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979B1 -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979B1
KR101727979B1 KR1020150131177A KR20150131177A KR101727979B1 KR 101727979 B1 KR101727979 B1 KR 101727979B1 KR 1020150131177 A KR1020150131177 A KR 1020150131177A KR 20150131177 A KR20150131177 A KR 20150131177A KR 101727979 B1 KR101727979 B1 KR 10172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sound
environmental sampl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3175A (en
Inventor
곽노균
이택진
이석
강지윤
최민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3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979B1/en
Publication of KR2017003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1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9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05Concentrating samples by transferring a selected component through a membr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2Target-seeking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2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using 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또는 원격으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여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이동형 샘플 수집 시스템(장치)에 있어 특히, 원격제어신호에 의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소리 또는 영상신호에 기반하여 능동적으로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능동제어신호에 의해 수면 또는 지면을 이동하여 정확한 목표지점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소리의 종류나 영상, 열화상 영상으로 물체를 판별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확한 목표지점을 설정하여 이동 및 샘플 수집할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apparatus) capable of moving to a specific point unattended or remotely to collect a samp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environmental sample at the correct target point by moving the surface of the water or the ground by the active control signal to set the target point. Based on the type of sound received, the image, and the thermal image, And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apparatus) capable of setting, moving, and collecting samples.

Description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0001]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0002]

본 발명은, 무인 또는 원격으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여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이동형 샘플 수집 시스템에 있어 특히, 원격제어신호에 의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소리 또는 영상신호에 기반하여 능동적으로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능동제어신호에 의해 수면 또는 지면을 이동하여 정확한 목표지점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소리의 종류나 영상, 열화상 영상으로 물체를 판별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확한 목표지점을 설정하여 이동 및 샘플 수집할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moving to a specific point unattended or remotely to collect a samp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which actively sets a target point based on a remote control signal or based on a received sound or image signal It is possible to collect sample of environmental samples at the precise target point by moving the surface of the water or the ground by the active control signal, and to determine the object by the kind of sound to be received, image or thermal image, And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samples.

강, 호수, 저수지 등의 대용량의 환경시료 내에 존재하는 수인성 병원체를 찾아 이를 포집하는 시스템은 환경 모니터링 분야에서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환경시료 내에 존재하는 수인성 병원체를 포집하는 방법은 사람이 직접 해당 지점으로 이동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하거나, 하기의 특허문헌처럼 고정된 지점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는 장치를 이용하였다.There is a steady increase in demand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in systems that collect and collect waterborne pathogens present in large-volume environmental samples such as rivers, lakes, and reservoirs. For example, a method for collecting water-borne pathogenic substances present in an existing environmental sample is a method in which a person directly moves to a corresponding site and collects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or uses an apparatus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at fixed points as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Respectively.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 제10-0387362호(2003. 05. 30. 등록) "원거리 수질오염원 실시간 수질관리 및 자동시료채취통합시스템"Patent No. 10-0387362 (Registered on May 30, 2003) "Real-time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Automatic Sampling System for Remote Water Pollution Source"

하지만, 기존의 환경시료 내에 존재하는 수인성 병원체를 포집하는 방법은 강, 호수, 저수지와 같은 넓은 지역에서 환경시료 샘플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정확하게 샘플을 수집하기가 매우 어려운 제약을 안고 있다. 따라서, 무인 또는 원격으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여 해당 지점의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할 수 있는 이동형 샘플 수집시스템에 대한 필요는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ollecting waterborne pathogens present in existing environmental samples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collect samples at the locations where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are located in large areas such as rivers, lakes and reservoirs. Thu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mobile sample collection system that can be moved to a specific location unattended or remotely to capture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of the site.

또한, 기존에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는 방식으로는, 수 마이크로의 필터에 환경시료(액체)를 통과시켜 시료 내에 존재하는 병원체가 필터에 붙도록 유도 후 필터를 분리하고 이를 용출액에 담아 병원체를 모으는 흡착-용출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특히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특정 병원체들에 대해서는 그 포집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10%). 이와 같은 낮은 포집률은 확진이 중요한 전염성 병원체(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모니터링에 치명적이며 개선이 필요한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나노기반기술을 이용하여 높은 포집률과 농축비를 가진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었지만, 그 처리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져(<1mL/min) 대용량의 환경시료를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llecting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an environmental sample (liquid) is passed through a micro-filter to induce a pathogen present in the sample to adhere to the filter, and then the filter is separated, Adsorption-elution methods have been used, but this has been particularly problematic for certain pathogens such as avian influenza (<10%). This low collection rate is critical to the monitoring of infectious pathogens (avian influenza, etc.) for which confirmation is crucial and needs to be improved. To solve this problem, many devices with high collection rate and concentration ratio have been developed using micro nano-based technology , It is impossible to treat a large-capacity environmental sample at a remarkably low processing rate (< 1 mL / mi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 또는 원격으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여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이동형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 특히, 원격제어신호에 의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소리 또는 영상신호에 기반하여 능동적으로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능동제어신호에 의해 수면 또는 지면을 이동하여 정확한 목표지점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moving to a specific point unattended or remotely to collect a samp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actively detecting a target point based on a remote control signal or based on a received sound or image signal And to provide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ing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at accurate target points by moving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by the set activ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되는 소리의 종류나 영상의 물체를 판별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확한 목표지점을 설정하여 이동 및 샘플 수집할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discriminating the type of sound to be received or an object of an image and setting an accurate target point on the basis thereof to move and collect sampl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 지형의 네비게이션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목표지점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reducing an error to a target point by using a navigation image or a thermal image of a surrounding terra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중의 환경시료로부터 수인성 병원체를 높은 포집율과 농축비로 신속하게 포집 및 농축할 수 있으며 아울러, 모듈화된 수인성 병원체 농축모듈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포집 및 농축비를 조절할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rapidly collecting and concentrating waterborne pathogens from environmental samples in water at a high collection rate and concentration ratio and utilizing a modular waterborne pathogen concentration module to collect and concentrate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화상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병원체 감염 혹은 보균 위험성이 높은 대상 물체(조류 등)가 있는 지역에 접근하여 병원체 포집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을 제공하고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which can improve the accuracy of pathogen collection by approaching an area where a subject object (bird, etc.) having a high risk of pathogen infection or coagulation is present using thermographic image data .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은, 수면 또는 지면에서의 이동을 위한 이동부; 환경시료 샘플의 포집 대상이 되는 지역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능동제어신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출력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 상기 이동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포집저장부;를 포함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comprising: a moving unit for movement on a water surface or a grou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ns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n area to be captured of the environmental sample and outputting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according to an activ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or a remote control signal output by a user so as to move to a target point; And a collecting and storing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at one side of the moving unit to collect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by moving to a target poi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GPS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GPS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GPS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이동부를 제어하는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outputting a GPS position signal,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a remot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so as to be able to move to a specific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주변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모듈 또는 주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 또는 상기 영상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특정 소리가 수집되는 위치 또는 특정 물체가 감지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이동부를 제어하는 능동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sound module for outputting ambient sounds or an image module for outputting a peripheral image, And an activ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ound is collected or a specific object is detected based on an output sound signal or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능동제어모듈은, 상기 소리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통해 소리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된 물체가 찾고자 하는 샘플인 경우 해당 소리가 수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또는 상기 영상모듈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물체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된 물체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물체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control module may specify a type of sound through a sound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o a position where the object is located when the number of specified objec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n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주변 지형에 관한 네비게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네비게이션수신모듈과 열화상 영상을 출력하는 열화상수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navigation receiving module for outputting a navigation image related to the peripheral terrain and a thermal image receiving module for outputting thermal imag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능동제어모듈은, 상기 열화상수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야간의 대상 물체의 위치 또는 대상 물체가 이동한 이후 배출된 지 얼마 안 된 환경시료 샘플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과, 상기 네비게이션수신모듈에서 수신되는 주변 지형 네비게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또는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또는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의 목표 위치에 대한 오차를 줄이는 네비게이션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control modu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sition of a target object at night or a target object moves based on a thermal image output from the thermal image receiving module A thermal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n environment sample sample that has just been discharged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o a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or the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or the thermal-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능동제어모듈은, 상기 열화상모듈에서 출력된 열화상의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 물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한 경우 병원체 감염된 것으로 보아 대상 물체의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온도분석신호생성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nalyzing the deteriorated image outputted from the thermo-image module, And a temperature analysis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hat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target o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infected o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포집저장부는, 모듈화된 수인성 병원체 농축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여, 현장에서 수집한 환경시료가 복수 개의 수인성 병원체 농축모듈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수인성 병원체가 고농도로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odularized water-borne pathogen enrichment modules, and the environmental samples collected in the field are collected by a plurality of water- And the water-borne pathogen is concentrated at a high concent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축모듈은, 전기장과 마이크로 단위의 필터 멤브레인을 이용해 일정 속도로 흐르는 환경시료에서 수인성 병원체를 분별 농축하는 농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richment module includes an enrichment unit for concentrating the water-borne pathogen in an environmental sample flowing at a constant rate using an electric field and a micro-unit filter membran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농축모듈 중 환경시료가 최초로 통과하는 농축모듈은, 일정 크기 이상의 부유물을 사전에 제거하는 전처리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module through which the environmental sample first passes among the plurality of concentration modules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filter that removes suspended substanc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n advance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축부는, 유입된 환경시료가 흐르는 유동부 상하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극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에서 유동부의 공간을 분리시키는 필터 멤브레인과, 상기 유동부의 상하측면에 각각 위치하여 전기장이 상기 유동부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버퍼흐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sampl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richment unit may include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n electric fiel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flow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environmental sample flows, And a buffer flow unit position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ow unit to allow an electric field to be transmitted to the flow uni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무인 또는 원격으로 특정 지점으로 이동하여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이동형 샘플 수집시스템에 있어 특히, 원격제어신호에 의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소리 또는 영상신호에 기반하여 능동적으로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능동제어신호에 의해 수면 또는 지면을 이동하여 정확한 목표지점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capable of moving to a specific point unattended or remotely to collect a samp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ing sample collection system which actively sets a target point based on a remote control signal or based on a received sound or image signal The active control signal can move the surface of water or the ground to collect the environmental sample at the correct target point.

본 발명은, 수신되는 소리의 종류나 영상의 물체를 판별하고 이를 기준으로 정확한 목표지점을 설정하여 이동 및 샘플 수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etermining the type of sound to be received or an object of an image, setting an accurate target point on the basis of the object, and moving and collecting samples.

본 발명은, 주변 지형의 네비게이션 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목표지점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an error to a target point by using a navigation image or a thermal image of a surrounding terrain.

본 발명은, 수중의 환경시료로부터 수인성 병원체를 높은 포집율과 농축비로 신속하게 포집 및 농축할 수 있으며 아울러, 모듈화된 수인성 병원체 농축모듈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포집 및 농축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apidly collect and concentrate water-borne pathogens from environmental samples in the water at a high collection rate and concentration ratio, and can utilize a modular water-borne pathogen concentration module to adjust the collection and concentration ratio as needed Effect.

본 발명은, 열화상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병원체 감염 혹은 보균 위험성이 높은 대상 물체(조류 등)가 있는 지역에 접근하여 병원체 포집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accuracy of pathogen trapping by approaching an area where a target object (algae, etc.) having a high risk of pathogen infection or coagulation is present using the thermographic image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능동제어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포집저장부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농축부의 세부 구성 및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축부의 작동 상태를 촬영한 형광현미경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농축부의 작동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ctive control module of FIG. 2; FIG.
FIG.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view of the collecting storage section of FIG. 2;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oncentrating part of FIG. 4; FIG.
FIG. 6 is a fluorescence microscope photograph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enric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operation results of the enrich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 시스템(장치)을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집 시스템(장치)은 수면 또는 지면에서의 이동을 위한 이동부(1)와, 상기 이동부(1)의 일 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2)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신호 또는 상기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능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부(1)를 제어하여 환경 시료 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목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3)와, 상기 이동부(1)의 일 측에 위치하여 목표 지점에 이른 경우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포집저장부(4) 등을 포함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경시료 샘플 수집 시스템은 관제시스템(미도시)과 통신이 가능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신호처리부(2) 및 제어부(3)가 상기 이동부(1)에 함께 위치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이동부(1)와는 별도로 신호처리부(2) 및 제어부(3)가 위치하여 상기 이동부(1)를 제어하여 특정 위치에 이동시킨 후 상기 포집저정부(4)를 통해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1 to 7, the collecting system (apparatus) comprises a moving part 1 for movement on the water surface or on the ground, A signal processing unit 2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 for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putting information, a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A control unit 3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1 according to the generated active control signal so as to move to a target point for sampling an environmental sample, And a collecting storage unit 4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environmental sample sample when it reaches the target point, and collect the environmental sample sample by moving to the target point. The environmental sample sampling system can communicate with a control system (not shown) to exchange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and the control unit 3 are located together in the moving unit 1, but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and the control unit 3 are located separately from the moving unit 1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ving part 1 to move it to a specific position, and then to collect the environmental sample sample through the collecting low temperature part 4.

상기 이동부(1)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집 시스템이 이동하면서 목표로 하는 지점에서 환경시료(분변, 사체, 물 등) 샘플을 포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 공지의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집 시스템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을 탐지하기 위하여 강, 하천, 호수, 저수지 등을 이동하면서 철새 등의 분변이나 물 샘플을 포집할 수 있어야 하는바, 육상(지면)은 물론 수상(수면)으로도 이동이 가능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1)는 수륙양용 이동이 가능한 형태와 구조(일 예로, 보트 형태의 하부에 궤도(케터필라)나 바퀴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ving unit 1 is a moving means for allowing th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llect environmental samples (feces, carcass, water, etc.) at a target point while moving, and various known means can be used have.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llecting fecal samples or water samples of migratory birds while moving in rivers, rivers, lakes, reservoirs, etc. in order to detect avian influenza viruses and the like,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a track (a caterpillar) or a wheel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boat, for example) capable of moving amphibiously .

상기 신호처리부(2)는 상기 이동부(1)의 일 측에 위치하여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집 시스템이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GPS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GPS모듈(21)과, 주변 지형에 관한 네비게이션 영상을 출력하는 네비게이션모듈(22)과, 수집 시스템이 위치하는 지역의 주변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모듈(23, 음향탐지수단 등을 사용)과, 수집 시스템이 위치하는 지역의 주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모듈(24, 영상탐지수단으로 카메라모듈 등을 포함하는 개념임)과, 수집 시스템이 위치하는 주변의 열화상 영상을 출력하는 열화상모듈(25, 열화상카메라 등을 사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 and sens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output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outputs a GPS position signal required for the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move to a specific position A navigation module 22 for outputting a navigation image related to the surrounding terrain, a sound module 23 (using sound detection means or the like) for outputting ambient sounds in the area where the collection system is located, The image module 24 (the concept including the camera module as the image detection means) for outputting the peripheral image of the area in which the collection system is located, the thermal imaging module 25 for outputting the thermal image around the collection system , Using an infrared camera or the like), and the like.

상기 제어부(3)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원격제어신호 또는 상기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능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부(1)를 제어하여 환경 시료 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목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송수신모듈(31), 원격제어모듈(32), 능동제어모듈(33), 센싱정보제공모듈(34), 포집제어모듈(35) 등을 포함하여, 원격에 의한 작동은 물론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케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 controls the moving unit 1 according to an activ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alyzing a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 user 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to collect an environmental sample The remote control module 32, the active control module 33,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34, the collecting control module 35, and the like, It can be operated remotely as well as automa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information.

상기 송수신모듈(31)은 상기 이동부(1), 신호처리부(2), 포집저장부(4) 및 관제시스템과 정보를 교환한다.The transceiving module 31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moving unit 1,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the collecting storage unit 4, and the control system.

상기 원격제어모듈(32)은 상기 관제시스템에서 전송되어 상기 송수신모듈(31)에서 출력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즉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GPS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이동부(1)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관제시스템 등에서 원격으로 전송하는 원격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신호에 매칭되는 지점으로 수집 시스템이 이동하게 한다.The remote control module 32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mobile unit 30 so that the remote control module 32 can move to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ystem and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 (1),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remotely from the control system or the like is analyzed and the collection system is moved to a point matching the corresponding signal.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3)는 관제시스템에 의한 원격제어가 아닌 신호처리부(2)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이동부(1)를 제어하여 즉 능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수집 시스템의 운용이 가능케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소리모듈(23)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 또는 상기 영상모듈(2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상기 열화상모듈(25)에서 출력되는 열화상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특정 소리가 수신되는 위치 또는 특정 물체가 감지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이동부(1)를 제어하는 능동제어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3 analyze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not the remote control by the control system,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moving unit 1 to output an active control signal, For this purpose,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23,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module 24, or a thermal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thermal imaging module 25 may be used to generate a specific sound And an active control module 33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1 so as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 specific object is detected or a position where a specific object is detected.

구체적으로, 상기 능동제어모듈(33)은 상기 소리모듈(23)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통해 소리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된 소리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소리가 발신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1)과, 상기 영상모듈(24)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물체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된 물체의 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물체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2)과, 상기 열화상모듈(25)에서 출력되는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야간의 대상 물체의 위치 또는 대상 물체가 이동한 이후 배출된 지 얼마 안 된 환경시료 샘플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3)과, 상기 열화상모듈(25)에서 출력된 열화상의 영상을 분석하여 대상 물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한 경우 병원체 감염된 것으로 보아 대상 물체의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온도분석신호생성모듈(334)과, 상기 네비게이션모듈(22)에서 출력되는 주변 지형 네비게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1) 또는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2) 또는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3) 또는 온도분석신호생성모듈(334)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의 목표 위치에 대한 오차를 줄이는 네비게이션제어모듈(335)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tive control module 33 specifies the type of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23,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sound is emitted when the specified sou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 sound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1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specifying an object type through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module 24 and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o a position where the object exists if the number of specified object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thermal image output from the thermo-image module 25, the position of the object of the night 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of the environmental sample A thermal image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3 for detecting a position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o a corresponding position; A temperature analysis signal generation module 334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to a position of the target objec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arget object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peripheral terrain navigation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1 or the image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2 or the thermal image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3 or the temperature analysis signal generation module 334 based on the image And a navigation control module 335 for reducing an error with respect to the target position.

일 예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탐지하기 위해 저수지 등지에서 철새의 분변 샘플을 수집하여야 하는 경우, 넓은 저수지 면적 중에서 철새의 분변 샘플이 많이 위치할 만한 장소를 판단하고 해당 장소에서 샘플을 수집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1)은 수집 시스템 주변에서 수신되는 소리들 중에서 철새의 소리를 특정하여 해당 소리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는 지역을 선정해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수집 시스템이 정확히 철새가 많이 위치했던 지역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collect fecal samples of migratory birds from reservoirs in order to detect avian influenza virus,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a place where many fecal samples of migratory birds are located in a wide reservoir area and collect samples at the place, The sound-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1 specifies a sound of migratory birds among sounds received in the vicinity of the collection system, selects a region where the sound is detected above a reference valu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region, The system will be able to collect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in areas where the migratory birds were located.

또한, 상기와 같이 저수지 등지에서 철새의 분변 샘플을 수집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 철새의 분변 샘플이 많이 위치할 만한 장소를 판단하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2)은 수집 시스템 주변에서 촬영되는 영상(카메라에 잡히는 철새의 움직임 영상 등)을 토대로 조류의 움직임과 그 무리의 머무른 위치를 선정해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수집 시스템이 정확히 철새가 많이 위치했던 지역에서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3)은 촬영되는 열화상 영상(적외선 영상 등)을 기반으로 특히, 야간에도 조류의 움직임 등을 토대로 위치를 선정해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철새가 이동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에 배설된 분변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2 may generate the image-based control signal in the vicinity of the collection system,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collect fecal samples of migratory birds in a reservoir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Eg, moving images of migratory birds caught by the camera), the control system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birds to the corresponding area by selecting the movement of the birds and the location where the birds are staying, The infrared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3 can acquire a sample image based on the thermographic image (infrared image, etc.) to be photographed, To generate control signals to move to the area, or at the time when migratory birds have moved,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eces to be possible to be able to collect the environmental test samp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move in the area.

또한, 상기와 같이 저수지 등지에서 철새의 분변 샘플을 수집하여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 철새의 분변 샘플이 많이 위치할 만한 장소를 판단하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온도분석신호생성모듈(334)은 수집 시스템 주변에서 촬영되는 열화상의 영상을 토대로 조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다고 판단한 경우 병원체 감염된 것으로 보아 상기 조류가 위치가 위치하는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수집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alysis signal generation module 334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s where fecal samples of the migratory birds are likely to be located, for example, when fecal samples of the migratory birds must be collected at the reservoir or the lik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alga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n the captured deterioration image,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environmental sample by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algae are moved to the location where the algae are located .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제어모듈(335)은 상기 네비게이션모듈(22)에서 출력되는 주변 지형 네비게이션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1) 또는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2) 또는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333) 또는 온도분석신호생성모듈(334)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의 목표 위치를 주변의 정확한 지형에 대비하여 목표지점으로의 이동에 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게 한다.The navigation control module 335 may generate the sound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1 or the image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2 or the image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2 based on the peripheral terrain navigation image output from the navigation module 22, The target position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3 or the temperature analysis signal generation module 334 can be reduced to an error in moving to the target point by comparing the target position with the accurate topography.

상기 센싱정보제공모듈(34)은 상기 신호처리부(2)에 출력된 주변 환경의 센싱 정보를 관제시스템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포집제어모듈(35)은 상기 원격제어모듈(32) 또는 능동제어모듈(33)에 의해 수집 시스템이 목표하는 지점에 위치한 경우 상기 포집저장부(4)의 작동을 제어한다.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34 controls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utpu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ystem. The collection control module 3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llection storage unit 4 when the collection system is located at a target point by the remote control module 32 or the active control module 33. [

상기 포집저장부(4)는 상기 이동부(1)의 일 측에 위치하여 목표 지점에 이른 경우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포집저장부(4)는 고체시료(사체, 분변) 및/또는 액체시료(물) 등을 포집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액체시료를 수집하는 포집저장부(4)의 세부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4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store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when they reach a target point on one side of the moving unit 1.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4 stores a solid sample ) And / or a liquid sample (water) are collected and stored.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llecting storage unit 4 for collecting liquid s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포집저장부(4)는 액체시료(물) 내의 수인성 병원체를 포집하여 농축하는 농축모듈(41)을 복수 개 포함하여, 현장에서 수집한 환경시료(feed)가 상기 복수 개의 농축모듈(41)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수인성 병원체가 고농도로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축모듈(41)은 직렬 또는/및 병렬로 연결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모듈(41)이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 환경시료는 각각의 농축모듈(41)을 거치면서 수인성 병원체의 농축비가 증가하게 된다. 예컨대, 각각의 농축모듈(41)이 환경시료에 비해서 수인성 병원체를 20배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 개의 농축모듈(41)이 직렬로 연결되었다고 가정하면, 최종적으로 포집 및 농축되는 수인성 병원체는 유입된 환경시료에 비해서 203배 농축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농축모듈(41)을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수인성 병원체의 수집속도(전체 처리량)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개수의 농축모듈(41)을 직렬 및/또는 병렬 형태로 배치하여, 필요로 하는 농축비 및 처리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포집저장부(4)에 유입되는 강이나 하천, 저수지 등의 현장에서 수집된 환경시료에는 많은 이물질을 포함하므로, 첫 번째 농축모듈(41a)의 전단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메쉬망(42, mesh)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4 includes a plurality of concentration modules 41 for collecting and concentrating water-borne pathogens in a liquid sample (water), and an environmental sample collected in the field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concentration modules 41 ), The water-borne pathogen is concentrated to a high concentration. The enrichment modules 41 are connected in series and / or in parallel. When the enrichment modules 41 are connected in series as shown in FIG. 4, the environmental sample passes through the enrichment modules 41, Is increased. For example, assuming that each enrichment module 41 is capable of 20-fold concentration of the water-borne pathogen relative to the environmental sample and that the three enrichment modules 41 are connected in series, the water- Is concentrated 20 3 times as much as the input environmental sampl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concentrating modules 41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collection rate (total throughput) of the water-borne pathogen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the various numbers of the concentration modules 41 can be arranged in series and / or parallel to easily obtain the necessary concentration ratio and throughput. Since the environmental sample collected at the site of the river, river, reservoir or the like flowing into the collecting and storing unit 4 includes many foreign substances, the mesh net 42 (mesh) 42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centration module 41a. ). &Lt; / RTI &gt;

상기 농축모듈(41)은 환경시료가 농축부(412)를 일정 속도로 통과하여 흐를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유동력공급부(411)와, 상기 유동력공급부(411)에 의해 제공된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환경시료에서 수인성 병원체를 분별 농축하는 농축부(412)를 포함한다. 하나의 유동력공급부(411)와 하나의 농축부(412)가 모듈화되어 하나의 농축모듈(41)을 형성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유동력공급부(411)는 특정 농축모듈(41)에만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력공급부(411)는 환경시료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 유압펌프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농축모듈(41) 중 환경시료가 최초로 통과하는 농축모듈(41a)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부유물을 사전에 제거하는 전처리필터(4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와 같이, 농축저장부(4) 내로 유입되는 환경시료가 최초로 농축모듈(41a)의 농축부(412a) 내로 주입되기 전단에 별도의 전처리필터(413, prefilter, 바람직하게는 수 um 단위의 필터)가 포함되어, 농축부(412a)로 유입되기 전단에서 불필요한 부유물이나 이물질을 사전에 제거하여 농축부(412a)에서의 수인성 병원체의 분별농축 작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The enrichment module 41 includes a fluid power supply unit 411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richment unit 412 through the enrichment unit 412 at a constant speed, And an enrichment unit 412 for fractionally concentrating the water-borne pathogen in the environmental sample. One fluidizing power supply unit 411 and one enrichment unit 412 are modularized to form one enrichment module 41. If necessary, the fluidity supply unit 411 may supply only the specific enrichment module 41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it. The fluid supply unit 411 may use various means capable of providing a power for moving the environmental sample, for example, a hydraulic pump. The concentration module 41a through which the environmental sample passes first among the plurality of concentration modules 41 may further include a pretreatment filter 413 that removes the suspended substanc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in advance. 4, a preliminary filter 413 (prefilter) is disposed before the environmental sample introduced into the concentrated storage section 4 is injected into the concentration section 412a of the concentration module 41a for the first time, , Preferably a filter in the order of a few micrometers) to remove unnecessary suspended matter or foreign matter from the front end before entering the thickening section 412a to thereby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ractionation concentration action of the water-borne pathogen in the thickening section 412a .

상기 농축부(412)는 상기 유동력공급부(411)에 의해 제공된 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환경시료에서 수인성 병원체를 분별 농축하는 구성으로, 전기장과 마이크로 단위의 필터 멤브레인(4123)을 이용해 일정 속도로 흐르는 환경시료에서 수인성 병원체를 분별 농축하게 된다.The enrichment unit 412 is configured to concentrate the water-borne pathogen in the environmental sample moving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flow-power supply unit 411, and is configured to concentrate the water-borne pathogen at a constant rate by using the electric field and the micro-scale filter membrane 4123 Water-borne pathogens are fractionally concentrated in flowing environmental samples.

상기 농축부(412)는 유입된 환경시료가 흐르는 유동부(4121)와, 상기 유동부(4121)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극(4122)과, 상기 유동부(4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에서 유동부(4121)의 공간을 분리시키는 필터 멤브레인(4123)과, 상기 유동부(4121)의 상하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양이온교환막(4124)과, 상기 양이온교환막(4124)과 전극(4122) 사이에 형성되어 완충용액이 이동하는 버퍼흐름부(4125) 등을 포함한다.The enrichment unit 412 includes a flow unit 4121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environmental sample flows and an electrode 4122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ow unit 4121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A filter membrane 4123 for separating the space of the fluid portion 4121 at a constant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ation exchange membrane 4124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uid portion 4121,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4124, And a buffer flow portion 4125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4122 and the electrode 4122 to move the buffer solution.

상기 유동부(4121)는 유입된 환경시료가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동부(4121)는 상기 필터 멤브레인(4123)에 의해 일정 높이에서 공간이 구획되어, 하측에는 환경시료가 유입되어 수인성 병원체가 제거된 후 배출되는 웨이스트채널(4121a)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웨이스트채널(4121a)에 유입되어 상기 필터 멤브레인(4123)을 통과한 수인성 병원체가 농축되어 배출되는 병원체채널(4121b) 등을 포함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스트채널(4121a)과 병원체채널(4121b) 각각의 유체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거나(Parallel-flow operation),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스트채널(4121a)과 병원체채널(4121b) 각각의 유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Reverse-flow operation).The flow unit 412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troduced environmental sample is moved. The fluid unit 4121 is divided into a sp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filter membrane 4123, an environmental sample flows into the lower part, And a pathological channel 4121b through which the water channel 4121a is discharged after the water channel 4121 is removed and the water channel 4121a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waste channel 4121a through the filter channel 4123 is concentrated and discharged. do. As shown in Fig. 6 (a), the fluids in the waste channel 4121a and the pathogen channel 4121b flow in the same direction (Parallel-flow operation) The fluid in the waste channel 4121a and the fluid in the pathogen channel 4121b may flow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FIG.

상기 전극(4122)은 상기 유동부(4121)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농축부(412)에 전기장이 발생하도록 한다.The electrodes 4122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ow portion 4121, respectively, so that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in the concentration portion 412.

상기 필터 멤브레인(4123)은 상기 유동부(4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에서 유동부(4121)의 공간을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수인성 병원체(pathogens)가 통과가능하도록 수 um 단위의 기공 크기를 가진다. 상기 메시망(42)과 전처리필터(413)에서 제거되지 않은, 환경시료 내 수 um보다 큰 물질은 상기 필터 멤프레인(4123)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유동부(4121)의 웨이스트채널(4121a) 내에 남게 된다.The filter membrane 4123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space of the fluid portion 4121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portion 4121 and to allow passage of water pathogen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lt; RTI ID = 0.0 &gt; um. &lt; / RTI &gt; A substance larger than several um in the environmental sample which has not been removed by the mesh network 42 and the pretreatment filter 413 can not pass through the filter membrane 4123 and can not pass through the waste channel 4121a of the fluid section 4121 It remains.

상기 양이온교환막(4124)은 상기 유동부(4121)의 상하측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전극(4122)에 의한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The cation exchange membranes 4124 ar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ow portion 4121, respectively, so that ions can be moved by the electrodes 4122.

상기 버퍼흐름부(4125)는 상기 양이온교환막(4124)과 전극(4122) 사이에 형성되어 완충용액이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완충용액으로 예컨대 NaCl, KC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환경시료가 유입되는 유동부(4121)의 상하측에는 각각 버퍼흐름부(4125)가 위치하여 버퍼플로우(buffer flow)를 형성하여 전기장이 농축부(412)에 전달되게 하며, 또한 전극(4122)에서 일어나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반응물이 농축에 영향을 주지 못하도록 완충을 하게 된다.The buffer flow portion 4125 is formed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4124 and the electrode 4122 to move the buffer solution. As the buffer solution, for example, NaCl, KCl, or the like may be used. Buffer flow units 4125 are position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low unit 4121 through which the environmental sample flows so that an electric field is transmitted to the concentration unit 412, So that the reaction product due to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ccurring in the reaction vessel can not be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농축부(412)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수인성 병원체를 농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구성된 농축부(412)에서 웨이스트채널(4121a)의 유입부를 통해 환경시료를 유입시키고 상기 전극(4122)을 통해 전원이 흐르게 하면, 하측의 양이온교환막(4124a)에서는 이온농도분극현상(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이 발생하여 수인성 병원체와 같이 전하를 띈 모든 물질은 위쪽으로 밀리게 되며, 상기 유동부(4121)의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필터 멤브레인(4123)의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수인성 병원체는 필터 멤브레인(4123)을 통과하여 병원체채널(4121b)에 모여 배출되게 되며, 웨이스트채널(4121a)의 배출부에는 이물질이나 기타 입자들만이 잔존하여 지나게 되어, 환경시료에서 수인성 병원체를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농축부(412)는 전극(4122)에 인가되는 전압, 필터 멤브레인(4123)의 기공크기, 웨이스트채널(4121a), 병원체채널(4121b)의 유량 등을 조절하여, 대상 수인성 병원체의 농축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구성된 농축부(412)에서 다른 조건을 동일하게 하며, 필터 멤브레인(4123)의 기공크기가 1um가 되도록 하고, 병원체채널(4121b)의 유량이 20uL/min가 되도록 하며, 웨이스트채널(4121a)의 유량이 280uL/min가 되도록 하고, 1um보다 작으며 형광염료가 염색된 수인성 병원체(형광파티클)를 포함하는 환경시료를 공급하여 일정 전압을 공급한 결과 환경시료에 비해 최대 20배 수인성 병원체를 농축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위와 같은 조건에서 농축부(412)의 일부를 형광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인데, 상기 병원체채널(4121b)은 웨이스트채널(4121a)에 밝게 빛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형광파티클이 병원체채널(4121b)에 농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는 도 6의 (a)와 다른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인데, 도 6의 (b) 역시 상기 병원체채널(4121b)은 웨이스트채널(4121a)에 밝게 빛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형광파티클이 병원체채널(4121b)에 농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농축부(412)의 A-A'의 거리(distance)에 따라 형광 세기(fluorescent intensity)를 측정하여 표시한 그래프인데, 전압을 공급하지 않은 경우(0sec)에 비해 전압을 150초 동안 공급하였을 때 최대 20배 형광파티클을 농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 method for concentrating water-borne pathogen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using the enrichment unit 412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enrichment unit 412 constructed as shown in FIG. 5, through the inlet of the waste channel 4121a When an environmental sample is introduced and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electrode 4122, ion concentration polarization occurs in the lower cation exchange membrane 4124a, and all charged substances such as water-borne pathogens are directed upward The water-permeable pathogen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lter membrane 4123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luid 4121 passes through the filter membrane 4123 and collects in the pathology channel 4121b, Only foreign matter or other particles remain in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waste channel 4121a, and it becomes possible to concentrate the water-borne pathogen in the environmental sample. The concentration unit 412 adjusts the concentration of the target water-borne pathogen by adjust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4122, the pore size of the filter membrane 4123, the flow rate of the waste channel 4121a and the pathogen channel 4121b, Can be adjusted. 5, the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the pore size of the filter membrane 4123 is 1 mu m, the flow rate of the pathogen channel 4121b is 20 mu L / min, 4121a) at a flow rate of 280 μL / min, and an environmental sample containing less than 1 μm and fluorescent dye-stained water-borne pathogens (fluorescent particles) was supplied and supplied at a constant voltage, It was possible to concentrate human pathogens. 6 (a) is a photograph of a part of the thickening part 412 taken under a fluorescent microscope under the above condi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pathogen channel 4121b shines brightly on the waste channel 4121a, It can be seen that fluorescent particles have been enriched in pathogen channel 4121b. 6 (b) is a result of experiment under different conditions from FIG. 6 (a).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pathogen channel 4121b shines brightly on the waste channel 4121a in FIG. 6 (b) , It can be seen that the fluorescent particles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pathogen channel 4121b. 7 is a graph showing the fluorescent intensity measu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A 'of the thickening part 412 as shown in FIG. 6 (a) It can be confirmed that fluorescence particles can be enriched up to 20 times when a voltage is supplied for 150 seconds in comparison with the case (0 sec).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 이동부 2: 신호처리부 21: GPS모듈
22: 네비게이션모듈 23: 소리모듈 24: 영상모듈
25: 열화상모듈 3: 제어부 31: 송수신모듈
32: 원격제어모듈 33: 능동제어모듈 34: 센싱정보제공모듈
35: 포집제어모듈 331: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332: 영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333: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334: 온도분석신호생성모듈 335: 네비게이션제어모듈 4: 포집저장부
41: 농축모듈 42: 메시망 411: 유동력공급부
412: 농축부 413: 전처리필터 4121: 유동부
4122: 전극 4123: 필터 멤브레인 4124: 양이온교환막
4125: 버퍼흐름부 4121a: 웨이스트채널 4121b: 병원체채널
1: moving part 2: signal processing part 21: GPS module
22: navigation module 23: sound module 24: video module
25: thermography module 3: control unit 31: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32: remote control module 33: active control module 34: sensing information providing module
35: Capture control module 331: Sound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2: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3: thermal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334: Temperature analysis signal generation module 335: Navigation control module 4: Collection storage unit
41: enrichment module 42: mesh network 411: fluid power supply
412: Enrichment section 413: Pretreatment filter 4121:
4122: Electrode 4123: Filter membrane 4124: Cation exchange membrane
4125: buffer flow unit 4121a: waste channel 4121b: pathogenic channel

Claims (11)

수면 또는 지면에서의 이동을 위한 이동부;
환경시료 샘플의 포집 대상이 되는 지역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능동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목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
상기 이동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여 저장하는 포집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주변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모듈 및 열화상 영상을 출력하는 열화상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신호를 기반으로 특정소리가 수집되는 위치 및 상기 열화상모듈에서 출력되는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특정된 물체가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이동부를 제어하는 능동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능동제어모듈은, 상기 소리모듈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통해 소리의 종류를 특정하고 특정된 소리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해당 소리가 수집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소리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 및 상기 열화상모듈에서 출력되는 열화상 영상을 기반으로 야간의 대상 물체의 위치 또는 대상 물체가 배출한 환경시료 샘플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열화상기반제어신호생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포집저장부는, 모듈화된 수인성 병원체 농축모듈을 복수 개 포함하여, 현장에서 수집한 환경시료가 복수 개의 수인성 병원체 농축모듈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수인성 병원체가 고농도로 농축되며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여 환경시료 샘플을 포집하며,
상기 농축모듈은, 전기장과 마이크로 단위의 필터 멤브레인을 이용해 일정 속도로 흐르는 환경시료에서 수인성 병원체를 분별 농축하는 농축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농축모듈 중 환경시료가 최초로 통과하는 농축모듈은, 일정 크기 이상의 부유물을 사전에 제거하는 전처리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농축부는, 유입된 환경시료가 흐르는 유동부 상하부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극을 위치시키고, 상기 유동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에서 유동부의 공간을 분리시키는 필터 멤브레인과, 상기 유동부의 상하측면에 각각 위치하여 전기장이 상기 유동부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버퍼흐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환경시료 샘플 수집시스템.
A moving part for movement on the water surface or the grou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ns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of an area to be captured of the environmental sample and outputting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according to an activ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analyzing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to move to a target point;
And a collecting and storing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the environmental sample, which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moving unit,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includes a sound module for outputting ambient sound and a thermal imaging module for outputting a thermal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ing unit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 specific sound is collected based on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and a position where an object specified based on the thermal image output from the thermo-picture module is located, Module,
Wherein the active control module includes a sound 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that specifies a type of sound through a sound output from the sound modul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sound is collected when the specified sou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thermal image output from the thermal imaging module, a thermal image-based control signal generation module that detects a position of a target object at night or a position of an environmental sample sample discharged from a target objec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Lt; / RTI &
The collection and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modular waterborne pathogen enrichment modules so that the environmental samples collected in the field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borne pathogen enrichment modules to concentrate the waterborne pathogen at a high concentration, Collecting environmental sample samples,
The concentration module includes an enrichment unit for concentrating the water-borne pathogen in an environmental sample flowing at a constant rate using an electric field and a micro-unit filter membrane. The enrichment module, through which the environmental sample first passes among the plurality of concentration modules, Further comprising a pretreatment filter for removing the floating matters in advance,
The concentrating unit includes a filter membrane for placing an electrode for generating an electric fiel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environmental sample flows and separating the space of the flow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ortion, And a buffer flow unit for allowing an electric field to be transmitted to the flow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31177A 2015-09-16 2015-09-16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KR101727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77A KR101727979B1 (en) 2015-09-16 2015-09-16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177A KR101727979B1 (en) 2015-09-16 2015-09-16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75A KR20170033175A (en) 2017-03-24
KR101727979B1 true KR101727979B1 (en) 2017-04-18

Family

ID=5850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177A KR101727979B1 (en) 2015-09-16 2015-09-16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9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8648B (en) * 2022-04-24 2023-10-31 深圳科瑞德健康科技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value of aqueous solu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672A (en) * 2011-11-25 2013-06-10 Chiba Inst Of Technology Obtaining system for environment information using unmanned traveling body
KR101350922B1 (en) 2013-10-14 2014-01-14 브이씨에이 테크놀러지 엘티디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tracking based on thermo-graphic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1672A (en) * 2011-11-25 2013-06-10 Chiba Inst Of Technology Obtaining system for environment information using unmanned traveling body
KR101350922B1 (en) 2013-10-14 2014-01-14 브이씨에이 테크놀러지 엘티디 Method and apparatus for object tracking based on thermo-graphic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175A (en)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7481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article
CN1860363B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orting cells using an optical switch in a microfluidic channel network
JP4445569B2 (en) Filtrated water monitoring device and filtered water monitoring system
EP3410107B1 (en) Analysis device and separation device
CN106053467B (en) A kind of device and method for observing microlayer model
CA2731727A1 (en) Amplified electrokinetic fluid pumping switching and desalting
JP2008501999A (en) Optical fluid microscope
CN103168241B (en) Virus detection device and virus detection method
JP6110484B2 (en) Spatial correlation focusing from multiple sample streams excited by a line focusing light source
CN209400274U (en) A kind of water body environment DNA intelligent acquisition device
CN208588728U (en) A kind of water conservancy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remote supervisory equipment
KR101727979B1 (en) An unmanned environmental sample collection system
CN202421056U (en) Rapid plankton monitoring device
CN113405957B (en) Water body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observation system based on movable platform
CN109975258A (en) A kind of micro-fluidic detection system of signal enhancing
KR101913658B1 (en) A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eparation membrane, system for monitor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eparation membrane using the same
JP3148314B2 (en) Aquatic observation, monitoring and purification system
CN111053057A (en) Zooplankton separation device and separation method
CN106596434A (en) Water quality detecting system
JP2020099325A5 (en)
KR101338039B1 (en) Process for remote monitoring red tide and green tide occurrence
CN104615971A (en) Two-dimensional code tracking and identifying device used for chemical fertilizer quality tracing system
CN211581219U (en) Zooplankton separator
JP2009222566A (en) Microorganism measuring method and system
CN103897981B (en) Cell scre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