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259B1 -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 Google Patents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259B1
KR101724259B1 KR1020150117810A KR20150117810A KR101724259B1 KR 101724259 B1 KR101724259 B1 KR 101724259B1 KR 1020150117810 A KR1020150117810 A KR 1020150117810A KR 20150117810 A KR20150117810 A KR 20150117810A KR 101724259 B1 KR101724259 B1 KR 10172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smart
big board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2607A (en
Inventor
심재현
여운광
이종국
박영진
김진영
이준우
최창원
정인규
임정탁
박소영
서지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1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259B1/en
Publication of KR2017002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1Housing and user interface of child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된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을 실행하는 과정과,
현장에 파견된 조사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실시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현장 VOD, 재난현장 이미지들이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어지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은 전반적인 재난을 감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상황판으로서, 초기화면에서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에 의한 빅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하게되면, 선택된 콘텐츠들이 시간정보,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의 지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32)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과정과,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영상을 콘텐츠로 선택할 경우 기기에 내장된 GPS정보가 스마트 빅보드 서버(1)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부(32)의 이동구간이 경로 표시부(34)로 표시되면서 위치 이동경로가 매핑 표출되어지며, 이때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정보창(33c)이 활성화되어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함께 표시되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nalyzing a region of interest by a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disaster safety based on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ap-based spatial information data,
A smart mobile device 1 installed with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pp so as to collect and transmit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and a video; A smart big board server (2) storing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And a smart big board screen (3) in which disas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is displayed on a map together with time and positi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xecuting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and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A process in which a real-time disaster scene video, a disaster scene VOD, and a disaster scene image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from a smart mobile device 1 of a surveyor dispatched to the scene,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is a status panel for detecting and managing an overall disaster.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includes disaster information images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on the initial screen,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CCTV images, The selected contents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map of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disaster inform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is selected as content, the GPS information embedded in th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1 so that the moving section of the content display section 32 is displayed on the path display section 34 And the location movement path is mapped and displayed. At this time, when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the information window 33c is activated and the field streaming images are displayed together in real time.

Description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safety,

본 발명은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안전 상황의 정확하고 신속한 파악을 위해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 현장 스트리밍 영상, SNS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공간정보, 재난담당자 지령발송 등의 정보가 지도 위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실행시킴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재난안전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disaster safety based on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ap-based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real- , Site streaming video, SNS information, user-generated spatial information, dispatch of disaster official, etc., are displayed on the map at the same time as layers, so that disaster safety officers and decision makers can make intuitive situations and make quick decisions. And the method of analysis of the area of interest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뿐만 아니라, GIS 기반에 재난 현장 영상을 표출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 등이 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재난안전 통합상황 관리를 위한 스마트빅보드 현장 영상 및 위치 이동 매핑 기술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GIS-based disaster scene image is displayed,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rea and the map display of the movement route when moving are concurrently synchronized, thereby enabling the disaster safety officer and decision maker to recognize the intuitive situation and prompt judgment It also includes smart big board on-site video and location mapping technology for disaster safety integrated situation management.

태풍, 호우, 폭염, 가뭄, 강풍,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난을 비롯하여, 화재, 산불, 교통사고, 폭발, 위험물질 유출 등 다양한 인적재난은 인적 피해와 함께 많은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재난은 예측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heavy rain, heat waves, drought, strong winds and heavy snowfall, as well as various human disasters such as fire, forest fire, traffic accident, explosion,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not only to predict these disasters but also to respond promptly and accurate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그러나, 현재 재난 현장조사를 위해 개발된 시스템들은 재난이 종료된 후 피해액을 산정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들이며, 재난 발생 과정에서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However, the systems developed for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are systems developed to estimate the damage after the disaster has ended, and a system for quickly and accurately grasping the situation of the site in the process of disaster has not been developed.

다만,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8528호(등록일: 2007. 08. 06)에는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피해조사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 However,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748528 (Registered Date: 2007. 08. 06) describes a system for real-time automatic updating of disaster damag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web-geographic system, ) Have been proposed.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피해원인 정보, 피해 화상 및 동영상, 음성정보를 포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각종 장비로 구성된 현장장비단을 구축하고, 상기 현장장비단을 통해 획득된 피해 조사정보를 각 서버단으로 전송하여 정해진 유형에 맞는 정보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자동 가공하고 홈페이지의 메인페이지와 게시판에 게시함은 물론 표준화된 재해 대장 형태로 가공하여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발생 지점 좌표 등을 통해 Web-GIS 상에 피해 발생 지점 등록 및 그 속성을 표출하며, 이러한 홈페이지, 재해대장, Web-GIS 등을 연계하여 신속하게 각종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피해복구 대책 수립과 방재 정책 수립의 진행을 지원할 수 있고, 일반 인터넷상에 재해조사의 각종 정보를 게시함으로써 방재 및 재해복구 대책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대민 정책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 on-site equipment stage composed of various equipment for collecting damage information, damage images, moving images and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m to a server is constructed, and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on- , It is automatically processed in real time in the form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and posted on the main page and bulletin board of the homepage. In addition, the web page is processed by processing in the form of standardized disaster letter book, and the Web-GIS And it will be able to search for and confirm various information quickly by linking such homepage, disaster letterhead, Web-GIS, etc., to establish rapid disaster recovery measures and support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policy. Transparent and transparent disaster prevention and disaster recovery measures by posting various information of disaster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Internet To ensure we can help you improve the citizen policy credibility.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디지털카메라, GPS, 음성녹음기 및 무선 초고속 통신장비 등과 같이 다양한 조사장비들을 포함하는 현장장비단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장비단을 꾸리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각종 장비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들을 통합하여 결과를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상기한 선행 기술은 재난 발생 과정이 아닌 재난 발생종료 후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써 피해액을 산출하는 시스템으로써, 재난 발생과정 중에는 아무런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requires a field equipment stage including a digital camera, a GPS, a voice recorder, and wireless high-speed communication equipmen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pack the equipment stage, Is not easy. In addition, since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dependently from various equipments must be integrated and the result must be derived,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ime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not a disaster occurrence process but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damage amount by investigating the damage situation after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so that it can not play a role during the disaster occurrence process.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3422호에서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이라는 명칭으로,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기기의 콤보박스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상기 (c)단계에서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43422 discloses a map-based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operating method using a mobile device, which is called "(a) an application of a mobile device requests all types of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B) displaying, by the server, a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disaster on a map of the mobile device as a separate icon; (c) in the combo box of the mobile device, Requesting the server for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of a disaster type including a tsunami, a landslide, a wind, a heavy snow, and a fire, and (d) And displaying the disaste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type using the corresponding icon. The map-based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operation using the mobile device "It discloses a.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의 방법은 단지 발생된 재난의 위치와 그 형태를 모바일 기기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ethods merely disclose a location of the disaster generated and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user in real time in the form of the disaster.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8528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748528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3422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0434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 수준 및 이들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하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하되, 스마트 빅 보드(Smart Big Board)라는 현장상황 실시간 표시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사진, 동영상 스트리밍)를,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기상 레이더 영상, 기상 위성 사진)와, CCTV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와, 일반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 정보가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disast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to provide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But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smart mobile devices (photo and video streaming)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al-time display system of the field situation called Smart Big Board to the weath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teorological Agency automatic weather station Weather radar image, and weather satellite image), vide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CTV, and big data information such as SNS in which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s recorded are provided together in real time,

상황 발생 지점의 정확한 위치, 실시간 상황 정보, 현장 상황과 관련된 추가 정보 등이 복합적이고 직관적으로 표출될 수 있게됨에 따라, 통합 상황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 및 상황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함을 첫번째 목적으로 한다.As the complex location of the situation point, the real-tim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te situation can be expressed in a complex and intuitive manner, the integrated situation manager can be implemented in order to make quick and accurate decision- The first purpos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통해 GIS 기반의 재난 현장 영상이 표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 등이 동시에 연동되게함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두번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IS-based disaster scene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smart mobile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rea and the map display of the movement route when moving are simultaneously interlocked, The second purpose is to make it possible to make an intuitive situation and make a quick judgment.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directed to accomplish these and other objects, which can be easily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nd obvious objec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난 안전의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은;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으로 구성된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빅보드 서버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을 실행하는 과정과,
현장에 파견된 조사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실시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현장 VOD, 재난현장 이미지들이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에 전달되어지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은 전반적인 재난을 감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상황판으로서, 초기화면에서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에 의한 빅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하게되면, 선택된 콘텐츠들이 시간정보,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의 지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과정과,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영상을 콘텐츠로 선택할 경우 기기에 내장된 GPS정보가 스마트 빅보드 서버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부의 이동구간이 경로 표시부로 표시되면서 위치 이동경로가 매핑 표출되어지며, 이때 상기 콘텐츠 표시부를 선택하면 정보창이 활성화되어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함께 표시되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nalyzing a region of interest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safety, comprising:
A smart mobile device that is installed with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pp so that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photographs and videos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A smart big board server in which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is stored; And a smart big board screen in which disas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big board server is displayed on a map together with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A process of executing a smart big board server and a smart big board screen,
A real time disaster scene video, a disaster scene VOD, and a disaster scene image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of the surveyor dispatched to the scene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The smart big board screen is a status panel for detecting and managing the overall disaster. The smart big board screen is a screen for managing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on the initial screen,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CCTV image, The selected contents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content display unit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map of the smart big board screen in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a disaster information image transmitted from a smart mobile device is selected as a content, GPS information embedded in th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so that a moving region of the content display portion is displayed as a route display portion, And when the content display unit is selected, an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to display the on-scene streaming images together in real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콘텐츠 표시부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CCTV 영상과, SNS에 의한 빅데이터의 콘텐츠들이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상이하게 표시되어진다.The content display unit is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contents of the on-site streaming video, the CCTV video, and the big data by the SN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재난정보들,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은 상기 정보 수집 앱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즉시 전송되어야 하며, 조사요원이 이동중에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전송될 경우에는, GIS 기반에 재난 현장 영상을 표출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가 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지도의 해당위치에는 실시간으로 경로표시부가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정보창에서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어지는데,In addition,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that is, a photograph and a site streaming image, must be transmitted immediately on the site us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 When a site streaming image is transmitted while a surveying agent is moving, The route display section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map, and at the same time, a scene streaming image is displayed in the information window at the same time, It is displayed in real time,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조사자의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정보창은 지도와 서로 대응되는 곳에 동시간대로 매칭되어지도록 함께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information window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ime zone so that the information stream can be easily compared with the site streaming image and the moving path of the investigato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서는,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하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하되, 스마트 빅 보드(Smart Big Board)라는 현장상황 실시간 표시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사진, 동영상 스트리밍)를,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기상 레이더 영상, 기상 위성 사진)와, CCTV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와, 일반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 정보가 함께 실시간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황 발생 지점의 정확한 위치, 실시간 상황 정보, 현장 상황과 관련된 추가 정보 등이 복합적이고 직관적으로 표출될 수 있게됨에 따라, 통합 상황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 및 상황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method for analyzing a region of interest by the integrated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isaster information is provided together with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surveyed based on a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eather radar image, meteorological satellite image) received from Meteorological Agency automatic meteorological station and information (weather video, weather satellite image) received from smart mobile device through smart real time display system called Smart Big Board By providing the received video information and the big data information such as the SNS which contains the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together in real time, the accurate position of the situation occurrence point, the real time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place are complex and intuitive As it becomes available, integration managers can quickly and accurately Information and respond to the situ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통해 GIS 기반의 재난 현장 영상이 표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 등이 동시에 연동되게함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IS-based disaster scene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smart mobile device,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rea and the map display of the movement route when moving are simultaneously interlock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n intuitive situation and prompt judgment.

한편, 본 시스템의 프로세스 중 기상정보는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 AWS(Automatic Weather System) 및 기상 관측소들로 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연계하고, 재난위험지역의 현장 CCTV 영상정보를 GIS 기반의 공간정보 서비스 개념을 도입하여 GIS 기반의 통합 CCTV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상재해에 대한 위험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기준을 정의하고 이를 통하여 침수 및 자연재해를 방지, 경감시켜 국민의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of the system is related to the data collected from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and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of the meteorological agency, and the GIS-bas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concep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monitor integrated CCTV based on GIS. In this invention, we define the criteria for detecting the risk of meteorological disaster in advance and prevent and mitigate flooding and natural disasters. So as to obtain the effect of minimiz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재난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의 스마트 빅보드 화면을 표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의 또 다른 예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빅보드 화면을 표현한 예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disaster safe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n implementation process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big board scree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big board screen in the embodiment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명세서 전체에서, "재난 정보수집용 스마트 모바일 기기"라 함은 재난 현장 조사자가 소지하는 기기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예를 들면,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모바일 OS(Android, iOS 등)가 탑재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 폰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mart mobile device for collecting disaster information"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s a device carried by a disaster site investigator.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portable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but is preferably an intelligent terminal equipped with a smart mobile OS Can be used.

상기 재난 정보 수집용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The smart mobile device for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not all essential, and may be added or subtrac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는 재난지역 피해조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재난정보수집 앱이라 함)이 설치된다. 상기 재난정보수집 앱은 조사자가 재난현장에서 재난정보, 예를 들어 피해개요, 피해상황, 진행상황, 사진, 동영상, 위치 등을 수집하여 모바일 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 및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The smart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for disaster area damage investig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pplication). The disaster information gathering app can collect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damage summary, damage situation, progress, photos, video, location, etc. at the disaster site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mobile server and transmit and register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provide.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이동중 인터넷 통신, 전송 등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Wibro/Wimax, WiFi, 3G(또는 4G) 등과 같은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The smart mobile device is capable of performing Internet communication, transmission, etc. during a mobile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In a daily life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d), Wibro / Wimax, WiFi, 3G (or 4G)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o the Internet u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readily available, and to access the Internet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In order to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the smart mobile device can be classified into a GPS based, a mobile communication based, a WiFi wireless LAN / sensor network based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y, or a combination of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and a WiFi wireless LAN Recognition technology is built to take advantage of.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지역에 해당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base statio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and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rea.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위성항법장치(GPS)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mobil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WiFi wireless LAN / sensor network based on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reception ratio in indoor and building dense areas, which is a disadvantage of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WiFi wireless LAN / sensor network base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electronic tag.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지리정보장치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The smart mobile device is associated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ocation-based service, so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ap. Geographical information devices are used for collecting, storing, outputting, and analyzing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ly related data such as buildings, roads, rivers, contour lines, and administrative zone boundaries. They are used to construct, maintain, edit, analyze, It is a system that helps spatial decision making while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through processes such as display and output.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재난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disaster safe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으로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되는데,A smart mobile device 1 that basically has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pp installed therein to collect and transmit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and a video; A smart big board server (2) storing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A smart big board screen 3 in which disas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is displayed on a map together with time and location information,

현장 조사요원은 미리 스마트 모바일 기기(1)에 재난 정보 수집 앱을 설치해두어야 하며, 정보수집 앱은 자동으로 스마트 모바일 기기가 제공하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함께 전달하게되므로 어느 지역에서 메시지를 전달했는지와 시간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된다. Field surveyors should install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pp on smart mobile device (1) in advance, and the information collection app will automatically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mart mobile device, And time information.

한편, 현장에서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은 위치정보와 함께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상기 정보 수집 앱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즉시 전송되어야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hotos and videos photographed in the field must be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in real time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they must be immediately transmitted on site us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li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 빅보드(Smart Big Board)는 전반적인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 재난을 감지하고 대처하는 상황판이라 할 수 있으며, 재난정보 등을 수집 저장하기 위한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재난정보 등이 GIS 기반에서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big board is a situation board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disasters in order to manage an overall disaster, and a smart big board server 2 for collecting and storing disaster information ), And a smart big board screen (3) in which disaster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a GIS.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외에도,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 AWS(Automatic Weather System)나 일반 기상 관측소들로 부터 수집되는 기상정보와, 재난위험지역의 현장 CCTV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가 함께 전송 및 저장되어지며,In addition to the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is provided with weath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or general weather stations, Video data transmitted from the CCTV, and big data such as the SNS containing the fields of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are transmitted and stored together,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에서는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가 제공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31)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위에,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될 수 있다.Since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is provided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on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based on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map 31, the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Contents such as photographs, field streaming images,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CCTV images, and big data such as SNS can be simultaneously expressed and executed as layers.

기상정보는 강우, 바람, 기온과 관련된 것으로서 강우 레이더 영상, 위성 사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GIS기반에서 해당지역에 매칭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되며,Weather information is related to rainfall, wind, and temperature, and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rainfall radar images, satellite images, etc. It is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GIS based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region ,

빅데이터(Big Data)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에 올려진 글 중에서 GIS 기반 해당지역에 매칭되는 것을 선별하여 제공하게된다.Big Data means a large set of regular or unstructured data sets beyond the ability to collect, store, manage, and analyze data with existing database management tools and techniques to extract values from these data and analyze the results. , Which will be selected from among the articles posted on the SN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field, and will be provided with a match to the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the GIS.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관리시스템에서는 먼저 스마트 빅보드, 즉 스마트 빅보드의 서버(2)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3)를 실행하게되며, 다음에는 현장에 파견된 조사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실시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현장 VOD, 재난현장 이미지들이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어지며,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 AWS(Automatic Weather System)나 일반 기상 관측소들로 부터는 기상정보(기온, 강우량, 바람)와 기상영상정보(레이더영상, 위성영상)가, 그리고 재난위험지역의 현장 CCTV로 부터는 영상정보가,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들과 함께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어진다.In 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big board, that is, a server 2 of a smart big board and a smart big board screen 3 are executed. Next, a smart mobile device 1 (VOD) and disaster scene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from the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or general weather station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weather information (radar image, satellite image), the video information from the field CCTV in the disaster risk area, and the SNS including the fields of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together with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재난 분석 지휘부에서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에서 지도에 표출할 컨텐츠를 선택하게되는데, 예를 들어 “CCTV 영상정보"와, “재난현장 동영상”과. “SNS 빅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지도(31) 위에는 각종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함께 표시되어지는데,In case of selecting "CCTV image information", "Disaster scene video" and "SNS Big data", the disaster analysis commander selects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map in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an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map 31 as shown in FIG.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은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의 지도(31)에서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32)가 표시되어지고,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33)들이 활성화되어서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될 수 있게된다.Since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contents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displayed on the map 31 of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32, the separate information windows 33 are activated, so that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executed as a layer.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의 콘텐츠들이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상이하게 표시되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SNS 빅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32a')는 새 모양과 같이 표시하고, “CCTV 영상정보"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32b')는 카메라 모양과 같이 표시하고, “현장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미도시함)는 기타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ent display unit 32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contents such as a field streaming video, a CCTV video, and big data such as SN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SNS Big Data" The content display unit 32a 'for the CCTV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new shape, the content display unit 32b' for the " CCTV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camera shape, and a content display unit ) May be displayed in other forms.

스마트 빅보드 화면(3)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33)들이 활성화되어지는데, 활성화 상태의 콘텐츠에 대한 위치정보가 쉽게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창(33a)(33b)(33c)에 대응되는 콘텐츠 표시부(32a')(32b')(32c')에서는 비활성화때와는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있다. (도 3에서는 “SNS 빅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가 비활성화상태에서는 하늘색으로 작게 표시되었으나 활성화상태에서는 빨간색으로 크게 표시되며,“CCTV 영상정보"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는 비활성화상태에서 보라색으로 작게 표시되었으나 활성화상태에서는 보라색으로 크게 표시되었다.)When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on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additional information windows 33 are activated. In order to easily confirm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activated content, the information windows 33a (32a '), 32b', and 32c ', which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33a, 33b, 33c, and 33c. (In FIG. 3, the content display unit for "SNS Big Data" is displayed in a light blue state in a disabled state, but is displayed in a large red state in an activated state, and a content display unit for "CCTV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small size from a non- In the state, it is shown in purple.)

한편, 상기 정보창(33)들은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도록 각각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되 시간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재난정보 및 콘텐츠들이 제공된 시간을 함께 확인할 수 있게된다.Meanwhile, the information windows 33 are displayed and executed in lay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s, and are provided together with time information, so that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time at which the contents are provided can be checked toge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관리시스템에서는, 재난안전 상황의 정확하고 신속한 파악을 위해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 현장 스트리밍 영상, SNS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공간정보, 재난담당자 지령발송 등의 정보가 지도 위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실행시킴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게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saster safe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curately and quickly grasp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CCTV image, on-site streaming image, SNS information, spa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By displaying and executing information on the map simultaneously on the map, disaster safety officers and decision makers can make intuitive situations and make quick decisions.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창(33)을 통해 기상정보(기온, 강우량, 바람) 및 기상영상정보(레이더영상, 위성영상)와,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들을 해당지역에 대해서 실시간 제공하게되므로,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의 입장에서는 기후와 일반대중의 관심을 포함하여 재해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난정보를 취합하거나 정리할 필요가 없이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large data such as weather information (temperature, rainfall, wind), weather image information (radar image, satellite image), and SNS containing interest fields of the general public are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window 33 The disaster safety officer and the decision-maker can make a comprehensive judgment on the disaster situation including the interest of the climate and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e disaster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judge accurate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GIS 기반에 재난 현장 영상을 표출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 등이 동시에 연동되게함으로써, 실제적인 상황에서 보다 신속, 정확한 분석이 가능케되도록 하였는데, 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scene image is displayed on the GIS basis,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rea and the map indication of the travel path when moving are simultaneously interlocked, so that quick and accurate analysis is possible in a real situation However,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의 또 다른 예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빅보드 화면을 표현한 예시도로서,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mart big board screen in the embodiment of FIG.

조사요원이 이동중에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전송될 경우에는, GIS 기반에 재난 현장 영상을 표출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 등이 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지도(31)의 해당위치에는 실시간으로 경로표시부(34)가 표시되고, 상기 콘텐츠 표시부(35)를 활성화시키면 정보창(33c)이 열리는데 상기 정보창(33c)에서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어진다.In the case where a field streaming image is transmitted while the surveying personnel are moving, the disaster scene image is displayed on the GIS base,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rea and the map display of the movement path when moving are concurrently linked, The path display unit 34 is displayed in real tim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33. When the content display unit 35 is activated, the information window 33c is opened. In the information window 33c, the streaming image is displayed in real time.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조사자의 이동경로를 용이하게 비교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보창(33)은 지도(31)와 서로 대응되는 곳에 동시간대로 매칭되어지도록 함께 표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order to easily compare the moving route of the field streaming image and the examin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window 33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p 31 so as to b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time zone.

도 5에 예시된 화면은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영상을 전송하면서 동시에 위치 및 이동 경로가 지도에 표출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1)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 표출되며 2) 동시에 현장 동영상 전송자의 위치 또는 이동 경로가 지동 상에 실시간으로 매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5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location and a moving route on a map at the same time while transmitting a real time image to a smartphone. 1) Real time moving picture streaming is displayed. 2) At the same time, In real time.

또한, 도 4는 본 발명 시스템의 또 다른 예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여기에서는 먼저 스마트 빅보드, 즉 스마트 빅보드의 서버(2)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3)를 실행하게되며, 다음에는 현장에 파견된 조사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1)를 실행하여 GPS 정보가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지도(3) 위에 그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현장영상 촬영이 시작되면 지도(3) 위에 콘텐츠 표시부(32)의 이동구간이 경로표시부(34)로 표시되면서 위치 이동경로가 매핑 표출되어지며, 이와 함께 정보창(33c)가 활성화되어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어진다. 4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smart big board, that is, the server 2 of the smart big board and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are executed first, The smart mobile device 1 of the surveyor dispatched to the scene is executed so that the GP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so that the position is displayed on the map 3, The moving path of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34 with the path display unit 34 displayed on the map 3 and the information window 33c is activated to display the scene streaming image in real time.

따라서, 재난 상황 발생시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은 현장의 위치 파악 및 이동시 이에 대한 트래킹 정보가 영상과 동시에 매핑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서 재난 상황 담당자는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된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real-time video streaming when the disaster situation occurs is that the tracking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movement of the scene is mapped at the same time with the video,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disaster can make a quick and accurate deci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스마트 모바일 기기
2 : 스마트 빅보드 서버
3 : 스마트 빅보드 화면
31 : 지도
32 : 콘텐츠 표시부
33 : 정보창
34 : 경로 표시부
35 : 콘텐츠 표시부
1: Smart mobile devices
2: Smart Big Board Server
3: Smart Big Board Screen
31: Map
32:
33: Information window
34: path indicator
35: Content display section

Claims (6)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된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을 실행하는 과정과,
현장에 파견된 조사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실시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현장 VOD, 재난현장 이미지들이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어지는 과정과,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은 전반적인 재난을 감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상황판으로서, 초기화면에서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에 의한 빅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들 중에서 선택하게되면, 선택된 콘텐츠들이 시간정보,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의 지도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32)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과정과,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영상을 콘텐츠로 선택할 경우 기기에 내장된 GPS정보가 스마트 빅보드 서버(1)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콘텐츠 표시부(32)의 이동구간이 경로 표시부(34)로 표시되면서 위치 이동경로가 매핑 표출되어지며, 이때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정보창(33c)이 활성화되어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함께 표시되어지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A smart mobile device 1 installed with a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pp so as to collect and transmit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and a video; A smart big board server (2) storing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And a smart big board screen (3) in which disast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is displayed on a map together with time and positi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xecuting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and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A process in which a real-time disaster scene video, a disaster scene VOD, and a disaster scene image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2 from a smart mobile device 1 of a surveyor dispatched to the scene,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is a status panel for detecting and managing an overall disaster.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includes disaster information images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on the initial screen,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CCTV images, The selected contents are provided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map of the smart big board screen 3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disaster information image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is selected as content, the GPS information embedded in th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big board server 1 so that the moving section of the content display section 32 is displayed on the path display section 34 And displaying a map of the location movement path while displaying the contents, and when the contents display unit (32) is selected, the information window (33c) is activated and the site streaming images are displayed together in real time A method of analysis of the area of interest b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CCTV 영상과, SNS에 의한 빅데이터의 콘텐츠들이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상이하게 표시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display unit (32) is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the contents of the field streaming video, the CCTV video, and the big data by the SN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되는 재난정보들,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은 상기 정보 수집 앱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즉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as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 i.e., a photograph and a site streaming image, is immediately transmitted on site us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pp.
제 1항에 있어서,
조사요원이 이동중에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전송될 경우에는, GIS 기반에 재난 현장 영상을 표출함과 동시에 해당 영상 촬영 지역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경로에 대한 지도 표시가 동시에 연동됨으로써, 지도(31)의 해당위치에는 실시간으로 경로표시부(34)가 표시되고, 이와 동시에 정보창(33)에서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ase where a field streaming image is transmitted while the surveying personnel are on the move, the disaster scene image is displayed on the GIS base, and the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rea and the map display of the movement path when moving are synchronized simultaneously. Wherein the route display unit (34) is displayed in real tim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eld streaming image is displayed in real time in the information window (33).
제 5항에 있어서,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조사자의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정보창(33)은 지도(31)와 서로 대응되는 곳에 동시간대로 매칭되어지도록 함께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formation window (33)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p (31) so as to be match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zone so as to facilitate comparison and observation of the moving route of the field streaming image and the investigator How to analyze the area of interest.







KR1020150117810A 2015-08-21 2015-08-21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KR101724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10A KR101724259B1 (en) 2015-08-21 2015-08-21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10A KR101724259B1 (en) 2015-08-21 2015-08-21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07A KR20170022607A (en) 2017-03-02
KR101724259B1 true KR101724259B1 (en) 2017-04-07

Family

ID=5842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10A KR101724259B1 (en) 2015-08-21 2015-08-21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25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945A (en) * 2017-09-04 2017-09-22 이도훈 Integrated servi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89794B1 (en) * 2019-01-09 2020-03-16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Even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an SOS emergency phone of subway station
KR102168948B1 (en) * 2019-11-24 2020-10-26 주식회사 리드텍 Mobile video control system an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84182A (en)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accident vulnerability area by analyzing accident occurrence pattern
KR20230037353A (en) 2021-09-09 2023-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ork proces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414A (en) 2017-12-28 2019-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e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Number of Disaster Safety Data Incidents and Related Information
KR102481794B1 (en) * 2018-04-18 2022-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of danger detection based on time series analysis of human activities
EP3877865A4 (en) 2018-12-28 2021-11-24 Zhejiang Dahua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display
CN109992637A (en) * 2019-03-26 2019-07-09 广州市城市规划勘测设计研究院 A kind of mobile investigation system of planning
US20200356119A1 (en) * 2019-05-06 2020-11-12 Badger Me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Outdoor Leak Detection
KR102279156B1 (en) * 2019-11-21 2021-07-20 대한민국 Method to provide disaster information by Region
KR102211861B1 (en) * 2020-01-07 2021-02-03 한국토지주택공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sualized data
KR102273308B1 (en) 2020-10-07 2021-07-06 대한민국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mapping contents results
KR102407374B1 (en) 2020-10-07 2022-06-10 대한민국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KR102266778B1 (en) 2020-10-07 2021-06-18 대한민국 Method of providing mapping service developed for users
KR102230258B1 (en) 2020-10-07 2021-03-19 대한민국 Method of providing mapping contents to strengthen the capacity to manage disaster situations
KR102315762B1 (en) * 2021-04-14 2021-10-21 대한민국 A method for spatializing disaster damage history data
KR102397978B1 (en) 2021-11-29 2022-05-13 대한민국 Integrated disaster service providing system of existing sensors connected to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KR102428455B1 (en) 2021-11-29 2022-08-03 대한민국 Communication network-based hazardous chemical accident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102416892B1 (en) 2021-11-29 2022-07-05 대한민국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system between sensors and servers based on disaster response procedu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399A (en) * 2007-12-10 2009-06-25 Nec Access Technica Lt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13120409A (en) 2011-12-06 2013-06-17 E-Sares Co Ltd In-service vehicle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8B1 (en)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the real-time automatic update system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web-gis
KR101368535B1 (en) 2011-10-20 2014-03-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KR20150045771A (en) * 2013-10-21 2015-04-29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Smart disaster managing system for combined disaster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399A (en) * 2007-12-10 2009-06-25 Nec Access Technica Lt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2013120409A (en) 2011-12-06 2013-06-17 E-Sares Co Ltd In-service vehicle monitoring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945A (en) * 2017-09-04 2017-09-22 이도훈 Integrated service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89794B1 (en) * 2019-01-09 2020-03-16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Event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an SOS emergency phone of subway station
KR102168948B1 (en) * 2019-11-24 2020-10-26 주식회사 리드텍 Mobile video control system and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84182A (en) 2019-12-26 2021-07-07 한국국토정보공사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accident vulnerability area by analyzing accident occurrence pattern
KR20230037353A (en) 2021-09-09 2023-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ork process-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and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07A (en)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259B1 (en)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KR101724260B1 (en) Location-based scenario setting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KR101737815B1 (en) Concerned area analyzing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US107085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analysis rules based on map data
US20150130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vents
US101340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damage to insured properties in a neighborhood
EP3234901B1 (en) Bi-directional community information brokerage
US20140176606A1 (en) Recording and visualizing images using augmented image data
JP6276106B2 (e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decision support method
KR20140032205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Psaroudakis et al. Development of an early warning and incident respons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visitors from natural hazards in important outdoor sites in Greece
CN113867406A (en) Unmanned aerial vehicle-based line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intelligent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462628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ushing location-specific content to users
US202202693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maps
JP5076190B1 (en) Damage status monitoring system
JP6376654B2 (en) Route presen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route presentation method, route display method, route presentation program, and route display program
KR101941468B1 (en) Automatic damage detection method using low-resolution satellite images
Hillen et al. Information fusion infrastructure for remote-sensing and in-situ sensor data to model people dynamics
Ning et al. Detecting new building construction in urban areas based on images of small unmanned aerial system
US118425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ue north orientation
JP2023036483A (en)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nte et al. Consistency and Relevance of Vgi Available from Social Networks for Emergency Mitigation and Municipal Management
JP2019057246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SPASENOVIC Crisis maps quality check and a proposal of integration with data from social media sources
KR20150064820A (en) Real-time RadioSonde Loc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