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052B1 -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052B1
KR101728052B1 KR1020150174086A KR20150174086A KR101728052B1 KR 101728052 B1 KR101728052 B1 KR 101728052B1 KR 1020150174086 A KR1020150174086 A KR 1020150174086A KR 20150174086 A KR20150174086 A KR 20150174086A KR 101728052 B1 KR101728052 B1 KR 10172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ehavior
operation signal
wearable device
contro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철
Original Assignee
(주)그린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콤 filed Critical (주)그린콤
Priority to KR102015017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052B1/ko
Priority to US16/060,639 priority patent/US20180367329A1/en
Priority to JP2018529993A priority patent/JP2019506028A/ja
Priority to PCT/KR2016/014342 priority patent/WO20170994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04L12/2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행동인지를 이용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따라 제어할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AP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IOT SYSTEM RECOGNIZING ACTION OF USER AND CONTROLLING THINGS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예를 들어, 송신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를 사용하는 상호 접속된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가 아닌 일상 사물이, IoT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애드-혹 시스템 또는 인터넷)를 통해 판독가능, 인식가능, 위치결정가능, 어드레싱가능 및 제어가능하다는 아이디어에 기초하고 있다. 즉 사물인터넷(IoT)은 존재하는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다.
종래에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이동단말 또는 개인컴퓨터(PC)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보일러 온도를 제어하거나, 가스밸브를 잠그거나 또는 세탁기의 완료시간을 설정하거나, 전기밥솥의 전원을 켜는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수반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활성화할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들의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행동 데이터를 결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행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IoT 시스템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결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IoT 시스템은, 복수의 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단말; 및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IoT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결정하는 분석부; 및 상기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가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IoT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물인터넷 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서버(1), 사용자 단말(2),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3) 및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4)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4)는 AP(3)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에어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IEEE 802.11과 같은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준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IoT 디바이스(4)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AP(3)와 통신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의 IoT 디바이스(4)는 유선 또는 무선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통해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IoT 디바이스(4)는 에어컨(41),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 냉장고(43), 전기밥솥(44) 및 TV(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그 외의 댁내의 다양한 사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은 복수의 라우팅 에이전트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은 이질적인 디바이스/네트워크간 통신하기 위한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예를 들어, 송신제어 프로토콜(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IP))를 사용하는 상호접속된 컴퓨터 및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는 데이터가 포맷팅, 어드레싱, 송신, 라우팅 및 목적지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방법을 특정하는 엔드 대 엔드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사용자의 댁내에 유선단말(21), 이동단말(22) 및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단말(21)의 일예로서 데스크탑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PC)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선단말(21)은 사용자 단말(2)로서 포함되어 있지만, IoT 디바이스(4)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단말(22)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가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시계와 같은 형식으로서 손목에 착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소정 센서와 통신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동단말(2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3)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가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와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단말(22)과 통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P(3)는 예를 들어, 광통신 시스템 모뎀,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AP(3)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예를 들어 TCP/IP)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4) 및 인터넷과 통신할 수도 있다.
IoT 서버(1)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IoT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일러의 온도조절기(42)를 제어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동단말(22)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도를 조절하면, IoT 서버(1)에 이동단말(22)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다. IoT 서버(1)가 이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로 전송하면,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온도조절기(42)가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형식으로 동작한다. 또는 이동단말(22)이 아닌 유선단말(21)에 의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하기 위해,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3)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IoT 서버(1)가 해당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에 전송하고,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IoT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3)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의 개입 없이, 사용자의 행동에 의해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23)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인지하여,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소정 행동 데이터를 IoT 서버(1)에 전송하면, 해당 행동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IoT 서버(1)가 인터넷을 통해 AP(3)에 전송하고, AP(3)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23)에 의해 인지된 행동 데이터는 직접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에 전송될 수도 있고,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침에 기상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의 행동과 관련한 데이터를 IoT 서버(1)로 전송하고, IoT 서버(1)는 사용자가 기상하였음을 인지하여 전기밥솥(44)의 전원을 온으로 하거나, 에어컨(41)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센서부(231), 분석부(232) 및 통신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1)는 사용자가 동작중인 팔(손목에 찬 경우)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서, 센서부(231)는, 팔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231a), 팔의 회전관성을 감지하여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231b),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센서(23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는 직선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 또는 가해진 충격의 세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231b)는 단위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속도를 검출하여 신체의 회전 동작,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와 자이로 센서(231b)는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구분하기 위해서 x, y, z축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6축 센서(3축의 가속도 센서 및 3축의 자이로 센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사용자 신체(팔)의 회전, 방향, 가속도의 데이터와 맥박수는 분석부(232)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센서부(231)가 현재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동작을 측정한 데이터를 '동작신호'라 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동작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232)는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232)는, 사용자가 수면상태에서 움직임이 인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의 패턴은 저장부(234)에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233)는 분석부(232)가 판단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신한 IoT 서버(1)는, 해당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로 전송할 수 있으며, AP(3)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는,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IoT 서버(1)는 밥솥(44)과 에어컨(4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밥솥(44)과 에어컨(41)이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각각 온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책상에 앉아서 근무한 후 퇴근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이동하는 경우, 분석부(232)는 이러한 동작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석부(232)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이 '퇴근'인 것을 수신한 IoT 서버(1)는 집안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42)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에 의해, 분석부(232)가 사용자가 퇴근시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평온하게 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뛰는 등의 경우, 분석부(232)는 해당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분석부(232)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수신한 IoT 서버(1)는 유선단말(21)을 통해(이 경우, 유선단말(21)는 IoT 디바이스(4)에 해당함) 근처 경찰서에 연락하도록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유선단말(21)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근처 경찰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행동을 인지하여,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IoT 서버(1)에 전송하고, 이러한 동작신호를 수신한 IoT 서버(1)가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3)는 센서부(231)와 통신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1)는 사용자가 동작중인 팔(손목에 찬 경우)의 가속도, 각속도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서, 센서부(231)는, 팔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231a), 팔의 회전관성을 감지하여 위치와 방향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231b), 및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맥박센서(231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는 직선운동에 대한 속도의 증감비 또는 가해진 충격의 세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자이로 센서(231b)는 단위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속도를 검출하여 신체의 회전 동작,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31a)와 자이로 센서(231b)는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구분하기 위해서 x, y, z축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6축 센서(3축의 가속도 센서 및 3축의 자이로 센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센서부(231)에서 측정된 사용자 신체(팔)의 회전, 방향, 가속도의 데이터와 맥박수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는 통신부(233)가 인터넷을 통해 IoT 서버(1)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신호를 수신한 IoT 서버(1)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 행동에 대응하여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AP(3)로 전송할 수 있으며, AP(3)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IoT 디바이스(4) 중 어느 하나는,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IoT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IoT 서버(1)는,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행동을 판단하는 분석부(12)와,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패턴 및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4)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 및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예를 다시 들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가 통신부(11)를 통해 수신되면, 분석부(12)는 해당 동작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고, 분석부(12)는 밥솥(44)과 에어컨(4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밥솥(44)과 에어컨(41)이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각각 온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분석부(12)는해당 동작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책상에 앉아서 근무한 후 퇴근을 위해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이동하는 경우, 분석부(12)는 이러한 동작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퇴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집안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에 전송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42)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예를 들어, 센서부(231)가 인지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분석부(12)는 사용자가 퇴근시 위험한 상황에 처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평온하게 정상적인 속도로 움직이다가, 갑자기 뛰는 등의 동작신호를 수신한 경우, 분석부(12)는 해당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위험에 빠진 것을 판단하여, 해당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유선단말(2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AP(3)로 전송할 수 있다. AP(3)를통해 해당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유선단말(21)은 해당 제어 데이터에 의해 근처 경찰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부(12)는, 센서부(231)로부터 수신되는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저장부(13)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되는 다량의 데이터(빅 데이터, big data)를 분석하여, 분석부(12)는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에 따라, 일련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결정하여 이를 미리 정해진 상대방의 이동단말로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우울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미리 정해진 상대방의 이동단말로, '사용자의 심리상태가 우울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고, 이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사물인터넷 디바이스(4)의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샤워할 것으로 분석부(12)가 결정한 경우(이는, 정해진 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항상 제시간에 샤워를 하기 위해 일어서는 것을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분석부(12)는 온도조절기(42)를 제어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가 직접 행동패턴을 판단하여 IoT 서버(1)에 전송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3)의 동작신호로부터 IoT 서버(1)가 행동패턴을 판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3)의 동작신호를 사용자의 이동단말(22)이 수신하여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판단하고, 이를 IoT 서버(1)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도 3의 통신부(233)는 인터넷을 통해 동작신호를 IoT 서버(1)에 전송하는 대신 소정 통신방식에 의해 이동단말(22)로 동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고, 이동단말(22)은 해당 동작신호로부터 행동패턴을 결정하여 이를 IoT 서버(1)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는, 사전에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서버(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상하는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TV(45)를 온으로 하거나 에어컨(41)을 켜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출근 또는 퇴근하는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온도조절기(42)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기상하는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커피머쉰을 온으로 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퇴근하는 행동패턴에 대응하여 로봇청소기를 온으로 하는 제어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혼재하여 사용하였으나, '행동패턴'은 동작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의 행동을 나타내는 것이고, '행동 데이터'는 각 구성요소간 통신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행동 데이터는 행동패턴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IoT 시스템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3)의 센서부(231)로부터 사용자의 동작신호가 검지되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해당하는 행동패턴이 결정되고, 해당 행동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유선단말(21) 또는 이동단말(22)을 통해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용자의 동작신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IoT 서버 2: 사용자 단말
3: AP 4: IoT 디바이스
21: 유선단말 22: 이동단말
23: 웨어러블 디바이스 231: 센서부
232: 분석부 233: 통신부
234: 저장부

Claims (10)

  1. 댁내 배치되는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행동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신체의 소정 부위의 가속도, 각속도 및 심박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행동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여 상기 행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퇴근하는 것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서버는, 댁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1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위험에 빠진 것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서버는, 비상연락을 취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1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기상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음식준비 및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2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으로부터 이후 행동을 예측하는 경우, 이후 행동패턴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댁내 배치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
    사용자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동작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동작신호를 인지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행동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을 판단하여 행동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이동단말; 및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신체의 소정 부위의 가속도, 각속도 및 심박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행동 데이터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퇴근하는 것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서버는, 댁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위험에 빠진 것으로 인지한 경우, 상기 서버는, 비상연락을 취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동단말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신호로부터 기상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 음식준비 및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으로부터 이후 행동을 예측하는 경우, 이후 행동패턴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상기 IoT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IoT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74086A 2015-12-08 2015-12-08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KR101728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086A KR101728052B1 (ko) 2015-12-08 2015-12-08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US16/060,639 US20180367329A1 (en) 2015-12-08 2016-12-08 Internet-of-things system for recognizing user behavior and controlling things
JP2018529993A JP2019506028A (ja) 2015-12-08 2016-12-08 使用者の行動を認知してモノを制御するモノのインターネットシステム
PCT/KR2016/014342 WO2017099479A1 (ko) 2015-12-08 2016-12-08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086A KR101728052B1 (ko) 2015-12-08 2015-12-08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052B1 true KR101728052B1 (ko) 2017-05-02

Family

ID=5874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086A KR101728052B1 (ko) 2015-12-08 2015-12-08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367329A1 (ko)
JP (1) JP2019506028A (ko)
KR (1) KR101728052B1 (ko)
WO (1) WO20170994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59A1 (en) * 2018-08-02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6763B1 (ko) * 2020-11-11 2021-04-30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최첨단 정보통신 통합제어시스템
KR102271825B1 (ko) * 2020-09-24 2021-07-0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WO2023085543A1 (en) * 2021-11-10 2023-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ctivity reminder in iot environ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3953B2 (en) * 2018-05-11 2021-09-28 Catherine Lois Shive Systems and methods for home automation control
US11487873B2 (en) * 2019-01-22 2022-11-01 EMC IP Holding Company LLC Risk score generation utilizing monitored behavior and predicted impact of compromise
WO2020154589A1 (en) *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WO2020154605A1 (en)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smart vehicle features operation and automatic wireless routing selection and methods of use
WO2020154561A1 (en) 2019-01-25 2020-07-30 Thor Tech, Inc. Mobile device tools for authenticated smart vehicle pairing and wireless routing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use
CN110278285A (zh) * 2019-07-11 2019-09-24 河海大学常州校区 基于onenet平台的智能安全帽远程监测***及方法
KR20210108723A (ko) 2020-02-26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7981282A (zh) * 2021-09-15 2024-05-03 三星电子株式会社 控制多个物联网装置的可穿戴电子装置、操作方法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635A (ja) * 2007-12-11 2009-07-02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生体信号測定装置の相互協働方法及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976A (ja) * 2003-09-30 2005-05-19 Toshiba Corp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方法
KR20120043848A (ko) * 2010-10-27 2012-05-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유비쿼터스 스마트 실내환경 제어방법
JP6158306B2 (ja) * 2013-03-25 2017-07-05 株式会社東芝 ウェアラブル機器および遠隔制御方法
JP5975973B2 (ja) * 2013-12-10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制御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5126478A (ja) * 2013-12-27 2015-07-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サーバーシステム、動作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77752B1 (ko) * 2014-01-06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90937A (ko) * 2014-01-29 2015-08-07 주식회사 글로비트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JP2015146514A (ja) * 2014-02-03 2015-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センサ管理システム、センサ管理方法及びセンサ管理プログラム
KR20150110092A (ko) * 2014-03-24 2015-10-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알람 및 모닝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2635A (ja) * 2007-12-11 2009-07-02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生体信号測定装置の相互協働方法及び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7559A1 (en) * 2018-08-02 2020-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17338B2 (en) 2018-08-02 202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in an Internet of Things
KR102271825B1 (ko) * 2020-09-24 2021-07-01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KR102246763B1 (ko) * 2020-11-11 2021-04-30 탑이앤지 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최첨단 정보통신 통합제어시스템
WO2023085543A1 (en) * 2021-11-10 2023-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activity reminder in iot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479A1 (ko) 2017-06-15
US20180367329A1 (en) 2018-12-20
JP2019506028A (ja)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052B1 (ko) 사용자의 행동을 인지하여 사물을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시스템
US10896599B1 (en) Immersive virtual reality detection and alerting technology
US11043290B2 (en) Location-based healthcare collaboration, data management and access control
US106311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profile enabled smart building control
Gellersen et al. Multi-sensor context-awareness in mobile devices and smart artifacts
CN105933943B (zh) 多模式无线定位追踪方法及***
CN107643509A (zh) 定位方法、定位***及终端设备
CN104898829A (zh) 体感交互***
US11601806B2 (e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KR102271825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시스템
JP7433289B2 (ja) 空間内の物体を検出した際にアクション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107330240A (zh) 一种基于双手环传感器的智能远程特护监控***及方法
Lee et al. Mobile gateway system for ubiquitous system and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JP2003123177A (ja) 情報処理装置、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195572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사물인터넷 제어시스템
KR102367109B1 (ko) Ai를 이용한 공동주택 최첨단 통신제어시스템
He et al. Location-based illumination control access in wireless lighting systems
KR101729062B1 (ko)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스마트 사물 인터넷 하드웨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0827A (ko) 장애인과노인보호관찰시스템
KR201700378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실내외 응급호출 구현 방안
Rissanen et al.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intelligent Bluetooth-enabled robot car
Marchenkov et al. User presence detection in SmartRoom using Innorange Footfall sensor
KR101374662B1 (ko) 메디 와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프로파일 기반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방법
US20240188162A1 (en) Multi-protocol network connection restoration
WO2008150062A1 (en)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ser interface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