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084B1 - 커피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커피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084B1
KR101707084B1 KR1020160073701A KR20160073701A KR101707084B1 KR 101707084 B1 KR101707084 B1 KR 101707084B1 KR 1020160073701 A KR1020160073701 A KR 1020160073701A KR 20160073701 A KR20160073701 A KR 20160073701A KR 101707084 B1 KR101707084 B1 KR 10170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inner cylinder
cylinder module
present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텍
Priority to KR102016007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084B1/ko
Priority to PCT/KR2017/002892 priority patent/WO201716011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커피원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내부 및 외부가 연통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내통모듈 및 상기 내통모듈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 일측에서 액상의 커피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외통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본 발명은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추출 과정에서 커피원료의 교체 및 추출되는 액상커피 양의 조절이 용이하며, 추출되는 액상커피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방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방식으로써 에스프레소, 핸드드립 및 더치커피가 있다.
에스프레소 방식은 기계를 이용하여 고압으로 단번에 커피 원액을 추출해내는 방식으로써, 맛이 아주 진한 특징이 있고, 이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바리에이션 커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핸드드립 방식은 원두를 분쇄해서 필터에 담아놓고 물줄기를 떨어뜨려 원액을 추출해내는 방식으로써, 에스프레소 방식에 비하여 더 풍성한 커피의 개성과 향미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더치커피 방식은 원두에 차가운 물을 천천히 떨어뜨려 비교적 장시간(예: 9-12시간)에 걸쳐 원액을 우려내는 방식으로써,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뜨거운 물로 원액을 추출한 방식에 비하여 특유의 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커피 추출 방식들 중에서, 더치커피 방식은 특유의 향미와 낮은 카페인 함유량 및 소화계통에 부담을 주지 않는 숙성된 커피 고유의 특징으로 인하여 소비량이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더치커피는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일반적은 추출법에 비해 차가운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풍미를 우려내기 위해서는 차가운 물이 분쇄된 원두커피를 투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
따라서, 더치커피를 대량생산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추출과정에 있어서의 관리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커피를 추출하고, 추출과정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추출 과정에서 커피원료의 교체 및 추출되는 액상커피 양의 조절이 용이하며, 추출되는 액상커피의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는 내부에 커피원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내부 및 외부가 연통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내통모듈 및 상기 내통모듈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 일측에서 액상의 커피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외통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통모듈은 상기 커피원료를 수용하는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머니는 상기 커피원료를 수용하여, 상기 내통모듈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머니는 상기 커피원료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한 상기 내통모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모듈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커피원료의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통모듈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통모듈은 상기 내통모듈의 상부에 힌지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전개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모듈은 상기 내통모듈의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파티션이 구비되고, 상기 파티션은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통모듈은 상기 수용부의 상면이 개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부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통모듈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통모듈은 상기 내통모듈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분배하는 분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유닛은 상기 분배유닛의 상면에서 상기 유로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팬 형태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상부 및 하부 사이의 높이까지 상방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사이펀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펀관은 상기 사이펀관의 일부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확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펀관은 상부 절곡부위의 높이를 변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커피의 추출을 준비하거나 커피의 추출이 완료되었을 때, 커피원료의 투입 및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둘째, 추출하고자 하는 액상 커피 양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셋째, 추출되는 액상커피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커피원료를 투입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커피원료를 투입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물이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를 통해 커피가 추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서 추출된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대량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커피추출장치의 구성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는 내통모듈(100) 및 외통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통모듈(100)은 내부에 커피원료가 수용되어 공급되는 물에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커피원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하면에 내통모듈(100)의 내부 및 외부가 연통되는 관통홀(1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내통모듈(100)은 내부가 빈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하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되, 내통모듈(100)의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20)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0)은 내부에 커피원료가 수용되어, 수용공간(1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유동하며 커피원료로부터 액상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20)은 물이 수용공간(110)의 내외부를 관통하며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20)은 내통모듈(100)의 하면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내통모듈(1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20)이 더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내통모듈(100)이 전체적으로 관통홀(120)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통모듈(100)은 손잡이(130), 분배유닛(140), 가압유닛(150) 및 파티션(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내통모듈(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으로, 내통모듈(100)의 상부에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다.
분배유닛(140)은 내통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내통모듈(100)에 고르게 분배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분배유닛(140)은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고르게 분산시켜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홀이 분배유닛(14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홈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이나 회오리 형태로 형성되는 홀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분배유닛(140)의 상부에는 팬 형태로 형성되는 블레이드(142)가 구비되어, 블레이드(142)가 회전하며 상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유닛(150)은 수용공간(110)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커피원료가 수용공간(110)의 내부에 투입되었을 때, 커피원료의 상부에 구비되어 커피원료를 가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가압유닛(15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유닛(1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52)이 형성되어, 커피의 추출을 위해 공급되는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파티션(160)은 내통모듈(100)의 수용공간(110)을 분할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티션(160)은 분할된 수용공간(11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티션(160)의 구성은 수용공간(110)을 분할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커피가 분배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태 및 구성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 내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파티션(160)은 수용공간(110)을 제1수용공간(S1) 및 제1수용공간(S1)을 둘러싸는 제2수용공간(S2)로 구획하는 제1파티션(161) 및 제2수용공간(S2)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파티션(16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파티션(161)은 중공의 팔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와 내통모듈(100)의 내측면 사이를 8개의 제2파티션(162)이 연결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공간(110)은 제1파티션(161)에 의하여 제1수용공간(S1) 및 제2수용공간(S2)로 구획되고, 제2수용공간(S2)는 8개의 제2파티션(162)에 의하여 8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게 된다.
한편, 외통모듈(200)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며, 수용부(210), 배출부(220) 및 커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10)는 전술한 내통모듈(100)이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본체를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210)는 하부는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내통모듈(10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210)의 내부는 내통모듈(100)의 외주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배출부(220)는 전술한 수용부(21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수용부(210) 내부에서 추출된 액상의 커피를 배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220)의 구성은 액상의 커피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220)는 사이펀관(222) 및 확관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이펀관(222)은 전술한 배출부(220)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수용부(210)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상방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방으로 절곡된 사이펀관(222)은 수용부(210)의 상부 및 하부 사이의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사이펀관(222)은 전술한 수용부(210)의 상부 및 하부 사이의 높이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펀관(222)은 상부에서 절곡된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펀관(222)의 일부가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사이펀관(222)이 틸팅하며 절곡된 부위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사이펀관(222)의 일부가 이중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이중관이 서로 슬라이딩하며 사이펀관(222)의 절곡된 부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사이펀관(222)의 절곡된 부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면 그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확관부(224)는 전술한 사이펀관(222)의 일부가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확관부(224)는 사이펀관(222)이 절곡된 상부 및 하부의 사이에서 사이펀관(222)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30)는 전술한 수용부(210)의 개방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230)의 일부가 수용부(210)의 내부로 삽입되며 수용부(210)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30)는 수용부(2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2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232)는 커버부(230)의 중앙에 외통모듈(200)의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수용부(210)의 내부로 커피추출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분배유닛(140)은 유로(232)가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커피추출장치의 사용양태
이어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사용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커피원료를 투입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커피원료를 투입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물이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를 통해 커피가 추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서 추출된 커피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가 복수개 구비되어 대량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내부에 커피원료를 투입할 때, 커피원료를 수용하는 별도의 주머니(170)에 커피원료를 넣고, 주머니(170)를 전술한 내통모듈(100)의 수용공간(110)에 투입할 수 있다.
주머니(170)는 커피의 원료가 되는 커피원두 또는 커피원두를 분쇄한 커피가루를 투입하기 위한 구성으로, 커피원료는 빠져나오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즉, 주머니(170) 자체가 일종의 필터 역할을 수행하여, 물이 주머니(170)의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원료로부터 액상의 커피가 추출되고, 액상의 커피가 주머니(17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주머니(170)의 내부에 커피원료를 수용할 때, 주머니(170)의 내부에 파티션(160)이 함께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수용공간(110)의 내부에서 내통모듈(100)의 내면 및 파티션(160)의 사이에 주머니(17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주머니(170)의 내부에 커피원료 및 파티션(160)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피원료가 파티션(160)에 의해 서로 분배되도록 배치되어 액상 커피의 추출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티션(16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서로 섞이면서 추출되는 전체 커피의 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머니(170)을 수용공간(110)에 투입한 뒤에는 주머니(170)의 상부에 가압유닛(150)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가압유닛(150)은 자체의 무게를 통해 주머니(170)를 가압하며, 가압된 주머니(170)에 의해 커피원료가 가압되어 보다 용이하게 액상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내부에 직접 커피원료를 투입하고, 커피원료가 수용된 내통모듈(100)을 주머니(17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즉, 주머니(170)가 커피원료 및 내통모듈(100)을 모두 감싸도록 구성되고, 주머니(170)를 외통모듈(200)의 수용부(210)에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주머니(170) 자체가 필터의 역할을 수행하여, 액상의 커피를 주머니(170)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통모듈(100)의 수용공간(110)에 파티션(160)이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수용공간(110)의 내부에 파티션(160) 및 커피원료가 함께 수용된 상태의 내통모듈(100)을 주머니(170)가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커피원료가 파티션(160)에 의해 서로 분배되도록 배치되어 액상 커피의 추출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파티션(16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서로 섞이면서 추출되는 전체 커피의 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마찬가지로,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커피원료의 상부에는 가압유닛(150)이 구비되는 것이 액상 커피를 보다 용이하게 추출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커피원료가 수용된 내통모듈(100)을 외통모듈(200)에 삽입할 때, 사용자는 전술한 손잡이(130)의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내통모듈(100)을 운반할 수 있다.
전술한 커피원료를 투입하는 구성은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주머니(170)의 구성 없이, 직접 커피원두 또는 커피가루를 내통모듈(100)의 수용공간(110)에 투입하고, 내통모듈(100)을 외통모듈(200)의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통모듈(100)에 형성되는 관통홀(120)은 커피원두 또는 커피가루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미세하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내통모듈(100)의 내부에 커피원료가 투입되고, 내통모듈(100)이 외통모듈(200)의 내부에 수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230)를 통해 외통모듈(200)을 밀폐하고, 커버부(230)에 형성된 유로(232)를 통해 외통모듈(200)의 내부로 물을 투입시킬 수 있다.
이때, 물이 빠르게 공급되며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내부를 채우는 것이 아닌, 물을 천천히 공급하며 물이 커피원료로부터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유로(232)를 통해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자유낙하 하면서 유로(232)의 하부에 구비된 분배유닛(140)에 떨어질 수 있다.
분배유닛(140)에 떨어진 물은 분배유닛(140)의 블레이드(142)에 부딪히게 되고, 낙하하는 물에 의해 외력이 가해진 블레이드(142)가 반작용에 의해 밀리면서 블레이드(142)가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42)가 회전하는 경우, 낙하하는 물은 블레이드(142)에 부딪히면서 물리적으로 튕겨나가는 동시에, 블레이드(142)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블레이드(142)의 주변으로 퍼지며 분배유닛(140)의 상부에 골고루 분포되며 분배될 수 있다.
즉, 외통모듈(20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내통모듈(100)의 상부에서 분배유닛(140)에 의해 분배되므로, 내통모듈(100)의 상부에는 골고루 분산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커피 추출을 위한 물이 분산되어 내통모듈(100)로 천천히 공급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내통모듈(100)의 내부로 투입되며 커피원료와 만나 액상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액상의 커피는 내통모듈(100)을 빠져나와 외통모듈(200)의 내부 하부에 수용되거나, 내통모듈(100)의 내부에서 머무를 수 있다.
즉, 천천히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면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의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 물에 내통모듈(100) 및 그 안에 수용된 커피원료가 잠긴 상태가 되어, 지속적으로 액상의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외통모듈(200)의 수용부(210) 하부에 연결된 배출부(220)로 추출된 액상의 커피가 유동하는데, 배출부(220)의 사이펀관(222)이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있으므로, 액상의 커피는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사이펀관(222)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2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 커피의 수위와 사이펀관(222)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 커피의 수위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추출된 액상 커피의 양이 늘어나고, 액상 커피의 수위가 높아지면, 사이펀관(222)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 커피의 수위도 함께 높아질 수 있다.
사이펀관(222)의 내부에서 액상 커피의 수위가 올라가는 과정에서, 추출된 액상 커피가 확관부(224)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추출된 액상 커피에서 형성된 기포가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추출된 액상 커피가 목적한 양에 이르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커피를 수용부(2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사이펀관(222)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 커피의 수위가 사이펀관(222)이 상부에서 절곡된 위치에 이르게 되면, 사이펀관(222)의 상부 절곡 부위 내부에서 액상 커피가 넘쳐 흐르기 시작한다.
이때, 사이펀효과에 의하여 사이펀관(222)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 커피 뿐만 아니라, 수용부(21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상 커피까지 모두 함께 사이펀관(222)을 통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펀관(222)의 상부 절곡 부위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추출하고자 하는 액상 커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조건을 이용하여, 물을 투입하는 속도 및 양을 조절하고, 사이펀관(222)의 상부 절곡 부위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 및 양의 액상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액상 커피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내통모듈(100)을 꺼내 사용한 커피원료를 교체하고 다시 외통모듈(200)의 내부로 새로운 커피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어 액상 커피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커피추출장치 복수개가 나열되어 고정되고,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기위한 탱크가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내통모듈
110 : 수용공간
120 : 관통홀
130 : 손잡이
140 : 분배유닛
142 : 블레이드
150 : 가압유닛
152 : 관통홀
160 : 파티션
170 : 주머니
200 : 외통모듈
210 : 수용부
220 : 배출부
222 : 사이펀관
224 : 확관부
230 : 커버부
232 : 유로

Claims (3)

  1. 내부에 커피원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내부 및 외부가 연통되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내통모듈; 및
    상기 내통모듈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 일측에서 액상의 커피를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외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모듈은,
    상기 내통모듈의 상기 수용공간을 분할하는 파티션이 구비되고,
    상기 파티션은 상기 수용공간을 제1수용공간 및 제1수용공간을 둘러싸는 제2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제1파티션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을 구획하는 제2파티션을 포함하는 커피추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에는 분할된 상기 수용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커피추출장치.
KR1020160073701A 2016-03-18 2016-06-14 커피추출장치 KR10170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01A KR101707084B1 (ko) 2016-06-14 2016-06-14 커피추출장치
PCT/KR2017/002892 WO2017160113A2 (ko) 2016-03-18 2017-03-17 커피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701A KR101707084B1 (ko) 2016-06-14 2016-06-14 커피추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554A Division KR101632016B1 (ko) 2016-03-18 2016-03-18 커피추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83A Division KR20170108809A (ko) 2017-02-09 2017-02-09 커피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084B1 true KR101707084B1 (ko) 2017-02-15

Family

ID=5811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701A KR101707084B1 (ko) 2016-03-18 2016-06-14 커피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51B1 (ko) 2020-08-26 2021-02-19 임은성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KR102241383B1 (ko) 2020-12-17 2021-04-15 임은성 자동 판매기용 회전식 커피 추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403A (ko) * 2002-03-14 2003-09-19 레네 쉬펄레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인 용량의 미립 물질을 포함하는카트리지
KR20150034182A (ko) * 2012-06-22 2015-04-02 터치 커피 & 베버리지스, 엘엘씨. 음료 브루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403A (ko) * 2002-03-14 2003-09-19 레네 쉬펄레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1인 용량의 미립 물질을 포함하는카트리지
KR20150034182A (ko) * 2012-06-22 2015-04-02 터치 커피 & 베버리지스, 엘엘씨. 음료 브루잉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251B1 (ko) 2020-08-26 2021-02-19 임은성 자동 판매기용 커피 추출장치
KR102241383B1 (ko) 2020-12-17 2021-04-15 임은성 자동 판매기용 회전식 커피 추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54B2 (en) Apparatus and products for producing beverag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A2667423C (en) Insert for filter holders of coffee machines, particularly for espresso coffee machines
US6912949B2 (en) Coffee maker
US9402501B1 (en) Adjustable tamper coffee apparatus, brewing machine utilizing such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coffee
ES2560182T3 (es)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bebidas
KR20120078180A (ko)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AU2001289907A1 (en) Coffee maker
JP2013512700A5 (ko)
KR101707084B1 (ko) 커피추출장치
JP2016521170A (ja) ドリップコーヒー製造機
US20140245893A1 (en) Methods, apparatus and products for grinding brewable materials into a filter cartridge
KR101075791B1 (ko) 캡슐커피머신의 작동시스템
KR101632016B1 (ko) 커피추출장치
KR20170128694A (ko) 콜드 브루용 캡슐
KR200469512Y1 (ko) 드립 커피 제조용 커피 바스켓
KR20170108809A (ko) 커피추출장치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KR20190058399A (ko) 핸드 드립식 여과 방법의 커피 추출용 3단 기구
KR20210019970A (ko) 커피 캡슐
KR20150140474A (ko) 대량생산이 가능한 액상음료 추출장치
CN204483863U (zh) 用于饮料制备的胶囊、饮品机酿造装置和饮品机
KR101575684B1 (ko) 휴대용 커피 제조기
KR102205516B1 (ko) 아이스 캡슐
KR20210077562A (ko) 드립커피장치
KR102411728B1 (ko) 콜드브루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