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060B1 - 조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060B1
KR101716060B1 KR1020150181635A KR20150181635A KR101716060B1 KR 101716060 B1 KR101716060 B1 KR 101716060B1 KR 1020150181635 A KR1020150181635 A KR 1020150181635A KR 20150181635 A KR20150181635 A KR 20150181635A KR 101716060 B1 KR101716060 B1 KR 10171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ntrol
information
area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이선구
이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이충구 filed Critical 이선구
Priority to KR102015018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5B37/0245
    • H05B37/027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통신 유닛; 상기 통신 유닛과 통신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기; 및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부가정보의 설정 및 제어 관리를 상기 통신 유닛에 요청하는 PC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조명기구, 인감센서 그리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제어장치{LIGHTING CONTROLLER DEVICE}
본 발명은 조명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란 발광하는 빛을 만들어 내고, 이 빛을 소망하는 지점에 비추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기술이 발전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현재에는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기술, 즉 디지털 조명장치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조명장치 기술은 전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조명장치들은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조명개체의 구동순서와 밝기만을 제어하는 형태로 디지털 조명장치를 구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식에 따른 디지털 조명장치는 미리 정해진 구동순서에 따라서만 조명개체를 반복 구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명효과를 내는 것이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3656가 사용자의 동작이나 상태, 그리고 그 설치된 주변의 상황을 인식하고, 그 인식결과에 합치하도록 적절한 조명효과를 낼 수 있도록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수단을 통한 입력이 아닌 단지 사용자의 기 설정된 제스처의 센싱으로 치환한 것이 불과하여, 결국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조명을 통한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3656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단말기를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통신 유닛; 상기 통신 유닛과 통신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기; 및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부가정보의 설정 및 제어 관리를 상기 통신 유닛에 요청하는 PC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조명기구, 인감센서 그리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상기 촬상장치는 전방위 렌즈를 구비한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상기 이미지 센서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실내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별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센싱한 실내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간의 휘도 차이를 기초하여 상기 실내 영역 내의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량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추정하는 피로도 추정부;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피로도 추정부의 결과 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기구의 밝기와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센싱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와 인접한 조명기구를 점등 또는 소등하는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복수의 단말기를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단말기로써 조명기구를 구비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조명기구, 인감센서, 조도센서, 이미지센서, 벽스위치를 단말기로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이미지 센서가 촬상한 영역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실내 영역에 대한 모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b 내지 도 5d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실내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전방위 렌즈 모듈과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더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복수의 조명기구 및 복수의 인감센서를 구비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통로에 설치된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제어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10)와 상기 제어장치(10)와 통신하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복수의 통신 유닛(20)과 상기 통신 유닛(20)과 통신하여 상기 제어장치(10)로부터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30), PC 설정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와 상기 통신 유닛(20)은 특정의 무선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이용하는 제1 무선 네트워크(31)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 유닛(20)이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각 통신 유닛(20)에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이용하는 제1 무선 네트워크(31)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20)은 제어장치(10)로부터의 통신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40)는 복수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통신 유닛(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단말기(40)는 통신 유닛(20)과 무선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이용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32)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40)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각 단말기(40)에 서로 다른 무선 네트워크 식별번호를 이용하는 제2 무선 네트워크(32)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는 각종 건물이나 각종 시설문의 복수의 층 또는 하나의 층을 분할하는 복수의 영역 등의 조명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는 형광 램프, 백열 램프,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 등의 조명 부하를 점등하고 제어하는 조명기구, 조도 센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감 센서, 이미지 센서 그리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조명 부하를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벽스위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들 각각에는 기 설정된 고유 어드레스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31)는 PC 설정기(50) 내의 컴퓨터와 접속할 수 있다. 상기 PC 설정기(50) 내의 컴퓨터는 조명 제어 상태의 감시 또는 조명 제어의 각종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네트워크(31)는 운반 가능한 설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운반 가능한 설정기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1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제어장치(10)는 상위 제어장치(2)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상위 제어장치(2)는 조명제어장치(1) 외에도 방재 설비나 방범 설비 그리고 공조 설비 등을 통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상위 제어장치(2)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유닛(20)는 단말기(40)에 미리 등록된 고유 어드레스 요구 지령을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40)로부터, 위 지령에 대한 응답으로써 고유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응답을 송신한 단말기(40)의 하나의 고유 어드레스에 대해서 제1 무선 네트워크(31)에서 이용하는 하나의 무선용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어드레스의 상위 바이트에 통신 유닛(20)이 제1 무선 네트워크(31)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드레스의 최하위 바이트를 삽입하고, 하위 바이트에는 통신유닛(20)이 설정한 단말기(40)의 수량을 삽입하고, 상기 고유 어드레스는 비 휘발성 메모리에 보존될 수 있다.
도 2는 단말기로써 조명기구를 구비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말기(40) 중 적어도 하나가 조명기구(41)인 경우, 상기 조명기구(41)는 제2 무선네트워크(32)를 통해 통신유닛(2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41a), 조명(41b), 상기 조명(41b)의 점등, 소등 그리고 조광을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부(41c) 그리고 제어장치(10)로부터의 지령에 대응하여 상기 인버터부(41c)를 통해 상기 조명(41b)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4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는 기 설정된 자동 조명 제어 패턴에 따라서 조명기구(41) 각각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조명기구(41)의 점등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조명기구(41)의 점등 상태를 모니터 등으로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는 상위 제어장치(2)와 통신이 가능하여, 상기 상위 제어장치(2)는 복수의 제어장치(10) 전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위 제어장치(2)는 상기 복수의 제어장치(10)와 연결된 모든 단말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조명기구, 인감센서, 조도센서, 이미지센서, 벽스위치를 단말기로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의 복수의 단말기(40)들은 조명기구(41), 인감센서(42), 조도센서(43), 이미지센서(44) 그리고 벽스위치(45)가 될 수 있다.
통신유닛(20)은 임의로 배치된 조명기구(41), 인감센서(42), 조도센서(43), 이미지센서(44) 그리고 벽스위치(45)의 단말기(40)에 대해서 그룹 번호나 그룹 정보를 부가정보로 설정하고, 설정한 부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PC 설정기(50)는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단말기(40)에 대한 부가정보의 설정이나 단말기(40)의 제어 관리를 통신 유닛(20)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41)는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조명을 점등하고, 상기 인감센서(42)는 적외선 량의 변화나 온도 변화 등에 기초하여 사람의 유무를 검지하고, 상기 조도 센서(43)는 광 량에 기초하여 살내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44)는 광학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모듈로서, 영상 이미지의 저장 및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인감센서(42), 조도 센서(43)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44)는 기동 중, 정지 중 그리고 장해 발생 등에 따라서 점등하는 LED 램프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유닛(20)은 적어도 1대의 조명기구(41)를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조명기구와의 다른 동작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조명기구(41)가 설치된 장소에서, 각 조명기구(41)로부터 하나의 고유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각 조명기구(41)의 조명의 점멸, 조광율 조절에 따른 밝기 조절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 유닛(20)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조명기구(41)들 각각이 점멸하거나 다른 조명기구와는 다른 밝기로 점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PC 설정기(50)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부가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방이나 파티션으로 구획된 영역에서 조명 제어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햇볕이 강한 영역과 약한 영역을 구분하여 조명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41)를 그룹 단위로 묶어 관리할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조명기구(41)에 그룹 번호를 부가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PC 설정(50)기에 해당 그룹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 설정(50)는 해당 그룹 번호를 통신 유닛(2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통신 유닛(20)이 해당 그룹의 조명기구(41)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벽스위치(45)를 제어함에 따라 미리 구분된 조명기구(4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b는 이미지 센서가 촬상한 영역이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실내 영역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는 통신부(11)와 휘도변화 검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는 이미지센서(44)로부터 촬상 화상 내의 프레임 간의 차분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센서(44)가 설치된 실내에서의 움직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간의 계조 값의 차이가 기 설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움직임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44)로부터 촬상된 화상은 제2 무선네트워크(32)를 통해 통신유닛(20)으로 전송되고, 상기 통신유닛(20)은 제1 무선네트워크(31)를 통해 상기 제어장치(10)의 통신부(11)와 통신하여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1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휘도변화 검출부(12)는 통신부(11)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간의 계조 차이에 따른 휘도 변화를 검출하여, 움직임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휘도변화 검출부(12)의 연산 결과에 따라 실내에 움직임의 검출에 따라서 조명기구(4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는 검지 영역 설정부(13)와 메모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지 영역 설정부(13)는 메모리(14) 상에 저장된 이미지 센서(44)의 고유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센서(44)각각에 대한 검지 영역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휘도변화 검출부(12)는 상기 검지 영역 설정부(13)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14)에 저장된 특정 이미지 센서(44)의 검지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11)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검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구분하고, 해당 영역별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간의 휘도 변화를 검출하여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14)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44)는 실내 영역을 촬영 가능하고,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A, B, C, D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어장치(10)에 의하여 움직임이 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A, B, C 및 D 영역은 도시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영역별 면적과 영역의 개수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b 내지 도 5d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실내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e는 전방위 렌즈 모듈과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44)는 촬상장치(441), 통신부(442) 그리고 마스크 영역 설정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장치(441)는 카메라로써, 실내를 촬영하여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442)로 제공할 수 있고, 화상 데이터는 상기 통신부(442)와 통신 유닛(20)을 통해 제어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영역 설정부(443)는 도 5d와 같이 특정 좌표치 또는 특정 블록 단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촬상장치(441)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해당 영역(mask)을 마스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44)는 도 5b에 도시된 원형 형태의 이미지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미지 센서(44)는 A, B, C, D 영역을 모두 포함한 실내를 촬영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특히 상기 촬상장치(441)는 전방위 렌즈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방위 렌즈 모듈은 일면에 볼록한 제1 입사면(111)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1 출사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입사면(111) 중앙에 제1 반사면(115)이 형성되는 제1 렌즈(110) 및 일면에 제2 입사면(121)이 형성되고 타면에 볼록한 제2 반사면(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면(123) 중앙에 제2 출사면(125)이 형성되는 제2 렌즈(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입사면(111)을 통해 입사한 광선은 제1 출사면(113) 및 제2 입사면(121)의 접합면을 거쳐 제2 반사면(123)에서 반사되고, 제2 반사면(123)에서 반사된 광선은 제1 출사면(113) 및 제2 입사면(121)의 접합면을 거쳐 제1 반사면(115)에서 반사된 후, 제1 출사면(113) 및 제2 입사면(121)의 접합면을 거쳐 제2 출사면(125)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제1 렌즈(110) 및 제2 렌즈(120)는 광선의 반사와 굴절을 이용한 반사굴절식 렌즈로서, 제1 렌즈(110) 및 제2 렌즈(120)를 통해 360도 전방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반사면(115) 및 제2 반사면(123)에 가시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등의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반사면(115) 및 제2 출사면(125)은 도면상에 평평하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형태일 뿐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110)는 외부의 광선이 입사하는 렌즈로서, 일면에 제1 입사면(111)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제1 입사면(111)을 통해 외부의 광선이 입사할 수 있다. 제1 렌즈(110)의 타면에는 제1 출사면(113)이 형성되어 제1 입사면(111)으로 입사한 광선이 제1 출사면(13)으로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사면(111)의 중앙에 제1 반사면(1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120)는 제1 렌즈(110)와 접합하는 렌즈로서, 구체적으로 제2 렌즈(120)의 일면에 제2 입사면(121)이 형성되고, 제2 입사면(121)이 제1 출사면(113)과 접합할 수 있다. 제2 렌즈(120)의 타면에는 볼록한 제2 반사면(123)이 형성되고, 제2 반사면(123)의 중앙에 제1 입사면(111)을 통해 입사한 광선이 출사할 수 있는 제2 출사면(125)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선은 제1 입사면(111)이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굴절되어 모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2 렌즈(120)의 직경이 제1 렌즈(110)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00)의 전방위 렌즈 모듈은 제1 출사면(113)과 제2 입사면(121)의 접합면이 평평하지 않게 형성하되,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후 서로 밀착하여 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441)의 렌즈 모듈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110) 및 제2 렌즈(120) 외에도 제2 출사면(125)의 후방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렌즈, 즉 릴레이 렌즈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릴레이 렌즈부(130)의 복수 개의 렌즈는 동일한 광축을 이루면서 일렬로 배치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색수차 보정을 위해 크라운 계열과 플린트 계열의 렌즈를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 계열은 NBK7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린트 계열은 NSF15, NSF8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의 예처럼 렌즈의 소재를 3종류로 한정하면 소재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양산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 렌즈부(130)를 제3 렌즈(133) 내지 제9 렌즈(139)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a에서 C는 크라운 계열 소재의 렌즈를 의미하고, F는 플린트 계열의 소재를 의미한다.
릴레이 렌즈부의 복수 개의 렌즈를 배치할 때 제5 렌즈(135) 와 제6 렌즈(136)를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하고, 렌즈의 가장자리만 접하는 에지 콘택트(Edge contact) 방식으로 제5 렌즈(135)와 제6 렌즈(136)의 가장자리만 접합함으로써 편심의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렌즈 간의 광축을 편하게 맞출 수 있다. 제5 렌즈(135)와 제6 렌즈(136)를 에지 콘택트 방식으로 접합할 때, 제5 렌즈(135)와 제6 렌즈(136) 사이에는 소정간격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의 간격이 너무 크게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되면 센서(150)에 맺히는 상이 어긋나 제대로 된 화각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5 렌즈(135)의 곡률반경과 제6 렌즈(136)의 곡률반경이 적절하게 선택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레이 렌즈부는 셔터(Shutter) 방식의 적외선 필터(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140)를 닫아 적외선을 차단시키고, 적외선 필터(140)를 열어 적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장치(441)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렌즈모듈로부터 촬영된 도 6d와 같은 곡면형 영상(101)을 도 6e와 같은 평면형 영상(102)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더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는 영역별 영상 기록부(15)와 조명 제어 기록부(16) 그리고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별 영상 기록부(15)는 상기 검지 영역 설정부(13)에 의해 설정된 A 내지 D 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영역별로 휘도 변화를 검출한 휘도변화 검출부(12)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검출된 영역별 움직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휘도변화검출부(12)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A 내지 D 영역별로 움직임 여부를 해당 움직임이 있었던 시간 정보와 함께 자체적으로 구비한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 기록부(16)는 A 내지 D 영역 각각에 배치된 조명기구(41,1 내지 41,4) 각각의 제어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자체적으로 구비한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17)는 상기 영역별 영상 기록부(15)에 기록된 A 내지 D 영역별 움직임 검출 결과와 상기 조명 제어 기록부(16)에 기록된 시간별 조명기구(41,1 내지 41,4)의 제어 기록에 기초하여,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은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영역이 욕실 입구 영역이고, B 영역이 출입구 영역이고, C 영역이 침실 영역이며, D 영역이 서재 및 부엌 영역이라고 가정 할 때, 각 시간 별로 A 내지 D 영역의 움직임의 검출 정보가 영역별 영상 기록부(15)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각 시간 별로 A 내지 D 영역의 조명기구(41,1 내지 41,4)의 제어 정보가 조명 제어 기록부(16)에 기록될 수 있다.
만약 사람이 오후 8시에 B 영역을 통해 실내로 출입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44)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제어장치(10)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장치(10)는 B 영역에서의 움직임 검지에 따라 B 영역의 조명기구(41,2)를 점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별 영상 기록부(15)는 오후 8시에서 B 영역에서의 움직임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조명 제어 기록부(16)는 오후 8시에 B 영역에서의 조명기구(41,2)의 점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실내에서의 사람의 동선에 따라서, 사람의 움직임이 검출된 영역에 대한 정보는 시간 정보와 함께 지속적으로 영역별 영상 기록부(15)로 저장되고,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된 조명기구에 대한 정보와 그 때의 시간 정보 또한 지속적으로 조명 제어 기록부(16)에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오후 11시에 사람이 침실 영역인 C 영역에서 움직임이 검지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10)는 C 영역에서의 움직임 검지에 따라 C 영역의 조명기구(41,3)를 점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별 영상 기록부(15)는 오후 11시에서 C 영역에서의 움직임 정보와 그 때의 시간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조명 제어 기록부(16)는 오후 11시에 C 영역에서의 조명기구(41,3)의 점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PC 설정기(50)의 지령 입력에 따라 제어장치(10)가 C 영역에서의 조명기구(41,3)를 소등한 정보 또는 C 영역의 조명기구(41,3)가 점등한 시점 이후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다음 자동으로 C 영역에서의 조명기구(41,3)가 소등된 것으로 미리 설정이 된 경우, 해당 설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조명 제어 기록부(16)는 저장할 수 있다.
그 후, 다음날 사용자가 오전 6시에 일어나 A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0)는 A 영역에서의 움직임 검지에 따라 A 영역의 조명기구(41,1)를 점등할 수 있고,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C 영역의 조명기구(41,3)는 소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역별 영상 기록부(15)는 오전 6시에서 A 영역에서의 움직임 정보와 해당 시간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조명 제어 기록부(16)는 오전 6시에 A 영역에서의 조명기구(41,1)의 점등 정보 및 오전 6시로부터 기 설정 시간 이후에 C 영역에서의 조명기구(41,3)의 소등 하기로 기 설정한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17)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영역별 움직임 기록부(15) 및 조명 제어 기록부(17)를 참고하여,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17)는 일정한 기간 동안, 실내에서의 사용자의 움직임과 해당 움직임의 시간 정보와 상기 움직임을 감지에 따른 조명기구(41)의 점등 및 소등 그리고 밝기 조절 정보 조명제어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은 아래의 몇 가지 설정 사항 하에 상기 영역별 움직임 기록부(15) 및 조명 제어 기록부(17)의 기록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자동 조명 제어 패턴 생성을 위한 설정 사항으로는 1) 특정 영역에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서의 움직임 정보를 활용한다. 이는 사용자가 실내 영역에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영역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제외하고, 특정 영역에서 기 설정 시간 이상 머무른 경우를 패턴 생성을 위한 정보의 대상으로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2)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의 초기 시점은 모든 조명기구가 소등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후 B 영역에서 움직임 검지 및 B 영역의 조명기구의 점등된 시간을 시점으로 한다. 이는 사용자가 외출 후 실내 영역으로 출입했을 때를 초기 시점으로 설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3)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의 종점은 B 영역에서 움직임 검지 및 B 영역의 조명기구의 점등되고, B 영역에서 움직임 미검지 및 B 영역의 조명기구 소등 그리고 다른 실내의 영역에서의 기 설정 시간 동안의 움직임 미검지에 시점을 종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실내에 머무른 사용자가 외출을 한 시점을 종료 시점으로 삼기 위함이다.
상기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17)는 위 설정 사항 하에 영역별 움직임 기록부(15) 및 조명 제어 기록부(17)의 기록 정보를 기초하여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하고, 제어장치(10)는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 하에 A 내지 D 영역 각각에 배치된 조명기구(41,1 내지 41,4)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 영역에서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D 영역의 조명기구(41,4)가 점등된 상태를 예를 들면,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에 따라 오후 11시가 되는 경우, D 영역의 조명기구(41,4)의 조명은 밝기는 일정 수준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C 영역의 조명기구(41,3)의 조명의 밝기는 점진적으로 밝아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44)에 의해 C 영역에서 움직임이 검지되는 경우, 제어장치(10)는 D 영역의 조명기구(41,4)를 소등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 제어 패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10)는 기 설정 시간 이후, 사용자의 취침을 위해 C 영역의 조명기구(41,3)를 소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10)는 자동 제어 패턴에 따라 다음날 오전 6시에 C 영역의 조명기구(41,3)를 점등하여, 그 밝기를 점진적으로 높일 수 있고, 이와 함께 A 영역의 조명기구(41,1)를 점등하여 그 밝기를 점진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 후 A 영역에서 움직임이 검지되는 경우, 제어장치(10)는 C 영역의 조명기구(41,3)를 소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실내에서의 영역별 움직임 검출을 통해 생활 패턴을 고려한 적절한 조명 제어가 가능하도록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취침 시간 확인을 위해 특별히 시간을 살펴보지 않아도, 그리고 기상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특별한 동작을 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제어되는 조명의 밝기를 통해서 취침 시간 및 기상 시간 등 생활 공간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을 수행할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조명 제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PC 설정기(50)에 자동 조명 제어 패턴 기록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장치(10)는 그에 대응하여 실내 공간에서 감지되는 움직임과 조명제어 그리고 시간 정보를 기록하기 시작하고 및 사용자가 기록 종료 명령을 입력하면, 그 동안 기록된 정보를 기초로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기록된 정보가 불규칙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작 명령과 종료 명령 사이의 시 구간 동안 기록된 정보를 일 단위로 분할하여 분할된 정보들로부터 평균적인 정보를 획득하여 평균적인 정보를 기초하여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PC 설정기(50)를 통해 자동 조명 제어 패턴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장치(10)는 생성한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기초하여 조명기구(4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구체화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의 제어장치(10)는 피로도 추정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 내의 통신부(11)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 출입한 경우, 이미지 센서(44)는 이를 센싱함으로써, 제어장치(10)는 조명기구(41)를 점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로도 추정부(18)는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기 설정된 시 구간 동안의 사용자의 이동량을 통해 사용자의 피로도를 추정할 수 있고,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피로도 추정부(18)로부터 추정된 사용자의 피로도 추정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에 배치된 각 조명 기구(41)의 밝기와 색온도 그리고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10)가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실외에서 이동하는 경로가 많은지 적은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동 경로가 많을수록 사용자의 피로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미지 센서(44)에 의해 사용자의 실내 출입이 감지되는 경우, 실내의 조명기구(41)의 밝기와 색온도를 피로감 해소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점등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실내에서의 편안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피로감에 따른 스트레스 해소에 필요한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 그리고 주파수 값은 공지된 기술을 토대로 결정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와 복수의 조명기구 및 복수의 인감센서를 구비한 조명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통로에 설치된 조명제어장치의 동작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1)는 사람이 이동하는 통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장치(10)의 제어장치(10)는 속도감지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감센서(42)들은 통로의 천장에 서로 이격되어 일정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인감센서(42)들은 통로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일렬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인감센서(42)들 각각의 인접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구(41)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인감센서(42,1)의 양측에는 제1 조명기구(41,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인감센서(42,2)의 양측에는 제2 조명기구(41,2)가 배치될 수 있고, 제3 인감센서(42,3)의 양측에는 제3 조명기구(41,3)가 배치될 수 있고, 제4 인감센서(42,4)의 양측에는 제4 조명기구(41,4)가 배치될 수 있고, 제5 인감센서(42,5)의 양측에는 제5 조명기구(41,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6 인감센서(42,6)의 양측에는 제6 조명기구(41,6)가 배치될 수 있다.
통로 상에 사람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인감센서(42,1)는 사람을 인지하고, 사람의 이동에 따라 임의의 시간 후 제2 인감센서(42,2)는 사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감센서(42,1)가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 통신유닛(20) 또는 제어장치(10)와 통신하여 사람 감지 정보를 최종적으로 제어장치(1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1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조명기구(41,1)을 점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인감센서(42,2)가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 통신유닛(20) 또는 제어장치(10)와 통신하여 사람 감지 정보를 제어장치(1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1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조명기구(41,2)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0) 내의 속도 감지부(19)는 상기 제1 인감센서(42,1)로부터 사람의 감지 정보와 상기 제2 인감센서(42,2)로부터의 사람의 감지 정보에 대한 통신부(11)의 수신 시간차에 기초하여, 사람의 이동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속도 감지부(19)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조명기구(41,1)와 제2 조명기구(41,2) 다음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제3 내지 제6 조명기구(41,3, 41,4, 41,5, 41,6)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구만을 점등하고, 나머지는 소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조명기구(41,3)과 제5 조명기구(41,5)는 소등을 유지하고, 제4 조명기구(41,4)와 제6 조명기구(41,6)만을 점등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점등될 두 개의 조명기구인 제4 조명기구(41,4)와 제6 조명기구(41,6) 사이에 배치된 조명기구는 하나로써, 제5 조명기구(41,5)가 될 수 있다.
또한 속도가 빠를수록 순차적으로 점등될 두 개의 조명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소등을 유지할 조명기구의 개수는 증가할 수 있고, 속도가 느릴수록 순차적으로 점등될 두 개의 조명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소등을 유지할 조명기구의 개수는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인감센서(42,1, 42,2)만을 구동하고, 나머지 인감센서들(42,3, 42,4, 42,5, 42,6)의 사람 감지와 무관하게, 제어장치(10)는 제3 내지 제6 조명기구(41,3, 41,4, 41,5, 41,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 머무르는 장소가 아닌 건물과 건물을 이어주는 통로나 출구와 입구 사이의 통로와 같이 사람이 이동만 하는 장소에 설치된 조명기구 중에서 사람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일부의 조명기구만을 점등함에 따라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10)는 일정 시간 동안 통로에 설치된 모든 인감센서(42)로부터 사람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조명기구(41)를 소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0)는 통신부(11), 휘도변화 검출부(12), 검지 영역 설정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지 영역 설정부(13)는 실내 영역에 설치된 이미지센서(44)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A 및 B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휘도변화 검출부(12)는 상기 A 및 B 영역 중에서 A 영역의 휘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휘도변화 검출부(12)는 상기 A 영역의 전체 휘도 값을 스텝별로 구분하여 가 스텝에 해당하는 휘도값을 가질 때, 상기 제어 장치(10)는 실내 영역에 설치된 조명기구(41)의 조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 장치(10)는 조명기구(41)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A 영역의 전체 휘도 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기구(41)의 조도를 10% 줄이고, 상기 A 영역의 전체 휘도 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조명기구(41)를 20% 줄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a도면의 A영역은 벽면 영역이 될 수 있고, b도면의 A영역은 창문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 태양광 등에 따른 실내 영역의 밝기를 추정하여, 실내 영역의 밝기가 외부 태양광 등으로 인하여 밝아진 경우, 조명기구(41)의 조도를 낮출 수 있다. 특히, b도면과 같이 A 영역이 창문 영역인 경우, 제어장치(10)가 A영역에서 검출된 휘도변화에 따라서 다수의 조명기구(41)의 조도를 조절할 때, 상기 조명기구(41) 중에서 A 영역과 가까운 조명기구(41)일수록 해당 조도를 감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명제어장치(10)는 학교, 병원 그리고 온실 등과 같이 일정한 조도나 색온도가 필요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0)는 통신부(11), 메모리(14) 그리고 이미지 비교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진열대(62)는 마트와 같은 다양한 물품 판매점이나, 식육점, 보석상, 주류 판매점 그리고 제빵 판매점과 같이 특정 제품을 판매하는 곳에 배치된 진열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0)의 이미지 비교부(60)는 상기 진열대(62)의 천장(61)에 위치한 이미지센서(44)의 촬영영상과 상기 메모리(14) 상에 저장된 상품 배치 전 진열대 이미지 상의 각 픽셀의 계조값을 비교하여 진열대(62)에 상품(63)의 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도면의 경우 진열대(62) 상에는 제1 상품(63) 만이 배치되어 있고, 진열대(62)의 나머지 영역에는 상품이 배치되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b도면의 경우 진열대(62) 상에 제2 상품(64)이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장치(10)는 상기 이미지 비교부(60)의 판단 결과, 즉 제2 상품(64)의 배치 유무에 따라서 상기 제2 상품(64)과 대응하는 조명기구(41)의 조도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상품(64)이 진열대(62)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조명기구(41)의 조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진열대(62)상의 상품이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10)는 조명기구(41)의 색온도를 조절하여 진열대(62)에 배치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구매자의 상품에 대한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각 상품의 고유의 색을 강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조명제어장치
2 상위제어장치
10 제어장치
11 제어장치의 통신부
12 휘도변화 검출부
13 검지 영역 설정부
14 제어장치의 메모리
15 영역별 움직임 기록부
16 조명 제어 기록부
17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
18 피로도 추정부
19 속도 감지부
20 통신유닛
31 제1 무선네트워크
32 제2 무선네트워크
40 단말기
41,1 A 영역의 조명; 제1 조명
41,2 B 영역의 조명; 제2 조명
41,3 C 영역의 조명; 제3 조명
41,4 D 영역의 조명; 제4 조명
41,5 제5 조명
41,6 제6 조명
41a 통신부
41b 조명
41c 인버터부
41d 조명제어부
42 인감센서
42,1 제1 인감센서
42,2 제2 인감센서
42,3 제3 인감센서
42,4 제4 인감센서
42,5 제5 인감센서
42,6 제6 인감센서
43 조도센서
44 이미지센서
45 벽스위치
50 PC 설정기

Claims (7)

  1.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하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통신 유닛;
    상기 통신 유닛과 통신하여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복수의 단말기; 및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부가정보의 설정 및 제어 관리를 상기 통신 유닛에 요청하는 PC 설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는 조명기구, 인감센서 그리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촬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부, 실내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설정하는 검지 영역 설정부,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별로 휘도 변화를 검출하여 움직임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휘도변화 검출부, 메모리,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 내의 특정 영역에서의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감지된 상기 움직임 정보와 움직임이 있었던 시간에 대한 움직임 시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영역별 영상 기록부, 상기 복수의 영역별로 설치된 조명기구들 각각의 제어 정보와 상기 조명기구들 각각의 제어 시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조명 제어 기록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움직임 시간 정보, 상기 조명기구들 제어 정보 및 상기 제어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하는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 및 속도감지부,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의 초기 시점은 모든 조명기구가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미리 정한 영역에서의 움직임 검지 및 상기 미리 정한 영역의 조명기구의 점등 시점이 되고,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의 종료 시점은 상기 미리 정한 영역에서의 움직임 검지 및 상기 미리 정한 영역의 조명기구의 점등 이후 상기 미리 정한 영역에서의 움직임 미검지 및 상기 미리 정한 영역의 조명기구가 소등되고 다른 영역에서의 기 설정 시간 동안의 움직임 미검지된 시점이 되고,
    상기 PC 설정기가 자동 조명 제어 패턴 기록 시작 명령을 수신 그리고 종료 명령 수신 사이의 시구간 동안에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조명 제어 설정부는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시작 명령과 상기 종료 명령 사이의 시구간을 일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정보로부터 평균적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평균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자동 조명 제어 패턴에 따라 상기 조명기구를 자동 제어하고,
    상기 인감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로에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인감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복수의 인감센서 각각의 양측에 배치된 복수의 조명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감지부는 첫번째 인감센서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감지 시점 및 두번째 인감센서로부터의 사람의 감지 시점 사이의 시간차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두번째 인감센서 양측에 배치된 조명기구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모든 조명기구 중에서 최인접한 점등될 두 개의 조명기구 사이에 위치하고 소등을 유지하는 조명기구의 개수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 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소등을 유지하는 조명기구의 개수는 증가하고,
    상기 이동 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소등을 유지하는 조명기구의 개수는 감소하는 조명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전방위 렌즈를 구비한 조명제어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량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추정하는 피로도 추정부;를 포함하는 조명제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피로도 추정부의 결과 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기구의 밝기와 색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조명제어장치.
  7. 삭제
KR1020150181635A 2015-12-18 2015-12-18 조명제어장치 KR10171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35A KR101716060B1 (ko) 2015-12-18 2015-12-18 조명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635A KR101716060B1 (ko) 2015-12-18 2015-12-18 조명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060B1 true KR101716060B1 (ko) 2017-03-14

Family

ID=5846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635A KR101716060B1 (ko) 2015-12-18 2015-12-18 조명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23A (ko) * 2018-10-15 2020-04-23 기민전자주식회사 야간 시감 순응 조광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291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영국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40000914A (ko) * 2012-06-26 2014-01-06 주식회사 한테크글로벌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방법
KR20140034473A (ko) 2012-09-12 2014-03-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인식 및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조명 제어방법 및 장치
KR101439411B1 (ko) * 2014-01-23 2014-09-11 이선구 전방위 렌즈 모듈
JP2015060790A (ja) * 2013-09-20 2015-03-30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の調節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8291A (ko) * 2011-03-23 2012-10-05 주식회사 영국전자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40000914A (ko) * 2012-06-26 2014-01-06 주식회사 한테크글로벌 엘이디 조명등 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제어방법
KR20140034473A (ko) 2012-09-12 2014-03-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인식 및 상황인식 기반의 디지털 조명 제어방법 및 장치
JP2015060790A (ja) * 2013-09-20 2015-03-30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の調節方法
KR101439411B1 (ko) * 2014-01-23 2014-09-11 이선구 전방위 렌즈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23A (ko) * 2018-10-15 2020-04-23 기민전자주식회사 야간 시감 순응 조광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 시스템
KR102167867B1 (ko) * 2018-10-15 2020-10-20 기민전자주식회사 야간 시감 순응 조광 제어기능을 갖는 조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9978B2 (en) Learning capable lighting equipment
US10271405B2 (en) Lighting fixture sensor network
EP3192330B1 (en) Lighting preference arbitration.
US10757307B2 (en) Lighting devices configurable for generating a visual signature
CA2973852C (en) L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261415B1 (en) Automatic sensing system and automatic sensing control method for led lighting
US20110211110A1 (en) A method and an interactive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and/or playing back images
CA2947808C (en)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CN105979667A (zh) 检测装置、负载控制装置以及负载控制***
KR101453806B1 (ko)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CN102948260A (zh) 照明设备、方法和***
US20150319826A1 (en) Ligh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096947A (ja) 人センサ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KR101173542B1 (ko) 센서등 일체형 cctv 카메라 장치
KR101716060B1 (ko) 조명제어장치
KR101100371B1 (ko)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286159B2 (ja) サーマルセンシングによる奥行き手がかり
KR101659435B1 (ko) 스마트융합 자연공간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80891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lighting control
US20160338177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0912086B1 (ko) 지능형 유비쿼터스 인체감지 제어 시스템
KR102057476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US10477659B1 (en) Adjustable lighting systems
KR101622313B1 (ko) 통합 제어 조명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303292B1 (ko) 멀티 레이어 합성을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