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041B1 - Chair arm - Google Patents

Chair 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041B1
KR101729041B1 KR1020170004909A KR20170004909A KR101729041B1 KR 101729041 B1 KR101729041 B1 KR 101729041B1 KR 1020170004909 A KR1020170004909 A KR 1020170004909A KR 20170004909 A KR20170004909 A KR 20170004909A KR 101729041 B1 KR101729041 B1 KR 10172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rmrest
height adjusting
sha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17000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0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47C1/03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by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detachab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mrest for a chair comprises: an arm support part allowing a users arm to be placed thereon;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 support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inside; and a second support part formed to allow inser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The arm support part comprises: an armrest pad;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rest pad; a frontward and backward movement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armrest pad and the coupling plate and moved in a front/rear direction; a frontward/backward movement module placed on the frontward and backward movement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The frontward/rearward movement module comprises: a center par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through a screw and made of metal; a front end part positioned on a front side of the center part, having a triangular shape, having one corner facing the center part, and made of metal; a rear end part positioned on a rear side of the center part, having a triangular shape, having one corner facing the center part, and made of metal; and connection parts interposed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front end part and between the center part and the rear end part, respectively, and made of elastic material.

Description

의자용 팔걸이 {CHAIR ARM}Armrests for chairs {CHAIR ARM}

본 발명은 의자용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팔걸이의 높이 조절 및 패드의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의자용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rest for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mrest for a chair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mrest and moving the pad forward and backward and facilitating assembly and disassembly.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좌판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좌판과 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및 등받이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주는 머리받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의자의 등받이에는 쿠션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쿠션으로 통풍이 용이한 메쉬 재질의 쿠션이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트를 이용하는 의자가 제조되고 있다.Generally, the chair includes a seat, a leg for supporting the seat,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a cylind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and a seat for supporting the user ' It consists of a headrest. 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a cushion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chair. Recently, a cushion of a mesh material, which is easily ventilated by a cushion, is used to manufacture a chair using a seat that provides great convenience to the user.

이러한 의자는 팔걸이의 위치 조절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사람마다 몸의 크기가 다르고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팔걸이의 위치가 조절되어야 사용자가 의자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se chair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rmrests. Since the size of the body is different and the body shap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the position of the armrest is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hair comfortably.

'특허문헌 1'에는 의자용 팔걸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용 팔걸이는 의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 상향 돌출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상부에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되는 외통과,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상기 외통 상부에서 전후로 다단 슬라이드 운동하고 회전수단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다단 평면 회전하는 팔받침부로 구성되어 팔걸이의 상/하 조절이 가능해 진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rmrest for a chair. The chair armrest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a chair, a bending part bent upward at one side of the fixing part, a support main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bending part, And an arm portion which is multi-stepwise slidab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by the sliding means and rotated in a multi-step planar manner about the axis by the rotating means, so that the armrests can be adjusted up and down.

또한 '특허문헌 1'의 의자용 팔걸이는 슬라이딩 부재의 요입홈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회전체는 회전 동작은 물론 고정체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판이 전/후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이러한 구조는 슬라이드판이 반복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그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hair armrest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concave groove of the sliding member. The rotating body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as well as to the rotating body so that the sliding plate slides forward / backward do. However, this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slide plate remarkably decreases when the slide plate is repeatedly moved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KR 20-0447375 Y1 (2010. 01. 12.)KR 20-0447375 Y1 (2010.12.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팔걸이의 전/후 이동 및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의자용 팔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mrest which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adjust a height of an armrest, Armrest for a chair.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realizing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받침부; 상기 팔받침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받침부는 팔걸이 패드; 상기 팔걸이 패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팔걸이 패드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전후 이동 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는 전/후 이동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이동 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와 나사 결합되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앞쪽에 위치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되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중심부를 바라보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전단부; 상기 중심부의 뒤쪽에 위치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모서리가 중심부를 바라보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단부; 및 상기 중심부와 전단부 사이, 상기 중심부와 후단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rmrest portion on which a user's arm is seated; A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to insert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rein, wherein the arm support portion comprises: an armrest pad; An engaging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rest pad; Backward mov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armrest pads and the engaging plate and moving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And a front / rear moving module mounted on the back and forth moving plate and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front / rear moving module is screwed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formed of a metal; A front end positioned at a front side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having one corner formed by a metal facing the center portion; A rear en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having one corner facing the center and being formed of metal;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and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상기 연결부의 전단 및 후단이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의 모서리 중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모서리가 상기 연결부의 전단 및 후단의 곡선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curved line, and the edge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which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curv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Groove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중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중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부의 전단 및 후단의 곡선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rv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상기 전후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양단에 결합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 which i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rear moving plate and provides elasticity in a left / right direction; And a pressing piec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pring.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소정 높이를 갖는 높이조절 케이스;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모듈과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height adjusting cas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coupling piec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and screwed to the height adjusting case and the back and forth moving module;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상기 결합편의 상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진후 이동 모듈과 나사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가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ir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screwed to the advanced movement modu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 양 측면에 결합되되, 높이조절 케이스의 측면 모양을 따라 절곡되는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hair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ver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the auxiliary cover being bent along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내부 공간을 갖는 사각통 형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되 'ㄴ'형태로 절곡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가 상기 지지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플레이트가 상기 좌판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tube having an inner space; A connecting piec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bent in an 'a' shape; And a coupling plate fit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case can be fitted to the supporting frame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cover is engaged. And the coupling plate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at.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팔걸이의 전/후 이동 및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그 구조적 특징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The chair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the armrest forward / backward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rmrest, and particularly has an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Further, the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by its structural feature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팔받침부의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의 사시도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 좌우 조절부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 좌우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n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enlarged views of an arm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armrest left and right adjusting por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mrest left and right adjus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to them.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a term used for appropriately expres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받침부(100); 팔받침부(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제1 지지부(200); 및 제1 지지부(200)의 하단으로 연통 결합되는 제2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chair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an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mrest 100 on which a user's arm is seated; A first support portion 20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100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second support part 30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200 in a communicative manner.

이때 팔받침부(100)는 팔걸이 패드(110); 팔걸이 패드(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120); 팔걸이 패드(110) 및 결합 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이동 플레이트(130); 및 전후 이동 플레이트(130)에 안착되며 제1 지지부(200)와 결합되는 전/후 이동 모듈(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mrest 100 includes an armrest pad 110; An engaging plate 1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rest pad 110; A back and forth moving plate 130 interposed between the armrest pads 110 and the engaging plate 120 and moving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And a front / rear moving module (140) which is seated on the back and forth moving plate (130)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supporting part (200).

이때 전/후 이동 모듈(140)은 제1 지지부(200)와 나사 결합되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중심부(141); 중심부(141)의 앞쪽에 위치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되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중심부를 바라보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전단부(142); 중심부(141)의 뒤쪽에 위치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모서리가 중심부를 바라보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단부(143); 및 중심부(141)와 전단부(142) 사이, 중심부(141)와 후단부(143)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 / post movement module 140 includes a center portion 141 screwed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200 and formed of metal; A front end portion 142 positioned in front of the central portion 141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having one edge facing the central portion and formed of metal; A rear end portion 143 located at the rear of the central portion 141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having one corner facing the center and being formed of metal; And a connecting portion 144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41 and the front end portion 142 an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41 and the rear end portion 143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팔걸이의 전/후 이동 및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종래에 비해 팔걸이의 내구성이 향상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armrest forward / backward and adjust the up / down height, and particularly, the durability of the armrest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144)의 전단 및 후단이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전단부(142) 및 후단부(143)의 모서리 중 연결부(144)와 접촉되는 모서리가 연결부(144)의 전단 및 후단의 곡선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부(141)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141) 중 연결부(144)와 접촉되는 부분이 연결부(144)의 전단 및 후단의 곡선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심부(141)에서 전단부(142) 또는 후단부(143)로 가해지는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전/후 이동 모듈(14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44 are formed to have a curved line, and the edge of the front end portion 142 and the rear end portion 14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44, A groove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rve of FIG. The center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a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14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4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rv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44.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front end portion 142 or the rear end portion 143 at the center portion 141 can be efficiently disper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pre / post movement module 140 can be further improved .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전후 이동 플레이트(130)의 하단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31); 및 스프링(131) 양단에 결합되는 가압편(1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31) 및 가압편(132)의 구성에 의해 팔받침부(100)의 전/후 이동 시 이동 거리를 제한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The chair arm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 131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and forth moving plate 130 and providing elasticity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And a pushing piece 132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pring 131. The spring 131 and the pressing piece 132 can restric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arm portion 100 when the arm portion 10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제1 지지부(2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높이조절 케이스(210); 높이조절 케이스(210)의 상단에 위치하며 높이조절 케이스(210) 및 전후 이동 모듈(140)과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220); 및 높이조절 케이스(2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support part 200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case 210 having a space therein; An engagement piece 220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case 210 and screwed to the height adjustment case 210 and the back and forth movement module 140;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230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210.

이때 결합편(220)의 상면에 결합돌기(221)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돌기(221)가 전후 이동 모듈(140)과 나사 결합되되, 결합돌기(221)가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coupling protrusion 221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2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1 is screwed to the back and forth moving module 14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21 is formed in a cross shape.

또한 제1 지지부(200)는 높이조절 케이스(210)의 양 측면에 결합되되, 높이조절 케이스(210)의 측면 모양을 따라 절곡되는 보조커버(2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ver 211 tha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ment case 210 and that is bent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ment case 210.

제2 지지부(3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사각통 형태의 지지대(310); 지지대(310)의 하단에 결합되되 'ㄴ'형태로 절곡되는 연결편(320); 및 연결편(32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좌판 결합편(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 케이스(210)에 보조커버(211)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높이조절 케이스(210)가 지지대(3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적 특징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The second support part 300 includes a support 3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rrel having a space therein; A connecting piece 3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able 310 and bent in an 'a' shape; And a seat plate engaging piece 330 which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320. 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ment case 210 may be fitted to the support 310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cover 211 is fitted to the height adjustment cas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each component.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팔걸이는 필요에 따라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n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mrest fo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rmrest left and right adjusting unit 400 as needed.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구성요소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0)의 하부가 의자 좌판의 하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에 대해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6,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31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hair seat, as shown in FIG. 6, have. The left and right armrest adjusting portion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 좌우 조절부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 좌우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left and right armrest adjusting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left and right armrest adjusting parts 400 Let's look at the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는 지지대(310)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정 길이를 갖는 파지레버(410); 지지대(310)와 파지레버(410)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 유닛(420); 및 파지레버(410), 가이드 유닛(420) 및 장홀(31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310) 하단에 형성되는 장홀(3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가이드홈(312)의 너비와 가이드 유닛의 너비(420)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 유닛(420)이 가이드홈(312)에 안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슬라이딩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The armrest left and right adjusting unit 400 includes a grip lever 410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table 3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guide unit 420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table 310 and the grip lever 410; And a coupling member 430 coupled through the grip lever 410, the guide unit 420 and the elongated hole 311. [ At this time, a guide groove 31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hole 311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310, and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312 and the width 420 of the guide unit may be the same. Thus, the guide unit 42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312 and can perform a sliding operation in a stable state.

파지레버(410)는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쉽도록 그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레버(410)는 일측이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가이드 유닛(420)의 하단이 파지레버(410)의 일측의 곡선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파지레버(410)의 일측이 곡선을 갖되 뾰족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 유닛(420)의 하단이 파지레버(410)의 곡선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의해 가이드 유닛(420)이 파지레버(410)의 일측 상단에 끼워지는 형태로 안착되었을 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grip lever 4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s shown in FIGS. 7 to 10, and may be formed in such a shape as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grip lever 410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at one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unit 4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one side of the grip lever 410. In particular, one side of the grip lever 410 may have a curved shape and have a pointed shape.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guide unit 4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grip lever 410.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guide unit 420 is seated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grip lever 410, a s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이러한 파지레버(410)는 사용자가 파지레버(410)를 회전시킴으로써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의 고정 또는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사용자가 파지레버(410)를 회전시켰을 때} 결합부재(430)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질 수 있는데, 이렇게 결합부재(430)의 결합상태가 느슨해짐으로써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가 해제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팔걸이(30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다시 파지레버(410)를 원래대로 복귀시키면 팔걸이 좌우 조절부(400)가 다시 고정된다.The grip lever 410 can perform a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armrest left and right adjusting unit 400 by rotating the gripping lever 410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rotates the grip lever 410 by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the engagement state of the engagement member 430 may be loosened. As a result, the engagement state of the engagement member 430 is loosened, The left and right adjusting portion 400 can be released, and in this state, the armrest 300 can be slid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user returns the grip lever 410 to the original position again, the armrest left / right adjusting portion 400 is fixed again.

가이드 유닛(420)에는 결합부재(430)가 관통하도록 가이드 유닛 관통홀(421)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유닛 관통홀(421)의 원주를 따라 지지리브(4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유닛 관통홀(421)은 위와 같이 결합상태가 느슨해질 때, 결합부재(43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가이드 유닛 관통홀(421)이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유닛 관통홀(421)에 의해 가이드 유닛 관통홀(421)의 공간 내에서 결합부재(430)가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고, 이때 지지리브(422)가 결합부재(43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해 줄 수 있다.The guide unit 420 may have a guide unit through hole 421 through which the coupling member 430 passes and a support rib 42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unit through hole 42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unit through-hole 421 has a spac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430 can move when the coupling state is loosened as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guide unit through- As shown in FIG. Through the guide unit through hole 421, the engaging member 430 can move to some extent within the space of the guide unit through hole 421, and at this time, the supporting rib 422 can more stably support the engaging member 430 You can do it.

또한 가이드 유닛(420)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리브(423)가 형성될 수 있고, 파지레버(410)의 일측의 외부면은 가이드리브(423)에 대응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 유닛(420)은 파지레버(410)의 상단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Guide ribs 423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unit 4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outer surface of the grip lever 410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guide ribs 423. With this configuration, the guide unit 420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grip lever 410.

또한 파지레버(410)에는 제1 및 제2 파지레버 관통홀(411, 4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파지레버(410)의 하단에는 결합부재(43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파지레버 관통홀(411)이 형성될 수 있고, 파지레버(410)의 측면에는 보조회전 유닛(440)이 끼움 결합되도록 제2 파지레버 관통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lever through holes 411 and 412 may be formed in the grip lever 410. The gripping lever 4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gripping lever through hole Hole 411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pping lever 410 and a second gripping lever through hole 412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pping lever 410 so that the auxiliary rotation unit 440 is fitted and engaged.

보조회전 유닛(44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재(430)가 관통하도록 보조회전 유닛 관통홀(441)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유닛(420)의 지지리브(422)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 공간(442)이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rotation unit 4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auxiliary rotation unit through holes 441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coupling member 430, and guide units 420 The inner space 442 may be formed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upport ribs 422 of the support ribs 422 can be located.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팔받침부 110: 팔걸이 패드
120: 결합 플레이트 130: 전후 이동 플레이트
140: 전후 이동 모듈 141: 중심부
142: 전단부 143: 후단부
144: 연결부 200: 제1 지지부
210: 높이조절 케이스 220: 결합편
221: 결합돌기 230: 조절버튼
300: 제2 지지부 310: 지지대
400: 팔걸이 좌우 조절부 410: 파지레버
411: 제1 파지레버 관통홀 412: 제2 파지레버 관통홀
420: 가이드 유닛 421: 가이드 유닛 관통홀
422: 지지리브 423: 가이드리브
430: 결합부재 440: 보조회전 유닛
441: 보조회전 유닛 관통홀 442: 내부 공간
100: armrest 110: armrest pad
120: engaging plate 130: back and forth moving plate
140: forward / backward movement module 141: center
142: front end portion 143: rear end portion
144: connection part 200: first support part
210: height adjustment case 220:
221: engaging projection 230: adjusting button
300: second support part 310: support part
400: armrest left and right adjusting part 410: grip lever
411: first grip lever through hole 412: second grip lever through hole
420: guide unit 421: guide unit through hole
422: Support ribs 423: Guide ribs
430: coupling member 440: auxiliary rotation unit
441: auxiliary rotating unit through hole 442: inner space

Claims (9)

의자의 좌판에 결합되는 의자용 팔걸이에 있어서,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받침부; 상기 팔받침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받침부는
팔걸이 패드;
상기 팔걸이 패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
상기 팔걸이 패드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전후 이동 플레이트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는 전/후 이동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이동 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와 나사 결합되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의 앞쪽에 위치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되 하나의 모서리가 상기 중심부를 바라보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전단부;
상기 중심부의 뒤쪽에 위치하고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모서리가 중심부를 바라보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단부; 및
상기 중심부와 전단부 사이, 상기 중심부와 후단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An armrest for a chair coupled to a seat of a chair,
An arm portion on which a user's arm is seated; A first support portion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arm-
Armrest pads;
An engaging plat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armrest pad;
Backward mov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armrest pads and the engaging plate and moving in a forward / backward direction; And
And a front / rear moving module mounted on the back and forth moving plate and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The pre / post movement module
A center portion screwed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formed of a metal;
A front end positioned at a front side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having one corner formed by a metal facing the center portion;
A rear en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center portion and having a triangular shape and having one corner facing the center and being formed of metal;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front end portion an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전단 및 후단이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의 모서리 중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모서리가 상기 연결부의 전단 및 후단의 곡선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re formed to have a curved line,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corner of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urve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 중 상기 연결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연결부의 전단 및 후단의 곡선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rein a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of a curv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위치하며 좌/우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양단에 결합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ring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back and forth moving plate and providing elasticity in a left / right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pressing piec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소정 높이를 갖는 높이조절 케이스;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 및 상기 전후 이동 모듈과 나사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portion
A height adjusting cas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coupling piec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and screwed to the height adjusting case and the back and forth moving module; And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의 상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전후 이동 모듈과 나사 결합되되,
상기 결합돌기가 십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6. The method of claim 5,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iece,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screwed to the back and forth moving modul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cross 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 양 측면에 결합되되, 높이조절 케이스의 측면 모양을 따라 절곡되는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n auxiliary cover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the auxiliary cover being bent along a side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ca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내부 공간을 갖는 사각통 형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되 'ㄴ'형태로 절곡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좌판 결합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 케이스가 상기 지지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upport portion
A support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arrel having an internal space;
A connecting piec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bent in an 'a'shape;
And a seat plate engaging piece fitt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And the height adjusting case is fitted to the supporting base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cover is engag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결합편이 상기 좌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팔걸이.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eat plate engaging piece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seat plate.
KR1020170004909A 2017-01-12 2017-01-12 Chair arm KR101729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909A KR101729041B1 (en) 2017-01-12 2017-01-12 Chair 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909A KR101729041B1 (en) 2017-01-12 2017-01-12 Chair 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041B1 true KR101729041B1 (en) 2017-04-21

Family

ID=5870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909A KR101729041B1 (en) 2017-01-12 2017-01-12 Chair 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0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14A (en) * 2017-11-20 2019-05-29 (주) 파트라 A chair armrest with improved convenience and armchair having the same
KR102356354B1 (en) * 2021-07-28 2022-02-0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rmrest for chai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75Y1 (en) 2009-04-03 2010-01-21 주식회사 대하정공 An arm rest for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75Y1 (en) 2009-04-03 2010-01-21 주식회사 대하정공 An arm rest for chai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514A (en) * 2017-11-20 2019-05-29 (주) 파트라 A chair armrest with improved convenience and armchair having the same
KR102019090B1 (en) * 2017-11-20 2019-11-04 (주) 파트라 A chair armrest with improved convenience and armchair having the same
KR102356354B1 (en) * 2021-07-28 2022-02-0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rmrest for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287B2 (en) Seat device for a chair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KR101426546B1 (en) Tilting chair
KR101608737B1 (en) Lumbar vertebrae supporting apparatus and chair having the apparatus
KR101355473B1 (en) A chair
KR101378400B1 (en) Adjusting apparatus for chair arm rest
US20120091774A1 (en) Chair with tiltable back
KR101729041B1 (en) Chair arm
US7264312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KR101538342B1 (en) The chair
KR101482738B1 (en) The slid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chair
KR102141589B1 (en) Rotation apparatus for back-rest of chair
KR100972233B1 (en) Frame chair
KR101873721B1 (en) Head-rest for chair
JP5358821B2 (en) Chair
KR101711928B1 (en) Chair arm
KR101733981B1 (en) Chair with adjustable headrest
KR102292332B1 (en) Chair with a backrest with forward function
KR101670655B1 (en) Back of chair
KR101883622B1 (en) Chair with hanger function
KR101753786B1 (en) Chair with adjustable chair arm
KR101461809B1 (en) A chair
JP2011092475A (en) Rocking chair
KR200428384Y1 (en) Frame chair
JP2020058761A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