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505B1 - 위치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505B1
KR101706505B1 KR1020160081550A KR20160081550A KR101706505B1 KR 101706505 B1 KR101706505 B1 KR 101706505B1 KR 1020160081550 A KR1020160081550 A KR 1020160081550A KR 20160081550 A KR20160081550 A KR 20160081550A KR 101706505 B1 KR101706505 B1 KR 10170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earth retaining
fixing
moved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현
정종기
Original Assignee
황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현 filed Critical 황광현
Priority to KR102016008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는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이 사면에 설치된 인장재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장재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재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되는 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는, 상기 보강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인장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고정장치{POSITION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이 사면에 설치된 인장재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도시 형성과 도시 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도로 및 철도 등의 시설공사가 요구되는바, 지형을 절취 또는 성토한다.
절취 또는 성토된 지형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경사면의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어 우천 또는 태풍발생시 지반이 붕괴될 수 있는 위험성을 내재한다.
따라서, 경사면에 대한 절토부 및 성토부에는 급경사면의 붕괴방지와 지반사태방지를 위해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보강토옹벽을 경사면에 인접하게 쌓아올린 상태에서 보강구조을 형성하게 된다.
보강토옹벽을 경사면에 위치 고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다.
경사면에 이미 시공되어 위치 고정된 강봉과 보강토옹벽간을 연결하기 위해 띠형 보강재가 이용될 수 있다.
띠형 보강재를 강봉과 보강토옹벽에 결속한 후 이를 팽팽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띠형 보강재를 팽팽하게 하기 위해 나사결합구조체를 이용할 수 있다.
나사결합구조체를 회전시키는 경우 위치 이동되어 띠형 보강재를 팽팽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나사결합구조체에 연결된 띠형 보강재도 회전되어 꼬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띠형 보강재가 꼬이는 경우, 그 한계 인장력이 줄어들 수 있으며, 의도치 않게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나사결합구조체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가 시공하는데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보강부재가 꼬이지 않고 위치할 수 있는 위치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는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이 사면에 설치된 인장재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장재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재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되는 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는, 상기 보강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인장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상기 인장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회전되지 않고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상기 인장부는, 상기 고정부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방지수단과 접촉하여 상기 인장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상기 인장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상기 인장부는, 상기 이동부가 제1 거리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장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서도 지압판을 가압하는 동시에 보강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강부재가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개략 분해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의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가 잠금위치에 있는 것이고, 도 2(b)는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변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잠금위치 및 상기 열림위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변형을 이해하기 편하도록 임의적으로 정의한 개념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10)는 보강부재(20)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30)이 사면(G)에 설치된 인장재(40)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보강토 옹벽(30) 및 상기 위치고정장치(10)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토 옹벽(30)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위치고정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보강토 옹벽(30)은 상기 사면(G)과 인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토 옹벽(30)과 상기 사면(G) 사이에는 보강토가 적층될 수 있다.
보강토가 적층되는 경우, 상기 보강토 옹벽(30)은 사면(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이동 되거나 무너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보강토 옹벽(30)을 상기 사면(G)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부재(20)는 일단이 상기 보강토 옹벽(30)에 결속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위치고정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보강부재(20)는 상기 보강토의 적층에 의해 상기 보강토 옹벽(30)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위치고정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부재(20)는 철근, 끈 등일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장치(10)는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위치고정장치(10)로 전달된 힘이 상기 인장재(40)로 전달되도록 상기 인장재(4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재(40)는 상기 사면(G)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 부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재(40)는 쏘일네일, 락 볼트 등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10)는 상기 보강토의 적층에 의해 상기 보강토 옹벽(30)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보강부재(20)를 이용하여 상기 인장재(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보강토 옹벽(30)은 무너지지 않고 상기 인장재(40)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부(3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10)는 상기 인장재(40)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재(4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200) 및 상기 보강부재(2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부(2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200) 상에서 이동되는 인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천공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인장재(4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인장재(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인장재(4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 결합부(130), 상기 고정 결합부(130)의 외측을 둘러싸 상기 고정 결합부(130)를 가압하는 가압부(140) 및 상기 가압부(140)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가압부(140)와 나사 결합하는 고정 몸통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인장재(4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사면(G)에 설치된 지압판(5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의 일단이 상기 지압판(50)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기 지압판(50)을 가압하여 상기 사면(G)이 안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고정부(1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는 제1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부(200)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방향의 나사산(K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오른 방향 또는 왼 방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방향은 오른 방향으로 정의하겠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축 방향은 도 4에서 가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인장부(300)간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인장부(300)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인장부(3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부(300)의 외면에는 제2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부(200)의 내면에는 상기 제2 방향의 나사산(K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왼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방향이 오른 방향인 경우 상가 제2 방향은 왼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보강부재(20)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부(2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인장재(4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부(300)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인장 몸통부(310) 및 상기 보강부재(20)가 연결될 수 있는 상기 연결영역을 제공하는 인장 결합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 결합부(320)는 상기 보강부재(20)가 연결되도록 고리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인장 결합부(320)의 형상은 고리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부재(2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제공하는 형상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이동부(200)가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회전되지 않고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인장재(4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가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인장재(4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인장부(300)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이동부(200) 상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인장재(4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고정부(100)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3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330)과 대응되도록,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회전방지수단(330)과 접촉하여 상기 인장부(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은 상기 인장부(300)의 상기 인장 몸통부(310)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은 '+' 형상의 공간(O)을 형성하는 상기 인장부(300)의 면일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은 상기 인장 몸통부(310)의 형상에 의해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 몸통부(310)는 절개되어 '+' 형상의 공간(O)을 형성하는 절개부분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절개부분을 정의하는 면이 회전방지수단(330)일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수단(120)은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수단(120)은 상기 고정부(100)의 상기 고정 몸통부(110)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330)과 상기 가이드수단(120)으로 인해 상기 인장부(300)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회전방지수단(330)과 상기 가이드수단(120)간의 기계적 마찰로 인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이동부(200)가 제1 거리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의 이동 거리 및 상기 인장부(300)의 이동 거리는 나사산의 피치의 거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장부(3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 거리는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인장부(30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200)의 내면의 상기 나사산(K2)의 피치 거리는 상기 고정부(10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상기 이동부(200)의 내면의 상기 나사산(K1)의 피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천공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어 있는 상기 인장재(40)에 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지압판(50)을 가압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소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인장재(40) 상에서 회전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2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와 상기 고정부(100)는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이동부(2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인장재(40)에 위치 고정된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도 5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왼쪽 방향은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인장재(40)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0)가 어느 정도 상기 고정부(100)에 나사 결합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부(3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2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와 상기 인장부(300)는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인장부(30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고정부(100)에 결합된 상기 이동부(200) 상에서 도 6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장부(30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200) 상에서 상기 고정부(100) 쪽으로 계속 이동되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부(300)의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은 상기 고정부(100)의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이 상기 고정부(100)의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도달한 경우,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가이드수단(120)이 상기 인장부(300)의 상기 회전방지수단(330)과 접촉되어 외력을 가하여도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장부(300)에 더 이상 외력을 가하지 않고, 상기 이동부(200)에 외력을 가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도 7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이동부(200)의 회전에 의해 도 7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K1)이 오른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인장부(30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K2)이 왼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200)에는 방향이 다른 나사산(K1, K2)이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00)에 외력을 가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부(300)는 상기 고정부(1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장부(300)에 연결된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보강토 옹벽(30)으로부터 상기 고정부(100)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0)의 상기 가이드수단(120)에 대향하는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의 단부에는 경사면(S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에 대향하는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단부에는 경사면(S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의 경사면(S2) 및 상기 가이드수단(120)의 경사면(S2)은 상기 가이드수단(120)이 상기 회전방지수단(330)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는 상기 지압판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토 옹벽에 연결된 상기 보강부재를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위치고정장치
20: 보강부재
30: 보강토 옹벽
40: 인장재
50: 지압판

Claims (7)

  1.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이 사면에 설치된 인장재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고정장치 -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토 옹벽 및 상기 위치고정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토 옹벽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위치고정장치로 전달하며, 상기 인장재는 상기 사면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됨 - 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에 결합되어 상기 인장재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이동되는 이동부; 및
    상기 보강부재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되는 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는,
    상기 보강부재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상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부 상에서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인장부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인장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상기 보강토 옹벽으로부터 상기 인장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방지수단과 접촉하여 상기 인장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장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 상에서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제1 거리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로 상기 이동부 상에서 상기 이동부를 기준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수단에 대향하는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회전방지수단에 대향하는 단부에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81550A 2016-06-29 2016-06-29 위치고정장치 KR10170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50A KR101706505B1 (ko) 2016-06-29 2016-06-29 위치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550A KR101706505B1 (ko) 2016-06-29 2016-06-29 위치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505B1 true KR101706505B1 (ko) 2017-02-13

Family

ID=5815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50A KR101706505B1 (ko) 2016-06-29 2016-06-29 위치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5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17B1 (ko) * 2010-03-05 2010-10-08 (주)미주건설엔지니어링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KR101010366B1 (ko) * 2010-04-05 2011-01-25 (주)루펜큐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2527B1 (ko) * 2010-07-30 2011-10-12 주식회사 브룸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20140093388A (ko) * 2013-01-18 2014-07-28 고석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817B1 (ko) * 2010-03-05 2010-10-08 (주)미주건설엔지니어링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KR101010366B1 (ko) * 2010-04-05 2011-01-25 (주)루펜큐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2527B1 (ko) * 2010-07-30 2011-10-12 주식회사 브룸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20140093388A (ko) * 2013-01-18 2014-07-28 고석화 내진용 철근 커플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039B1 (ko) 압축과 인장에 의한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AU2014206512B2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concrete column
KR102099351B1 (ko) 옹벽 축조를 위한 소일네일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KR20170051951A (ko) 버팀보 연결 구조체
KR101583347B1 (ko) 앵커볼트 구조체
KR101402267B1 (ko) 근접병설터널 필라부 보강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44489B1 (ko) 회전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KR20070069101A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06505B1 (ko) 위치고정장치
KR101052728B1 (ko)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KR101570127B1 (ko) 교량의 연장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판넬 결합구조
KR20150119571A (ko) Pc 부재 결합용 오차 흡수 조인트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결합방법
US9133635B2 (en) Adjustable tie rod assembly employing a free swiveling capability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KR100696309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KR20110021293A (ko) 수동인장기 및 정착유닛을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링 공법
KR101827175B1 (ko) 강선 이음용 커플러
JP575251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圧着接合方法
KR102345017B1 (ko) 스틸프로파일과 가압볼트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내진형 구조
KR20080105665A (ko) 앵커볼트
KR101899082B1 (ko) 스틸프레임 접합방식 내진보강구조물
KR101395867B1 (ko) 락볼트용 고정장치
KR20190052488A (ko) 강선재를 이용한 강지보재 임시고정장치
KR101429018B1 (ko) 앵커볼트의 체결유닛
JP2916453B1 (ja) 部材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