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548B1 -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548B1
KR101709548B1 KR1020140195286A KR20140195286A KR101709548B1 KR 101709548 B1 KR101709548 B1 KR 101709548B1 KR 1020140195286 A KR1020140195286 A KR 1020140195286A KR 20140195286 A KR20140195286 A KR 20140195286A KR 101709548 B1 KR101709548 B1 KR 101709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ischarge
film
discharge member
bypas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1441A (en
Inventor
최춘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19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48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made from non-conductive materials comprising an electro-conductive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52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light or electromagnetic wa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 H05K9/0003Shielded walls, floors, ceilings, e.g. wallpaper, wall panel, electro-conductive plaster, concrete, cement, morta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6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single discontinuous metallic layer on an electrically insulating supporting structure, e.g. metal grid, perforated metal foil, film, aggregated flakes,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로부터의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전자파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장치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측으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류로 유기되는 필름부 및 모바일장치의 전면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고 필름부에 바이패스라인으로 연결되어 유기되는 전자파를 방전하도록 하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capable of reducing a problem from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a discharger disposed at a portion other than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film portion by a bypass line to discharg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device.

Description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0002]

본 발명은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장치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로부터의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전자파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capable of reducing a problem from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전자장비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의 유해성은 근래에 익히 알려진 바와 같다. The hazards of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from electronic equipment are well known in the recent years.

최근 들어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사람들이 대부분을 휴대하여 사용할 뿐만 아니라 머리 부분의 인체에 밀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들로 인한 전자파의 피해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having various func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Since such portable terminals are used not only for carrying most people but also in clos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t the head, The damage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s is becoming a problem in modern society.

근래에는 이러한 전자파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들에 소정의 전자파 차단용 스티커 제품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shielding sticker product is attached to portable terminals to solve such electromagnetic wave problem.

이러한 전자파 차단용 스티커제품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직물에 코팅한 제품 위에 인쇄면을 접착시키거나 극히 가는 극세선의 구리선 등을 섬유와 함께 직조한 직물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Such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sticker product is produced by adhering a printed surface on a product coated with a met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or by printing an extremely fine line of copper wire on a fabric woven with a fiber.

이러한 전자파 차단용 스티커 제품은 경량이고 휴대용 단말기들에 부착 사용함에 있어서 큰 불편함이 없는 장점이 있으나 전자파 차단에 대한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지속되고 있다.Such a sticker product for electromagnetic shielding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lightweight and has no inconvenience in using and attaching to portable terminals, but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특히, 휴대용 모바일장치는 외관 전체를 차폐할 수 없는 특성상 얼굴에 마주 대는 전면 일부에 스티커가 부착된다고 하여도 전자파의 차단의 성능은 더욱 떨어지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portable mobile device is not capable of shielding the entire outer surface, even if a sticker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face, the performance of block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s further deteriorated.

등록실용신안 제20-0460258호는 이와 같은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화면 보호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60258 discloses a screen screen protective film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도 1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보호필름을 도시하는데, 휴대용 단말기 화면 보호 필름(100)은 크게 투명 필름(10) 및 그래핀(graphene) 잉크로 인쇄된 인쇄층(20)으로 구성되고, 투명 필름(10)이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서 영상이 디스플레이(display)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되는 투시부(11) 및 디스플레이 영역의 둘레부에 대응되는 인쇄부(12)로 분획되어 있어 전자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개념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1 shows a prior art protective film in which the screen screen protective film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inly composed of a transparent film 10 and a printing layer 20 printed with graphene ink, 10 is divided into a perspective portion 11 corresponding to a display region where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rinting portion 12 corresponding to a periphery of the display region, .

그러나 이러한 경우도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으며, 휴대용 모바일장치들에 있어서 전자파의 차폐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요청은 점점 증가되고 있다.
However, such a case also pos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demand for a product capable of ensuring the performance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in portable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모바일 장치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전자파로 인한 인체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a mobile device which can prevent damage to a human body due to electromagnetic waves while having a structure optimized for a portabl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장치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측으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류로 유기되는 필름부 및 모바일장치의 전면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고 필름부에 바이패스라인으로 연결되어 유기되는 전자파를 방전하도록 하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성능이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disposed on a portion other than a front surface of a mobile device, and which is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mobile device,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a mobile device including a discharge part is provided. Therefore, the performance for protecting the human body from electromagnetic waves is improved.

상기 필름부는, 디스플레이부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위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바이패스라인과 연결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lm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an outer periphery of a portion having light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상기 방전부는, 모바일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박형의 모바일장치에 최적화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is preferably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Thus, it can be optimally placed on a thin mobile device.

상기 방전부는, 바이패스라인과 연결되는 제1방전부재와, 상기 제1방전부재의 외주의 최소한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방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first discharging member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and a second discharging member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상기 제1방전부재와 제2방전부재는,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scharge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are made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dielectric constants.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2방전부재는, 외부와 연결되는 접지라인을 통하여 유기되는 전류를 방전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discharge member is capable of discharging a current induced through a ground line connected to the outside.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방전부재는, 바이패스라인과 연결되는 연장부와, 파지되는 손의 부위에 접촉되어 필름부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방전하도록 하는 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may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and a ring portion contacting the portion of the hand held and discharging a current induced from the film portion.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에 따라, 종래에 단순히 스마트폰 등의 일부의 부위에서 전자파의 차폐능만을 제공하였음에 반하여 전자파를 흡수하고 전류로서 유기하여 접지로 방출함으로써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ly, only a shielding fun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s provided at a part of a smartphone or the like, while the electromagnetic wave is absorbed and is emitted as a current to be grounded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electromagnetic waves The ability to maximize the ability to have.

또한, 최근의 모바일장치의 구조와 형상에 최적화된 필름부와 방전부의 배치를 가지고 경우에 따라 인체를 통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성과 모바일장치의 사용상 편리성이 보장되면서도 인체에 도달되는 전자파를 저감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lm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ion are optimized for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mobile device in recent years, the grounding is possible through the human body in some cases, thereby ensuring th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reducing or blocking.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화면 보호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배면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전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creen protection film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function.
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side.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charge unit of FIG.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모바일장치(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측으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류로 유기되는 필름부(210)와, 모바일장치(100)의 전면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부에 바이패스라인(220)으로 연결되어 유기되는 전자파를 방전하도록 하는 방전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film part 210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mobile device 100 and forwardly emitting an electromagnetic wave by current, And a discharge unit 230 connected to the pass line 220 to discharge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100)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설명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인체에 밀착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휴대용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PDA나 태블릿PC의 경우도 상기 개념에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 노트북과 같이 이용자가 휴대하여 인체에 근거리에 두고 사용하는 기기도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100)의 개념에 포함된다.The mobi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smart phone carried by most user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obile device 100 includes various portable devices that e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can be closely used to a human body. For example, a PDA or a tablet PC is included in the above concept, and a devic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which a user carries and uses in close proximity to a human body is also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mobil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필름부(210)는 모바일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여기서 전면이란 주로 인체에 밀착되거나 인체를 지향하여 사용되는 모바일장치(100)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film portion 21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the front portion thereof is understood to mean a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that is mainly used in close contact with or facing the human body.

스마트폰의 경우 주로 전면의 대부분이 화상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는데 상기 필름부(21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의 대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a smart phone, the front part mainly includes a display part 110 capable of displaying image graphics. The film part 210 is preferably disposed to cover most of the display part 110.

따라서, 일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110)를 덮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필름부(210)는 디스플레이 보호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isplay unit 110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the display unit 110, the film unit 210 may function as a display protective film.

이러한 일실시예의 개념에 의한 경우, 상기 필름부(210)는 전후방으로 세 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측의 보호레이어(미도시), 후방측의 접착레이어(미도시) 및 상기 보호레이어와 접착레이어의 사이에 개재되고 전자파를 전류로 유기할 수 있는 전도성의 흡수레이어(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is embodiment, the film portion 210 may be composed of three layers in front and back, and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not shown) on the front side, a bonding layer (not shown) on the rear side, And a conductive absorbing layer (not shown) interposed between the adhesive layers and capable of inducing an electromagnetic wave by an electric current.

상기 보호레이어는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액정보호필름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으며 광의 투과율과 전도성 및 촉감을 고려하여 공지의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레이어는 필름부(210)의 저면과 모바일장치(100)의 전면 사이의 접착력을 제공하며 공지의 다양한 물질이 도포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can be applied to the concept of a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of a general smartphone,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known materials and shapes in consideration of light transmittance, conductivity, and touch. The adhesive layer may also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variety of known materials are applied, providing adhes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m portion 2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상기 흡수레이어는 모바일장치(100)의 전방으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흡수하여 전류의 형태로서 배출할 수 있는 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높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철(Fe), 규소(Si), 알루미늄(Al)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고투자율의 센더스트(sendust)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sorption lay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toward the front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discharg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 the form of current.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magnetic permeability may be used desirable. More preferably, it may include a high permeability sendust made of an alloy of iron (Fe), silicon (Si), and aluminum (Al).

본 발명의 개념에서 상기 필름부(210)는 단순히 전방측으로 방출되는 모바일장치(100)의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개념만이 아니라 추가적 내지는 교환적으로서 전자기파를 전류로 유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이 요청된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part 210 is not only merely a concept of shield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mobile device 100 emitted toward the front side, but additionally or interchangeably, an additional configuration is required do.

이를 위하여, 상기 필름부(210), 더욱 정확하게는 흡수레이어가 도선인 바이패스라인(220)을 통하여 유기되는 전류를 유도하고 이는 방전부를 통하여 외부의 접지 등을 통하여 방전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To this end, a current is induced through the film portion 210, or more precisely the bypass line 220, where the absorption layer is a conductor, which provide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ischarged through an external ground or the like through a discharge por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부(210)는 모바일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고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방전부가 모바일장치(10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portion 21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covers most of it, it is not appropriate that the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따라서, 상기 방전부는 전면 외에 면적이 보장될 수 있는 모바일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관련하여서 더욱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및 도 4와 후술하도록 한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uni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which can ensure an area other than the front surface, and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한편, 본 발명은 필름부(210)를 통하여 전자기파의 전류에 의한 유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차폐필름에 비하여 차폐율 자체는 낮아도 더 높은 전자기파의 회피성능에 도달될 수 있다. 대부분의 전자기파에 의한 전류는 바이패스라인(220)으로 통전되는데, 따라서 필름부(210)와 바이패스라인(220)의 전기적인 연결의 확실성과 방전을 위한 후술될 방전부 등의 효과적인 접지가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electric current induc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the film part 210, higher electromagnetic wave avoidance performance can be attained even if the shielding rate itself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hielding film. Most of the electromagnetic wave is conducted to the bypass line 220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lm part 210 and the bypass line 220 and effective grounding of the discharging part Do.

필름부(210)의 바이패스라인(220)에 대한 연결관계를 위하여 상기 필름부(210)는 외주연에 가이드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부(211)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lm portion 21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211 on the outer circumference fo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film portion 210 with respect to the bypass line 220. The guide portion 211 may have a high conductiv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가이드부(211)는 광투과성과 터치감도 등을 고려하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대응되는 필름부(210)의 부위보다는 재질선택의 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가이드부(211)는 바이패스라인(220)과 연결성이 우수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은 웰딩(welding) 등의 다양한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The guide part 211 has a higher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a material than a part of the film part 210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art 110 considering light transmittance and touch sensitivity. Therefore, the guide part 21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nectivity with the bypass line 220, and various types of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methods such as welding may be considered.

도 3은 본 발명의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방전부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id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방전부(2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에서 흡수하여 전류로 변환한 전자기파를 바이패스라인(220)을 통하여 유입하여 접지 등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기능한다.The discharge unit 230 functions to discharge electromagnetic waves, which are absorbed from the front surface and converted into a current, through the bypass line 220 and discharged through a ground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방전부(230)는 별도의 접지라인을 통하여 기구 등에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접지로서 유기되는 전자기파의 방전을 위하여 기능할 수 있는데, 상기 접지는 인체의 부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discharge unit 230 may be connected to a device or the like through a separate ground line and function to discharge electromagnetic waves induced as a ground through the device. The ground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 part of the human body.

이와 관련되어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100)는 소형화, 박형화 및 경량화되는 추세에 따라 방전부(230)의 배치에 있어서의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후술될 바와 같은 신체와의 접촉성을 고려하면 소정의 면적을 확보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방전부(230)는 대략 필름부(210)의 배치에 반대되는 모바일장치(100)의 부위인 후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100 has a limitation in the disposition of the discharge unit 230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downsizing, thinning, and weight. Particularly, considering a contact with the body as described lat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predetermined area. For this purpose, the discharge part 2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As shown in Fig.

이러한 방전부(230)는 대략 전체적으로 전후방으로 얇은 박형의 판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사항에서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나타났으나 이러한 외관의 형태는 선택적이다.The discharging unit 230 may be formed as a thin and thin pl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s a whole, and an example of a rectangle is shown in the drawing. However, the shape of the discharging unit 230 is optional.

또한, 상기 방전부(230)와 필름부(210)의 연결은 바이패스라인(22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이패스라인(220)은 상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이나 저면 등의 외면을 따라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discharge unit 230 and the film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ypass line 220. The bypass line 220 may be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such as a side surface or a bottom surface, The connection is made.

다만, 미관을 고려하면, 상기 필름부(210), 방전부(230) 및 바이패스라인(220)은 모바일장치(100)의 외면을 감싸는 어느 정도의 경성을 가지는 케이싱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However, considering the beauty, it is conceivable that the film part 210, the discharge part 230, and the bypass line 220 are configured as casings having a certain degree of hardness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have.

또한, 내구성을 고려하여 상기 바이패스라인(220) 역시 박형의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lso,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the bypass line 220 may be formed in a thin film form.

도 4는 상술된 방전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charge unit described above.

상기 방전부(230)는 모바일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름부(210)에 의하여 흡수되어 전류로 변환된 전자기파를 방전하도록 기능한다.The discharge unit 230 functions to discharge the electromagnetic wave absorbed by the film unit 21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converted into a current.

이를 위하여, 소정의 접지에 연결되거나 인체의 부위에 접촉되어 방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For this purpose, the discharge can be performed by being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ground or by touching a part of a human body as described above.

필름부(210)에 일단측이 연결되는 바이패스라인(220)의 타단측은 방전부(230)에 연결되며, 이러한 방전부(230)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는 재질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end of the bypass line 2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lm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230. The discharge unit 230 preferably includes two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바이패스라인(220)은 대략 횡방향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제1방전부재(2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ypass line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member 240 disposed on the substantially transverse center side.

이러한 제1방전부재(240)는 전도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모바일장치(100)의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모바일장치(100)가 손에 의하여 파지되는 특성상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first discharging member 24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pparatus of the mobile device 100.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24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he nature of being gripped by the han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2방전부재(231)는 상기 제1방전부재(240)의 외주연의 최소한의 일부분 또는 대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모바일장치(100)의 장치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방전부(230)의 전체적인 외관을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member 231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apparatus of the mobile device 100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r the majority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discharge member 240, ) Can be determined.

이때, 상기 제2방전부재(231)와 제1방전부재(240)의 재질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는 전류의 유도 성능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유전율(permittivity)을 가지는 재질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방전부재(240)는 금속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고, 제2방전부재(231)는 고무, 세라믹 또는 카본이나 그 합성물을 포함하는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31 and the first discharge member 240 may be formed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permit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induction performance of the current, and more precisely, desirable. For example, the first discharge member 2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23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cluding rubber, ceramic, or carbon or a compound thereof. However, no.

이러한 제2방전부재(231)는 추가적으로 소정의 접지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지라인(250)을 통하여 외부의 장치나 기구와 연결되거나 인체의 부위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second discharge member 231 may further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ground or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or mechanism through a separate ground line 250 or may be connec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또한, 상기 방전부(230) 전체가 모바일장치(100)의 배면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인체의 팔이나 다리와 같은 부위에 부착되거나 밴드형태로서 감싸도록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discharge unit 23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so that the discharge unit 230 may be attached to a part such as an arm or a leg of a human body or may be wrapped in a band shape.

또한, 별도의 밴드나 부착물과 같은 별도의 장치로서의 방전부재(미도시)가 접지라인(250)을 통하여 제2방전부재(231)와 연결되어 접지로서 기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discharging member (not shown) as a separate device such as a separate band or an attachmen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ing member 231 via the ground line 250 to function as a ground.

이 경우 유기되는 전자기파에 의한 전류는 일부 인체를 통하여 방전되는데, 이러한 전류는 머리측에 직접 전자기파가 방출되는 경우보다 안전성 면에서 문제되지 않을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that is induced is discharged through a part of the human body, and such a current can be understood to be a safety problem rather than a case where electromagnetic waves are directly emitted to the head side.

다른 실시예로서, 경우에 따라 상기 방전부(230)가 모바일장치(100)의 배면에 결합되어 파지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의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discharge unit 230 is grounded by a finger or palm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unit 230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held.

상기된 제1방전부재(240)는 전도성이 보다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이패스라인(220)와 직결된 상태로서, 종방향으로 긴 형태의 연장부(242)와 연장부(242)의 상단측에 배치되고 최소한 일부의 폭이 연장부(242)보다 넓게 형성되는 링부(241)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ischarging member 2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conductivity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220. The first discharging member 240 has an elongated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end 242 of the extended portion 242 And a ring portion 241 that is disposed at least in part of the width and is formed wider than the extension portion 242.

이러한 링부(241)는 대략 원형 내지는 도넛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되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의 경우 대략 파지하는 손의 검지 손가락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서 방전부(230)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The ring portion 241 is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or a donut shape, and may be formed at an appropriate portion in consideration of a contact portion of the finger to be gripp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matter is formed on the center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230 at a height at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index finger of the hand holding the finger can be contacted.

이러한 링부(241)를 중심으로 인체와 접촉을 고려하면, 상기 연장부(242)의 외면은 절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Considering the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round the ring portion 241,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242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에 의하여, 종래에 단순히 스마트폰 등의 일부의 부위에서 전자파의 차폐능만을 제공하였음에 반하여 전자파를 흡수하고 전류로서 유기하여 접지로 방출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인체보호성능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wave protection mechanism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only a shielding fun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is provided at a part of a smart phone, while the electromagnetic wave is absorbed and emitted as a current to the ground A better human body protection performance can be provided.

이를 위하여 최근의 모바일장치의 구조와 형상에 최적화된 필름부와 방전부의 배치를 가지고 경우에 따라 인체를 통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성과 모바일장치의 사용상 편리성이 보장되면서도 인체에 도달되는 전자파를 저감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film part and the discharge part which are optimized for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mobile device in recent years, and in some cases, grounding is performed through the human body, thereby ensuring the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function of reducing or block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모바일장치 110...디스플레이부
210...필름부 211...가이드부
220...바이패스라인 230...방전부
231...제2방전부재 240...제1방전부재
241...링부 242...연장부
250...접지라인
100 ... mobile device 110 ... display portion
210 ... film portion 211 ... guide portion
220 ... Bypass line 230 ... Discharge part
231 ... second discharge member 240 ... first discharge member
241 ... ring portion 242 ... extension portion
250 ... ground line

Claims (7)

모바일장치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측으로 방출되는 전자파가 전류로 유기되는 필름부(210); 및
모바일장치의 전면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고 필름부에 바이패스라인(220)으로 연결되어 유기되는 전자파를 방전하도록 하는 방전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부는,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제1방전부재 및 제2방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A film unit 210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adapted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orward; And
And a discharge unit 230 disposed at a portion other than a front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connected to the film portion by a bypass line 220 to discharge electromagnetic waves to be induced,
The discharge unit
Wherein the first discharge me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member have different dielectric const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디스플레이부(110) 광투과성을 가지는 부위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바이패스라인과 연결되는 가이드부(2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m portion
And a guiding part (211)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of the display part (110) and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모바일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Wherein the electromagnetic device i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전부재는,
제1방전부재의 외주의 최소한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ischarge memb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discharge member is surrounded by the first discharge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전부재는,
외부와 연결되는 접지라인(250)을 통하여 유기되는 전류를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ischarge member
And discharges a current induced through a ground line (250) connect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부재는,
바이패스라인과 연결되는 연장부(242)와, 파지되는 손의 부위에 접촉되어 필름부로부터 유도된 전류를 방전하도록 하는 링부(2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장치의 전자파 보호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charge member
An extension part (242)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and a ring part (241) contacting the part of the hand held and discharging a current induced from the film part.
KR1020140195286A 2014-12-31 2014-12-31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7095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86A KR101709548B1 (en) 2014-12-31 2014-12-31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286A KR101709548B1 (en) 2014-12-31 2014-12-31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41A KR20160081441A (en) 2016-07-08
KR101709548B1 true KR101709548B1 (en) 2017-02-23

Family

ID=5650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286A KR101709548B1 (en) 2014-12-31 2014-12-31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54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484A (en) 1998-07-14 2000-01-28 Matsushita Electron Corp Image display device
KR200216783Y1 (en) * 2000-02-08 2001-03-15 김재영 Intercept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wav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772A (en) * 2009-06-04 2010-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120079557A (en) * 2011-01-05 2012-07-1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Magnetic sheet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484A (en) 1998-07-14 2000-01-28 Matsushita Electron Corp Image display device
KR200216783Y1 (en) * 2000-02-08 2001-03-15 김재영 Intercepting device for electromagnetic w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41A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062B1 (en)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666289B2 (en) Electronics
KR100977659B1 (en) Appratus,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US20150062853A1 (en) Touch screen having integrated nfc antenna
US11231749B2 (en) Cover accessory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and/or computer apparatus, and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n accessory device
CN105706020B (en) Protective accessory device for an electronic or computer apparatus and apparatus provided with such an accessory device
JPH06511341A (en) Printed conductive ink electrostatic shield for electromagnetic digitizers
CA2854365A1 (en) Protective cover for a wireless device
CN110633031A (en)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NFC antenna and display device
JP2014526800A (en) RF shielding for mobile devices
KR102114566B1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WO2015025152A1 (en) Placement of an antenna in a wrist worn device
TW201214478A (en) Electronic device
US8921709B2 (en) RF shielding for mobile devices
JP2014500637A (en) Wireless terminal
KR101709548B1 (en) Electro-magnetic shiel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N106664786B (en) Electrostatic surge prevents from constructing
CN106708298B (en) Touch panel and joint structure thereof
KR102332821B1 (en) digitizer and portabl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3047937A (en) Light shield unit, input unit, display unit, and electronic device
KR101186834B1 (en) Protecting cover for mobile phone
TWI504945B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display panel
TW201706784A (en) Touch pad and circuit board of the touch pad
JP4242723B2 (en) Electronic equipment
GB2517421A (en) A layered display unit with antenna for a wrist wor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