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980B1 -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 Google Patents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980B1
KR101726980B1 KR1020160140313A KR20160140313A KR101726980B1 KR 101726980 B1 KR101726980 B1 KR 101726980B1 KR 1020160140313 A KR1020160140313 A KR 1020160140313A KR 20160140313 A KR20160140313 A KR 20160140313A KR 101726980 B1 KR101726980 B1 KR 101726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truding bar
coupling surface
tunnel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민준
Original Assignee
배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민준 filed Critical 배민준
Priority to KR102016014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9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has a flat coupling surface (1) perpendicular to a floor surface on a surface on at least one side among outer surfaces thereof. A protruding bar (2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o a prescribed height, and a tunnel unit (22) dented on the coupling surface towards an internal space in a prescribed depth and opened to the coupling surface are disposed on the coupling surfac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of the container in a length larger than or equal to a prescribed size. And the protruding bar has a structure whose vertical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s the coupling surface in at least a s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tunnel unit has a structure whose vertical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s the coupling surface in at least a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so, the tunnel unit is formed up to an adjacent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next to the coupling surface to have a structure with an entrance (221) opened to the adjacent outer surface.

Description

한 쌍의 용기로 조립될 수 있게 하는 결합구조를 갖는 용기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coupling structure that allows a container to be assembled into a pair of containers.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 특히, 물, 이온 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용수를 담아서 휴대할 수 있는 물병과 같은 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uch as a water bottle capable of carrying liquid contents, particularly, various drinking water such as water, ionic drinks and the like.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등산, 수영, 익스트림 스포츠 등과 같은 자신이 좋아하는 다양한 야외 활동을 즐기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야외 활동에는 충분한 수분이 필요하므로, 물이나 이온 음료 등을 담은 용기를 휴대하고 다니기도 한다.Today, many people enjoy their favorite outdoor activities such as climbing, swimming, and extreme sports. And, since such outdoor activities require sufficient water, they carry containers carrying water or ionic drinks.

그런데, 야외 활동 등을 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또는 원하는 음용수의 종류가 다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격렬한 활동을 하는 동안에는 이온 음료가 필요하지만, 휴식을 취하거나 이동 중일 때는 지나친 당분의 섭취를 피하기 위해 수분을 보충하는 정도로서 물을 음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case of outdoor activities, the kind of drinking water required or desire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For example, an ionic drink is needed during intense activity, but it is desirable to drink water as much as to supplement the water to avoid excessive sugar intake when resting or on the move.

이러한 이유로, 개인들은 필요한 상황에 맞는 종류의 음용수를 마시기 위해서, 이온 음료와 물을, 대체적으로 원통 형인 용기에 각각 담아서 휴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종류별로 개별적인 용기로써 휴대하는 것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휴대 물품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drink the drinking water of the kind suitable for the situation, the individual carries the ionic drink and the water in the container which is generally cylindrical, and carry it. There is a drawback that the volume of the portable article is increased.

다른 한편으로, 음용수가 든 용기를 장시간 휴대하는 것이 불편하므로, 필요할 때에, 주위의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원하는 물이나 음료 등을 구입하여 섭취하는 경우도 빈번한다. 그리고, 사무 공간 또는 카페 등과 같은 곳에서 장시간 모임을 갖거나 회의 등을 할 때도, 음용수가 담겨진, 일반적으로 원통 형인 일회용 용기를 개별적으로 준비하는 것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drinking water for a long time, so that it is often necessary to purchase and drink desired water or beverage at a convenience store or a shop when necessary. In addition, it is also routinely carried out to individually prepare disposable containers, which are generally cylindrical, containing drinking water even when meeting or meeting for a long time in an office space or a cafe.

이와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는 일회용 음용수 용기는, 단일 종류의 내용물을 채워져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원하는 종류의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해서는 종류 별로 음용수를 각각 구입하여 휴대하거나 들고 다녀야 하므로, 구매 후에는 여전히 앞서 언급한 것과 동일한 휴대상의 불편함이 야기된다.
Since the disposable drinking water container, which is often sought by people, is filled with a single kind of contents,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nd carry or carry the drinking water separately for each kind in order to ingest the desired kind of drinking water as needed. The same portable inconvenience as the one caused.

본 발명은,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는 형상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음용수를 담을 수 있게 하는, 착탈식의 결합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which enables to contain different kinds of drinking water in a shape occupying a minimum volu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적인 2개의 용기의 단일 용기 형태로의 결합과 또한 그 역으로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n engaging structure that allows easy separation of two individual containers into a single container form and vice vers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된 한 쌍의 용기가 작은 힘으로도 쉽게 서로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having a coupling structure that allows a pair of coupled containers to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with a small forc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plicitly stated objects, but, of cour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effect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specific and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용수와 같은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용기는, 외면들 중 적어도 일측의 면에,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수직이 되는 평면 형태인 결합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바와, 상기 결합면에서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이면서 상기 결합면 측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터널부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서로 평행하게 소정 크기 이상의 길이로써 각기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바는, 상기 길이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서, 그 상하측 간의 폭이 상기 결합면 측에 가까울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터널부는, 상기 길이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서, 그 상하측 간의 폭이 상기 결합면 측에 가까울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 터널부는, 상기 결합면이 이웃하고 있는 상기 용기의 인접 외면까지 형성됨으로써 그 인접 외면으로 개통된 입구를 갖는 구조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in which an inner space capable of filling contents such as drinking water is secured includes at least on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s thereof with a coupling surface in a planar shap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coupling surface includes a protruding ba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a tunnel portion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coupling surface toward the inner space side and is open to the coupling surface side, And are each provided with a l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The protruding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otruding bar is narrower toward the coupling surface side in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in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tunnel portion is formed to reach an adjacent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djacent to the coupling surface so that the tunnel portion has an inlet opened to the adjacent outer surface thereof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바는, 상기 길이의 방향에서의 일측의 종단부가,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돌출바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완만하게 증가하고 또한 상하측 간의 폭도 완만하게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바는, 상기 종단부의 반대측의 종단부도,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돌출바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완만하게 증가하고 또한 상하측 간의 폭도 완만하게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bar is form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end portion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length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engaging surfac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bar And the width between upper and lower sides is gently wide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bar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from the engaging surfac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bar over the section of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width is gradually widen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널부는, 상기 입구의 반대측의 종단이 막혀 있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널부는,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종단까지 갈수록, 상기 터널부의 함몰된 면이 상기 결합면까지 완만하게 높아지는 구조이고, 또한, 개방된 측의 상하측 간의 간격이, 상기 터널부의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종단까지 갈수록 완만하게 좁아짐으로써, 0보다는 큰 간극이 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nel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nd opposite to the entrance is 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unnel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ssed surface of the tunnel portion gradually increases to the engagement surface as it goes to the en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pen side , And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gap larger than zero by gradually narrowing to the end over a predetermined length section of the tunnel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면들 중 상기 결합면과 이웃하고 있는 면에는, 상기 돌출바 및 상기 터널부와 동 높이에 각각 그 외면에서 용기의 내부측으로 오목해진 구조인 홈이 형성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outer surfaces adjacent to the coupling surface, the groove having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bar and the tunnel portion and reces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from the outer surface thereof .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완전한 용기를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결합시켜서 한 쌍의 용기를 마치 하나의 용기처럼 휴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인들이 서로 다른 음용수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상황에 따라 원하는 한가지 종류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한다.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the present invention or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achieved by combining individually complete containers, if desired, together to form a pair of containers, By allowing individuals to easily carry different drinking water, they can choose one type they want and conveniently drink according to the situa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구조는, 이와 같은 방식의 용기 사용을 위한 한 쌍의 용기로의 결합은 물론 그 역으로의 분리가 매우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므로, 결합과 분리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고, 개별적인 용기들의 착탈식 조립에 따른 잇점만을 향유할 수 있게 한다.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pair of containers for the use of the container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by allowing only the advantages of the removable assembly of the individual containers to be enjoy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되는 용기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는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용기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대응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하나인 돌출바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돌출바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또 다른 하나인 터널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각각 갖는 한 쌍의 용기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의 용기 간의 상호 배치 상태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corresponding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anner in which a pair of containers each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ontainers having coupling stru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protruding bar, which is one of coupling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truding bar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tunnel part which is another one of coupling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state of the containers in a process of coupling a pair of containers each having a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Of cours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may also be assigned different numbers if 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응되는 용기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갖는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용기(10)는, 크게, 음용수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내부에 확보되어 있는 몸체와 그 몸체의 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뚜껑(3)으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having a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corresponding contain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10 is largely constituted by a body in which a space capable of containing drinking water is secured and a lid 3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of the body.

상기 용기(10)의 몸체는, 단면이 반원 모양을 이루는 곡면부(1)와, 용기의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인 결합면(2)이 적정의 곡률로써 서로 연이어져 대략적으로 반원의 통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2)에는, 그 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바(21)와, 그 면에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인 터널부(22)가 상하로 서로 이격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The body of the container 10 has a curved surface portion 1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and a coupling surface 2 havi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 The coupling surface 2 is formed with a protruding bar 2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tunnel portion 22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surface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상기 곡면부(1)에는, 상기 돌출바(21) 및 상기 터널부(22)의 동높이에, 외주면에서 중심부로 오목한 구조인 홈(4)이 둘레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홈(4)은 용기의 외관을 타 용기와 차별화시키는 동시에, 사용자가 용기를 파지하였을 때 마찰력을 높여 용기가 손아귀에서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1, grooves 4 having a concave structur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central portion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ding bar 21 and the tunnel portion 22. This groove 4 differentiate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from the other container, while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user grips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ainer does not slip easily in the grip.

상기 돌출바(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의 바닥면과 평행한, 일정 길이 이상의 바(bar) 형태가 되도록 돌출된 것이고, 상기 터널부(22)는, 상기 돌출바(21)와 평행한, 한쪽 면이 개방되어 있는 관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터널부(22)는 전체 길이가 적어도 상기 돌출바(21)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고, 터널부의 일단은 상기 곡면부(1)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결합면(2)과는 직각을 이루는 가상의 수직면을 향하는 방향(d1)으로 개통된 입구(221)를 형성한다.The protruding bar 21 is protruded so as to be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n parallel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 as shown in the figure, And has a tubular shape parallel to the protruding bar 21, one side of which is open. The total length of the tunnel portion 22 is at leas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bar 21 and one end of the tunnel portion extends to the curved surface portion 1 so that the tunnel portion 22 is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surface 2 The inlet 221 opened in the direction d1 toward the imaginary vertical plane is formed.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돌출바(21)와 터널부(22)는, 상기 용기(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타 용기와의 결합 구조를 구성한다. 그리고, 동일 구조의 돌출바와 터널부가 그 타 용기의 결합면에도 형성되지만, 결합면에서의 그 위치는 상기 용기(10)와는 서로 바뀌어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바(21)에 대응되는 용기의 높이에는 터널부가, 상기 터널부(22)에 대응되는 용기의 높이에는 돌출바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protruding bar 21 and the tunnel portion 22 having such a structure constitute a coupling structure with another contain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ainer 10. The protruding bar and the tunnel portion of the same structure are also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other container, but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bar and the tunnel portion on the coupling surface is formed to be interchanged with the container 10. That is, a protruding bar is formed at the height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bar 21, and a protruding bar is formed at the height of th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tunnel 22.

도 2는, 이와 같이 결합 구조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용기(10a,10b)가 서로 결합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사용자는, 한 쌍의 용기(10a,10b)를, 같은 높이로 양 결합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옆으로 나란하도록 배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중 하나의 용기(10a)의 돌출바(21a)의 전단이 타 용기(10b)의 터널부(22b)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맞춘 후에, 그 용기들(10a,10b)을 서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돌출바(21a)가 터널부(22b)의 종단까지 완전히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높이에 있는 돌출바와 터널부도 동일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결합된 한 쌍의 용기(10a,10b)를 분리할 때는 결합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양 용기를 슬라이드시키면 된다.Fig. 2 shows a manner in which a pair of containers 10a and 10b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 structur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ser can arrange the pair of containers 10a and 10b so as to be sideways so as to face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so that both engagement surfaces face each other, The protruding bar 21a is fitted to the tunnel portion 22b of the other container 10b by sliding the containers 10a and 10b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tunnel portion 21a is inserted into the tunnel portion 22b of the other container 10b. And is fully inserted into the end. In this process, the protruding bars and the tunnel portions at different heights, not shown in the drawings, are mutually coupled in the same manner. When separating the coupled pair of containers 10a and 10b, both containers may be sli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engagement.

도 3은, 이러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된 한 쌍의 용기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는 반원의 통 형태인 용기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단일 원통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Figure 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showing a pair of containers coupled together in this mann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ainers in the form of semicircular cylinders alone are joined together to form a single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양 용기의 뚜껑들(3a,3b)중 하나 만을 오픈하면, 한 쌍의 용기를 기울여도 그 오픈된 용기의 내용물만 유출시켜 음용할 수 있게 된다.Even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ns only one of the lids 3a and 3b of both containers, even if the pair of containers is tilted, only the contents of the opened container can be drained and consum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돌출바(2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돌출바(21)는, 대응되는 결합 구조인 터널부의 입구로 먼저 진입하게 되는 선단부(211)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면(2)에서 완만히 높아지면서 또한 그 폭도 완만히 커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는 돌출바(21)가 타 용기의 결합을 위한 대응 구조인 터널부의 안쪽으로 잘 가이드되게 하기 위함이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protruding bar 21 will be described. 4 (a), the protruding bar 21 is formed such that the leading end portion 211, which is first to enter the entrance of the tunn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becomes gradually higher on the coupling surface 2, It has a gentle shape. This is so that the protruding bar 21 is guided well inside the tunnel part, which is the corresponding structure for engaging the other container.

그리고, 상기 선단부(211)를 제외한 바디부(212)는, 도 4의 (b)에 보는 바와 같은 단면을 그 종단( 상기 선단부(211)의 반대쪽 끝 )까지 유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4 방향에 대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상측', '하측', '돌출측' 그리고 '기저측'의 용어를 사용한다(43). 상기 바디부(212)는, 결합면(2)과 이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그 단면에서의 폭(41)이 돌출측 면의 폭(w1TOP)에서 기저측 단( 여기서, 기저측 단은 결합면(2)에 해당된다. )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그 상측과 하측의 외면에는 돌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쐐기형 홈(213)이 각각 형성되게 한다. 이 상하 양측의 쐐기형 홈(213)은,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기저측 단까지 선형적으로( 또는 비선형적으로 ) 경사진 면을 가짐으로써, 바디부의 상하측 간의 폭(41)도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 )으로 감소하게 되여 기저측 단에서 가장 짧은 폭(w1BOT)을 갖게 된다.The body portion 212 excluding the distal end portion 21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d surface as shown in FIG. 4 (b) is held to its end (opposite end of the distal end portion 211). 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s 'upper side', 'lower side', 'protruding side', and 'base side' are used for the four direction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43). The body portion 212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41 of the body portion 212 in the section following the engaging surface 2 is greater than the width w1 TOP of the protruding side surface, (2)). As a result, wedge-shaped grooves 213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bar,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wedge-shaped grooves 213 preferably have inclined surfaces linearly (or nonlinearly) to the basal side end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so that the width 41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portion, Linearly (or non-linearly) to have the shortest width (w1 BOT ) at the base sid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선단부(215)와 후단부(216)가 돌출바(21')의 길이 방향에서의 전후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돌출바(21')의 후단부(216)에도 폭과 높이가 끝에서 바디쪽으로 갈수록 완만히 증가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게 되면, 대응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용기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분리시킬 때에, 돌출바(21')가 상대 용기의 터널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드되면서 빠져나오게 된다.5, the distal end portion 215 and the rear end portion 216 of the above-described shape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ruding bar 21 '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end portion 216 of the protruding bar 21 'may have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and height from the end toward the body, 3, the protruding bar 21 'slides out more easily in the tunnel portion of the mating container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mating portion as illustrated in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의 다른 하나인 상기 터널부(2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tunnel portion 22, which is anothe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상기 터널부(22)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a)는, 세워진 용기를 높이 관점에서 보았을 때 터널부의 중간에 해당하는 지점을 수평적으로 절단한 경우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터널부(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진입부(222)와 통로부(223), 그리고 통로를 막는 차단부(224)로 나뉘어지며, 상기 진입부(222)는, 도 6의 (b)에 도시된 단면을 갖는 상기 통로부(223)의 깊이(dp2)와 폭(w2TOP)에서 시작하여 입구(221)로 갈수록 그 깊이와 폭이 완만하게 깊어지고 넓어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이유는, 대응되는 결합 구조를 갖는 용기의 돌출바를 상기 터널부(22)의 안쪽으로 보다 쉽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터널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4 방향에 대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상측', '하측', '개방측' 그리고 '바닥측'의 용어를 사용한다(6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unnel part 22, wherein (a)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middle of the tunnel part is horizontally cut when the erected container is viewed from a height perspectiv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unnel portion 22 is divided into an entrance portion 222, a passage portion 223, and a blocking portion 224 blocking the passage, The depth and width of the passage portion 223 gradually increase from the depth dp2 and the width w2 TOP of the passage portion 223 shown in FIG. The reason for having this form is that the protruding bar of the container having the corresponding coupling structure can be guided more easily into the inside of the tunnel portion 22. 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s 'upper side', 'lower side', 'open side' and 'bottom side' are used for the four directions to specifically describe the structure of the tunnel part (62).

상기 통로부(223)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측 단( 이 개방측 단은 결합면(2)이 연장된 가상의 평면에 해당한다. )에는, 터널부(22)의 전 길이에 걸쳐서, 그 상측과 하측의 내벽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 안내 가드부(22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안내 가드부(225)의 구조로 인해, 상기 터널부(22)의 개방측 단에서의 상하측 간의 폭(w2TOP)( 이하, '가드단 간격'이라 칭한다. )은, 통로부(223)의 바닥측 면의 폭(w2BOT)보다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223)의 깊이(dp2)와 바닥측 면의 폭(w2BOT)은, 도 4의 (b)에 도시된 상기 돌출바(21)의 돌출된 높이(ht1)와 돌출측 면의 폭(w1TOP) 보다 각각 큰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6 (b), the passage portion 223 is provided with an opening side end (the opening side corresponds to a virtual plane in which the engagement surface 2 extends), and the tunnel portion 22 Guide guards 225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s, respectivel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guide guard portion 225, the width w2 T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uard edg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at the open side end of the tunnel portion 22 is smaller than the width (W2 BOT )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he depth dp2 of the passage portion 223 and the width w2 BOT of the bottom side surface are set so that the protruded height ht1 of the protruding bar 21 shown in Fig. And the width w1 TOP of the surface.

상기 안내 가드부(225)가 돌출되는 정도는, 도 4의 (b)에서 예시된 바의 돌출바(21)에 형성되는 쐐기형 홈(213)의 깊이(42)의 일정 비율, 예를 들면 50~80%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결합 구조를 갖는 타 용기의 돌출바의 쐐기형 홈에 상기 안내 가드부(225)가 끼워진 채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타 용기의 돌출바가 상기 진입부(222)의 입구(221)를 통해서 삽입된 후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는 동안에, 상기 안내 가드부(225)가 터널부(22)내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바의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그 돌출바가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 개방된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egree to which the guide guard portion 225 protrudes is a certain ratio of the depth 42 of the wedge-shaped groove 213 formed in the protruding bar 21 shown in FIG. 4B, for example, 50 to 80%. With such a structure, the guide guard portion 225 can be slid in the wedge-shaped groove of the protruding bar of the other container having the same engagement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ding bar of the other container is inserted through the inlet 221 of the entry portion 222 and then slid while being engaged so that the guide guard portion 225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bar inserted in the tunnel portion 22 By acting as a jaw, the projecting bar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o the open side by the artificial force of the user.

상기 차단부(224)는, 그 종단으로 갈수록 개방측 단의 상하측 간의 폭도 완만히 좁아지면서, 또한 그 바닥측 면도 완만히 높아지는(61), 즉 용기 내측으로 만입된 터널부의 깊이가 완만히 얕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그 깊이가 0이되면서 결합면(2)과 동평면이 되는 지점이 상기 차단부(224)의 종단, 즉, 상기 터널부(22)의 종단이 된다.The blocking portion 224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pening side end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thereof and the bottom side thereof is also gradually raised (61), that is, the shape in which the depth of the tunnel portion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ecomes gentle . The point at which the depth becomes zero and becomes coplanar with the coupling surface 2 becomes the end of the blocking portion 224, that is, the end of the tunnel portion 22.

한편, 상기 안내 가드부(225)도, 상기 차단부(224)의 구조에 따라, 터널부의 종단으로 갈수록 가드단 간격(w2TOP)도 서서히 좁아지고, 또한 그 돌출된 두께(th2)도 서서히 얇아지게 된다. 하지만, 종단에서도 그 가드단 간격은 0보다는 큰 소정 간극(gp2)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타 용기의 돌출부의 선단부 첨두가, 상기 터널부(22)의 종단을 미세하게 더 지나치게 하기 위함이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guiding guard portion 225 also has a gradually narrowed guard end interval w2 TOP as the end portion of the tunnel portion is gradually narrow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blocking portion 224 and also the protruded thickness th2 is gradually thin . However, even at the end, the guard interval maintains a predetermined gap gp2 larger than zero. This is because the peak of the tip of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slightly oversteps the end of the tunnel portion 22. The reas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7은, 지금까지 설명한 결합 구조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용기를 결합할 때, 결합 구조간의 상호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의 단면도는, 양 용기(10a,10b)의 돌출바가 터널부에 삽입된 채로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결합과정에 있는 한 쌍의 용기에 대해서, 그 돌출바( 또는 터널부 )의 중앙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용기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절단하였을 때의 일부분을 보여주고 있다. (a)는 양 용기가 상대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있는 상태를, (b)는 슬라이드 후 결합 완료된 상태를 보여준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state of the coupling structures when coupling the pair of containers in which the coupling structures described so far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IG.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protruding bars of both containers 10a and 10b are slid while being inserted into a tunnel portion. With respect to a pair of containers in the coupling process, )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a) shows a state in which both containers are relatively sli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b) shows a state in which both of the containers are engaged after sliding.

사용자가 제 1용기(10a)와 제 2용기(10b)의 양 결합면(2a,2b)을 서로 대면시킨 상태에서 서로 나란히 배치한 후, 양 용기가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힘을 주게 되면, 도 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 용기의 결합면이 서로 맞닿은 채로(71), 제 1용기(10a)의 돌출바(21a)가 제 2용기(10b)의 터널부(22b)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된다.If the user places the first container 10a and the second container 10b in such a state that the two engagement surfaces 2a and 2b of the second container 10b face each other and then force both containers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pproach each other, The protruding bar 21a of the first container 1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unnel portion 22b of the second container 10b while the engagement surfaces of the both contain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71) Slides as they are inserted.

이 슬라이드 동안에, 제 1용기(10a)의 돌출바(21a)의 선단부가 제 2용기(10b)의 터널부(22b)의 차단부에 진입하면서 양측의 곡면이 서로 맞닿게 되면, 그 때부터는, 돌출부(21a)가 차단부(22b)의 곡면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드됨으로써,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부(22b)의 바닥측 면(226b)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부 측으로 밀리게 된다(72). 그리고, 사용자의 결합하고자 하는 힘이 계속 가해짐으로써 이 과정이 조금 더 지속되면, 상기 제 1용기(10a)의 돌출바(21a)의 첨두(217a)가, 상기 제 2용기(10b)의 터널부(22b)의 개방측 단, 즉 결합면(2b)에서 조금 더 튀어 나오게 된다. 이는, 앞서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터널부(22b)의 가드단 간격이 그 종단에서 0으로 완전히 차단되지 않고 약간의 간극(gp2)을 유지하기 때문이다.During this slide, when the front end of the protruding bar 21a of the first container 10a enters the blocking portion of the tunnel portion 22b of the second container 10b and the curved surfaces of both sid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otruding portion 21a is sli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curved surface of the blocking portion 22b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21a is pushed toward the upper sid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bottom side surface 226b of the tunnel portion 22b as shown in Figure 7 (b) (72). The peak 217a of the protruding bar 21a of the first container 10a is connected to the tunnel of the second container 10b by the force of the user, I.e., the engagement surface 2b, of the portion 22b.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interval between the guard ends of the tunnel portion 22b is not completely blocked to zero at the end thereof, but a slight gap gp2 is maintained.

이렇게 상기 제 1용기(10a)의 돌출바(21a)의 첨두(217a)가 상기 제 2용기(10b)의 터널부(22b)의 개방측 단보다 조금 더 튀어 나오게 되면, 상기 양 용기(10a,10b)의 결합면(2a,2b)도 소정 거리(73)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When the peak 217a of the protruding bar 21a of the first container 10a protrudes more than the open end of the tunnel 22b of the second container 10b, 10b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73.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기 제 1용기(10a)가, 상기 제 2용기(10b)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정도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돌출바(21a)의 쐐기형 홈의 경사면(213-1a)이 터널부(22b)의 안내 가드부의 경사진 내벽(226-1b)에 밀착됨에 의해 제한된다.The degree to which the first container 10a is relatively spaced relative to the second container 10b is determ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wedge-shaped grooves 213-d of the protruding bar 21a, 1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inner wall 226-1b of the guide guard portion of the tunnel portion 22b.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PET와 같은 합성수지에 의해 제조되므로, 위와 같은 한 쌍의 용기의 결합 과정에서 그들의 결합 구조에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을 미세한 수축과 같은 변형을 통해 흡수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은 그 용기들의 분리 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대로 복원된다.Since the container having the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ET, the force or pressure applied to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above pair of containers during the joining process can be reduced And this deforma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elastic force upon separation of the containers.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용기(10a,10b)를 도 3과 같이 서로 결합시킬 때, 양 용기의 결합면(2a,2b)을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게 하는 것은, 사용자가 양 용기를 보다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조를 갖는 용기는 PET 소재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재질은 양 결합면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정지 마찰력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양 용기를 서로 분리시키고자 양 결합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키고자 할 때, 그 맞닿은 상태에서의 정지 마찰력을 이기는 크기의 힘을 가해야만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양 용기가 서로 결합된 상태일 때 양 용기의 결합면이 서로 닿아 있지 않도록 해 둠으로써, 사용자는 정지 마찰력을 극복할 필요없는 작은 크기의 힘을 가해도 양 용기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ir of containers 10a and 10b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the engagement surfaces 2a and 2b of the both contain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e able to do so. The container having the joi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 PET material. The material causes a static frictional force in a state in which both engaging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wishes to relatively slide the both engagement surfaces to separate the containers from each other, a force of magnitude to overcome the static frictional force in the abutted state must be applied.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both the contain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ngagement surfaces of the two containers are prevented from touching each other, so that even if a user applies a small-sized force that does not need to overcome the static frictional force, Can be releas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용기로 조립되게 하는 결합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Various embodiments of a coupling structure for assembling a pair of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ructures and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in various ways mutually, .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 substitution, addition, or the like.

1: 곡면부 2,2a,2b: 결합면
3,3a,3b: 뚜껑 10,10a,10b: 용기
21,21a,21': 돌출바 22,22b: 터널부
211,215: 선단부 212: 바디부
213: 쐐기형 홈 216: 후단부
222: 진입부 223: 통로부
224: 차단부 225: 안내 가드부
1: curved surface portion 2, 2a, 2b: coupling surface
3, 3a, 3b: lid 10, 10a, 10b: container
21, 21a, 21 ': protruding bars 22, 22b:
211, 215: tip end portion 212:
213: wedge-shaped groove 216: rear end portion
222: entry portion 223:
224: blocking part 225: guide guard part

Claims (5)

내용물을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그 외면들 중 적어도 일측의 면에, 상기 용기의 바닥면과 수직이 되는 평면 형태인 결합면(2)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결합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출바(21)와, 상기 결합면에서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이면서 상기 결합면 측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터널부(22)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에 서로 평행하게 소정 크기 이상의 길이로써 각기 구비되어 있되,
상기 돌출바는, 상기 길이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서, 그 상하측 간의 폭이 상기 결합면 측에 가까울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터널부는, 상기 길이의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서, 그 상하측 간의 폭이 상기 결합면 측에 가까울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 터널부는, 상기 결합면이 이웃하고 있는 상기 용기의 인접 외면까지 형성됨으로써 그 인접 외면으로 개통된 입구(221)를 갖는 구조인 것이고,
또한, 상기 돌출바는, 상기 길이의 방향에서의 양 종단부 중, 상기 입구(221)에 더 근접된 측의 선단부가,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돌출바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완만하게 증가하고 또한 상하측 간의 폭도 완만하게 넓어지는 구조(211)를 가지고,
상기 터널부는, 상기 입구(221)의 반대측의 종단이 막혀 있는 구조이되, 소정 길이의 상기 종단까지의 구간에서, 상기 터널부의 함몰된 면이 상기 결합면까지 완만하게 높아지는 형태(224)로 막혀 있고, 상기 터널부의 개방된 측의 상하측 간의 간격은, 소정 길이의 상기 종단까지의 구간에서 상기 종단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좁아지면서, 상기 종단에서는 상기 선단부의 첨두의 폭보다는 큰 소정 간극이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인 용기.
In a container in which an inner space capable of filling contents is secured,
The container has, on at least one side of its outer surfaces, a coupling surface (2) in a planar form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 protruding bar 21 protruding from the surface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tunnel portion 22 which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coupling surface toward the inner space side and is open to the coupling surface sid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is provided with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protruding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ength has a wid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coupling surface side and the tunnel section is formed in at least part of the s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length, And the tunnel portion is formed to reach an adjacent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djacent to the coupling surface so that an inlet 221 opened to the adjacent outer surface is formed Lt; / RTI >
In addition, the protruding bar may be formed such that a tip end portion closer to the inlet 221 out of both end por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length extends over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tructure 211 in which the height from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gradually increased,
The tunnel portion is closed with a shape 224 in which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21 is clogged and the recessed surface of the tunnel portion gradually increases to the engagement surface in the section to the end of the predetermined length ,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pen side of the tunnel portion gradually narrows from the section to the terminal end of the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terminal end and becomes a predetermined gap larger than the peak width of the tip end portion at the terminal end Contain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바는, 상기 선단부의 반대측의 종단부도, 소정 길이의 구간에 걸쳐서, 상기 돌출바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완만하게 증가하고 또한 상하측 간의 폭도 완만하게 넓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인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from the engagement surface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bar and the width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gradually widened over the section of the predetermined length, Container hav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들 중 상기 결합면과 이웃하고 있는 면에는, 상기 돌출바 및 상기 터널부와 동 높이에 각각 그 외면에서 용기의 내부측으로 오목해진 구조인 홈(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roove (4)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outer surfaces adjacent to the coupling surface, the groove being concave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at the same height as the protruding bar and the tunnel portion.
KR1020160140313A 2016-10-26 2016-10-26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KR1017269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13A KR101726980B1 (en) 2016-10-26 2016-10-26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13A KR101726980B1 (en) 2016-10-26 2016-10-26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876 Division 2016-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980B1 true KR101726980B1 (en) 2017-04-13

Family

ID=5857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13A KR101726980B1 (en) 2016-10-26 2016-10-26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98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82Y1 (en) * 2004-02-09 2004-05-04 (주)옥야 Beverage bottle
KR20110000431U (en)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빙그레 Beve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282Y1 (en) * 2004-02-09 2004-05-04 (주)옥야 Beverage bottle
KR20110000431U (en) * 2009-07-08 2011-01-14 주식회사 빙그레 Beve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7025S1 (en) Plug seal
USD836455S1 (en) Bottle
US5054835A (en) Food handling implement
USD477535S1 (en) Combined cosmetic powder container and cap
USD936481S1 (en) Nail polish bottle
USD859087S1 (en) Beverage container insulator
USD873145S1 (en) Water bottle
US20140284343A1 (en) Travel Mug Apparatus
USD894588S1 (en) Insulin travel case
USD977972S1 (en) Bottle stopper
US9085398B1 (en) Food pouch container
CN208808068U (en) A kind of cup lid and the ice cup comprising the cup lid
US20020139802A1 (en) Tablet box construction
KR101726980B1 (en) Container with structures to combine into a pair of containers
US20200154918A1 (en) Multifunctional Environmentally-Friendly Straw Structure
KR200485912Y1 (en) Cosmetic container
USD898293S1 (en) Combined lip balm and floss container with caps on both ends
KR200478557Y1 (en) A multipurpose tumbler
USD911026S1 (en) Personal effects holder
KR101680474B1 (en) Container cover with pour spout and spoon
TWM251546U (en) Structure of lower curtain rail
USD1021264S1 (en) Lipstick
JP3236134U (en) Straw structure
US20080086972A1 (en) Brick-based construction toy system
USD922776S1 (en) Dual-ended cosmetic and personal care brush with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