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050B1 -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 Google Patents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050B1
KR101725050B1 KR1020160124030A KR20160124030A KR101725050B1 KR 101725050 B1 KR101725050 B1 KR 101725050B1 KR 1020160124030 A KR1020160124030 A KR 1020160124030A KR 20160124030 A KR20160124030 A KR 20160124030A KR 101725050 B1 KR101725050 B1 KR 10172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eeding
forming
uni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324A (ko
Inventor
조영손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05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6Seeders combined with fertilis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토양 표면에 종자를 뿌리는 파종부; 및 상기 토양 표면에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는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종부와 상기 형성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형성부는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파종부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DIRECT SEEDER FOR MULTIPURPOSE BY MAKING OF FURROW AND RIDGE}
본 발명은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면서 파종할 수 있는 파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종작업은 파종한 종자가 일시에 발아하여 균일하게 생육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깊이로 적당한 양의 종자를 효율적으로 파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기의 주요기능은 골파기, 씨뿌리기, 흙덮기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42961호에는 파종 홈을 형성하고 파종 홈에 종자를 뿌리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살펴보면 파종 홈을 형성하는 파종 바늘이 설치된 부위가 직접 열리도록 하여 열린 개구부를 통해 종자가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파종 홈에 종자를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실제 토성과 물리성에 따라 파종구와 파종 간격이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42961호
본 발명은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면서 파종할 수 있는 파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토양 표면에 종자를 뿌리는 파종부; 및 상기 토양 표면에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는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종부와 상기 형성부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형성부는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파종부의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토양 표면에 종자를 뿌리는 파종부; 및 상기 토양 표면에 상기 종자가 뿌려지는 간격을 조절하는 회전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파종부 및 상기 회전 바퀴는 이동 수단에 의해 함께 끌려가고, 상기 회전 바퀴는 상기 이동 수단에 끌려가는 과정에서 상기 토양 표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파종부에 마련된 상기 종자의 이송 통로에는 상기 회전 바퀴의 회전 각도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토양 표면에 종자를 뿌리는 파종부와 상기 토양 표면에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는 형성부가 마련된 파종 유니트;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상기 파종 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니트에는 상기 파종 유니트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이랑과 고랑을 형성하는 형성부가 파종부의 뒤에 배치되므로, 종자가 심어진 상태에서 이랑과 고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둑 아래 경사면 부근에 종자가 심어지므로, 이랑과 고랑의 형성 시점뿐만 아니라 추후 이랑의 흙이 고랑으로 침하되더라도 종자와 토양 표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종부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 상으로 파종부와 다른 위치에 비료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종자에 직접 비료가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료를 뿌릴 수 있다.
형성부에서 토양을 파내는 굴착 부위는 평면상으로 파종부의 이동 방향에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부는 고랑 위치의 흙을 파내서 이랑 위치에 덮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랑과 고랑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파종부와 비료부는 위 굴착 부위에 평행한 가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형성부는 이동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놓여진 종자와 비료에 동시에 흙을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마련된 각도 조절부, 깊이 조절부에 따르면, 이랑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종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이랑의 최적 높이를 쉽게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빗물 등의 유로가 되는 배수골 등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파종부의 이동시 토양 표면의 마찰력에 의해 굴러가는 회전 바퀴를 이용하여 종자 또는 비료의 출력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파종부의 이동 속도에 상관없이 일정한 간격마다 종자 또는 비료를 뿌릴 수 있다. 또한, 회전 바퀴를 파종부와 함께 이동 수단에 연결시키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없어도 이동 수단에 끌려가는 과정에서 회전 바퀴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의 굴착 과정에서 형성부에 달라붙은 토양을 떼어내는 소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형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형성부에 달라붙은 토양에 의해 형성부의 굴착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종부와 형성부가 마련된 파종 유니트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파종 유니트의 간격은 간격 조절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종자에 따라 달라지는 고랑 간의 간격이 쉽게 만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로부터 토양 표면에 뿌려진 종자와 비료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파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이랑의 토양이 고랑으로 침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각도 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소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형성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파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파종부(110) 및 형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종부(110)는 토양 표면(10)에 종자(90)를 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파종부(110)의 단부에는 종자(90)가 출력되는 토출구가 마련될 수 있다.
파종부(110)는 자동으로 종자(90)를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파종부(110)는 제1 케이블(119)을 통해 종자 저장부(118)에 연결될 수 있다. 종자 저장부(118)는 종자(90)가 저장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케이블(119)을 통해 파종부(110)에 종자(90)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케이블(119)은 플렉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종부(110)와 종자 저장부(118)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일예로, 종자(90)의 종류에 따라 파종부(11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데, 제1 케이블(119)에 의하면 파종부(110)의 위치 변경에도 불구하고 종자 저장부(118)는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형성부(130)는 토양 표면(10)에 이랑(30)과 고랑(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랑(30)은 토양 표면(10)을 갈아 골을 타서 두둑하게 토양(11)을 쌓아 만든 곳일 수 있다. 고랑(50)은 두둑한 토양(11)과 토양(11) 사이에 길고 좁게 들어간 곳일 수 있다.
형성부(130)는 평평한 토양 표면(10)에서 제2 위치 y2의 토양(11)을 파내서 제1 위치 y1에 쌓을 수 있다.
이때, 토양(11)이 파내진 제2 위치 y2가 고랑(50)이 되고, 고랑(50)으로 파내진 토양(11)이 쌓인 제1 위치 y1이 이랑(30)이 될 수 있다.
이랑(30)과 고랑(50)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부(130)는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쟁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쟁기가 제1 방향 ①(x축)을 따라 이동하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랑(30)과 고랑(50)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이랑(30)과 고랑(50)을 형성하는 동시에, 적절한 위치에 종자(90)를 심기 위한 것이다. 이를 만족하기 위해 파종부(110)와 형성부(130)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형성부(130)는 제1 방향 상으로 파종부(110)의 뒤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만약, 형성부(130)가 파종부(110)의 앞에 배치된다면, 이랑(30)과 고랑(50)이 형성된 뒤에 종자(90)가 뿌려지게 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종자(90)는 이랑(30)의 표면 또는 고랑(50)의 표면에 배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과 같이 형성부(130)가 파종부(110)의 뒤에 배치된다면, 종자(90)는 이랑(30)과 고랑(50)이 없는 평평한 토양 표면(10) 상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종자(90)가 놓여진 위치가 형성부(130)가 지나가는 자리의 근처라면, 해당 종자(90)는 뒤따라오는 형성부(130)에 의해 퍼올려진 토양(11)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즉, 형성부(130)가 파종부(110)의 뒤에 배치되고 이랑(30)과 고랑(50)이 형성될 위치에 종자(90)가 뿌려지면, 해당 종자(90)는 이랑(30)과 고랑(50)의 형성 과정에서 토양(11)에 덮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방향 상으로 파종부(110)의 앞에는 경운 유니트(190)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운 유니트(190)는 토양(11)을 갈아엎어서 토양 표면(10)을 개질하는 요소일 수 있다. 또한, 경운 유니트(190)는 갈어엎어진 토양(11)을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평탄화된 토양 표면(10)에 따르면 형성부(130)는 적은 힘을 이용해 이랑(30)과 고랑(5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토양 표면(10)에 비료(80)를 뿌리는 비료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료부(150)로부터 출력된 비료(80)는 종자(90)의 발아 및 생장에 도움을 주는 물질일 수 있으나, 종자(90)에 직접 접하지 않는 것이 좋다. 비료(80)가 종자(90)에 닿지 않도록 비료부(150)는 제1 방향 ①에 수직한 제2 방향(y축) 상으로 파종부(110)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료(80)가 제1 방향을 따라 이산적으로 뿌려지거나, 제1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뿌려지는 것에 상관없이 종자(90)에 비료(80)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로부터 토양 표면(10)에 뿌려진 종자(90)와 비료(80)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랑(30)과 고랑(50)이 형성되는 동시에 토양 표면(10)의 아래에 종자(90)가 심어지도록 하기 위해 파종부(110)는 이랑(30)이 형성될 위치와 고랑(50)이 형성될 위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형성부(130)는 제2 방향 상으로 제1 위치 y1에 이랑(30)을 형성하고, 제2 위치 y2에 고랑(5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y1은 제2 방향 상으로 이랑(30)에서 가장 높은 위치이고, 제2 위치 y2는 제2 방향 상으로 고랑(50)에서 가장 깊은 위치일 수 있다. 이때, 파종부(110)는 제2 방향 상으로 제1 위치 y1과 제2 위치 y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시간의 경과와 상관없이 토양 표면(10)과 종자(90) 간의 거리, 다시 말해 종자(90)가 토양(11)에 심어진 깊이가 일정할 필요가 있다면, 종자(90)는 이랑(30)과 고랑(50) 사이의 경사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파종부(110)는 제1 위치 y1과 제2 위치 y2의 중간 위치 ⓒ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간 위치 ⓒ에 가깝다는 것은 파종부(110)의 위치가 y3일 때, y1과 y3의 거리보다 중간 위치와 y3의 거리가 짧고, y2와 y3의 거리보다 중간 위치와 y2의 거리가 짧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제2 방향 상으로 종자(90)의 위치가 일정할 필요가 있다면, 파종부(110)의 위치는 y1과 ⓒ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파종부가 y2와 ⓒ의 사이에 배치되면 형성부(130)에 의해 퍼올려진 토양(11)과 함께 종자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비료(80)는 중력 방향 상으로 종자(9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선, 비료부(150)는 토양 표면에 뿌려지는 종자(90)보다 낮은 땅 속에 비료(80)를 뿌릴 수 있다.
일예로, 비료부(150)는 평평한 토양 표면(10)에 박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토양 표면(10)이 단단하면 비료부(150)가 땅에 박히기 어려울 수 있으나, 앞에서 설명된 경운 유니트(190)가 마련된다면 별다른 문제가 없다.
땅 속에서 비료(80)가 뿌려지는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비료부(150)의 토출구 ⓣ는 날개부(156)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날개부(156)는 토출구 ⓣ로부터 사방으로 확장되는 판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날개부(156)의 일면은 토양(11)에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날개부(156)의 타면 중심에는 토출구 ⓣ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토출구 ⓣ가 토양(11)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참고로, 날개부(156)는 파종부(110)에도 형성될 수 있다.
토양 표면(10)에 박힌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비료부(150)에 의하면 토양 표면(10)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의 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의 안에는 비료(80)가 뿌려질 수 있다.
비료부(150)는 제2 방향 상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비료부(150)는 제2 방향 상으로 제2 위치 y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료부(150)로부터 출력된 비료(80)는 고랑(50)이 될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비료부(150)는 제1 위치 y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료(80)는 이랑(30)이 될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 상으로 비료부(150)의 위치 y4는 제1 위치 y1과 제2 위치 y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비료부(150)의 위치 y4는 파종부(110)의 위치 y3와 다른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형성부(130)는 토양 표면(10)에서 제2 위치 y2의 토양(11)을 파내서 제1 위치 y1에 쌓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형성부(130)에서 토양(11)을 파내는 굴착 부위는 평면상으로 제1 방향 ⓛ에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굴착 부위가 도 3의 i처럼 기울어지면, 제2 위치로부터 파내진 토양(11)은 i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위치의 우측에 마련된 제1 위치에 쌓일 수 있다.
여기서, 파종부(110)와 비료부(150)는 평면상으로 굴착 부위에 평행한 가상선 j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토양(11)에 뿌려진 종자(90)와 비료(80) 역시 가상선 i에 평행한 가상선 상에 배치될 것이다. 그리고, 해당 종자(90)와 비료(8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성부(130)에 의해 토양(11)에 덮일 수 있다. 종자(90)의 경우 고랑(50)으로부터 파낸 흙에 덮이고, 비료(80)의 경우 자신의 위로 형성부(130)가 지나가는 과정에서 흙에 덮일 수 있다.
제1 방향 ⓛ 상으로 파종부(110)와 비료부(150)의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예로, 제1 방향 ⓛ 상으로 형성부(130)는 x1에 배치되고 파종부(110)는 x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x1은 x2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비료부(150)의 위치 x3는 x1과 x2의 사이이거나, x2의 앞일 수 있다. 도면에는 비료부(150)가 파종부(110)의 앞에 배치된 상태가 개시된다.
비료부(150)와 파종부(110)가 동시에 비료(80)와 종자(90)를 뿌린다면, 비료(80)가 종자(90)보다 앞에 위치할 것이다. 이때,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형성부(130)가 종자(90)와 비료(80)의 사이에서 정지한다면 종자(90)만 흙에 덮이고, 비료(80)는 흙에 덮이지 않은 상태가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형성부(130)의 굴착 부위가 종자(90)/비료(80)에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므로, 형성부(130)가 어느 위치에 정지하더라도 종자(90)와 비료(80)는 함께 흙에 덮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파종부(110)와 비료부(150)가 제1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 결과 파종부(110)와 비료부(150)는 x축 위치 및 y축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종자(90)에 직접 비료(80)가 닿는 경우가 배제될 수 있다.
도 4는 파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이랑(30)의 토양(11)이 고랑(50)으로 침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살펴보면, y1과 ⓒ의 사이에 배치된 종자(90)는 형성부(130)에 의해 고랑(50) 위치로부터 퍼올려진 토양(11)에 덮일 수 있다.
y2와 ⓒ의 사이의 땅 속에 배치된 비료(80)는 상측이 개구된 상태가 되는데, 비료(80)의 상측을 지나가는 형성부(130)에 의해 해당 개구가 폐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료(80) 역시 형성부(130)에 의해 토양(11)에 덮일 수 있다.
만약, 비료부(150)가 y1과 ⓒ의 사이에 배치된다면, 종자(90) 마찬가지로 비료(80)는 형성부(130)에 의해 퍼올려진 토양(11)에 덮일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종자(90)는 이랑(30)과 고랑(50)의 경사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이랑(30)의 토양(11)이 고랑(50)으로 침하되더라도 위 경사면에는 침하되는 토양(11)이 쌓이기 어렵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경사면 부근에 위치한 종자(90)는 토양(11)의 침하 여부와 상관없이 토양 표면(10)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랑(30)과 고랑(50)의 규격은 형성부(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예로, 형성부(130)가 판 형상일 때, 제1 방향에 기울어진 형성부(130)의 각도에 따라 고랑(50)의 폭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고랑(50)의 폭이 달라지면 고랑(50)으로부터 파내진 토양(11)의 양도 변경되므로, 고랑(50)으로부터 퍼올린 토양(11)으로 형성되는 이랑(30)의 높이도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형성부(130)가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깊이에 따라 고랑(50)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고랑(50)의 깊이가 달라지면 고랑(50)으로부터 파내진 토양(11)의 양 역시 변경되므로, 이랑(30)의 높이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이랑(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각도 조절부(210) 또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10)는 평면상으로 형성부(130)가 제1 방향에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1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부(2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일예로, 각도 조절부(210)는 스플라인(splin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파종 장치에는 파종부(110)와 형성부(130)를 제1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 수단(200)과 형성부(130)를 연결하고 형성부(130) 및 파종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에는 제1 스플라인부가 마련되고, 형성부(130)에는 제1 스플라인부에 착탈되는 제2 스플라인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스플라인부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홈(121)의 외주에는 방사 방향으로 패인 복수의 걸림 홈(12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스플라인부는 설치 홈(121)에 착탈되는 설치 돌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 돌기(131)의 외주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고 걸림 홈(122)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132)가 마련될 수 있다. 설치 돌기(131)는 형성부(130)에 체결된 상태일 수 있다.
복수의 걸림 홈(122)은 서로 다른 각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설치 돌기(131)가 끼워지는 걸림 홈(122)의 각도에 의해 형성부(130)가 제1 방향에 기울어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형성부(130) 간의 각도가 90도에 가까워질수록 고랑(50)의 폭이 증가하고, 고랑(50)의 폭 증가로 인해 이랑(30)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1 방향과 형성부(130) 간의 각도가 0도에 가까워질수록 고량의 폭이 감소되고, 고량의 폭 감소로 인해 이랑(30)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도 조절부(210)에 의해 이랑(30)의 높이가 결정되거나 고랑(50)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자(90)가 벼인 경우의 이랑(30) 높이는 종자(90)가 보리 등 맥류인 경우의 이랑(30)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벼 재배에 적절한 높이의 이랑(30)을 형성하기 위해 고랑(50)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형성부(130)는 진행 방향인 제1 방향에 40도~45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리를 위한 높이의 이랑(30)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부(130)는 제1 방향에 25도~30도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방향에 기울어진 가상선 i를 따라 형성부(130)가 형성될 때, 파종부(110)와 비료부(150)는 i에 평행한 가상선 j 상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각도 조절부(210)에 의해 제1 방향과 형성부(130) 간의 각도 α가 변경되면, 이에 맞춰 제1 방향과 j의 각도 β도 조절되는 것이 좋다. 이때, β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각도 조절부(2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각도 조절부(210)는 평면상으로 가상의 평행사변형의 꼭지점에 마련된 4개의 회전축(41, 42, 43, 45)과, 위 평행사변형의 선분을 형성하고 각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은 형성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회전축(41)은 형성부(130)의 회전 중심에 마련되고, 제2 회전축(42)은 제1 회전축(4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회전축(41) 및 제2 회전축(42)은 평면상으로 형성부(130)에서 토양(11)에 대면되는 굴착 부위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즉, 제1 회전축(41) 및 제2 회전축(42)은 가상선 i 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제3 회전축(43)은 비료부(150)에 마련되고, 제4 회전축(44)은 파종부(110)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형성부(130)가 지지되는 지지부(120)가 마련되면, 지지부(120) 상에 제1 회전축(41)과 제3 회전축(43)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므로 제1 회전축(41)과 제3 회전축(43)을 연결하는 별도의 가이드가 마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회전축(41)과 제2 회전축(42)을 연결하는 가이드는 형성부(130)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는 제3 회전축(43)과 제4 회전축(44)을 연결하는 제1 가이드(211), 제4 회전축(44)과 제2 회전축(42)을 연결하는 제2 가이드(212)만 마련되면 충분하다.
각 꼭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평행사변형의 경우 그 형태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서로 대면하는 2개의 선분은 서로 평행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α가 어떻게 변화하더라도 β는 α와 동일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때, α는 형성부(130)가 제1 방향과 이루는 각도이고, β는 파종부(110)와 비료부(150)가 배치되는 가상선 j와 제1 방향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성부(130)의 각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i와 j는 자동으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깊이 조절부는 형성부(130)가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깊이 조절부에 따르면 이랑(30)의 높이가 결정되거나, 고랑(50)의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고랑(50)이 깊어지면 이랑(30)의 높이는 자연스럽게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고랑(50)이 깊게 형성되면 다른 고랑(50)과 구별되는 배수골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복수의 형성부(130)가 배치될 수 있는데, 특정 형성부(130)는 배수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형성부(130)는 일반적인 고랑(50)을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깊이 조절부에 의하면 특정 형성부(130)와 다른 형성부(130)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없이 동일한 형성부(130)를 마련하고, 깊이 조절부를 이용해 형성부(130)가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하면 충분하다.
일예로, 보리, 밀, 호밀, 귀리 등의 맥류 재배를 위해 초기 설계된 고랑(50)의 깊이보다 깊은 배수골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부(130)가 복수로 마련한 경우, 제2 방향 상으로 단부에 배치된 특정 형성부(130)가 배수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특정 형성부(130)는 깊이 조절부에 의해 다른 형성부(130)보다 토양 표면(10)에 깊게 박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깊이 조절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깊이 조절부는 지지부(120)의 회동에 따라 형성부(130)가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깊이 조절부는 지지부(120)의 회동 중심이 되는 회전축 ⓐ, 설정 각도에서 지지부(120)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파종 장치에는 트랙터 등의 이동 수단(200)에 연결된 프레임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는 프레임부(170)에 마련된 회전축 ⓐ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의 회전축 ⓐ는 평평한 토양 표면(10)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회전축 ⓐ가 y축을 따라 연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120)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수단(123)의 일측은 지지부(120)에 링크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수단(123)의 타측은 회전축 ⓐ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수단(123)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형성부(130)는 정방향으로 회동해서 토양 표면(10)에 깊게 박힐 수 있다. 만약, 고정 수단(123)을 위로 이동시키면 형성부(130)는 역방향으로 회동해서 토양 표면(10)에 얕게 박힐 수 있다.
형성부(130)의 이동 중에 고정 수단(123)이 상하로 유동되면 안되므로, 고정 수단(123)의 타측에는 프레임부(170)에 체결되는 나사, 핀 등이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의 홀은 상하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나사, 핀 등이 관통하는 홀의 선택에 따라 형성부(130)가 땅에 박히는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파종부(110)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지지부(120)에 형성부(130)와 함께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형성부(130)의 높이 낮아질수록, 다시 말해 형성부(130)가 땅에 깊이 박힐수록 파종부(110)의 위치도 낮아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 파종부(110)의 토출구가 땅에 박히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랑의 깊이에 따라 종자가 심어지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땅에 박히는 경우를 감안하여 파종부(110)에는 도 2에 설명된 날개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종 장치에는 파종부(110), 비료부(150), 형성부(130), 각도 조절부(210), 깊이 조절부 외에 다양한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파종 장치에는 앞에서 설명된 경운 유니트(190)가 마련될 수 있다.
경운 유니트(19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수단(200)에 연결되고, 제1 방향 상으로 파종부(110)의 앞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운 유니트(190)는 단단한 땅을 갈아엎는 경운부(191), 갈아엎어진 토양(11)의 표면을 평평하게 평탄화시키는 평탄부(192), 경운부(191)와 평탄부(192)를 이동 수단(20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 상으로 경운부(191)는 평탄부(192)의 앞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93)는 제1 방향 상으로 경운 유니트(190)의 후단에 위치하는 프레임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70)는 연결부(193)를 통해 이동 수단(20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93)에는 프레임부(170)가 연결되는 회전축 ⓑ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 ⓑ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부(170)는 회전축 ⓑ를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회동하거나 역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부(170)가 정방향으로 회동되면, 프레임부(170)에 연결된 형성부(130)는 토양 표면(10)에 박힐 수 있다. 만약, 프레임부(170)가 역방향으로 회동되면, 형성부(130)는 토양 표면(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70)는 이랑(30)과 고랑(50)이 형성될 위치에서는 정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외의 위치에서는 역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파종 장치에는 비료 저장부(158)가 마련될 수 있다. 비료 저장부(158)는 앞에서 설명된 종자 저장부(118)와 유사하게 비료(80)가 저장되고, 플렉시블한 제2 케이블(159)을 통해 비료부(150)로 비료(80)를 제공할 수 있다.
종자 저장부(118) 또는 비료 저장부(158)에는 개폐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개폐부(18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개폐부(180)는 종자 저장부(118)로부터 파종부(110)까지 형성된 종자(90)의 이송 통로 또는 비료 저장부(158)로부터 비료부(150)까지 형성된 비료(80)의 이송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일예로, 개폐부(180)는 종자 저장부(118)의 출구, 제1 케이블(119), 파종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개폐부(180)는 비료 저장부(158)의 출구, 제2 케이블(159), 비료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자(90)의 이송 통로에 마련된 개폐부(18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 등장하는 개폐부(180)는 비료(80)의 이송 통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환기한다.
토양 표면(10)에 뿌려진 종자(90)는 제1 방향 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개폐부(180)는 제1 방향 상으로 설정 간격마다 종자(90)의 이송 통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방향 상으로 설정 간격마다 종자(90)가 뿌려지도록, 개폐부(180)는 설정 시간 간격마다 이송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파종부(110)가 정속도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파종부(110)를 움직이는 이동 수단(200)이 정속도로 이동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파종부(110)의 속도와 상관없이 제1 방향 상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종자(90)가 뿌려지도록 하는 다른 방안이 요구된다.
일예로, 개폐부(180)는 회전 바퀴(181), 밸브(183), 링크 수단(18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퀴(181)는 토양 표면(10)에 종자(90)가 뿌려지는 간격을 조절하는 요소일 수 있다. 회전 바퀴(181)는 이동 수단(200)에 끌려가는 과정에서 토양 표면(10)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 바퀴(181)는 능동적으로 회전하는 구조 대신, 이동 수단(200)에 이끌려서 수동적으로 구르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밸브(183)는 종자(90)의 이송 통로에 마련되고, 해당 이송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이송 통로가 개방되면 종자 저장부(118)에 저장된 종자(90)는 이송 통로를 따라 이동해서 파종부(110)로부터 토양 표면(10)을 향해 출력될 수 있다. 이송 통로가 폐쇄되면, 종자(90)는 파종부(110)로부터 출력되지 못한다.
밸브(183)가 이송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동작은 회전 바퀴(181)의 회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링크 수단(185)은 토양 표면(10)에 접촉된 상태로 구르는 회전 바퀴(181)와 밸브(183)에 링크될 수 있다. 일예로, 링크 수단(185)은 회전 바퀴(181)와 밸브(183)를 연결하는 벨트, 체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 바퀴(181)가 회전할 때 밸브(183)도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183)가 특정 회전 각도에서 이송 통로를 개방하고, 다른 회전 각도에서 이송 통로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면, 회전 바퀴(181)의 회전에 의해 이송 통로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일정한 간격마다 종자(90)가 뿌려지도록 밸브(183)는 회전 바퀴(181)의 설정 회전 각도마다 이송 통로를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종부(110)에 마련된 종자(90)의 이송 통로에는 회전 바퀴(181)의 회전 각도에 의해 제어되는 밸브(183)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토양 표면(10)에 종자(90)가 간격 d1마다 뿌려지도록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회전 바퀴(181)의 반지름이 r일 때, 밸브(183)는 회전 바퀴(181)가 c 라디안(rad)만큼 회전할 때마다 종자(90)의 이송 통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c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093588509-pat00001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속도에 상관없이 제1 방향 상으로 파종부(110)가 실제로 이동한 거리에 따라 개폐부(180)가 구동되므로, 파종부(110)로부터 일정한 간격 d1으로 종자(90)가 출력될 수 있다.
회전 바퀴(181)의 위치는 제1 방향 상으로 어느 곳에 위치해도 무방하다. 다만, 파종부(110)와 형성부(130)의 설치 위치가 제한되지 않도록, 회전 바퀴(181)는 평탄부(192)와 파종부(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쟁기 형상 또는 판 형상의 형성부(130)에 의하면 굴착된 토양(11)이 형성부(130)에 달라붙을 수 있다. 이렇게 달라붙은 토양(11)은 형성부(130)의 굴착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형성부(130)로부터 소거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파종 장치는 소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소거부(14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소거부(140)는 형성부(130)에 달라붙은 토양(11)을 떼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소거부(140)에서 형성부(130)에 대면하는 면에는 토양(11)을 쓸어내는 빗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소거부(140)가 고정된 부재라면 소거부(140)에도 토양(11)이 달라붙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거부(140)는 형성부(130)에 붙은 토양(11)을 제거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거부(140)는 회전하거나,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형성부(130)를 닦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거부(140)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구동 수단 및 제어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소거부(140)를 움직이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 수단은 형성부(130)가 정지하면 액추에이터를 정지시키고, 형성부(130)가 이동하면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별도의 구동 수단과 제어 수단을 배제하기 위해, 소거부(140)는 회전 바퀴(181)에 링크될 수 있다. 이때의 회전 바퀴(181)는 토양 표면(10)에 접촉된 상태로 구를 수 있다. 그리고, 소거부(140)는 회전 바퀴(181)에 연결된 벨트, 체인 등을 통해 회전 바퀴(181)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더욱이, 해당 회전 바퀴(181)가 개폐부(180)와 일체로 형성되면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소거부(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소거부(140) 자체를 배제하기 위해 형성부(130)는 특수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파종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형성부(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형성부(130)는 제1 방향에 기울어진 원반 회전축(13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반(139)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원반(139)은 판 형상이거나,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접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형성부(130)는 원반(139)에서 움푹 들어간 면이 굴착될 토양(11)에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형성부(130)에서 토양(11)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토양(11)이 달라붙을 수 있다. 그런데, 형성부(130)는 원반 회전축(137)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토양(11)이 달라붙은 부위는 한바퀴 회전한 후 토양 표면(10)에 박힐 수 있다. 이때,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과정에서 달라붙어 있던 토양(11)이 떨어져 나갈 수 있다. 소위, 신발에 달라붙은 흙을 바닥에 문질러 떼어내는 것과 유사하다.
다만, 원반 회전축(137)이 제1 방향에 기울어진 상태이므로, 원반(139)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흙을 떼어내는 효과가 저하되므로 원반(139)이 확실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이 강구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 원반(139)의 가장자리에는 톱니(138)가 형성될 수 있다. 원반(139)의 가장자리는 토양 표면(10)에 박히는 부위이다. 따라서, 가장자리에 톱니(138)가 형성되면 원반(139)의 가장자리는 확실하게 땅에 박히게 되고, 이를 통해 원반(139)은 확실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파종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파종 장치는 파종 유니트(160) 및 연결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파종 유니트(160)에는 파종부(110)와 형성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파종 유니트(160)에는 파종부(110)와 형성부(13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유니트는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수단(200)에 파종 유니트(160)를 연결할 수 있다. 일예로, 연결 유니트는 앞에서 설명된, 연결부(193), 프레임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유니트에는 파종 유니트(160)가 제1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제3 방향은 제1 방향과 다르기만 하면 충분하고, 제2 방향과 동일해도 무방하다.
연결 유니트에 복수의 파종 유니트(160)가 설치된 상태라면, 연결 유니트가 이동 수단(20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한번 이동할 때마다 많은 수의 이랑(30)과 고랑(50)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많은 수의 종자(90)가 토양 표면(10)에 뿌려질 수 있다.
연결 유니트의 연장 길이를 무한정 길게 할 수 없으므로, 연결 유니트에는 제한된 개수의 파종 유니트(160)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때, 각 연결 유니트 간의 간격 d2는 종자(90)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벼의 경우 각 고랑(50) 간의 간격은 25cm~30cm인 것이 좋고, 맥류의 경우 각 고랑(50) 간의 간격은 20cm~25cm인 것이 좋다. 다양한 고랑(50) 간격을 요구하는 상황에 따라 파종 장치에는 제3 방향 상으로 각 파종 유니트(160) 간의 간격 d2를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간격 조절부는 연결 유니트에 마련된 제1 조절부(171)와 파종 유니트(160)에 마련된 제2 조절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171)는 제3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마련된 홈일 수 있으며, 제2 조절부(161)는 파종 유니트(160)에 마련된 홀일 수 있다. 제1 조절부(171)에서 특정 홈을 선택한 후, 선택된 홈에 파종 유니트(160)의 홀을 맞춘 후 나사, 핀 등의 체결 수단(169)을 끼우면, 파종 유니트(160)는 제3 방향 상으로 설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유니트에서 d2 간격을 만족하는 설정 위치마다 파종 유니트(160)를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고랑(50) 간의 간격이 d2로 될 수 있다.
파종 장치에는 종자 저장부(118)와 비료 저장부가 마련될 수 있는데, 종자 저장부(118)와 비료 저장부는 파종 유니트(160)의 간격 조절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종자 저장부(118)와 파종부(110)를 연결하는 제1 케이블(119) 및 비료 저장부와 비료부(150)를 연결하는 제2 케이블(159)이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므로, 별다른 무리없이 파종 유니트(160)를 옮길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 상으로 연결 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파종 유니트(160)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파종 유니트(160)와 비교하여 토양 표면(10)에 깊게 박히는 형성부(130)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 연결 유니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파종 유니트(160)는 배수골을 형성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모든 파종 유니트(160)를 동일하게 제작한 후 형성부(130)의 높낮이만 조절되면 되므로 각 파종 유니트(160)에는 앞에서 설명된 깊이 조절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토양 표면 11...토양
30...이랑 41...제1 회전축
42...제2 회전축 43...제3 회전축
44...제4 회전축 50...고랑
80...비료 90...종자
110...파종부 118...종자 저장부
119...제1 케이블 120...지지부
121...설치 홈 122...걸림 홈
123...고정 수단 130...형성부
131...설치 돌기 132...걸림 돌기
137...원반 회전축 138...톱니
139...원반 140...소거부
150...비료부 156...날개부
158...비료 저장부
159...제2 케이블 160...파종 유니트
161...제2 조절부 169...체결 수단
170...프레임부 171...제1 조절부
180...개폐부 181...회전 바퀴
183...밸브 185...링크 수단
190...경운 유니트 191...경운부
192...평탄부 193...연결부
200...이동 수단 210...각도 조절부
211...제1 가이드 212...제2 가이드

Claims (7)

  1. 토양 표면에 종자를 뿌리는 파종부;
    비료를 뿌리는 비료부;
    상기 토양 표면보다 깊은 위치의 흙을 파내면서 상기 토양 표면보다 깊게 파인 고랑을 형성하는 형성부;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수단에 상기 파종부, 상기 비료부, 상기 형성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형성부는 상기 파종부와 상기 비료부의 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상으로 상기 토양 표면에 뿌려진 상기 종자의 위치와 상기 고랑의 위치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방향 상으로 상기 비료부는 상기 종자의 위치와 상기 고랑의 위치 사이에 상기 비료를 뿌리며,
    상기 형성부는 상기 고랑의 깊이만큼 상기 토양 표면에 박힌 상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토양 표면에 뿌려진 상기 종자보다 낮은 위치의 흙을 파내며 상기 고랑을 형성하고,
    상기 종자보다 낮은 위치의 흙을 파내며 상기 고랑을 형성하는 상기 형성부는 상기 제2 방향 상으로 상기 파종부의 일측에만 배치되며,
    상기 파종부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형성부는 상기 고랑으로부터 파내어진 흙이 상기 비료를 넘어 상기 종자를 향해 유도되고 상기 종자를 덮도록, 상기 토양 표면에 뿌려진 상기 종자에 대면하게 상기 제1 방향에 기울어지게 형성된 파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상으로 제2 위치에 상기 고랑을 형성하고, 상기 고랑을 형성하면서 파낸 흙으로 상기 고랑 옆의 제1 위치를 덮으면서 상기 토양 표면보다 높은 이랑을 형성하고,
    상기 파종부는 상기 이랑에 상기 종자가 묻히도록 상기 제2 방향 상으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사이에 상기 종자를 뿌리는 파종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부가 상기 토양 표면에 박히는 깊이를 조절하는 깊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깊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고랑의 깊이 및 상기 종자를 덮는 흙에 의해 형성된 이랑의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파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운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경운 유니트에는 상기 파종부의 앞에 배치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앞에 배치되는 경운부가 마련되며,
    상기 경운부는 토양을 갈아엎고,
    상기 경운부의 뒤에 배치된 상기 평탄부는 상기 경운부에 의해 갈아엎어진 토양의 표면을 평평하게 평탄화시키며,
    상기 평탄부의 뒤에 배치된 상기 파종부는 상기 평탄부에 의해 평탄해진 상기 토양 표면에 상기 종자를 뿌리는 파종 장치.
KR1020160124030A 2016-09-27 2016-09-27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KR10172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30A KR101725050B1 (ko) 2016-09-27 2016-09-27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30A KR101725050B1 (ko) 2016-09-27 2016-09-27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936 Division 201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24A KR20160116324A (ko) 2016-10-07
KR101725050B1 true KR101725050B1 (ko) 2017-04-10

Family

ID=5714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30A KR101725050B1 (ko) 2016-09-27 2016-09-27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04675A1 (en) * 2018-07-13 2020-01-16 Simon Robert Frank CHAPLIN Seed sowing apparatus
CN109863859B (zh) * 2019-04-19 2023-10-24 南京农业大学 一种单片式少免耕播种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028A (ja) 2003-03-28 2004-10-28 Agritecno Yazaki Kk 施肥播種機
JP2014042486A (ja) 2012-08-27 2014-03-13 Tanaka Koki Kk 農作業機の覆土ディスク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961B1 (ko) 1998-01-21 2000-02-01 이창홍 점파파종기에서 종자량 및 파종간격 조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028A (ja) 2003-03-28 2004-10-28 Agritecno Yazaki Kk 施肥播種機
JP2014042486A (ja) 2012-08-27 2014-03-13 Tanaka Koki Kk 農作業機の覆土ディスク取り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24A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32448A1 (en) Tilling apparatus
RU2407267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машина с компактным сошником и бороздозаделывателем
CA2267470A1 (en) Soil contacting finger wheel
KR101746902B1 (ko) 점파식 파종기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작업기 어셈블리
CN109496478B (zh) 带状均间隙播种机
JP7225422B2 (ja) 土詰まり防止機能を備えた覆土マルチング装置
KR20140128994A (ko) 홈 개방 기구 및 파종기
KR101725050B1 (ko) 골형성 다목적 종자 파종 장치
JP2018143230A (ja) ビニール一貫播種機
EA009157B1 (ru) Сеялка
KR20160118446A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KR100740044B1 (ko) 비료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100990689B1 (ko) 산파식 파종기의 종자 배출부
CA1141237A (en) Trash walker no-till drill planting system
JP2000333511A (ja) 直播装置
KR200182584Y1 (ko) 트랙터용 배토기의 보조장치
RU21115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севной агрегат
KR102610618B1 (ko) 마늘 파종장치
KR101546341B1 (ko) 무경운골형성 파종 장치
KR20230161098A (ko) 스크루를 이용한 오거형 피복장치
KR20210091886A (ko) 친환경 비닐 피복 복합 파종장치
US7721662B2 (en) Applicator system and method for the agricultural distribution of biodegradable and non-biodegradable materials
JPH09271214A (ja) 乾田直播方法と装置
KR20110116829A (ko) 비닐 피복장치
KR20180134248A (ko) 로터리 트랙터용 배토기 및 이를 이용한 배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