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467B1 -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467B1
KR101710467B1 KR1020160104650A KR20160104650A KR101710467B1 KR 101710467 B1 KR101710467 B1 KR 101710467B1 KR 1020160104650 A KR1020160104650 A KR 1020160104650A KR 20160104650 A KR20160104650 A KR 20160104650A KR 101710467 B1 KR101710467 B1 KR 101710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lowering
stopper
low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형
Original Assignee
장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형 filed Critical 장준형
Priority to KR102016010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자전거 안장하강장치가 개시된다. 안장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구비한 자전거에 장착된 안장하강장치는 고정레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진 공이부재가 스토퍼에 의해 움직임을 저지당하고 있는 상태이며 자전거는 안전하게 운행하고 있다. 이 후 자전거가 주행 중 과도하게 급정거하거나 충돌하게 되면 탑승자가 직접 구동버튼을 누르거나 센서에 의해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는 것에 의해 공이부재의 스토핑 상태는 해제된다. 이에 의해 공이부재는 고정레버를 타격하면서 고정레버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안장이 하강된다. 결국 자전거의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아래로 이동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하강장치{BICYCLE SADDLE LOWERING DEVIC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자전거 주행 중 갑작스런 급정거를 하는 경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를 이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와 관련된 각종 안전사고 발생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 중에는 장애물 등으로 인한 자전거를 급정거하는 경우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안전사고는 자전거를 급정거하는 경우 사용자가 관성에 의해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자전거 사용자는 관성을 이기지 못하고 전방으로 공중에 떴다가 떨어지면서 골절 등의 중상을 당할 수 있다.
하지만, 자전거에는 급정거 시 사용자가 앞으로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므로 여전히 급정거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 급정거 시 사용자의 앞으로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프레임,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입된 안장지지관, 및 상기 안장지지관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장지지관과 상기 프레임간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정하강장치는, 상기 고정레버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공이부재; 상기 공이부재에 상기 고정레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공이부재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스토핑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안장의 하부에 설치되고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입된 안장지지관이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장지지관과 프레임간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잠겨 있는 고정레버를 급정거 시 열어서 안장이 하강하게 할 수 있다. 급정지 시 자전거 안장을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앞으로 쏠림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랙, 상기 랙을 구동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를 구동하여 공이부재가 고정레버를 타격하여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상기 자전거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및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구동부가 해제 동작을 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전거가 급정거하는 경우 속도변화를 감지하여 안장이 하강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상기 자전거의 전후 방향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기울기의 증가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평지에서보다 오르막과 내리막에서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사용자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부에 대한 해제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동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급정거 시 안장을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상기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및 상기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1구동모드, 및 상기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고 상기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2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속도변화에 따른 자동모드 또는 구동버튼을 이용한 수동모드로 안장을 하강시키거나 자동모드와 수동모드가 모두 만족되었을 때 안장을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모드전환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장을 하강시키지 않는 안장하강 정지모드가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 상기 안장과 상기 프레임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상기 안장지지관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완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링 형상의 일 부위가 절취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내측면에 접착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장에 인접한 상기 안장지지관의 상부 영역에 감기는 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장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에 의하여, 안장이 하강할 때 사용자에게 충격이 적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안장하강장치는 상기 공이부재, 상기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전거에 안장하강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급정거 시 안장을 하강시켜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앞으로 쏠림현상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는 안장과 프레임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안장이 하강할 때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하강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되어 있는 도면과 자전거 안장하강장치를 확대하여 자세하게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하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자전거 급정거 시 자전거 안장하강장치의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의 작동 전과 작동 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8 은 자전거 안장하강장치의 완충부에 대한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가 자전거에 설치되어 있는 도면과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를 확대하여 자세하게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자전거는 프레임(4), 안장(2), 안장(2)의 하부에 설치되고 프레임(4)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입된 안장지지관(3) 및 안장지지관(3)이 프레임(4)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장지지관(3)과 프레임(4)간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5)를 구비한다. 고정레버(5)는 클램프와 연결되어 있어 고정레버(5)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는 프레임(4)을 조여서 안장지지관(3)이 고정된다. 사용자는 안장(2)을 자신이 편한 높이에 맞게 조절한다. 이후 고정레버(5)를 회전시켜 잠근다. 이에 의해 클램프가 안장지지관(3)을 조이게 된다. 이에 의해 안장(2)이 원하는 높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레버(5)는 잠겨있는 상태에서 안장하강장치(1)는 프레임(4)에 설치된다.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는 고정레버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공이부재(10), 공이부재(10)에 고정레버(5)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0),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공이부재(10)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스토퍼(30), 스토퍼(30)의 스토핑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40), 자전거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속도센서(50), 자전거의 전후 방향상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60), 내부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 구동부(30), 제어부(90) 및 모드전환부(140)에 대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80), 속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구동부(40)가 해제 동작을 하도록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90), 프레임(4)에 하우징(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00), 사용자가 외부 조작에 의해 제어부(90)에 구동부(40)에 대한 해제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동버튼(110), 안장(2)이 하강할 때 안장(2)과 프레임(4)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120), 공이부재(10), 탄성부재(20), 스토퍼(30), 및 구동부(40)를 수용하는 하우징(130), 및 제어부(90)의 동작모드를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및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동부(40)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1구동모드 및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고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구동부(40)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2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전환부(140)를 포함한다.
공이부재(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하여 고정레버(5)를 타격하는 막대형상일 수도 있고, 직선으로 이동되어 고정레버(5)를 타격하는 막대형상일 수도 있다. 공이부재(10)는 회전하거나 직선이동을 하여 잠겨있는 고정레버(5)를 타격하여 회전시켜 여는 것이므로 고정레버(5)와 접촉되는 부분은 넓은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면을 가지어 고정레버(5)와 접촉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탄성부재(20)는 공이부재(10)에 고정레버(5)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공이부재(10)는 탄성부재(20)에 의해 고정레버(5)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아서 고정레버(5)를 타격할 수 있다. 탄성부재(20)는 공이부재(10)가 회전 또는 직선이동하여 고정레버(5)를 타격하는 형상을 갖는다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정레버(5)를 타격하는 일측과는 반대측을 당기거나 밀어서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20)는 탄성력을 공이부재(10)에 가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건 가능하며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퍼(30)는 탄성부재(20)가 공지부재(10)를 고정부재(5)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는 가운데 공이부재(10)가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멈추어 있도록 한다. 스토퍼(30)는 상하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토퍼(30)는 랙(41)과 연결되어 있고, 피니언(42)은 모터(43)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토퍼(3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탄성력을 가진 공이부재(10)를 막으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공이부재(10)가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5)를 타격하여 열게 된다.
구동부(40)는 스토퍼(30)를 스토핑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한다. 구동부(40)는 스토퍼(30)와 연결된 랙(41), 피니언(42) 및 피니언(42)을 회전시키는 모터(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토퍼(3)를 상하로 이동시켜 공이부재(10)를 저지하기도 하며 고정레버(5)를 타격하게 하기도 한다. 스토퍼(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41)과 연결된 버튼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공이부재(10)를 막을 수 있는 돌기형상, 원기둥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고, 끈과 같은 형상으로 공이부재(10)를 잡아서 저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속도센서(50)는 자이로센서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한다.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마련되어 실시간 속도를 감지하여 변화를 산출할 수도 있다. 자전거는 급정거 시 가속도 변화 내지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기설정해 놓은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면 이를 제어부(90)로 전달한다.
제어부(90)는 자전거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속도센서(50)와 속도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구동부(40)가 해제 동작을 하도록 구동부(40)를 제어한다. 제어부(90)는 모터(43)를 구동하여 스토퍼(30)를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공이부재(1)가 탄성력에 의해 고정레버(5)를 타격한다. 그래서, 클램프가 조여있는 상태에서 해제된 상태가 되어 안장(2)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한다. 그러므로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무게중심은 뒤로 이동하게 된다.
기울기센서(60)는 자전거의 전후 방향상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제어부(90)는 기울기센서(60)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의 증가에 상응하여 소정치를 감소시킨다. 이는 자전거가 오르막과 내리막에서 달리고 있다면 평지를 달리고 있는 자전거와 다르게 그 속도가 빠르거나 느리게 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응하여 속도 변화값을 줄여서 설정하게 하는 것이다. 자전거가 내리막에 있게 되면 속도가 빠르게 되는데 이럴 때 장애물에 부딪히는 경우 평지와 같은 속도 변화 설정값이면 조금 늦게 안장(2)이 하강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속도 변화 설정값을 감소시켜 늦지 않게 안장(2)이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버튼(110)은 사용자가 외부 조작에 의해 제어부(90)에 구동부(40)에 대한 해제 동작 명령을 입력한다. 구동버튼(110)은 자전거의 핸들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급정거 시 사용자가 최대한 빨리 구동버튼(110)을 눌러 안장(2)이 하강되도록 한다. 구동버튼(110)은 전자스위치로 마련되어 터치가 되면 구동부(40)에 대한 해제 동작을 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드전환부(140)는 제어부(90)의 동작모드를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및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구동부(40)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1구동모드 및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고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구동부(40)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2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모드전환부(140)는 구동버튼(110)과 같이 버튼이나 스위치로 형성되어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 일면에는 1, 타면에는 2로 씌여 있어 사용자가 설정하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제1구동모드와 제2구동모드 모두를 선택하지 않으려면 구동부(40), 제어부(90) 및 모드전환부(140)에 대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여야 한다. 전원스위치(80)를 안장하강장치(1) 내부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70)와 안장하강장치(1) 내부 구성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전원 공급을 단속한다. 전원스위치(80)는 모드전환부(140)와 일체로 형성되며 스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위치를 3단계가 되도록 형성시켜 제1구동모드, 제2구동모드, 정지모드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완충부(120)는 안장(20)이 하강할 때 안장(2)과 프레임(4) 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완충부(12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안장지지관(30)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완충부재(121 내지 124)일 수 있다. 고무재질의 고무링일 수 있다. 완충부재(121 내지 124)는 링 형상의 일 부위가 절취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21 내지 124)는 내측면에 접착층(125)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완충부(120)는 안장(2)에 인접한 안장지지관(3)의 상부 영역에 감기는 테이프(121 내지 124)일 수 있다. 완충부(120)는 안장지지관(3)에 감겨진 코일스프링(121 내지 12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공이부재(10), 탄성부재(20), 스토퍼(30), 및 구동부(40)를 수용하는 하우징(130) 및 프레임(4)에 하우징(130)을 고정시킨다. 고정부(100)은 자전거의 프레임(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 벨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00)에 의해 하우징(130)이 프레임(40)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던 가능하다. 견고하게 하우징(130)이 프레임(40)에 고정되어야 공이부재(10)가 고정레버(5)를 타격하는 경우에도 공이부재(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레버(5)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의 작동 전과 작동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공이부재(10)가 탄성부재(20)에 의해 고정레버(5)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다. 공이부재(10)는 스토퍼(30)에 의해 고정레버(5)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자전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급정거를 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공이부재(1)는 회전축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전거가 턱을 넘어가는 경우에도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공이부재(1)는 스토퍼(3)에 의해 저지되어 있을 수 있다.
(b)는 탑승자인 사용자가 구동버튼(110)을 누른 경우이거나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90)가 모터(43)를 구동하여 스토퍼(30)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고정레버(5)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는 상태의 공이부재(10)가 이동되면서 고정레버(5)를 타격한다. 이에 의해 고정레버(5)는 클램프를 조이는 방향이 아닌 해제되는 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정레버(5)와 연결된 클램프의 조여진 상태가 해제되며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안장(2)이 하강되게 된다.
도 4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의 적용 전과 적용 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a)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가 자전거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급정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가 달리고 있다가 급정거를 하였기 때문에 관성이 진행하고 있던 앞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탑승자는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되어 쏠림 현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급정거에 의해 탑승자는 자전거 앞으로 떨어지면서 안전사고를 당하게 될 수 있다.
(b)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가 자전거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급정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급정거 시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가 자전거의 고정레버(5)를 타격하여 탑승자의 무게로 인하여 안장(2)이 하강하면서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의해 탑승자는 자전거 앞으로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게 될 수 있다.
급정거를 하면 관성이 작용해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자전거 안장이 내려가게 되면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아래로 옮겨져서 급정거 시 작용하는 탑승자의 앞으로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1)의 완충부(120)가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안장지지관(3)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완충부재(12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전거의 안장(2)이 하강하는 경우 완충부재(121)는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한다. 이를 위하여 완충부재(121)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안장지지관(3)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도 6은 링 형상의 일 부위가 절취되어 개방된 형상의 완충부재(12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완충부재(122)는 내측면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완충부재(122)가 안장지지관(3)에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안장(2)이 하강 시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내측면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프레임(4)에 인접한 위치의 안장지지관(3)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안장(2)에 인접한 안장지지관(3)의 상부 영역에 감기는 테이프의 완충부(12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안장(2)이 하강하면 테이프(123)가 프레임(4)에 접촉하면서 하강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장(2)이 최초 하강하면 테이프의 완충부(123)가 제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테이프를 떼어내고 새로운 테이프를 감아서 완충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프의 재질은 완충을 위하여 탄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안장지지관(3)에 감겨진 코일스프링이 완충부(12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코일스프링(124)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스프링일 수도 있다. 코일스프링(124)는 프레임을 수용할 만큼 커서는 안되며 안장(2)이 하강하여 프레임(4)과 안장 사이에서 충격을 완화한다. 코일스프링(124)은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탄성이 너무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안장(2)이 하강한 후 탄성에 의해 다시 상승하는 정도의 탄성을 갖지 않아야 사용자의 안전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1 :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2 : 안장
3 : 안장지지관 4 : 프레임
5 : 고정레버 10 : 공이부재
20 : 탄성부재 30 : 스토퍼
40 : 구동부 41 : 랙
42 : 피니언 43 : 모터
50 : 속도센서 60 : 기울기센서
70 : 전원공급부 80 : 전원스위치
90 : 제어부 100 : 고정부
110 : 구동버튼 120 : 완충부
130 : 하우징 140 : 모드전환부

Claims (14)

  1. 프레임,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입된 안장지지관, 및 상기 안장지지관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장지지관과 상기 프레임간의 상대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레버를 구비한 자전거의, 안장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공이부재;
    상기 공이부재에 상기 고정레버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공이부재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의 스토핑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는 랙,
    상기 랙을 구동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속도센서; 및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구동부가 해제 동작을 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 상기 구동부에 대한 해제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동버튼;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상기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일 경우 및 상기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1구동모드, 및 상기 속도 변화가 소정치 이상이고 상기 해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해제 동작을 하는 제2구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전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모드전환부에 대한 전원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전원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이 하강할 때 상기 안장과 상기 프레임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어 상기 안장지지관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링 형상의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링 형상의 일 부위가 절취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내측면에 접착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장에 인접한 상기 안장지지관의 상부 영역에 감기는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안장지지관에 감겨진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부재, 상기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 및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KR1020160104650A 2016-08-18 2016-08-18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KR101710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50A KR101710467B1 (ko) 2016-08-18 2016-08-18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650A KR101710467B1 (ko) 2016-08-18 2016-08-18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467B1 true KR101710467B1 (ko) 2017-02-27

Family

ID=5831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650A KR101710467B1 (ko) 2016-08-18 2016-08-18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4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988A (ja) * 2004-03-17 2005-09-29 Eishindo:Kk 自転車用サドル
US8191964B2 (en) * 2009-06-05 2012-06-05 Jung Yu Hsu Adjustment device for bicycle seat
KR20150089997A (ko) * 2015-07-17 2015-08-05 이기영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 자동기어 변속장치와 안장 내리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988A (ja) * 2004-03-17 2005-09-29 Eishindo:Kk 自転車用サドル
US8191964B2 (en) * 2009-06-05 2012-06-05 Jung Yu Hsu Adjustment device for bicycle seat
KR20150089997A (ko) * 2015-07-17 2015-08-05 이기영 센서를 이용한 자전거 자동기어 변속장치와 안장 내리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82512A (zh) 用于自平衡板的附件
KR1014564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06366B1 (ko) 부상방지 액세서리
JP2007246268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101727703B1 (ko) 유모차 브레이크 시스템
US1054980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 for displacing the height of a saddle of a two-wheeled vehicle, depending on a situation, and a device provided for same
KR101710467B1 (ko) 자전거 안장하강장치
KR20160109140A (ko) 자전거용 자동 속도 제어장치
KR100920758B1 (ko) 삼륜 주행장치
US20200070933A1 (en) Electric scooter
GB1565973A (en) Safety belts
KR101623825B1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KR10145473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트레드밀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8184A (ko) 직관적 제어가 가능한 보드타입 전동 이동수단
JP5206615B2 (ja) 同軸二輪車
KR102057849B1 (ko) 와전류를 이용한 부하조절기능이 구비된 근력운동기구
WO2021145107A1 (ja) 歩行補助装置
KR101584006B1 (ko) 개선된 시트백 충격 에너지 흡수구조
JP5206618B2 (ja) 同軸二輪車
KR101442807B1 (ko) 활강 시설용 트롤리 회수 시스템
JP6245244B2 (ja) 歩行器の駆動装置、及び歩行器の駆動装置の制御方法
JP3723493B2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の誤動作防止装置
JP2011019769A (ja) X線撮影装置
KR20000000903U (ko) 차량 시트의 현가 제어 장치
JP6485277B2 (ja) バランス訓練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