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40B1 - 교합 측정용 게이지 - Google Patents

교합 측정용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40B1
KR101720640B1 KR1020150149438A KR20150149438A KR101720640B1 KR 101720640 B1 KR101720640 B1 KR 101720640B1 KR 1020150149438 A KR1020150149438 A KR 1020150149438A KR 20150149438 A KR20150149438 A KR 20150149438A KR 101720640 B1 KR101720640 B1 KR 10172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measurement arm
gauge
fixing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소희
Original Assignee
심윤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윤섭 filed Critical 심윤섭
Priority to KR102015014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부에 상하악 치열이 맞물리도록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이 형성되고,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전방측 상면에 구비되는 측정아암(120)이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 후단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상방이 오픈되어지되 오픈 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정아암(120)이 삽입 되도록 유도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 저면으로 아랫니안착홈(221)을 갖는 아랫니고정부(220)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고정웨지삽입홈(230)을 갖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웨지(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부정교합 또는 코골이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상하악의 교합 교정을 희망하는 환자의 교합 상태를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한 후, 상하악 교합 교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어 환자의 상하악 교합 교정 상태를 비용 부담 없이 교정 과정에서의 정밀한 측정이 수시로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및 코골이 환자 등의 치료시 정밀한 측정에 의한 교정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교합 측정용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합 측정용 게이지{Gauges for measuring occlusion}
본 발명은 교합 측정에 사용되기 위한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치료 대상 환자의 초기 상악 및 하악의 교합 상태를 측정한 후, 교정 가능한 범위내에서 교정값에 따른 상태를 정한 후 상하악 가드를 제조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교합 측정용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안면 구조에서 턱의 구조의 비정상적 위치는 여러 질병을 발생 시킬 수 있는 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턱의 비정상적 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로 부정교합 환자나 코골이 환자 발생을 들 수 있다.
턱관절(또는 약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구조는, 얼굴뼈와 턱뼈 사이에 턱관절 디스크가 위치되어 아래턱을 열고 닫아 턱관절 디스크를 중심으로 회전 방식에 따라 운동 되는 것으로, 인체가 노화되거나 아랫 치아가 닳게 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이동되며 턱관절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턱관절 구조를 갖을 수 있다.
턱관절 구조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갖게 되는 턱관절 구조를 올바르게 교정하려는 시도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입안의 치아 구조에 부합되는 치아가드 또는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고체상의 성형폼으로 형성되는 보조 기구를 윗니 또는 아랫니 잇몸에 부착하여 착용자가 그 기구를 물고 있어 턱관절을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서로 다른 형태, 크기를 갖는 치아나 관절 구조에 모두 부합되는 턱관절 교정패드 또는 교정가드를 제작할 수 없어, 환자 상태에 맞는 정확하고 정교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환자에 맞게 제작하는 경우 그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턱관절의 비정상적 위치는 코골이를 유발하여 수면 장애 또는 무호흡 수면을 유발시키는 인자로 작용된다.
수면 중 코를 고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코로 정상적인 호흡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특히, 수면시 턱관절의 위치가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수면 상태에서 아래턱이 뒤로 쳐지거나 평상시에도 아래턱이 뒤로 쳐져 있는 경우 또는 목이 굵은 경우에 코를 심하게 고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목젖 주위가 좁고 숨을 쉬기 위한 기도의 폭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나 코골이가 심사게 되면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성 수면성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oea)으로 진행되는 것은 잠정적으로 10초 이상 또는 밤에 잠을 자는 동안 300회 이상 수면 중 호흡이 멈추어지는 치명적 질환으로 이어지는바, 이러한 증상에 의해 주간에 피로감, 졸림 증상 등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수면 무호흡증상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심폐 계통의 합병증으로 발전하여 고혈압, 부정맥 등을 동반하거나 또는 돌연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어, 상기한 증상의 치료는 가능한 한 조기에 진단 및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코골이 증상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의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코골이 방지 수술을 시행하거나, 또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등을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수술의 경우, 양압환기방식(positive ventilation methods) 및 하악 전진, 혀의 앞쪽 이동 또는 양자의 결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사용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가장 통상적 수술방법 중 하는 구개수구개성형술로, 연개구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면동안 인후 기도의 폐쇄를 방지하는 수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방법은 수일의 입원 및 몇주의 회복 주기를 요하게 되어 가장 고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적용되며, 아울러 예상치 못한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일반 환자들에게는 비가역적 치료를 선호하지 않게 되고, 이와는 달리 뼈 고정구 삽입 또는 목젖에 자석의 이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전히 환자들에게는 선호되지 않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양압식 호흡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호흡법은 그 중 가장 통상적인 것이 지속적 기도양압(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으로, 이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가압 공기를 잠자는 환자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CPAP 의 이용은 대개 수면의 질과 삶의 질에서 즉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CPAP 장치에 수반되는 마스크와 호스 등의 구성에 의해 일반 환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으로 제안되는 것들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측면 및 선호도등에 의해 크게 꺼려지는 문제가 있고, 앞서 전술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는 교정용 베개의 경우 수면 상태에서 몸을 뒤척이는 경우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베개로부터 이탈되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들 중에서 턱관절을 이용하여 치료 또는 교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데 이와 같은 턱관절의 교정을 통하여 하악 전진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교정장치등이 있는데, 이러한 하악 전진 이동에 의존할 경우 혀의 윗부분이 인두후벽에 대하여 이완되는 경향을 크게 줄여, 코골이와 많은 경우 수면 무호흡 증상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예컨데 하악의 전진은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혀를 앞으로 받치게 하는 것인데, 상기한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5 ~ 10 mm 정도의 하악 전진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악 전진을 위한 장치 또는 교정도구들은 한 쌍의 별개로 이루어지는 활모양의 치아 결합유닛 즉 치아가드를 기초적 구성으로 한다.
이들 각각은 서로의 상보적 면에 접하는 대체로 편평한 면을 갖도록 하며, 적절한 경우 상악(上顎) 또는 하악(下顎) 치열의 모두 또는 일부와 정확히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마주보는 치열결합면을 갖도록 한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는 선행 특허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의 '코골이 방지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C자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를 코에 삽입한 이후에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콧구멍의 면적을 확대하는 보조역할을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효과가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면 중의 호흡에 장애를 가져와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구강구조내에 삽입하여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6129호에서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장치를 들 수 있는바, 구강에 삽입하여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종래 기술에서는 치아 안착홈이 기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면시 이탈되거나 고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본 종래 기술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각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주로 코골이 방지에만 적용 가능할 수 있어, 턱관절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코골이 방지 기능의 역할은 수행할 수 있더라도 턱관절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수면시 착용되는 상기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장기간 사용할 시, 턱관절에 구조적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그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또는 고착화되어 턱관절의 교정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즉, 코골이의 방지 및 무호흡 증상 완화와 상기한 턱관절의 교정까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인,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 경성 중심 골격의 상면에 접착 형성된 상부 부재 및 경성 중심 골격의 하면에 접착 형성된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교정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교정장치를 새롭게 맞추거나 성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정자가 턱관절 교정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교정장치를 자신이 스스로 조절하게 되는 경우 정확한 교정이 어렵게 되거나, 비뚤어져 교정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러한 잘못된 교정이 고착되어 교정 불능 상태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교정자 자신이 이러한 교정장치를 조정할 때 치과에 내방하여 조절하기 보다는 교정자 임의대로 조정 및 교정을 할 수 있어 환자의 정확한 치료 데이터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아울러, 치열 상태에 따라 부정교합을 나타내는 경우가 발생 되는데 부정교합은 현대인에게 흔하게 발생 되는 현상으로서, 치과에서 말하는 부정교합(不正咬合)이란 치열(齒列)이 나쁘거나 골격적인 문제로 상하의 치아교합이 비정상적인 상태를 말한다.
특히, 턱뼈가 충분히 성장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영구치의 발육이 있는 경우나, 성장기 어린이의 패스트푸드 및 단 음식의 섭취에 의해 유치가 손상되어 영구치가 자리를 잘못 잡는 경우나, 성장에 따른 얼굴형 변화가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부정교합의 유형은 하기와 같다.
첫째, 골격형 Ⅰ급 부정교합은 아래 어금니와 위의 어금니의 교합정도는 정상이지만 치아가 삐뚤삐뚤하게 자리 잡고 있거나 치아 사이에 약간의 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둘째,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은 아래 어금니가 위의 어금니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부정교합을 말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위의 턱과 위의 앞니가 아래턱과 아래의 앞니보다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은 위턱이 과도하게 성장하였거나 아래턱의 성장이 부진한 경우 발생 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서 발생 될 수도 있다.
셋째, 골격형 Ⅲ급 부정교합은 아래 어금니가 위의 어금니에 비해 과도하게 전방에 위치한 부정교합을 말하며, 흔히 주걱턱이라고 말한다.
어느 경우이든 보기 싫을 뿐더러, 치아가 삐뚤어져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지고, 입 주위 근육이나 혀에도 영향을 줘 발음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아이들의 경우에는 손가락 빨기, 혀 내밀기 등의 나쁜 습관이 생길 수도 있다. 아울러, 치열 부정교합은 음식을 씹을 때 발생 되는 힘에 의해 두개골에 불균형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하는 원인이 되며, 이에 따라, 간헐적인 편두통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아울러, 아래 치아와 위 치아의 고경의 문제로 인해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하고, 잘못된 치과 치료에 의해서도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하며, 정신적 또는 육체적인 외상으로 의한 두개골의 변형으로 인해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하고, 인체의 중심축의 불균형에 의한 턱관절의 문제로 인해 치열의 부정교합이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치열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에 와이어로 된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는데, 치열의 교정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교정 후의 상태를 예상하여 교정장치를 부착하기 보다는 인위적인 가압 방법에 의해 상악치열을 앞으로 잡아당기고, 하악 치열을 후방측으로 미는 힘을 강제적으로 가하는 치열 교정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정교합 치열 교정장치의 경우, 초기 치열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한 후, 치열 상태에 따라 점진적인 교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치과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인위적 치열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어,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의 경우 과도한 교정에 의한 제2의 문제점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가 있는데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치열 교정기의 제조 방법은 환자의 진단 정보를 입력 장치를 통해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입력 저장하고, 두부 방사선 규격과 수(근)골(손가락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환자의 성장방향과 잔여 성장량을 결정하며, 최종적으로 아치와이어와 스프링, 고무줄, 자석 등에 의해 치면에 가해지는 압력(힘)을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의 압력으로 교정치료를 하도록 아치와이어와 탄성부재 등 치열 교정기들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은 치열 고정기(브라켓 등)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로서, 치료 전후의 상악과 하악의 중첩 비교에 의한 치아 이동량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해결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3차원 스캐너를 사용하여 석고모형을 대체함으로써 좀 더 조직적이고 정확하게 치아 및 구강형태를 계측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임상적으로 응용되는 3차원 계측시스템은 단지 일정시점에서의 구강 내 형태에 대한 단순한 계측 및 분석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구강 혹은 악안면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는 시간의 경과 혹은 치료에 의해 역동적으로 변화되고 특히, 교정학 분야에서는 치료 전후에 많은 양의 치아 이동이 발생 된다. 이러한 변화량의 측정은 진단 및 치료결과의 평가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3차원 계측시스템으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정시점에서의 계측만이 가능하며, 특히 상악이나 하악과 같은 해부학적 구조물의 변화를 3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준선 혹은 기준면 혹은 기준공간의 설정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이러한 설정과정을 자동화하는 방법의 개발이 전무하다는 점 등이 가장 큰 장애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교정력 측정을 위한 방법 이외에 CAD/CAM/CAE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교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종래의 방법은 대부분의 치아이동 해석의 단일 치아를 기본으로 하고 치아 이동량 자체의 해석을 실시함에 따라 해석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열 상태에 따라 코골이 증상이 발생되거나 부정교합 상태에 있게 될 때,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상기한 각 방법들이나 장치들 및 시스템 들이 채택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장치 및 방법들을 채택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초기 치열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 인식한 후 순차적 교정을 위한 데이터를 얻는 것 보다는 주로 치과 진료 과정에서 인위적 판단에 의한 교정 치료가 주를 이루고 있어,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올바르고 정확한 교정 데이터를 얻은 상태에서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할 것이고, 설사 교정 전의 데이터를 얻는 전술한 방법에 의해 치료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과다한 비용이 환자의 부담으로 작용되어, 이를 유효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596129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 대한만국 공개특허 제 10-2011-31427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1050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84346 호 국제특허(PCT) 공개번호 WO 2004/02616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72875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치열 교정을 희망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를 비교적 간단한 장치에 의해 측정한 후, 치열 교정을 위한 인위적 수치에 의하여 교합 교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교합 측정을 위한 게이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교합 측정을 위한 게이지를 제공하여, 환자의 교정 상태를 비용 부담 없이 수시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교정 과정에서의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등의 치료시 정밀한 측정에 의한 교정장치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단부에 상하악 치열이 맞물리도록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이 형성되고,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전방측 상면에 구비되는 측정아암(120)이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 후단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상방이 오픈되어지되 오픈 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정아암(120)이 삽입 되도록 유도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가 구비되고,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 저면으로 아랫니안착홈(221)을 갖는 아랫니고정부(220)가 형성되며, 측방향으로 고정웨지삽입홈(230)을 갖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웨지(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정교합 또는 코골이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상악 및 하악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교합 교정을 희망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를 비교적 간단하게 측정한 후, 교정 위치를 선정할 수 있어 환자의 교합 교정 상태를 비용 부담 없이 교정 과정에서의 정밀한 측정이 수시로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성장기에 있는 어린이 및 코골이 환자 등의 치료시 정밀한 측정에 의한 교정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합 교정 측정을 위한 게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서의 게이지에서, 윗니측정게이지만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게이지에서, 아랫니측정게이지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고정웨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게이지를 이용하여 치료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측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코골이 환자 또는 부정교합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교정하기 위한 측정 게이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 및 상기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가 결합 되어 치료 환자의 치료전 치열 상태 및 교정 후를 예상한 교정 치열 상태의 측정값 확인이 가능하도록 윗니측정게이지(1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웨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윗니측정게이지(100)는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치료 환자의 구강내로 진입하여 환자의 상하악 치열에 맞물리도록 고안되어져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후방측으로 일체화되어 연장되는 측정아암(1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으로는 등간격 이격 되는 다수의 그립퍼홀(111)이 천공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그립퍼홀(111)의 경우 통상적 치열 상태 즉, 상악과 하악이 서로 맞물릴때 치아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치열 상태를 측정할 때에는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외주면으로 왁스를 형성하여 치열 상태의 본이 떠 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그립퍼홀(111)은 전술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이 움지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왁스가 견고하게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또한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중앙 후방측으로는 일체로 연장되는 측정아암(120)을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측정아암(120)의 전방측 상면으로는 윗니가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윗니고정부(130)의 골 앞쪽 표면으 정준선을 표시하여 교정 환자의 바이트 채득시 중앙 지점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는,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측정아암(120)이 삽입되며 가이드 되도록 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가 이루어지는데,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의 상방측은 개방되도록 하여, 측정아암(120)의 삽입 위치 파악이 육안으로 가능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측정아암(120)의 삽입 위치를 수치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의 표면으로 눈금표시가 표현되도록 하여 측정아암(120)의 단부측이 가르키는 위치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측으로 삽입되어질 때, 측정아암(120)의 원할한 삽입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측정아암삽입부(210)의 오픈 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를 복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의 저면으로는 환자의 아랫니를 고정하기 위한 아랫니고정부(220)를 형성하게 되는데, 아랫니고정부(220)에는 전술한 윗니고정부(130)와 마찬가지로 아랫니안착홈(221)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측정아암삽입부(210)의 측방향으로는 후술하게 되는 고정웨지(300)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고정웨지삽입홈(2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측정아암(120)은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측정아암삽입부(210)측으로 삽입된 후, 치료 환자의 치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을 구강내로 진입시킨 후 자연스럽게 상악 및 하악이 맞물리며 닫혀지도록 하되, 상악의 윗니는 상기한 윗니고정부(130)의 윗니안착홈(131)에 끼워지며 안착 되도록 한 후, 하악의 아랫니는 상기한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아랫니고정부(220)에 형성된 아랫니안착홈(221)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환자가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었을 때의 상악과 하악의 치열 상태를 반영하게 되며, 측정아암(120)의 단부측이 가르키는 수치 즉 측정아암삽입부(210)의 표면에 표시되는 눈금표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웨지(300)는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으로 푸시판(310)을 이루고, 상기 푸시판(310) 후면으로 삽입부(32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웨지(300)는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측정아암(120)이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측정아암삽입부(210)에서 환자 치열의 상태를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위치를 고정하여, 변위 없이 정확한 위치값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측정아암(12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고정웨지(300)의 삽입부(320)의 상하면으로 돌부(321)가 형성되도록 하여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삽입부(320)가 삽입되어질 때 돌부(321)가 고정웨지삽입홈(230)에서 고정웨지(300)의 유동성을 방지하고 쉽게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고정웨지(300)의 삽입부(320)는 푸시판(310)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테이퍼지며 얇아지도록 구성하여,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삽입되어지며 측정아암(120) 하부로 끼워질 때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교정하기 위해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치료 대상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은 두 과정에 걸쳐 진행되는데, 첫번째의 과정은 치료 대상 환자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그대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고 두번째의 과정은 치료 대상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중 교정하고자 하는 위치로 인위적으로 하악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측정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치료 대상 환자의 상하악 교합을 현존 그대로 측정하기 위해,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윗니측정게이지(100)가 결합 된 상태에서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을 치료 대상 환자의 구강내로 진입시킨 후 윗니를 윗니고정부(130)의 윗니안착홈(131)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 다음, 아랫니측정게이지(200)를 전후로 움직여 치료 대상 환자의 아랫니가 아랫니고정부(2200의 아랫니안착홈(2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치료 대상 환자가 자연스럽게 상악과 하악을 다문 상태이며, 치료 대상 환자의 현 상태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측정아암(120)의 끝단부가 가리키는 측정아암삽입부(210) 표면의 눈금을 확인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현재의 치료 대상 환자 치열 상태를 측정한 후에는, 교정하고자 하는 교정 위치로 하악을 인위적으로 턱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위치시키게 된다.
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서 특히 전술한 부정교합의 유형에 따라 상악 또는 하악을 내밀어 그 상태를 유지하며 교정하고자 하는 경우 치료 대상 환자의 턱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내에서 환자 자신이 턱 관절을 이용하여 상악 또는 하악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여 교정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의 외면으로는 치료 대상 환자의 치열을 본 뜨기 위하여 왁스 등의 물질을 감싼 상태에서, 치료 대상 환자의 구강내로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는 치료 대상 환자가 상악 및 하악을 움직일 때 이와 연동하여 전후로 움직이게 되고, 치료 대상 환자가 교정 위치를 설정하게 되면,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윗니측정게이지(100)를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한 고정웨지(30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웨지(300)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측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웨지삽입홈(230)에 강제로 끼워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윗니측정게이지(1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웨지(3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윗니측정게이지(100)의 측정아암(120)과 측정아암삽입부(210)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측정아암(120)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며 가이더(211)의 하면측으로 측정아암(120)이 가압되며 고정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고정웨지(300)의 삽입부(320)는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삽입된 후, 삽입부(320)의 외면으로 돌출된 돌부(321)에 의해 고정웨지삽입홈(230)에 긴밀하게 결합되어, 고정웨지(300)가 쉽게 고정웨지삽입홈(23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웨지(300)에 의해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의 고정이 이루어지면, 측정아암(120)의 단부가 가리키는 측정아암삽입부(210) 표면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치료 대상 환자의 초기 상태 즉 치료 전의 상하악 교합 상태를 확인 한 후 치료 가능한 범위내에서의 교정 범위를 정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여 측정한 다음, 치료 대상 환자의 교정 범위내에서 측정된 상악 및 하악의 본을 뜬 후 치료용 상하악 가드를 포함하는 치료툴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윗니측정게이지 110; 임프레이션 플렛폼
111; 그립퍼홀 120; 측정아암
130; 윗니고정부 131; 윗니안착홈
200; 아랫니측정게이지 210; 측정아암삽입부
211; 가이더 220; 아랫니고정부
221; 아랫니안착홈 230; 고정웨지삽입홈
300; 고정웨지 310; 푸시판
320; 삽입부 321; 돌부

Claims (5)

  1. 선단부에 상하악 치열이 맞물리도록 활개 되는 임프레이션 플랫폼(110)이 형성되고 윗니안착홈(131)이 형성된 윗니고정부(130)가 전방측 상면에 구비되는 측정아암(120)이 상기 임프레이션 플렛폼(110) 후단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상방이 오픈된 상방측을 가로지르는 가이더(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측정아암(120)이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측정아암삽입부(210) 전방측 저면으로 아랫니안착홈(221)이 형성된 아랫니고정부(220)를 구성하는 아랫니측정게이지(200)와; 상기 윗니측정게이지(100)와 아랫니측정게이지(200)를 고정하게 되는 고정수단을 갖는 교합 측정용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측정게이지(200) 측방향으로 고정웨지삽입홈(23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웨지삽입홈(23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측정아암(120)이 측정아암삽입부(210)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면에 각각 돌부(321)가 형성된 삽입부(320)가 푸시판(310) 후면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테이퍼지며 얇아지도록 구성되는 고정웨지(300)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합 측정용 게이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49438A 2015-10-27 2015-10-27 교합 측정용 게이지 KR10172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38A KR101720640B1 (ko) 2015-10-27 2015-10-27 교합 측정용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38A KR101720640B1 (ko) 2015-10-27 2015-10-27 교합 측정용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640B1 true KR101720640B1 (ko) 2017-03-28

Family

ID=5849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438A KR101720640B1 (ko) 2015-10-27 2015-10-27 교합 측정용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7928A1 (it) * 2017-04-06 2018-10-06 Cizeta Surgical S R L Apparato di avanzamento e misura e metodo di rilevazione per rilevare una posizione modificata in avanzamento della mandibola
KR102201769B1 (ko) * 2020-01-14 2021-01-11 우승현 치아 균형 정보 획득용 보형물
WO2022139381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4609A (en) * 1991-07-16 1992-10-13 George Peter T Instrument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WO2004026163A1 (en) 2002-09-20 2004-04-01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KR100596129B1 (ko) 2004-08-02 2006-07-03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100784346B1 (ko)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1050B1 (ko) 2008-09-22 2009-08-06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열 부정교합 교정구
KR20100006504U (ko) 2008-12-17 2010-06-25 조영철 코콜이방지보조기
KR20110031427A (ko) 2008-05-21 2011-03-28 스튜어트 컬른 코골이 및 수면성 무호흡 완화 장치
KR101072875B1 (ko) 2009-03-03 2011-10-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내장되는 자석을 이용한 부정교합 교정장치
US8123521B1 (en) * 2011-02-24 2012-02-28 Erkodent Erich Kopp Gmbh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mandible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WO2012108566A1 (ko) * 2011-02-10 2012-08-16 Lee Junsik Matthew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
JP2012528698A (ja)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顎突出関連適用のための装具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4609A (en) * 1991-07-16 1992-10-13 George Peter T Instrument for registration of the dental bite
WO2004026163A1 (en) 2002-09-20 2004-04-01 Ortho-Tain, Inc.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KR100596129B1 (ko) 2004-08-02 2006-07-03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100784346B1 (ko)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1427A (ko) 2008-05-21 2011-03-28 스튜어트 컬른 코골이 및 수면성 무호흡 완화 장치
KR100911050B1 (ko) 2008-09-22 2009-08-06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열 부정교합 교정구
KR20100006504U (ko) 2008-12-17 2010-06-25 조영철 코콜이방지보조기
KR101072875B1 (ko) 2009-03-03 2011-10-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에 내장되는 자석을 이용한 부정교합 교정장치
JP2012528698A (ja) * 2009-06-05 2012-11-15 ゼットエスティ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下顎突出関連適用のための装具および方法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WO2012108566A1 (ko) * 2011-02-10 2012-08-16 Lee Junsik Matthew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
US8123521B1 (en) * 2011-02-24 2012-02-28 Erkodent Erich Kopp Gmbh Device for the registration of the position of a protruding mandi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7928A1 (it) * 2017-04-06 2018-10-06 Cizeta Surgical S R L Apparato di avanzamento e misura e metodo di rilevazione per rilevare una posizione modificata in avanzamento della mandibola
KR102201769B1 (ko) * 2020-01-14 2021-01-11 우승현 치아 균형 정보 획득용 보형물
WO2022139381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5395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US20210153981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herapy
US5562106A (en)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384096B2 (ja) 咬合矯正改善システムと補正カンペル平面取得装置並びに咬合矯正改善具
US20220019192A1 (en) Computer aided design matrix for the manufacture of dental devices
KR102162586B1 (ko) 하악 전돌자의 ⅲ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 기기, 시스템 및 방법
JP5758396B2 (ja) 鼾及び睡眠時無呼吸を防止するための調節可能な口内下顎前進装置
US7661955B2 (en) Dental appliance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0840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KR101590813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RU2607170C2 (ru) Зуб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держания языка
US973083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tray for stabilizing jaw joint relationship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101720640B1 (ko) 교합 측정용 게이지
CN215458810U (zh) 齿列矫正牙套
Ahila et al.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of ramus height, gonial angle, and dental height with different facial forms in individuals with deep bite disorders
RU117803U1 (ru) Внутриротово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луганского
RU2565842C1 (ru) Индивидуальный трейнер-моноблок для лечения дисфункции височно-нижнечелюстного сустава
KR101954017B1 (ko)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Yildiz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MAD) in the Therapy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RU2491041C1 (ru) Внутриротово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луганского
US20220160532A1 (en) Orthodontic/orthopaedic device and method
Showkat et al. Evaluation of changes in maxillary arch dimensions, Posterior Transverse Inter Arch Discrepancy (PTID),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adeno/tonsillectomy: A quasi experimental study
WO2024155611A1 (en) Integrally formed device for mitiga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rifianti et al. MANAGEMENT OF REMOVABLE DENTURES WITH FEW REMAINING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