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07B1 -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07B1
KR101715507B1 KR1020150133910A KR20150133910A KR101715507B1 KR 101715507 B1 KR101715507 B1 KR 101715507B1 KR 1020150133910 A KR1020150133910 A KR 1020150133910A KR 20150133910 A KR20150133910 A KR 20150133910A KR 101715507 B1 KR101715507 B1 KR 10171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steel sheet
rolled
roll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묵
강춘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방법은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강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온도: 850℃~90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 상기 소둔된 냉연판재를 400℃~500℃에서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판재를 조질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PL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효성이 우수한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외판재는 다양한 형상에 대한 고객의 지속적인 요구로 성형 전 낮은 항복강도로 우수한 성형성 및 형상 동결성을 필요로 하며, 최종 제품인 자동차에선 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은 항복강도를 필요로 한다.
강판의 고용탄소는 도장 소부 조건 이외의 상온상태에서도 어느 정도 활성도를 가지며, 상온에서 시효현상 및 항복점 연신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상기 시효현상은 가동전위에 고용탄소가 고착되어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84853호(2014.07.07 공개, 발명의 명칭: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시효성이 우수한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면 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경제성이 우수한 강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판 제조방법은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강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온도: 850℃~90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 상기 소둔된 냉연판재를 400℃~500℃에서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판재를 조질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질압연은 0.5%~2.0%의 압하율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재가열은 상기 강 슬래브를 슬래브 재가열 온도(Slab Reheating Temperature, SRT): 1100℃~1250℃에서 가열하며, 상기 권취는 500~650℃의 권취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둔은, 상기 냉연판재를 770℃~850℃에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5~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판은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페라이트(ferrite) 및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는 복합조직을 갖는다.
한 구체에에서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TS): 420 MPa 이상, 인장강도(YS): 300 MPa 이상, 연신율(EL): 28% 이상, 및 항복점 연신율(YP-El): 0.3%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판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강판은 내시효성, 표면 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며,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강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강판의 표면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판의 표면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강판의 내부마찰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판의 내부마찰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판의 조질압연시 압하율에 따른 불연속 항복거동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강판의 불연속 항복거동을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판의 불연속 항복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강판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강판 제조방법은 (S10) 강 슬래브 재가열 단계; (S20) 열간 압연단계; (S30) 권취단계; (S40) 냉간 압연단계; (S50) 소둔단계; (S60) 과시효 처리단계; 및 (S70) 조질 압연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강판 제조방법은 (S10)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S20) 상기 강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온도: 850℃~90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 (S30)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S40)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S50)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 (S60) 상기 소둔된 냉연판재를 400℃~500℃에서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 및 (S70) 상기 냉연판재를 조질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강 슬래브 재가열 단계
상기 단계는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재가열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강 슬래브에 포함되는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탄소(C)
탄소(C)는 침입형 고용원소로서, 시효성 개선 및 펄라이트 조직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탄소는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08~0.20 중량% 포함된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강판의 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시효성 개선 및 펄라이트 조직 확보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펄라이트(pearlite)는 탄소를 0.08 중량% 포함하는 강 소재가, 723℃에서 오스테나이트가 분해되는 경우, 형성되는 변태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층상조직이며, 페라이트보다 강도가 높기 때문에, SPM(skin pass mill) 압연 중 페라이트 내부의 가동전위 밀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시효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고 고려된다. 상기 펄라이트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0.08 중량% 이상의 탄소를 첨가해야 한다. 단, 탄소 함량이 증가할 경우 탄소의 고용 및 페라이트 결정립 사이즈의 감소, 펄라이트 조직 분율이 매우 높아지며, 그 결과 강도가 증가하고, 연신율이 저하되어 성형성이 열위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펄라이트 조직 확보 후, 남아있는 고용원소가 많아질 경우, 다시 시효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탄소 함량을 0.20% 까지 제한할 경우 연신율 및 r-값이 크게 열화되지 않는 상태로 펄라이트 조직을 확보할 수 있으며 페라이트 펄라이트 조직이 형성됨에 따라 내시효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소는 0.10~0.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시효성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적정 펄라이트 조직을 형성시킬 수 있다.
실리콘( Si )
상기 실리콘(Si)은 상기 강판 내 탄화물 형성을 억제고, 성형성을 향상시키며, 저온역 탄화물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오스테나이트 내 탄소 농화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오스테나이트 내 탄소 농화도가 향상되며, 페라이트 안정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실리콘 산화물계의 산화물을 강판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강판의 표면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망간(Mn)
상기 망간(Mn)은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및 보론(B) 등과 함께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잘 알려져 있다. 펄라이트는 페라이트 내에 탄소가 확산 및 농화되어 형성되는 조직인데, 소둔 공정 중에 상기 탄소를 페라이트 쪽으로 확산시키는 목적으로 상기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를 첨가한다. 상기 망간을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로 첨가시, 제조 단가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망간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5~1.5 중량% 포함된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탄소의 페라이트 확산 효과가 우수하여,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망간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1.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강판 표면에 산화물이 형성되어, 표면 특성이 저하된다.
인(P)
상기 인(P) 및 황(S)은 본 발명에서 불가피한 불순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P)은 고용 강화에 의해 강도의 강도를 높이며, 탄화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용접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할 수 있다.
황(S)
상기 황(S)은 미세 MnS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황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0.01 중량% 이하로 포함된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강판의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 슬래브는 슬래브 재가열 온도(Slab Reheating Temperature, SRT): 1100℃~1250℃에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강 슬래브 재가열 온도에서, 주조시 편석된 성분이 충분히 재고용되고, 강도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
(S20) 열간 압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 온도 850℃~900℃에서 열간 압연한다. 상기 마무리 압연온도에서 열간 압연시 도금강판의 강성 및 성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마무리 압연 온도(FDT)가 850℃ 미만에서 열간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 이상역 압연에 의한 혼립 조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급격한 상변화에 의해 열간 압연중 통판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마무리 압연 온도(FDT)가 900℃를 초과하는 경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내시효성이 저하된다.
(S30) 권취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권취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온도(Coiling Temperature, CT): 500℃~650℃ 온도에서 권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상기 권취 온도까지 냉각하여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 온도 조건에서 망간(Mn) 및 실리콘(Si)의 표면농화 및 탄화물의 조대화를 방지하여 성형성 및 강도가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각은 전단 급냉 방식으로 냉각할 수 있다.
(S40) 냉간 압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연코일은 언코일링한 다음, 산세 처리한 후, 냉간 압연할 수 있다. 상기 산세는 열연코일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간 압연은 60%~80%의 압하율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압하율로 냉간 압연시 열연 조직의 변형이 적고, 연신율 및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S50) 소둔단계
상기 단계는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둔은 가열단계 및 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소둔은 상기 냉연판재를 770℃~850℃에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5~50℃/s의 냉각속도로 400℃~500℃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으로 가열시, 탄소가 페라이트 내에서 농화되어 펄라이트 상이 충분히 생성될 수 있으며, 강도 및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속도로 냉각시 상기 강판의 강도 및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S60) 과시효 처리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소둔된 냉연판재를 과시효(over aging, OA) 처리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둔된 냉연판재를 400℃~500℃에서 과시효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에서 펄라이트 조직이 충분히 생성되어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냉연판재를 400℃ 미만에서 과시효 처리하는 경우, 항복비가 상승하고 내시효성이 저하되며, 500℃를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 연신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과시효 처리는 2~3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펄라이트 상이 용이하게 생성되어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S70) 조질 압연단계
상기 단계는 냉연판재를 조질압연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질압연은 본 발명의 강판의 형상을 교정 및 강도 부여를 목적으로 실시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질압연은 0.5%~2.0%의 압하율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강판의 항복강도 및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강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강판은, 강판 전체 중량에 대하여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강판은 페라이트(ferrite) 및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는 복합조직을 갖는다. 한 구체예에서 펄라이트는 상기 강판 전체 조직의 단면 조직 면적률로 2%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강성, 성형성 및 내시효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15%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TS): 420 MPa 이상, 인장강도(YS): 300 MPa 이상, 연신율(EL): 28% 이상, 및 항복점 연신율(YP-El): 0.3%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 420~500 MPa, 인장강도 300~400MPa, 연신율: 28~35% 및 항복점 연신율: 0~0.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판 제조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된 강판은 시효현상과 Stretcher-strain 결함을 개선하여, 표면 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며,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내시효성이 우수하여 상기 제조된 강판을 코일 형태로 장기간 보관하여도 결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장기간 보관된 코일을 제품 성형시, 고용원소가 전위로 확산하여 코트렐 분위기를 유발, 전위가 고착화되어, 강판 표면에 Luders band 혹은 Slip band라 불리는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strai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탄소(C): 0.15 중량%, 실리콘(Si): 0.02 중량%, 망간(Mn): 1.5 중량%, 인(P): 0.02 중량%, 황(S): 0.008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1200℃에서 재가열하고, 마무리 압연온도(FDT): 870℃에서 열간 압연한 다음,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냉각하여 권취온도(CT): 600℃에서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코일을 언코일링 하고, 산세 후 압하율 85%로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냉연판재를 820℃에서 가열하고, 30℃/s의 냉각속도로 450℃까지 냉각하여 소둔한 다음, 450℃에서 2분 30초 동안 과시효 처리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소둔 처리된 냉연판재를 SPM(Skin pass mill)을 이용하여 0.5%의 압하율로 조질 압연하여 강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탄소(C): 0.07 중량%, 실리콘(Si): 0.02 중량%, 망간(Mn): 1.5 중량%, 인(P): 0.02 중량%, 황(S): 0.008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강판에 대하여,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연신율(%)과, 조질압연 전 항복점 연신율 및 조질압연후 항복점 연신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
(TS, MPa)
항복강도
(YS, MPa)
연신율
(El, %)
조질압연 전 항복점 연신율
YP-El(%)
조질압연 후
항복점 연신율
YP-El(%)
실시예 460 330 32 3.9% 0.00%
비교예 850 390 30 5.8% 0.17%
하기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강판의 표면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 강판의 표면 미세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강판의 경우, 강판 전체 조직의 단면 조직 면적률로 펄라이트 분율이 10.3%인 반면, 비교예의 강판은 3.2%로서 실시예의 강판이 펄라이트 분율이 7.1%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a)는 실시예 강판의 내부마찰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b)는 비교예 강판의 내부마찰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의 강판은 탄소의 함량이 비교예 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도 4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강판의 조질압연시 압하율에 따른 불연속 항복거동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하기 도 4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강판은 조질압연시 압하율을 1.0%으로 증가하여도, 항복점 연신구간이 잔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조질압연시 압하율을 높여서 가동 전위수를 증가시키더라도 고용원소량이 많을 경우, 잔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비교예보다 탄소 함량이 높은 실시예 강판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조질압연 압하율이 낮은, 0.5% 구간에서도 항복점 연신구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것은 기존재 대비, 펄라이트 분율이 높고 조대한 펄라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고용원소들이 펄라이트로 농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하기 도 5(a)는 실시예 강판의 불연속 항복거동을 나타낸 것이며, 도 5(b)는 비교예 강판의 불연속 항복거동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a) 및 도 (b)를 참조하면, 펄라이트 조직을 형성하기 위해 고용 탄소가 펄라이트 쪽으로 확산을 하게 되는데, 상기 확산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탄소의 확산을 위해 과시효 시간을 길게 할 경우, 효과적이라 고려된다. 이렇게 탄소가 확산되면서 페라이트 조직 내 고용탄소량이 비교예 대비 분포가 적어지게 되고, 그 결과 0.5%의 SPM 압하율 만으로도 항복점 연신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이하,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강 슬래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강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온도: 850℃~90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
    상기 소둔된 냉연판재를 400℃~500℃에서 과시효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판재를 조질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압연은 0.5%~2.0%의 압하율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은 상기 강 슬래브를 슬래브 재가열 온도(Slab Reheating Temperature, SRT): 1100℃~1250℃에서 가열하며,
    상기 권취는 500~650℃의 권취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은,
    상기 냉연판재를 770℃~850℃에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5~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제조방법.
  5. 탄소(C): 0.08~0.20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0.5~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1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페라이트(ferrite) 및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는 복합조직을 가지며,
    항복강도(TS): 420~500 MPa, 인장강도(YS): 300~400 MPa, 연신율(EL): 28~35%, 및 항복점 연신율(YP-El): 0 초과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6. 삭제
KR1020150133910A 2015-09-22 2015-09-22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10A KR101715507B1 (ko) 2015-09-22 2015-09-22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910A KR101715507B1 (ko) 2015-09-22 2015-09-22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507B1 true KR101715507B1 (ko) 2017-03-10

Family

ID=5841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10A KR101715507B1 (ko) 2015-09-22 2015-09-22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27A (ko) * 2020-06-30 2022-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WO2024082755A1 (zh) * 2022-10-17 2024-04-25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镀锡板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639A (ko) * 2012-03-29 2013-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2276A (ko) * 2012-06-28 2014-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각관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639A (ko) * 2012-03-29 2013-10-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2276A (ko) * 2012-06-28 2014-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각관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27A (ko) * 2020-06-30 2022-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418907B1 (ko) * 2020-06-30 2022-07-08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
WO2024082755A1 (zh) * 2022-10-17 2024-04-25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镀锡板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333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6236078B2 (ja) 冷間圧延鋼板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1021B1 (ko) 페라이트/마텐자이트 구조의 이중상 냉간 압연 띠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띠강
KR101758522B1 (ko) 항복강도 및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79104B1 (ko) TWB 용접 특성이 우수한 열간성형용 Al-Fe 합금화 도금강판, 열간성형 부재 및 그들의 제조방법
KR101467064B1 (ko) 1180MPa급 자동차용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01493A (ko) 핫 스탬핑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09208A (ja) 降伏比が低く均一伸びに優れた焼戻しマルテンサイト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1294B1 (ko) 고강도 고연신 강판 및 열연강판, 냉연강판, 아연도금강판 및 아연도금합금화강판의 제조방법
WO2013180180A1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95981A1 (en) Ultra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ole expan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237628B1 (ko) 고장력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1655518B2 (en)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KR101808431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7452B1 (ko) 굽힘가공성과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5461482B (zh) 钢板、部件及其制造方法
KR101657376B1 (ko)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5507B1 (ko)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9019B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6822A (ko) 연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EP298022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teel sheet
CN111315907B (zh) 钢板
KR101828699B1 (ko) 자동차 부품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3966B1 (ko) 강판 제조 방법
KR101505293B1 (ko) 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