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530B1 -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530B1
KR101727530B1 KR1020160030319A KR20160030319A KR101727530B1 KR 101727530 B1 KR101727530 B1 KR 101727530B1 KR 1020160030319 A KR1020160030319 A KR 1020160030319A KR 20160030319 A KR20160030319 A KR 20160030319A KR 101727530 B1 KR101727530 B1 KR 10172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acility
operation server
unit
elec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준우
Original Assignee
(주)대산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이엔씨 filed Critical (주)대산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3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01R31/02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앱 환경을 통해 전기 시설에 대한 이상 유무 확인은 물론 이상징후가 발생한 대상 전기시설에 대해서는 유지 보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시설과 연결되어 전기 시설에 대하여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송신하는 센서 수단; 상기 센서 수단으로부터 전기 시설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 시설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며 이와 관련된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생성 및 출력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서 분석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Maintenance System for electric installation based on mobile app}
본 발명은 모바일 앱 환경을 통해 전기 시설에 대한 이상 유무 확인은 물론 이상징후가 발생한 대상 전기시설에 대해서는 유지 보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의 발달에 따라 전기, 전자, 통신 설비에 대한 중요성 및 이용률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른 전기사고 발생 시 파급되는 인적, 물적 피해 또한 급증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동주택, 공장 또는 빌딩에서 사용되는 수배전반 등을 포함한 전기 시설은 전기 사고의 사전 예방을 위해 전기 관리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전기 시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존재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기 시설의 관제시스템은 크게 전기 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감시부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기 시설의 상태를 미리 예측하고 이상을 진단하는 진단부분, 그리고 승인된 관리자만 접속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안부분으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전기 시설에 전기사고 발생 시 수용가에 전기 공급의 중단은 물론 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전기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통합적인 전기안전관리는 물론 그에 따른 신속한 유지 보수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원격감시 시스템의 경우 주로 현장에 설치된 로컬 유닛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거나 인터넷 망과 PC를 통한 감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격감시 시스템의 경우 현장 방문시 또는 사무실 및 감시실 등에서 PC를 사용해야만 전기 시설의 감시가 가능하여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인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온라인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 전기 시설의 안전관리, 방재관리는 물론 이상 징후가 발생된 시설에 대한 신속한 대처 등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현재 모바일 환경에서 컨트롤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0523호(2013.09.0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앱 환경을 통해 전기 시설에 대한 이상 유무 확인은 물론 이상 징후가 발생한 대상 전기시설에 대해서는 유지 보수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시설과 연결되어 전기 시설에 대하여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송신하는 센서 수단; 상기 센서 수단으로부터 전기 시설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 시설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며 이와 관련된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생성 및 출력하는 운영 서버; 및 상기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서 분석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전기 시설의 열화를 측정하기 위한 열화 감지 센서; 상기 전기 시설의 아크를 감지하기 위한 아크 감지 센서; 상기 전기 시설의 누전을 감지하기 위한 누전 감지 센서; 상기 전기 시설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전기 시설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계측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운영 서버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 요청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수신부; 상기 전기 시설에 대한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보수요청 송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 서버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수요청 송신부를 통해 이상징후로 판단된 전기 시설에 대하여 보수 요청 신호와 지역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 정보와 보수 요청 신호를 수신받고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한 사업자 단말을 선택하여 해당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보수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센서 수단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센싱간격 설정부; 상기 센서 수단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치값 설정부; 상기 임계치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기반하여 상기 센서 수단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를 판별하는 이상유무 판별부; 상기 이상유무 판별부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상기 센싱간격 설정부의 측정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측정간격 변경부; 및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에 의해 측정 간격이 변경되어도 상기 센싱값이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이상징후로 판단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신호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운영 서버는, 센서 수단에 대한 센싱 정보, 임계치 정보, 이벤트 현황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은, 모바일 앱 환경을 통해 전기 시설에 대한 이상 유무 확인은 물론 이상 징후가 발생한 대상 전기 시설에 대해서는 관련 진단 데이터를 포함하여 유지 보수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를 실시하는 사업자는 전기 시설의 이상 상태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게 되고 그에 적합한 유지 보수를 준비하는 등 전기 시설의 이상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모바일을 통해 전기 시설의 이상 유무 확인과 유지 보수 요청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등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은 전기 시설(100)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수단(200)과, 상기 센서 수단(200)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기 시설(100)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운영 서버(300) 및 상기 운영 서버(300)에 접속되어 전기 시설(100)에 대한 진단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수단(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시설(100)과 연결되어 전기 시설(100)에 대하여 이상 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며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시설(100)은 공동주택, 공장, 빌딩 등에 사용되는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태양광발전 제어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400)의 경우 해당 전기 시설(100)을 관리하기 위한 시설 관리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300)는 상기 센서 수단(200)으로부터 전기 시설(100)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 시설(100)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며 이와 관련된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 서버(300)에서 분석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최초 상기 운영 서버(300)에 접속되어 운영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앱(App)을 다운로드받아 이를 실행시키며, 실행된 앱을 통해 구현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들을 출력하거나 요청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센서 수단(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시설(100)에 대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데이터를 계측 및 수집하도록 하며, 상기 운영 서버(300)와 연결되어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상기 운영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 수단(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시설(100)의 열화를 측정하기 위한 열화 감지 센서(210), 상기 전기 시설(10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기 위한 아크 감지 센서(220), 상기 전기 시설(100)의 누전을 감지하기 위한 누전 감지 센서(230), 상기 전기 시설(100)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240) 및 상기 전기 시설(100)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계측기(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의 센싱 정보는 전기 시설(100)의 노후화 요인으로 누전이나 화재 등을 포함한 전기 시설(100)의 위험 수준을 판단하거나, 전기 시설(100)의 정상적인 전력 사용량 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수단(200)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센서들은 공지 기술들 통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USN 통신 기반의 지그비 통신이 가능한 센서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운영 서버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 요청부(410)와, 상기 운영 서버(30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시설(100)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수신부(420)와, 상기 전기 시설(100)에 대한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보수요청 송신부(430) 및 상기 정보 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시설(100)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의 각 구성들은 상술한 모바일 앱의 실행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300)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운영 서버(300)와의 접속을 요청함에 있어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 운영 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들은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아이콘 형태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업자 단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은, 상기 운영 서버(300)와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단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단말(500)은 전기 시설(100)에 대한 유지 보수업(業)을 영위하는 사업자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일 수 있으며, 상기 운영 서버(300)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사전에 계약 체결되어 인증된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보수요청 송신부(430)를 통해 이상 징후가 있다고 판단된 전기 시설(100)에 대하여 보수가 실시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보수요청 송신부(430)를 이용하여 보수 요청 신호를 상기 운영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상기 보수요청 송신부(430)를 통해 보수 요청 신호와 함께 보수 대상 전기 시설(100)이 위치하는 지역 정보를 함께 송신함으로써 상기 운영 서버(300) 또는 사업자 단말(500)로 하여금 보수해야할 대상 전기 시설(10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상기 운영 서버(300)는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400)을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400)의 기입력된 주소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보수해야할 대상 전기 시설(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400)은 고유의 식별 코드 예를 들면 고유 아이디 등을 통해 상기 운영 서버(300)와 접속될 수 있는 바, 상기 운영 서버(300)는 사기 식별 코드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운영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보수 요청 신호를 수신받게 되며, 해당 사용자 단말(400)의 지역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한 사업자 단말(500)을 선택하여 해당 전기 시설(100)의 진단 데이터와 보수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단말(500) 역시 최초 상기 운영 서버(300)와의 인증 과정에서 주소 정보가 기입력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300)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사업자 단말(500)은 상기 운영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단말(400)의 보수 요청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와 함께 전송되는 지역 정보 및 진단 데이터를 통해 해당 전기 시설(100)의 문제점을 사전에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어 신속하며 정확한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운영 서버(300)는 상기 센서 수단(200)로부터 수집된 계측 데이터를 통해 관리 대상 전기 시설(100)에 대한 정확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영 서버(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수단(200)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센싱간격 설정부(310), 상기 센서 수단(200)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치값 설정부(320), 상기 임계치값 설정부(320)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기반으로 상기 센서 수단(200)을 통해 계측된 센싱값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이상유무 판별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간격 설정부(310)는 센서 수단(300)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 대상 전기 시설(100)의 상황에 맞게 센서들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싱간격 설정부(310)에 의해 특정 센서의 센싱 간격을 10초로 설정하게 되면 10초마다 해당 센서가 센싱값을 수집하게 된다.
상기 임계치 값설정부(320)는 상기 센서 수단(200)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측 데이터의 각 센싱값이 해당 임계치 값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이상유무 판별부(330)는 상기 임계치값 설정부(320)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참조하여 센서 수단(200)을 통해 계측되어 수집된 각 센싱값의 이상징후를 1차적으로 판별하게 된다.
이렇게 1차적으로 판별된 전기 시설(100)의 진단 결과는 보다 정확한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의 센싱 간격을 변경하여 재확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운영 서버(300)는 상기 이상유무 판별부(330)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상기 센싱간격 설정부(310)의 측정 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측정간격 변경부(340) 및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340)에 의해 측정 간격이 변경되어도 상기 센싱값이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최종적으로 이상징후로 판단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신호 발생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임계치를 초과한 센싱값이 존재하게 되면 이상이라고 1차적으로 판별하게 되며, 이에 반응하여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340)에서는 이상유무 판별부(330)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측정간격을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임계치 값을 50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55라는 센싱값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이상징후 판별부(330)에서 이상 징후로 판별하게 되며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340)에 의해 측정 간격을 변경하게 되는데, 상기 10초 간격을 5초 간격 또는 1초 간격 등 측정 간격을 보다 짧게 변경하여 감지를 세밀하게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간격으로 변경되어 측정시 임계치 값 범위의 센싱 값들이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340)에서는 최초에 설정된 측정 간격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이벤트신호 발생부(350)는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340)에 의해 측정 간격이 변경되어도 지속적으로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이상 징후로 판단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한가지의 임계치로만 고정할 경우에 이상 징후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임계치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므로 오감지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임계치 값에 도달 유무 확인을 세밀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운영 서버(300)는 상기 이벤트신호 발생부(350)에 의해 판단된 전기 시설의 특정 센싱값과 이러한 센싱값을 계측한 센서를 파악하여 해당 전기 시설의 이상 상태를 예측하는 등 관련 진단 데이터를 정리하여 이벤트 신호와 함께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진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 시설(100)에 대한 단계별 위험 수준을 판단하도록 하며, 설정된 위험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경보를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운영 서버(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360)는 앞서 설명한 운영 서버(300)의 각 구성들로부터 처리되는 실시간 처리 데이터를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센서 수단(200)에 대한 센싱 정보, 설정 또는 변경된 임계치 정보, 이벤트 현황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현황 정보는 경보 발생 전까지의 임계치 값을 초과한 해당 센싱 정보들을 의미하며 원격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해당 이벤트 현황 정보들을 확인하여 전기 시설(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리자에게 숙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370)은 상기 사용자 단말(400)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관리하는 전기 시설(100)의 위치 및 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전기 시설 200 : 센서 수단
300 : 운영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500 : 사업자 단말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 시설과 연결되어 전기 시설의 아크 및 누전을 감지하여 전기시설에 대한 이상 유무를 진단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송신하는 센서 수단;
    상기 센서 수단으로부터 전기 시설의 계측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계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 시설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며 이와 관련된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생성 및 출력하는 운영 서버;
    상기 운영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운영 서버에서 분석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제공받으며, 상기 전기 시설에 대한 보수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보수요청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상 징후로 판단되는 전기 시설에 대하여 보수 요청 신호와 지역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운영 서버와 접속되고 사전에 주소 정보가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역 정보와 보수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사용자 단말의 지역 정보를 파악하며, 상기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한 사업자 단말을 선택하여 해당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보수 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선택된 사업자 단말을 통해 해당 전기 시설의 문제점을 사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전기 시설의 열화를 측정하기 위한 열화 감지 센서;
    상기 전기 시설의 아크를 감지하기 위한 아크 감지 센서;
    상기 전기 시설의 누전을 감지하기 위한 누전 감지 센서;
    상기 전기 시설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 및
    상기 전기 시설의 소비 전력을 계측하기 위한 전력계측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운영 서버와의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 요청부;
    상기 운영 서버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수신하기 위한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전기 시설의 진단 데이터와 이벤트 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센서 수단의 센싱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센싱간격 설정부;
    상기 센서 수단의 임계치 값을 설정하기 위한 임계치값 설정부;
    상기 임계치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치를 기반하여 상기 센서 수단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를 판별하는 이상유무 판별부;
    상기 이상유무 판별부에 의해 측정된 센싱값의 이상징후가 판별되면 상기 센싱간격 설정부의 측정간격을 변경하기 위한 측정간격 변경부; 및
    상기 측정간격 변경부에 의해 측정 간격이 변경되어도 상기 센싱값이 임계치 값을 벗어나게 되면 이상징후로 판단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센서 수단에 대한 센싱 정보, 임계치 정보, 이벤트 현황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아이디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1020160030319A 2016-03-14 2016-03-14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10172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19A KR101727530B1 (ko) 2016-03-14 2016-03-14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19A KR101727530B1 (ko) 2016-03-14 2016-03-14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530B1 true KR101727530B1 (ko) 2017-04-17

Family

ID=5870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19A KR101727530B1 (ko) 2016-03-14 2016-03-14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5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078B1 (ko) * 2017-04-21 2017-09-12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태양광발전 기반 자립형 수문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813067B1 (ko) 2017-09-06 2017-12-28 홍석민 IoT 감시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스카다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CN108183869A (zh) * 2017-12-29 2018-06-19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消息队列的电量数据采集***
KR20180117344A (ko) * 2017-04-19 2018-10-29 고찬수 사물 인터넷 기반기술을 이용한 위험관리 시스템
KR101935968B1 (ko) * 2018-06-29 2019-01-08 (주) 주안기업 센서가 인서트된 친환경 콘크리트블록의 앱기반 감지 정보 관리시스템
KR102087926B1 (ko) * 2019-11-06 2020-05-27 주식회사엔클라우드 Iot 감지통제장치
KR20200061517A (ko) * 2018-11-26 2020-06-03 유경학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344A (ko) * 2017-04-19 2018-10-29 고찬수 사물 인터넷 기반기술을 이용한 위험관리 시스템
KR102074386B1 (ko) * 2017-04-19 2020-02-06 고찬수 사물 인터넷 기반기술을 이용한 위험관리 시스템
KR101773078B1 (ko) * 2017-04-21 2017-09-12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태양광발전 기반 자립형 수문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813067B1 (ko) 2017-09-06 2017-12-28 홍석민 IoT 감시 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스카다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CN108183869A (zh) * 2017-12-29 2018-06-19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消息队列的电量数据采集***
CN108183869B (zh) * 2017-12-29 2021-07-02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消息队列的电量数据采集***
KR101935968B1 (ko) * 2018-06-29 2019-01-08 (주) 주안기업 센서가 인서트된 친환경 콘크리트블록의 앱기반 감지 정보 관리시스템
KR20200061517A (ko) * 2018-11-26 2020-06-03 유경학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125767B1 (ko) * 2018-11-26 2020-06-23 유경학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 및 아크 전류 발생 판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87926B1 (ko) * 2019-11-06 2020-05-27 주식회사엔클라우드 Iot 감지통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KR101403465B1 (ko)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73135B1 (ko) 관리 대상 설비 이상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57064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735540B1 (ko) 가전기기 소비전력 패턴과 소셜 정보를 이용한 독거노인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90850B1 (ko) 다중 센서 데이터 수집 전파 장치 및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US20050200471A1 (en) Internet facilitated fire alarm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86969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10793653A (zh) 温度监控方法及装置
KR1023190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화재예방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85033A (ko) 학습형 다중센서 재난감지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022010B1 (ko)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90588A (ko) 전기 판넬 과열 감시 장치
KR20200110982A (ko) 시설물 감시 및 경보 통합 시스템
JP6810616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KR101860015B1 (ko) 에러 예측 기반 사전 서비스 제공을 위한 IoT 기기 관리장치
US20220308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health condition and an anomaly of an equipment using one or more sensors
KR101507223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현장 설비 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1174B1 (ko) 스카다(skada)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재감지 제어 방법
JP2018207690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CN110800315B (zh) 设备维护支持***以及设备维护支持装置
KR102237792B1 (ko) 센스 디바이스 상태 모니터링 장치
CN113465777A (zh) 一种电缆温度监控平台及方法
KR10210325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임베디드 방식의 모니터링시스템
KR10079191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모듈용 테스터,노드모듈 테스트 방법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시스템의 원격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