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613B1 - Drill for operating implant - Google Patents

Drill for operating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613B1
KR101711613B1 KR1020160122482A KR20160122482A KR101711613B1 KR 101711613 B1 KR101711613 B1 KR 101711613B1 KR 1020160122482 A KR1020160122482 A KR 1020160122482A KR 20160122482 A KR20160122482 A KR 20160122482A KR 101711613 B1 KR101711613 B1 KR 10171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rill
body part
drill bod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김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주 filed Critical 김성주
Priority to KR102016012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6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613B1/en
Priority to PCT/KR2017/006384 priority patent/WO201805655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 for implant surgery including a drill body part and a drill connecting part. The drill body part includes a first blade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lade regions for groove perforation in an alveolar bone. An inner groove is formed in the drill body part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is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ody part. The drill connecting part is separably coupled with the drill body par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lade portion. The inner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portion is positioned. The through-hole passes in a twisted shape toward the blade por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groove. The drill body part and the drill connecting part are separately coupled with each other, and thus processability is improved and cleaning and washing are facilitated.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Drill for operating implant}[0001] Drill for operating implant [0002]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ll for implant treatment.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mplant refers to a replacement that restores when the original tissue has been lost, but it refers to the implantation of an artificial tooth. Implantation is a procedure to replace the lost root (root), so that a root made of titanium, which has no rejection to the human body,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ooth, and then the tooth is restored by fixing the artificial tooth . In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However, since the implants do not injure the surrounding tooth structure and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those of the natural teeth, there is no tooth decay.

임플란트 시술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 위치를 천공한 후,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임플란트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The implant procedure is completed by drilling the placement position using a predetermined drill, placing the implant in the alveolar bone to perform bone fusion to the bone, and then bonding the abutment to the implant and then covering the abutment with the final prosthesis. These implants improve the function of the denture, improve the aesthetic aspect of dental prosthesis restoration, and disperse the excessive stress applied to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tissue, as well as single defect restoration, It also helps to stabilize the dentition.

한편, 임플란트는 치조골을 천공한 후 식립되므로 치조골의 천공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천공 작업을 수행하는 드릴의 형상을 다소 복잡하게 구성할 수밖에 없으며 크기도 매우 작기 때문에 드릴을 가공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드릴에는 신체 조직이나 혈액, 타액 등이 묻을 수 있어 청소 및 세척이 매우 중요한데, 드릴의 형상이 다소 복잡하여 청소 및 세척에 어려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mplant is implanted after perforating the alveolar bone, drilling of the alveolar bone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drill for performing such a drilling operation can not help but be made somewhat complicated, and the drill is very difficult to process because of its small size. In addition, the drill may be buried with body tissues, blood, saliva, etc., so cleaning and cleaning are very important, and the shape of the drill is somewhat complicated, which makes cleaning and cleaning difficult.

본 발명은 가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청소 및 세척하기 용이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ll for implant treatment that is easy to clean and clean while improving workabilit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치조골에 홈을 천공하는 복수의 칼날영역을 구비하는 제1 칼날부를 포함하되, 내부에 내부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드릴바디파트, 상기 제1 칼날부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드릴바디파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릴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홈은 상기 칼날부가 위치한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칼날부를 향해 트위스트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내부홈과 연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plant treatment drill comprising: a first blade having a plurality of blade areas for drilling a groove in an alveolar bone, wherein an inner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blade, And a drill connect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drill body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lade part, wherein the inner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part is located, and the through hole May be twisted toward the blad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groov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칼날부는 3개의 상기 칼날영역과 상기 칼날영역 간을 연결하는 3개의 연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blade portion may include three connection regions connecting the three blade regions and the blade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영역은 120°의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lade area may be positioned at an interval of 120 [deg.].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영역의 양측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eights of both sides of the blade reg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영역의 양측은 일측과 상기 일측에 반대되되 상기 일측에 비해 높이가 낮은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일측이 치조골에 먼저 닿아 분쇄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both sides of the blade region inclu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but lower in height than the one side, and the one side contacts the alveolar bone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can do.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홀은 상기 드릴연결파트에 가장 가까운 일단과 상기 제1 칼날부에 가장 가까운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단은 상기 칼날영역의 타측에 치우치고 상기 타단은 상기 칼날영역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상기 관통홀이 트위스트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through hole includes one end closest to the drill connecting part and the other end closest to the first blade, the one end being offset to the other side of the blade area, The through hole may be twisted so as to be offset to one sid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바디파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분리되되 상하단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ody par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 regions separated by the through hole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t upper and lower ends.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영역은 트위스트 형상으로 상기 칼날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eg region may extend toward the blade portion in the form of a twist.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바디파트는 상기 다리영역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칼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rill body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lad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leg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바디파트와 상기 드릴연결파트는 나사결합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rill body part and the drill connecting part may be releasably coupled through a threaded engagement.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바디파트는 상기 칼날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되 외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결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릴연결파트는 상기 드릴바디파트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되 내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 결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영역과 상기 제2 결합영역에 의해 나사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rill body part includes a first engagement area loc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blade section, the outer engagement surface including a thread, the drill connection part being positio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drill body part, And a second engagement region including a thread in the first 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릴바디파트의 지름은 3.3mm 이상 5mm 미만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drill body par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3.3 mm and less than 5 mm.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드릴바디파트와 드릴연결파트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을 제조할 때 가공성이 향상되며 청소와 세척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The drill for drilling an implan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chably couples the drill body part and the drill connecting part to improve the workability in manufacturing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and is very easy to clean and wash .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칼날영역 배치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분해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ll for performing a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shown in Fig.
Fig. 4 is a top view showing the blade area arrangement of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shown in Fig. 3;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shown in Fig.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측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ll 100 for an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implant dri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제1 칼날부(250)를 구비한 드릴바디파트(200)와 드릴연결파트(300)를 포함하고, 드릴바디파트(200)에는 내부홈(210)과 트위스트 형상으로 관통된 복수의 관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ill body part 200 having a first blade part 250 and a drill connecting part 300 And the drill body part 200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0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groove 210 and the twisted shape.

드릴바디파트(200)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치조골에 홈을 천공하는데 주요 역할을 하는 제1 칼날부(250)를 포함하는 부재로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본체가 되는 부분이다.The drill body part 200 is a member including the first blade part 250 that plays a major role in drilling the groove in the alveolar bone by the drill 100 for implant treatment, to be.

여기서, 드릴바디파트(200)의 내부에는 내부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홈(210)은 제1 칼날부(250)가 위치한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되는데, 다시 말해서 제1 칼날부(250)의 방향으로 오픈(도 1에서 오른쪽이 오픈)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내부홈(210)은 드릴바디파트(200)의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1 칼날부(250)가 치조골에 홈을 뚫을 때 발생되는 치조골의 조각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치조골 조각이 사람의 잇몸에 남아 천공 시 과도한 열이 발생되어 치조골이 괴사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inner groove 210 may be formed in the drill body part 200. The inner groove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lade part 250 is located, that is, ope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part 250 (right side in FIG. 1). The inner groove 210 may form a certain space in the interior of the drill body part 200. In this space, the first blade part 250 may receive a piece of the alveolar bone generated when the groove is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lveolar bone from being necrotized due to excessive heat generated when the alveolar bone remains in the human gum.

관통홀(220)은 드릴바디파트(20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220)은 드릴바디파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치조골의 절삭 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절삭 부위 외 다른 부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트위스트 형상으로(즉, 틀어진 형상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관통홀(220)의 일단(221; 드릴연결파트(300)에 가까운 영역)과 타단(222; 제1 칼날부(250)에 가까운 영역)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틀어져서 곡선으로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0)은 드릴바디파트(200)의 외주면을 관통하는바, 드릴바디파트(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홈(210)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드릴바디파트(200)의 측면을 따라 절삭되어 이동되는 치조골의 조각이 관통홀(220)을 통해 내부홈(210)으로 들어갈 수 있다.The through hole 220 may be formed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ody part 200. The through hol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ong ho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ll body part 200 so as to improve the cutting function of the alveolar bone, And can be elongated in a twisted shape (i.e., in a distorted shape). In other words, one end 221 (the region near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of the through hole 220 and the other end 222 (the region near the first blade 250) are not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Can be connected. The through hole 220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groove 210 formed in the drill body part 200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ody part 200. Accordingly, a piece of alveolar bone that is cut and mov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drill body part 200 can enter the inner groove 210 through the through hole 220.

한편, 드릴바디파트(200)의 외주면은 복수의 관통홀(220)에 의해 복수의 다리영역(2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다리영역(230)은 관통홀(220)에 의해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으면서도 상단(231)과 하단(232)에서 서로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0)이 트위스트 형상으로 관통되어 있는바 다리영역(230)도 트위스트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다리영역(230)의 양측, 즉 관통홀(220)의 양측 주위에는 제2 칼날부(2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칼날부(240)는 제1 칼날부(250)를 도와 치조골을 분쇄할 수 있으며, 제1 칼날부(250)가 치조골을 분쇄하면서 점차 깊이 진행되어 갈 때 치조골의 측면을 분쇄하여 치조골에 홈을 뚫는 과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칼날부(240)는 다리영역(230)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절곡되는 형상으로 구현하여 날카로운 끝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칼날부(240)는 다리영역(230)의 양측(즉, 관통홀(220) 주위영역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양측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ll body part 2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g regions 230 b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0. The leg regions 2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through holes 220 and may have a 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upper end 231 and the lower end 232. Also, the bar leg region 230 having the through holes 220 penetrating in a twisted shape can be extended in a twisted shape. Meanwhile, the second blade 240 may be included on both sides of the leg region 230,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220. The second blade portion 240 can grind the alveolar bone with the first blade portion 250. The first blade portion 250 grinds the side of the alveolar bone when the alveolar bone is gradually advanced while grinding the alveolar bone, It is possible to further facilitate the process of punching the grooves. In addition, the second blade 240 may be formed to be bent inward from the leg region 230 to form a sharp end. The second blade portion 24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eg region 230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region around the through hole 220), or may be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leg portion 230.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칼날부(250)가 상부를 향하도록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배열하였을 때, 관통홀(220)의 일단(221)은 좌측에 치우치고 타단(222)은 우측에 치우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칼날부(240)가 위치된 다리영역(230)도 아래에서 위를 향하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치우친 트위스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회전방향과 연계한 것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도 2에서 제2 칼날부(240)의 상측이 하측에 비해 먼저 치조골에 닿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한 것이다. 만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도 2와는 달리 관통홀(220)의 일단(221)을 우측에 치우치고 타단(222)을 좌측에 치우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관통홀(220)의 타단(222)으로부터 일단(221)으로 갈수록 치조골의 측면이 원만하게 분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2, when the drill 100 for implant treatment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blade 250 faces upward, one end 221 of the through hole 220 is biased to the left and the other end 222) may be biased to the right. Accordingly, the leg region 230 in which the second blade 240 is located may have a twisted shape shift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as viewed from below.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implant drill 100 in Fig. 1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2, the second blade 240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n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in advance so as to perform efficient cutting. If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1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unlike the case of FIG. 2, the end 221 of the through hole 220 may be biased to the right and the other end 222 may be biased to the left. That is, the side of the alveolar bone can be smoothly broken from the other end 222 of the through hole 220 toward the one end 22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220)은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관통홀(220)의 개수가 3개를 초과하면 다리영역(23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가공성이 떨어지고 많은 관통홀(220)에 의해 오히려 내부홈(210) 내부의 치조골 조각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0)의 개수가 3개 미만이면 제2 칼날부(240)의 개수도 줄어들고 이에 따라 치조골 측면의 가공이 미흡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관통홀(220)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치조골 측면의 절삭을 원활히 하면서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가공성을 확보하기 적합함을 도출하였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20 may be three. If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20 is more than three, the thickness of the leg region 230 becomes too thin, and the processability is deteriorated, and a large number of through holes 220 may cause the alveolar bone piece inside the inner groove 21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occur. If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220 is less than three, the number of the second blade portions 240 is also reduced, and accordingly the machining of the alveolar bone side may be insufficient. Thu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rough holes 220 is three, it is suitable to secure the processability of the drill 100 for implant treatment while smoothly cutting the alveolar bone side.

도 3은 도 2에 도시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칼날영역(251) 배치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바디파트(200)의 제1 칼날부(25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top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lade area 251 of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first blade part 250 of the drill body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2를 참고하면, 제1 칼날부(250)는 치조골을 절삭 또는 분쇄하여 홈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복수의 칼날영역(251)과 칼날영역(251)간을 연결하는 연결영역(25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조골 분쇄의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영역은 칼날영역(251)인바 칼날영역(251)이 연결영역(252)에 비해 외측(상측)을 향해 더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연결영역(252)도 절삭·분쇄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길게 연장된 칼날영역(251)에 비해서는 그 역할이 작을 수 있다. 또한, 칼날영역(251)과 연결영역(252)은 치조골을 효과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끝단이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날카로운 끝단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blade 250 includes a connection area 252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lade areas 251 and the blade area 251, which is a member for forming grooves by cutting or crushing the alveolar bone can do. Here, the region for performing the main role of the alveolar bone grinding may be a blade region 251 and the blade region 251 may extend longer toward the outer side (upper side) than the connection region 252. At this time, the connection area 252 may also have a cutting and crushing function, but its role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extended blade area 251. In addition, the blade region 251 and the connection region 252 may have sharp ends bent toward the inside in order to effectively crush the alveolar bone.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영역(251)을 보다 날카롭게 하기 위하여 칼날영역(251)의 끝단 양측 높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일측(251a; 도면에서는 오른쪽)의 높이를 타측(251b; 도면에서는 왼쪽)보다 높게 하여 일측(231a)이 더 날카롭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양측 중 어느 쪽의 높이를 더 높게 할 것인지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회전방향과 연계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3에서 칼날영역(251)의 일측(231a)이 타측(231b)보다 치조골에 먼저 닿는 것을 가정하고, 일측(231a)의 높이를 더 높게 할 수 있다. 만일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칼날영역(251)의 타측(231b) 높이를 일측(231a)에 비해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먼저 치조골에 닿는 부분의 높이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칼날영역(251)의 높이 차는 관통홀(220)의 트위스트 형상과도 연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칼날영역(251)의 양측은 높이가 서로 상이한 일측(231a)과 타측(231b)이 존재하는데, 관통홀(220)의 제1 칼날부(250)로부터 먼 일단(221)은 칼날영역(251)의 타측(231b)에 치우치고, 관통홀(220)의 제1 칼날부(250)로부터 인접한 타단(222)은 칼날영역(251)의 일측(231a)에 치우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치조골이 제1 칼날부(250)와 제2 칼날부(240)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쇄되면서도 분쇄되지 않아야 할 치조골 영역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3, in order to sharpen the blade area 251, 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blade 25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height of one blade 251a (right blade in the drawing) , It is possible to make one side 231a sharper. At this time, which one of the two sides is to be made higher should be linked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In this embodiment,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shown in FIG. 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3, one side 231a of the blade area 251 contacts the alveolar bone more than the other side 231b, and the height of the one side 231a can be further increased. If the implant drill 10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231b of the blade region 251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231a.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portion contacting the alveolar bone firstly increas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ll 100 for implant treatment.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blade area 251 may also be related to the twist shape of the through hole 220. One end 231a and the other side 231b of the blade region 251 are different in height from each other and one end 221 of the through hole 220 far from the first blade portion 250 is connected to the blade region 251. [ And the other end 222 of the through hole 220 from the first blade 250 may be offset toward the one side 231a of the blade area 251. [ In this case, the alveolar bone can be effectively crushed by the first blade part 250 and the second blade part 240, but the negative influence on the alveolar bone area that should not be crushed can be minimiz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칼날영역(251)을 3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최적화된 수치로 볼 수 있는데 3개보다 개수가 적은 경우 치조골을 충분히 분쇄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3개보다 개수가 많은 경우 제1 칼날부(250)를 가공하는 노력 대비 분쇄 효과가 크게 늘어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가장 적합한 칼날영역(251)의 개수로서 3개를 도출하였다. 이때, 제1 칼날부(250)에 따른 분쇄가 특정 영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칼날영역(25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120° 간격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ill 100 for implant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ree blade areas 251. If the number of teeth is less than three, the alveolar bone may not be sufficiently pulverized. If the number of teeth is larger than three, the effect of grinding the first blade 250 is large It may be because it does not increase. Therefore,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ree pieces as the number of blade regions 251 most suitable. At this time, the blade regions 251 may be positioned at intervals of 120 degrees around the center of the blade region 251 so that the milling along the first blade portion 250 does not deviate to a specific region.

한편, 이상과 같이 살핀 드릴바디파트(200)는 치조골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화된 구조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릴바디파트(200)를 통해 치조골에 적은 힘으로 매우 용이하게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드릴을 교체해나갈 필요가 없이 하나의 드릴(100)만으로 편리하고 오류 없이 정확한 홈의 형성이 가능하고 홈을 뚫기 위한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lling drill body part 200 is an optimized structure for forming a groove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alveolar bone par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form a groove on the alveolar bone with a small force And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drill, and it is possible to form a precise groove with ease without error by using only one drill 100, and it is possible to save time for drilling the groove.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드릴연결파트(3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mplant treatment drill 100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of the drill 100 for an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드릴연결파트(300)는 드릴바디파트(200)를 예를 들어 치과용 핸드피스(hand piece) 등과 같은 도구에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1 칼날부(250)의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드릴연결파트(300)는 핸드피스 등에 고정하여 핸드피스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드릴바디파트(200)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고정홈(3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치과용 핸드피스 등이 구동되면 구동력은 드릴연결파트(300)를 통해 드릴바디파트(200)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릴연결파트(300)와 드릴바디파트(200)가 회전되어 제1 칼날부(250) 또는 제2 칼날부(240)에 의해 치조골이 분쇄될 수 있다.The drill connection part 300 may b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blade portion 250 as a portion for connecting the drill body part 200 to a tool such as a dental handpiece or the like . Further, the drill connection part 300 may be formed with a fixing groove 310 so a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drill body part 200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handpiece while being fixed to the handpiece or the like. At this time, when the dental handpiece or the like is driven, the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ll body part 200 through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whereby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and the drill body part 200 are rotated The alveolar bone can be pulverized by the first blade portion 250 or the second blade portion 240.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연결파트(300)는 드릴바디파트(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가능한 결합은 예를 들어 나사결합을 통해 가능할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드릴바디파트(200)가 외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결합영역(260)을 포함하고 드릴연결파트(300)가 내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 결합영역(320)을 포함하는 경우, 제1 결합영역(260)과 제2 결합영역(320)의 나사결합을 통해 드릴바디파트(200)와 드릴연결파트(3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rill body part 200. This detachable engagement may be, for example, via threaded engagement, illustratively, where the drill body part 200 includes a first engagement area 260 that includes threaded threads on its outer surface, The drill body part 200 and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eaded engagement of the first engagement area 260 and the second engagement area 320 when the drill body part 200 includes the second engagement area 320, As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드릴연결파트(300)와 드릴바디파트(200)가 분리 가능한 경우 세척과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특히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은 인체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시술 중 신체조직, 혈액이나 타액 등이 묻을 수 있어 세척과 청소가 중요한데, 본 실시예와 같이 드릴연결파트(300)와 드릴바디파트(200)가 분리 가능한 경우 분리 후 세척과 청소를 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의 청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100)을 제작할 때에도 하나의 일체형 부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분리된 부재를 만든 후 결합시키는 것인바,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의 일체형 제품은 가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드릴바디파트(200)의 지름을 5mm 미만으로 형성하기 어려웠고, 특히 3.8mm 미만으로 형성하기는 거의 불가능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분리형 제품의 경우 3.3mm까지 드릴바디파트(200)의 지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통홀(220)의 형상을 트위스트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은 가공 상 어려움이 따르는데, 드릴연결파트(300)와 드릴바디파트(200)를 투피스로 가공하는 경우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If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and the drill body part 200 are detachable as described above, washing and cleaning can be easily performed. Particularly,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100 is a part that directly contacts the human body, and it is important to clean and clean the body tissue, blood, saliva, etc. during the operation. In this embodiment,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and the drill body part 200 can be detached, the cleaning of the implant drill 100 can be enhanced by cleaning and cleaning after separation. Further, when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100 is manufactured, not only one integral member but also two separate members are made and joined together, so tha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It is difficult to form the diameter of the drill body part 200 to be less than 5 mm due to the difficul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integrated product. Especially, it is impossible to form the drill body part 200 less than 3.8 mm in diameter. However, The diameter of the drill body part 200 can be formed.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220 into a twisted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drill connecting part 300 and the drill body part 200 are processed by two pieces, Can be solv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200 : 드릴바디파트
210 : 내부홈 220 : 관통홀
230 : 다리영역 240 : 제2 칼날부
250 : 제1 칼날부 260 : 제1 결합영역
300 : 드릴연결파트 320 : 제2 결합영역
100: Implant drill 200: Drill body part
210: inner groove 220: through hole
230: leg region 240: second blade portion
250: first blade part 260: first coupling area
300: Drill connection part 320: Second coupling area

Claims (12)

치조골에 홈을 천공하는 복수의 칼날영역을 구비하는 제1 칼날부를 포함하되, 내부에 내부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드릴바디파트;
상기 제1 칼날부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드릴바디파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릴연결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홈은 상기 칼날부가 위치한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칼날부를 향해 트위스트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내부홈과 연통되며,
상기 제1 칼날부는 3개의 상기 칼날영역과 상기 칼날영역 간을 연결하는 3개의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A drill body part including a first blade part having a plurality of blade areas for drilling a groove in an alveolar bone, wherein the drill body part has an inner groove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drill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drill body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blade part;
Lt; / RTI >
The inner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lade portion is located,
Wherein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twisted shape toward the blad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groove,
Wherein the first blade portion includes three connection regions connecting the blade region and the blade reg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영역은 120°의 간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ade region is positioned at an interval of 120 [d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영역의 양측 높이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eights of both sides of the blade reg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영역의 양측은 일측과 상기 일측에 반대되되 상기 일측에 비해 높이가 낮은 타측을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일측이 치조골에 먼저 닿아 분쇄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both sides of the blade region inclu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but lower in height than the one side,
Wherein one side of the drill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ll for implant treatment to grind the impla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드릴연결파트에 가장 가까운 일단과 상기 제1 칼날부에 가장 가까운 타단을 포함하고,
상기 일단은 상기 칼날영역의 타측에 치우치고 상기 타단은 상기 칼날영역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상기 관통홀이 트위스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rough hole includes one end closest to the drill connecting part and the other end closest to the first blade,
Wherein the through hole is twisted such that the one end is offset to the other side of the blade region and the other end is offset to one side of the blade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바디파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분리되되 상하단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영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ll body part has a plurality of leg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through hole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t upper and lower end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영역은 트위스트 형상으로 상기 칼날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g region extends in a twisted shape toward the blad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바디파트는 상기 다리영역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제2 칼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ill body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blade par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leg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바디파트와 상기 드릴연결파트는 나사결합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ll body part and the drill connecting part are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readed engagem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바디파트는 상기 칼날부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되 외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1 결합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드릴연결파트는 상기 드릴바디파트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하되 내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제2 결합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영역과 상기 제2 결합영역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rill body part includes a first engagement area located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blade section and including threads on an out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drill connection part includes a second engagement area loc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drill body part, the second engagement area including a thread on the inner surface,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is threaded by the first engagement reg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바디파트의 지름은 3.3mm 이상 5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meter of the drill body part is 3.3 mm or more and less than 5 mm.
KR1020160122482A 2016-09-23 2016-09-23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1711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82A KR101711613B1 (en) 2016-09-23 2016-09-23 Drill for operating implant
PCT/KR2017/006384 WO2018056552A1 (en) 2016-09-23 2017-06-19 Drill for implant proced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82A KR101711613B1 (en) 2016-09-23 2016-09-23 Drill for operating impl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613B1 true KR101711613B1 (en) 2017-03-02

Family

ID=5842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82A KR101711613B1 (en) 2016-09-23 2016-09-23 Drill for operating impla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1613B1 (en)
WO (1) WO2018056552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52A1 (en) * 2016-09-23 2018-03-29 김성주 Drill for implant procedure
KR101921091B1 (en) * 2018-10-16 2018-11-22 주식회사 디맥스 Drill for implant surgery
KR20210033211A (en)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A drill for dental impl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988A (en) * 2018-04-27 2018-09-28 江阴高峰医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mplant operation dental dri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662B1 (en) * 2011-03-22 2012-10-19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Drill for an implant operation
KR101200448B1 (en) * 2011-09-02 2012-11-12 황적희 Cutter for artificial joint's combination furrow
KR101205841B1 (en) * 2011-09-22 2012-11-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drill, drill set and drilling method of alveolar bone
KR20150003639U (en) * 2014-03-27 2015-10-07 우영훈 Autogenous bone harvest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13B1 (en) * 2016-09-23 2017-03-02 김성주 Drill for operating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662B1 (en) * 2011-03-22 2012-10-19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Drill for an implant operation
KR101200448B1 (en) * 2011-09-02 2012-11-12 황적희 Cutter for artificial joint's combination furrow
KR101205841B1 (en) * 2011-09-22 2012-11-2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drill, drill set and drilling method of alveolar bone
KR20150003639U (en) * 2014-03-27 2015-10-07 우영훈 Autogenous bone harvest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52A1 (en) * 2016-09-23 2018-03-29 김성주 Drill for implant procedure
KR101921091B1 (en) * 2018-10-16 2018-11-22 주식회사 디맥스 Drill for implant surgery
WO2020080605A1 (en) * 2018-10-16 2020-04-23 주식회사 디맥스 Implant surgery drill
KR20210033211A (en)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A drill for dental implant
KR102308497B1 (en) 2019-09-18 2021-10-06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A drill for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552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261B1 (en)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1711613B1 (en) Drill for operating implant
JP4694453B2 (en) Healing abutment pillar
KR100962166B1 (en) Alveolar-ridge cut and expansion tool for dental implant
KR100981719B1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1066987B1 (en)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1092313B1 (en) Drill for operating implant
KR101067485B1 (en) Stopper unit for implant drill and drill for operating implant having the same
KR20030089602A (en) Structure of dental implant
JP2010533539A (en) Maxillary sinus elevation drill
KR101758803B1 (en) apparatus for implant drill
KR101446072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472570B1 (en) Discriminating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fixture healing abutment
KR10143093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gum in dental implant
KR101388185B1 (en) Healing abutment having impression coping function
KR101092314B1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et having the same
KR20110104750A (en) Bur for alveolar bone
KR20120100250A (en) Bone scrapper
KR101068399B1 (en) Drilling depth limitation unit and drill for operating implant having the same
JP2021513439A (en) Oral surgery methods and equipment
KR200323647Y1 (en) Drill for implant surgery
KR101566457B1 (en) Drill for removing abutmen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80116817A (en) Trimming drill for alveolar bone and a drill kit for implant treatment having the same
KR20140105098A (en) Angled implant
KR101471298B1 (en) Dental Scaler T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