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373B1 -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73B1
KR101710373B1 KR1020150076475A KR20150076475A KR101710373B1 KR 101710373 B1 KR101710373 B1 KR 101710373B1 KR 1020150076475 A KR1020150076475 A KR 1020150076475A KR 20150076475 A KR20150076475 A KR 20150076475A KR 101710373 B1 KR101710373 B1 KR 101710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le
arm
lower arm
ball joint
assembly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181A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15007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는: 로어암과, 볼조인트가 결합되고, 로어암과 접하는 볼조인트암과,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을 연결하되,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 위치를 가변가능하게 연결하는 위치조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로어암조립체{LOWER ARM ASSEMBLY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에 볼조인트암을 조립한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차량 주행 시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통상 현가장치는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코일스프링과, 승차감을 위해 코일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는 쇽업소버와, 언더바디의 강도 및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크로스멤버와, 크로스멤버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어퍼암 및 로어암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로어암은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에 의해 볼조인트암과 연결된다. 볼조인트암은 로어암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너클암과 결합되는 볼조인트가 설치되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가 로어암과 제1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을 연결하게 된다.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을 연결한 로어암조립체를 차체에 조립 시 차량의 다른 상관부품과의 치수가 어긋나는 경우 차량 조향 시 쏠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발단계에서 이를 엄격히 고려하여 그 설계 및 셋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로어암조립체 및 그 상관부품의 조립 시 발생되는 조립 오차나, 쏠림에 민감한 운전자의 클레임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28176호(1998.07.31. 등록, 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컨트롤 암의 볼 조인트 설치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어암과 볼조인트암간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는: 로어암; 볼조인트가 결합되고, 상기 로어암과 접하는 볼조인트암; 및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을 연결하되,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의 조립 위치를 가변가능하게 연결하는 위치조절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연결부는,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 중 일측에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홀부;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 중 타측에 정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홀부; 상기 제1연결홀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조립위치조절구; 및 상기 제1연결홀부, 상기 제2연결홀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위치조절구는, 상기 로어암 또는 상기 볼조인트암과 접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홀부에 삽입되는 홀삽입부; 및 상기 패널부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와 연접되게 형성되는 제3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위치조절구는, 상기 제1연결홀부의 연장방향 양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조립위치조절구; 및 상기 제1연결홀부의 연장방향 일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가 형성되는 제2조립위치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위치조절구와 상기 제2조립위치조절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위치조절구는, 상기 제1연결홀부의 연장방향 타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가 형성되는 제3조립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위치조절구, 상기 제2조립위치조절구, 상기 제3조립위치조절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삽입부는, 상기 제1연결홀부와 상기 제2연결홀부의 형상 차이에 해당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3연결홀부는, 정공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어암은, 암본체부; 상기 암본체부 상에 상기 볼조인트암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조인트암의 단부가 수용되는 볼조인트결합부; 및 상기 암본체부 상에 상기 조립위치조절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위치조절구가 수용되는 조절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의하면, 위치조절연결부의 조립위치조절구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로어암과 볼조인트암간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어암조립체와 너클암 등의 상관부품간의 조립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 차량 조향 시 쏠림이 발생되는 것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고, 운전자의 조향 취향을 고려하여 조향 특성을 다르게 조정, 가변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부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하부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의 조립위치조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제1조립위치조절구를 적용 시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제2조립위치조절구를 적용 시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제3조립위치조절구를 적용 시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부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하부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의 조립위치조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제1조립위치조절구를 적용 시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제2조립위치조절구를 적용 시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에 제3조립위치조절구를 적용 시 로어암과 볼조인트암의 조립위치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1)는 로어암(10), 볼조인트암(20), 위치조절연결부(30)를 포함한다.
로어암(10)은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크로스멤버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어암(10)은 암본체부(11), 볼조인트결합부(12), 조절구결합부(13)를 포함한다.
암본체부(11)는 로어암(1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부패널부와 하부패널부가 설정 두께를 이루도록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볼조인트결합부(12)는 암본체부(11) 중 볼조인트암(20)과 조립되는 부분으로, 암본체부(11) 상에 볼조인트암(20)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볼조인트결합부(12)는 볼조인트암(20)과 접하는 상부패널부의 일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이루게 되고, 볼조인트암(20)의 단부는 볼조인트결합부(12)에 수용된 상태로 체결부재(37)에 의해 암본체부(11)에 체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볼조인트암(20)의 단부가 로어암(10)의 상측으로 두드러지게 돌출되지 않고 암본체부(11)와 연속된 상면을 이루게 되므로, 주변 부품 등과 간섭될 소지가 줄어든다.
조절구결합부(13)는 암본체부(11) 중 위치조절연결부(30)의 조립위치조절구(33)와 접하는 부분으로, 암본체부11) 상에 조립위치조절구(33)에 조립위치조절구(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구결합부(13)는 조립위치조절구(33)의 패널부(34)와 접하는 하부패널부의 일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이루게 되고, 조립위치조절구(33)는 그 패널부(34)가 조절구결합부(13)에 수용된 상태로 체결부재(37)에 의해 암본체부(11)에 체결, 고정된다. 이에 따라, 조립위치조절구(33)가 로어암(10)의 하측으로 두드러지게 돌출되지 않으므로, 주변 부품 등과 간섭될 소지가 줄어든다.
볼조인트암(20)은 너클암과의 조립을 위한 볼조인트(21)를 구비하여 로어암(10)과 연결되는 부재이다. 로어암(10)과 볼조인트암(20)은 단부끼리 상호 접한 상태에서 위치조절연결부(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위치조절연결부(30)는 로어암(10)과 볼조인트암(20)을 연결하되, 로어암(10)과 볼조인트암(20)의 조립 위치를 가변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연결부(30)는 제1연결홀부(31), 제2연결홀부(32), 조립위치조절구(33), 체결부재(37)를 포함한다.
제1연결홀부(31)는 로어암(10) 중 볼조인트암(20)과의 조립부에 장공(長空)의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연결홀부(31)는 볼조인트암(20)의 볼조인트(21)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2연결홀부(32)는 볼조인트암(20) 중 로어암(10)과의 조립부에 정공(正空)의 형상으로, 즉 원형(圓形)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연결홀부(32)는 제1연결홀부(31)에 대응되게 위치된다.
조립위치조절구(33)는 제1연결홀부(31)에 삽입되는 홀삽입부(35)를 구비하여, 홀삽입부(35)의 형상에 따라 제1연결홀부(31)와 제2연결홀부(32)간의 체결위치를 조절하는 부재이다.
체결부재(37)는 제1연결홀부(31), 제2연결홀부(32), 조립위치조절구(33)의 제3연결홀부(36)를 관통하여 체결되면서, 조립위치조절구(33)를 매개로 하여 로어암(10)과 볼조인트암(20)을 연결한다. 체결부재(37)로는 볼트와 너트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위치조절구(33)는 패널부(34), 홀삽입부(35), 제3연결홀부(36)를 포함한다.
패널부(34)는 평판형 패널 형상을 가지고, 로어암(1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어암(10)의 조절구결합부(13)에 결합된다. 패널부(34)는 로어암(10)의 하부에 밀착, 면접촉된 상태에서 로어암(10)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또한, 패널부(34)는 볼조인트암(20)을 체결부재(37)의 체결력에 의해 로어암(10)의 상부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밀착 및 면접촉가능하도록 하는 와셔의 기능을 하게 된다.
홀삽입부(35)는 패널부(34)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패널부(34)를 로어암(10)의 하부에 접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홀부(31)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3연결홀부(36)는 체결부재(37)가 볼조인트암(20), 로어암(10), 조립위치조절구(33)를 연속하여 관통할 수 있도록, 패널부(34) 중 제2연결홀부(32)와 제1연결홀부(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홀삽입부(35)는 제1연결홀부(31)와 제2연결홀부(32)의 형상 차이에 해당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제3연결홀부(36)는 제2연결홀부(32)에 대응되는 정공의 형상을 가지고 홀삽입부(35)와 연접되게 형성된다. 즉, 제3연결홀부(36)와 홀삽입부(35)는 함께 제1연결홀부(31)에 대응되는 장공의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연결홀부(31)와 제2연결홀부(32)는 3개가 삼각형을 이루도록, 즉 삼각형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제3연결홀부(36) 또한 이에 대응되는 3개가 구비된다. 패널부(34)는 상기와 같이 3개의 제3연결홀부(36)를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볼조인트암(20)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조립위치조절구(33)는 홀삽입부(35)의 위치, 형상에 따라 도 5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중 하나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로어암(10)에 대한 볼조인트암(20)의 조립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위치조절구(33)는 제1조립위치조절구(33A), 제2조립위치조절구(33B), 제3조립위치조절구(33C)를 포함하는 복수개가 마련된다.
제1조립위치조절구(33A)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양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삽입부(3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제2조립위치조절구(33B)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일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삽입부(3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제3조립위치조절구(33C)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타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삽입부(35)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립위치조절구(33A)를 로어암(10)에 조립한 상태에서, 제1조립위치조절구(33A)의 홀삽입부(35)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양단부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홀삽입부(35)와 함께 제1연결홀부(31)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제3연결홀부(36)는, 홀삽입부(35)의 사이에서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중간부(P1)와 동축상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부재(37)는 제2연결홀부(32)와, 제1연결홀부(31)의 중간부(P1), 제3연결홀부(36)를 연속하여 관통, 체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립위치조절구(33B)를 로어암(10)에 조립한 상태에서, 제2조립위치조절구(33B)의 홀삽입부(35)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일단부(P3)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제3연결홀부(36)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타단부(P2)와 동축상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부재(37)는 제2연결홀부(32)와, 제1연결홀부(31)의 타단부(P2), 제3연결홀부(36)를 연속하여 관통, 체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조립위치조절구(33C)를 로어암(10)에 조립한 상태에서, 제3조립위치조절구(33C)의 홀삽입부(35)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타단부(P2)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제3연결홀부(36)는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 일단부(P3)와 동축상에 위치하게 되고, 체결부재(37)는 제2연결홀부(32)와, 제1연결홀부(31)의 일단부(P3), 제3연결홀부(36)를 연속하여 관통,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조립위치조절구(33A), 제2조립위치조절구(33B), 제3조립위치조절구(33C)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의해, 로어암(10)과 볼조인트암(20)간의 조립 위치를 제1연결홀부(31)의 중간부(P1), 타단부(P2), 일단부(P3)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1연결홀부(31)의 연장방향을 따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로어암조립체(1)에 의하면, 위치조절연결부(30)의 조립위치조절구(33)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로어암(10)과 볼조인트암(20)간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로어암조립체(1)와 너클암 등의 상관부품간의 조립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 차량 조향 시 쏠림이 발생되는 것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고, 운전자의 조향 취향을 고려하여 조향 특성을 다르게 조정, 가변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10 : 로어암
11 : 암본체부 12 : 볼조인트결합부
13 : 조절구결합부 20 : 볼조인트암
21 : 볼조인트 30 : 위치조절연결부
31 : 제1연결홀부 32 : 제2연결홀부
33 : 조립위치조절구 33A : 제1조립위치조절구
33B : 제2조립위치조절구 33C : 제3조립위치조절구
34 : 패널부 35 : 홀삽입부
36 : 제3연결홀부 37 : 체결부재

Claims (7)

  1. 로어암;
    볼조인트가 결합되고, 상기 로어암과 접하는 볼조인트암; 및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을 연결하되,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의 조립 위치를 가변가능하게 연결하는 위치조절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연결부는,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 중 일측에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홀부;
    상기 로어암과 상기 볼조인트암 중 타측에 정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홀부;
    상기 제1연결홀부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조립위치조절구; 및
    상기 제1연결홀부, 상기 제2연결홀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위치조절구는,
    상기 로어암 또는 상기 볼조인트암과 접하도록 평판형 패널 형상을 하고, 상기 로어암의 강성을 보강하며 와셔 기능을 수행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상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홀부에 삽입되는 홀삽입부; 및
    상기 패널부상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홀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와 연접되게 형성되는 제3연결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위치조절구는,
    상기 제1연결홀부의 연장방향 양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가 형성되는 제1조립위치조절구;
    상기 제1연결홀부의 연장방향 일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가 형성되는 제2조립위치조절구; 및
    상기 제1연결홀부의 연장방향 타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홀삽입부가 형성되는 제3조립위치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위치조절구, 상기 제2조립위치조절구, 상기 제3조립위치조절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며,
    상기 홀삽입부는, 상기 제1연결홀부와 상기 제2연결홀부의 형상 차이에 해당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3연결홀부는, 정공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홀삽입부와 연접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암은,
    암본체부;
    상기 암본체부 상에 상기 볼조인트암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볼조인트암의 단부가 수용되는 볼조인트결합부; 및
    상기 암본체부 상에 상기 조립위치조절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위치조절구가 수용되는 조절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76475A 2015-05-29 2015-05-29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KR101710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75A KR101710373B1 (ko) 2015-05-29 2015-05-29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75A KR101710373B1 (ko) 2015-05-29 2015-05-29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81A KR20160140181A (ko) 2016-12-07
KR101710373B1 true KR101710373B1 (ko) 2017-03-06

Family

ID=5757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75A KR101710373B1 (ko) 2015-05-29 2015-05-29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640B1 (ko) * 2017-11-30 2019-03-07 (주)티앤지 조인트 부시가 관통 결합된 스틸 플레이트 및 상기 스틸 플레이트를 덮는 복합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컨트롤 암 및 상기 컨트롤 암과 볼 조인트 간의 결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711A (en) * 1990-05-18 1991-10-01 A.O. Smith Corporation Vehicle alignment and verification system
KR20050077057A (ko) * 2004-01-26 2005-08-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캠버 조정이 가능한 차량의 로어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181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888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8205900B1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US7243934B2 (en)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JP200819529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530031B1 (ko)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KR101826566B1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캐리어
KR10146190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20110063173A (ko) 서스펜션 암
US9375992B2 (en) Torsion beam axle device for vehicle
US9150079B2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US20180215221A1 (en) Suspension system
US7370869B2 (en) Suspension and insulator of the same
KR101710373B1 (ko) 차량의 로어암조립체
KR101710372B1 (ko) 로워암 조립장치
KR20180041422A (ko) Ctba용 부시유닛
JP2007118672A (ja) 前輪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0272535A (ja)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KR20090131480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KR20060037647A (ko) 차량의 토션빔식 현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506B1 (ko) 캠버각 조절식 리어 액슬
KR100388201B1 (ko) 전방 현가장치의 고정구조
KR100599290B1 (ko)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
KR100456889B1 (ko) 차량용 리어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710994B1 (ko) 너클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