and the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member 440 is rotatably mounted .

한편, 상기 연결핀부재(430)의 타측에는 상기 연결핀부재(430)와 상기 제2 롤러부(230)가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제2 롤러부(230)의 내측에 삽입고정되는 연결돌기부(433)가 돌출형성된다.The connection pin member 430 has a connection protrusion 433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roller unit 230 so that the connection pin member 430 and the second roller unit 230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Is protrud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부재(440)는 초승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스토퍼부재(44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돌기(423)와 맞물려 상기 돌림부재(4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440)가 일방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재(410)를 역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우, 상기 회전돌기(423)의 역방향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441)가 돌출형성된다.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The stopper member 440 is formed in a crescent shape and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The stopper member 440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423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member 440, When the stopper member 44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the stopper member 440 being set in on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member 450, the stopper protrusion 441 for restric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otation protrusion 423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한돌기(441)는 상기 스토퍼부재(440)가 일방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돌기(42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돌기(423)가 자연스럽게 통과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rotation protrusion 423 rotates in on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stopper member 440 is set in one direction, the rotation protrusion 423 is naturally passed through the restriction protrusion 441.

한편, 상기 스토퍼부재(440)의 하부에는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안내면(442)이 형성된다. Meanwhile, a curved moving guide surface 442 is formed under the stopper member 440.

상기 이동안내면(442)은 상기 스토퍼부재(440)가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에 위치되고 상기 돌림부재(450)의 삽입돌기(452)가 상기 제3 결합공(431)을 통과하여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돌림부재(450)의 스프링캡(455)과 접촉연동되어 상기 이동안내면(442)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스프링캡(455)을 통해 상기 스토퍼부재(440)가 편향고정되는 것을 가이드 한다.The stopper member 440 is positioned in the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of the rotation member 450 passes through the third coupling hole 431, The spring cap 455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spring cap 455 of the rotation member 450 to be described later and moves along the movement guide surface 442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below the seating groove 432, (440) is deflected and fixed.

상기 돌림부재(450)는 상기 스토퍼부재(440)와 연동되어 상기 돌림부재(4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재(440)를 편향고정시켜 상기 제2 롤러부(2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돌림돌기(451)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공(422)에 삽입된다.The rotation member 450 interlocks with the stopper member 440 and biases the stopper member 44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member 450 to rotate the second roller unit 23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rotation protrusion 451 is protrude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ement hole 422 so that the user can grip and manipulate the front surface.

상기 돌림부재(450)의 후면에는 상기 제3 결합공(431) 및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삽입돌기(45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452)의 내측에는 스프링(454)이 안착되도록 스프링안착홈(453)이 함몽형성된다.An insertion protrusion 45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on member 45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third engagement hole 431 and the semicircular recessed groove 432.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has a spring The spring seating groove 453 is formed in a frustum shape so that the spring seat 454 is seated.

상기 스프링안착홈(453)의 안착된 상기 스프링(454)의 상부에는 상기 삽입돌기(452)가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안내면(442)과 접촉되어 연동되도록 스프링캡(455)이 구비된다.The insertion protrusion 45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ement guide surface 442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is positioned below the semicircular mount groove 432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454 on which the spring seating groove 453 is seated. A spring cap 455 is provided.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를 이용한 걸레(300)의 교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replacing the mop 300 using the roll type cleaning mop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먼저, 도 7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최초 상기 제1 롤러부(220)에 깨끗한 상기 걸레(300)의 일단을 감아 롤(ROLL) 형태로 형성시킨다. 이 후 상기 걸레(300)의 타단을 잡아 상기 걸레(300)를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밀착시킨 후 상기 걸레(300)의 타단을 상기 제2 롤러부(230)에 감는다.First, as shown in FIG. 7 (a), one end of the clean mop 300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portion 220 to form a roll shape. The other end of the mop 3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ody plate 200 and then the other end of the mop 300 is wound around the second roller 230.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밀대부(100)를 잡고 실내 바닥 청소를 실행하게 되면,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밀착된 상기 걸레(300)는 오염이 된다. Next, when the user holds the wheel hub 100 and performs the cleaning of the indoor floor, the mop 300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is contaminated.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깨끗한 상기 걸레(300)로 교체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돌림부재(450)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프링캡(455)은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타측으로 이동된 상기 스프링캡(455)는 상기 이동안내면의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부재(440)는 타측 상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부재(440)의 일측 하부는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일측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replace the contaminated mop 300 with the clean mop 300, the rotating member 450 is rotated clockwise first. 6 (a), the spring cap 455 moves to the other side, and the spring cap 455 moved to the other side pushes the other side of the moving guide surface,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topper member 4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micircular mounting groove 432 so that the operating lever unit 400 can rotate on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다음으로, 상기 밀대부(100)를 살짝 들어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와 실내 바닥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도 7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과 연결된 상기 제2 롤러부(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오염된 상기 걸레(300)를 감게 되어, 결국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하부에 깨끗한 상기 걸레(300)가 위치하게 된다.7 (b),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7 (b), whil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late 200 and the floor of the room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econd roller unit 230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wind the contaminated mop 300 so that the cleaned The mop 300 is positioned.

이후, 도 8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청소에 의해 상기 제1 롤러부(220)에 감겨진 깨끗한 상기 걸레(300)가 모두 소모되면, 먼저 상기 돌림부재(45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도 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스프링캡(455)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일측으로 이동된 상기 스프링캡(455)는 상기 이동안내면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토퍼부재(440)는 일측 상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부재(440)의 타측 하부는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타측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된다.8 (a), when the clean mop 300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unit 220 is exhausted, the spinning member 4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first . 6 (b), the spring cap 455 is moved to one side, and the spring cap 455 moved to one side presses one side of the moving guide surface, And the other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member 4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bottom surface of the semicircular mounting groove 432 so that the operating lever unit 400 can rotate on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

이후, 도 8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염된 상기 걸레(300)의 일단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오염된 상기 걸레(300)가 상기 제2 롤러부(230)로부터 쉽게 탈거된다.8 (b), when the user grasps one end of the contaminated mop 300 while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mop 30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timal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
100: 밀대부
200: 몸체플레이트
210: 연결브라켓 220: 제1 롤러부
230: 제2 롤러부 240: 이동가이드함몰부
250: 고정돌기
300: 걸레
400: 조작레버유닛
410: 손잡이부재 411: 거치부
412: 제1 결합공 413: 제1 결합돌기
414: 이동가이드돌기
420: 방향가이드링부재 421: 제1 삽입홈
422: 제2 결합공 423: 회전돌기
430: 연결핀부재 431: 제3 결합공
432: 반원형안착홈 433: 연결돌기부
440: 스토퍼부재 441: 제한돌기
442: 이동안내면
450: 돌림부재 451: 돌림돌기
452: 삽입돌기 453: 스프링안착홈
454: 스프링 455: 스프링캡
500: 탄성부재
600: 벨크로부재
1: Roll type cleaning mop
100: Wheat Loan
200: Body plate
210: connection bracket 220: first roller portion
230: second roller part 240: moving guide depression part
250: Fixing projection
300: mop
400: Operation lever unit
410: Handle member 411:
412: first coupling hole 413: first coupling projection
414: movement guide projection
420: direction guide ring member 421: first insertion groove
422: second coupling hole 423: rotation projection
430: connecting pin member 431: third engaging hole
432: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3: connection projection
440: Stopper member 441: Restriction projection
442:
450: turning member 451:
452: insertion protrusion 453: spring seat groove
454: spring 455: spring cap
500: elastic member
600: Velcro member

Claims (6)

막대형상의 밀대부(100);
상기 밀대부(100)와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밀대부(100)의 하부와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10)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2 롤러부(220, 230)를 포함하는 몸체플레이트(200);
그 일단 및 그 타단이 상기 제1, 2 롤러부(220, 230)에 각각 감긴 상태로 상기 몸체플레이트(200)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 롤러부(220)에 편향되게 감겨지는 걸레(300);
상기 제2 롤러부(230) 일측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회전방향을 결정하여 회전여부에 따라 상기 제2 롤러부(23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레버유닛(4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의 후면에 이동가이드돌기(414)가 곡면형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플레이트(20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돌기(414)가 삽입되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동가이드함몰부(240)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
A bar-shaped barb 100;
And a connection bracket 21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ush rod 100 at the upper portion and being rotatable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A body plate 200 including first and second roller portions 220 and 230;
And is wound around the first roller 220 in a state where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ller 220 are 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220 and 230, );
An operation lever unit 40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unit 230 and selectively rotating the second roller unit 230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otation is determined Respectively,
A movement guide projection 414 is form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414 is inserted in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late 20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dur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240) is formed to be recessed.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은,
상부에 거치부(411)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1 결합공(412)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공(412)의 내주면에 제1 결합돌기(413)가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부재(410)와,
상기 제1 결합공(412)에 삽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 결합돌기(413)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421)이 함몰형성되고, 내측에 제2 결합공(422)이 타공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공(422)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423)가 돌출형성되는 방향가이드링부재(420)와,
상기 방향가이드링부재(420)와 결합되되, 내측에 제3 결합공(431)이 타공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공(4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그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안착홈(432)이 구성되며, 후면에는 상기 제2 롤러부(230)의 일측에 연결되는 연결돌기부(433)가 돌출형성되는 연결핀부재(430)와,
상기 반원형안착홈(432)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되, 상부 양측에 상기 회전돌기(423)와 맞물리는 제한돌기(441)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곡면형상의 이동안내면(442)이 형성되는 스토퍼부재(440)와,
전면은 상기 제2 결합공(422)에 삽입되고 후면은 상기 제3 결합공(431)에 삽입되되, 전면에 돌림돌기(451)가 돌출형성되고, 후면에 삽입돌기(45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452)의 내측에 스프링안착홈(453)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안착홈(453)에는 스프링(454)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454)의 상부에 스프링캡(455)이 결합되는 돌림부재(45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A first engaging hole 41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 first engaging protrusion 413 is protru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hole 412, 410,
The first insertion hole 4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422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hole 421, A direction guiding member 420 in which a rotation protrusion 423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hole 422,
A semicircular seating groove (not shown)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extending from the third engaging hole 431 and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 connecting pin member 430 having a connecting protrusion 433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A restricting projection 441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micircular seating groove 432 and engages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423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and is formed with a curved moving guide surface 442 Stopper member 440,
The front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422 and the rea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upling hole 431.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45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A spring seating groove 45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rotrusion 452 and a spring 454 is provided in the spring seating groove 453. A spring cap 455 is provided on the spring 454, Wherein the rotating member (450) is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mating member (450).
삭제delet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돌기(414)와 상기 이동가이드함몰부(240) 사이에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사용자 가압 해제시,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탄성부재(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is rotated between the movement guide protrusion 414 and the movement guide depression part 240 by the user's pushing operation so that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rotates clockwise, Wherein the elastic member (500) is provided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an elastic forc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표면에는 상기 조작레버유닛(400)에 의해 상기 제2 롤러부(2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롤러부(230)의 표면에 감겨져 있는 상기 걸레(300)가 고정되도록 고정돌기(250)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while the second roller portion 2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lever unit 400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50) are formed to fix the fixing protrusions (25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부(230)에는 상기 걸레(300)를 붙이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벨크로부재(6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타입 청소용 밀대걸레(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roller part (230) is formed with a Velcro member (600) for attaching or detaching the mop (300).
KR1020160044007A 2015-12-24 2016-04-11 Roll-type cleaning mop KR1017321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28 2015-12-24
KR20150186128 2015-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109B1 true KR101732109B1 (en) 2017-05-08

Family

ID=6016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007A KR101732109B1 (en) 2015-12-24 2016-04-11 Roll-type cleaning m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10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55B1 (en) * 2020-05-13 2021-03-11 노수창 cleaning roller
KR20210070830A (en) * 2019-12-05 2021-06-15 장해숙 Straw cleaner with automatic application
KR20220164228A (en)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케이엠 Mop for clea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48B1 (en) * 2005-08-09 2007-04-10 삼정크린마스터(주) Roller type wet mop
KR100760645B1 (en) * 2006-08-04 2007-10-04 주식회사 영일비젼 Push stick with a duster for cleaning a flo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748B1 (en) * 2005-08-09 2007-04-10 삼정크린마스터(주) Roller type wet mop
KR100760645B1 (en) * 2006-08-04 2007-10-04 주식회사 영일비젼 Push stick with a duster for cleaning a flo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0830A (en) * 2019-12-05 2021-06-15 장해숙 Straw cleaner with automatic application
KR102274230B1 (en) * 2019-12-05 2021-07-07 장해숙 Straw cleaner with automatic application
KR102226855B1 (en) * 2020-05-13 2021-03-11 노수창 cleaning roller
KR20220164228A (en) 2021-06-04 2022-12-13 주식회사 케이엠 Mop for clea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109B1 (en) Roll-type cleaning mop
US6854150B2 (en) Floor mop
US8584300B2 (en) Squeeze mop
CN101869455B (en) Electric cleaner
US8079112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US8296895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EP2946713A1 (en) Floor scrubbing machine
GB2422298A (en) A mop having an auxiliary scrubbing attachment
US6000087A (en) Cam actuated roller mop with scrubber attachment
USRE37415E1 (en) Cam actuated roller mop with scrubber attachment
WO2019040687A2 (en) Combination mop and broom
CA2703657C (en) Squeeze mop
KR20120033493A (en) A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1147814B1 (en) Mop to fold
CN108903863A (en) Wringing mop
JP6563063B2 (en) Double-sided push button spring type multi-stage rotating wiping body holder and cleaning tool
JP6391503B2 (en) Double-sided pushbutton rotation restricting wiping body holder and cleaning tool
JP5359407B2 (en) Brush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KR101506191B1 (en) Cleaner
KR101521181B1 (en) A cleaner head
KR102534177B1 (en) Mop apparatus
JP2006271753A (en) Cleaning member holder
US11350805B2 (en) Window cleaning tool
JP6563064B2 (en) Double-sided push button retaining multi-stage rotating wiping body holder and cleaning tool
EP4039163A1 (en) Multi-function clea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