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156B1 - 먼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먼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156B1
KR101718156B1 KR1020150119098A KR20150119098A KR101718156B1 KR 101718156 B1 KR101718156 B1 KR 101718156B1 KR 1020150119098 A KR1020150119098 A KR 1020150119098A KR 20150119098 A KR20150119098 A KR 20150119098A KR 101718156 B1 KR101718156 B1 KR 10171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work booth
management server
work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661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15011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1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01N21/532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with measurement of scattering and transmission
    • G01N2015/069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13Coherent sources; la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은 생산 공정에서 작업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 부스; 상기 작업 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상태를 측정하는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 상기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상태를 관리하고 일정 주기로 분석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분석된 먼지 상태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먼지 관리 시스템 {PARTIC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 공정에서의 대기 환경을 관리함으로써,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생산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먼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는 작업 공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소형 센서를 생산하는 작업 공정, 고정밀 계측 센서를 조립하는 작업 공정, 카메라와 같은 고정밀 광학 장비를 조립 하는 작업 공정 등에서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공간내의 먼지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작업 부스 내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작업 공간 내의 먼지의 개수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정밀한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불량률이 증가하고 있다.
제조 현장에서 먼지의 관리는 매우 중요한데, 실제 제조 현장에서 작업 부스의 먼지를 관리하는 기준은 미연방기준인 FED(federal standard)-STD-209를 사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 것이 현실이다.
즉, 실제 제조 현장에서는 FED에 근거하여 0.5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파티클만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의 정확한 크린 환경을 구축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작업 공간내의 먼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하지 못하면, 어떤 원인으로 불량률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에 대한 판단 근거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는 작업 공정에 있어서, 먼지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는 작업 공정에서 먼지의 상태를 실시간을 관리할 수 있는 먼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은 생산 공정에서 작업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 부스; 상기 작업 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상태를 측정하는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 상기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상태를 관리하고 일정 주기로 분석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분석된 먼지 상태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부스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먼지 개수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장치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부스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부스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작업 부스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부스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유입 팬 및 상기 배기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부스의 공기 유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작업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는 공기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부;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레이저 수광부; 및 상기 레이저 수광부에서 수광된 레이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에서 전송된 전기 신호의 피크값의 크기 및 상기 전기 신호의 피크값의 개수로 유입되는 먼지의 크기 및 먼지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먼지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정밀한 부품을 생산하는 작업 공정을 수행하는 작업 부스내의 먼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부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로부터 산란되는 산란광을 이용하여 유입되는 먼지의 개수 및 크기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 부스내의 먼지 상태에 따라 작업 부스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작업 부스내의 먼지 밀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먼지 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측정 장치를 통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작업 부스와 압력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먼지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먼지 관리 시스템은 작업 부스(100), 먼지 측정 장치(110). 관리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부스(100)는 생산 공정에서 작업 공정(예를 들어 정밀한 부품을 가공 공정, 조립 공정 등)이 수행하기 위해 일정한 단위로 구획된 부분을 일컫는다. 상기 작업 부스(100)는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기둥의 사이에 커튼 또는 판재에 의해 닫힌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부스(100)에는 환기를 위해 상기 먼지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는 상기 작업 부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상태를 측정한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는 상기 관리 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된 먼지의 상태(예를 들어, 먼지의 개수, 작업 부스(100) 내로 유출입 되는 먼지의 변화량)는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제공된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는 상기 작업 부스(100)에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된 상기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일정 주기 간격으로 분석한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각각의 작업 부스(100)별 먼지 개수, 작업 부스(100)별 먼지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 작업 부스(100)별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다수의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된 상기 작업 부스(100)의 먼지 상태에 관한 이력을 일정 기간 단위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경보 신호에 관한 이력은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에게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상용화 서비스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는 상기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상기 작업 부스(100)의 먼지 상태를 출력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상기 작업 부스(100)의 먼지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기간 동안 발생한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에 관한 이력을 손쉽게 조회할 수 있고, 기타 여러 가지 문제 상황(예를 들어,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개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의 대처 방안도 손쉽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는 상기 작업 부스(100)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먼지 상태를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먼지 측정 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는 상기 작업 부스(100)의 공기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부(111), 상기 레이저 발광부(111)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레이저 수광부(113), 및 상기 레이저 수광부(113)에서 수광된 레이저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상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는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전송된 전기적 신호의 피크값의 크기 및 상기 전기적 신호의 피크값의 개수로부터 상기 작업 부스(100) 내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먼지의 크기 및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측정 장치(110)를 통해 변환된 전기 신호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먼지 측정 장치(110)의 레이저 수광부(113)에서 수광된 레이저 신호를 변환부에서 전압으로 변환한 값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전압 신호의 크기가 크고, 먼지 입자의 개수에 따라 전압 신호의 피크값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전압 신호의 피크값의 크기로부터 먼지 입자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신호의 크기가 제1 전압보다 크면 먼지 입자의 크기가 0.3 마이크로미터 보다 크고, 전압 신호의 크기가 제2 전압보다 크면 먼지 입자의 크기가 0.5 마이크로미터 보다 크며, 전압 신호의 크기가 제3 전압보다 크면 먼지 입자의 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 보다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는 1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먼지 입자의 개수가 1개, 0.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먼지 입자의 개수가 2개, 그리고 0.3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먼지 입자의 개수가 5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수광부(113)에서 수광한 산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통해 먼지 입자의 크기 및 개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부스(100)의 부피와, 유입되는 공기량, 배출되는 공기량으로부터 작업 부스(100)에 존재하는 먼지의 상태(작업 부스(100) 내 먼지의 개수, 작업 부스(100)내 먼지의 실시간 변화량, 유입되는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 작업 부스(100) 내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부스(100)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부스(10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작업 부스(100)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부스(100)의 공기 유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 팬과 배기 팬은 각각 블레이드와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 부스(100) 내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되는 먼지 개수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유입 팬 및 배기 판의 회전 속도(즉,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되는 먼지 입자의 변화 상태(예를 들어, 작업 부스(100) 내 먼지의 개수, 작업 부스(100)내 먼지의 실시간 변화량, 유입되는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 작업 부스(100) 내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유입 팬 및 배기 판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작업 부스(100)내의 먼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의 작업 부스(100)와 압력 조절 장치(12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먼지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120)는 상기 관리 서버(200)에 의해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서버(200)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되는 상기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작업 부스(100) 내 먼지의 개수, 작업 부스(100)내 먼지의 실시간 변화량, 유입되는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 작업 부스(100) 내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 등)에 따라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개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력 조절 장치(120)에 의해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크게 조절한다(즉, 상기 작업 부스(100) 내에 양압(positive pressure)이 형성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크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작업 부스(100)에서 외부로 공기 배출이 용이해지고, 외부에서 상기 작업 부스(100)의 내부로 공기 유입이 어려워지도록 하여, 상기 작업 부스(100) 내부의 먼지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 서버(200)는 먼지 측정 장치(110)에서 측정된 전기적 신호를 통해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여 출력함으로써, 관리자는 작업 부스(100) 내의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부스(100)로 유출입되는 먼지의 산란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작업 부스(100) 내의 먼지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부스(100)내의 먼지 입자를 정확히 계측함으로써, 작업 부스(100) 내의 각종 기계 및 설비를 운용할 수 있는 관리 기준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제품의 품질관리를 정확히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부스 내의 제조 환경이 개선되기 때문에 제품 생산의 수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불량 제품의 폐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부스(100)내의 먼지 입자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부스(100) 내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입자와 같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상 발생에 관한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의 변화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부스 내에 필요 이상의 청정도가 유지되지 않도록 유입 팬 및 배기 팬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 팬 및 배기 팬의 운용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의 크기를 정확히 계측할 수 있기 때문에, ISO(국제 표준 규격)에 따른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입자의 정확한 관리를 통해 작업 부스내의 크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작업 부스
110: 먼지 측정 장치
111: 레이저 발광부
113: 레이저 수광부
120: 압력 조절 장치
200: 관리 서버
3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7)

  1. 생산 공정에서 작업 공정이 수행되는 작업 부스;
    상기 작업 부스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상태를 측정하는 복수의 먼지 측정 장치;
    상기 복수의 먼지 측정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먼지 측정 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작업 부스 내의 먼지 상태를 관리하고 일정 주기로 분석하는 관리 서버;
    상기 관리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관리 서버에서 분석된 먼지 상태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
    상기 작업 부스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 장치;
    상기 작업 부스의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부스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 팬; 및
    상기 작업 부스의 공기 배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작업 부스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팬;
    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 장치는 공기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발광부;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공기에 포함된 먼지에 산란되는 산란광을 수광하는 레이저 수광부; 및 상기 레이저 수광부에서 수광된 레이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에서 전송된 전기 신호의 피크값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유입되는 먼지의 크기를 판단하고, 피크값의 개수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작업 부스 내의 먼지 개수, 작업 부스 내 먼지의 실시간 변화량, 유입되는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 작업 부스 내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압력 조절 장치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먼지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실시간 변화량, 작업 부스별 먼지 개수의 임계값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유입 팬과 상기 배기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먼지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부스의 공기 유입구에 구비되고 상기 작업 부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 필터;
    를 더 포함하는 먼지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19098A 2015-08-24 2015-08-24 먼지 관리 시스템 KR10171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98A KR101718156B1 (ko) 2015-08-24 2015-08-24 먼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098A KR101718156B1 (ko) 2015-08-24 2015-08-24 먼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61A KR20170023661A (ko) 2017-03-06
KR101718156B1 true KR101718156B1 (ko) 2017-04-04

Family

ID=5839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098A KR101718156B1 (ko) 2015-08-24 2015-08-24 먼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285B1 (ko) * 2018-05-28 2018-10-10 (주)지에스티 다중 산업용 네트워크 기반 공작기계 아날로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820B1 (ko) * 2017-12-19 2019-08-16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저 회절 입도 분석기를 이용한 입도 분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305B1 (ko) * 2011-06-29 2011-11-29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먼지 센서를 이용한 피시용 흡진 장치
KR101490324B1 (ko) * 2014-09-16 2015-02-16 대한민국 미세 먼지 원격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168B1 (ko) * 2008-03-25 2010-02-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역사의 내외기 비교기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3966B1 (ko) * 2009-03-23 2011-09-14 김제원 실시간 분진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305B1 (ko) * 2011-06-29 2011-11-29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먼지 센서를 이용한 피시용 흡진 장치
KR101490324B1 (ko) * 2014-09-16 2015-02-16 대한민국 미세 먼지 원격 측정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285B1 (ko) * 2018-05-28 2018-10-10 (주)지에스티 다중 산업용 네트워크 기반 공작기계 아날로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661A (ko) 201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6069A1 (en) Machine tool management system
US8271121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in-situ process monitoring and control for plasma processing tools
KR101741272B1 (ko) 플라즈마 프로세싱 툴을 위한 인-시츄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07802B2 (en) Safety workbench and method for the calibration thereof
CN116758719B (zh) 一种生产车间设备环境在线监测***
CN104564156A (zh) 一种煤矿粉尘监控***及方法
KR101718156B1 (ko) 먼지 관리 시스템
CN116238176B (zh) 一种人造石英石板原料配置控制***
WO2015021751A1 (zh) 一种数据驱动的集成电路工艺设备异常预警技术方法
CN109741927A (zh) 微型变压器生产线的设备故障和潜在不良品智能预测***
JP2011069821A (ja) ランダムノイズ信号の検出及びフィルタリング方法
CN105573250A (zh) 机械加工在线品质管控方法和***以及加工机床
CN110866558A (zh) 一种基于多源数据融合分析的旋转设备状态预警方法
CN117153712B (zh) 半导体清洗设备腔室内部的综合监控***及方法
CN103294085B (zh) 一种用于光学测量设备的微环境控制***
CN109357928B (zh) 气溶胶稀释器稀释比的校准装置及其方法
CN108627107B (zh) 管道内沉积粉尘厚度监测装置及方法
KR20210029360A (ko) 팬 필터 유닛의 풍량 제어 시스템과 팬 필터 유닛의 풍량 제어 및 결함 예측 방법
CN109194737A (zh) 一种建筑工程环境监控***
CN115427781A (zh) 用于确定气溶胶的微粒速度的方法和气溶胶测量仪
JP2007147519A (ja) 粒子計数装置及び粒子計数システム
CN104200119A (zh) 基于罗茨鼓风机风压的煤粉输送量软仪表
KR101620850B1 (ko) 가상다중센서 기술을 이용한 센서 건전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17316836B (zh) 一种应用马兰戈尼效应的晶圆加工管理***
JP7268710B2 (ja) 微粒子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