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545B1 -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 Google Patents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545B1
KR101709545B1 KR1020160112327A KR20160112327A KR101709545B1 KR 101709545 B1 KR101709545 B1 KR 101709545B1 KR 1020160112327 A KR1020160112327 A KR 1020160112327A KR 20160112327 A KR20160112327 A KR 20160112327A KR 101709545 B1 KR101709545 B1 KR 10170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nozzle
lane
diffuser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오
Original Assignee
태광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태광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6011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5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01C23/2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spraying of interrupted, individual or variable mark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05C5/0229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the valve being a gate valve or a sliding valve
    • B05C5/023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the valve being a gate valve or a sliding valve rotating valve, e.g. rotating perforated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before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ffuser nozzle to evenly discharge a lane paint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a vehicle having a paint tank accommodating a lane paint, and applies the lane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o a road to efficiently construct a lane and various types of lanes in a lump by evenly and repeatedly discharging the lane paint by dividing a discharge route in accordance with a lane type of the road. The diffuser nozzle to discharge the lane paint comprises: a nozzle main body including an inlet in an upper part in order for the paint to be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and a storage space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wherein the nozzle main body has an outlet capable of discharging the paint in a lower part; a plurality of paint diffuser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nozzle main body dividing the storage space into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front and rear parts, wherein the plurality of paint diffusers disperse and move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 in order; and a paint nozzle unit installed in the nozzle main body to control discharge of the paint towards the outlet by opening and closing, and enabling a different type of land road widths to be constructed on a front and rear.

Description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0001]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0002]

본 발명은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차선유형에 따라 토출경로를 구분하되 차선도료를 반복해서 균일하게 분산 토출하여 다양한 유형의 차선을 일괄적으로 시공함과 동시에 차선을 효율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가능한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enser nozzle for uniformly discharging lacquer pa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enser nozzle for dispensing a lacquer paint uniform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ffuser nozzle for homogeneous discharge of a lane paint capable of efficiently constructing a lane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차선은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간격 등의 식별을 위하여 띠 모양으로 표시토록 도로에 시공되는 것으로서, 도로 위에 그려진 규칙인 만큼 그 모양과 색깔 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차선의 의미에 맞게 황색 및 백색, 청색 등의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그 모양도 실선 또는 점선 등으로 구분하여 노면에 표시토록 시공하게 된다.Generally, the lane is constructed on the road so as to be displayed in a band shape for identification of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running distance of the vehicle. The lane is a rule drawn on the road, so it has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its shape and color. It is divided into colors such as yellow, white, and blue, and it is divided into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예를 들면 차선은 도로에 차량의 주행방향을 서로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의 중심선 상에 2중 황색실선으로 도색 표시(중앙선)하고, 주행차량에 대한 차로와 차로를 구분하되 차로간에 진로변경의 방향이 제한되는 구간을 백색실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일반주행차선)하거나, 차로간에 진로변경과 진입이 허용되는 구간을 백색점선으로 경계를 도색 표시(추월차선)하게 된다. 나아가 차선에는 도로를 보행자가 횡단할 수 있는 영역으로 횡단 보도를 도색 표시하되 일반주행차선에 비해 폭이 넓게 도색하여 표시하고 있다.For example, a lane is painted (solid line) with a double yellow solid line on the center line of a road so as to separate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road, and a lane and a lane for the lane are separated, The boundaries are painted with a white solid line (general driving lane) or the boundary between the lanes is changed to a white dotted line (passing lane). Furthermore, in the lane, the crosswalk is painted in the area where the pedestrian can cross the road, but is paint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general lane.

이러한 차선은 도로의 노면에 주간은 물론 야간 또는 우천시까지 운전자의 차선 식별이 용이할 수 있게 도료를 사용하여 도색시공하는 차선 시공장치를 사용하게 된다.Such a lane will use a lane-setting apparatus that paints and paints using the paint so that the lane of the driver can be easily identified on the road surface during the daytime as well as during the daytime or rainy day.

여기서 차선 시공장치는 차량이 이동하는 주행노면을 따라 자동으로 도료를 분사 및 살포할 수 있게 제작된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나 색상의 도료를 이용하거나 열가소성 수지를 용융하여 띠 형상으로 살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나아가 차선 시공장치에는 차선의 시인성 향상을 위하여 빛의 반사율이 뛰어난 글라스 비드(bead)를 차선 위에 살포하므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명 빛의 재귀반사를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선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시공하게 된다.Here, the lane installa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spray and spray paint along the traveling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It can be used in various types or colors of paints or by melting the thermoplastic resin and spraying it in a strip shape . Furthermore, since the lane-keeping device applies a glass bead having excellent reflectance of light on the lane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lane,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lane with the naked eye by utilizing the reflex reflection of the illumination light by the vehicle's headlight It will be constructed.

그런데 기존의 차선 시공장치는 도료가 담긴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의 노면에 도료를 도포하였으나, 항시 차량이 지나다니는 도로에서 수작업에 의한 차선을 시공함에는 교통체증이나 사고의 위험성을 초래하고, 작업이 늦어 시공공기가 길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lane construction equipment applied the paint on the road surface while the operator dragged the transportation means containing the paint all the time, but when constructing the lane by manual operation at the road where the vehicle always passes, there is a risk of traffic congestion or accident And the work is delayed, so that the construction air is lengthen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21510호(2007.05.17.)에는 도료탱크와 글라스비드탱크가 탑재된 차량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동하면서 도로에 차선을 그리는 융착식 도색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이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차량의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프레임과, 이 슬라이딩프레임의 하측에 힌지핀을 구비한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에 수직프레임으로 연결되어 도료분사기와 글라스비드분사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상기 도료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도료분사노즐과, 이 도료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도료분사실린더로 구성된 도료분사기; 이 도료분사기의 후방에 위치되며 글라스비드탱크와 연결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노즐과, 이 글라스비드분사노즐의 상측에 결합되는 글라스비드분사실린더로 구성된 글라스비드분사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수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방지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지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이 공지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ior art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721510 (2007.05.17.)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aint tank and a glass bead tank, 1. A fusing type paint car to be painted, comprising guid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 sliding frame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slidably coupl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connection frame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liding frame by a link provided with a hinge pin, A fram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paint sprayer and the glass bead ejector; A paint sprayer comprising a paint spray nozzl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aint tank, and a paint spray cylinder coupled to the paint spray nozzle above the paint spray nozzle; A glass bead injection nozzle which is located behind the paint sprayer and connected to the fram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glass bead tank and a glass bead injection cylinder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glass bead injection nozzle, A spray paint vehicle is known which can prevent the danger caused by the spray paint and to allow the work to proceed quickly.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56591호(2010.05.28.)에는 용융된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의 도료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사노즐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 유닛; 상기 실린더 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중심에 내통되도록 용융된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구와 상기 도료 유입구와는 격리되어지되 가열된 압축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유입구 및 상기 가열압축공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가열압축공기 노즐이 형성된 도료공급유닛; 상기 도료공급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도로면으로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도료분사구가 형성된 도료분사유닛; 상기 도료공급유닛과 도료분사유닛 사이에 설치되어지되 상하로 관통된 노즐공의 개폐에 의해 상기 도료공급유닛을 통해 유입된 도료가 상기 도료분사유닛의 도료분사구로 분사되도록 하는 라운드 노즐;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일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실린더 유닛의 압축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라운드 노즐을 개폐시키는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 및 상기 실린더 유닛의 내부 타측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도료제어 피스톤 유닛의 승강작용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도료공급유닛의 가열압축공기 노즐을 개폐시키는 가열압축공기 제어 피스톤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도로면과의 도료 접착성이 보다 향상되어 차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용 도료분사노즐이 공지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56591 (May 28, 2010) discloses a paint spray nozzle for a spray-type spray painted vehicle in which a molten paint is sprayed onto a road surface, wherein the paint spray nozzle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cylinder unit having a compressed air inlet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flow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pressurized air;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pressurized air;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heating unit;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heating unit; A paint supply unit in which a heated compressed air nozzle for discharging compressed air is formed; A paint spraying uni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nt supply unit and having a paint spraying port for spraying paint onto a road surface; A round nozzle disposed between the paint supply unit and the paint spray unit for spraying the paint introduced through the paint supply unit into the paint spray port of the paint spray unit by opening / closing a nozzle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A paint control piston unit installed vertically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cylinder unit and being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by compressed air introduced through a compressed air inlet of the cylinder unit to open and close the round nozzle; And a heating compressed air control piston unit mounted vertic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cylinde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eated compressed air nozzle of the painting material supply unit by being operated in the same direction by an elevating action of the paint control piston unit A paint spray nozzle for a spray painting vehicle is known which is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paint adhesion to a road surface and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a lane.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등록특허공보 제721510호 및 공개특허공보 제56591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도료분사노즐의 구조가 항상 동일한 양의 도료만을 단순히 분사시킬 수 있게 구성되기 때문에 도료의 무분별한 분사로 인해 일반적인 차선(실선)만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작업이 극히 제한적이며, 차선 중에서 45㎝의 폭을 갖는 광폭 차선(횡단 보도선)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시공장치를 교체적용하거나 시공차량의 반복운행에 따른 시공방식을 적용해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공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시공공기가 상당히 지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rts, in the case of the registration 721510 and the publication 56591, since the structure of the paint spraying nozzle is alway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same quantity of paint is always sprayed, In the case of a wide lane (crosswalk line) having a width of 45 cm in the lane, a separate dedicated construction device may be alternatively applied or a repeated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vehicle may be carried o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is very troublesome, the workability of the work is remarkably decreased, and the construction air is considerably delayed.

또한 종래 시공장치의 도료분사노즐의 경우에는 단순히 개폐조작에 따른 분사구조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즐 내 공급원료를 그대로 분사시켜 도료의 불균일한 분사현상을 유발하고, 그에 따른 차선의 시공품질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paint spraying nozzle of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apparatus, since only the spray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injection material in the nozzle is sprayed as it is to cause uneven spraying phenomenon of the paint, There was a problem.

KR 등록특허공보 제10-0721510호 (2007.05.17.)KR Patent Registration No. 10-0721510 (2007.05.17.)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56591호 (2010.05.28.)KR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6591 (2010.05.2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즐 내 공급도료를 분사범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분산시킨 후 도료가 토출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차선도료를 균일하게 분산 토출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높일 수 있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coating material in a nozzle by sequentially dispersing the coat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enser nozzle for homogeneous dispensing of a lacquered pain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선시공시 다른 폭을 갖는 다양한 유형의 차선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서로 다른 차선유형별 일괄적인 시공을 도모하여 시공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높이고, 노즐 내 차선유형별 도료의 공급경로를 구획 구분하여 차선별 시공성을 높일 수 있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struct various types of lanes having different widths when constructing a lane,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and speed of construction by providing different lane types for different lane type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ffuser nozzle for homogeneous discharge of a lacquer paint which can improve the workability of each lane by dividing the path.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은 차선도료를 수용저장한 도료탱크가 장착된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도포하는 차선도료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될 수 있게 유입구를 구비하되 내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가능한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저장공간 내 설치되되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 전후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순차적으로 분산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도료디퓨저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향한 도료의 토출 여부를 개폐제어할 수 있게 구비하되 전후로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을 시공가능하게 구성하는 도료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iffuser nozzle for homogeneously discharging a lacquer pain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cquer paint discharging diffuser which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aint tank for containing a lane paint and discharges the lane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o the road surface The nozzle has a storage space capable of recei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and having an inlet so that the paint can be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o an upper portion of the nozzle, A nozzle body for forming the nozzle body; A plurality of paint diffuser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nozzle body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up and down and sequentially distributing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s; And a paint nozzle unit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f the paint toward the discharge port, the paint nozzle unit being configured to be able to apply different types of lane application widths before and after.

상기 노즐본체에는 벽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 도료의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매체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예열순환로를 구비한다.The nozzle body has a preheating circulation path formed inside the wall and forming a circulation path of the heating medium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paint in the storage space.

상기 도료디퓨저는 상기 노즐본체 내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분구획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1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다공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디퓨저와, 상기 제1디퓨저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도료를 2차적으로 분산시키되 상기 도료노즐부의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에 대응하여 구분된 분산 폭을 갖는 분산유공을 형성하는 제2디퓨저와, 상기 도료노즐부 상에 구비되고 도료를 3차적으로 분산시키되 상기 도료노즐부의 도포 폭 영역 내 장방형 분산유공을 형성하는 제3디퓨저를 구성한다.Wherein the paint diffuser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first diffusers which are installed to divide the storage space in the nozzle body up and down and have a porous structure so that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s can be primarily dispersed, A second diffuser for dispersing the paint secondarily and forming a dispersion hole having a dispersion width corresponding to different lane application widths of the different types of paint nozzle parts, And forms a third diffuser that forms a rectangular dispersion hole in the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nozzle portion.

상기 제2디퓨저는 상기 노즐본체의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분구획하고 상기 분산유공이 형성되는 도료분산격판과, 상기 도료분산격판의 하부에 상기 도료노즐부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상기 도료노즐부를 향한 도료의 공급영역을 전후로 구분구획하게 형성하는 도료칸막이를 구비한다.Wherein the second diffuser comprises a paint dispersion diaphragm for dividing the storage space of the nozzle body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forming the dispersion holes, a paint dispersion diaphragm extending toward the paint nozzl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nt dispersion partition, And a supply compartment formed to partition the supply region in the front and rear.

상기 제2디퓨저의 도료분산격판은 상기 도료칸막이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차선 중 광폭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평판구간과, 상기 평판구간을 기준으로 상측 경사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차선 중 일반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경사판구간을 형성한다.Wherein the paint distribution diaphragm of the second diffuser includes a flat plate sec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nt partition and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section for coating a wide lane in the lane, And forms a swash plate section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section for applying a common lane in the lane.

상기 도료분산격판의 경사판구간은 상기 평판구간을 기준으로 10~15°의 경사각을 형성한다.The swash plate section of the paint dispersion diaphragm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10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plate section.

상기 제2디퓨저에는 상기 도료칸막이 상에 구비되고 일반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에 대응하여 도료의 공급영역을 구분구획하는 보조칸막이를 형성한다.The second diffuser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partition provided on the paint partition and partitioning the supply region of the paint in correspondence with the paint nozzle portion for applying the ordinary lane.

상기 제3디퓨저는 상기 도료노즐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도료의 도포 폭 영역 내 복수 개의 상기 장방형 분산유공이 배열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도료노즐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도료의 도포 폭 영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상기 장방형 분산유공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로 구성한다.Wherein the third diffuser comprises: an upper plat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aint nozzl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dispersion holes arranged in a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and an upper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aint nozzle portion and having a length And a lower plate for forming the rectangular dispersion holes.

상기 도료노즐부는 상기 노즐본체의 토출구에 대응하여 매립 설치되는 노즐브라켓과, 상기 노즐브라켓 상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개폐를 위한 복수 개의 토출관통공을 형성하는 노즐바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바에 대응하여 회전시키되 도료의 도포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개폐구동수단을 구성한다.Wherein the paint nozzle portion includes a nozzle bracket buried in correspondence with a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body, a nozzle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nozzle bracket and forming a plurality of discharge through hol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an opening / closing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nozzle bar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zzle bar and controlling whether the coating material is applied or not.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여 동력을 인가하되 상기 로드의 한쪽 선단에 래크부재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래크부재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부재를 구비한다.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means comprises a drive cylinder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pply power to the rod and having a rack member at one end of the rod, And a pinion member installed at one end of the nozzle bar and converting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cylinder into rotational motion of the nozzle bar.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급도료를 분사영역 내 고르게 순차적으로 분산 이동시키면서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을 선택적으로 시공하므로, 차선도료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토출하여 도료 도포량의 편중시공을 방지한 채 균일한 두께 및 형상을 갖는 차선의 시공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According to the diffuser nozzle for dispensing lane paint uniform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ly applied lane application widths are selectively applied while sequentially and uniformly dispersing the supply paint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injection area, the lane paint is uniformly discharged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of the lane having the uniform thickness and shape while preventing the uneven application of the paint application amoun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은 노즐 내 분산이동경로를 구간별로 구획하면서 차선 유형별 도료의 분산이동영역을 서로 구분되게 구획하므로, 차선 유형에 맞는 도료의 토출 조건대로 장비를 운용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enser nozzle for homogeneous dispensing of lacqu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dispersion moving path of the coating material for each lane type by dividing the dispersion moving path in the nozzle into sections, the apparatus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dispensing conditions of the paint suitable for the lane type So that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lan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은 광폭차선 및 일반차선의 시공을 위한 도료의 분산이동경로 중 2차 분산구간에서 평판구간 및 경사판구간으로 구분시키므로, 서로 다른 차선 유형별 도료의 분배량을 균일하게 조절하여 도료 토출에 따른 시공균형 및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diffuser nozzle for homogeneously discharging lacquer p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ate section and a swash plate section in the secondary dispersion section of the dispersing movement path of the paint for wide lane and general lane constru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workability and balance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discharge of the pai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2디퓨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2디퓨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제3디퓨저의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도료노즐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개폐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diffuser in an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of a second diffuser in one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plan views showing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of a third diffuser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int nozzle portion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n / close driving mean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선도료를 수용저장한 도료탱크가 장착된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도포하는 차선도료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될 수 있게 유입구를 구비하되 내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가능한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저장공간 내 설치되되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 전후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순차적으로 분산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도료디퓨저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향한 도료의 토출 여부를 개폐제어할 수 있게 구비하되 전후로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을 시공가능하게 구성하는 도료노즐부;를 포함하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ne paint dispensing diffuser nozzle for spraying a lane paint supplied from a paint tank a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aint tank containing a lane paint toward a road surface, A nozzle body having an inlet for supplying the paint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herein and form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paint to the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paint diffuser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nozzle body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up and down and sequentially distributing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s; And a paint nozzle unit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configured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f the paint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pply different types of lane application widths to the front and back, The nozzle is characterized by its technical construc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Nex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iffuser nozzle for homogeneous laminating p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선도료를 수용저장한 도료탱크가 장착된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도포하는 차선도료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있어서, 노즐본체(10)와, 도료디퓨저(20)와, 도료노즐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S. 1 to 3, a diffuser nozzle for dispensing lane paint uni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aint tank containing and storing lane paint, The dispenser for dispensing a lane paint for dispensing a lane paint toward a road surface comprises a nozzle body (10), a paint diffuser (20), and a paint nozzle section (30).

상기 노즐본체(10)는 상기 도료디퓨저(20) 및 상기 도료노즐부(30)의 구성들이 개개의 기능을 구동할 수 있게 지지하며, 내부에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nozzle body 10 supports the respective functions of the paint diffuser 20 and the paint nozzle unit 30 so as to drive individual functions and functions to receive and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paint therein.

상기 노즐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차선도색을 위한 차량에 장착되되 상기 도료탱크(도면에 미도시)로부터 도료가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 유입구(11)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nozzle body 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An upper portion of the nozzle body 10 is mounted on a vehicle for lane marking, and paint is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not shown) And has an inlet 11 with a connected structure.

상기 노즐본체(10)에는 내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13)을 구비한다.The nozzle body 10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13 which can receive a predetermined amount of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hrough the inlet 11.

상기 노즐본체(10)의 저장공간(13)으로 유입된 도료는 노면에 차선을 시공가능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형성한다. 즉 상기 노즐본체(10)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열매체(예를 들면, 물, 오일 등)가 순환공급될 수 있게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The paint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13) of the nozzle body (10) is formed so as to keep the lane on the road surface at a workable temperature. That is, the nozzle body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heating medium (for example, water, oil, etc.) is circulated and su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에서 열매체는 충분히 가열된 상태로서, 항시 설정온도(240℃정도)로 가온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본체(10)를 향해 공급될 수 있게 형성한다.In this case, the heating medium is sufficiently heated so as to be supplied toward the nozzle body 10 in a state of being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bout 240 ° C).

상기 노즐본체(1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매체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순환경로인 예열순환로(17)를 형성한다. 즉 상기 예열순환로(17)는 상기 노즐본체(10) 내 저장공간(13)의 벽면을 따라 열매체가 순환될 수 있는 경로로서, 상기 노즐본체(10)의 벽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3) 내 수용된 도료의 온도를 가온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구비한다.The nozzle body 10 is formed with a preheating circulation path 17 as a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a heating medium su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preheating circulation path 17 is a path through which the heating medium can circulate along the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3 in the nozzle body 10 and is formed inside the wall surface of the nozzle body 10, )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aint accommodated therein can be maintained in a warmed state.

상기 노즐본체(10)에는 상기 예열순환로(17) 내에 열매체가 지그재그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격판(19)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형성하므로, 상기 노즐본체(10)의 저장공간(13)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nozzle body 10 is formed with guide partition plates 19 for guiding the heating medium to move in a staggered manner in the preheating circulation path 17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Can be uniformly warmed as a whole.

상기 노즐본체(10)에는 하부에 상기 저장공간(13) 내 수용된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5)를 형성한다.The nozzle body 10 has a discharge port 15 at a lower portion thereof for discharging the paint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13.

상기 토출구(15)는 상기 도료노즐부(30)에 대응하여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개구된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기 노즐본체(10)의 저장공간(13)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어 도료가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반면, 노면을 향한 도료의 토출은 상기 도료노즐부(30)를 통해 이뤄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15)는 상기 도료노즐부(30)가 장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형성한다.Since the discharge port 15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opened to extend horizontal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unit 30, the storage space 13 of the nozzle body 10 is opened, The discharge port 15 is provided with a sufficient space for mounting the paint nozzle unit 30 as the discharge of the paint toward the road surface is performed through the paint nozzle unit 30, .

상기 도료디퓨저(20)는 상기 노즐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극히 한정된 통로로 유입된 도료를 상기 저장공간(13) 내 전체면적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int diffuser 20 uniformly disperses the pai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of the nozzle body 10 into the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storage space 13.

상기 도료디퓨저(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의 저장공간(13) 내 설치되되 상기 저장공간(13)을 상하 전후로 구분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노즐본체(10)의 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된 도료가 상기 토출구(15)를 향해 이동되기까지 도료를 3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분산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3, the paint diffuser 2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the nozzle body 10 so as to partition the storage space 13 up and down. The nozzle body 10, The paint is sequentially dispersed and moved three times until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 of the discharge port 11 is mov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5.

상기 도료디퓨저(20)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된 도료에 최초접촉하는 제1디퓨저(21)와, 상기 제1디퓨저(21)로부터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디퓨저(23)와, 상기 도료노즐부(30)를 통해 도료를 도포하는 작업과정에서 접촉하는 제3디퓨저(27)로 구성한다.The paint diffuser 20 includes a first diffuser 21 for initially contacting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 and a second diffuser 23 located below the first diffuser 21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diffuser 21, And a third diffuser (27)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aint nozzle unit (30)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aint through the paint nozzle unit (30).

상기 제1디퓨저(21)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1차적으로 분산이동시키는 구조로서,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본체(10) 내 저장공간(13)을 상하로 구분구획하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하여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된다.The first diffuser 21 is configured to disperse and move the coating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 in a planar shape and to vertically divide the storage space 13 in the nozzle body 10 And extends horizontally so as to form a horizontal state.

상기 제1디퓨저(21)는 도료를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15)를 향한 이동성을 갖도록 도료가 하향으로 흘러 이동될 수 있는 다공형 구조로 형성한다.The first diffuser 21 is formed in a porous structure in which the paint is dispersed and the paint flows downward so as to have mobility toward the discharge port 15.

상기에서 제1디퓨저(21)는 메쉬망 또는 다공판 구조로 적용하여 구성한다.The first diffuser 21 may be a mesh network or a porous plate structure.

상기 제1디퓨저(21)는 상기 노즐본체(10) 내 적어도 하나 이상(도 3에는 2개)을 구비토록 구성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층구조를 이룰 수 있게 구성한다.The first diffuser 21 is configured to have at least one or more nozzles (two nozzles in FIG. 3) in the nozzle body 10, and to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제2디퓨저(23)는 상기 제1디퓨저(21)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노즐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디퓨저(21)로부터 이동된 도료를 2차적으로 분산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한다.The second diffuser 23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diffuser 2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iffuser 21 and is disposed on the nozzle body 10. The second diffuser 23 primarily disperses the paint transferred from the first diffuser 21 So as to be movable.

상기 제2디퓨저(23)는 상기 도료노즐부(30)의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광폭차선 및 일반차선) 도포 폭에 대응하여 도료의 구분된 분산 폭을 갖는 분산유공(H1)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디퓨저(23)에는 상기 도료노즐부(30) 중 일반차선에 대응된 도료의 분산 폭을 갖는 분산유공(H1)과 상기 도료노즐부(30) 중 광폭차선에 대응된 도료의 분산 폭을 갖는 분산유공(H1)을 서로 구분하여 구비토록 형성한다.The second diffuser 23 forms a dispersion hole H1 having a divided dispersion width of the paint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widths of different types of lanes (wide lane and general lane) of the paint nozzle unit 30. [ For example, the second diffuser 23 is provided with a dispersion hole H1 having a dispersion width of a paint corresponding to a general lane of the paint nozzle unit 30 and a dispersion hole H1 having a distribution width corresponding to a wide lane of the paint nozzle unit 30. [ And the dispersion holes H1 having the dispersion width of the paint are separately formed.

상기에서 분산유공(H1)은 도료의 해당 분산 폭 범위 내에서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배치된 구조를 이룬다.In the above, a plurality of dispersion holes H1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arranged within the range of the dispersion width of the coating material.

상기 제2디퓨저(23)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디퓨저(21)에 이어 상기 노즐본체(10)의 저장공간(13)을 상하로 구분구획하고 상기 분산유공(H1)이 형성되는 도료분산격판(24)과, 상기 도료분산격판(24)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도료노즐부(30)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상기 도료노즐부(30)를 향한 도료의 공급영역을 전후로 구분구획하게 형성하는 도료칸막이(25)를 구비한다.4 and 5, the second diffuser 23 divides the storage space 13 of the nozzle body 10 up and down following the first diffuser 21 and divides the dispersion holes H1 And a supply region of the paint extending toward the paint nozzle unit 30 and directed toward the paint nozzle unit 3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nt dispersion partition plate 24, And a paint partition 25 formed so as to be divided into front and rear parts.

상기 도료분산격판(24)은 상기 도료칸막이(25)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디퓨저(21)와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평판구간(24a)과, 상기 평판구간(24a)을 기준으로 상측 경사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경사판구간(24b)을 형성한다.The coating material distribution partition plate 24 includes a flat plate section 24a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nt partition 25 and maintaining a parallel state with the first diffuser 21, And forms a swash plate section 24b extending toward the upper slope direction with reference thereto.

상기 평판구간(24a)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선 중 광폭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3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산유공(H1)이 상기 평판구간(24a)의 전체 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flat plate section 24a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unit 30 for coating a wide lane in a lane, and the dispersion hole H1 is formed in the entirety of the flat plate section 24a The width is continuously formed.

상기 경사판구간(24b)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선 중 일반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3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평판구간(24a)의 한쪽에 일반차선 폭과 대응되는 폭의 범위 내에서 상기 분산유공(H1)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As shown in FIG. 5,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unit 30 for coating a common lane in a lane.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at plate section 24a, And the dispersion holes H1 are continuously formed within a range of the width.

상기에서 분산유공(H1) 중 상기 평판구간(24a)에 형성된 분산유공(H1)은 상기 경사판구간(24b) 상에 형성된 분산유공(H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즉 상기 경사판구간(24b)에 형성된 분산유공(H1)의 직경을 상기 평판구간(24a)에 형성된 분산유공(H1)의 직경 대비 1/2~2/3의 크기로 형성하므로, 상기 분산유공(H1)을 통한 상호 공급유량을 상대적으로 균등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ersion hole H1 formed in the flat plate section 24a of the dispersion hole H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persion hole H1 formed on the swash plate section 24b. That is, the diameter of the dispersion hole H1 formed in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s formed to be 1/2 to 2/3 of the diameter of the dispersion hole H1 formed in the flat plate section 24a,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evenly adjust the mutual supply flow rate through the H1.

상기 도료분산격판(24)의 경사판구간(24b)은 상기 평판구간(24a)을 기준으로 10~15°의 경사각(α)을 이루도록 형성하므로, 상기 제1디퓨저(21)를 거쳐 공급된 도료가 상기 경사판구간(24b)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평판구간(24a) 쪽으로 집중되어 상기 제2디퓨저(23)를 거친 도료의 공급유량을 상대적으로 보다 균등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clined plate section 24b of the coating material distribution partition plate 24 is formed to form an inclination angle alpha of 10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lat plate section 24a.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ly flow rate of the pai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ffuser 23 relatively more evenly by concentrating toward the flat plate section 24a relative to the swash plate section 24b.

상기에서 경사판구간(24b)의 경사각(α)을 10°미만으로 형성하는 경우 도료 이동공급유량을 차별화하기 어려워 상기 경사판구간(24b)을 향한 도료의 유입량이 과다하여 도료의 분산효율 및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상기 경사판구간(24b)의 경사각(α)을 15°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료의 이동공급유량이 상기 평판구간(24a)에 편중되어 도료의 분산효율 및 작업성을 저하시킨다.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s less than 10 °,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supply flow rate of the paint movement, so that the inflow amount of the paint toward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s excessive, And when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s set to 15 degrees or more, the movement supply flow rate of the paint is biased to the flat plate section 24a, thereby deteriorating the dispersion efficiency and workability of the paint.

상기 제2디퓨저(23)에는 상기 경사판구간(24b)의 하부에서 상기 도료칸막이(25) 상에 구비되는 보조칸막이(26)를 형성한다.The second diffuser 23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partition 26 provided on the painting material partition 25 at a lower portion of the swash plate section 24b.

상기 보조칸막이(26)는 일반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30)에 대응하여 도료의 공급영역을 구분구획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보조칸막이(26)는 상기 도료분산격판(24) 중 경사판구간(24b)의 분산유공(H1)을 통해 한정된 영역 내로 공급된 도료가 구분수용될 수 있게 차단한다.The auxiliary partition 26 is formed so as to partition the supply region of the paint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unit 30 for applying the ordinary lane. That is, the auxiliary partition 26 blocks the paint supplied to the limited region through the dispersion hole H1 of the swash plate section 24b of the paint dispersion partition 24 so that it can be separated and accommodated.

상기와 같이 제2디퓨저(23)를 구성하게 되면, 광폭차선 및 일반차선의 시공을 위한 도료의 분산이동경로 중 2차 분산구간에서 평판구간(24a) 및 경사판구간(24b)으로 구분시키므로, 서로 다른 차선 유형별 도료의 분배량을 균일하게 조절하여 도료 토출에 따른 시공균형 및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diffuser 23 is divided into the flat section 24a and the swash plate section 24b in the secondary dispersion section of the dispersion path of the pain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ide lane and the general lan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djust the distribution amount of the paint for each of the different lane types to further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he balance of the work due to the paint discharge.

상기 제3디퓨저(27)는 상기 제2디퓨저(23)를 거쳐 이동된 도료를 3차적으로 분산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도료노즐부(30) 상에 구비토록 설치한다.The third diffuser 27 is installed on the paint nozzle unit 30 so that the paint moved through the second diffuser 23 can be dispersed and moved in a tertiary manner.

상기 제3디퓨저(27)는 상기 도료노즐부(30)의 도포 폭 영역 즉 상기 제2디퓨저(23)에서 상기 도료분산격판(24)의 평판구간(24a) 및 경사판구간(24b)의 분산유공(H1)에 각각 대응되는 폭 영역 내 장방형 분산유공(H2)을 형성한다.The third diffuser 27 is disposed in the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nozzle unit 30 or in the second diffuser 23 so as to form a dispersion hole 24a of the paint dispersion partition 24 and a dispersion hole 24b of the swash plate section 24b. (H2) in the widt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H1.

상기 제3디퓨저(27)는 상기 도료노즐부(30)를 기준으로 상/하단에 각각 구비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3디퓨저(27)는 상기 도료노즐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7a)와, 상기 도료노즐부(3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7b)를 구비한다.The third diffuser 27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aint nozzle unit 30 as a reference. That is, the third diffuser 27 includes an upper plate 27a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paint nozzle unit 30 and a lower plate 27b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paint nozzle unit 30. [

상기 상부플레이트(27a)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료의 도포 폭 영역 내 복수 개의 상기 장방형 분산유공(H2)이 배열배치된다.As shown in Fig. 6 (a), the upper plate 27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rectangular dispersion holes H2 arranged in the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상기 하부플레이트(27b)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료의 도포 폭 영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상기 장방형 분산유공(H2)을 형성한다. 즉 상기 하부플레이트(27b)에는 일반차선 토출용의 장방형 분산유공(H2)과 광폭차선 토출용의 장방형 분산유공(H2)을 구비토록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 (b), the rectangular dispersion hole H2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27b. That is, the lower plate 27b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dispersion hole H2 for discharging a common lane and a rectangular dispersion hole H2 for discharging a wide lane.

상기 도료노즐부(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본체(10) 내 저장공간(13)에서 상기 토출구(15)를 향한 도료의 토출 여부를 개폐제어할 수 있게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1 and 3, the paint nozzle unit 30 is provided on the nozzle body 10 and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the nozzle body 10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5 And performs a function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or not.

상기 도료노즐부(30)는 전후로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을 시공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도료노즐부(30)는 전방에서 일반차선을 도포할 수 있게 구성하면서 후방에서는 광폭차선을 도포할 수 있게 구성한다.The paint nozzle unit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pply different types of lane application widths to the front and back. That is, the paint nozzle unit 30 is constructed so as to be able to apply a normal lane in front and to apply a wide lane in the rear direction.

상기 도료노즐부(3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의 토출구(15)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노즐브라켓(31)과, 상기 노즐본체(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바(33)와, 상기 노즐바(33)에 대응하여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개폐구동수단(35)으로 구성한다.1 and 7, the paint nozzle unit 30 includes a nozzle bracket 31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15 of the nozzle body 10, A nozzle bar 33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rive means 35 for applying a rotational power corresponding to the nozzle bar 33.

상기 노즐브라켓(31)은 상기 토출구(15)에 대응하여 매립 설치하므로,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장비를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한다.Since the nozzle bracket 31 is buri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charge opening 15, the nozzle bracket 31 can prevent contact with the outside and protect the equipment.

상기 노즐바(33)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으며 상기 노즐본체(10)의 좌우 폭 방향에 연장형성된 환봉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nozzle bar 33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is formed into a round bar shap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nozzle body 10.

상기 노즐바(33)에는 상기 토출구(15)의 개폐를 위하여 노면을 향해 도료를 도포할 수 있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토출관통공(34)을 형성한다.A plurality of discharge through holes 34 are formed in the nozzle bar 33 so as to coat the paint toward the road surfa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penings 15.

상기에서 전후로 배치된 상기 도료노즐부(30)의 노즐바(33)는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일반차선 및 광폭차선)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폭의 상기 토출관통공(34)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The nozzle bars 33 of the paint nozzle unit 3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configured to form the discharge through holes 34 having a coating width for applying different types of lanes (normal lanes and wide lanes) do.

상기 개폐구동수단(35)은 상기 노즐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바(33)마다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토출구(15)를 통한 도료의 도포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상기 노즐바(33)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means 35 is provided on the nozzle body 10 and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o each nozzle bar 33 so as to control the coating of the paint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5, As shown in Fig.

상기 개폐구동수단(35)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노즐본체(10) 상에 설치되고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여 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실린더(36)와, 상기 노즐바(33)의 일단에 설치되는 피니언부재(38)로 구성한다.8, the opening / closing drive means 35 includes a driving cylinder 36 mounted on the nozzle body 10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pply power to the nozzle body 10, And a pinion member (38)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nion member (38).

상기 구동실린더(36)에는 상기 피니언부재(38)와 치합된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로드의 한쪽 선단에 래크부재(37)를 구비한다.The drive cylinder (36) is provided with a rack member (37) at one end of the ro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inion member (38).

상기 피니언부재(38)는 상기 구동실린더(36)의 래크부재(37)에 대응하여 상호 맞물림에 따라 상기 구동실린더(36)의 신장운동시 회전되어 상기 구동실린더(36)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33)에 대한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된다.The pinion member 38 is rotated during the extension motion of the drive cylinder 36 in accordance with the mutual engagement corresponding to the rack member 37 of the drive cylinder 36, Bar 33 as shown in Fig.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공급도료를 분사영역 내 고르게 순차적으로 분산 이동시키면서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을 선택적으로 시공하므로 차선도료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토출하여 도료 도포량의 편중시공을 방지한 채 균일한 두께 및 형상을 갖는 차선의 시공품질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diffuser nozzle for dispensing lane paint uni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different types of lane application widths are selectively applied while sequentially and uniformly distributing the supply paint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injection area,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of the lane having a uniform thickness and shape while preventing uneven application of the coating amount.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노즐 내 분산이동경로를 구간별로 구획하면서 차선 유형별 도료의 분산이동영역을 서로 구분되게 구획하므로, 차선 유형에 맞는 도료의 토출 조건대로 장비를 운용하여 차선의 시공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dispersed moving regions of the lacquer type into different sections while dividing the dispersion traveling path in the nozzle by intervals, the apparatus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conditions of the paint suitable for the lane type to improve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lane It is possib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iffuser nozzle for homogeneous dispensing of lane p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pecifications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노즐본체 11 : 유입구 13 : 저장공간
15 : 토출구 17 : 예열순환로 19 : 가이드격판
20 : 도료디퓨저 21 : 제1디퓨저 23 : 제2디퓨저
24 : 도표분산격판 24a : 평판구간 24b : 경사판구간
25 : 도료칸막이 26 : 보조칸막이 27 : 제3디퓨저
27a : 상부플레이트 27b : 하부플레이트 30 : 도료노즐부
31 : 노즐브라켓 33 : 노즐바 34 : 토출관통공
35 : 개폐구동수단 36 : 구동실린더 37 : 래크부재
38 : 피니언부재 α : 경사판구간 경사각
10: nozzle body 11: inlet 13: storage space
15: discharge port 17: preheating circulation path 19: guide diaphragm
20: paint diffuser 21: first diffuser 23: second diffuser
24: Diagram dispersion diaphragm 24a: Flat plate section 24b: Swash plate section
25: paint partition 26: auxiliary partition 27: third diffuser
27a: upper plate 27b: lower plate 30: paint nozzle part
31: nozzle bracket 33: nozzle bar 34: discharge through hole
35: opening / closing drive means 36: drive cylinder 37: rack member
38: Pinion member?: Slope section inclination angle

Claims (10)

차선도료를 수용저장한 도료탱크가 장착된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차선도료를 노면을 향해 토출 도포하는 차선도료 토출용 디퓨저 노즐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도료가 공급될 수 있게 유입구를 구비하되 내부에 상기 도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일정량의 도료를 수용가능한 저장공간을 구비하고, 하부에 도료를 배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저장공간 내 설치되되 상기 저장공간을 상하 전후로 구분 구획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순차적으로 분산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도료디퓨저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향한 도료의 토출 여부를 개폐제어할 수 있게 구비하되 전후로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을 시공가능하게 구성하는 도료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료디퓨저는, 상기 노즐본체 내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분구획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도료를 1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다공형 구조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디퓨저와, 상기 제1디퓨저의 하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도료를 2차적으로 분산시키되 상기 도료노즐부의 서로 다른 유형의 차선 도포 폭에 대응하여 구분된 분산 폭을 갖는 분산유공을 형성하는 제2디퓨저와, 상기 도료노즐부 상에 구비되고 도료를 3차적으로 분산시키되 상기 도료노즐부의 도포 폭 영역 내 장방형 분산유공을 형성하는 제3디퓨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A lane dispenser diffuser nozzle for dispensing lane paint supplied from a paint tank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paint tank containing lane paint toward a road surface,
A nozzle body hav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paint can be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aint supplied from the paint tank therein, Wow;
A plurality of paint diffuser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nozzle body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up and down and sequentially distributing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s;
And a paint nozzle unit provided on the nozzle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of the paint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pply different types of lane application widths before and after,
Wherein the paint diffuser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diffuser having a porous structure so as to divide a storage space in the nozzle body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to primarily disperse the paint supplied through the inlet, A second diffuser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diffuser to form a dispersion hole having a dispersion width corresponding to different lane application widths of different types of paint nozzle parts, And a third diffuser for dispersing the paint in a tertiary manner and forming a rectangular dispersion hole in a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nozzl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에는 벽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 내 도료의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된 열매체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는 예열순환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eheating circulation path formed inside the wall of the nozzle body to form a circulation path of the heating medium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paint in the storage sp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디퓨저는, 상기 노즐본체의 저장공간을 상하로 구분구획하고 상기 분산유공이 형성되는 도료분산격판과, 상기 도료분산격판의 하부에 상기 도료노즐부를 향해 연장형성되고 상기 도료노즐부를 향한 도료의 공급영역을 전후로 구분구획하게 형성하는 도료칸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iffuser comprises a paint dispersion diaphragm in which the storage space of the nozzle body is partition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dispersion holes are formed; a paint extending toward the paint nozzle por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paint dispersion partition, And a paint partition for partitioning the supply region of the lane dispensing apparatus uniformly i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디퓨저의 도료분산격판은, 상기 도료칸막이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차선 중 광폭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평판구간과, 상기 평판구간을 기준으로 상측 경사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차선 중 일반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경사판구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int dispersion diaphragm of the second diffuser includes a flat plate sec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int partition and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section for coating a wide lane in the lane, And a slope sec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lope sec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paint nozzle section for coating a common lane in the lan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료분산격판의 경사판구간은 상기 평판구간을 기준으로 10~15°의 경사각을 형성하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wash plate section of the paint dispersion diaphragm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10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lat plate s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디퓨저에는 상기 도료칸막이 상에 구비되고 일반차선 도포를 위한 상기 도료노즐부에 대응하여 도료의 공급영역을 구분구획하는 보조칸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diffuser includes an auxiliary partition provided on the paint partition and partitioning a supply region of the paint in correspondence to the paint nozzle portion for applying a common l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디퓨저는, 상기 도료노즐부의 상단에 설치되고 도료의 도포 폭 영역 내 복수 개의 상기 장방형 분산유공이 배열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도료노즐부의 하단에 설치되고 도료의 도포 폭 영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상기 장방형 분산유공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diffuser comprises an upper plat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paint nozzle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dispersion holes arrayed in a coating width region of the paint, and an upper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aint nozzle portion, And a lower plate which forms the rectangular dispersion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료노즐부는, 상기 노즐본체의 토출구에 대응하여 매립 설치되는 노즐브라켓과, 상기 노즐브라켓 상에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개폐를 위한 복수 개의 토출관통공을 형성하는 노즐바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바에 대응하여 회전시키되 도료의 도포 유무를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개폐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nt nozzle part comprises a nozzle bracket buried in correspondence with a discharge port of the nozzle body, a nozzle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nozzle bracket and forming a plurality of discharge through hol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And an opening / closing drive means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rot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ozzle bar so as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paint is appli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수단은, 상기 노즐본체 상에 설치되고 로드가 길이방향으로 신장운동하여 동력을 인가하되 상기 로드의 한쪽 선단에 래크부재를 구비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래크부재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상기 노즐바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직선운동을 상기 노즐바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선도료 균일 토출용 디퓨저 노즐.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means includes a drive cylinder mounted on the nozzle body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pply power to the rod and having a rack member at one end of the rod, And a pinion member which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nozzle bar so as to convert linear motion of the driving cylinder into rotational motion of the nozzle bar.
KR1020160112327A 2016-09-01 2016-09-01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KR101709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27A KR101709545B1 (en) 2016-09-01 2016-09-01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327A KR101709545B1 (en) 2016-09-01 2016-09-01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545B1 true KR101709545B1 (en) 2017-02-24

Family

ID=5831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327A KR101709545B1 (en) 2016-09-01 2016-09-01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545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98B1 (en) * 2017-06-09 2018-03-05 태광엔지니어링(주) Paint Spraying Nozzle of Traffic Lane Apparatus
KR101841144B1 (en) * 2017-06-09 2018-03-22 태광엔지니어링(주) Paint Spraying Nozzle System of Traffic Lane Apparatus
KR102116032B1 (en) * 2019-05-08 2020-05-27 태광엔지니어링(주) Complex Construction System for Spread Type Traffic Lane Painting and 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KR102140947B1 (en) * 2019-05-08 2020-08-04 태광엔지니어링(주) Bipartite Continuous Drive Type Projection Traffic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20200106256A (en) 2019-03-04 2020-09-14 유지문 System for nozzle regulation for spraying dyes of radial arm
KR102321826B1 (en) * 2020-12-22 2021-11-04 태광엔지니어링(주) Vibration Nozzle Drive Type Projection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20230012193A (en) 2021-07-15 2023-01-26 (주) 유연산업 Twin spray nozz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846A (en) * 2004-10-29 2006-05-18 Tsuneishi Shipbuilding Co Ltd Liquid droplet injection nozzle
KR100721510B1 (en) 2006-06-13 2007-05-23 대동안전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ane painting
KR20080040764A (en) * 2006-01-19 2008-05-08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Rotary spraying head type painting device
KR20100056591A (en)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Painting spray nozzle
KR101565002B1 (en) * 2015-06-16 2015-11-02 태광엔지니어링(주) Complex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JP2015213853A (en) * 2014-05-08 2015-12-0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Rotary atomization-type electrostatic coa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2846A (en) * 2004-10-29 2006-05-18 Tsuneishi Shipbuilding Co Ltd Liquid droplet injection nozzle
KR20080040764A (en) * 2006-01-19 2008-05-08 에이비비 가부시키가이샤 Rotary spraying head type painting device
KR100721510B1 (en) 2006-06-13 2007-05-23 대동안전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ane painting
KR20100056591A (en) 2008-11-20 2010-05-28 유한회사 삼신기업 Painting spray nozzle
JP2015213853A (en) * 2014-05-08 2015-12-0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Rotary atomization-type electrostatic coater
KR101565002B1 (en) * 2015-06-16 2015-11-02 태광엔지니어링(주) Complex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98B1 (en) * 2017-06-09 2018-03-05 태광엔지니어링(주) Paint Spraying Nozzle of Traffic Lane Apparatus
KR101841144B1 (en) * 2017-06-09 2018-03-22 태광엔지니어링(주) Paint Spraying Nozzle System of Traffic Lane Apparatus
KR20200106256A (en) 2019-03-04 2020-09-14 유지문 System for nozzle regulation for spraying dyes of radial arm
KR102116032B1 (en) * 2019-05-08 2020-05-27 태광엔지니어링(주) Complex Construction System for Spread Type Traffic Lane Painting and 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KR102140947B1 (en) * 2019-05-08 2020-08-04 태광엔지니어링(주) Bipartite Continuous Drive Type Projection Traffic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102321826B1 (en) * 2020-12-22 2021-11-04 태광엔지니어링(주) Vibration Nozzle Drive Type Projection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20230012193A (en) 2021-07-15 2023-01-26 (주) 유연산업 Twin spray nozz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545B1 (en) Diffuser Nozzle for Discharging Lane Paint
KR101565002B1 (en) Complex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US5957621A (en) System for applying liquid asphalt to a roadbed
KR1007215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ne painting
KR101524746B1 (en) WIDTH-VARIABLE TYPE PAINTING MODULE FOR CROSSWALK AND LANE PAINTING APPARATUS ABLE TO PAINT ROSSWALK AND LANE WITH 5 - 45cm WIDTH
KR101454634B1 (en) Complex type thermoplastic traffic lane painting machine
KR100817609B1 (en) Apparatus for printing lane and methor for printing lane using the same
KR101252655B1 (en) Construction apparatus for projection traffic signal on road
KR101841144B1 (en) Paint Spraying Nozzle System of Traffic Lane Apparatus
KR102116032B1 (en) Complex Construction System for Spread Type Traffic Lane Painting and 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KR101161144B1 (en) Two liquid type projecting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01992B1 (en) vehicle for painting traffic lane
KR101493778B1 (en) Spread Nozzle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101392886B1 (en) Automatic construction apparatus for projection type traffic lane painting
KR1013684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enabling line width to be painted constantly
JP2005046838A (en)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KR101662463B1 (en) Painted method with a multi-lane construction
KR101133570B1 (en) A traffic lane and a painting apparatus and painting method of it
KR101834198B1 (en) Paint Spraying Nozzle of Traffic Lane Apparatus
KR101383163B1 (en) Device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lane painting method
KR101344370B1 (en) Two liquid type projecting traffic lane pain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140946B1 (en) Spray Nozzle for Traffic Lane Construction with Diffuser Hole
KR102331852B1 (en) Electrical Driving Type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102140947B1 (en) Bipartite Continuous Drive Type Projection Traffic Lane Painting Construction Apparatus
KR101557044B1 (en) apparatus for painting traffic lane and method for painting traffic 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