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856B1 -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856B1
KR101730856B1 KR1020160078017A KR20160078017A KR101730856B1 KR 101730856 B1 KR101730856 B1 KR 101730856B1 KR 1020160078017 A KR1020160078017 A KR 1020160078017A KR 20160078017 A KR20160078017 A KR 20160078017A KR 101730856 B1 KR101730856 B1 KR 10173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olarizer
less
retardation
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영민
이세철
이장원
정다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8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856B1/en
Priority to TW106117588A priority patent/TWI649591B/en
Priority to JP2018562506A priority patent/JP6914968B2/en
Priority to CN201780032708.7A priority patent/CN109196392B/en
Priority to PCT/KR2017/005599 priority patent/WO2017209473A1/en
Priority to US16/305,797 priority patent/US11008430B2/en
Priority to JP2021001304A priority patent/JP739781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29C55/06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in several stretching ste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has excellent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include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enate (PEN), and has an in-plane phase difference (Ro) equal to or less than 350 nm, a thickness direction phase difference (Rth) equal to or greater than 7000 nm, and a deviation (Ro,max-Ro,min) of in-plane phase difference in a width direction, which is equal to or less than 300 n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provides excellent visibility by preventing versicolor stains from being generated and is thin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Description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실시예는 광학적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excellent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최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의 필수 부품이라 할 수 있는 편광판에 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s rapidly increased, and the interest in polarizers, which are essential components thereof, is also increasing.

편광판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키는 구성으로써, 일정한 투과광을 제공하고 투과광의 색조를 변화하기 위한 필수 부품이다.The polarizing plate is a component that polarizes natural light incident thereon while vibrating in various directions into light oscillating only in one direction, and is a necessary component for providing constant transmitted light and changing the color tone of transmitted light.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조이다. 편광자로는 주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보호 필름으로 등방성 물질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The polarizer is a structure in which a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As the polarizer, polyvinyl alcohol (PVA) is mainly used. Conventionally, triacetyl cellulose (TAC), which is an isotropic material, is often used as a protective film.

한편, 액정 표시 장치(LCD)는 그 기능 및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보다 가혹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는 수분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좋지 않아서 위와 같은 요구를 충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functions and uses of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become diverse, it is demanded that they can operate normally even in harsh environments. However, triacetylcellulose (TAC) is vulnerable to moisture and has poor durability, thus failing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이에 최근에는 일본공개특허 제2011-532061호, 일본공개특허 제2010-118509호와 같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대체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기계적 물성, 내약품성, 수분 차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요구를 만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place triacetyl cellulose (TAC) with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1-532061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0-118509. This is becau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chemical resistance and water barrier properties.

일본공개특허 제2011-532061호Japanese Laid-Open Patent No. 2011-532061 일본공개특허 제2010-118509호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0-118509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이방성 물질로써 복굴절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편광자와 액정 사이에서 편광 상태에 왜곡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시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보호 필름의 표면에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발생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LCD)의 고휘도화 및 고색 순도화에 따라 위와 같은 무지개 얼룩이 더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보호 필름으로 적용하는 데 큰 장애가 되고 있다.Sinc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an anisotropic material and has a very large birefringence, it causes a distortion in the polarization stat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liquid crystal, thereby significantly deteriorating the visibility. It is a typical example that iridescence (color unevenness)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Recently, rainbow stains are more noticeable due to higher brightness and higher color purity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hich is a great obstacle to the applic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a protective film.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이방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두께 방향 위상차(Rth)를 8,000 nm 이상으로 늘리다 보니 필름의 두께를 약 60 ㎛ 이하로 구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maximizing the anisotropy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has recently been proposed. However, when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is increased to 8,000 nm or more in order to maximize the anisotropy,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thickness of the film to about 60 탆 or less.

실시예는 위와 같은 문제점 및 한계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The embodiments are directed to solv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as described above and have the following objectives.

실시예는 광학 특성을 조절하여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생기지 않는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ch does not cause rainbow stains (color unevenness) by controlling optical characteristics,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또한 실시예는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두께가 얇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of its thin thickness without causing rainbow stains (color unevenness).

또한 실시예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여 별도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되는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which is excellent in ultraviolet ray shielding effect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UV absorbing agent,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또한 실시예는 광학 특성이 우수하여 시인성을 해하지 않으면서도 내구성, 내약품성, 수분 차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좋은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ective film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moisture barrier property without deteriorating visibility due to it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실시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The object of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will be realized by means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combinations.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포함하고, 면내 위상차(Ro)가 350 nm 이하이며,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7,000 nm 이상이고,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300 nm 이하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two or more polyesters and has an in-plane retardation Ro of 350 nm or less,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7,000 nm or more, and a deviation in in- Ro, max-Ro, min) is 300 nm or less.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te, PE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lyester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90 ~ 97 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3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lyester may include 90 to 97%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3 to 10%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Nz=Rth/Ro)가 25 이상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ratio (Nz = Rth / Ro) of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to the in-plane retardation (Ro) of 25 or more.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면배향계수(ΔP)가 0.176 내지 0.25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P of 0.176 to 0.25.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헤이즈(Hz)가 1 %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haze (Hz) of less than 1%.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열수축율(Hs)이 1 %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heat shrinkage (Hs) of less than 1%.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300 ~ 380 nm 파장 범위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20 %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UV transmittance of less than 20%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to 380 nm.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 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 페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1,4-페닐렌) 비스(4H-3,1-벤즈옥시지논-4-온),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및 2-페닐-3,1-벤조옥사진-4-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여, 380 nm 파장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5 % 미만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mprises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 [2'-hydroxy-5'- (methacryloyloxymethyl) phenyl] -2H-benzotriazole, 2- [ (Methacryloyloxyethyl) phenyl] -2H-benzotriazole, 2- [2'-hydroxy-5 '- (methacryloyloxypropyl) 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2,2 ', 4,4'-tetrahydroxybenzophenone, 2,4-di-tert-butyl-6- (5-chlorobenzotriazole 2-yl) phenol, 2- (2'-hydroxy-3'-tert-butyl-5'-methylphenyl) -5- chlorobenzotriazole, 2- Methyl-6- (tert-butyl) phenol,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e 2-yl) phenol, 2,2 '- (1,4-phenylene) bis (4H-3,1-benzoxyzinon- -One, 2-butyl-3,1-benzoxazine-4-one and 2-phenyl-3,1-benzoxazine-4-one And, a transmittance of ultraviolet light at 380 nm wavelength may be less than 5%.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수평시야각 0°~ 180°에서 색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not cause color unevenness at a horizontal viewing angle of 0 ° to 180 °.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두께가 약 25 ㎛ 내지 80 ㎛, 더 자세하게는 30 ㎛ 내지 60 ㎛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25 占 퐉 to 80 占 퐉, more specifically, 30 占 퐉 to 60 占 퐉.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길이 방향(MD)의 연신비가 2.5 배 내지 6 배이고, 폭 방향(TD)의 연신비가 2.5 배 내지 6 배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stretching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2.5 to 6 times and a stretching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TD) of 2.5 to 6 times.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길이 방향(MD)의 연신 예열 온도가 90℃ 내지 100℃이고, 폭 방향(TD)의 연신 예열 온도가 120℃ 내지 150℃인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have a stretching preheat temper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90 占 폚 to 100 占 폚 and a stretching preheating temperatur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120 占 폚 to 150 占 폚.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은 180℃ 내지 230℃에서 열고정된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heat-set at 180 ° C to 230 ° C.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 및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primer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인접하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인접하는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olarize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arizer, and a primer laye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배치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실시예는 상기 구성을 포함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Since the embodiment includes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은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생기지 않아 시인성을 해하지 않고, 내구성, 내약품성, 수분 차단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는 광학 특성이 우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o not cause rainbow stains (color unevenness) and do not deteriorate the visibility, and are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chemical resistance and moisture barrier property.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it can operate normally in a harsh environment.

또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은 시인성이 우수하면서도 두께가 얇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excellent in visibility and thin,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또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는 별도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그 자체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In addition,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er,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excellent in their ultraviolet shielding effect even if no additional ultraviolet absorber is added.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embodiments include all reasonably possible effec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편광자 보호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의 일 예인 액정 표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의 일 예인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3 schematically shows a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hav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schematically show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hav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hang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또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각 필름, 막, 패널, 또는 층 등이 각 필름, 막, 패널, 또는 층 등의 "상(on)"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Also, in the case where each film, film, panel, layer or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of each film, film, panel, , "On" and "under" all include being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nother element".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a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0)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각 구성은 모두 적층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하여 도시하였는바 통상의 기술자는 이로부터 상기 편광판(10)의 구체적인 구조를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polarizing pl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lthough all of the constitutions are stacked, they ar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and a specific structure of the polarizer 10 can be clearly known from the conventional art.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10)은 편광자(11) 및 상기 편광자(11)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인접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12, 이하 '보호 필름'이라 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10)은 상기 편광자(11)와 상기 보호 필름(12)의 접착력을 높이고 AG(anti-glare)코팅 등의 표면 코팅을 위한 프라이머층(13)을 상기 보호 필름(12)의 일면 또는 양면에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er 11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tective film')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arizer 11. The polarizing plate 10 enhances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11 and the protective film 12 and protects the primer layer 13 for surface coating such as an anti-glare (AG) Or on both sides.

상기 편광자(11)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상기 편광판에 입사되는 자연광을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키는 구성이다. The polarizer 11 is configured to polarize natural light incident on the polarizing plate into light oscillating only in one direction while vibrating in various directions.

상기 편광자는 요오드 등으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콜(PVA)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에 포함된 폴리비닐알콜(PVA) 분자는 일 방향으로 정렬된 것일 수 있다.The polarizer may be polyvinyl alcohol (PVA) stained with iodine or the like. The polyvinyl alcohol (PVA) molecules contained in the polarizer may be aligned in one direction.

상기 보호 필름(12)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보호 필름은 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에 비해 수증기 투과율이 낮아 편광판의 가습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polyester as a main component. 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film may comprise two or more polyesters. In addition, polyester has lower water vapor transmittance than triacetyl cellulose (TAC) and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상기 폴리에스테르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설폰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1,3-사이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산, 헥사하이드로이소프탈산, 말론산, 디메틸말론산, 석신산,3,3-디에틸석신산, 글루타르산,2,2-디메틸글루타르산, 아디프산,2-메틸아디프산트리메틸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인산, 다이머 산, 세바스산, 수베르산, 도데카디카르복실산 등의 디카르복실산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1,2-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데카메틸렌글리콜,1,3-프로판디올,1,4-부탄디올,1,5-펜탄디올,1,6-헥사 디올,2,2-비스(4-하이드록시 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 설폰 등의 디올을, 각각 1종을 중축합하여 이루어진 호모폴리머, 또는 디카르복실산 1종 이상과 디올 2종 이상을 중축합하여 이루어진 공중합체 혹은 디카르복실산 2종 이상과 1종 이상의 디올을 중축합하여 이루어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호모폴리머나 공중합체를 2종 이상 블렌드하여 이루어진 블렌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ester include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orthophthalic acid, 2,5-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2,6-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1,4-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a dicarboxylic acid, a dicarboxylic acid, a dicarboxylic acid, a dicarboxylic acid, a dicarboxylic acid, a carboxylic acid, a diphenylcarboxylic acid, a diphenoxyethane dicarboxylic acid, a diphenylsulfonic acid, Hexahydrophthalic acid, hexahydroterephthalic acid, malonic acid, dimethyl malonic acid, succinic acid, 3,3-diethyl succinic acid, glutaric acid, 2,2- Dicarboxylic acids such as dimethylglutaric acid, adipic acid, 2-methyladipic acid trimethyladipic acid, pimelic acid, azelaic acid, dimer acid, sebacic acid, suberic acid and dodecadicarboxylic acid; Propylene glycol, hexam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1,2-cyclohexanedimethanol, 1,4-cyclohexanedimethanol Prop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1,6-hexanediol,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bis -Hydroxyphenyl) sulfone, or copolymers or dicarboxylic acids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t least one kind of dicarboxylic acid with at least two kinds of diols and at least one of dicarboxylic acids and 1 A blend resin obtained by blending two or more homopolymers or copolymers thereof, and a copolymer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of at least two kinds of diols can be used.

그 중 폴리에스테르가 결정성을 나타내는 점을 고려하여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고, 더 자세하게, 상기 폴리에스테르 중 하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m, the polyester may be an aromatic polyester in consideration of the crystallinity, and more specifically, one of the polyesters may b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film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a main component.

다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미연신 상태에서는 결정성이 없어 취약하므로 상기 보호 필름으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2축으로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할 수 있다.Howev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not be suitable for use as the protective film because it is fragile because it has no crystallinity in an unstretched state. Therefore,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used as the protective film.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기계적 물성, 수분 차단성이 우수하지만 복굴절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이를 보호 필름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편광 상태에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 전술한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and moisture barrier property but has a very large birefringence, so that it may cause distortion in a polarizing state when applied directly to a protective film. The above-mentioned rainbow stain (color stai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따라서 실시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보호 필름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광학 특성을 개량하여 무지개 얼룩(색얼룩)의 발생을 억제한 것을 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applied as a protective film,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color unevenness).

이를 위해 실시예는 주성분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사용하되, 이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를 일정 함량으로 투입하여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한다.To this e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embodimen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is added thereto in a predetermined amount to form the protective film.

이에 따라 상기 보호 필름의 결정화 정도가 낮아지고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대폭 줄어들며,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무지개 얼룩(색얼룩)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를 높이기 위해 상기 보호 필름을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도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protective film is lowered and the deviation (Ro, max-Ro, min) in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greatly reduced and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protective film thick in order to increase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diversity of applications can be ensured.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90 ~ 97 중량% 및 상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3 ~ 10 중량%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타프탈레이트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 기능이 감소되고, 높은 두께 방향 위상차를 구현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타프탈레이트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하면, 면내 위상차 편차가 커지기 때문에, 무지게 얼룩 등의 광학적인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of 90 to 97% by weigh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3 to 10% by weight of the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less than 3% by weight, the ultraviolet shielding function is reduced, and a high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can not be realized. If the content of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exceeds 10% by weight, the in-plane retardation deviation becomes large, so that optical distortion such as ignition smear may occur.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포함하므로 그 자체에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호 필름은 300 ~ 380 nm 파장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약 20 % 미만인 것일 수 있다.Since the protective film includes the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it has an ultraviolet blocking effect on itself. Specifically,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00 to 380 nm of less than about 20%.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에 별도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충분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더라도 첨가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일 수 있다.Therefore, a sufficient ultraviolet shielding effect can be exhibited without adding a separate ultraviolet absorber to the protective film. Further, even if an ultraviolet absorber is added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ultraviolet shielding effect, the addition amount can be reduced, which is economical.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놀계, 고리형 이미노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필름은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 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 페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1,4-페닐렌) 비스(4H-3,1-벤즈옥시지논-4-온),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및 2-페닐-3,1-벤조옥사진-4-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the ultraviolet absorber, both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and an inorganic ultraviolet absorber can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to add an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to ensure transparency. Examples of the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benzophenol-based, cyclic imino ester-based ultraviolet absorbers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film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 [2'-hydroxy-5'- (methacryloyloxymethyl) phenyl] -2H-benzotriazole, 2- [ 2-hydroxy-5 '- (methacryloyloxypropyl) phenyl] -2H-benzotriazole, 2,2'-dihydro Dihydroxybenzophenone, 2,2 ', 4,4'-tetrahydroxybenzophenone, 2,4-di-tert-butyl-6- (5-chlorobenzotriazol- (2H) -benzotriazol-2-yl) phenol, 2- (2'-hydroxy-3'-tert- butyl-5'-methylphenyl) -5- chlorobenzotriazole, 2- Methyl-6- (tert-butyl) phenol, 2,2'-methylenebis (4- (1,1,3,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 Phenol, 2,2 '- (1,4-phenylene) bis (4H-3,1-benzoxyzinon-4-one) One or more UV absor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butyl-3,1-benzoxazine-4-one and 2-phenyl-3,1-benzoxazine- The.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소량 첨가하여 380 nm 파장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5 % 미만, 370 nm 파장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1 % 미만인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A small amou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may be added to form a protective film having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of less than 5% at a wavelength of 380 nm and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of less than 1% at a wavelength of 370 nm.

이하 상기 보호 필름의 광학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fil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보호 필름은 면내 위상차(Ro)가 350 nm 이하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7,000 nm 이상이며,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300 n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rotective film has an in-plane retardation Ro of 350 nm or less, a retardation in a thickness direction (Rth) of 7,000 nm or more, and a deviation (Ro, max-Ro, min) do.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In-plane retardation of protective film ( RoRo ))

면내 위상차(Ro)는 상기 보호 필름 상의 직교하는 이축(xy축, 도 2 참조)의 굴절률의 이방성(△Nxy=|Nx-Ny|)과 보호 필름의 두께 d의 곱(△Nxy×d)으로 정의되는 물성치로, 광학적 등방성, 이방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The in-plane retardation Ro is a product of the anisotropy (? Nxy = | Nx-Ny |)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thogonal biaxial axis (xy axis, see Fig. 2) o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thickness d of the protective film It is a measure of optical anisotropy and anisotropy. Specifically, it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면내 위상차 Ro [nm] = (Nx - Ny) × dPlane retardation Ro [nm] = (Nx-Ny) xd

여기서 Nx는 보호 필름의 폭 방향의 굴절률, Ny는 보호 필름의 길이 방향 굴절률, d는 보호 필름의 두께를 의미한다.W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상기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Ro)는 35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내 위상차(Ro)가 높아지면 무지개 얼룩의 발생 정도가 심해지기 때문에 상기 면내 위상차는 작을수록 좋다. The in-plane retardation Ro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350 nm or less. When the in-plane retardation Ro is increased,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becomes worse, so that the in-plane retardation is better.

다만 상기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를 낮추기 위해서는 연신비를 낮추거나 두께를 얇게 해야 하므로 기계적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광학 특성과 기계적 물성의 균형을 위해 상기 면내 위상차(Ro)의 하한값을 10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nm 이상으로 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lower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protective film, the stretching ratio must be lowered or the thickness thereof must be reduced, so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may deteriorate. Therefore, in order to balanc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plane retardation (Ro) can be set to 10 nm or more, preferably 30 nm or more, more preferably 50 nm or more.

상기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Ro)는 낮을수록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의 폭 중심에서 면내 위상차(Ro)는 150 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the in-plane retardation (Ro) of the protective film i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Therefore, the in-plane retardation Ro at the width center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150 nm or less.

본 명세서에서 '폭 중심'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TD) 및 길이 방향(MD)으로 연신한 뒤의 보호 필름이 갖는 폭의 중간 지점(A, B)으로 정의한다. 상기 보호 필름에는 하나의 폭 중심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측정 지점에 따라 무한대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idth center' is defined as intermediate points (A and B) of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after being stretched in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 length direction (MD) as shown in FIG. The protective film does not have only one width center, but can be set to infinit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oint.

또한 후술할 '유효폭'은 상기 보호 필름을 대화면 용도의 편광판에 적용할 때 요구되는 폭 방향의 길이로써,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중심(A)에서 x축을 따라 양 끝단을 향해 일정 거리 이동한 지점 간(A', A'')의 거리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폭 중심으로부터 -1,000 mm 지점(A')과 +1,000 mm 지점(A'') 간의 거리 즉, 약 2,000 mm로 정의한다.The 'effective width' to be described later is a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required when the protective film is applied to a polarizing plate for use in a large screen.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A 'and the point A' 'at -1,000 mm from the center of the width, ie, about 2,000 mm (A' ') .

상기 보호 필름은 유효폭 내에서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300 nm 이하일 수 있다. 면내 위상차의 편차는 유효폭 내에서 면내 위상차의 최대값(Ro,max)과 최소값(Ro,min)의 차이이다. 상기 면내 위상차의 편차가 적으면 보호 필름의 폭이 넓을 때에도 면내 위상차(Ro)가 크게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무지개 얼룩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 deviation (Ro, max-Ro, min) of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within the effective width of 300 nm or less.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Ro, max) and the minimum value (Ro, min) of the in-plane retardation within the effective width. If the deviatio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s small, the in-plane retardation Ro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even when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is wide, so that iridescence unevennes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보호 필름을 90 ~ 97 중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3 ~ 10 중량%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를 대폭 줄일 수 있다.(Ro, max-Ro, mi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obtained by forming the protective film from 90 to 97%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3 to 10%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Can be greatly reduced.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RthRth ))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상기 보호 필름의 단면에서 봤을 때의 2개의 복굴절△Nxz(=|Nx-Nz|), △Nyz(=|Ny-Nz|)에 각각 보호 필름의 두께 d를 곱하여 얻어지는 위상차의 평균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birefringence ΔNxz (= | Nx-Nz |) and ΔNyz (= | Ny-Nz |) obtained by the cross s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by the thickness d of the protective film Is a parameter representing the average of the phase differences. Specifically, it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두께 방향 위상차 Rth [nm] = [(Nx + Ny)/2 - Nz] × d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nm] = [(Nx + Ny) / 2 - Nz] xd

여기서 Nx는 보호 필름의 폭 방향의 굴절률, Ny는 보호 필름의 길이 방향 굴절률, Nz는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 d는 보호 필름의 두께를 의미한다.W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7,00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클수록 후술할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Rth/Ro)가 커지기 때문에 무지개 얼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7,000 nm or more. As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is larger, the ratio (Rth / Ro) of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to the in-plane retardation (Ro) to be described later becomes larger,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iridescence.

다만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보호 필름을 두껍게 형성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박막화에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상한값을 16,0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00 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0 nm 이하로 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must be increased, resulting in increased cost and disadvantage of thinning. Therefore,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can be set to 16,000 nm or less, preferably 15,000 nm or less, more preferably 14,000 nm or les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높을수록 무지개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고,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 필름의 폭 중심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7,300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er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the more favorable is the suppression of 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t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7,300 nm or more.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필름을 90 ~ 97 중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3 ~ 10 중량%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로 형성함으로써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두께 방향 위상차(Rth)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otective film is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of 90 to 97% by weigh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to increase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

보호 필름의 Of protective film 면배향계수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ΔP)(? P)

면배향계수(ΔP)는 상기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고분자 분자쇄의 배향 상태에 관한 지표가 되는 물성치이다. 상기 보호 필름과 같이 폭 방향(TD) 및 길이 방향(MD)으로 이축 연신한 필름의 경우 면배향계수가 클수록 고분자 분자쇄가 필름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보다 수직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Delta] P is a physical property which is an index relating to the orientation state of the polymer molecular chains constituting the protective film. In the case of a film biaxially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like the protective film, the polymer molecular chain is oriented more perpendicularly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s the 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is larger.

면배향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면배향계수 ΔP [-] = (Nx + Ny)/2 - Nz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P [-] = (Nx + Ny) / 2 - Nz

여기서 Nx는 보호 필름의 폭 방향의 굴절률, Ny는 보호 필름의 길이 방향 굴절률, Nz는 보호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W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and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상기 보호 필름의 면배향계수(ΔP)는 0.176 내지 0.25, 바람직하게는 0.18 내지 0.21일 수 있다. 면배향계수가 0.176 미만이면 상기 보호 필름에 색얼룩 또는 색감 등의 광학적 왜곡이 발생될 수 있다.The planar orientation coefficient? P of the protective film may be 0.176 to 0.25, preferably 0.18 to 0.21. If the planar orientation coefficient is less than 0.176, optical distortion such as color unevenness or color may occur in the protective film.

기타 광학 물성Other optical properties

상기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Ro)와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전술한 조건을 모두 만족하고 다음과 같은 상관 관계를 갖는바,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Nz=Rth/Ro)가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일 수 있다. 면내 위상차(Ro)는 작을수록,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클수록 무지개 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므로 양 수치의 비(Rth/Ro)는 크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plane retardation Ro and the thickness retardation Rth of the protective film all satisfy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and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The ratio Nz (Nz) of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to the in- = Rth / Ro) of 25 or more, preferably 30 or more.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ratio (Rth / Ro) of both numerical values large so that it is advantageous to prevent rainbow stains from occurring as the in-plane retardation Ro is smaller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is larger.

상기 보호 필름의 헤이즈(haze, Hz)는 1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 값이 높으면 상기 보호 필름을 적용한 편광판에 대한 가열, 접착 등의 후처리 공정에 제약이 가해질 수 있다. 후처리 공정 등으로 헤이즈 값이 상승하여 시인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haze (Hz)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less than 1%. If the haze value is high,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post-processing steps such as heating and adhesion of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applied. This is because the haze value is increased by the post-treatment process and the visibility can be inhibited.

상기 보호 필름은 정전인가제, 대전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및 기타 무기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광학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s an electrostatic applying age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blocking agent and other inorganic lubricant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optical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보호 필름의 열수축율(heat shrinkage, The heat shrinkage of the protective film, HsHs ))

상기 보호 필름은 연신에 의해 열역학적으로 높은 에너지 레벨의 입체 배열 상태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 보호 필름에 열이 가해져 충분한 유동성을 얻고, 엔트로피가 커지면 분자들이 변형 및 왜곡되어 원래의 크기와 모양으로 되돌아 가려 한다. 열수축율은 그 거동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물성치이다.The protective film has a thermodynamically high stereoscopic arrangement state by stretching. However, when heat is applied to the protective film, sufficient fluidity is obtained, and as the entropy increases, the molecules are deformed and distorted to return to the original size and shape. The heat shrinkage is a property value that can evaluate the degree of the behavior.

열수축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The heat shrinkage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열수축율 Hs [%] = (초기 길이 - 열처리후 길이) / 초기 길이 × 100Heat shrinkage Hs [%] = (initial length - length after heat treatment) / initial length x 100

상기 보호 필름은 약 85℃를 기준으로 열수축율이 1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축율이 1 % 이상이면 상기 보호 필름을 적용한 편광판에 대한 후처리 공정 시 휨(curl)이나 열주름이 생길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preferably has a heat shrinkage of less than 1% based on about 85 캜. If the heat shrinkage is 1% or more, curl or heat wrinkling may occur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applied.

이하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forming a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의 준비(1) Prepar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는 쉽게 가수분해되기 때문에 압출기에 공급하기 전에 충분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Sinc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easily hydrolyzed, it may be desirable to dry it sufficiently before feeding it to an extruder.

(2) 용융 압출 및 필름 성형(2) Melt extrusion and film molding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용융 및 압출한 후, 냉각하여 시트(sheet)로 성형한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re melted and extruded and then cooled to form a sheet.

용융 압출은 융점을 Tm(℃)이라 할 때, Tm+30℃ 내지 Tm+6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져 압출물의 점도 상승을 방지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분해에 따른 해중합으로 인한 분자량 저하와 올리고머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melting point is Tm (占 폚), melt extrusion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Tm + 30 占 폚 to Tm + 60 占 폚.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preventing the increase of the viscosity of the extrudate by making the melting more smoothl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crease of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oligomer generation due to the depolymerization due to thermal decomposition.

용융 압출된 용융체는 캐스팅 공정에서 냉각고화되어 미연신 시트의 형태로 성형된다. 냉각고화는 3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에서 수행할 수 있다.The molten extruded melt is cooled and solidified in the casting process to be molded in the form of an unstretched sheet. The cooling and solidifica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30 ° C or less, more preferably at 15 to 30 ° C.

(3) 이축 연신(3) Biaxial stretching

미연신 시트를 폭 방향(TD) 및 길이 방향(MD)의 이축으로 연신하여 원하는 광학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undrawn sheet can be stretched in the biaxial direction of the width direction (TD)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o give desired optical characteristics.

상기 미연신 시트는 동시 이축연신법 또는 축차 이축연신법을 통해 이축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미연신 시트를 제1방향으로 연신한 뒤,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이축연신법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unstretched sheet can be biaxially stretched by a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method or a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metho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t may be preferable to stretch the unstretched sheet by a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method in which the sheet is stretched in a first direction and then in a second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으로 2.5 배 내지 6 배 연신하고, 폭 방향(TD)으로 2.5 배 내지 6 배 연신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by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by 2.5 to 6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2.5 to 6 times in the width direction (TD).

연신비는 상기 보호 필름의 열수축 거동, 밀도, 결정화거동, 열정거동 및 광학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MD)의 연신비에 대한 폭 방향(TD)의 연신비의 비율(TD/MD)가 0.9 내지 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 내지 1.1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stretching ratio is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heat shrinkage behavior, density, crystallization behavior, heat transfer behavior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film. Preferably, the ratio (TD / MD) of the stretching ratio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to the stretching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s 0.9 to 1.3, more preferably 1.04 to 1.1.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으로 연신하기 전 일정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이 때 예열 온도는 Tg+5 내지 Tg+5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Tg가 낮을수록 연신성이 좋아지지만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MD)의 연신 예열 온도는 90 ~ 100℃, 폭 방향(TD)의 연신 예열 온도는 120 ~ 150℃일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heat the unstretched shee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efore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n this case, the preheat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Tg + 5 to Tg + 50 DEG C, and the lower the Tg, the better the stretchability, but the breakage may occur. Specifically, the stretching preheating tempera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may be 90 to 100 占 폚, and the stretching preheating temperature in the width direction (TD) may be 120 to 150 占 폚.

(4) 열고정(4) Heat fixation

상기 보호 필름에 대한 열고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Further heat fixation to the protective film may be performed.

상기 열고정은 150℃ ~ 26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고, 또는 170℃ ~ 23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고정은 180℃ ~ 230℃ 또는 180℃ ~ 200℃의 범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열고정 온도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 내일 때,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낮추면서도 무지개 얼룩을 방지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The heat sett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60 ° C, or at a temperature of 170 ° C to 230 ° C. The heat sett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ranging from 180 ° C to 230 ° C or from 180 ° C to 200 ° C. When the heat fixing temperature is within the above preferable range,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prevent the rainbow stain while lowering the phas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상기 열고정은 약 5초 내지 1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초 내지 4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The heat setting may be performed for about 5 seconds to 1 minute, and more specifically, for about 10 seconds to 45 minutes.

열고정을 시작한 후에 상기 보호 필름은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에 대해 이완될 수 있다.After initiating the heat setting, the protective film may rela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최종적으로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가 30 ㎛ 내지 60 ㎛가 되도록 연신 및 열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투입하여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두께가 60 ㎛ 이하이더라도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높아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nally, the protective film may be stretched and heat-se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becomes 30 탆 to 60 탆.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is added to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to form the protective film.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is 60 탆 or less,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Can be prevented.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배치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the display panel and the polariz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의 일 예인 액정 표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FIG. 3 schematically shows a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hav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70) 및 백라이트유닛(80)을 포함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70 and a backlight unit 80.

상기 백라이트유닛(80)은 상기 액정 패널(70)에 광을 출사한다. 상기 액정 패널(70)은 상기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The backlight unit 80 emits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70. The liquid crystal panel 70 displays an image using light incident from the backlight unit.

상기 액정 패널(70)은 상부 편광판(10), 컬러필터 기판(71), 액정층(72), TFT 기판(73) 및 하부 편광판(10')을 포함한다.The liquid crystal panel 70 includes an upper polarizer 10, a color filter substrate 71, a liquid crystal layer 72, a TFT substrate 73, and a lower polarizer plate 10 '.

상기 TFT 기판(73)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71)은 서로 대향된다.The TFT substrate 73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71 ar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TFT 기판(73)은 각각의 픽셀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전극, 상기 전극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다수 개의 데이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TFT substrate 73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pixels, a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electrodes, a plurality of gate lines for applying driving signal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and a data signal to the electrodes through the thin film transistor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to which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re applied.

상기 컬러필터 기판(71)은 각 픽셀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는 투과되는 광을 필터링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구현하는 구성이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은 상기 전극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lor filter substrate 71 includes a plurality of color filters corresponding to each pixel. The color filter is a configuration that filters red, green, and blue light by filtering transmitted light. The color filter substrate may include a common electrode facing the electrode.

상기 액정층(72)은 상기 TFT 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TFT 기판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하부 편광판을 통하여 통과한 광의 편광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TFT 기판은 픽셀 단위로, 상기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은 픽셀 단위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지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liquid crystal layer 72 is interposed between the TFT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driven by the TFT substrate. More specifically,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driven by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The liquid crystal layer can control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ower polarizer plate. That is, the TFT substrate can control a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common electrode in pixel units. 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layer can be driven to have different optical characteristics in pixel units.

상기 상부 편광판(10)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7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편광판(10)은 상기 컬러필터 기판(71)의 상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upper polarizer 10 is disposed on the color filter substrate 71. The upper polarizer 1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lor filter substrate 71.

상기 하부 편광판(10')은 상기 TFT 기판(73)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 편광판(10')은 상기 TFT 기판(73)의 하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The lower polarizer plate 10 'is disposed below the TFT substrate 73. The lower polarizer plate 10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FT substrate 73.

상기 상부 편광판(10) 및 상기 하부 편광판(10')의 편광 방향은 서로 동일하거나, 수직할 수 있다.The polarization directions of the upper polarizer 10 and the lower polarizer 10 'may be the same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의 일 예인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FIG. 4 schematically show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which i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hav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는 전면 편광판(10) 및 유기EL 패널(90)을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 front polarizer 10 and an organic EL panel 90.

상기 전면 편광판(10)은 상기 유기EL 패널(9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전면 편광판은 상기 유기EL 패널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편광판은 앞서 설명한 편광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front polarizer 1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rganic EL panel 90. More specifically, in the organic EL panel, the front polarizer may be adhered to a surface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The front polarizer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olarizer described above.

상기 유기 EL 패널은 픽셀 단위의 자체 발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유기EL 패널은 유기 EL 기판(91) 및 구동기판(92)을 포함한다.The organic EL panel displays an image by self-emission of a pixel unit. The organic EL panel includes an organic EL substrate 91 and a driving substrate 92.

상기 유기 EL 기판(91)은 픽셀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유기 전계 발광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유닛들은 각각 음극, 전자 수송층, 발광층, 정공 수송층 및 양극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 등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The organic EL substrate 91 includes a plurality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s each corresponding to a pixel. Each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s includes a catho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light emitting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cathode and the like is omitted here.

상기 구동기판(92)은 상기 유기EL 기판(31)에 구동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구동 기판은 상기 유기EL 기판에 구동 전류 등과 같은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구동기판은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유닛들에 각각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유기EL 기판을 구동할 수 있다.
The driving substrate 92 is drivingly coupled to the organic EL substrate 31. That is, the driving substrate may be coupled to the organic EL substrate so as to apply a driving signal such as a driving current. 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substrate can drive the organic EL substrate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units,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1Example 1 내지  To 실시예3Example 3 /  /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And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수지 (SKC 제품)를 용융 압출한 뒤 캐스팅롤을 사용하여 미연신 시트의 형태로 성형하였다.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resin (SKC product) were melt-extruded in the same amounts as shown in Table 1 and molded into an unstretched sheet using a casting roll.

상기 미연신 시트를 아래의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연신 및 열고정하여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and heat set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1 below to prepare a protective film.

구분
division
PET[wt%]
PET [wt%]
PEN[wt%]
PEN [wt%]
두께[㎛]
Thickness [탆]
길이방향(MD) 연신Longitudinal (MD) stretching 폭방향(TD) 연신Width direction (TD) stretching 열고정
온도[℃]
Freeze heat
Temperature [° C]
예열온도Preheat temperature 연신비Stretching cost 예열온도Preheat temperature 연신비Stretching cost 실시예1Example 1 9797 33 4040 90 ℃90 ° C 3.2 배3.2 times 150 ℃150 ℃ 3.4 배3.4 times 190190 실시예2Example 2 9595 55 4040 94 ℃94 ° C 3.2 배3.2 times 150 ℃150 ℃ 3.4 배3.4 times 190190 실시예3Example 3 9090 1010 4040 98 ℃98 ℃ 3.2 배3.2 times 150 ℃150 ℃ 3.4 배3.4 times 200200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00100 00 4040 78 ℃78 ℃ 3.2 배3.2 times 150 ℃150 ℃ 3.4 배3.4 times 190190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00100 00 4040 78 ℃78 ℃ 3.2 배3.2 times 150 ℃150 ℃ 4.1 배4.1 times 230230

측정예Measurement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Ro),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 두께 방향 위상차(Rth), 면배향계수(ΔP), 면내 위상차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의 비(Nz)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2 및 표 3과 같다.The in-plane retardation Ro, the widthwise in-plane retardation deviation Ro, max-Ro, min,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the 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AP of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Nz) of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o the thickness direction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2 and 3 below.

면내 위상차(Ro)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in-plane retardation (Ro)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2매의 편광판을 사용하여 보호 필름의 배향축방향을 구하고, 배향축방향이 직교하도록 4 ㎝×2 ㎝의 직사각형을 잘라내어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이 샘플에 대해서 직교하는 이축의 굴절률(Nx,Ny),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Nz)을 아베굴절률계(아타고사 제조, NAR-4T, 측정파장 589 nm)에 의해 구하고, 상기 이축의 굴절률차의 절대값(|Nx-Ny|)을 굴절률의 이방성(△Nxy)으로 하였다. 보호 필름의 두께 d(㎛)는 전기 마이크로미터(파인류프사 제조, 밀리트론 1245D)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굴절률의 이방성(△Nxy)과 필름의 두께 d(㎛)의 곱(△Nxy×d)으로부터 면내 위상차(Ro)를 구하였다.Two polarizing plates were used to obtain the orientation axi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and a rectangle of 4 cm x 2 cm was cut out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orientation axis direction. The refractive index (Nx, Ny)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ample were determined by Abbe's refractive index meter (NAR-4T manufactured by Atago Corporation, measurement wavelength: 589 nm) (? Nx-Ny |) is defined as anisotropy (? Nxy) of the refractive index. The thickness d (占 퐉) of the protective film was measured using an electric micrometer (Millitron 1245D, manufactured by Pahrung Paste Co., Ltd.). The in-plane retardation Ro was obtained from the product (Nxy x d) of the anisotropy (DELTA Nxy) of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thickness d (mu m) of the film.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면내 위상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Nx, Ny, Nz와 필름 두께 d를 구하고, (△Nxz×d)와 (△Nyz×d)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구하였다.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was obtained by calculating Nx, Ny, Nz and film thickness d by calculating the average of (DELTA Nxz x d) and (DELTA Nyz x d) in the same manner as in-plane retardation.

면내 위상차(Ro)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폭 중심(0 mm), 폭 중심으로부터 -1,000 mm 지점 및 +1,000 mm 지점에서 각각 측정하였다.The in-plane retardation (Ro)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were measured at the center of width (0 mm), at -1,000 mm from the center of width and at +1000 mm, respectively.

나머지 물성치는 면내 위상차(Ro)와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값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remaining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using values of in-plane retardation Ro and thickness retardation Rth.

구분
division
면내 위상차(Ro, nm)In-plane retardation (Ro, nm) 두께 방향 위상차(Rth, nm)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Rth, nm)
-1,000mm-1,000 mm 0 mm0 mm +1,000mm+ 1,000 mm 편차Deviation -1,000mm-1,000 mm 0 mm0 mm +1,000mm + 1,000 mm 편차Deviation 실시예1Example 1 220220 119119 310310 191191 7,3267,326 7,6127,612 7,3517,351 286286 실시예2Example 2 190190 124124 265265 141141 7,6897,689 8,1248,124 7,7457,745 435435 실시예3Example 3 245245 110110 274274 164164 7,7547,754 8,2598,259 8,1238,123 50550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325325 9898 410410 312312 6,9546,954 6,8426,842 7,4507,450 608608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9871,987 2,1522,152 2,4582,458 471471 6,9546,954 6,5006,500 7,7457,745 1,2451,245

구분
division
NzNz 면배향계수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1,000mm-1,000 mm 0 mm0 mm +1,000mm+ 1,000 mm -1,000mm-1,000 mm 0 mm0 mm -1,000mm-1,000 mm 실시예1Example 1 33.333.3 63.9763.97 23.7123.71 0.1830.183 0.1900.190 0.1840.184 실시예2Example 2 40.540.5 65.5265.52 29.2229.22 0.1920.192 0.2030.203 0.1940.194 실시예3Example 3 31.631.6 75.0875.08 29.6529.65 0.1940.194 0.2060.206 0.2030.203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21.421.4 69.8269.82 18.1718.17 0.1740.174 0.1710.171 0.1860.186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3.53.5 3.023.02 3.153.15 0.1740.174 0.1630.163 0.1940.194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은 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and Table 3, it can be seen that Embodiments 1 to 3 satisfy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 면내 위상차(Ro)가 350 nm 이하- When the in-plane retardation (Ro) is 350 nm or less

-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7,000 nm 이상- When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is 7,000 nm or more

-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300 nm 이하(Ro, max-Ro, mi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300 nm or less

-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Nz)가 25 이상- When the ratio Nz of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to the in-plane retardation Ro is 25 or more

- 면배향계수(ΔP)가 0.176 내지 0.25- plane orientation coefficient (? P) of 0.176 to 0.2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보호 필름을 표시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의 외관(무지개 얼룩의 발생 유무), 자외선 투과율, 헤이즈, 열수축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The appearance (appearance of rainbow stains), ultraviolet transmittance, haze, and heat shrinkage whe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무지개 얼룩의 발생 유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occurrence of rainbow stains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시험할 보호 필름을 PVA계 편광판 2장 사이에 삽입하고, 무지개 얼룩이 발생하는지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이 때 무지개 얼룩(색얼룩)의 발생 유무를 수평시야각 0°~ 180°의 범위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2장의 편광판은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하였으며, 시험 필름은 이들 2장의 편광판 중 어느 하나의 편광축과 일치하도록 배치하였다.The protective film to be tested was inserted between two PVA polarizers and visually observed for iridescence. At this time, the occurrence or non-occurrence of rainbow irregularity (color unevenness) was evaluated in a range of horizontal viewing angles of 0 ° to 180 °. The two polarizing plates were arranged so that their polarization axes we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test film was arranged so as to coincide with the polarization axis of any one of these two polarizing plates.

헤이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Haze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보호 필름을 상부가 개방된 상자에 넣고 150℃에서 10분, 20분, 30분으로 열처리하여 올리고머를 필름의 표면으로 이동시킨 뒤, 5분간 방치하였을 때의 헤이즈 값을 JIS K 715 규격에 따라 HAZ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protective film was placed in a box with an open upper part and heat-treated at 150 ° C for 10 minutes, 20 minutes and 30 minutes to move the oligomer to the surface of the film, and after leaving for 5 minutes, the haze value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5 METER.

자외선 투과율은 300 ~ 380 nm 파장 범위에서의 평균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한 값이다.The ultraviolet transmittance i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an average ultraviolet transmittance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to 380 nm.

열수축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The heat shrinkage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보호 필름을 300mm x 300mm로 절단하고, 85℃의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열처리한 후, 하기 식에 따라 열수축율을 구하였다.The protective film was cut into 300 mm x 300 mm and heat-treated in an oven at 85 deg. C for 24 hours, and the heat shrinkage ratio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열수축율 Hs [%] = (초기 길이 - 열처리후 길이) / 초기 길이 × 100Heat shrinkage Hs [%] = (initial length - length after heat treatment) / initial length x 100

구분
division
무지개 얼룩 발생 유무Whether rainbow stains occur 자외선
투과율 [%]
UV-rays
Transmittance [%]
헤이즈
[%]
Hayes
[%]
열수축율
[%]
Heat shrinkage
[%]
-90°-90 ° 0 ° +90°+ 90 ° 실시예1Example 1 ×× ×× ×× 1818 0.70.7 0.60.6 실시예2Example 2 ×× ×× ×× 1313 0.540.54 0.50.5 실시예3Example 3 ×× ×× ×× 1111 0.650.65 0.750.7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 6767 0.80.8 0.60.6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6868 0.80.8 0.340.34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보호 필름은 수평시야각 0°~ 180°의 범위에서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자외선 투과율이 20 % 미만이며, 헤이즈가 1 % 미만이고, 열수축율 역시 1 % 미만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경우 무지개 얼룩이 관찰되었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떨어졌다.Referring to Table 4, the protective films of Examples 1 to 3 exhibited no iridescence (color unevenness) at a horizontal viewing angle of 0 ° to 180 °, no ultraviolet light transmittance of less than 20%, a haze of 1 %, And the heat shrinkage is also less than 1%.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rainbow stains were observed and the ultraviolet blocking effect was very poor.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us, it can be seen that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effects.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가 작고 두께 방향 위상차가 커 무지개 얼룩(색얼룩)이 생기지 않으므로 시인성이 좋다. 또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포함하여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두께 방향 위상차를 높일 수 있다.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good visibility because the deviation in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small and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large and rainbow stains (color unevenness) do not occur. Al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out forming thick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또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은 그 자체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self is excellent in ultraviolet ray shielding effect.

또한 헤이즈가 적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으며, 열수축율이 낮아 후처리 공정 등의 작업성을 해하지 않는다.
Also, since the haze is small, the visibility is good and the heat shrinkage is low, so that the workability such as the post-treatment process is not deteriorat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편광판 11 : 편광자 12 : 편광자 보호 필름
13 : 프라이머층
10: Polarizer 11: Polarizer 12: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Primer layer

Claims (1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te, PET) 90~97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3~10중량%를 포함하고,
면내 위상차(Ro)가 350 nm 이하이며,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7,000 nm 이상이고,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300 nm 이하이며,
면배향계수(ΔP)가 0.176 내지 0.25인 편광자 보호 필름.
90 to 97%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And 3 to 10%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 in-plane retardation Ro of 350 nm or less,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7,000 nm or more,
(Ro, max-Ro, mi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300 nm or less,
And a planar orientation coefficient? P of 0.176 to 0.25.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면내 위상차(Ro)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비(Nz=Rth/Ro)가 25 이상인 편광자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Nz = Rth / Ro) of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to the in-plane retardation (Ro) is 25 or mo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헤이즈(Hz)가 1 % 미만인 편광자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 haze (Hz) of less than 1%.
제 1 항에 있어서,
열수축율(Hs)이 1 % 미만인 편광자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 heat shrinkage (Hs) of less than 1%.
제 1 항에 있어서,
300 ~ 380 nm 파장 범위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20 % 미만인 편광자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of less than 20%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to 380 nm.
제 8 항에 있어서,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 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 페놀,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1,4-페닐렌) 비스(4H-3,1-벤즈옥시지논-4-온), 2-메틸-3,1-벤조옥사진-4-온, 2-부틸-3,1-벤조옥사진-4-온 및 2-페닐-3,1-벤조옥사진-4-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하여,
380 nm 파장에서의 자외선 투과율이 5 % 미만인 편광자 보호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Benzotriazole, 2- [2'-hydroxy-5 '- (methacryloyloxyethyl) phenyl] -2H- ] -2H-benzotriazole, 2- [2'-hydroxy-5 '- (methacryloyloxypropyl) phenyl] -2H-benzotriazole, 2,2'- dihydroxy- -Dimetoxybenzophenone, 2,2 ', 4,4'-tetrahydroxybenzophenone, 2,4-di-tert-butyl-6- (5-chlorobenzotriazol- (2H) -benzotriazol-2-yl) -4-methyl-benzothiazol-2- 2, 3-tetramethylbutyl) -6- (2H-benzotriazol-2-yl) phenol, 2,2'-methylenebis (4- (1,1,3,3- 2 '- (1,4-phenylene) bis (4H-3,1-benzoxyzinon-4-one) Benzoxazine-4-one and 2-phenyl-3,1-benzoxazine-4-one,
A polarizer protective film having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of less than 5% at a wavelength of 380 nm.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시야각 0°~180°에서 색얼룩의 발생을 방지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olarizer protective film that prevents color unevenness at a horizontal viewing angle of 0 ° to 180 °.
제 1 항에 있어서,
두께가 30 ㎛ 내지 60 ㎛인 편광자 보호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is 30 占 퐉 to 60 占 퐉.
삭제delete 삭제delete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면에 인접하는 제 1 항, 제 4 항 및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Polarizer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6 to 11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larizer,
And a primer layer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 중 적어도 한면에 배치되는 제 14 항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Th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4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one or both sides of the display pane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90 ~ 97 중량%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3 ~ 10 중량%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 및 폭 방향(TD)으로 이축 연신하는 단계; 및
이축 연신된 시트를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면내 위상차(Ro)가 350 nm 이하이며,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7,000 nm 이상이고,
폭 방향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Ro,max-Ro,min)가 300 nm 이하이며,
면배향계수(ΔP)가 0.176 내지 0.25인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Extruding 90 to 97% by weight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3 to 10% by weight of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to form an unstretched sheet;
Biaxially stretching the unstretched she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And
And opening and fixing the biaxially stretched sheet.
An in-plane retardation Ro of 350 nm or less,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7,000 nm or more,
(Ro, max-Ro, min) of the in-plane retardation in the width direction is 300 nm or less,
And a planar orientation coefficient (? P) of 0.176 to 0.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MD)의 연신비가 2.5 배 내지 6 배, 폭 방향(TD)의 연신비가 2.5 배 내지 6 배가 되도록 이축 연신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unstretched sheet is biaxially stretched such that the stretching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is 2.5 to 6 times and the stretching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TD) is 2.5 to 6 times.
제 16 항에 있어서,
이축 연신된 시트를 180℃ 내지 230℃에서 열고정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iaxially stretched sheet is heat-set at 180 ° C to 230 ° C.
KR1020160078017A 2016-05-31 2016-06-22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730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17A KR101730856B1 (en) 2016-06-22 2016-06-22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TW106117588A TWI649591B (en) 2016-05-31 2017-05-26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member,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8562506A JP6914968B2 (en) 2016-05-31 2017-05-29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s, polarizing plates containing it, and indications provided using them.
CN201780032708.7A CN109196392B (en) 2016-05-31 2017-05-29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7/005599 WO2017209473A1 (en) 2016-05-31 2017-05-29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display provided with same
US16/305,797 US11008430B2 (en) 2016-05-31 2017-05-29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display provided with same
JP2021001304A JP7397813B2 (en) 2016-05-31 2021-01-07 Protective films for polarizers, polarizing plates containing the same, and displays provided u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17A KR101730856B1 (en) 2016-06-22 2016-06-22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856B1 true KR101730856B1 (en) 2017-04-27

Family

ID=5870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17A KR101730856B1 (en) 2016-05-31 2016-06-22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8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152A1 (en) * 2019-11-06 2021-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ation plate comprising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US11899231B2 (en) 2020-04-02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70A (en) * 2005-03-22 2006-11-02 Fuji Photo Film Co Ltd Transparen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film, optical compensat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252129A (en) * 2010-06-04 2011-12-15 Toyobo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curable resin
JP2015102655A (en) * 2013-11-25 2015-06-04 東洋紡株式会社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1570A (en) * 2005-03-22 2006-11-02 Fuji Photo Film Co Ltd Transparen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film, optical compensat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252129A (en) * 2010-06-04 2011-12-15 Toyobo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laminating curable resin
JP2015102655A (en) * 2013-11-25 2015-06-04 東洋紡株式会社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152A1 (en) * 2019-11-06 2021-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ation plate comprising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10054839A (en) * 2019-11-06 2021-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N114402234A (en) * 2019-11-06 2022-04-26 三星Sdi株式会社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14152B1 (en) * 2019-11-06 2023-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11899231B2 (en) 2020-04-02 2024-0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window member and electronic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7813B2 (en) Protective films for polarizers, polarizing plates containing the same, and displays provided using them
KR101694257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694258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913730B1 (en) A polyester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and polarizer using it
KR2015004179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s, and polarizer protection film
KR101665163B1 (en)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protective film applied to the same
KR20150114860A (en) A polyester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and polarizer using it
KR20150138680A (en)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protective film applied to the same
WO2015170872A1 (en)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comprising same
KR101730854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2253510B1 (en) A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and polarizer using it
KR101730856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825983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695915B1 (e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70122979A (en) Polarizer plate and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polarizer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730855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717642B1 (e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2088921B1 (en) Optical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same
KR102092890B1 (en) Optical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same
KR102291819B1 (en) A polyester protective film for polarizer and polarizer using it
KR102100354B1 (en) Optical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same
KR102240879B1 (en) Optical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optical component comprising same
KR101802869B1 (en)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with the polarizing plate
KR101762312B1 (e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695928B1 (e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