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110B1 -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110B1
KR101713110B1 KR1020160048344A KR20160048344A KR101713110B1 KR 101713110 B1 KR101713110 B1 KR 101713110B1 KR 1020160048344 A KR1020160048344 A KR 1020160048344A KR 20160048344 A KR20160048344 A KR 20160048344A KR 101713110 B1 KR101713110 B1 KR 10171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actuator
base
vibrator
nozz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봉
김재구
이창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4Laser welding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 B23K26/342Build-up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용접장비, 3차원 프린팅 장비 등에서 레이저빔에 의해 용융되는 와이어에 진동을 줄 수 있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즐부 및 진동자를 포함한다. 노즐부는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위치로 와이어를 공급한다. 진동자는 노즐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레이저빔의 조사 지점을 중심으로 노즐부를 진동시킨다. 이를 통해 와이어가 균일하게 용융됨으로써, 부재 간의 용접 불량을 방지하고, 3D 프린터에 있어서 제품 형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ire using oscillator}
본 발명은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용접장비, 3차원 프린팅 장비 등에서 레이저빔에 의해 용융되는 와이어에 진동을 줄 수 있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용접은 집속되어 증폭된 빛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소재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순간적으로 가열, 용융시켜 소재를 절단하거나 접합하는 용접법이다.
레이저 용접은 좁고 깊은 영역을 정밀하게 용접할 수 있고, 열 변형 범위가 작으며, 소음 및 마모가 거의 없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금속 혹은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용접을 통해 용융, 적층하여 3차원 물체를 성형하는 3D 프린터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저 용접 또는 3D 프린팅에 있어서, 모재(base metal)로 쓰이는 와이어를 레이저 조사지점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와이어 공급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된다.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 피더(feeder)라고도 불리는데, 기존의 가스 용접 또는 아크 용접에 적용되는 와이어 공급장치들이 레이저 용접 또는 3D 프린팅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레이저 용접 또는 3D 프린팅에 적용된 종래의 와이어 공급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을 참조하면, 종래의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W)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와이어 송급부(10)와, 와이어(W)의 끝 부분을 소정 위치에 지향시키기 위한 노즐부(20)와, 와이어(W)의 끝 부분에 레이저빔(L)이 조사되도록 구비된 레이저 조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이저빔(L)의 에너지 프로파일(LP)은 일반적으로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를 가지므로, 와이어(W)의 균일한 용융을 위해서는 도 1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중심부(WC)와 레이저빔(L)의 중심부(LC)가 일치한 상태에서 와이어 송급부(10)의 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와이어(W)에 레이저빔(L)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제 공정 중에는 도 1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중심부(WC)와 레이저빔(L)의 중심부(LC)가 편심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이로 인해 레이저빔(L)이 와이어의 중심부(WC)에 정확히 조사되지 못하고, 어느 한 쪽에 편중되어 조사됨으로써, 와이어(W)가 불균일하게 용융된다. 이러한 현상은 결국, 용융된 와이어가 용착되어 생성되는 용접 비드의 질을 떨어뜨려 두 부재 간의 접합 강도, 3D 프린터에 있어서의 제작품의 강도 및 형상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8035호(2015.04.08. 공개공고, 발명의 명칭 : 용접을 위해 필러 와이어 공급과 아크 생성 소스를 결합해서 시작하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를 균일하게 용융시킬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진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위치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노즐부를 진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각도 변화를 수용하는 탄성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결합되는 기둥부; 일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에 결합되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신축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부와 구름접촉하면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부 및 상기 제2베이스에 결합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노즐부에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는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 제1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탄성힌지와, 상기 기둥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탄성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축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탄성힌지를 탄성변형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축을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2탄성힌지를 탄성변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양단부가 상기 제1, 2베이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예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과 상기 진동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진동자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예열하기 위해 상기 노즐부에 설치되는 히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와이어가 균일하게 용융됨으로써, 부재 간의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3D 프린터에 있어서 제품 형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노즐부로 인입되는 와이어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와이어 진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소형화된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각도에 따라 와이어의 진동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예압을 통해 제2베이스와 볼부재 사이를 밀착시키고, 액츄에이터 수축 시 제2베이스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에 가해지는 예압이 한 쪽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압전소자의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고, 용접 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에 따르면, 습기로 인한 용접부의 취성 상승 및 균열을 방지하고, 와이어 예열을 통해 레이저 용접 시 소요되는 와이어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공급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히터부재가 부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진동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진동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4의 진동자의 기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를 통해 와이어가 균일하게 용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히터부재가 부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진동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의 진동 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4의 진동자의 기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를 통해 와이어가 균일하게 용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1)는 레이저 용접장비, 3차원 프린팅 장비 등에서 레이저빔(L)에 의해 용융되는 와이어(W)에 진동을 주는 것으로서, 노즐부(100) 및 진동자(20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100)는 레이저빔(L)이 조사되는 위치로 와이어(W)를 공급한다. 노즐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노즐 본체(110) 외에도 노즐 본체(110)의 끝단부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내부에 일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노즐팁(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200)는 도 5 또는 도 7과 같이 노즐부(1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레이저빔(L)의 조사 지점(A)을 중심으로 노즐부(100)를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노즐부(100)에서 배출되는 와이어(W)도 함께 진동하게 된다.
이는 노즐부(100)가 와이어(W)를 레이저빔(L)의 조사 지점(A)으로 단순히 안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노즐부(100)에 의해 공급되는 와이어(W)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와이어(W)가 균일하게 용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곡선 형태로 휘어져 있더라도 와이어(W)가 레이저빔(L)의 조사 지점(A)을 왔다갔다 하면서 전 범위에 걸쳐 빠짐없이 용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저빔(L)이 와이어(W)의 어느 한 쪽에 편중 조사되어 발생했던 용접 결함들, 예를 들어 와이어(W)의 좌우 열변형 차이로 인한 부재 간의 엇갈림, 미용융된 부분으로 인한 접합 불량, 3D 프린터에 있어서 적층 높이의 불균일로 인한 제품 형상의 정밀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진동자(200)는 노즐부(100)를 레이저빔(L)과 교차되도록 진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나 형태여도 무방하나, 적은 전력으로 큰 진동 폭을 얻을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진동자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 2베이스(210, 220)와, 제1, 2베이스(210, 220)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힌지(231)를 매개로 제1베이스(210)와 제2베이스(220)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결합되는 기둥부(230)와, 일단부가 제1베이스(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신축되는 액츄에이터(240)를 포함한다.
제1베이스(210)는 와이어(W)의 이송 경로 상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베이스(220)만 액츄에이터(240)의 신축작용에 의해 기둥부(230)를 기준으로 힌지회동한다. 제1베이스(210) 및 제2베이스(220)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관통홀(211) 및 제2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제1관통홀(211) 및 제2관통홀(221)을 통하여 와이어(W)가 노즐부(100)에 직선 형태로 인입됨으로써, 와이어(W)의 직진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압전소자로 구성된 액츄에이터(240)의 타단부와 제2베이스(220) 사이에 결합된 볼부재(250)는 액츄에이터(240)와 제2베이스(220)가 서로 구름접촉되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만약, 액츄에이터(240)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면, 제1베이스(210)와 제2베이스(220) 사이의 힌지회동으로 인해 액츄에이터(240)가 굽힘력을 받게 되고, 이것이 반복됨으로써 액츄에이터(240)가 고정되는 부분이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볼부재(250)는 액츄에이터(240) 또는 제2베이스(220)의 단부에 볼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케이싱 내부에 갇혀 자유롭게 회전될 수도 있고, 원통 형상의 롤러 등 다양한 이동단 형태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자(200)는 기준점 역할을 하는 제1베이스(210)와 작용점 역할을 하는 와이어(W)의 끝 부분이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거리만큼 비례하여 와이어(W)의 회전변위가 커지게 된다. 즉, 액츄에이터(240)의 미세한 신축변위가 와이어(W)의 회전변위로 증폭됨으로써, 와이어(W)의 진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진동자(200)의 크기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츄에이터(240)를 다수 설치하여 진동자(200)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며, 액츄에이터(24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진동 방향은 증가한다.
도 4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탄성힌지(231)는 기둥부(230)의 일단부에 제1축(X1)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탄성힌지(231a)와, 기둥부(230)의 타단부에 제1축(X1)과 교차하는 제2축(X2)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탄성힌지(231b)를 구비하고, 액츄에이터(240)는 제1축(X1)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제1탄성힌지(231a)를 탄성변형시키는 제1액츄에이터(241)와, 제2축(X2)을 회동중심이 되도록 제2탄성힌지(231b)를 탄성변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242)를 구비한다.
제1, 2베이스(210, 22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 제1, 2액츄에이터(241, 242)의 신축에 의해, 제2베이스(220)는 제1, 2축(X1, X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1, 2탄성힌지(231a, 231b)가 제1, 2축(X1, X2)에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액츄에이터(241)가 신축되면 제1탄성힌지(231a)가 꺾이면서 기둥부(230)의 각도 변화를 수용하게 되고, 제2액츄에이터(242)가 신축되면 제2탄성힌지(231b)가 꺾이면서 기둥부(230)의 각도 변화를 수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레이저빔(L)의 조사 각도가 변한다거나 혹은 다수의 레이저빔(L)이 조사되는 경우, 이에 맞춰 와이어(W)의 진동 방향을 다양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제2베이스(220)와 볼부재(250) 사이를 밀착시키고, 액츄에이터(240) 수축 시 제2베이스(220)에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1, 2베이스(210, 220)에 각각 스프링부재(260)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스프링부재(260)는 코일 스프링이나,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베이스(220)와 볼부재(250) 사이가 압착되도록 스프링부재(260)는 예압된 상태로 설치된다.
액츄에이터(240)에 가해지는 예압이 한 쪽에 편중되지 않도록 스프링부재(260)는 제1, 2액츄에이터(241, 242) 사이에 설치되고, 액츄에이터(240)의 갯수에 따라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베이스(220)가 여러 방향으로 진동함에 따라 스프링부재(260)에도 여러 방향으로 굽힘력이 가해지므로,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260)의 양단부는 목이 좁은 힌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빔(L)에 의해 용융되는 와이어(W)는 철선, 구리, 니켈, 납 등 열 전달율이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와이어(W)에 발생된 열이 노즐부(100)와 제2베이스(220)를 통해 액츄에이터(240)에 전달되어 액츄에이터가 손상될 수 있고, 열 손실에 의해 용접 효율도 낮아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즐부(100)과 진동자(200) 사이에 단열판(300)이 개재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열판(300)은 제2베이스(220)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재질은 세라믹으로 구성되나, 내열성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부(100)를 통과하는 와이어(W)에 열을 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00)에 히터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W)에 묻은 습기로 인해 용접 시 발생되는 용접부의 취성 상승 및 균열을 방지하고, 와이어(W) 예열을 통해 레이저 용접 시 소요되는 가열 시간을 줄이기 위함으로, 히터부재(400)는 노즐부(100)의 외부를 감싸는 열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와이어(W)에 근접하도록 노즐부(100)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가스를 노즐부(100) 내로 주입, 연소시켜 직접 가열할 수도 있다. 즉, 히터부재(400)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례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가 레이저빔을 중심으로 진동되어 와이어가 균일하게 용융됨으로써, 부재 간의 용접 불량을 방지하고, 3D 프린터에 있어서 제품 형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가 노즐부에 직선 형태로 인입됨으로써, 와이어의 직진도가 유지되는 효과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의 회전변위를 증폭함으로써, 와이어 진동에 소요되는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다 소형화된 와이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각도에 따라 와이어의 진동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예압을 통해 제2베이스와 볼부재 사이를 밀착시키고, 액츄에이터 수축 시 제2베이스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스프링부재가 제1, 2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액츄에이터에 가해지는 예압이 한 쪽에 편중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를 통해 진동자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단열판으로 차단함으로써, 압전소자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용접 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는, 와이어를 미리 예열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용접부의 취성 상승 및 균열을 방지하고, 와이어 예열을 통해 레이저 용접 시 소요되는 와이어의 가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본 발명의 진동자을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100 : 노즐부
200 : 진동자
210 : 제1베이스
220 : 제2베이스
230 : 기둥부
240 : 액츄에이터
250 : 볼부재
260 : 스프링부재
300 : 단열판
400: 히터부재

Claims (8)

  1.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위치로 와이어를 공급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빔의 조사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노즐부를 진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진동시키는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각도 변화를 수용하는 탄성힌지를 매개로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결합되는 기둥부;
    일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에 결합되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신축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부와 구름접촉하면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부 및 상기 제2베이스에 결합되는 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노즐부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는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 제1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1탄성힌지와, 상기 기둥부의 타단부에 상기 제1축과 교차하는 제2축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제2탄성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축이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1탄성힌지를 탄성변형시키는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축을 회동중심이 되도록 상기 제2탄성힌지를 탄성변형시키는 제2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양단부가 상기 제1, 2베이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예압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가 상기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과 상기 진동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진동자 측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예열하기 위해 상기 노즐부에 설치되는 히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KR1020160048344A 2016-04-20 2016-04-20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KR10171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44A KR101713110B1 (ko) 2016-04-20 2016-04-20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44A KR101713110B1 (ko) 2016-04-20 2016-04-20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110B1 true KR101713110B1 (ko) 2017-03-08

Family

ID=5840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44A KR101713110B1 (ko) 2016-04-20 2016-04-20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418A (zh) * 2019-03-24 2019-05-28 北京工业大学 一种高频振动激光自熔丝焊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354A (ja) * 1992-09-28 1994-04-19 Mitsubishi Heavy Ind Ltd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JP2002079371A (ja) * 2000-09-01 2002-03-19 Daihatsu Motor Co Ltd 板金ロー付方法及びロー付装置
JP2007190564A (ja) * 2006-01-17 2007-08-02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JP2009148790A (ja) * 2007-12-20 2009-07-09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KR20150038035A (ko) 2012-07-12 2015-04-08 링컨 글로벌, 인크. 용접을 위해 필러 와이어 공급과 아크 생성 소스를 결합해서 시작하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354A (ja) * 1992-09-28 1994-04-19 Mitsubishi Heavy Ind Ltd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JP2002079371A (ja) * 2000-09-01 2002-03-19 Daihatsu Motor Co Ltd 板金ロー付方法及びロー付装置
JP2007190564A (ja) * 2006-01-17 2007-08-02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JP2009148790A (ja) * 2007-12-20 2009-07-09 Kobe Steel Ltd 消耗電極式溶接トーチ
KR20150038035A (ko) 2012-07-12 2015-04-08 링컨 글로벌, 인크. 용접을 위해 필러 와이어 공급과 아크 생성 소스를 결합해서 시작하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418A (zh) * 2019-03-24 2019-05-28 北京工业大学 一种高频振动激光自熔丝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4798B2 (ja) 付加的構造構築技術のシステムと方法
US110908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shape using laser and powder
RU275842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вар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луча
CN109475938B (zh) 用于制造三维物体的送丝装置
US20200269500A1 (en) Processing machines and methods for heating a powder to produce three-dimensional components
JP2017110300A (ja) 立体的に延びる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3d印刷装置
JP2011529401A5 (ko)
BRPI0809831B1 (pt) Método para a soldagem eletromagnética de peças moldadas; indutor; conjunto do indutor e um gerador de corrente alternada; e dispositivo para a soldagem eletromagnética de peças moldadas
US20050039855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planar plastic materials
JP7175407B2 (ja) 加工物のレーザ加工のための機械加工装置および加工物のレーザ加工のための方法
JP2008502485A (ja) プラズマとレーザーを用いた連続的な突き合せ溶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金属管製造方法
US20170173875A1 (en) 3D printing device for producing a spatially extended product
KR101713110B1 (ko) 진동자를 이용한 와이어 공급장치
JP2007029977A (ja) レーザ加工装置
JP2011521611A (ja) レーザビーム吸収型螺旋支持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の装置
CN111032274B (zh) 接合体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KR20050045820A (ko) 연성 금속제 부품의 파단 개시부 형성방법 및 파단 개시부형성장치
KR10212932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3차원 금속 프린팅 장치 및 방법
US200701701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ser welding foils
JP5332511B2 (ja) 抵抗溶接機
JP6261406B2 (ja) 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JP5332509B2 (ja) 抵抗溶接機
JP2015178118A (ja) 溶接方法および溶接装置
KR102167896B1 (ko) 성형 형 클리닝 장치 및 방법, 수지 성형 장치, 그리고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KR101905062B1 (ko) 3d 프린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