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275B1 -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275B1
KR101714275B1 KR1020150178262A KR20150178262A KR101714275B1 KR 101714275 B1 KR101714275 B1 KR 101714275B1 KR 1020150178262 A KR1020150178262 A KR 1020150178262A KR 20150178262 A KR20150178262 A KR 20150178262A KR 101714275 B1 KR101714275 B1 KR 10171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unting
upper grip
main body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주
정대익
김혜경
진건수
최재섭
오민근
김원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275B1/ko
Priority to US15/215,058 priority patent/US10017126B2/en
Priority to CN201610644082.2A priority patent/CN10686438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스마트폰 거치를 위한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거치를 위한 거치부가 크래시패드의 내측에서 전동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메인 바디; 상기 거치부의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거치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Mobile 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스마트폰 거치를 위한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스마트폰에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내비게이션 대신 스마트폰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보기 편하도록 스마트폰을 차량 실내의 크래시패드 상단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거치대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차량 실내에 거치시켜 고정해주게 되는데, 크래시패드의 상단에 수동으로 탈부착 가능한 거치대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7022호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를 위한 거치부가 크래시패드의 내측에서 전동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인출 및 수납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메인 바디; 상기 거치부의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거치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치부는 상하 이송부를 개재한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단 그립부와 하단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그립부와 상하 이송부 사이에는 상단 그립부에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지지부의 저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장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지지부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배면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이송부의 전면에는 하단 지지부의 저면과 연장 지지부의 배면 걸림부 사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하 이송부의 후면에는 상단 그립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 내측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회전되어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홀더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 이송부의 좌우 가장자리에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상하 이송부의 상승 이동시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더부재가 좌우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회전되어 상기 하단 지지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버튼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에는 스마트폰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기계식 검출 스위치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거치부가 메인 바디 내부에 수납된 상태일 때 구동버튼의 신호가 입력되면, 검출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에 대한 스마트폰의 거치 여부를 판별하고,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부 걸림부가 상단 그립부의 개구부 하단에 걸릴 때까지 상하 이송부가 하강 이동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상단 그립부의 상승 이동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미거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구동버튼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거치부를 메인 바디 내측으로 수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일 때 구동버튼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하 이송부가 상승 이동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단 그립부의 상승 이동 차단을 해제시키고, 이후 검출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의 탈거가 판단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구동버튼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거치부를 메인 바디 내측으로 수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차량 실내의 운전석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스마트폰 거치를 위한 거치부가 크래시패드의 내측에서 전동식으로 자동 인출되고,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구조에 주행 중 스마트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 및 주행 중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크래시패드의 내측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인출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보관이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거치부 수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거치부 인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거치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거치부 인출 상태 및 거치부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장착된 검출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거치부 고정(벌어짐 차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스마트폰 거치 및 고정(유동 방지)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스마트폰 탈거 및 거치부 수납 과정을 나타낸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홀딩해주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거치부(120)와 이 거치부(120)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메인 바디(100) 및 상기 거치부(120)의 승강(혹은 선형 왕복)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동식으로 작동되어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되거나 혹은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 수납된다.
상기 거치부(120)는 스마트폰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상측의 상단 그립부(122)와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하측의 하단 지지부(126)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단 그립부(122)가 하단 지지부(126)로부터 상승 이동함으로써 벌어지거나 또는 상단 그립부(122)가 하단 지지부(126)로 하강 복귀하여 다물어지는(모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단 지지부(126)에 대해 승강 이동되는 상단 그립부(122)에 인장력을 발생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130)이 상단 그립부(122)와 상하 이송부(140) 사이에 신장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단 지지부(126)는 소정 위치에 인출 걸림단(126a)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메인 바디(100)의 외측으로 인출시 거치부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수 있을 정도로만 상승 이동하게 되고 메인 바디(10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하 이송부(140)는 액추에이터(160)와 거치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액추에이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거치부(120)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액추에이터(160)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 이동될 때 거치부(120)를 승강 이동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상단 그립부(122)와 하단 지지부(126)는 상하 이송부(140)를 개재한 형태로 서로 분리가능하게 부분 적층된 형태로 연결된다.
좀더 설명하면, 상기 상하 이송부(140)는 상단 그립부(122)와 하단 지지부(126) 사이에 결속된 구조로 설치되어 액추에이터(160)의 구동력에 의한 승강 이동시 상단 그립부(122) 및 하단 지지부(126)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후면에 상단 그립부(122)와의 결속을 위한 상부 걸림부(142)가 돌출 형성되고, 그 전면에 하단 지지부(126)와의 결속을 위한 하부 걸림부(14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 이송부(140)와의 기구적 결속을 위하여, 상단 그립부(122)의 하단부에는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24)가 형성되고, 하단 지지부(126)의 하방에 형성된 연장 지지부(128)의 후면에는 배면 걸림부(129)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장 지지부(128)는 하단 지지부(126)의 저면 중앙에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배면 걸림부(129)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걸림부(142)는 상단 그립부(122)의 개구부(124)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하 이송부(140)의 상승 이동시에는 상기 개구부(124)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상단 그립부(122)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상하 이송부(140)의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개구부(124)의 하단에 걸림으로써 상단 그립부(122)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걸림부(144)는 하단 지지부(126)의 저면과 연장 지지부(128)의 배면 걸림부(129) 사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하 이송부(140)의 상승 이동시에는 상기 하단 지지부(126)의 저면에 걸림으로써 하단 지지부(126)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상하 이송부(140)의 하강 이동시에는 상기 연장 지지부(128)의 배면 걸림부(129)에 걸림으로써 하단 지지부(126)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구적 결속을 통해, 상하 이송부(140)는 상단 그립부(122)와 하단 지지부(126)의 승강 이동 및 위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하 이송부(140)의 전면에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에 홀더(150)의 작동을 위한 가이드 리브(146)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보듯이, 상기 홀더(150)는 한 쌍의 홀더부재(152)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토션 스프링(154)에 의해 탄성 지지된 형태로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상하 이송부(140)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양측으로 벌어져 있던 한 쌍의 홀더부재(152)가 상하 이송부(140)의 상승 이동시 상기 가이드 리브(146)에 의해 회동되어 좌우 중앙으로 모아짐으로써 인출된 거치부(120)의 하단 지지부(126)를 하방 지지하여 하단 지지부(126)의 위치 고정을 해주게 된다.
좀더 설명하면, 상하 이송부(140)의 상승 이동시 가이드 리브(146)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더부재(152)가 하단 지지부(126)의 연장 지지부(128) 측으로 모아짐에 의해 상기 연장 지지부(128)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고, 결과적으로 하단 지지부(126)를 상승된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떠받쳐서 지지해주게 된다.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홀더부재(152)는 토션 스프링(154)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힘을 받아 연장 지지부(128)와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154)은 각 홀더부재(152)의 회전축에 조립되어서 홀더부재(152)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가이드 리브(146)에 의해 홀더부재(152)가 좌우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회전될 때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60)는 구동벨트(164)와 풀리(166)에 의해 모터(162)의 동력을 상하 이송부(140)에 전달하는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서,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는 모터(162)와 이 모터(16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하 이송부(140)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벨트(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설명하면,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이송부(140)의 승강 이동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62)가 상하 이송부(1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이 모터(16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복수 개의 풀리(166)가 마운팅패널(168) 상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형태로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풀리(166)에 회전가능하게 감긴 구동벨트(164)가 승강블럭(165)을 통해 상하 이송부(140)에 연결된다.
이때 모터(162)의 회전운동은 선형운동으로 전환되어 상하 이송부(140)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벨트(164)가 풀리(166)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의해 상하 이송부(140)가 승강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상하 이송부(14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102)이 설치되고, 상하 이송부(140)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02)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사이드 블럭(148)이 일체로 부착된다.
한편, 도 9에 보듯이, 상기 액추에이터(160)의 모터(162)는 운전자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버튼(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동되며, 차량에 탑재된 제어부(190)가 상기 구동버튼(180)의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62)의 작동을 제어한다.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버튼(180)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60)는 거치부(120)를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시키도록 작동하고,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구동버튼(180)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액추에이터(160)는 거치부(120)를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으로 수납시키도록 작동한다.
상기 구동버튼(100)은 운전자 및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도록 차량 실내의 전방에 구비되며, 일례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 보드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보듯이, 거치부(120)에는 스마트폰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기계식(혹은 접점식)의 검출 스위치(132)가 설치되며, 거치부(120)에 스마트폰이 거치될 때 검출 스위치(132)가 작동되어 상기 제어부(190)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좀더 설명하면, 상기 검출 스위치(132)는 스마트폰을 거치부에 거치하기 위하여 하단 지지부(126)로부터 상단 그립부(122)를 들어올릴 때 작동가능하도록 하단 지지부(126) 내측에 배치되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 스위치(132)는 평상시에는 상단 그립부(122)에 의해 눌려 온 작동 신호를 발생하다가,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 상단 그립부(122)가 하단 지지부(126)로부터 들어 올려짐에 의해 오프 작동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90)가 스마트폰의 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90)는 검출 스위치(132)의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120)에 스마트폰이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에 수납된 상태일 때 구동버튼(180)의 신호가 입력되면,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켜 거치부(120)를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시키고, 이후 검출 스위치(132)의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120)에 스마트폰이 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스마트폰이 거치부(120)에 거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시간(일례로, 3초) 이후 상하 이송부(140)가 하강 이동되도록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켜 상단 그립부(122)의 상승 이동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하 이송부(140)는 그 후면의 상부 걸림부(142)가 상단 그립부(122)의 개구부(124)의 하단에 닿을 때까지 하강 이동됨으로써 상단 그립부(122)의 상승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그럼, 상단 그립부(122)가 인장 스프링(130)을 신장시키면서 상승 이동하려고 해도 상하 이송부(140)의 상부 걸림부(142)에 걸려 상승 이동이 불가하게 되고, 또한 이때 상단 그립부(122)와 상하 이송부(140) 사이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130)이 더 신장되어 상단 그립부(122)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복원력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거치부가 의도치않게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거치부(120)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킨 후 상단 그립부(122)의 상승 이동을 차단하여 거치부(120)의 벌어짐을 억제함으로써, 주행중에도 스마트폰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좀더 설명하면, 거치부(120) 내측에 스마트폰을 거치시킬 때에는 상단 그립부(122)와 상하 이송부(140) 사이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30)의 인장력에 의해 상단 그립부(122)가 하단 지지부(126) 측으로 당겨져 스마트폰을 탄성 지지하게 되고, 이후 상하 이송부(140)의 하강을 통해 거치부(120)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을 잡아주는 그립력(혹은 고정력)이 증대됨으로써 주행중 스마트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로부터 인출되도록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킨 뒤, 스마트폰이 거치부(120)에 미거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일례로, 6초) 이내에 구동버튼(180)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으로 자동 수납되도록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도 11에 보듯이, 상기 제어부(190)는 스마트폰이 거치부(120)에 고정되게 거치되어 유동 방지된 상태일 때 구동버튼(180)의 신호가 입력되면 거치부(120)의 벌어짐 차단/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킨다.
상기 액추에이터(160)의 작동에 의해 상하 이송부(140)가 일정 거리만큼 상승 이동되어 상단 그립부(122)의 상승 이동 및 거치부(120)의 벌어짐이 가능하게 되면, 제어부(190)는 검출 스위치(132)의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의 탈거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스마트폰이 거치부(120)에서 탈거된 것으로 판단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일례로, 6초) 이내에 구동버튼(180)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으로 자동 수납되도록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장치는 메인 바디(100)가 차량 실내의 운전석 전방에 구비되는 크래시패드(200)의 내측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메인 바디(100)의 내측 공간에 수납된 상태의 거치부(120)의 상단면 즉, 상단 그립부(122)의 상단면이 크래시패드(200)의 표면과 마치 하나의 평판처럼 단차 없이 이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의 내부에 수납시 크래시패드(200)의 내측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의 외부로 인출시 크래시패드(200)의 표면 위로 돌출되게 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의 작동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보듯이, 거치부(120)가 메인 바디(100)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단 그립부(122)의 상단면은 크래시패드(200)의 표면과 단차 없이 이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하 이송부(140)가 메인 바디(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단 그립부(122) 및 하단 지지부(126)를 메인 바디(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해준다.
또한 이때, 상하 이송부(140)의 상부 걸림부(142) 및 하부 걸림부(144)가 각각 상단 그립부(122)의 개구부(124) 하단 및 연장 지지부(128)의 배면 걸림부(129)에 닿아 걸린 상태로 거치부(120)의 상승 이동을 차단한다.
다음, 사용자가 구동버튼(180)을 눌러 제어부(190)에 구동버튼(180)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90)가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킴에 의해 상하 이송부(140)가 연동되어 상승 이동하게 되고,
도 4에 보듯이 상하 이송부(140)의 상승 이동에 의해 거치부(120)가 함께 상승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거치부(120)는 상하 이송부(140)의 상부 걸림부(142) 및 하부 걸림부(144)가 각각 상단 그립부(122)의 개구부(124) 상단 및 하단 지지부(126)의 저면에 닿아 걸린 이후부터 상하 이송부(140)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상하 이송부(140)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하 이송부(140)의 가이드 리브(146)에 의해 한 쌍의 홀더부재(152)가 가운데로 모아지면서 연장 지지부(128)의 하단을 받쳐주는 형태로 하단 지지부(126)를 하방 지지하여 위치 고정을 해주게 된다.
상기 각 홀더부재(152)를 탄성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154)은 압축 변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홀더부재(152)는 추후 상하 이송부(140)의 하강 이동시 토션 스프링(1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하게 된다.
그 다음, 도 5 및 도 6에 보듯이, 사용자가 상단 그립부(122)를 들어올려 거치부(120)를 벌어지게 한 뒤 스마트폰을 거치부(120) 내측에 삽입하여 거치시킨다. 이때 상단 그립부(122)와 상하 이송부(140) 사이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130)이 신장되면서 상단 그립부(122)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고, 거치부(120)는 상단 그립부(122)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스마트폰을 탄성 지지하여 잡아주게 된다.
이어서, 스마트폰이 거치부(120) 내측에서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 보듯이, 상하 이송부(140)가 소정 거리만큼 하강 이동된다.
이때, 상하 이송부(140)는 후면의 상부 걸림부(142) 및 전면의 하부 걸림부(144)가 상단 그립부(122)의 개구부(124) 하단 및 연장 지지부(128)의 배면 걸림부(129)에 닿아 걸릴 때까지 하강하며, 이에 의해 상단 그립부(122)가 외력에 의해 인장 스프링(130)을 신장시키면서 상승 이동하려고 해도 상부 걸림부(142)에 걸려 이동이 불가하게 되고, 결국 상단 그립부(122)의 상승 이동 및 거치부(120)의 벌어짐이 차단되어 스마트폰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주행중에도 스마트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상하 이송부(140)의 하강 이동과 더불어 인장 스프링(130)이 더 신장되어, 상단 그립부(122)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증가된다.
이후, 스마트폰을 거치부(120)에서 탈거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보듯이 먼저 구동버튼(180)을 눌러 구동버튼(180)의 신호가 제어부(190)에 입력되게 한다.
그럼, 상기 제어부(190)가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켜 상하 이송부(140)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 이동되게 하여, 사용자가 상단 그립부(122)를 들어올려 거치부(120)를 벌릴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거치부(120)를 벌려 스마트폰을 탈거하면, 제어부(190)는 검출 스위치(132)의 온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이 탈거됨을 인지하게 되고, 이후 설정된 시간 이내에 구동버튼(180)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다시 액추에이터(160)를 작동시켜 거치부(120)를 메인 바디(100)의 내측으로 복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90)에는, 상단 그립부(122)의 상승 이동 및 거치부(120)의 벌어짐을 차단할 때, 또는 거치부(120)의 벌어짐 차단을 해제할 때, 상하 이송부(140)를 소정 거리만큼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전압 등이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메인 바디 102 : 슬라이드 레일
120 : 거치부 122 : 상단 그립부
124 : 개구부 126 : 하단 지지부
126a : 인출 걸림단 128 : 연장 지지부
129 : 배면 걸림부 130 : 인장 스프링
132 : 검출 스위치 140 : 상하 이송부
142 : 상부 걸림부 144 : 하부 걸림부
146 : 가이드 리브 148 : 사이드 블럭
150 : 홀더 152 : 홀더부재
154 : 토션 스프링 160 : 액추에이터
162 : 모터 164 : 구동벨트
165 : 승강블럭 166 : 풀리
168 : 마운팅패널 180 : 구동버튼
190 : 제어부 200 : 크래시패드

Claims (10)

  1. 스마트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메인 바디;
    상기 거치부의 승강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거치부 사이에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에 의해 거치부를 승강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하 이송부를 개재한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단 그립부와 하단 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 지지부의 저면에는 배면 걸림부가 형성된 연장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이송부에는 상기 하단 지지부의 저면과 배면 걸림부 사이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하부 걸림부 및 상기 상단 그립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그립부와 상하 이송부 사이에는 상단 그립부에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인장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회전되어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홀더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 이송부의 좌우 가장자리에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상하 이송부의 상승 이동시 상기 가이드 리브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홀더부재가 좌우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회전되어 상기 하단 지지부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버튼의 신호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에는 스마트폰의 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기계식 검출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거치부가 메인 바디 내부에 수납된 상태일 때 구동버튼의 신호가 입력되면, 검출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거치부에 대한 스마트폰의 거치 여부를 판별하고,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부 걸림부가 상단 그립부의 개구부 하단에 걸릴 때까지 상하 이송부가 하강 이동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상단 그립부의 상승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미거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구동버튼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거치부를 메인 바디 내측으로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이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일 때 구동버튼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하 이송부가 상승 이동되도록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단 그립부의 상승 이동 차단을 해제시키고, 이후 검출 스위치의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의 탈거가 판단되는 동시에, 설정된 시간 이내에 구동버튼의 신호 입력이 없으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거치부를 메인 바디 내측으로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좌우 양측에는 상하 이송부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차량 실내의 크래시패드의 내측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메인 바디의 내부에 수납된 거치부의 상단면이 크래시패드의 표면과 단차 없이 이어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20150178262A 2015-12-14 2015-12-14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1714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62A KR101714275B1 (ko) 2015-12-14 2015-12-14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US15/215,058 US10017126B2 (en) 2015-12-14 2016-07-20 Actuator based extendable smart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CN201610644082.2A CN106864384B (zh) 2015-12-14 2016-08-08 车辆的智能手机保持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62A KR101714275B1 (ko) 2015-12-14 2015-12-14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275B1 true KR101714275B1 (ko) 2017-03-08

Family

ID=5840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62A KR101714275B1 (ko) 2015-12-14 2015-12-14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17126B2 (ko)
KR (1) KR101714275B1 (ko)
CN (1) CN10686438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2346A (zh) * 2018-12-29 2020-02-0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夹持装置及车辆
WO2020101120A1 (ko) * 2018-11-14 2020-05-22 (주)파워캐스트 차량용 무선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7897B2 (ja) * 2018-02-01 2021-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ホルダー
CN110316095B (zh) * 2018-03-30 2023-04-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显示终端的安装***以及具有其的车辆
CN110033821B (zh) * 2019-04-15 2021-03-09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车载自动调平装置的调平机构
DE102019215537A1 (de) * 2019-10-10 2021-04-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Zielposition einer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in eine Haltevorrichtung sowie entsprechende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258A (ko) * 2009-09-01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20029113A (ko) * 2010-09-16 2012-03-26 정제을 수납식 차량용 거치대
KR20120067022A (ko) 2010-12-15 2012-06-25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US20140339847A1 (en) * 2013-05-17 2014-11-20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dashboard equipped with such a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9784C2 (de) * 1995-10-26 1998-01-22 Happich Gmbh Gebr Einbauvorrichtung für Fahrzeuge
US5940502A (en) * 1996-12-11 1999-08-17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Phone holder
US5996866A (en) * 1998-09-29 1999-12-07 Lear Corporation Phone holder for vehicle console
KR20020019798A (ko) 2000-09-07 2002-03-13 김기일 휴대폰 거치 장치
GB2379122B (en) 2001-08-29 2003-07-16 Pama &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obile phone support apparatus
US7162281B2 (en) * 2002-02-22 2007-01-09 Dong Joo Kim Mobile phone holder
KR20040039620A (ko) 2002-11-04 2004-05-12 주식회사 프라코 휴대폰 거치부가 일체로 내장된 자동차용 인스트루먼트 판넬
US6929304B1 (en) * 2004-06-14 2005-08-16 Lear Corporation Flip under cell phone holder
US20070169131A1 (en) * 2005-12-22 2007-07-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media device
CN201124750Y (zh) * 2007-12-07 2008-10-01 廖海鸿 一种汽车空调出风口支架
JP5242497B2 (ja) * 2009-05-13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物品保持具
US20110156478A1 (en) * 2009-12-28 2011-06-30 Toyoda Gosei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rd management
US9140719B2 (en) * 2010-09-16 2015-09-22 Pioneer Corporation Terminal holding device
JP4897942B1 (ja) * 2010-09-16 2012-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端末保持装置
FR2965527B1 (fr) * 2010-09-30 2016-05-13 Faurecia Interieur Ind Support de fixation d'un appareil electronique portatif, planche de bord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s.
FR2965768B1 (fr) * 2010-10-12 2015-07-17 Faurecia Interieur Ind Support pour equipement electronique et ensemble correspondant
US8561863B2 (en) * 2011-06-09 2013-10-22 Superior Communications, Inc. Universal electronic device holder attachable to headrest bars
DE102011109056A1 (de) * 2011-07-30 2013-01-31 Volkswagen Ag Anordnung einer Halterung für ein Mobilgerät im Innenraum eines Fahrzeugs
JP5980565B2 (ja) * 2012-05-15 2016-08-31 明和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用ホールド装置
GB2503714B (en) * 2012-07-05 2017-04-05 Ford Global Tech Llc A combined storage and docking un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40091192A1 (en) * 2012-09-28 2014-04-03 Randy Mersky Mobile device holder
FR3000575B1 (fr) * 2012-12-28 2015-02-13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maintien pour appareil electronique portatif, structure interieur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9126615B2 (en) * 2013-03-14 2015-09-08 Randy Mersky Mobile device holder
ITTO20130470A1 (it) * 2013-06-06 2014-12-07 Fiat Group Automobiles Spa Plancia di veicolo provvista di un alloggiamento per supportare un dispositivo elettronico portatile
US8910990B1 (en) * 2013-08-14 2014-1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dock
KR101987153B1 (ko) 2013-12-26 2019-06-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601112B1 (ko) * 2014-05-14 2016-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03844682U (zh) * 2014-05-15 2014-09-24 福建农林大学 客车手机无线充电装置
DE102014222916A1 (de) * 2014-11-11 2016-05-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für ein Mobilgerät, Mobilgerätaufnahmeanordnung für ein Fahrzeug
US9434319B2 (en) * 2015-01-07 2016-09-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ersonal electronic device dock
US9834154B2 (en) * 2015-11-12 2017-12-05 Bradley C. Carson Concealable and deployable dashboard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258A (ko) * 2009-09-01 2011-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20029113A (ko) * 2010-09-16 2012-03-26 정제을 수납식 차량용 거치대
KR20120067022A (ko) 2010-12-15 2012-06-25 모바일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US20140339847A1 (en) * 2013-05-17 2014-11-20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Holder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dashboard equipped with such a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120A1 (ko) * 2018-11-14 2020-05-22 (주)파워캐스트 차량용 무선 충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CN110762346A (zh) * 2018-12-29 2020-02-0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夹持装置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6140A1 (en) 2017-06-15
CN106864384B (zh) 2021-04-16
CN106864384A (zh) 2017-06-20
US10017126B2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275B1 (ko)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252095B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101326687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US9975493B2 (en) Vehicular console device
JP2018057812A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CN104395145B (zh) 在车辆内部空间中的用于至少一个瓶子或杯子容器的容纳装置
KR100897766B1 (ko) 액세서리 부착기
KR102257592B1 (ko)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KR1020846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704295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거치대
KR100999144B1 (ko) 탈착 가능한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208468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70069361A (ko)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2420479B1 (ko) 차량용 단말 거치대
KR102160577B1 (ko) 능동형 암레스트를 갖는 도어트림
CN210184807U (zh) 操控机构及制动装置
JPH08100882A (ja) 支持体の上に装置を固定する機器
KR10198715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599605B1 (ko)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KR20100056088A (ko) 차량용 암레스트
KR100399128B1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KR101550266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폴더형 차량용 거치대
KR101936441B1 (ko) 자동차용 도어글래스 레귤레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