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471B1 -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471B1
KR101721471B1 KR1020160093910A KR20160093910A KR101721471B1 KR 101721471 B1 KR101721471 B1 KR 101721471B1 KR 1020160093910 A KR1020160093910 A KR 1020160093910A KR 20160093910 A KR20160093910 A KR 20160093910A KR 101721471 B1 KR101721471 B1 KR 10172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rod
circumferential surface
flang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량
박수민
Original Assignee
김미량
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량, 박수민 filed Critical 김미량
Priority to KR102016009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471B1/ko
Priority to CN201790000600.5U priority patent/CN209510892U/zh
Priority to PCT/KR2017/007025 priority patent/WO20180217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나 타일 등의 설치대상면에 부착하여 각종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터치형 흡착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된 포스트, 그리고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상방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의 하측과 연통되는 수용공간부를 갖는 흡착구;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하 관통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삽입공에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의 하부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헤드를 갖는 피스톤부재;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된 푸시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 피스톤부재, 푸시부재 및 압축스프링은 하나의 조립품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고,
상기 조립품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흡착구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공간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흡착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고정부재, 피스톤부재, 푸시부재 및 압축스프링이 하나로 조립된 상태에서 흡착구의 상측에서부터 수용공간부로 삽입되어 흡착구에 결합됨으로써, 흡착판의 하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각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흡착판의 오염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각 부품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One touch type adsorption unit}
본 발명은 유리나 타일 등의 설치대상면에 부착하여 각종 물품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흡착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흡착력을 갖되, 원터치 누름 동작을 통하여 설치대상면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설치 후 저하된 흡착력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으며, 각 부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형 흡착유닛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4737호(2015.04.23.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원터치형 흡착유닛"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돔형 구조의 흡착판, 그리고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 마련된 수용공간부, 상기 수용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걸림부를 상하 관통하여 형성된 통기공을 갖는 포스트를 포함하는 흡착구;
중앙에 상기 포스트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흡착판의 상측에 배치되어 흡착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되는 홀더;
상기 포스트의 내측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로드의 상승시 상기 걸림부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통기공을 폐쇄하게 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밸브부재;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의 하강시 상기 포스트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푸시부재; 및
상기 포스트의 외측에 끼워지되, 상기 홀더와 상기 푸시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푸시부재 및 상기 밸브부재를 상승시키게 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원터치형 흡착유닛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푸시부재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흡착판이 설치대상면에 밀착될 때에, 흡착판과 설치대상면 사이의 공기가 통기공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흡착유닛을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설치 후 저하된 흡착력을 용이하게 복구시킬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각 부품의 조립 시 밸브부재를 흡착구의 하측에서부터 삽입하여 로드의 상단부를 흡착구의 상측으로 노출시켜야 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흡착판의 하면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며, 조립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흡착판의 중앙에 밸브부재의 헤드가 진입할 수 있는 구멍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함으로써 흡착구의 구조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14737호(2015.04.2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흡착력을 갖고, 설치 및 흡착력 복구가 용이하며, 각 부품의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된 포스트, 그리고 상기 포스트의 내부에 상방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의 하측과 연통되는 수용공간부를 갖는 흡착구;
상기 수용공간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하 관통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고정부재;
상기 삽입공에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의 하부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헤드를 갖는 피스톤부재;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 결합된 푸시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 피스톤부재, 푸시부재 및 압축스프링은 하나의 조립품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고,
상기 조립품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흡착구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공간부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고정부재, 피스톤부재, 푸시부재 및 압축스프링이 하나로 조립된 상태에서 흡착구의 상측에서부터 수용공간부로 삽입되어 흡착구에 결합됨으로써, 흡착판의 하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각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흡착판의 오염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각 부품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에서 흡착구가 조립품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의 설치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의 설치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의 설치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크게 흡착구(100), 고정부재(200), 피스톤부재(300), 푸시부재(400) 및 압축스프링(500)으로 이루어진다.
흡착구(100)는
설치대상면(10)(예 : 유리면, 타일면 등)에 부착되는 흡착판(110);
흡착판(110)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된 포스트(120); 그리고
포스트(120)의 내부에 상방 개방되게 형성된 수용공간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착판(110)은 중앙이 상측으로 다소 돌출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고 포스트(120)와 일체로 형성된 내부 스티프너(stiffener)(111), 그리고 스티프너(111)를 감싸는 스킨(skin)(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티프너(111)는 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포스트(120)를 설치대상면(10) 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평평한 상태로 탄성 변형된다.
스티프너(111)는 필요에 따라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포스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스포크(spoke)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킨(112)은 실리콘고무, 우레탄고무 등의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로 이루어져 스티프너(111)의 하면, 또는 하면과 상면 모두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결국, 스킨(112)은 스티프너(111)가 설치대상면(10) 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될때에 설치대상면(10)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티프너(11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킨(112)과 설치대상면(10)의 사이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흡착구(100)가 설치대상면(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포스트(1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흡착판(110)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된다.
수용공간부(130)는 포스트(120)의 내부가 비어있는 것에 의해 상방 개방되게 형성되며, 수용공간부의 하부는 흡착판(110)의 하측과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에는 후술될 고정부재(200)의 걸림돌기(220)가 진입하게 되는 걸림홈(140)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140)은 수용공간부(130)의 내벽이 일정 구간 요입(凹入)되거나, 포스트(120)를 측방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40)은 수용공간부(130)의 둘레를 따라 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0)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부(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고정부재(200)의 중앙에는 후술될 피스톤부재(300)의 로드(310)가 삽입되는 삽입공(210)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에는 고정부재(200)와 흡착구(100)의 결합 시 흡착구(100)의 걸림홈(140)에 진입하게 되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된다.
고정부재(200)가 수용공간부(130)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220)는 하측이 얇고 상측이 두꺼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고정부재(200)는 걸림돌기(220)의 양측에 위치한 부분이 상하로 절개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하면 고정부재(200)가 수용공간부(130)에 삽입될 때에 걸림돌기(220)가 형성된 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의 상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된 걸림플랜지(230)가 형성된다. 이 걸림플랜지(230)는 걸림돌기(220)가 걸림홈(140)에 진입한 상태에서 포스트(120)의 상면에 접하게 되고, 따라서 수용공간부(130)의 상부에 삽입된 고정부재(200)가 수용공간부(130)의 하부로 더욱 삽입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00)와 흡착구(100)는 걸림돌기(220) 및 걸림홈(140)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는 고정부재(200)와 흡착구(100)의 결합구조에 대한 일례를 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200)와 흡착구(100)는 고정부재(200)가 흡착구(100)의 상측에서부터 수용공간부(130)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로,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시키고, 흡착구(100)의 포스트(120)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시킴으로서, 고정부재(200)와 흡착구(100)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피스톤부재(300)는
고정부재(200)의 삽입공(210)에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310); 그리고
로드(3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수용공간부(130)의 하부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헤드(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드(310)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 푸시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된다.
헤드(320)는 로드(310)의 하단부 외주면을 따라 단면적이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로드(310)의 하단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호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하부플랜지(321) 및 상부플랜지(322); 그리고
하부플랜지(321)를 감싸도록 결합된 패킹(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패킹(323)은 하부플랜지(321)의 하면을 감싸는 바닥부(323a), 이 바닥부(323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되어 하부플랜지(321)의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323b), 이 측벽부(323b)의 상단부에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하부플랜지(321)와 상부플랜지(322)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걸림부(323c), 그리고 측벽부(323b)의 상단부에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상방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된 융기부(323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패킹(323)은 스킨(112)과 같이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측벽부(323b)가 수용공간부(131)의 내주면에 비(非)접촉하게 형성되고, 바닥부(323a)와 걸림부(323c) 사이의 공간이 하부플랜지(32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패킹(323)은 평상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부(323d)가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과 접하여 헤드(320)의 상측과 하측 간의 공기유통을 차단하게 되고, 피스톤부재(300)의 하강 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322)가 걸림부(323c)의 상면을 가압하여 측벽부(323b)가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융기부(323d)가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에서 떨어져 헤드(320)의 상측과 하측의 공기가 서로 유통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피스톤부재(300)의 상승 시에는 하부플랜지(321)가 걸림부(323c)의 하면을 들어올려 측벽부(323b)가 외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융기부(323d)가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으로 더욱 밀착되어 헤드(320)의 상측과 하측 사이의 밀폐력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푸시부재(400)는 로드(3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피스톤부재(300) 및 포스트(1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흡착구(10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푸시부재(400)는 피스톤부재(300)가 수용공간부(130)에서 일정 구간 하강하면, 피스톤부재(300)와 함께 하강하여 포스트(12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압축스프링(500)은 공지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재(200)와 푸시부재(400)의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부재(30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0), 피스톤부재(300), 푸시부재(400) 및 압축스프링(500)이 하나의 조립품(A)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품(A)이 고정부재(200) 및 피스톤부재(300)가 흡착구(100)의 상측에서부터 수용공간부(130)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흡착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흡착판(110)의 하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에서 각 부품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흡착판의 오염이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각 부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이 모듈화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품(A)이 흡착구(100)의 상측에서부터 수용공간부(130)로 삽입되어 흡착구(100)에 결합됨으로써 흡착구(100) 하부 측의 구조 변경이 자유로우며, 따라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10)의 중앙에 격벽(150) 및 하부밸브부재(700) 등의 구성을 마련하여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주로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10)의 하면이 설치대상면(10)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푸시부재(400)를 포스트(120)의 상면과 접하도록 가압(이하, '최초 가압'이라고 함)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500)이 압축 변형되면서 푸시부재(400) 및 피스톤부재(300)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헤드(320)의 하측에 차있던 공기는 패킹(323)과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 사이를 지나 헤드(32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푸시부재(400)와 접한 포스트(120)가 하강하도록 푸시부재(400)를 더욱 가압(이하, '최종 가압'이라고 함)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10)이 평평한 형태로 탄성 변형되어 설치대상면(10)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때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의 사이에 차있던 공기는 헤드(320)를 통과한 후 포스트(120)와 고정부재(200)의 틈새, 그리고 고정부재(200)와 로드(310)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푸시부재(40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변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500)이 복원됨에 따라 푸시부재(400) 및 피스톤부재(300)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패킹(323)의 측벽부(323b)가 외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헤드(320)의 상측과 하측의 공기유통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흡착판(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압축스프링(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 사이의 부압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흡착유닛의 흡착력이 저하될 경우, 사용자는 푸시부재(400)를 원터치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저하된 흡착력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흡착판(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수용공간부(130)와 흡착판(110)의 하측을 구획하는 격벽(150);
격벽(150)의 중앙에 형성된 통기공(160); 그리고
격벽(150)의 상면에 형성되어 통기공(160)을 개폐시키는 하부밸브부재(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150)은 스티프너(111)가 포스트(12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이 격벽(150)에도 스킨(112)이 덮힐 수 있다.
하부밸브부재(7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격벽(150)의 상면을 덮도록 일단부가 격벽(150)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하부밸브부재(700)는 푸시부재(400)의 최초가압 시 헤드(320)와 격벽(150) 사이의 공기압력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16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헤드(320)와 격벽(150) 사이의 공기는 패킹(323)의 측벽부(323b)가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에 의해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과 측벽부(323b)의 사이를 지나 헤드(320)의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하부밸브부재(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재(400)의 최종가압 시에도 통기공(16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 사이의 공기는 흡착판(110)이 탄성 변형되는 것과 동시에 흡착판(110)의 가장자리와 설치대상면(10)의 사이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푸시부재(40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변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500)의 복원됨에 따라 푸시부재(400) 및 피스톤부재(300)가 상승하게 되고, 패킹(323)의 측벽부(323b)가 외측으로 변형됨에 따라 헤드(320)의 상측과 하측의 공기유통이 차단되며, 헤드(320)의 하측과 격벽(150)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5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밸브부재(700)는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 사이의 공기압력이 헤드(320)와 격벽(150) 사이의 공기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통기공(160)을 개방하여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 사이의 공기가 헤드(320)와 격벽(150)의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고,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 사이의 공기압력이 헤드(320)와 격벽(150) 사이의 공기압력과 비슷하거나 낮을 경우 통기공(160)을 폐쇄함으로써 흡착판(110)과 설치대상면(10) 사이의 공기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격벽(150) 및 하부밸브부재(700)에 의해 흡착판(110) 하측의 부압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푸시부재(400)를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내부 공기를 더욱 배출시킴으로써 흡착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을 설명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피스톤부재(300)의 헤드(320)가 로드(310)의 하단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플랜지(324), 그리고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플랜지(324)의 외주면에 끼워진 오링(O-ring)(325)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피스톤부재(300)에는 로드(310)와 헤드(320)의 중앙을 관통하는 배기구(330)가 형성되며, 로드(310)의 상단부 내측에는 배기구(330)와 연통되는 삽입공간부(S)가 형성되고, 이 삽입공간부(S)에는 배기구(330)를 개폐시키는 상부밸브부재(600)가 삽입된다.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은 피스톤부재(300)의 헤드(320)가 오링(325)에 의해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헤드(320) 하측의 공기가 배기구(33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밸브부재(6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밸브부재(600)의 외주면은 삽입공간부(S)의 내주면과의 사이로 공기유통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부밸브부재(600)의 외주면을 삽입공간(S)의 내주면보다 다소 작은 직경으로 제작하거나, 상부밸브부재(600)의 외주면에 상하로 연장된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결국, 상부밸브부재(600)는 푸시부재(400)의 최초가압 및 최종가압 시 헤드(320) 하측의 압력에 의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간부(S)의 상부로 상승하여 배기구(330)를 개방시킴으로써 헤드(320) 하측의 공기가 배기구(330)를 통과한 후 푸시부재(400)와 로드(31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때 공기가 푸시부재(400)와 로드(310)의 사이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로드(310)의 상단부에는 수나사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형태의 요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푸시부재(400)에 가해진 압력을 해제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변형되어 있던 압축스프링(500)이 복원됨에 따라 푸시부재(400) 및 피스톤부재(300)가 상승하게 되고, 이때 상승하는 피스톤부재(300)에 의해 헤드(320)의 하측에 부압이 발생함에 따라 상부밸브부재(600)의 하면이 로드(310)의 하면에 밀착되어 배기구(330)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헤드(320)의 하측이 부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이 설치대상면(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 흡착력이 저하될 경우, 사용자는 푸시부재(400)를 원터치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저하된 흡착력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또한, 고정부재(200), 피스톤부재(300), 푸시부재(400) 및 압축스프링(500)이 하나의 조립품(A)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품(A)이 고정부재(200) 및 피스톤부재(300)가 흡착구(100)의 상측에서부터 수용공간부(130)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흡착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원터치형 흡착유닛"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흡착구
110 : 흡착판 120 : 포스트
130 : 수용공간부 140 : 걸림홈
150 : 격벽 160 : 통기공
200 : 고정부재
210 : 삽입공 220 : 걸림돌기
230 : 걸림플랜지
300 : 피스톤부재
310 : 로드
320 : 헤드
321 : 하부플랜지 322 : 상부플랜지
323 : 패킹 324 : 플랜지
325 : 오링
330 : 배기구
400 : 푸시부재
500 : 압축스프링
600 : 상부밸브부재
700 : 하부밸브부재

Claims (5)

  1. 흡착판(110), 상기 흡착판(110)의 중앙에 상방 돌출 형성된 포스트(120), 그리고 상기 포스트(120)의 내부에 상방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착판(110)의 하측과 연통되는 수용공간부(130)를 갖는 흡착구(100);
    상기 수용공간부(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상하 관통 형성된 삽입공(210)을 갖는 고정부재(200);
    상기 삽입공(210)에 상하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로드(310), 그리고 상기 로드(3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30)의 하부 내주면과 접하게 되는 헤드(320)를 갖는 피스톤부재(300);
    상기 로드(310)의 상단부에 결합된 푸시부재(400); 및
    상기 고정부재(200)와 상기 푸시부재(400)의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5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 피스톤부재(300), 푸시부재(400) 및 압축스프링(500)은 하나의 조립품(A)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고,
    상기 조립품(A)은 상기 고정부재(200) 및 상기 피스톤부재(300)가 상기 흡착구(100)의 상측에서 상기 수용공간부(130)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흡착구(100)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부재(300)의 헤드(320)는
    상기 로드(310)의 하단부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호 상하로 이격 배치된 하부플랜지(321) 및 상부플랜지(322); 그리고
    상기 하부플랜지(321)를 감싸도록 결합된 패킹(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323)은
    상기 하부플랜지(321)의 하면을 감싸는 바닥부(323a);
    상기 바닥부(323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방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랜지(321)의 외주면을 감싸는 측벽부(323b);
    상기 측벽부(323b)의 상단부에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플랜지(321)와 상기 상부플랜지(322)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걸림부(323c); 그리고
    상기 측벽부(323b)의 상단부에 상기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상방으로 비스듬히 돌출 형성된 융기부(323d);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부재(300)의 하강 시 상기 상부플랜지(322)가 상기 걸림부(323c)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측벽부(323b)가 내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융기부(323d)가 상기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에서 떨어져 상기 헤드(320)의 상측과 하측의 공기가 서로 유통될 수 있게 하고,
    상기 피스톤부재(300)의 상승 시 상기 하부플랜지(321)가 상기 걸림부(323c)의 하면을 들어올려 상기 측벽부(323b)가 외측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융기부(323d)가 상기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으로 더욱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20)가 진입하게 되는 걸림홈(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110)의 중앙에는 상기 수용공간부(130)와 상기 흡착판(110)의 하측을 구획하는 격벽(15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50)의 중앙에는 통기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50)의 상면에는 상기 통기공(160)을 개폐시키는 하부밸브부재(700)가 형성되되,
    상기 하부밸브부재(70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격벽(150)의 상면을 덮도록 일단부가 격벽(150)에 부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4. 삭제
  5. 삭제
KR1020160093910A 2016-07-25 2016-07-25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72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10A KR101721471B1 (ko) 2016-07-25 2016-07-25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CN201790000600.5U CN209510892U (zh) 2016-07-25 2017-07-03 便捷一键式吸附固定组件
PCT/KR2017/007025 WO2018021710A1 (ko) 2016-07-25 2017-07-03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10A KR101721471B1 (ko) 2016-07-25 2016-07-25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471B1 true KR101721471B1 (ko) 2017-03-30

Family

ID=5850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910A KR101721471B1 (ko) 2016-07-25 2016-07-25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21471B1 (ko)
CN (1) CN209510892U (ko)
WO (1) WO20180217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23B1 (ko) 2017-06-16 2018-10-1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흡착식 단말기 거치대
KR20200009234A (ko) * 2018-07-18 2020-01-30 텐 셍 어쏠티드 하우스웨어 씨오 엘티디 흡판 장치
TWI697627B (zh) * 2018-12-27 2020-07-01 鐙順實業股份有限公司 吸盤
CN112296700A (zh) * 2020-10-30 2021-02-02 温州宝甸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断路器零部件加工的吸附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7037B (zh) * 2023-06-11 2024-02-09 山东华颂北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床夹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864A (ko) * 2006-06-16 2007-12-21 (주)에어픽스 진공 흡착구
KR101136428B1 (ko) * 2011-10-14 2012-04-19 김창율 진공 흡착구
KR101514737B1 (ko) 2014-04-21 2015-04-23 박수민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532916B1 (ko) * 2014-07-21 2015-07-01 김미량 부착력이 향상된 흡착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4168A (ja) * 2004-08-30 2006-03-09 Golden Peak Plastic Works Ltd 吸盤の装着構造
KR200449191Y1 (ko) * 2007-11-21 2010-06-23 한진복 진공 흡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864A (ko) * 2006-06-16 2007-12-21 (주)에어픽스 진공 흡착구
KR101136428B1 (ko) * 2011-10-14 2012-04-19 김창율 진공 흡착구
KR101514737B1 (ko) 2014-04-21 2015-04-23 박수민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532916B1 (ko) * 2014-07-21 2015-07-01 김미량 부착력이 향상된 흡착유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23B1 (ko) 2017-06-16 2018-10-11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흡착식 단말기 거치대
KR20200009234A (ko) * 2018-07-18 2020-01-30 텐 셍 어쏠티드 하우스웨어 씨오 엘티디 흡판 장치
KR102081506B1 (ko) 2018-07-18 2020-02-25 텐 셍 어쏠티드 하우스웨어 씨오 엘티디 흡판 장치
TWI697627B (zh) * 2018-12-27 2020-07-01 鐙順實業股份有限公司 吸盤
CN112296700A (zh) * 2020-10-30 2021-02-02 温州宝甸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断路器零部件加工的吸附结构
CN112296700B (zh) * 2020-10-30 2021-09-21 永固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断路器零部件加工的吸附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510892U (zh) 2019-10-18
WO2018021710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471B1 (ko) 조립이 용이한 원터치형 흡착유닛
KR101514737B1 (ko) 원터치형 흡착유닛
US6789692B2 (en) Container latch valve
KR102385686B1 (ko) 퀵-릴리즈 밸브 모듈, 상기 퀵-릴리즈 밸브 모듈이 제공된 레티클 포드, 및 상기 레티클 포드에 퀵-릴리즈 밸브 모듈을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EP1780143A2 (en) Container lid of vacuum valve operation type
KR20150087249A (ko) 퍼지 포트를 갖는 기판 컨테이너
KR101346545B1 (ko)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KR101932492B1 (ko) 밀폐용기용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CA2532944C (en) Air admittance vent diaphragm assembly
JP7218448B2 (ja) 電池セル等のセル状キャビティ内に生じる圧力を減少させるための圧力リリーフ弁
KR20180035786A (ko) 진공흡착부재 및 진공흡착방법
CN113764792A (zh) 压力平衡装置
KR101532916B1 (ko) 부착력이 향상된 흡착유닛
WO2020237787A1 (zh) 气门芯及氮气弹簧
CN113741138B (zh) 光掩模盒及于一光掩模盒内固持一光掩模的方法
CN106794757A (zh) 阀箱的安装构造
CN102598357A (zh) 用于电池的密封插头装置
US10258721B2 (en) Pressure controller for phlegm sucking device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560028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US20190002167A1 (en) Sealed container with inner lid
KR101652636B1 (ko) 진공 용기용 안전밸브
CA2209163C (en) Breather valve
KR101344758B1 (ko) 진공냄비용 뚜껑
KR20220011096A (ko) 압력 균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