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328B1 -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 Google Patents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328B1
KR101712328B1 KR1020160113523A KR20160113523A KR101712328B1 KR 101712328 B1 KR101712328 B1 KR 101712328B1 KR 1020160113523 A KR1020160113523 A KR 1020160113523A KR 20160113523 A KR20160113523 A KR 20160113523A KR 101712328 B1 KR101712328 B1 KR 10171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silicon
content
precipitate
precipit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수
김상겸
박지용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3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328B1/en
Priority to PCT/KR2017/009439 priority patent/WO201804404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alloy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luminum alloy, having excellent cutting processability and hole processability in a case of a drilling process and having excellent extrusion, surface roughness, dimensional precisio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silicon (Si); magnesium (Mg); copper (Cu); iron (Fe); and manganese (Mn).

Description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본 발명은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드릴 가공시 탁월한 절삭 가공성, 홀 가공성 등을 나타내는 동시에 압출성, 표면조도, 치수정밀도, 강도, 내식성 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ly porous aluminum alloy.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alloy which exhibits excellent cutting workability and hole-workability in drilling, and is excellent in extrudability, surface roughness, dimensional accuracy,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알루미늄 합금 중 6000계 합금군은 절삭 가공, 홀 가공 등의 공정을 많이 거쳐야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열처리형 알루미늄 합금계인 1000, 3000, 5000계 등의 합금군은 강도가 낮거나 절삭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복잡한 절삭이나 홀 가공은 지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mong the aluminum alloys, the 6000-series alloy group is known to be used for applications requiring a lot of steps such as cutting and hole processing. Alloy groups such as non-heat-treated aluminum alloys such as 1000, 3000, and 5000 alloys generally have a low strength or a relatively low cutting ability so that complicated cutting and hole machining are avoided.

또한, 2000계 합금군은 절삭 가공성이 우수한 계열로 알려져 있으나 내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4000계 합금군은 압출 공정보다 단조 공정에 더 효과적인 합금계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although 2000 series alloys are known to be excellent in machinability, corrosion resistance is poor, and 4000 series alloys are known to be more effective alloys for forging than extrusion processes.

6000계 합금군은 금속간 화합물에 의한 강도 향상 효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절삭 가공을 통하여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6000 alloy series can maintain relatively high level of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the strength improvement effect by the intermetallic compound and it is advantageous to make various shape products through cutting processing.

그러나, 종래 6000계 알루미늄 합금은 드릴에 의한 홀 가공시 생성되는 드릴 칩이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드릴 칩이 홀 밖으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고 드릴날에 감겨 드릴 가공을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드릴날에 감긴 드릴 칩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로써 제품 생산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6000-series aluminum allo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ll chip generated in the hole machining by the drill is formed long, so that the drill chip is not easily discharged out of the hole and the drill can not be drilled. Therefore, the operator has to periodically remove the drill chip wound around the drill bit,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roduct production efficiency.

최근 알루미늄 합금의 절삭 가공성, 홀 가공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납(Pb), 주석(Sn) 등과 같은 저융점 합금 원소를 포함시켜 가공 중 생성되는 가공열에 의해 상기 저융점 합금 원소가 국부적으로 용융되어 가공시 발생하는 드릴 칩의 절단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성되는 드릴 칩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In recent years, as a method for improving cutting workability and hole processability of an aluminum alloy, a low melting point alloy element such as lead (Pb), tin (Sn) or the like is contained and the low melting point alloy element is locally melted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drill chip produced by facilitating the cutting of the drill chip that occurs during machining.

그러나, 알루미늄 합금에 납(Pb), 주석(Sn) 등과 같은 저융점 합금 원소를 포함시키는 경우 고온 취성이 유발될 소지가 있어 고신뢰도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a low melting point alloy element such as lead (Pb) or tin (Sn) is included in an aluminum alloy, high temperature brittleness may be caused, which is difficult to use in an environment requiring high reliability.

한편, 알루미늄 합금에 고용 한도 이상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모상(parent phase) 중 제2상을 분산시켜 가공 중 제2상의 연쇄적 파단에 의해 드릴 칩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과량으로 첨가된 합금원소에 의해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 표면조도, 치수정밀도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improving workability by dispersing a second phase of a parent phase by adding an alloying element exceeding a solid solubility limit to an aluminum alloy to reduce the length of the drill chip by chain breaking of the second phase during process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rudability, surface roughness, dimensional accuracy and the like of the aluminum alloy deteriorate due to alloying elements added in excess.

따라서, 드릴 가공시 탁월한 절삭 가공성, 홀 가공성 등을 나타내는 동시에 압출성, 치수정밀도, 표면조도, 강도, 내식성 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great demand for aluminum alloys that exhibit excellent machinability, hole processability and the like at the time of drilling, and have excellent extrudability, dimensional accuracy, surface roughness,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드릴 가공시 탁월한 절삭 가공성, 홀 가공성 등을 나타내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ly-porous aluminum alloy exhibiting excellent cutting workability, hole-forming property, and the like during drilling.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가공성을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압출성, 치수정밀도, 표면조도 등도 우수한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purity aluminum alloy having excellent extrudability, dimensional accuracy, surface roughness and the like which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even though they have excellent processabilit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합금원소로서 규소(Si), 마그네슘(Mg), 구리(Cu), 철(Fe) 및 망간(Mn)을 포함하고, 합금원소로서 1종 이상의 희토류 금속을 추가로 포함하고, 잔량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알루미늄(Al)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서의 임의의 단위원의 면적 대비 상기 단위원 내에 포함되고 Mg2Si 석출물을 생성시키고 남은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로서 면적이 1 ㎛2 이상인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들 전체의 면적의 비율인 석출물 또는 정출물 면적률이 0.5 내지 8.5%인,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uminum allo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luminum alloy contains silicon (Si), magnesium (Mg), copper (Cu), iron (Fe), and manganese (Mn) portion is unavoidable impurities and aluminum, and includes a (Al), is included within the unit circle area compared to the extruded material arbitrary unit circle in the aluminum alloy area as a precipitate or crystallization water of the remaining produce a Mg 2 Si precipitate and remaining silicon Wherein the area ratio of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in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precipitates or the crystallites of the residual silicon of 1 占 퐉 2 or more is 0.5 to 8.5%.

여기서, 상기 단위원 내에 포함된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 각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의 평균값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평균직경이 1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Wherei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the diameters of the circles having the same area as the precipitates or the crystals of the residual silicon contained in the unit circle, is 1 to 20 占 퐉. to provide.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해 300 내지 20,000 rpm의 회전속도 및 1 내지 10 mm/s의 선속도로 드릴 가공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가공성(Y)이 60% 이상인,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Further,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machining at a rotation speed of 300 to 20,000 rpm and a linear velocity of 1 to 10 mm / s, a high-purity aluminum alloy .

[수학식 1][Equation 1]

Y(%)={(V-X)/V}×100Y (%) = {(V-X) / V} 100

상기 수학식 1에서,In the above equation (1)

V는 가공된 총 체적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질량이고,V is the mass of the aluminum alloy corresponding to the total volume processed,

X는 가공 후 임의의 시점에서 드릴 날에 감긴 상태로 남아 있는 드릴 칩의 총 중량이다.X is the total weight of the drill chip remaining wound on the drill at any point after machining.

그리고,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은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 및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of the residual silicon includes a precipitate or a crystallized product of silicon and a precipitate or crystallized product of an intermetallic compound.

여기서, 상기 규소 금속간 화합물은 규소-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 규소-철-망간 금속간 화합물 및 규소-철-망간-크롬 금속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Herein, the intermetallic compound includes at least one intermetallic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aluminum intermetallic compound, a silicon-iron-manganese intermetallic compound, and a silicon-iron-manganese-chromium intermetallic compound To provide a highly-porous aluminum alloy.

한편, 상기 희토류 금속은 세륨(Ce) 및 란탄(L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rare earth metal includes cerium (Ce) and lanthanum (La).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Mg2Si 석출물의 함량이 0.3 내지 0.8 중량%이고,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의 함량이 0.7 내지 2.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The high-purity aluminum allo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Mg 2 Si precipitate is 0.3 to 0.8 wt% and the content of the precipitate of the remaining silicon is 0.7 to 2.9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to provide.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규소(Si)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이고, 마그네슘(Mg)의 함량은 0.2 내지 0.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igh-purity aluminum allo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silicon (Si) is 1.0 to 3.0%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magnesium (Mg) is 0.2 to 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do.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망간(Mn)의 함량은 0.3 내지 1.1 중량%, 구리(Cu)의 함량은 0.1 내지 0.5 중량%, 철(Fe)의 함량은 0.1 내지 0.5 중량%, 크롬(Cr)의 함량은 0.05 내지 0.45 중량%, 희토류 금속의 함량은 원소 별로 0.01 내지 1.5 중량%이며, 희토류 금속의 총 중량은 0.01 내지 4.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The content of manganese (Mn) is 0.3 to 1.1% by weight, the content of copper (Cu) is 0.1 to 0.5% by weight, the content of iron (Fe) is 0.1 to 0.5% by weight, , The chromium (Cr) content is 0.05 to 0.45 wt%, the rare earth metal content is 0.01 to 1.5 wt%, and the total weight of the rare earth metal is 0.01 to 4.5 wt%. to provide.

한편,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해 측정한 표면조도(RZ)가 90 ㎛ 이하이거나, 표면조도(Ra)가 15 ㎛ 이하이거나, 표면조도(Rmax)가 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을 제공한다.(R Z ) measured on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is 90 탆 or less, the surface roughness (R a ) is 15 탆 or less, or the surface roughness (R max ) is 200 탆 or less. High-purity aluminum alloy.

본 발명에 따른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은 합금원소 및 모상에 분산된 특정 합금원소의 석출물 분포의 정밀한 제어를 통해 드릴 가공시 탁월한 절삭 가공성, 홀 가공성 등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The highly-porous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effects such as excellent cutting workability and hole processability in drilling through precise control of distribution of precipitates of alloy elements and specific alloying elements dispersed in the parent ph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은 가공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합금원소에 의한 압출성, 표면조도, 치수정밀도 등의 저하를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highly-porous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effect of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extrudability, surface roughness, dimensional accuracy, and the like due to alloying elements added for improving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압출재에서 규소(Si) 석출물 또는 정출물 분포를 나타내는 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압출재 표면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압출재 표면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M photograph showing the distribution of silicon (Si) precipitates or crystallized materials in the extruded material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extruded material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extruded material of Comparative Example 2.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ly porous aluminum alloy.

본 발명에 따른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은 합금원소로서 규소(Si), 마그네슘(Mg), 구리(Cu), 철(Fe), 망간(Mn) 및 크롬(Cr)을 포함하고, 추가로 희토류 금속을 포함하며, 잔량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The highly-porous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silicon (Si), magnesium (Mg), copper (Cu), iron (Fe), manganese (Mn) and chromium (Cr) And the remainder portion may contain inevitable impurities and aluminum.

합금원소로서 규소(Si) 및 마그네슘(Mg)은 Mg2Si 석출물 형태로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Mg2Si 석출물 이외의 잔여 규소(Si)는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형태로 알루미늄 합금의 드릴에 의한 홀 가공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잔여 규소(Si)로서 규소 금속간 화합물은 규소-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 규소-철-망간 금속간 화합물, 규소-철-망간-크롬 금속간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Silicon as an alloying element (Si) and magnesium (Mg) is an aluminum alloy in the form of a cross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aluminum alloy to the Mg 2 Si precipitate forms and, Mg 2 remaining silicon (Si) of silicon or silicon metal other than Si precipitate compound Thereby improving the hole formability by drilling. The silicon intermetallic compound as the residual silicon (Si) may include silicon-aluminum intermetallic compound, silicon-iron-manganese intermetallic compound, silicon-iron-manganese-chromium intermetallic compound and the like.

상기 규소(Si)는 Mg2Si 석출물을 생성시키고 남은 잔여 규소(Si)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 및 시효 이후 고용되지 않은 미세한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미세한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 석출물 또는 정출물은 알루미늄 합금 내에서 파단점 역할을 수행하고 알루미늄 합금의 미세경도를 증가시키며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 미세화를 통해 드릴에 의한 홀 가공시 생성되는 드릴 칩이 잘 끊어지도록 하는 칩 브레이킹(chip breaking) 특성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상기 드릴 칩의 길이를 감소시켜 상기 드릴 칩이 상기 홀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rein the silicon (Si) forms a precipitate or a crystallized product of a fine silicon or intermetallic compound that has not been solidified after the extrusion and aging of the aluminum alloy by the remaining silicon (Si) remaining after the formation of the Mg 2 Si precipitate, Or intermetallic compound precipitates or crystals acts as a breaking point in the aluminum alloy and increases the microhardness of the aluminum alloy and allows the drill chip to be broken well during hole machining by drilling through grain refinement of the aluminum allo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hip breaking property and consequently reduce the length of the drill chip so that the drill chip can be easily discharged from the hol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aluminum alloy.

특히, 상기 알루미늄 합금에서 임의의 단위원, 예를 들어 직경이 100 ㎛인 임의의 단위원의 면적 대비 상기 단위원 내에 포함되고 면적이 1 ㎛2 이상인 잔여 규소, 즉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들 전체의 면적의 비율인 석출물 또는 정출물 면적률이 0.5 내지 8.5%가 되도록,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5%가 되도록 상기 잔여 규소(Si)의 분포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드릴 가공시 탁월한 절삭 가공성, 홀 가공성 등의 우수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aluminum alloys any of the unit circle, such as an area over any of the unit circle with a diameter of 100 ㎛ be included within the unit circle an area of 1 ㎛ 2 or more residual silicon, that precipitates of inter-silicon or silicon-metal compounds Or the distribution of the remaining silicon (Si) is controlled so as to be in the range of 0.5 to 8.5%, preferably 1.5 to 8.5%, as the ratio of the total area of the precipitates or the crystallized product, It is possible to obtain excellent effects such as excellent cutting workability and hole processability.

여기서, 상기 잔여 규소(Si)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 면적률이 0.5% 미만인 경우 상기 잔여 규소(Si)에 의한 파단점 제공, 미세경도 향상, 결정립 미세화 등의 효과가 불충분하여 결과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의 드릴에 의한 홀 가공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8.5% 초과인 경우 압출성이 크게 저하되며, 표면 뜯김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Here, when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area of the residual silicon (Si) is less than 0.5%, the effect of providing the breaking point, improving the micro hardness and refining the crystal grain is insufficient. As a result, The hole-forming property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may be largely lowered. If it exceeds 8.5%, the extrudability is greatly lowered and defects such as surface peeling occur.

또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에서의 임의의 단위원 내에 포함된 잔여 규소, 즉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들 각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의 평균값인 석출물 또는 정출물 평균직경은 1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석출물 또는 정출물 평균직경이 1 ㎛ 미만이거나 20 ㎛ 초과인 경우 석출물 또는 정출물 간의 간격이 충분하게 가깝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잔여 규소(Si) 및 규소 화합물에 의한 파단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에 충분하지 못하여, 칩말림이 발생할 소지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의 드릴에 의한 홀 가공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diameters of the circles having the same area as the residues of the remaining silicon, i.e., the silicon or intermetallic compound contained in any unit circle in the aluminum alloy, 20 mu m. 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is less than 1 占 퐉 or more than 20 占 퐉, the spacing between the precipitates or crystallites may not be sufficiently close to each other, and therefore, the residual silicon (Si) So that the possibility of chip curling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hole formability due to the drilling of the aluminum alloy may be greatly reduced.

예를 들어, 규소(Si)와 마그네슘(Mg)은 Mg2Si 석출물을 생성할 때 규소(Si):마그네슘(Mg)의 중량비가 약 1:1.7이므로, 상기 Mg2Si 석출물을 0.3 내지 0.8 중량%의 함량으로 생성시키고 상기 잔여 규소(Si)에 의한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 형태의 석출물을 0.7 내지 2.9 중량%의 함량으로 생성시키므로, 상기 규소(Si)의 첨가량은 약 1.0 내지 3.0 중량%이고, 상기 마그네슘(Mg)의 첨가량은 약 0.2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For example, silicon (Si) and magnesium (Mg) is to produce a Mg 2 Si precipitate silicon (Si): the ratio by weight of magnesium (Mg) of about 1: Since 1.7, the Mg 2 Si precipitates from 0.3 to 0.8 wt. %, And a precipitate of silicon or intermetallic compound in the form of an intermetallic compound is formed in an amount of 0.7 to 2.9% by weight based on the residual silicon (Si), the amount of the silicon (Si) added is about 1.0 to 3.0% by weight , And the amount of the magnesium (Mg) added may be about 0.2 to 0.5 wt%.

여기서, 상기 Mg2Si 석출물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 향상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0.8 중량% 초과인 경우 다수의 미세 Mg2Si 상에 의하여 칩 브레이킹을 유도하는 가공 활로가 막혀 가공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여 규소(Si)의 함량이 0.7 중량% 미만인 경우 알루미늄 합금의 드릴에 의한 홀 가공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2.9 중량% 초과인 경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 표면조도, 치수정밀도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If the Mg 2 Si precipitate content is less than 0.3 wt%, the strength of the aluminum alloy may be insufficient, while when it is more than 0.8 wt%, a large number of micro Mg 2 Si phases may induce chip breakage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the content of the residual silicon (Si) is less than 0.7% by weight, the hole-formability of the aluminum alloy drill can be greatly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silicon is greater than 2.9% by weight, the extrudability, surface roughness, Can be greatly reduced.

상기 합금원소로서 망간(Mn)은 주조 중 알루미늄 합금에 고용되어 미세한 망간(Mn) 석출물을 생성시킨다. 상기 망간(Mn) 석출물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재결정 온도를 증가시키고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균질화 열처리 재결정을 억제하며, 압출 및 열간 가공 공정 중 변형 가공에 의한 응력 집중을 방지하며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연신율과 가공성을 향상시킨다.Manganese (Mn) as the alloy element is dissolved in the aluminum alloy during casting to produce fine manganese (Mn) precipitate. The manganese (Mn) precipitate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aluminum alloy and suppressing crystal grain growth, thereby suppressing homogenization heat treatment recrystallization, preventing stress concentration due to deformation during extrusion and hot working, To improve elongation and workability.

상기 망간(Mn)의 함량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망간(Mn)의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 결정립 성장 억제 효과가 불충분하고, Al-Mn 금속간 화합물의 생성량이 충분하지 않아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반면, 1.1 중량% 초과인 경우 가공성 향상 효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수렴하는 반면 압출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The content of manganese (Mn) may be 0.3 to 1.1% by weight, preferably 0.3 to 0.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When the content of manganese (Mn) is less than 0.3% by weight, the effect of inhibiting grain growth growth is insufficient, the amount of Al-Mn intermetallic compound is not sufficient and the strength of the aluminum alloy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ability improvement effect may converge without further increase, while the extrusion performance may be lowered.

상기 합금원소로서 구리(Cu) 및 철(Fe)은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를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구리(Cu) 및 상기 철(Fe)의 함량은 각각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구리(Cu) 및 상기 철(Fe)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 향상이 미미한 반면, 0.5 주량% 초과인 경우 구리(Cu) 및 철(Fe)은 규소(Si)와 결합하여 β-AlCuSi 석출물 및 다량의 β-AlFeSi 석출물을 생성시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내식성을 떨어트려 제품으로서의 신뢰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Copper (Cu) and iron (Fe) as the alloying elements can further improve the strength of the aluminum alloy. The content of copper (Cu) and iron (Fe) may be 0.1 to 0.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When the content of Cu and Fe is less than 0.1%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aluminum alloy is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Cu and Fe is less than 0.5% by weight, To produce a β-AlCuSi precipitate and a large amount of β-AlFeSi precipitates, thereby lower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aluminum alloy,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reliability as a product.

상기 합금원소로서 크롬(Cr)은 소량 첨가시 Al-Cr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하고, 상기 Al-Cr 금속간 화합물은 드릴에 의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절삭 가공 또는 홀 가공에서 드릴 칩의 분산 기점으로 작용하여 상기 드릴 칩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며 강도를 추가로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Cr) as an alloy element produces an Al-Cr intermetallic compound when added in a small amount, and the Al-Cr intermetallic compound acts as a dispersive starting point of the drill chip in the cutting or hole machining of the aluminum alloy by drilling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drill chip,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aluminum alloy and further improving the strength.

상기 크롬(Cr)의 함량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0.45 중량%일 수 있고, 상기 크롬(Cr)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가공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는 반면, 0.45 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압출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The chromium (Cr) content may be 0.05 to 0.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If the content of chromium (Cr)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aluminum alloy may be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f it exceeds 0.45 wt%, the crystal grains of the aluminum alloy become coarse, the strength may be lowered, and the extrudability may be greatly reduced.

상기 합금원소로서 희토류 금속은 일반적으로 니들(needle)상인 규소(Si)의 미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입경이 구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규소(Si)의 미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입경 사이즈를 제어하여 직경 1㎛ 이상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평균 입경이 1 내지 20㎛가 되도록 하며, 규소(Si)의 미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분포를 균일하게 제어하게 하여, 합금 내에서 규소(Si) 미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파단점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드릴에 의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홀 가공시 생성되는 드릴 칩이 잘 끊어지도록 하는 칩 브레이킹(chip breaking)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규소(Si)의 미세 석출물 또는 정출물에 의하여 알루미늄 합금의 추가 경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As the rare earth metal as the alloy element, a fine precipitate or a crystallized product of silicon (Si), which is generally a needle phase,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and a particle size of fine precipitates or crystals of silicon (Si) (Si) fine precipitates or crystals in the alloy by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fine precipitates or crystals of the silicon (Si) uniformly so that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recipitates or the crystals is 1 to 20 占 퐉.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hip breaking property which enables the drill chip to be well broken when drilling the aluminum alloy by the drilling. Further, it is expected that the addition hardness of the aluminum alloy can be improved by the fin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of silicon (Si).

상기 희토류 금속은 예를 들어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슘(Pm), 사마륨(Sm), 유로퓸(Eu), 가돌리늄(Gd), 터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어븀(Er), 툴륨(Tm), 이터븀(Yb) 및 루테튬(Lu)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희토류 금속, 바람직하게는 세륨(Ce) 및 란탄(L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희토류 금속의 함량은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 원소 별로 0.01 내지 1.5 중량%이며 희토류 금속의 총 중량은 0.01 내지 4.5 중량%일 수 있다. The rare earth met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 Ce, Pr, Ne, Prommium, Sm, Eu, Gd, Preferably at least one rare earth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ysprosium (Dy), holmium (Ho), erbium (Er), thulium (Tm), ytterbium (Yb) and lutetium (Lu) And lanthanum (La). The content of the rare earth metal may be 0.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and the total weight of the rare earth metal may be 0.01 to 4.5% by weight.

상기 희토류 금속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규소(Si)의 미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형상, 입경, 분포 등의 조절 효과가 극히 미미한 반면, 4.5 중량% 초과인 경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성, 표면조도, 치수정밀도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If the content of the rare earth metal is less than 0.01 wt%,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shape,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etc. of the fine precipitates or crystals of the silicon is extremely sma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rare earth metal content is more than 4.5 wt% The roughness, the dimensional accuracy, and the like can be largely lowered.

본 발명자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합금원소의 조합 및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분포, 특히 규소(Si)와 마그네슘(Mg)으로부터 형성된 Mg2Si 이외의 규소 또는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분포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한 드릴 가공시(드릴 회전속도 : 300 내지 20,000 rpm, 드릴 선속도 : 1 내지 10 mm/s) 생성되는 드릴 칩의 길이가 일정 수준 이하로 짧게 제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드릴 칩이 가공된 홀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어 가공성이 크게 향상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alloying element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precipitates or crystals as described above and particularly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es or crystals of silicon or silicon intermetallic compounds other than Mg 2 Si formed from silicon (Si) and magnesium (Mg) So that the length of the drill chip generated can be controlled to a certain level or less at the time of drilling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drill rotation speed: 300 to 20,000 rpm, drill wire speed: 1 to 10 mm / s) And as a result, the drill chip is easily discharged from the machined hole, and the workability is greatly improved,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앞서 기술한 합금원소의 조합 및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분포를 통해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한 드릴 가공시(드릴 회전속도 : 300 내지 20,000 rpm, 드릴 선속도 : 1 내지 10 mm/s)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가공성(Y)이 60% 이상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drilling of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drill rotation speed: 300 to 20,000 rpm, drill linear speed: 1 To 10 mm / s), the workability (Y)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may be 60% or more.

[수학식 1][Equation 1]

Y(%)={(V-X)/V}×100Y (%) = {(V-X) / V} 100

상기 수학식 1에서,In the above equation (1)

V는 가공된 총 체적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질량이고,V is the mass of the aluminum alloy corresponding to the total volume processed,

X는 가공 후 임의의 시점에서 드릴 날에 감긴상태로 남아 있는 드릴 칩의 총 중량이다.X is the total weight of the drill chip remaining wound on the drill at any point after machining.

즉,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가공성(Y)이 60% 미만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한 드릴 가공시 생성되는 드릴 칩의 길이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길어져 상기 드릴 칩이 가공된 홀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드릴날에 감겨 드릴 가공성이 크게 저하된다.That is, when the workability (Y) defined by Equation (1) is less than 60%, the length of the drill chip generated in the drilling of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longer than a certain level, And the workability of drilling the drill bit drastically deteriorates.

나아가, 본원의 발명자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합금원소의 종류 및 함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동시에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크기와 분포를 추가로 제어함으로써 압출재의 표면조도를 조절해 우수한 치수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control the kind and content of the alloying element and further control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precipitate or the distillate, thereby achieving excellent dimensional accuracy by adjust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extruded material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2 내지 20 m/min의 선속으로 10:1 내지 30:1의 압출비를 가지는 냉간 또는 열간 압출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를 형성하고, 규격 KS B 0601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해 측정한 표면조도(RZ)가 90 ㎛ 이하이거나, 표면조도(Ra)가 15 ㎛ 이하이거나, 표면조도(Rmax)가 200 ㎛ 이하인 경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한 우수한 치수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n extruded material of an aluminum alloy is formed on the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cold or hot extrusion processing with an extrusion ratio of 10: 1 to 30: 1 at a linear velocity of 2 to 20 m / min. When the surface roughness (R Z ) measured on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according to B 0601 is 90 μm or less, the surface roughness (R a ) is 15 μm or less, or the surface roughness (R max ) is 200 μm or less, Excellent dimensional accuracy can be achieved for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은 이의 압출재의 표면조도(RZ)가 90 ㎛ 초과이고, 표면조도(Ra)가 15 ㎛ 초과이며, 표면조도(Rmax)가 200 ㎛ 초과인 경우 상기 압출재의 치수정밀도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출재가 이의 표면에 형성된 드릴 홀 등을 통해 다른 성형품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압출재와 상기 다른 성형품의 접촉면이 밀착될 수 없어 상기 압출재와 상기 다른 성형품이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xtruded material has a surface roughness (R Z ) of more than 90 탆, a surface roughness (R a ) of more than 15 탆 and a surface roughness (R max ) of more than 200 탆, When the extruded material is bonded to another molded product through a drilled hole or the lik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extruded material,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extruded material and the other molded product can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xtruded material and the other molded product can be stably A problem that can not be combined can arise.

참고로, 규격 KS B 0601에 기초하여 표면조도를 나타내는 표면거칠기 파라미터로서 RZ는 10점 평균 거칠기(ten point height)라고도 하며, 거칠기 단면 곡선에서 기준길이만큼 채취하여 단면곡선의 평균선과 평행한 임의직선(기준선)을 긋고 가장 높은 5개 산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의 평균값과 가장 낮은 5개 골의 기준선으로부터의 거리의 평균값과의 차이로 나타낸다.For reference, R Z, which is a surface roughness parameter indicating surface roughness based on standard KS B 0601, is also referred to as ten-point average roughness (ten point height). R Z is taken as a reference length from a roughness cross- It is express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ance from the baseline of the highest five mountain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distance from the baseline of the lowest five basins.

또한, 규격 KS B 0601에 기초하여 표면조도를 나타내는 다른 표면거칠기 파라미터로서 Ra는 거칠기 단면 곡선에서 중심선으로부터 표면의 단면 곡선까지의 절대길이의 평균값으로 나타내고, Rmax는 최대 거칠기를 의미하며, 거칠기 단면 곡선에서 기준길이만큼 채취하여 단면곡선의 중심선과 평행하며 제일 높은 산과 제일 깊은 골을 접하는 두 평행선간의 거리로 나타낸다.In addition, as another surface roughness parameter indicating the surface roughness based on the standard KS B 0601, R a is expressed as an average value of the absolute length from the center line to the surface cross-section curve in the roughness section curve, R max means the maximum roughness, It is taken as the reference length from the section curve and is expressed as the distance between two parallel lines that are parallel to the center line of the section curve and touch the highest mountain and the deepest poi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는 상기 알루미늄 합금을 빌렛(billet) 또는 로드(rod) 형태로 주조를 한 후 470 내지 560℃에서 4 내지 28시간 동안 균질화 열처리를 수행하고, 냉간 혹은 열간 압출 후 T6 열처리를 수행하며, 수냉 직후 6시간 이내에 160 내지 200℃의 열처리로에서 7 내지 14시간 동안 인공 시효 경화를 유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casting the aluminum alloy in the form of billet or rod and then performing a homogenization heat treatment at 470 to 560 캜 for 4 to 28 hours, Followed by T6 heat treatment, and inducing artificial aging curing for 7 to 14 hours in a heat treatment furnace at 160 to 200 DEG C within 6 hours immediately after water cooling.

[실시예][Example]

1. 제조예1. Manufacturing Example

합금원소로서 규소(Si), 마그네슘(Mg), 구리(Cu), 철(Fe), 망간(Mn), 크롬(Cr) 및 세륨(Ce)을 포함하고, 잔량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부터 아래 표 1에 나타난 석출물 분포를 갖는 알루미늄 압출재를 각각 제조했다.(Si), magnesium (Mg), copper (Cu), iron (Fe), manganese (Mn), chromium (Cr), and cerium (Ce) as the alloying elements, and the remaining part contains unavoidable impurities and aluminum Aluminum extruded materials having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e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respectively prepared from aluminum alloys.

잔여 규소의 면적률(%)Area percentage of residual silicon (%) 실시예 1Example 1 3.63.6 실시예 2Example 2 6.56.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40.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9.59.5

- 잔여 규소의 면적률은 제조한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한 SEM 사진(도 1)으로부터 직경이 100 ㎛인 단위원 내에 포함되고 면적이 1 ㎛2 이상인 잔여 규소의 석출물 및 정출물(도 1의 SEM 사진에서 백색으로 나타난 부분) 전체 면적의 상기 단위원 면적에 대한 비율이다.The area ratio of the remaining silicon was calculated from the SEM photograph (FIG. 1) of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produced and the precipitate and the crystallized product of residual silicon having an area of 1 탆 2 or more in a unit circle having a diameter of 100 탆 (SEM The portion indicated by white in the photograph) is the ratio of the total area to the unit circle area.

2. 홀 가공성 및 압출 조도 평가2. Evaluation of hole processability and extrusion roughness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알루미늄 압출재에 대해 직경 15 mm의 드릴 날을 갖는 드릴을 이용하여 회전 속도 10,000 rpm 및 공구 선속도 5 mm/s로 홀 가공시 상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가공성(Y)를 계산했고, 또한 압출재 표면에 대한 표면 조도인 압출 조도(Rz)를 계산했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The machinability (Y) defin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 (1) in hole processing at a rotational speed of 10,000 rpm and a tool linear velocity of 5 mm / s using a drill having a drill bit of 15 mm in diameter for each of the aluminum extruded material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extrusion roughness (R z ), which is the surface roughness on the surface of the extruded material, was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가공성(%)Processability (%) 압출 조도(Rz)The extrusion roughness (R z ) 실시예 1Example 1 7878 2222 실시예 2Example 2 8282 4343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151 1616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8080 압출 불량
(조도 측정 불가)
Poor extrusion
(Impossible to measure illumination)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여 규소(Si)의 면적률이 0.5% 미만인 비교예 1의 알루미늄 합금은 석출물의 분포가 부적합하여 가공성(Y)이 60% 미만으로 측정되었고, 결과적으로 드릴에 대한 홀 가공성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잔여 규소(Si)의 면적률이 8.5%를 초과하는 비교예 2의 알루미늄 합금은 가공성(Y)은 만족하였으나,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출성이 크게 저하되어 표면 조도의 측정이 불가하였다.As shown in Table 2, the aluminum alloy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area ratio of the residual silicon (Si) was less than 0.5% was inadequate in the distribution of the precipitates and the workability (Y)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60%.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ole process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ed. On the other hand, the aluminum alloy of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the area ratio of residual silicon (Si) exceeded 8.5% satisfied the processability (Y), but the extrudability was greatly reduced as shown in Fig. 3, .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알루미늄 합금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여 규소(Si)의 석출물 분포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가공성(Y)이 60% 이상으로 측정되어 드릴에 대한 홀 가공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출성이 우수하여 압출재의 표면 조도인 압출 조도(Rz) 및 치수정밀도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 the aluminum alloy of Examples 1 and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orkability (Y) of 60% or more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es of residual silicon (Si)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udability (R z ) and the dimensional accuracy, which ar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extruded material, were excellent, as shown in Fig.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알루미늄 합금으로서,
합금원소로서 규소(Si), 마그네슘(Mg), 구리(Cu), 철(Fe) 및 망간(Mn)을 포함하고, 합금원소로서 1종 이상의 희토류 금속을 추가로 포함하고, 잔량부는 불가피한 불순물 및 알루미늄(Al)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규소(Si)의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 마그네슘(Mg)의 함량은 0.2 내지 0.5 중량%, 망간(Mn)의 함량은 0.3 내지 1.1 중량%, 구리(Cu)의 함량은 0.1 내지 0.5 중량%, 철(Fe)의 함량은 0.1 내지 0.5 중량%, 희토류 금속의 함량은 0.01 내지 0.5 중량%이고,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서의 임의의 단위원의 면적 대비 상기 단위원 내에 포함되고 Mg2Si 석출물을 생성시키고 남은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로서 면적이 1 ㎛2 이상인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들 전체의 면적의 비율인 석출물 또는 정출물 면적률이 0.5 내지 8.5%인,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As the aluminum alloy,
And at least one elem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Si), magnesium (Mg), copper (Cu), iron Aluminum (Al)
Wherein the content of silicon (Si) is 1.0 to 3.0 wt%, the content of magnesium (Mg) is 0.2 to 0.5 wt%, the content of manganese (Mn) is 0.3 to 1.1 wt%, the content of copper (Cu) is 0.1 to 0.5 wt%, the content of iron (Fe) is 0.1 to 0.5 wt%, the content of rare earth metal is 0.01 to 0.5 wt%
A precipitate or a crystallized product of the remaining silicon that is contained in the unit circle in the unit circle in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to produce Mg 2 Si precipitates and has an area of not less than 1 탆 2, Wherein the area ratio of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as the ratio of the total area is 0.5 to 8.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원 내에 포함된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 각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의 평균값인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평균직경이 1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which is an average value of the diameter of the circle having the same area as the precipitate or the crystallized product of the residual silicon contained in the unit circle, is 1 to 20 占 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해 300 내지 20,000 rpm의 회전속도 및 1 내지 10 mm/s의 선속도로 드릴 가공시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가공성(Y)이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수학식 1]
Y(%)={(V-X)/V}×100
상기 수학식 1에서,
V는 가공된 총 체적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질량이고,
X는 가공 후 임의의 시점에서 드릴 날에 감긴 상태로 남아 있는 드릴 칩의 총 중량이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has a workability (Y) of 60% or more as def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when drilling at a rotation speed of 300 to 20,000 rpm and a linear velocity of 1 to 10 mm / s Aluminum alloy.
[Equation 1]
Y (%) = {(VX) / V} 100
In the above equation (1)
V is the mass of the aluminum alloy corresponding to the total volume processed,
X is the total weight of the drill chip remaining wound on the drill at any point after machin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은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 및 규소 금속간 화합물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cipitates or crystals of the residual silicon include precipitates or crystals of silicon and precipitates or crystals of intermetallic compound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 금속간 화합물은 규소-알루미늄 금속간 화합물, 규소-철-망간 금속간 화합물 및 규소-철-망간-크롬 금속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said intermetallic silicon compound comprises at least one intermetallic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aluminum intermetallic compounds, silicon-iron-manganese intermetallic compounds and silicon-iron-manganese-chromium intermetallic compounds , High purity aluminum allo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희토류 금속은 세륨(Ce) 및 란탄(L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rare earth metal comprises cerium (Ce) and lanthanum (L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Mg2Si 석출물의 함량이 0.3 내지 0.8 중량%이고, 상기 잔여 규소의 석출물 또는 정출물의 함량이 0.7 내지 2.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Mg 2 Si precipitate is 0.3 to 0.8%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luminum alloy, and the content of precipitates or crystals of the remaining silicon is 0.7 to 2.9% by we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압출재에 대해 측정한 표면조도(RZ)가 90 ㎛ 이하이거나, 표면조도(Ra)가 15 ㎛ 이하이거나, 표면조도(Rmax)가 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가공성 알루미늄 합금.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roughness (R z ) measured on the extruded material of the aluminum alloy is 90 μm or less, the surface roughness (R a ) is 15 μm or less, or the surface roughness (R max ) is 200 μm or less. Aluminum alloy.
KR1020160113523A 2016-09-02 2016-09-02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KR1017123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23A KR101712328B1 (en) 2016-09-02 2016-09-02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PCT/KR2017/009439 WO2018044047A1 (en) 2016-09-02 2017-08-29 Aluminum alloy having high process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523A KR101712328B1 (en) 2016-09-02 2016-09-02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94A Division KR102004603B1 (en) 2017-02-24 2017-02-24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328B1 true KR101712328B1 (en) 2017-03-03

Family

ID=5841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523A KR101712328B1 (en) 2016-09-02 2016-09-02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2328B1 (en)
WO (1) WO2018044047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2997A1 (en) * 2017-12-07 2019-06-13 NanoAL LLC 8000-series aluminum alloy
US10633725B2 (en) 2015-10-14 2020-04-28 NaneAL LLC Aluminum-iron-zirconium alloys
WO2022124448A1 (en) * 2020-12-11 2022-06-16 손희식 Highly corrosion-resistant magnesium-added aluminum alloy for cas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678A (en) * 2009-12-22 2012-08-2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luminum alloy for anodization and aluminum alloy component
KR20160020342A (en) * 2014-08-13 2016-02-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Heat exchanger tube with high strength and high corrosion-resistan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3055A (en) * 2001-03-30 2002-10-09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 substrate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 and original plate for lithographic printing plate
AT501867B1 (en) * 2005-05-19 2009-07-15 Aluminium Lend Gmbh & Co Kg ALUMINUM ALLOY
JP5366748B2 (en) * 2009-09-30 2013-12-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Aluminum alloy extruded material with excellent bending crush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678A (en) * 2009-12-22 2012-08-21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Aluminum alloy for anodization and aluminum alloy component
KR20160020342A (en) * 2014-08-13 2016-02-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Heat exchanger tube with high strength and high corrosion-resistan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3725B2 (en) 2015-10-14 2020-04-28 NaneAL LLC Aluminum-iron-zirconium alloys
WO2019112997A1 (en) * 2017-12-07 2019-06-13 NanoAL LLC 8000-series aluminum alloy
WO2022124448A1 (en) * 2020-12-11 2022-06-16 손희식 Highly corrosion-resistant magnesium-added aluminum alloy for ca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47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1909A1 (en) Aluminum alloy casting material for heat treatment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US10851442B2 (en) Magnesium-lithium alloy, rolled stock made of magnesium-lithium alloy, and processed product including magnesium-lithium alloy as material
KR101712328B1 (en)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KR102454106B1 (en) Aluminium alloy for 3D printing or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for 3D printing or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and 3D printed or additive manufactured product or component of aluminium alloy
KR20150008422A (en) Improved free-machining wrought aluminium alloy produc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5729081B2 (en) Magnesium alloy
JPH10219381A (en) High strength aluminum alloy excellent in intergranular corrosion resistance, and its production
JP2004084058A (en) Method for producing aluminum alloy forging for transport structural material and aluminum alloy forging
KR102156008B1 (en) Aluminum alloy extruded material having excellent machin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04603B1 (en)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JPH10219413A (en) Production of high strength aluminum alloy excellent in intergranular corrosion resistance
JP2012214852A (en) Method for producing magnesium alloy
JP2011063884A (en) Heat-resistant aluminum alloy wire
EP2006404A1 (en) 6000 aluminum extrudate excelling in paint-baking harden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6077298A (en) Aluminum alloy material superior in machin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5063751A (en) Aluminum alloy extruded material excellent in cuttabil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4169941B2 (en) Aluminum alloy extruded shape having excellent bending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111571A (en) Aluminium alloy having an excellent processibility
JP2001342532A (en) Aluminum alloy piping material and its production
JPH05171328A (en) Thin hollow shape of aluminum alloy excellent in bendability and its production
JP5007708B2 (en) Free-cutting aluminum alloy
JP5825990B2 (en) Al-Mg-Si alloy extruded material
KR102555590B1 (en) Alluminum alloy having high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 conducto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conductor
JP4799877B2 (en) Aluminum alloy excellent in strength and machin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87550B1 (en) Magnesium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