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327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327B1
KR101723327B1 KR1020157030926A KR20157030926A KR101723327B1 KR 101723327 B1 KR101723327 B1 KR 101723327B1 KR 1020157030926 A KR1020157030926 A KR 1020157030926A KR 20157030926 A KR20157030926 A KR 20157030926A KR 101723327 B1 KR101723327 B1 KR 10172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r
housings
lock ar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5507A (en
Inventor
노리히토 하시모토
아키라 나카시마
시게토 가타오카
나오타카 다니카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5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3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더(60)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휘어질 수 있는 로크 아암(17)을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우징(10)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76)를 가지며, 걸림부(76)에 일체화된 규제부(78)를 갖고,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걸림부(76)가 하우징(10)에 걸림으로써 이동 규제되고,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시에는, 걸림부(76)가 상대 하우징(90)에 압박되어서 하우징(10)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며, 또한, 규제부(78)가 로크 아암(17)의 휨 공간에 진입하여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더(60)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apable of avoiding enlargement and complication of the slider (60).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10 having a lock arm 17 capable of being bent and a retaining portion 76 movably assembled to the housing 10 and engageable with the housing 10 And the engagement portion 76 is engaged with the housing 10 so as to be restricted from moving so that both the housings 10 and 9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two housings 10 and 9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ortion 76 is pressed against the mating housing 90 to be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housing 10 so that the locking portion 76 can be moved. And a slider (60) that enters the bending space of the lock arm (17) and regulates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lock arm (17).

Figure R1020157030926
Figure R1020157030926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가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위치 결정 걸림부 및 휨 방지 리브를 갖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The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housing having a flexible lock arm, and a slider movably assemb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positioning engagement portion and a bending prevention rib.

하우징은 상대 하우징에 감합(嵌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정규 감합시에 가요 로크 아암이 상대 하우징의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걺으로써, 양 하우징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위치 결정 걸림부가 로크 아암을 걺으로써 슬라이더가 이동 규제되고,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대 하우징에 압박되어서 위치 결정 걸림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The housing is adapted to be fitted to the mating housing, and the flexible lock arm resiliently fits the mating portion of the mating housing at the time of regular fitting so that the both housings are kept in the fitted state. Further, in the fitting process of the both housings, the slider is restricted in movement by pushing the lock arm by the positioning latch portion, and when the two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 latching state of the positioning latch portion is released by being pushed by the mating housing, As shown in Fig.

또한, 휨 방지 리브는,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휨 방지 리브가 로크 아암의 휨 공간의 후단 후방에 위치하고,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휨 방지 리브가 슬라이더의 전진에 따라 로크 아암의 휨 공간에 진입하여, 이에 의해 로크 아암의 휨 동작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The bending prevention ri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lider.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both housings, the bending prevention ribs are located at the rear rear ends of the bending spaces of the lock arms. When the both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 bending prevention ribs enter the bending spaces of the lock arms as the slider advances, Is restricted.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81028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810285

그런데, 상기한 구성에서는, 위치 결정 걸림부와 휨 방지 리브가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각각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슬라이더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positioning engagement portion and the bending prevention rib are formed at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slider,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r becomes complicated, which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slid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며, 슬라이더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nnector which can avoid the enlargement and complication of the slider.

본 발명은,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정규 감합시에 상기 상대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걸어 양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유지하는 휘어질 수 있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에 일체화된 규제부를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이동 규제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대 하우징에 압박되어서 상기 하우징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규제부가 상기 로크 아암의 휨 공간에 진입하여 상기 로크 아암의 휨 동작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걸림부의 기단측에 덧살 올림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having a lock arm engageable with a mating housing and having a bendable lock arm for resiliently engaging the mating housing at a time of normal fitting so as to keep the both housings in a fitted stat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housing to restrict movement of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two housing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locking portion is pushed by the mating housing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housing to be movable and the restricting portion enters the bending space of the lock arm to restrict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lock arm,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cantilever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in a state of being stuck on the base end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슬라이더를 이동 규제하는 걸림부에,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 로크 아암의 휨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와 규제부가 각각의 부위에 형성되는 것보다도, 슬라이더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슬라이더의 대형화가 억제된다.Since the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lock arm at the time of regular fitting of the both housings is integrated in the engaging portion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in the fitting process of the both housings, ,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r is simplified, and the enlargement of the slider is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것으로, 상대 커넥터에 정면으로 마주 보게 하여 배치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대 커넥터에 정면으로 마주 보게 하여 배치된 커넥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4는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된 커넥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5는 상대 커넥터에 정면으로 마주 보게 하여 배치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도중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대 커넥터에 정규 감합되어, 스프링 부재의 압축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상태에 있는 커넥터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슬라이더의 바닥면도이다.
도 19는 슬라이더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sposed facing a mating connector in a front view. Fig.
2 is a top view of a connector that is normally mated with a mating connector;
Fig. 3 is a bottom view of a connector placed face-to-face with the mating connector; Fig.
4 is a bottom view of a connector that is normally mated with a mating connecto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disposed facing the mating connector in a front view.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mating connector;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which the mating connector is normally fitted and the spring member is in the uncompressed state;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pushed by the spring member and moved rearward.
Figure 9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the state of Figure 5;
Figure 10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the state of Figure 6;
11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the state of Fig.
Figure 12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the state of Figure 5;
Figure 13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in the state of Figure 8;
14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15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16 is a plan view of the housing.
17 is a plan view of the slider.
18 is a bottom view of the slider.
19 is a side view of the slider.
20 is a front view of the sli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below.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압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상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됨에 따라 압축 상태가 해제되어 자연 상태를 향해 신장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압축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과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신장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이동 조작을 수작업으로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걸림부가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스프링 부재의 바이어스력에 대항할 수 있다.And a spring member elastically compressed by being pushed by the mating housing during the fitting of the mating housings and extending toward the natural state by releasing the compression state as the mating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 spring member is held in a compressed state in a hooked state, and the spring member is stretched to forcibly move the slider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portion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housing. According to this, the moving operation of the slider does not need to be performed manually. Further, by engaging the latching portion with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both housings, it is possible to resist the bias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압축 상태의 해제 후, 상기 상대 하우징의 압박 방향이 되는 후방으로 신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도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에는 걸림 상태를 해제할 때에 압박되는 해제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로크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조작부보다 전방의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해제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른다. 이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전체 범위에 있어서 규제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어, 규제부에 전선 등의 이물이 걸리는 사태가 회피된다.Wherein the spring member is extended rearwar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mating housing after releasing the compressed state and the slider is also moved backward, and when the latching state is releas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 arm Wherein the lock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portion of the lock arm which is located forward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in the fitting process of the both housings and when the both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 regulating portion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regulating portion is opposed to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According to this, the restricting portion does not protrude from the housing in the entire range in which the slider moves, and a situation in which a foreign object such as electric wire is caught in the regulating portion is avoided.

상기 양 하우징의 이탈시에, 상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해제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로크 아암의 휨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한 쌍의 보호벽이 기립 형성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기 해제 조작부의 양측을 양 보호벽이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로크 아암이 규제부에 의해 휨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한 해제 조작부에 대한 해제 조작도 양 보호벽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로크 아암이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사태가 확실하게 회피된다.When the two housings are detached, the slider moves forward in a state where the both housings are normally engaged, so that the restricting portion is displaced from a position opposed to the releasing operating portion, whereby the lock arm can be bent. A pair of protection walls are formed on the slider so that both the protection walls cover both sides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when the both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refore, unless the slider is moved forward in the state where the both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 lock arm is not bent and deformed by the restricting portion, and the releasing operation to the releasing operating portion is also regulated by both the protective walls, The situation in which the lock arm is inadvertently released is reliably avoided.

<실시예 1> &Lt; Example 1 >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내지 도 20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90)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60)와, 슬라이더(60)에 지지되는 스프링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도 1의 좌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5를 기준으로 한다.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0. Fi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capable of fitting to a mating housing 90, a slider 60 movably assembled to the housing 10, and a spring member 80 supported by the slider 60 . 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eft-hand side of Fig. 1 is referred to as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upper-left direction is referred to Fig.

상대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이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후드부(91)를 갖고 있다. 후드부(91)의 내부에는, 수형 탭(male tab: 95)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는, 로크부(92)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부(91)의 상벽의 상면에는, 로크부(92)를 사이에 둔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93)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양 가이드 돌출부(93)의 양측 외방(外方)에, 한 쌍의 압박부(9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The mating housing 90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tubular hood 91 as shown in Fig. Inside the hood portion 91, a male tab 95 is protruded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hood portion 91, a lock portion 92 protrudes. 1, a pair of guide projections 9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hood portion 91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lock portion 92 therebetween, And a pair of pressing portions 9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h guide protruding portions 93 so as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하우징(10)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이며, 도 5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형의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주위를 포위하는 통 형상의 감합 통부(1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와 감합 통부(12) 사이에는, 후드부(91)가 감합 가능한 감합 공간(13)이 전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5 and 15, the housing 10 includes a block-shaped housing main body 11, a tubular fitting portion 12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main body 11, . Between the housing main body 11 and the fitting tube portion 12, a fitting space 13 into which the hood portion 91 can be fitted is formed open frontward.

하우징 본체(11)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비티(14)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캐비티(14)는, 옆으로 줄지어 쌍을 이루어 배치되며, 그 하면에 휘어짐 가능한 랜스(1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14) 내에는 단자 피팅(20)이 삽입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20)은, 전선(100)의 도체 부분에 압착 접속되고, 전선(100)에 끼워 붙여진 고무 마개(200)에 압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캐비티(14) 내에 단자 피팅(20)이 정규 삽입되면, 단자 피팅(20)이 랜스(15)에 탄성적으로 걸려 빠짐 방지되고, 고무 마개(200)가 캐비티(14)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캐비티(14) 내가 액밀(液密)하게 시일되며, 또한 하우징 본체(11)의 후단으로부터 전선(100)이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housing main body 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avities 14 penetrat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cavities 14 is arranged in pairs so as to be sideways, and a bending lance 15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A terminal fitting (20) is inserted into each cavity (14). 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fitting 20 is press-connected to a conductor portion of the electric wire 100 and press-connected to a rubber stopper 200 fitted to the electric wire 100. As shown in Fig. When the terminal fittings 20 are regularly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avities 14, the terminal fittings 20 are elastically hooked on the lances 15 to prevent them from falling out. When the rubber plugs 200 are inserted into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cavities 14 So that the cavity 14 is sealed liquid tightly and the electric wire 100 is drawn out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1.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16)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16)를 경계로 하는 전방 영역이 후방 영역으로부터 한단 내려간 형태로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에는, 단차(16)의 전방에 시일 링(300)이 끼워 붙여져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90)의 감합시에는, 감합 공간(13)에 후드부(91)가 진입하고, 후드부(91)와 하우징 본체(11) 사이에 시일 링(300)이 탄성적으로 압축되며, 이에 의해 양 하우징(10, 90)이 액밀하게 시일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 step 16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ront region with the step 16 as a boundary is formed downward from the rear region hav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a seal ring 300 is fitted in front of the step 16. 6, when the housing 10, 90 is fitted, the hood 91 enters the fitting space 13 and the sealing ring 91 is inserted between the hood 91 and the housing body 11, (300) is resiliently compressed, whereby both housings (10, 90) are liquid-tightly sealed.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전단부에는, 도 5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형의 프론트 부재(400)가 씌워진다. 하우징 본체(11)의 앞면은, 각 캐비티(14)와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프론트 부재(40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한, 시일 링(300)은 프론트 부재(400)에 의해 전방으로의 빠짐이 규제된다.As shown in Figs. 5 and 14, a cap-shaped front member 400 is put on the front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is covered with the front member 400 except f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avity 14. [ Further, the front ring member 400 is prevented from slipping forward.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상단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7)이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17)은, 하우징 본체(11)의 외주면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리부(18)와, 다리부(18)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19)를 갖고 있다. 아암 본체(19)의 전단부에는 로크 돌기(21)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아암 본체(19)의 후단부에는 해제 조작부(22)가 한단 높게 형성되어 있다. 해제 조작부(22)는, 감합 통부(12)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A lock arm 17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The lock arm 17 includes a leg portion 18 projecting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and an arm body 19 extending in both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rom the upper end of the leg portion 18 I have. A lock protrusion 21 protrudes downward from a front end portion of the arm body 19 and a release manipulating portion 22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arm main body 19 at a high height.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itting tube portion 12.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로크 돌기(21)가 로크부(92)와 간섭하여 아암 본체(19)가 다리부(18)를 지점(支點)으로 해서 휨 변형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시에는, 아암 본체(19)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로크 돌기(21)가 로크부(92)를 걸 수 있게 배치되어, 양 하우징(10, 90)이 감합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해제 조작부(22)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하여, 로크부(92)로부터 로크 돌기(21)를 이격시킴으로써, 양 하우징(10, 90)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6, the lock protrusion 21 interferes with the lock portion 92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both housings 10, 90, so that the arm body 19 supports the leg portions 18, The arm body 19 is resiliently returned when the both housings 10 and 90 are properly fitted so that the lock protrusion 21 can not move the lock portion 92 So that both housings 10 and 90 are kept in the engaged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both housings 10 and 90, the locking projections 21 ar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s 92 by urging the unlocking operation portion 22 from above,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 본체(19)의 상면의 전단부에는, 슬라이더(60)의 후방으로의 빠짐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2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8)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4)의 상단은 아암 본체(19)의 하단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관통 구멍(24)의 하단은 하우징 본체(11)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8)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24)의 하방에는, 단차(16)의 후방에, 하우징 본체(11)와의 사이에 단(段)이 있는 형상을 이루는 걸림 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4)에는 슬라이더(60)의 후술하는 걸림부(76)가 관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걸림 지지부(25)에는 관통 구멍(24)을 관통한 걸림부(76)의 후술하는 걸림 돌기(77)가 걸릴 수 있게 되어 있다.2 and 8, the front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rm body 19 is provided with a slip-off preventing portion 23 for restricting the slider 60 from slipping out toward the rear side. The dropout preventing portion 23 is in the form of a ri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5, a through hole 24 is formed in the widthwise central portion of the leg portion 18.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24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arm body 19 and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24 is locat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 8,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leg portion 18 below the through hole 24 at the rear of the stepped portion 16 so as to form a step between the leg portion 18 and the housing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A latching support portion 25 is formed. 6, the engagement portion 76 of the slider 6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4. The engagement portion 25 of the slider 60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7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합 통부(12)의 상벽 중 로크 아암(17)과 대향하는 부분은 개방되어 있고, 로크 아암(17)의 상면은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감합 통부(12)의 상벽은, 로크 아암(17)을 사이에 둔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벽(26)을 갖고 있다. 양 가이드벽(26)은, 하우징 본체(11)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하우징 본체(11)의 후단(後端)보다 후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하우징 본체(11)와의 사이에 슬라이더(60)의 이동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공간(27)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a portion of the upper wall of the fitting tube 12 opposed to the lock arm 17 is open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 arm 17 is exposed. The upper wall of the fitting tube portion 12 has a pair of guide walls 26 on both sides of the lock arm 17 therebetween. The guide walls 26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1 to a rear position beyond 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1, A guide space 2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60 is formed.

양 가이드벽(26)의 후방부는, 상방으로 개방된 대략 사분원호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단부(28)를 갖고 있다. 또한, 양 가이드벽(26)의 후단부(28) 사이에는, 도피 오목부(29)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도피 오목부(29)의 전단은, 하우징 본체(11)의 후단에 의해 폭 방향을 따른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구획되고, 도피 오목부(29)의 폭 방향 양단은, 양 가이드벽(26)의 후단부(28)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후방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도피 오목부(29)의 내측에는, 압입 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손가락이 후방으로부터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rear portion of both guide walls 26 has a rear end portion 28 projecting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1 . Also, between the rear end portions 28 of both guide walls 26, the escape recess 29 is formed in a notch. The front end of the escape recess 29 is divided into a straight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by the rear end of the housing main body 11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scape recess 29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both guide walls 26 And is partitioned into a tapered shape which widens toward the rear side by the inner edge of the inner wall 28. [ In the inside of the escape recess 29, a finger (not shown) as a press-in means is allowed to enter from behind.

양 가이드벽(26)의 전방부는, 로크 아암(17)과 대향하는 쪽을 개방시킨 대략 반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가이드벽(26)의 전방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31)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양 가이드 리브(31)는, 양 가이드벽(26)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아암 본체(19)의 전방부의 폭 방향 양단과 대향하여 배치된다.The front portion of both guide walls 26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arc which is opened opposite to the lock arm 17. As shown in Figs. 15 and 16, a pair of guide ribs 31 are formed in a standing manner on the front portion of both guide walls 26. As shown in Fig. Both guide ribs 31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inner edge of both guide walls 26 and are disposed opposite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arm body 19. [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가이드벽(26)의 전단에는, 가이드 공간(27)의 전방을 폐색하는 한 쌍의 스토퍼벽(32)이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스토퍼벽(32)의 하단에는, 한 쌍의 내측 가이드벽(33)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내측 가이드벽(33)은, 단면 원호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벽(26)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내측 가이드벽(33)과 가이드벽(26) 사이에는, 슬라이더(60)의 후술하는 스프링 수용부(65)의 전방부가 삽입되어 안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전단이 스토퍼벽(32)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더(60)의 그 이상의 전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5, a pair of stopper walls 32 for closing the front of the guide space 27 are connected to the front ends of the both guide walls 26.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9, a pair of inner guide walls 33 are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both stopper walls 32 so as to extend rearward. The inner guide wall 33 has a circular arc shape in section and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guide wall 26. A front portion of a spring receiving portion 65 of the slide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guide wall 33 and the guide wall 26 so as to be guided. 9, the forward end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wall 32 so that further advancement of the slider 60 is restricted.

계속해서 슬라이더(60)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더(60)는,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27)에 삽입되어, 하우징(10)에 대해, 전진 위치(도 1, 도 5 내지 도 7, 도 9, 도 10, 도 12에 도시한 위치)와 후퇴 위치(도 2, 도 4, 도 8, 도 11, 도 13에 도시한 위치) 사이를, 가이드벽(26)을 슬라이딩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60)는 합성 수지제이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른 판 형상의 베이스부(61)와, 베이스부(61)의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62)와, 양 아암부(62)의 전단 사이에 가설되는 연결부(63)를 갖고 있다.Next, the slider 60 will be described. The slider 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27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slider 60 is moved forward relative to the housing 10 in the forward position (as shown in Figs. 1, 5 to 7, 9, 10, Backward position while sliding the guide wall 26 between the retracted position (position shown in Figs. 2, 4, 8, 11, and 13).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7, the slider 6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The slider 60 has a plate-like base portion 61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base portion 61 extending forward from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61 And has a pair of arm portions 62 and a connecting portion 63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ends of both arm portions 62. [

연결부(63)는, 베이스부(61)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베이스부(61)와 겹치지 않도록 높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63)의 후단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움푹 패인 빠짐 방지 수용부(64)가 절결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빠짐 방지 수용부(64)의 내측에는, 로크 아암(17)의 빠짐 방지부(23)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63 is located above the base portion 61 and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ase portion 61 as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7, a recess-preventing slip-off preventing receiving portion 6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6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slip prevention portion 23 of the lock arm 17 is inserted into the slip prevention receiving portion 64. As shown in Fig.

도 18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아암부(62)의 하부에는, 스프링 부재(80)를 수용 가능한 스프링 수용부(65)가 형성되어 있다.18 and 20, a spring accommodating portion 65 capable of accommodating a spring member 80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both arm portions 62. As shown in Fig.

스프링 부재(80)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주지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상부에는, 스프링 부재(80)가 스프링 수용부(65)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스프링 받침부(67)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제1 영역(82)이 배치되고,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하부에는, 스프링 부재(80)가 스프링 수용부(65)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대향하지 않고 노출되는 제2 영역(83)이 배치되어 있다.The spring member 80 is made of a well-known spring such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is elastically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9, a spring member 8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pring member 80 in a state in which the spring member 80 is received in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re disposed so that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re opposed to each other, Two regions 83 are arranged.

스프링 수용부(65)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형태를 이루며, 그 내부에 스프링 부재(80) 전체를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둘레벽의 전방부에는, 하방 및 내방으로 개방된 개방부(66)가 형성되고, 개방부(66)에 스프링 부재(80)의 제2 영역(83)이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개방부(66)에 상대 하우징(90)의 압박부(94)가 진입하고, 스프링 부재(80)의 제2 영역(83)이 압박부(94)에 의해 압박되도록 되어 있다.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is capable of receiving the entire spring member 80 therein. 18, an opening portion 66 opened downward and inward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nd the opening portion 66 of the spring member 80 Two regions 83 are exposed and arranged. The pressing portion 94 of the mating housing 90 enters the opening portion 66 and the second region 83 of the spring member 80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94 As shown in Fig.

그리고, 스프링 수용부(65)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0)의 전후 양단을 받아 지지 가능한 한 쌍의 스프링 받침부(67, 68)가 형성되어 있다. 양 스프링 받침부(67, 68)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전단보다 약간 후방으로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 받침부(67)(다른쪽의 스프링 받침부)와, 스프링 수용부(65)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 받침부(68)(한쪽의 스프링 받침부)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수용부(65) 중, 제1 스프링 받침부(67)보다 전방의 부분은, 단면 원호 형상의 돌편부(突片部; 69)로 되어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내측 가이드벽(33)과 가이드벽(26)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9, a pair of spring receiving portions 67, 68 capable of receiving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spring member 80 are formed in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spring retainer portions 67 and 68 are provided with a first spring bearing portion 67 (the other spring retainer portion 67 and 68) which is disposed at a position slightly rearward than the front end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nd a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one spring receiving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 9, the portion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which is located forward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is a circular arc piece portion 69. As shown in Fig. 9, the slider 60 Is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inner guide wall 33 and the guide wall 26 in a state where the inner guide wall 33 is assembled to the housing 10.

제1 스프링 받침부(6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상부가 되는 제1 영역(82)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둘레벽의 상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링 받침부(67)의 하방은, 개방부(66)의 전단 개구를 구성하고 있고, 여기로부터 개방부(66)에 압박부(94)가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받침부(67)의 후면에는, 스프링 부재(80)의 전단이 끼워 붙여지는 제1 돌기(7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71)는, 제1 스프링 받침부(67)의 하단에 있어서, 스프링 수용부(65)의 중심부를 따르도록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후단이 뾰족한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region 82,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pring member 80. As shown in Fig. 20, And is dispose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65.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constitutes the front end opening of the opening portion 66 and the pressing portion 94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 portion 66 from this. As shown in Fig. 9, a first projection 71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spring member 80 is fitted. The first projection 71 protrudes rearward along the center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has a rear end formed in a pointed shape.

한편, 제2 스프링 받침부(68)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0)의 후단 하부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둘레벽의 하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 받침부(68)의 앞면에는, 스프링 부재(80)의 후단이 끼워 붙여지는 제2 돌기(7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돌기(72)는, 제2 스프링 받침부(68)의 상단에 있어서, 스프링 수용부(65)의 중심부를 따르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전단이 뾰족한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다.9,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spring member 80, and as shown in Fig. 20,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nd is disposed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As shown in Fig. 9,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 second protrusion 72, to which the rear end of the spring member 80 is fitted, protrudes forward. The second projection 72 protrudes forward so as to follow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nd has a sharp front end shape.

여기서, 제1 스프링 받침부(67)의 하단과 제2 스프링 받침부(68)의 상단은, 서로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는 스프링 수용부(65)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제2 스프링 받침부(68)는, 정면 및 배면에서 보아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도 20을 참조). 바꿔 말하면,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제2 스프링 받침부(68)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서로의 투영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which is almost the same height as each other. Therefore,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re in such a positional relationship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see Fig. 20). In other words,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re disposed at positions deviated from the projected surfaces of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아암부(62)에는, 스프링 수용부(65)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보호벽(73)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0)가 하우징(10)에 조립된 경우에, 양 보호벽(7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해제 조작부(22)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7)의 폭 방향 양단을 덮도록 배치된다.20, the both arm portions 62 are formed with a pair of protection walls 73 rising substantially vertically from the spring receiving portions 65. As shown in Fig. 5, when the slider 60 is assembled to the housing 10, both the protection walls 73 are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And is disposed so as to cover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ck arm 17 as shown in the figure.

또한, 양 아암부(62)의 상단부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의 이동 동작을 안내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 본체(74)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74)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보호벽(73)의 상단으로부터 일단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향으로 늘어지는 대략 호상(弧狀)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슬라이더(60)가 하우징(10)에 조립되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74)와 보호벽(73) 사이에 가이드 리브(31)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고, 도 12 내지 도 13에 걸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의 이동 과정에서는, 가이드 리브(31)가 가이드 본체(74)와 보호벽(73)에 슬라이딩하여, 슬라이더(60)의 이동 동작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12, a pair of guide bodies 74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60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h arm portions 62.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19 and 20, the guide main body 74 has a substantially arcuate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both the protective walls 73 and then downwardly. When the slider 60 is assembled 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12 and 14, the guide ribs 31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body 74 and the protective wall 73 in a fitted state, The guide ribs 31 slide on the guide body 74 and the protective wall 73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slider 60 dur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60 have.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아암부(62)의 후단에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방으로 계단형으로 경사지는 압입 조작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 조작부(75)가 전방으로 압박됨으로써,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9, a push-in operation portion 75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th arm portions 62 so as to be inclined stepwise upward from the rear end toward the front. The pushing operation portion 75 is pushed forward so that the slider 60 can move toward the forward position.

베이스부(61)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의 후퇴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걸림부(7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76)는, 베이스부(61)의 상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베이스부(61)의 상면에 연속해 있는 기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76)의 전단에는, 걸림 돌기(77)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 걸림 돌기(77)가 걸림 지지부(25)에 걸려 걸림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7, the base portion 61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76 capable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60 to the retracted position. The engaging portion 76 protrudes for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61 in the form of a cantilever and has a proximal end continu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61 as a point, So that it can be bent and deformed. As shown in Figs. 18 and 19, a latching protrusion 77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latching portion 76. [006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forward position, the latching protrusion 77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ortion 25 to be locked.

또한, 걸림부(76)의 상면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걸림부(76)와 일체로 규제부(78)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7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76)의 기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 걸쳐 두께를 증가시키는 패딩 형상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규제부(78)의 상면은, 후퇴 위치에서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의 하면에 접촉 가능한 플랫(flat) 형상의 부분을 갖고 있다. 한편, 규제부(78)가 걸림부(76)의 기단측에 형성됨으로써, 걸림부(76)의 강성이 높여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7, a regulating portion 78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7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76.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the restricting portion 78 is in the form of a padding shape that increases the thickness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engaging portion 76 to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tricting portion 78 has a flat portion that can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nlocking portion 22 of the lock arm 17 at the retracted posi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gulating portion 78 is formed on the base end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76, the rigidity of the engaging portion 76 is increased.

본 실시예의 커넥터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계속해서, 커넥터의 조립 방법 및 감합 동작을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of this embodiment is as described above, and the assembling method and the fitt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슬라이더(60)의 스프링 수용부(65)에 스프링 부재(80)가 수용된다. 스프링 부재(80)는, 개방부(66)를 통해 스프링 수용부(65)에 삽입된다. 그러면, 스프링 부재(80)의 전단에 있어서의 제1 영역(82)이 제1 스프링 받침부(67)의 제1 돌기(71)에 감합 지지되고, 스프링 부재(80)의 후단이 제2 스프링 받침부(68)의 제2 돌기(72)에 감합 지지된다(도 9를 참조).First, the spring member 80 is received in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of the slider 60. The spring member (8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through the opening portion (66). The first region 82 at the front end of the spring member 80 is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the first projection 71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rear end of the spring member 80 is engaged with the second spring And is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the second projection 72 of the receiving portion 68 (see Fig. 9).

계속해서,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27)에 후방으로부터 슬라이더(60)가 삽입된다. 슬라이더(60)의 삽입 과정에서는, 베이스부(61)가 해제 조작부(22)의 하방에 배치되고, 보호벽(73)이 가이드벽(26)과 로크 아암(17)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며, 연결부(63)가 아암 본체(19)의 상방에 배치된다(도 1 및 도 5를 참조). 슬라이더(60)가 정규 삽입되면, 걸림부(76)가 관통 구멍(24)을 관통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77)가 걸림 지지부(25)를 걸 수 있게 배치되어, 슬라이더(60)의 후방으로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슬라이더(60)가 정규 삽입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65)의 돌편부(69)가 스토퍼벽(32)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더(60)의 전방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더(60)가 하우징(10)에 대해 전진 위치에 이동 규제 상태로 유지된다.Subsequently, the slider 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27 of the housing 10 from the rear side. In the inserting process of the slider 60, the base portion 61 is disposed below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and the protective wall 73 enters the gap between the guide wall 26 and the lock arm 17, (See Fig. 1 and Fig. 5). When the slider 60 is normally inserted, the engaging portion 76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 and the engaging projection 77 is arranged to engage with the engaging portion 25 as shown in Fig. 5, The slider 60 is prevented from slipping backward. 9, when the slider 60 is normally inserted, the protruding piece portion 69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i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the stopper wall 32, Is regulated. In this way, the slider 60 is held in the movement regulating state at the advanc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부재(8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후 양단이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제2 스프링 받침부(68)에 지지된 신장 상태로 유지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단의 하측이 전방으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연결부(63)의 전단이 하우징(10)의 전단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베이스부(61)의 후단이 도피 오목부(29)의 전단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를 상방에서 보면, 연결부(63) 및 양 아암부(62)가 노출됨으로써, 슬라이더(60)를 시인할 수 있는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를 하방에서 보면, 슬라이더(60) 전체가 하우징(10)에 숨음으로써, 슬라이더(60)를 시인할 수 없다. 또한,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를 측방에서 보면, 로크 아암(17)이 해제 조작부(22)를 제외하고 보호벽(73) 및 가이드 본체(74)에 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진 위치에서는, 규제부(78)가 로크 아암(17)에 있어서의 해제 조작부(22)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9,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pring member 80 are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forward position As shown in Fig. 14, the lower side of the front end thereof is exposed and arranged forward. 1,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advancing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63 i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0, and the base portion 61 Is dispos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front end of the escape concave portion 29. 1, when the connector is viewed from above,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forward position, the connecting portion 63 and the both arm portions 62 are exposed, whereby the slider 60 is view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nector is viewed from below, the entire slider 60 is hidden in the housing 10, so that the slider 60 can not be seen. The lock arm 17 is hidden in the protective wall 73 and the guide body 74 except for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forward position. In the forward position, the restricting portion 78 is located forward of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of the lock arm 17, so that the lock arm 17 can be bent.

계속해서, 하우징(10)의 감합 공간(13)에 상대 하우징(90)의 후드부(91)가 감합된다. 감합 과정에서는, 상대 하우징(90)의 압박부(94)가 개방부(66)를 통해 스프링 수용부(65)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하부에 있어서의 제2 영역(83)에 압박부(94)가 접촉한다. 감합이 더 진행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80)의 제2 영역(83)이 압박부(94)에 눌리고, 스프링 부재(80)의 전단 상부에 있어서의 제1 영역(82)이 제1 스프링 받침부(67)로부터 이격되며, 스프링 부재(80)가 제2 스프링 받침부(68)에 지지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Subsequently, the hood 91 of the mating housing 90 is fitted into the fitting space 13 of the housing 10. The pressing portion 94 of the mating housing 90 enters the inside of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through the opening portion 66 so that the second reg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pring member 80 8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94. 10, the second region 83 of the spring member 80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portion 94, and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member 80 82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elastically compres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hile the spring member 80 is supported by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90)에 정규 감합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17)이 로크부(92)에 탄성적으로 걸려, 양 하우징(10, 90)이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피팅(20)이 수형 탭(95)에 전기적으로 정규 접속된다. 또한,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됨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부(91)의 전단이 걸림부(76)의 전단에 접촉하고, 걸림부(76)가 상방으로 휨 변형하여 걸림 지지부(25)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걸림부(76)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스프링 부재(80)에 축적된 바이어스력이 해방되며, 따라서 스프링 부재(80)가 후방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80)가 신장됨에 따라, 제2 스프링 받침부(68)가 신장되는 스프링 부재(80)에 압박되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더의 이동 과정에서는, 스프링 수용부(65)가 가이드벽(26)의 내면을 슬라이딩하고, 보호벽(73)과 가이드 본체(74)에 가이드 리브(31)가 슬라이딩하며, 이에 의해 슬라이더(60)의 이동 동작이 안내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가 후퇴 위치에 이르면, 스프링 부재(80)가 실질적으로 거의 자연 상태로 신장된 상태가 되고, 또한 로크 아암(17)의 빠짐 방지부(23)가 슬라이더(60)의 빠짐 방지 수용부(64)에 접촉되어, 이에 의해 슬라이더(60)의 그 이상의 후퇴가 규제된다.When the housing 10 is normally fitted to the mating housing 90, as shown in Fig. 11, the lock arm 17 is elastically hooked on the lock portion 92, so that the both housings 10, Lt; / RTI &gt; Thus, as shown in Fig. 7, the terminal fittings 20 are electrically and regularly connected to the male tabs 95. As shown in Fig. 7, the front end of the hood portion 9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ortion 76, and the locking portion 76 is moved upwar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atching support portion 25 by bending deformation. As a result, the latching state of the latching portion 76 is released, the biasing force accumulated in the spring member 80 is released, and accordingly, the spring member 80 is extended backward. As the spring member 80 is stretche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is pressed by the spring member 80 to be extended. As shown in Fig. 8, the entire slider 60 moves backward do.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lider,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65 slid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wall 26, and the guide rib 31 slides on the protective wall 73 and the guide main body 74, Is guided. 11, when the slider 60 reaches the retracted position, the spring member 80 is substantially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in a substantially natural state, and the stopper 23 of the lock arm 17 Of the slider 6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lip-off preventing receiving portion 64 of the slider 60, whereby further retraction of the slider 60 is restricted.

슬라이더(6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부(78)가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의 하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더(6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조작부(22)의 폭 방향 양측과 대향하는 위치에 보호벽(73) 및 가이드 본체(74)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6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를 측방에서 보면, 로크 아암(17) 전체가 보호벽(73) 및 가이드벽(26)에 숨어 시인할 수 없게 된다.When the slider 6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as shown in Fig. 8, the restricting portion 78 is disposed so as to be contactab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of the lock arm 17. [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protective wall 73 and the guide body 74 are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22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entire lock arm 17 can not be seen in the protective wall 73 and the guide wall 26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한 경우, 가령,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에 상방으로부터 이물(손가락을 포함함)이 우발적으로 접촉하려고 해도, 양 보호벽(73)에 이물이 간섭함으로써, 해제 조작부(22)가 부주의하게 해제 조작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만일, 양 보호벽(73) 사이에 이물이 진입하여 해제 조작부(22)에 접촉해도,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이 규제부(78)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해제 조작부(22)가 부주의하게 해제 조작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ase, even if foreign objects (including fingers) accident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22 of the lock arm 17 from above, foreign matter interferes with both the protection walls 73, Is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released. Even if the foreign matter enters between the two protection walls 73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22,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lock arm 17 is restricted by the restriction portion 78, So that it is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inadvertently released.

또한, 슬라이더(60)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61)의 후단이 도피 오목부(29)의 후단, 즉 하우징(10)의 후단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피 오목부(29)에 베이스부(61)가 면하고, 상세하게는 도피 오목부(29) 전체가 베이스부(61)에 의해 폐색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를 하방에서 보면, 도피 오목부(29)를 통해 베이스부(61)가 노출되어, 슬라이더(60)를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더(60)와 하우징(10)은 상이한 배색이 실시되어 있어, 이에 의해 보다 양호한 시인성이 확보되고 있다.4, the rear end of the base portion 61 is located at a substantially same position as the rear end of the escape recess 29, that is,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0, when the slider 60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Ar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The base portion 61 faces the escape recess 29 and more specifically the entire escape recess 29 is closed by the base portion 61. [ Therefore, as shown in Fig. 4, when the connector is viewed from below, the base portion 61 is exposed through the escape recess 29, and the slider 60 can be visually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lider 60 and the housing 10 are subjected to different colorations, thereby ensuring better visibility.

그런데, 가령,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기 전에 그 감합 조작을 정지하면, 감합 과정에서 축적된 스프링 부재(80)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압박부(94)가 되밀려, 양 하우징(10, 90)이 서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양 하우징(10, 90)이 반감합 상태인 채로 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fitting operation is stopped before the both housings 10 and 90 are regularly fitted, the urg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80 accumulated in the fitting process pushes the urging portion 94 back to the both housings 10, 9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h housings 10, 90 from being placed in the semi-squeezed state.

또한, 메인터넌스 등의 사정에 의해 양 하우징(10, 90)을 서로 이격시킬 때에는, 도피 오목부(29)에 후방으로부터 손가락을 진입시키고, 압입 조작부(75)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슬라이더(60)를 전방을 향해 압입하도록 한다. 그러면, 스프링 부재(80)가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압박부(94)가 스프링 부재(80)에 압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60)의 전진에 따라 해제 조작부(22)의 하방으로부터 규제부(78)가 물러나고, 로크 아암(17)의 해제 조작부(22)의 양측 외방으로부터 양 보호벽(73)이 물러나며, 이에 의해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이 허용된다. 그 상태에서, 해제 조작부(22)를 압박하여 로크 아암(17)의 전단부를 들어올리면, 로크 돌기(21)가 로크부(92)로부터 이격된다. 이렇게 해서 로크 아암(17)의 로크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 부재(80)가 압박부(94)를 전방으로 압박하면서 신장되고, 그 압박력(바이어스력)에 의해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90)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When the two housings 10 and 9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maintenance or the like, the fingers are introduced into the escape recess 29 from behind and the push-in operation portion 75 is pressed with the fingers, Is pressed forward. Then, the spring member 80 is resiliently compressed, and the pressing portion 94 is pressed against the spring member 80. As the slider 60 advances, the restricting portion 78 is retracted from below the releasing operating portion 22 and the both protecting walls 73 are retracted from both sides of the releasing operating portion 22 of the lock arm 17, Whereby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lock arm 17 is permitted. In this state,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ck arm 17 is lifted by pressing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22, the lock projections 21 are separated from the lock portion 92. As the lock state of the lock arm 17 is released in this manner, the spring member 80 is stretched while pressing the pushing portion 94 forward, and the housing 10 is pushed by the urging force (biasing force) 9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80)의 전후 양단이 각각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제2 스프링 받침부(68)에 지지되고, 이들 제1 스프링 받침부(67)와 제2 스프링 받침부(68)가 모두 슬라이더(6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80)를 슬라이더(60)측과 하우징(10)측에 걸쳐 조립할 필요가 없어, 조립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하우징(10)측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pring member 80 are respectively supported by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nd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It is not necessary to assemble the spring member 80 on the side of the slider 60 and the side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assembling workability is improved Improvement. Further,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0 side can be simplified.

이 경우, 제1 스프링 받침부(67) 및 제2 스프링 받침부(68)가, 전후 방향에서 보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60)의 성형시, 전후 방향으로 빼내어지는 금형에 의해 제1 스프링 받침부(67) 및 제2 스프링 받침부(68)를 간단히 성형할 수 있어, 금형 구조가 복잡해지는 일이 없고, 슬라이더(60)의 성형성도 양호해진다.In this case, since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67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r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as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slider 60 is formed, The spring support portion 67 and the second spring support portion 68 can be easily formed and the mold structure is not complicated and the moldability of the slider 60 is also improved.

또한,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 슬라이더(60)를 이동 규제하는 걸림부(76)에,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시에 로크 아암(17)의 휨 동작을 규제하는 규제부(78)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76)와 규제부(78)가 각각의 부위에 형성되는 것보다도, 슬라이더(60)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슬라이더(60)의 대형화가 억제된다.It is also possible to restrict the bending motion of the lock arm 17 when the two housings 10 and 90 are properly fitted to the engagement portion 76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60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both housings 10 and 90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r 60 is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slider 60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ngaging portion 76 and the restricting portion 78 are formed at the respective portions .

또한,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면, 슬라이더(60)가 전진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더(60)가 일단 후퇴한 후 전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경우에 비해, 슬라이더(60)의 위치 확인을 행하기 쉽다. 또한, 양 하우징(10, 90)이 정규 감합되면, 하방에서 보아, 도피 오목부(29)에 슬라이더(60)의 베이스부(61)가 드러나기 때문에, 그것을 확인함으로써, 슬라이더(60)의 위치 확인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감합 검지 기능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도피 오목부(29)가 단순한 위치 확인의 기능뿐만이 아니라, 슬라이더(60)에 압입 수단으로서의 손가락을 인도하기 위한 기능도 갖기 때문에, 양 기능이 각각의 부위에 마련되는 것보다도, 하우징(10)의 구성이 간소화된다.Since the slider 60 is moved from the forward position to the retracted position when the both housings 10 and 90 are properly fitt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lider 60 once moves backward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slider 60 can be confirmed easily. When the both housings 10 and 90 are properly fitted, the base portion 61 of the slider 60 is exposed in the escape recess 29 as viewed from below. The reliability of the fitting detection function is improved. Since the escape recess 29 has a function of guiding the finger as a press-fitting means to the slider 60 as well as a function of merely positioning the position, ) Is simplified.

<다른 실시예> <Other Embodiments>

본 발명은 상기 기술(記述)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For example, the following aspect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스프링 받침부와 제2 스프링 받침부가 스프링 부재의 단부면의 상하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스프링 받침부와 제2 스프링 받침부가 스프링 부재의 단부면의 폭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1)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end surface of the spring member.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Or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d surface of the additional spring member.

(2) 도피 오목부는, 압입 수단으로서 손가락 이외에 지그 등이 진입하는 것이어도 좋다.(2) The escape recess may be such that a jig or the like enters in addition to the finger as the press-in means.

(3) 걸림부에는 걸림 돌기 대신에 걸림 오목부가 움푹 패여 형성되고, 걸림 지지부가 걸림 오목부를 걸어 걸림 고정 가능한 돌기 형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3)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recessed form instead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in which the engaging recessed portion can be engaged and fixed.

(4) 걸림부가 그 기단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거의 일정 두께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걸림부와 규제부가 실질적으로 형태상의 구별 없이 일체화되는 것이어도 좋다.(4)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substantially forward from the base end side thereof, and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out any substantial difference in shape.

10: 하우징 17: 로크 아암
20: 단자 피팅 22: 해제 조작부
25: 걸림 지지부 26: 가이드벽
29: 도피 오목부 60: 슬라이더
65: 스프링 수용부
67: 제1 스프링 받침부(다른쪽의 스프링 받침부)
68: 제2 스프링 받침부(한쪽의 스프링 받침부)
71: 제1 돌기 72: 제2 돌기
73: 보호벽 76: 걸림부
78: 규제부 80: 스프링 부재
82: 제1 영역 83: 제2 영역
90: 상대 하우징 94: 압박부
100: 전선
10: housing 17: lock arm
20: Terminal fitting 22: Release handle
25: latching support 26: guide wall
29: escape recess 60: slider
65: spring receiving portion
67: the first spring receiving portion (the other spring receiving portion)
68: a second spring receiving portion (one spring receiving portion)
71: first projection 72: second projection
73: Protective wall 76:
78: regulating portion 80: spring member
82: first area 83: second area
90: Relative housing 94:
100: Wires

Claims (4)

상대 하우징에 감합(嵌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정규 감합시에 상기 상대 하우징을 탄성적으로 걸어 양(兩) 하우징을 감합 상태로 유지하는 휘어질 수 있는 로크 아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에 일체화된 규제부를 갖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에 걸림으로써 이동 규제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상대 하우징에 압박되어서 상기 하우징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규제부가 상기 로크 아암의 휨 공간에 진입하여 상기 로크 아암의 휨 동작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더
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베이스부로부터 전방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에 형성된 해제 조작부의 하면에 접촉 가능한 플랫(flat)한 상면을 갖고 상기 걸림부의 기단측에 덧살 올림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housing having a lock arm capable of being fitted to a mating housing and capable of being bent so as to elastically latch the mating housing at a time of regular fitting so as to hold the both housings in an engaged state,
The housing has a locking part that is movably assembled to the housing and has a locking part that is capable of being hooked to the housing and has a locking part integrated with the locking part. In the fitting process of the both housings, When the two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the latching portion is pushed by the mating housing to release the latching state with the housing, and the restricting portion enters the bending space of the lock arm, The slider
Wherein the locking portion protrudes forward from the base portion of the slider in the form of a cantilever,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 flat portion capable of contacting a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 arm And the connector has an upper surface and is formed in a state of being stuck on the base end side of the engagem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 상기 상대 하우징에 압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상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됨에 따라 압축 상태가 해제되어 자연 상태를 향해 신장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에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압축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우징과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가 신장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pring member elastically compressed by being pushed by the mating housing in a process of fitting the mating housing, and being expanded toward the natural state by releasing the compression state as the two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Wherein the spring member is held in a compressed state when the latch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housing and the spring member is extended to force the slider to move when the latching portion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with the housing conn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압축 상태의 해제 후, 상기 상대 하우징의 압박 방향이 되는 후방으로 신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도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며, 상기 로크 아암의 후단부에는 걸림 상태를 해제할 때에 압박되는 해제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하우징의 감합 과정에서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로크 아암에 있어서의 상기 해제 조작부보다 전방의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해제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lock ar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pring member is extended rearward in the compression direction of the mating housing after releasing the compressed state, whereby the slider also moves backward, and the rear end of the lock arm Wherein the regulat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portion of the lock arm which is located forward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in the fitting process of the both housings, And the regulating portion reaches a position at which the regulating portion is opposed to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at the time of regular fitt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의 이탈시에, 상기 양 하우징이 정규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해제 조작부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로크 아암의 휨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더에는 한 쌍의 보호벽이 기립 형성되고, 상기 양 하우징의 정규 감합시에는, 상기 해제 조작부의 양측을 양 보호벽이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lock ar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when the two housings are detached, the slider moves forward in a state in which the both housings are normally engaged, so that the restricting portion is displaced from a position opposed to the release operating portion, Wherein a pair of protection walls are erected on the slider and both the protection wall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lease operation portion when the both housings are regularly fitted.
KR1020157030926A 2013-05-08 2013-05-08 Connector KR10172332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2969 WO2014181408A1 (en) 2013-05-08 2013-05-08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507A KR20150135507A (en) 2015-12-02
KR101723327B1 true KR101723327B1 (en) 2017-04-04

Family

ID=5186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926A KR101723327B1 (en) 2013-05-08 2013-05-08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15854B2 (en)
KR (1) KR101723327B1 (en)
WO (1) WO201418140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2367B (en) * 2017-05-15 2021-01-29 住友电装株式会社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TWI734532B (en) * 2020-02-21 2021-07-21 立佳興業股份有限公司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modul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541A (en) 1998-09-07 2000-03-21 Sumitomo Wiring Syst Ltd Fitting detecting connector
JP2002056933A (en) * 2000-08-10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WO2014181414A1 (en) * 2013-05-08 2014-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285B2 (en) 2001-06-12 2006-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Half-mating prevention connector
JP4419875B2 (en) * 2005-03-14 2010-02-24 住友電装株式会社 Mating detection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541A (en) 1998-09-07 2000-03-21 Sumitomo Wiring Syst Ltd Fitting detecting connector
JP2002056933A (en) * 2000-08-10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or
WO2014181414A1 (en) * 2013-05-08 2014-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1408A1 (en) 2014-11-13
JP6015854B2 (en) 2016-11-02
KR20150135507A (en) 2015-12-02
JPWO2014181408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170B1 (en) Connector
KR101631792B1 (en) Connector
KR101795202B1 (en) Connector
JP5050820B2 (en) connector
JP5747858B2 (en) connector
KR101788953B1 (en) Connector
KR101797825B1 (en) Connector
US9362652B2 (en) Connector with at least one detector
KR20160140957A (en) Connector
KR101797819B1 (en) Connector
KR20170070997A (en) Lock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nnector
KR101723327B1 (en) Connector
KR101795200B1 (en) Connector
JP6252386B2 (en) connector
JP2010244912A (en) Terminal fitting
KR20150115640A (en) Connector
KR101788931B1 (en) Connector
KR101746968B1 (en) Connector
JP2021005517A (en) connector
KR101805990B1 (en) Connector
KR101746969B1 (en) Connector
WO2014181409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