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604B1 -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604B1
KR101720604B1 KR1020150093575A KR20150093575A KR101720604B1 KR 101720604 B1 KR101720604 B1 KR 101720604B1 KR 1020150093575 A KR1020150093575 A KR 1020150093575A KR 20150093575 A KR20150093575 A KR 20150093575A KR 101720604 B1 KR101720604 B1 KR 101720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lunger
housing
dry typ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202A (ko
Inventor
박광범
양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5009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6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25Dosing
    • A61M5/31526Dosing by means of stepwise axial movements, e.g. ratchet mechanisms or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건 타입(gun type)으로 제작되어 시술자가 파지하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 주사액 앰플(ample) 내의 주사액이 피시술자에게 주입되도록 하는 체내 주입용 니들(needle)을 구비하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주사액 앰플이 결합되는 앰플 결합용 홀더부; 건 타입 파지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주사액 앰플에 연결되며, 주사액 앰플 내의 주사액을 체내 주입용 니들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및 플런저에 연결되며, 플런저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시술부위에 주사액이 수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사액 수동 주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주입 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좀 더 용이하고 편안하게 장치를 파지할 수 있어 주사액의 수동 주입 시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치과에서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은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은, 그 시술과정에서 잇몸 절개, 드릴에 의한 천공 등을 수행함으로써, 피시술자에게 많은 고통을 유발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에서 시술부위에 대한 국부마취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국부마취는 통상 주사기로 마취액을 가압하여 시술부위에 마취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취액의 주입 속도, 즉 마취액의 가압 속도가 빠르면 마취액의 주입부위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가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마취액의 주입은 가급적 느린 속도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런데 마취액의 주입 속도를 늦추면 마취액의 주입시간이 늘어나고, 결국 시술자가 주사기를 들고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
시술자가 주사기를 들고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 시술자가 일정한 주입속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떨림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 결과 환자는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더욱이 시술자의 손떨림현상으로 인해 피시술자가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078493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동마취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상기 자동마취장치에 의하며, 마취액의 주입 속도가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서 형성되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종래의 약물 주입 장치는 약물 주입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시술자가 장시간 들고 있기 힘이 들고, 약물 주입 과정에서 손떨림현상에 의한 부가적인 고통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부마취 시 마취액이 혈관 내로 들어가면 통증이 유발되므로, 마취액을 주입하기 전에 주사 바늘을 넣은 뒤, 주사기 플런저(plunger)를 살짝 뒤로 당겨 주사바늘이 혈관을 관통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어스피레이션(aspiration)을 하거나, 환자의 민감도나 마취되어 가는 정도에 따라서 시술자의 판단 하에 수동으로 변환하여 마취액을 주입하는 것이 자동으로 주입하는 것보다 편리한 때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마취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시술자가 장시간 핸들링하기 힘들고,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전환하여 마취액을 주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지난번 약물 주입 장치에 대해 특허출원을 진행하여 등록 받은 바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기등록된 약물 주입 장치는 수동과 자동이 겸용으로 되어 편의성이 증대되고 환자의 민감도에 따라 주입 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약물 주입 시간을 절감하여 환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현재 환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다만, 이번에는 시술자가 좀 더 용이하고 편안하게 장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물(주사액)의 수동 주입 시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약물 주입 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3-0001191호 (서용선), 2013.2.20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술자가 좀 더 용이하고 편안하게 장치를 파지할 수 있어 주사액의 수동 주입 시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 타입(gun type)으로 제작되어 시술자가 파지하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 주사액 앰플(ample) 내의 주사액이 피시술자에게 주입되도록 하는 체내 주입용 니들(needle)을 구비하며,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주사액 앰플이 결합되는 앰플 결합용 홀더부;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액 앰플에 연결되며, 상기 주사액 앰플 내의 주사액을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술부위에 상기 주사액이 수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사액 수동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는,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를 수동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는, 상기 플런저 가압 핸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 가압 핸들의 가압 시 손가락이 지지되는 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아크(arc)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접이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 내에서 상기 플런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자동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술부위에 상기 주사액이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액 자동 주입부는, 상기 플런저를 가압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 기어; 및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웜 기어에 기어맞물림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주사액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모터용 입력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액의 주입이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의 의한 수동모드 또는 상기 주사액 자동 주입부에 의한 자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선택하는 주사액 주입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부는,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 또는 상기 주사액 자동 주입부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 및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 및 상기 주사액 자동 주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의 회전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웜 기어가 상기 랙 기어에 선택적으로 기어 맞물림 또는 기어 맞물림해제되도록 하는 기어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되 상기 모터 및 상기 웜 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한 모터 지지용 회전체; 상기 모터 지지용 회전체의 일단부와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상기 모터 지지용 회전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핀; 및 일측은 상기 돌출핀에 걸려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와 연결되어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돌출핀에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부는, 수동모드 시 상기 돌출핀에 걸리는 위치를 형성하는 수동모드 구간부; 및 상기 수동모드 구간부와 연결되며, 자동모드 시 상기 돌출핀에 걸리는 위치를 형성하는 자동모드 구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의 주변에 마련되며,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의 임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노브 회전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에 이웃되게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에 마련되며, 시술부위를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모듈이 수용되되 상기 조명모듈로부터의 빛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 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명용 입력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자가 좀 더 용이하고 편안하게 장치를 파지할 수 있어 주사액의 수동 주입 시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플런저 하우징과 앰플 수용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주사액 수동 주입부에 의한 수동모드에 따른 동작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에 의한 자동모드에 따른 동작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주사액은 동물이나 인간의 체내에 주입되는 다양한 약물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국부마취를 위한 마취액을 예시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플런저 하우징과 앰플 수용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주사액 수동 주입부에 의한 수동모드에 따른 동작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에 의한 자동모드에 따른 동작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시술자가 좀 더 용이하고 편안하게 장치를 파지할 수 있어 주사액(약물)의 수동 주입 시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과,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앰플 결합용 홀더부(120)와,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에 마련되어 시술 시 시술부위를 조사하는 조명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시술 시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면들에 나타난 것처럼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이 건 타입(gun type)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파지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시술이 편리해지고 용이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도 높은 시술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에는 앰플 결합용 홀더부(120)을 비롯하여 플런저(plunger, 140),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 주사액 주입 선택부(170), 기어 구동부(180) 및 노브 회전 구속부(190) 등의 구성들이 탑재된다.
따라서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은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의 조립을 위해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의 내면에는 다수의 결합용 보스(B)가 곳곳에 마련된다. 이에,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의 결합용 보스(B)들을 서로 맞대어 두고 이곳으로 스크루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을 조립할 수 있다.
유지보수를 위해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을 분해시키기 위해서는 결합용 보스(B)들에 체결되어 있던 스크루를 풀면 된다.
다음으로, 앰플 결합용 홀더부(120)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일측 단부 영역에 결합되며, 주사액 앰플(ample, M)이 수용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앰플 결합용 홀더부(120)는 주사액 앰플(M)이 수용되는 앰플 수용 하우징(112, 도 4 및 도 5 참조)과, 앰플 수용 하우징(112)에 연결되며, 주사액 앰플(M) 내의 주사액이 피시술자에게 주입되도록 하는 체내 주입용 니들(needle, 121)을 포함한다.
앰플 수용 하우징(112)은 주사액 앰플(M)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앰플 수용 하우징(112)의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된 주사액 앰플(M) 내의 주사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뷰포트(112a)가 형성된다.
체내 주입용 니들(121)은 해당 위치에서 쉽게 교체될 수 있는 교체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내 주입용 니들(121)은 단부의 니들 뭉치(121a)가 나사 방식에 의해 앰플 수용 하우징(11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조명모듈(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 주입용 니들(121)에 이웃되게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에 마련되며, 시술부위를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시술 시 조명모듈(130)이 동작되어 시술부위를 밝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술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모듈(130)은 배터리 소모가 적으면서도 빛의 밝기가 우수하고,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적용된다.
그리고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조명모듈(130)이 수용되는 장소를 형성하되 조명모듈(130)로부터의 빛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처럼 조명모듈(130)이 가이드 홈(11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동작될 경우, 조명모듈(130)로부터의 빛이 가이드 홈(111)의 벽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즉, 모아지면서 시술부위를 비출 수 있기 때문에 시술부위를 밝게 조사하는 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조명모듈(130)의 동작을 위해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일측에는 조명용 입력버튼(112)이 마련된다. 조명용 입력버튼(112)은 조명모듈(130)의 온/오프(on/off) 동작 또는 조명모듈(130)의 동작시간을 입력한다.
예컨대, 조명용 입력버튼(112)을 가압하는 회수에 따라 온(on), 3초 동작, 오프(off)가 반복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들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이의 사항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에는 플런저(plunger, 140),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 주사액 주입 선택부(170), 기어 구동부(180) 및 노브 회전 구속부(190) 등의 구성들이 위치별로 탑재되어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동작된다. 이들에 관해 하나씩 설명한다.
플런저(140)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는 막대형 부재이다. 플런저(140)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 내에서 플런저 케이싱(141, 도 4 및 도 5 참조) 내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플런저 케이싱(141)의 일측에는 절취부(14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절취부(142)를 통해 플런저(140)의 일측에 형성된 랙 기어(163)가 노출되어 웜 기어(162)와 기어 맞물림된다.
이러한 플런저(140)의 단부는 주사액 앰플(M)에 연결된다. 이에, 도 8에서 도 9처럼, 혹은 도 11에서 도 12처럼 플런저(140)를 가압하면 플런저(140)가 주사액 앰플(M) 내의 주사액을 체내 주입용 니들(121)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주사액이 시술부위로 주입될 수 있다.
이처럼 플런저(140)를 가압하면 주사액이 시술부위로 주입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플런저(140)를 가압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로 나뉠 수 있다.
수동모드(도 11 및 도 12 참조)는 시술자의 손가락 힘으로 플런저(140)를 가압하면서 주사액이 시술부위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자동모드(도 8 및 도 9 참조)는 후술할 모터(161)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플런저(140)를 가압하면서 주사액이 시술부위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술자는 필요에 따라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자동모드의 경우, 모터(161)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플런저(140)를 가압하면서 주사액이 시술부위로 주입될 수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는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만약, 피시술자의 마취 상태가 통증을 크게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진척되면 모터용 입력버튼(113)을 눌러 자동 주입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거나,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잔여 주사액을 빠르게 주입시킬 수도 있다.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는 전술한 것처럼 플런저(140)에 연결되며, 플런저(140)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시술부위에 주사액이 수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후방에서 플런저(140)의 일측에 연결되며, 플런저(140)를 수동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 핸들(151)과, 플런저 가압 핸들(151)을 사이에 두고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플런저 가압 핸들(151)의 가압 시 손가락이 지지되는 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런저 가압 핸들(151)은 손가락이 이탈되지 않도록 링(ring)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152)는 플런저 가압 핸들(151)을 가압할 때, 손가락이 잘 배치되어 힘을 지탱할 수 있도록 아크(arc) 형상을 갖는다.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152)에 검지와 중지가 배치된 상태에서 엄지를 플런저 가압 핸들(151) 내에 넣고, 도 11 및 도 2처럼 가압하면서 주사액을 수동으로 주입할 수 있다.
물론, 도면과 달리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152)를 접이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자동모드 때는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152)를 접어두면 된다.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 내에서 플런저(14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동력에 의해 플런저(140)를 자동으로 가압하여 시술부위에 주사액이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에 의한 수동모드와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에 의한 자동모드는 시술자가 선택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 내에서 플런저(14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는 플런저(140)를 가압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61)와, 모터(16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 기어(162)와, 플런저(140)의 일측에 형성되며, 웜 기어(162)에 기어맞물림되는 랙 기어(16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61)는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도 8 및 도 9와 같은 자동모드 동작 시 플런저(140)를 자동으로 가압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도시 않은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 내의 배터리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일측에는 모터(161)의 회전속도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모터용 입력버튼(113)이 마련된다. 모터용 입력버튼(113)을 누를 때마다 모터(161)의 속도가 빨라지게 설정될 수 있다. 모터(161)의 속도가 빨라지면 주사액의 단위시간당 주입량이 많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용 입력버튼(113)이 단일의 버튼 형태로 되어 있으나 모터용 입력버튼(113)은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일측에 센서 형태로 마련되어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을 파지하는 압력에 의해 주입량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모터용 입력버튼(113)의 주변에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표시부(114)는 모터(161)로 인가되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한다. 이때의 표시 방식은 알람방식이어도 무방하다.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를 이루는 웜 기어(162)는 모터(161)에 연결되고, 랙 기어(163)는 플런저(140)의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161)에 의해 웜 기어(162)가 회전되면 웜 기어(162)와 기어 맞물림된 랙 기어(163)가 직선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런저(140)가 이동되면서 주사액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웜 기어(162)와 랙 기어(163) 간의 기어 맞물림 결합은 플런저 케이싱(1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취부(142)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절취부(142) 영역으로 노출된 랙 기어(163)에 웜 기어(162)가 기어 맞물림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와 같은 자동모드, 혹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은 수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에는 주사액 주입 선택부(170)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 주사액 주입 선택부(170)는 주사액의 주입이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에 의한 수동모드 또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에 의한 자동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사액 주입 선택부(170)는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와, 기어 구동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 또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2처럼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의 외면에 결합된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에 의한 수동모드 또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에 의한 자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는 자동모드에 해당된다.
기어 구동부(180)는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 및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와 연결되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의 회전동작에 기초하여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 선택적으로 기어 맞물림 또는 기어 맞물림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8 및 도 9처럼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 기어 맞물림되어 주사액 자동 주입부(160)에 의한 자동모드가 진행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처럼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를 비스듬히 회전시키면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서 기어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에 의한 수동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의 주변에는 노브 회전 구속부(190)가 마련된다. 노브 회전 구속부(190)는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의 임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시술자의 의도 없이 수동모드와 자동모드가 임의로 선택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기어 구동부(180)는 모터(161)를 지지하되 모터(161) 및 웜 기어(162)와 함께 회전 가능한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와,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의 일단부와 건 타입 파지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82)와,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핀(183)과, 일측은 돌출핀(183)에 걸려 지지되고, 타측은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와 연결되어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184)에는 돌출핀(183)에 걸리는 걸림홈부(185)가 형성되는데, 걸림홈부(185)는 도 4에 확대된 것처럼 수동모드 시 돌출핀(183)에 걸리는 위치를 형성하는 수동모드 구간부(185a)와, 수동모드 구간부(185a)와 연결되며, 자동모드 시 돌출핀(183)에 걸리는 위치를 형성하는 자동모드 구간부(18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10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84)가 회전되면서 돌출핀(183)을 강제로 당겨 돌출핀(183)이 수동모드 구간부(185a)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가 힌지(182)에 의해 회전되면서 모터(161) 및 웜 기어(162)를 함께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3처럼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에 의한 수동모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수동모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처럼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를 비스듬히 회전시킨다.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재(184)가 회전되면서 돌출핀(183)을 강제로 당겨 돌출핀(183)이 수동모드 구간부(185a)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의 동작에 기인하여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가 힌지(182)에 의해 비스듬히 회전된다.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가 힌지(182)에 의해 비스듬히 회전되면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에 함께 결합되어 있던 모터(161) 및 웜 기어(162) 역시 모터 지지용 회전체(181)와 함께 회전되고, 이에 의해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서 분리되면 주사액 수동 주입부(150)를 이루는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152)에 검지와 중지가 배치된 상태에서 엄지를 플런저 가압 핸들(151) 내에 넣고 플런저 가압 핸들(151)을 가압하면서 주사액을 수동으로 주입할 수 있다. 이때는 주사액의 주입 속도를 시술자의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를 자동모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처럼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171)가 가로 방향이 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면 앞서 설명한 기어 구동부(180)의 역동작에 의해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 기어 맞물림될 수 있다.
이처럼 웜 기어(162)가 랙 기어(163)에 기어 맞물림된 상태에서 모터(161)가 동작되어 모터(161)에 의해 웜 기어(162)가 회전되면 웜 기어(162)와 기어 맞물림된 랙 기어(163)가 직선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런저(140)가 이동되면서 주사액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액이 자동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모드의 경우, 모터(161)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플런저(140)를 가압하면서 주사액이 시술부위로 주입될 수 있기 때문에 피시술자는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만약, 피시술자의 마취 상태가 통증을 크게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진척되면 모터용 입력버튼(113)을 눌러 자동 주입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거나,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잔여 주사액을 빠르게 주입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자가 좀 더 용이하고 편안하게 장치를 파지할 수 있어 주사액(약물)의 수동 주입 시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M : 주사액 앰플 110 : 건 타입 파지하우징
111 : 가이드 홈 112 : 조명용 입력버튼
113 : 모터용 입력버튼 114 : 배터리 잔량 표시부
120 : 앰플 결합용 홀더부 121 : 체내 주입용 니들
122 : 앰플 수용 하우징 130 : 조명모듈
140 : 플런저 141 : 플런저 케이싱
150 : 주사액 수동 주입부 151 : 플런저 가압 핸들
152 : 손가락 걸이부 160 : 주사액 자동 주입부
161 : 모터 162 : 웜 기어
163 : 랙 기어 170 : 주사액 주입 선택부
171 :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 180 : 기어 구동부
181 : 모터 지지용 회전체 182 : 힌지
183 : 돌출핀 184 : 회전부재
185 : 걸림홈부 185a : 수동모드 구간부
185b : 자동모드 구간부 190 : 노브 회전 구속부

Claims (17)

  1. 건 타입(gun type)으로 제작되어 시술자가 파지하는 건 타입 파지하우징;
    주사액 앰플(ample) 내의 주사액이 피시술자에게 주입되도록 하는 체내 주입용 니들(needle)을 구비하며,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주사액 앰플이 결합되는 앰플 결합용 홀더부;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액 앰플에 연결되며, 상기 주사액 앰플 내의 주사액을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 쪽으로 가압하는 플런저(plunger);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시술부위에 상기 주사액이 수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사액 수동 주입부;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 내에서 상기 플런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플런저를 가압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웜 기어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웜 기어와 기어맞물림되는 랙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자동으로 가압하여 상기 시술부위에 상기 주사액이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주사액 자동 주입부; 및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 또는 상기 주사액 자동 주입부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선택하는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와,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의 회전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웜 기어가 상기 랙 기어에 선택적으로 기어 맞물림 또는 기어 맞물림해제되도록 하는 기어 구동부를 구비하는 주사액 주입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구동부는,
    상기 모터를 지지하되 상기 모터 및 상기 웜 기어와 함께 회전 가능한 모터 지지용 회전체;
    상기 모터 지지용 회전체의 일단부와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상기 모터 지지용 회전체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핀; 및
    일측은 상기 돌출핀에 걸려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와 연결되어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는,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후방에서 상기 플런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플런저를 수동으로 가압하는 플런저 가압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수동 주입부는,
    상기 플런저 가압 핸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상기 플런저 가압 핸들의 가압 시 손가락이 지지되는 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손가락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걸이부는 아크(arc)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접이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주사액의 주입량 조절을 위해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모터용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돌출핀에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는,
    수동모드 시 상기 돌출핀에 걸리는 위치를 형성하는 수동모드 구간부; 및
    상기 수동모드 구간부와 연결되며, 자동모드 시 상기 돌출핀에 걸리는 위치를 형성하는 자동모드 구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의 주변에 마련되며, 상기 주사액 주입 선택노브의 임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노브 회전 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에 이웃되게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에 마련되며, 시술부위를 조사하는 조명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이며,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조명모듈이 수용되되 상기 조명모듈로부터의 빛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조명모듈의 온/오프(on/off) 동작 또는 상기 조명모듈의 동작시간을 입력하는 조명용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 타입 파지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0150093575A 2015-06-30 2015-06-30 약물 주입 장치 KR101720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75A KR101720604B1 (ko) 2015-06-30 2015-06-30 약물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575A KR101720604B1 (ko) 2015-06-30 2015-06-30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2A KR20170003202A (ko) 2017-01-09
KR101720604B1 true KR101720604B1 (ko) 2017-03-28

Family

ID=5781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575A KR101720604B1 (ko) 2015-06-30 2015-06-30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66B1 (ko) 2022-04-05 2022-05-25 주식회사 지씨에스 약액 주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438B1 (ko) * 2013-11-07 2014-11-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약물 주입 장치
US9055992B2 (en) 2012-12-14 2015-06-16 Bryan Larson Dual medicament carpule for dental syring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141B2 (en) * 2009-06-26 2013-10-29 Showa Yakuhin Kako Co., Ltd. Linearly motorized dental syringe
AU2012280512B2 (en) * 2011-07-01 2016-06-0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l device comprising illumination arrangement
KR200467664Y1 (ko) 2011-08-12 2013-07-04 서민성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5992B2 (en) 2012-12-14 2015-06-16 Bryan Larson Dual medicament carpule for dental syringes
KR101462438B1 (ko) * 2013-11-07 2014-11-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약물 주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566B1 (ko) 2022-04-05 2022-05-25 주식회사 지씨에스 약액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02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279B1 (ko) 디지털 마취액 주입 장치
JP6353551B2 (ja) 薬液注入装置
US5180371A (en) Hypodermic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CA1329903C (en) Hypodermic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800861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or eliminating the pain associated with an injection
KR101293502B1 (ko) 무통 마취기
TWI597085B (zh) 注藥裝置
JP2004510552A (ja) 流体物質を投薬するための注射器
KR101720604B1 (ko) 약물 주입 장치
WO2004064661A2 (en) Dental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dental injections
KR101575619B1 (ko) 약물 주입 장치
US6976842B1 (en) Device for local sub-gingival applications of dental medications
CN208591401U (zh) 药物注入装置
US202003600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traosseous dental anesthetization
CN108309220B (zh) 牙科口镜式注射器
CN112401831A (zh) 用于投射面部血管的透照器
CN219375843U (zh) 一种口腔护理给药器
CN111228611B (zh) 一种针头内置的口腔局部麻醉辅助给药装置
KR102344093B1 (ko) 약물 주입 장치
AU646793B2 (en) Aspirating hypodermic syringe apparatus and method
CN200994980Y (zh) 口腔科用麻醉针
KR20130060097A (ko) 치과용 채혈기구
US20040143223A1 (en) Dental anesthetic injec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dental injections
Posner Local anesthesia simplified
KR20090129682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보조하기 위한 간편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