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803B1 -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803B1
KR101713803B1 KR1020150162357A KR20150162357A KR101713803B1 KR 101713803 B1 KR101713803 B1 KR 101713803B1 KR 1020150162357 A KR1020150162357 A KR 1020150162357A KR 20150162357 A KR20150162357 A KR 20150162357A KR 101713803 B1 KR101713803 B1 KR 10171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reference plate
main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구
Original Assignee
이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구 filed Critical 이양구
Priority to KR102015016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0K2350/9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 네비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핸들(1)에 연결되는 주축(20); 상기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일측부에는 무게추(32)가 구비된 베이스(30);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눈금이 구비된 기준판(40); 상기 기준판(40)과 상기 베이스(30) 사이에서 상기 주축(20)에 결합되어 주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에는 조향각 지시부가 구비된 회전판(50); 인서트 결합부(6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콘택트판(64)이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결합부(62)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기준판(40)에 결합되고 상기 콘택트판(64)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일정 면적으로 접촉되는 네비 콘택트캡(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Car steering wheel naviga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운데 위로 돌출되어 있는 콘택트캡의 면적이 충분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한 후에 다시 운행할 경우, 차량의 전륜이 조향된 상태에서 그대로 운행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처럼 전륜이 똑바로 되어있지 않고 각도가 틀어진 상태에서 그대로 운행하면, 예기치 못한 각종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차량 재운행시 전륜의 조향 각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차량의 전륜 조향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운전석 창문을 열고 직접 타이어의 조향각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운전이 미숙하거나 다른 차종을 처음 운전하는 사람을 위해 차량의 전륜의 조향각을 표시하는 장치가 시중에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향각 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돌리게 되면, 화살표가 차량의 조향 각도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직접 차량 전륜의 조향각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돌리는 순간 차량 핸들의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이 본의 아니게 과도하게 회전되거나 따로 돌아가는 현상(소위, 롤링 현상)이 발생되므로, 운전자가 핸들의 회전수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핸들 회전수를 인지시키는 부분의 오동작을 보완하기 위한 조향각 표시장치가 제공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오동작 보완 구조를 갖는 조향각 표시장치의 경우, 핸들을 비교적 살살 돌리면 큰 문제가 없으나 핸들을 급격하게 빨리 돌리면 어쩔 수 없이 조향각 표시부분이 오동작 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비록 오동작 방지 기능을 보완한 제품이라 하더라도 급격한 핸들 조작시에는 조향각 표시 부분의 오동작을 피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핸들 네비게이션 위에 캡을 돌출시킨 제품이 있으나, 캡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아서 조향각 표시 부분의 오작동을 완전히 방지하는 데에는 부족한 단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113158호(2008.12.29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803262호(2008.02.04 등록) 국내공개실용신안 실1998-039690호(1998.09.15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운데 위로 돌출되어 있는 콘택트캡의 면적이 충분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조향각 표시 부분의 오작동을 방지하는데 완벽함을 기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핸들에 연결되는 주축; 상기 주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일측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눈금이 구비된 기준판; 상기 기준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주축에 결합되어 주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에는 조향각 지시부가 구비된 회전판; 인서트 결합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콘택트판이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기준판에 결합되고 상기 콘택트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일정 면적으로 접촉되는 네비 콘택트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네비게이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의 핸들을 급격하게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준판이 과도한 원심력에 의해 한 바퀴이상 헛돌려고 하여도, 손바닥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콘택트캡이 기준판을 과도한 원심력에 의해 더 이상 헛돌지 않도록 방지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핸들을 급격하게 빨리 돌리더라도 조향각 표시 부분이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완벽성을 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핸들(1)에 연결되는 주축(20)과, 이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일측부에는 무게추(32)가 구비된 베이스(30)와, 이 베이스(30)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눈금이 구비된 기준판(40)과, 이 기준판(40)과 베이스(30) 사이에서 주축(20)에 결합되어 주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에는 조향각 지시부가 구비된 회전판(50)을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유사하다. 이때, 본 발명은 인서트 결합부(6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콘택트판(64)이 구비되어 인서트 결합부(62)는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기준판(40)에 결합되고 상기 콘택트판(64)은 하우징(10)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일정 면적으로 접촉되는 네비 콘택트캡(60)을 포함하는 것이 구성의 특징이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중앙부에는 센터홀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네비 콘택트캡(60)의 인서트 결합부(62)가 센터홀을 통과하여 기준판(40)에 결합된다. 하우징(10)의 상면을 이루는 투명한 투시판 중앙부에 센터홀이 구비되어, 투시판의 센터홀에 네비 콘택트캡(60)의 인서트 결합부(62)가 통과하여 기준판(4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기준판(40)의 저면에는 주축(20)에 베어링을 매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50)이 구비된다. 또한, 회전판(50)의 상면에는 회전수 지시부(52)가 구비된다. 이 회전수 지시부(52)는 지시침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회전판(50)의 상면에 인쇄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50)의 저면 외곽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섹터기어부가 형성된다. 섹터기어부는 베이스(30)의 무게추(32)와 반대되는 저면 둘레부에 형성되며, 이 섹터기어부에는 후술할 동력전달기어의 제3종동기어가 기어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50)은 동력전달기어에 의해 주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동력전달기어는 베이스(30)의 하측에서 주축(20)에 고정 결합된 메인기어와, 이 메인기어에 기어 결합된 제1종동기어와, 이 제1종동기어에 축결합되어 베이스(30)의 상측에 구비된 제2종동기어와, 이 제2종동기어에 기어결합됨과 동시에 회전판(50)의 섹터기어부(51)에 기어결합된 제3종동기어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종동기어 중앙부의 기어축은 베이스(30)의 타측부(즉, 무게추(32)가 구비된 베이스(30)의 일측부와 반대되는 위치)를 상하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종동기어의 기어축에는 제2종동기어가 고정 결합되며, 제3종동기어는 베이스(30)의 상면에 핀(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제2종동기어와 회전판(50) 저면부의 원주형 섹터기어부에 기어결합된다.
이에 따라, 주축(20)과 함께 메인기어가 회전하면, 제1종동기어는 베이스(30)의 타측부를 관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기어축을 중심으로 메인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1종동기어의 기어축에 장착된 제2종동기어는 제1종동기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2종동기어와 회전판(50) 저면의 원주형 섹터기어부에는 제3종동기어가 기어 결합되어, 제3종동기어가 제2종동기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결국, 메인기어의 회전력은 제1 내지 제3종동기어에 의해 회전판(50)에 전달되어 회전판(50)이 주축(2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30)는 주축(20)에 베어링을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부 저면에는 무게추(32)가 구비되어, 주축(20)이 회전하더라도 무게추(32)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항상 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 베이스(30), 회전판(50)은 각각 베어링을 매개로 주축(20)의 외주연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베어링(B1)에 의해 하부주축의 둘레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30)와 회전판(50)은 주축(20)의 둘레부에 각각 베어링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하우징(10)을 손으로 잡으면 하우징(10)의 중앙부 상면으로 노출된 네비 콘택트캡(60)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에 의해 눌려져서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30)와 기준판(40) 및 기준판(40) 상면의 눈금이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핸들(1)을 회전시키더라도, 운전자의 손에 접촉된 캡(70)이 누르는 힘에 의해 베이스(30)와 기준판(40) 및 눈금이 유동되어 헛돌지 않고 제자리에 멈출 수 있는 한편, 회전판(50)은 차량 핸들(1)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의 앞바퀴의 회전수를 알 수 있게 된다. 도면에 핸들(1)의 회전에 따른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의 작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핸들(1)의 위치가 A에서 B 또는 C 위치로 회전되어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도 따라 이동할 때에 핸들(1)의 회전수를 알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하우징(10)을 손으로 잡고 차량의 핸들(1)을 좌측으로 한바퀴 회전시키면, 상기 주축(20)은 핸들(1)의 스티어링칼럼(미도시)을 중심으로 1회의 자전과 1회의 공전을 하는 한편, 하우징(10)은 운전자가 잡고 있기 때문에, 1회의 공전만 하고 자전은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30)와 기준판(40)은 무게추(32)의 무게에 의해 항상 지면을 향하는 일정한 방향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축(20)은 베이스(30)와 기준판(40)에 대해 상대적으로 1회전하는 반면, 베이스(30)와 기준판(40)은 회전하지 않고 제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주축(20)이 베이스(30)와 기준판(40)에 대해 상대적으로 1회전하면, 메인기어가 회전하고, 메인 기어의 회전력은 제1 및 제3종동기어를 통해 회전판(50)에 전달되기 때문에, 주축(20)이 1회전함에 따라 회전판(50)이 회전되면서 회전판(50) 상면의 회전수 지시부(52)가 기준판(40)의 좌측으로 회전되어 눈금(44) 1을 가리키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차량의 전륜이 좌측으로 한바퀴 회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하우징(10)을 손으로 잡고 차량의 핸들(1)을 우측으로 한바퀴 회전시키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회전판(50) 상면의 회전수 지시부(52)가 기준판(40)의 우측으로 회전되어, 눈금(44) 1을 가리키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차량의 전륜이 우측으로 한바퀴 회전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의 작동은 국내공개특허 제0-2008-0113158호의 작동과 동일 내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을 잡고 돌릴 때(즉, 하우징(10)을 잡고 돌릴 때)에 네비 콘택트캡(60)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한 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는 점에서 기존과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은 인서트 결합부(62)와 콘택트판(64)을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 결합부(62)는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을 종단면으로 볼 때에 바닥부와 측벽부가 있는 역 유자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인서트 결합부(62)의 내부에 하단부로 연통된 공간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준판(40)의 상면에는 위로 돌출된 보스부(41)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보스부(41)의 내부에 확보된 결합 공간부에 인서트 결합부(62)가 삽입된다. 이때, 인서트 결합부(62)의 외경이 보스부(41)의 내경보다 더 작게하여 인서트 결합부(62)가 보스부(41)에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그러면, 인서트 결합부(62)가 기준판(40)의 보스부(41)에 쉽게 이탈되지 않으므로, 네비 콘택트캡(60)이 기준판(40)에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콘택트판(64)은 인서트 결합부(62)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인서트 결합부(62)의 상단 둘레부에 콘택트판(64)의 기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투명한 투시창(12)(즉, 투시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 패널)으로 이루어지고, 투시창(12)의 면적은 하우징(10)의 둘레부에 인접된 면적으로 이루어진데, 상기 콘택트판(64)이 투시창의 위에서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면적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택트판(64)은 투명판으로 이루어진다. 콘택트판(64)에서 하우징(10)의 투시창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중요한 것은, 콘택트판(64)이 충분한 면적으로 하우징(10) 위로 나와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하우징(10)을 잡을 때에 콘택트판(64)이 충분한 면적으로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네비 콘택트캡(60)이 기존에 비하여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한 면적으로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을 잡고 돌릴 때에 네비 콘택트캡(60)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한 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조향각 표시 부분의 오작동을 방지하는데 완벽함을 기할 수 있다. 기존에는 하우징(10) 위로 노출된 캡이 충분한 면적으로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지 못하여 핸들 네비게이션을 잡고 차량의 핸들(1)을 돌릴 때에 캡이 손바닥과 따로 미끄러지는 슬립 현상이 생기며, 이러한 슬립 현상으로 인해 기준판(40)이 제대로 제위치에 고정되지 못하여 핸들 네비게이션의 오작동을 피할 수 없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네비 콘택트캡(60)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충분한 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핸들 네비게이션의 오작동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준판(40)의 보스부(41) 안쪽의 결합 공간부 중심부, 다시 말해, 기준판(40)의 상면 중앙부에 지지핀(4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핀(42)의 둘레부에는 오목한 링홈이 구비되고,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의 중앙부, 구체적으로, 인서트 결합부(62)의 중앙부에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지지핀(42)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의 지지핀(42) 결합홀에 기준판(40)의 지지핀(42)을 끼운 상태에서 지지핀(42)의 둘레부에 구비된 링홈에 스냅링(44)(C-STOP RING)을 끼워주면,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이 지지핀(42)과 스냅링(44)에 의해 기준판(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핀(42)과 스냅링(44)을 사용함으로써 네비 콘택트캡(60)과 지지판의 조립 및 분해가 보다 간편하고 쉬워진다.
이때, 상기 기준판(40)의 보스부(41)와 네비 콘택트판(64)의 인서트 결합부(62)에 의해 확보된 탄성체 공간부에는 스프링(SP)이 내장된다. 본 발명에서 탄성체는 상단부가 네비 콘택트캡(60)의 저면에 탄성 접촉되고 하단부는 상기 기준판(40)의 상면에 탄성 접촉된 스프링(SP)으로 구성된다.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을 기준판(40)에 결합하기 이전에 기준판(40) 상면의 보스부(41)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부에 스프링(SP)을 삽입하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네비 콘택트캡(60)을 기준판(40)에 결합한다.
상기 스프링(SP)은 기준판(40)과 네비 콘택트판(64) 사이에서 탄성력을 작용시켜서 기준판(40)에 네비 콘택트판(64)이 더욱 견고하게 탄성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상기 스프링(SP)의 탄성력에 의해 기준판(40)과 네비 콘택트판(64)이 더욱더 확실하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네비 콘택트캡(60)이 손바닥에서 슬립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게 되므로, 베이스(30)와 기준판(40) 및 눈금이 유동되어 헛돌지 않고 제자리에 멈출 수 있는 기능을 한층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프링(SP)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조향각 표시 부분의 오작동을 완전히 방지하는 데에 더욱 확실하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네비 콘택트캡(60)의 중앙부에 접착제 등의 접합수단으로 부착된 돔부재(66)가 지지핀(42)과 스냅링(44)을 가려주게 되어, 돔부재(66)에 의해 네비 콘택트캡(60)이 사용자의 손바닥에 밀착되는 힘을 더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돔부재(66)에 의해 깔끔하게 마무리되므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도 돔부재(66)가 구비되어, 상기 일실시예도 돔부재(66)로 인한 효과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의 상면에 십자형으로 배열된 돌기(68)를 더 구비한다. 네비 콘택트캡(60)을 구성하는 콘택트판(64)의 상면에 십자형 돌기(68)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판(64)의 상면에는 십자형 돌기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십자형 돌기가 접촉 기능과 걸림 기능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핸들 네비게이션을 손으로 잡고 핸들(1)을 돌릴 때에 네비 콘택트캡(60)과 손바닥 사이의 접촉 마찰력을 더욱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손바닥과 네비 콘택트캡(60) 사이의 접촉 마찰력을 더욱 높여주어 네비 콘택트캡(60)이 손바닥에서 슬립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게 되므로, 베이스(30)와 기준판(40) 및 눈금이 유동되어 헛돌지 않고 제자리에 멈출 수 있는 기능을 한층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네비 콘택트캡(60)에 마찰 패드(70)를 더 구비하고, 마찰 패드(70)가 사용자의 손바닥에 마찰력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찰 패드(70)는 마찰력이 있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마찰력이 있는 재질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이처럼 마찰 패드(70)를 더 구비한 경우에는 마찰 패드(70)에 의해 네비 콘택트캡(60)과 사용자의 손바닥 사이에 밀착 마찰력이 더욱 높아져서 네비 콘택트캡(60)과 이에 연결된 기준판(40)이 사용자의 손에서 헛도는 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 패드(70)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네비 콘택트캡(60)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마찰 패드(70)의 둘레부 저면에는 단면 디귿자 형상의 걸림 링부를 구비하여, 걸림 링부가 네비 콘택트캡(60)의 저면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마찰 패드(70)와 네비 콘택트캡(6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즉, 마찰 패드(70)가 네비 콘택트캡(6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네비 콘택트캡(6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이고 마찰 패드(70)와 접합수단(양면 테이프 등)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져서 기준판(40) 상면의 눈금과 회전판(50) 상면의 회전수 지시부(52)가 잘 보이도록 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핸들 10. 하우징
20. 주축 30. 베이스
32. 무게추 40. 기준판
41. 보스부 42. 지지핀
44. 스냅링 50. 회전판
60. 네비 콘택트캡 62. 인서트 결합부
64. 콘택트판 66. 돔부재
70. 마찰 패드 72. 결합 링부

Claims (4)

  1. 하우징(10)의 내부에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핸들(1)에 연결되는 주축(20);
    상기 주축(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며 일측부에는 무게추(32)가 구비된 베이스(30);
    상기 베이스(30)의 상측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눈금이 구비된 기준판(40);
    상기 기준판(40)과 상기 베이스(30) 사이에서 상기 주축(20)에 결합되어 주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면에는 조향각 지시부가 구비된 회전판(50);
    인서트 결합부(62)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콘택트판(64)이 구비되어 상기 인서트 결합부(62)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상기 기준판(40)에 결합되고 상기 콘택트판(64)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일정 면적으로 접촉되는 네비 콘택트캡(60);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판(40)의 상면 중앙부에 지지핀(4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핀(42)의 둘레부에는 오목한 링홈이 구비되고,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의 중앙부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된 지지핀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의 상기 지지핀 결합홀에 상기 기준판(40)의 상기 지지핀(42)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지지핀(42)의 둘레부에 구비된 링홈에 스냅링(44)을 끼워서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이 상기 지지핀(42)과 상기 스냅링(44)에 의해 상기 기준판(40)에 고정되고,
    상기 기준판(40)의 보스부(41)와 상기 콘택트판(64)의 인서트 결합부(62)에 의해 확보된 탄성체 공간부에는 스프링(SP)이 내장되고,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에 마찰 패드(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찰 패드(70)의 둘레부에는 걸림 링부(72)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 링부(72)가 상기 네비 콘택트캡(60)의 저면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네비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판(64)의 상면에는 돌기(68)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십자형 돌기가 접촉 기능과 걸림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네비게이션.
  3. 삭제
  4. 삭제
KR1020150162357A 2015-11-19 2015-11-19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KR101713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57A KR101713803B1 (ko) 2015-11-19 2015-11-19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357A KR101713803B1 (ko) 2015-11-19 2015-11-19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803B1 true KR101713803B1 (ko) 2017-03-22

Family

ID=5849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357A KR101713803B1 (ko) 2015-11-19 2015-11-19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8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690U (ko)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차량용 보조 핸들
KR200227613Y1 (ko) * 2000-12-30 2001-06-15 김용호 자동차용 보조핸들
JP2004249983A (ja) * 2003-02-22 2004-09-09 Linde Ag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03262B1 (ko) 2007-04-12 2008-02-13 이양구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KR20080113158A (ko) 2007-06-23 2008-12-29 이양구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690U (ko) 1996-12-20 1998-09-15 박병재 차량용 보조 핸들
KR200227613Y1 (ko) * 2000-12-30 2001-06-15 김용호 자동차용 보조핸들
JP2004249983A (ja) * 2003-02-22 2004-09-09 Linde Ag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03262B1 (ko) 2007-04-12 2008-02-13 이양구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KR20080113158A (ko) 2007-06-23 2008-12-29 이양구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891B2 (en) Driving device
AU2023202070B2 (en) Electrically motorised wheel, transmission and control module, kit, vehicle and system
US20120137591A1 (en) Driving Device
KR101713803B1 (ko) 차량용 핸들 네비게이션
JP2017512558A5 (ko)
US9581968B2 (en) Timepiece
JP6243636B2 (ja) モーター
WO2008095651A3 (de) Kraftfahrzeug-anzeigeinstrument mit umgreifendem zeiger
CN110466608A (zh) 车轮偏转角度指示器及车辆
US20080174572A1 (en) Input apparatus
CN208057919U (zh) 一种旋钮式换挡装置
CN209987997U (zh) 一种方向盘转角传感器固定结构
WO2019054153A1 (ja) シフト装置
KR100803261B1 (ko)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KR20130102394A (ko) 자동차용 휠 캡
CN210526644U (zh) 车轮偏转角度指示器及车辆
KR100582472B1 (ko)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CN203345024U (zh) 汽车转向指示表
EP3132946B1 (en) Image board for rotary wheel and rotary wheel comprising same
CN206944953U (zh) 一种汽车方向盘用角度传感器
KR20080113158A (ko)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KR100803262B1 (ko) 핸들 네비게이션 구조
US20190210690A1 (en) Tube-type electric driving device for bicycle
JPS6118262Y2 (ko)
KR200217496Y1 (ko) 차량의 조향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