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234B1 -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234B1
KR101706234B1 KR1020100099720A KR20100099720A KR101706234B1 KR 101706234 B1 KR101706234 B1 KR 101706234B1 KR 1020100099720 A KR1020100099720 A KR 1020100099720A KR 20100099720 A KR20100099720 A KR 20100099720A KR 101706234 B1 KR101706234 B1 KR 10170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ctrodes
sensor
bridge
electrodes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7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8130A (en
Inventor
김동섭
강병구
조소행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234B1/en
Publication of KR2012003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1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브리지부에 정전기 및 스크래치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며,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1 방향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상기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리지부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2 방향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상기 제1 브리지부와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2 브리지부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a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even when defects such as static electricity and scratch are generated in a bridge portion and reducing a defect rate.
A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sensor electrodes formed on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to sense a touch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first bridge portions connected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formed on the substrate in parallel in a second direction to sense a touch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art including electrodes and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art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ridge part and including second bridge parts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

Description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a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리지부에 정전기 및 스크래치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며,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a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panel and a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even when a fault such as static electricity and scratch occurs in a bridge portion, .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Display)는 음극선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기 발광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유기 발광 전계 표시 장치 등과 같이 종류가 다양하다.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includes a cathode ray tu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And an electroluminescence field display device.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을 가지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He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iquid crystal using an electric field. To this e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liquid crystal cell, a backlight unit for emitt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the backlight unit and the liquid crystal cell.

이러한, 액정 패널 상에 포인터(사용자의 손가락)를 통해 표면을 가압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시키는 터치 패널을 탑재하여 입력 장치로 이용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감지 방식에 따라 저항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등으로 나누며, 제조 방법의 편이성 및 센싱력 등을 감안하여 최근 정전 용량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감지하는 전극이 형성된 센서 글래스와, 센서 기판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커버 글래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 글래스에는 X축 방향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Y축 방향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한다. When a surface of a liquid crystal panel is pressed by a pointer (user's finger), a demand for a display device using a touch panel for in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s increasing. The touch panel is divided into a resistance method, a capacitance method, and an infrared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 touch sensing method. Recently, a capacitance method is attracting attention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method and sensing power. The touch panel includes a sensor glass formed with electrodes for sensing by a capacitive method, and a cover glass formed to face the sensor substrate. Here, the sensor glass includes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for sensing the capacitance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for sensing the capacitance in the Y-axis direction.

제1 센서 전극 패턴부는 X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 센서 전극들(182)과,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82)을 연결시키는 브리지부(180)를 포함하며,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센서 전극들(184)과,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84)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86)를 포함한다.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electrodes 182 formed in the X axis direction and a bridge part 180 connecting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82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electrodes 184 formed in the Y axis direc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186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84 adjacent to each other.

이러한, 브리지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82)을 서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브리지부(180)는 컨택홀을 통해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이 접합한 이종 접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높은 컨택 저항 또는 이중 증착에 의한 불균일한 계면 특성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며,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의 칼라 필터 기판 상에 형성함으로써 공정상 정전기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브리지부(180)는 이종 접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세정 공정시 스크래치나 단선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The bridge unit 180 connect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82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tact hol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bridge portion 180 is formed in a heterojunction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lectrode and the upper electrode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tact hole, thereby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due to non-uniform interface characteristics due to high contact resistance or double deposition, It is inevitably vulnerable to static electricity in the process because it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substrate of the panel. In addition, since the bridge portion 180 is formed with a heterojunction structu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scratches and broken lines will occur in the cleaning process.

이와 같이, 브리지부(180)는 컨택홀을 통한 이종 접합 구조이므로 불량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며, 브리지부(180)에 불량이 발생될 경우에 인접한 센서 전극들로 신호를 공급하기 어려워 터치를 감지할 수 없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ridge portion 180 is a heterojunction structure through the contact hole, the probability of failure is high, an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bridge portion 180, it is difficult to supply a signal to the adjacent sensor electrodes, Can no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브리지부에 정전기 및 스크래치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며,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nel and a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even when defects such as static electricity and scratch are generated in a bridge portion,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에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1 방향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상기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리지부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2 방향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상기 제1 브리지부와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2 브리지부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ensor electrodes formed in parallel on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image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sensing a touch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first bridge portions connecting sensor electrodes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s formed on the substrat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to sense a touch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second bridge portion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제1 브리지부는 상기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컨택홀을 통해 접속시키며, 상기 제2 브리지부는 상기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컨택홀을 통해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irst bridge unit connect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a contact hole, and the second bridge unit connect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a contact hole.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브리지부는 금속 재질 또는 투명 전극 재질을 이용해서 한층으로 형성하거나, 금속 재질 및 투명 전극 재질으로 적층된 형태의 두 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and second bridge portions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using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two layers of a metal material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또한, 상기 제1 센서 전극 패턴부는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1 리던던시부와, N(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1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라우팅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A first redundancy part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second redundancy part connected in a line to combine the lines of the first sensor electrodes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second routing line connected to the first routing line.

그리고, 상기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와, M(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2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신호를 공급하는 제2 라우팅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second routing line for connecting the lines of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into one line and supplying the signals.

또한, 상기 제1 브리지부와 제2 연결부는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 브리지부와 제1 센서 전극들은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with a protective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re form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2 브리지부와 제1 연결부는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리지부와 제2 센서 전극들은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bridge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with a protective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re directly contact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상기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2 리던던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dundancy portion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 상에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1 방향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극들과, 상기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리지부들을 포함하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상기 기판 상에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2 방향의 터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전극들과, 상기 제1 브리지부와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2 브리지부들을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or electrodes formed in parallel on a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to sense a touch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 plurality of second sensor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to sense a touch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and including second bridge portions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여기서, 상기 제1 브리지부는 상기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컨택홀을 통해 접속시키며, 상기 제2 브리지부는 상기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컨택홀을 통해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first bridge unit connect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a contact hole, and the second bridge unit connect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through a contact hole.

그리고, 상기 제1 브리지부는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리지부는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bridge portion is form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is form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브리지부들과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2 브리지부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센싱 픽셀 내에 제1 또는 제2 브리지부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와,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시키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신호가 공급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panel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idge portions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sensor electrodes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ly,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or second bridge portion in one sensing pixel, a signal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sensor electrodes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do.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제1 또는 제2 브리지부에 정전기 또는 스크래치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며,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if defects such as static electricity or scratches occur in the first or second bridge portion, and the defect rat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한 센싱 픽셀 내에 손가락 또는 포인터 면적의 1/n배에 해당하는 센서 전극들을 배열하므로써 종래 터치 패널에 비해 n배 이상의 센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in the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electrodes corresponding to 1 / n times the area of the finger or the pointer are arranged within one sensing pixel, so that the sensing force can be improved n times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도 1은 종래 터치 패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를 I-I'와 Ⅱ-Ⅱ'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를 Ⅲ-Ⅲ'와 Ⅳ-Ⅳ'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하나의 센싱 픽셀 내에 제1 브리지부 또는 제2 브리지부가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신호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C 영역 내에 제1 브리지부 또는 제2 브리지부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신호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touch panel.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 shown in FIG.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I-I 'and II-II' of FIG.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 4 taken along line III-III 'and IV-IV'.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 shown in FIG. 3, and is a plan view showing a signal flow when a first bridge part or a second bridge part is defective in one sensing pixel.
FIG. 8 is a plan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a region C shown in FIG. 8, and is a plan view showing a signal flow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bridge portion or the second bridge portion in the region C.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and effect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to a known configuration,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4를 I-I'와 Ⅱ-Ⅱ'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4를 Ⅲ-Ⅲ'와 Ⅳ-Ⅳ'으로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2.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 shown in FIG.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I-I 'and II-II' in FIG. 4, and FIGS.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III-III 'and IV-IV' Fig.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10)과, 액정 패널(110) 상에 탑재된 터치 패널를 포함한다. 이때,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 외에 평판 표시 장치라면 가능하다. 1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110 and a touch panel mount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can b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other than the liquid crystal panel.

액정 패널(110)은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부 기판(112)과, 칼러 구현을 위한 칼러 필터가 형성된 하부 기판(114)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 또는 수평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과, 상부 기판(112)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118)과, 하부 기판(114)의 배면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116)을 포함한다.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includes an upper substrate 112 on which thin film transistors connected to gate lines and data lines are formed, a lower substrate 114 on which a color filter for color implementation is formed, a pixel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A common electrode that forms a vertical electric field or a horizontal electric field with the electrodes, an upper polarizer 118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12, and a lower polarizer 116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14.

칼러 필터는 블랙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색이 구분되도록 상부 기판(112) 상에 형성된다. 이 칼러 필터는 R, G, B 별로 형성되어 R, G, B 색상을 구현한다.The color filter is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12 so as to be color-coded on the basis of the black matrix. This color filter is formed by R, G, and B colors to realize R, G, and B colors.

공통 전극은 상부 기판(112)의 배면 상에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를 이룰 수 있으며, 하부 기판(114) 상에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과 수평 전계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에는 액정 구동을 위한 기준 전압, 즉 공통 전압이 공급된다. The common electrode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112 and may form a vertical electric field with the pixel electrode and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n the lower substrate 114 to form a horizontal electric field with the pixel electrode . A reference voltage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that is, a common voltage is supplied to the common electrode.

박막 트랜지스터는 하부 기판(114) 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 전극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과 접속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소스 전극, 화소 전극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 그 활성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의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구비한다.The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114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data signal from the data line to the pixel electrode in response to the gate signal from the gate line. To this end, the thin film transistor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line, a source electrode connected to the data line, a drain electrode connected to the pixel electrode, a channel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And an ohmic contact layer for ohmic contact with the active layer and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화소 전극은 각 화소 영역에서 칼라 필터(R, G, B)와 중첩되도록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접속된다. 또한, 화소 전극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공통 전극과 중첩되어 수직 전계를 형성하거나, 동일 기판에 형성되어 수평 전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화소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공통 전압이 공급된 공통 전극과 수직 전계 또는 수평 전계를 형성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 분자들이 유전율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액정 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 투과율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The pixel electrodes are independently formed so as to overlap the color filters R, G, and B in each pixel region, and ar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s of the thin film transistors. Further, the pixel electrode overlaps the common electrode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sandwiched therebetween to form a vertical electric field, or is formed on the same substrate to form a horizontal electric field. When the data signal is su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through the thin film transistor,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 a vertical electric field or a horizontal electric field with the common electrode supplied with the common voltage to rotate due to the dielectric anisotropy. The transmitt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pixel reg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thereby realizing the gradation.

이와 같이, 액정 패널은 두 기판에 각각 전극을 설치하고 액정 방향자가 90°트위스트 되도록 배열한 다음,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액정 방향자를 구동하는 트위스트 네마틱(Twisted-Nemaitc; TN) 방식, 하나의 기판 상에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평 전계로 액정의 방향자를 조절하는 IPS(In-Plane Swiching) 모드, 두 개의 전극을 투명 전도체로 형성하면서 두 개의 전극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를 동작시키는 FFS(Fringe Field Swiching) 모드 방식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quid crystal panel, a twisted-nematic (TN) system in which electrodes are provided on two substrates, a liquid crystal director is arranged so as to be twisted by 90 ° and t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to drive liquid crystal directors, (In-Plane Swiching) mode in which two electrodes are formed on a substrate and a director of the liquid crystal is controlled by a horizontal electr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two electrodes. The two electrodes are formed as transparent conductors, And a Fringe Field Swiching (FFS) mode method in which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operated by a fringe field formed between two electrod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부 편광판(118)은 액정 패널(110)의 상부 기판(112)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부 편광판(118)은 액정 패널(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해 투과 광량 및 편광 상태를 제어한다. The upper polarizer 118 is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12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The upper polarizer 118 controls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and the polarization state with respect to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하부 편광판(116)은 액정 패널(110)의 하부 기판(12)의 배면에 형성된다. 하부 편광판(116)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 대한 투과 광량 및 편광 상태를 제어한다. The lower polarizer 116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2 of the liquid crystal panel 110. [ The lower polarizer 116 controls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and polarization state for light incident from the backlight unit.

터치 패널은 위치 감지 전극으로서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전극 패턴부가 형성된 센서 기판(130)과, 센서 기판(130)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커버 기판(132)과, 액정 패널(110)의 상부 편광판(118) 상에 형성된 제1 점착층(120)과, 센서 기판(130) 상에 형성된 제2 점착층(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 기판(130)과 커버 기판(132)은 투명 글래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 기판(130)의 배면에는 바텀 절연층 또는 차폐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The touch panel includes a sensor substrate 130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 pattern portions functioning as position sensing electrodes, a cover substrate 132 formed to face the sensor substrate 130, A first adhesive layer 120 formed on the substrate 118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22 formed on the sensor substrate 130. Here, the sensor substrate 130 and the cover substrate 132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glass. A bottom insulating layer or a shielding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nsor substrate 130.

센서 기판(130)은 제1 센서 전극 패턴부, 제2 센서 전극 패턴부, 센서부 FPC(Flexa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170)를 구비한다. The sensor substrate 130 includes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unit,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unit, and a sens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hereinafter, FPC) 170.

제1 센서 전극 패턴부는 제1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1 방향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예로 들어 X축 방향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 전극 패턴부는 마름모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제1 센서 전극들(152a, 152b, 152c)과, 제1 센서 전극들(152a, 152b, 152c)과 동일층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52a, 152b, 152c)을 연결해주는 제1 연결부(154)와,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52a, 152b, 152c)을 컨택홀(252,254)을 통해 접속하는 제1 브리지부(156)와, 제1 센서 전극들(152a, 152b, 152c)과 동일층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152a, 152b, 152c)을 연결해주는 제1 리던던시부(159)와, N(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1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158a, 158b)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제1 센싱 신호(SS1)를 공급하는 제1 라우팅 라인(158)을 포함한다. 제1 라우팅 라인(158)은 N개의 제1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제1 센싱 신호(SS1)를 공급하지만,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과 짝수번째(Xeven)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 plurality of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s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first direction to sense a change in capacitance in the first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may be, for example, the X-axis direction. To this end,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which are rhombic or diamond-shaped,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A first connection unit 154 for connecting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hrough contact holes 252 and 254 A first bridge unit 156 and first and second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in the second direction, A redundancy unit 159 and a first routing unit 159 for combining the lines 158a and 158b of the first sensor electrodes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to one line to supply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Line 158. < / RTI > The first routing line 158 couples the lines of N first sensor electrodes into one line to supply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but the odd-numbered (Xodd)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152c ) And the even-numbered (Xeven)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are combined into one line.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 중 어느 하나의 제1 센서 전극(152a)은 좌측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152b)과 제1 브리지부(156)를 통해 연결되며, 우측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156c)과 제1 연결부(154)를 통해 연결된다. 짝수번째(Xeven) 제1 센서 패드부들(152a,152b,152c) 중 어느 하나의 제1 센서 전극(152a)은 좌측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152b)과 제1 연결부(154)를 통해 연결되며, 좌측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152c)과 제1 브리지부(156)를 통해 연결된다.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152a)과 짝수번째(Xeven) 제1 센서 전극(152a)은 제1 리던던시부(159)를 통해 연결된다. 4 to 6B,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a of the odd-numbered (Xodd)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b And the first bridge unit 156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6c adjacent to the righ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54. [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a of the even-numbered first sensor pad units 152a, 152b and 152c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b adjacent to the left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54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c adjacent to the left side and the first bridge unit 156 are connected. The odd-numbered (Xodd) first sensor electrode 152a and the even-numbered (Xeven) first sensor electrode 152a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redundancy unit 159.

이러한, 제1 연결부(154), 제1 리던던시부(159) 및 제1 센서 전극(152a, 152b, 152c)은 동일층에서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제1 연결부(154), 제1 리던던시부(159), 제1 센서 전극(152a, 152b, 152c)은 절연층 상에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명 전극 재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등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리지부(156)와 제1 라우팅 라인(158)은 금속 재질로, 금속 재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알루미늄 네오듐(AlNd), 몰리브덴티탄(Mo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층체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브리지부(156)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 또는 투명 전극 재질을 이용해서 한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156a)과 투명 전극 재질(156b)로 적층된 형태의 두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154, the first redundancy part 159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e same layer. The first connection part 154, the first redundancy part 159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are formed as transparent electrodes on the insulating layer, and as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ITZO (Indium Tin Zinc Oxide), and ATO (Antimony Tin Oxide). The first bridge unit 156 and the first routing line 158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silver (Ag), chromium (Cr), molybdenum (Mo) , Aluminum neodymium (AlNd), and molybdenum titanium (MoTi), or a laminate composed of at least any one metal. 5A, the first bridge unit 156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The first bridge unit 156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156a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156b, respectively.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리지부(156)는 보호막에 컨택홀(252,254)을 형성하여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과 접속할 수 있으나, 제1 브리지부(156)는 보호막 및 컨택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1 브리지부(156)와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을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리지부(156)와 제2 연결부(164)는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1 브리지부(156)와 제1 전극들(152a,152b,152c)은 보호막 없이 직접 접촉된다. 5A and 5B, the first bridge unit 156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by forming contact holes 252 and 254 in the protective layer. However, The portion 156 may directly contact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and 152c without forming a protective film and a contact hole. Accordingly,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64 are formed with a protective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nd the first electrodes 152a, 152b, do.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2 방향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예로 들어 Y축 방향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마름모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제2 센서 전극들(162a, 162b, 162c)과, 제2 센서 전극들(162a, 162b, 162c)과 동일층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2a, 162b, 162c)을 연결해주는 제2 연결부(164)와,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2a, 162b, 162c)을 컨택홀(262,264)을 통해 접속하는 제2 브리지부(166)와, M(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2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168a,168b)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제2 센싱 신호(SS2)를 공급하는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라우팅 라인(168)은 M개의 제2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신호를 공급하지만,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과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s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to sense a change in capaci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Her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Y-axis direction, for example. For this,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layer i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in the rhombic or diamond shape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 second connection part 164 for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hrough contact holes 262 and 264 A second bridge unit 166 and a second sensor unit 166 for combining the lines of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8a and 168b of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2 routing lines < RTI ID = 0.0 > 168 < / RTI > At this time, the second routing line 168 combines the lines of the M second sensor electrodes into one line to supply the signal, but the odd-numbered (Yod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162c and the even- (Yeven)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re combined into one li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구체적으로,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 중 어느 하나의 제2 센서 패드부(162a)는 상측으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162c)과 제2 브리지부(166)를 통해 연결되며, 하측으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162b)과 제2 연결부(164)를 통해 연결된다.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 중 어느 하나의 제2 센서 전극(162a)은 상측으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162c)과 제2 연결부(164)를 통해 연결되며, 하측으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162b)과 제2 브리지부(166)를 통해 연결된다.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pad portion 162a of the odd-numbered (Yod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electrode 162c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 162b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electrode 162b via the second connection unit 164. The second sensor electrode 162a of the even-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electrode 162c that is adjacent to the upper side via the second connection unit 164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 162b and the second bridge unit 166,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그리고, 제2 브리지부(166)와 이와 인접한 제1 브리지부(15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리지부(166)와 제1 브리지부(156)는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제2 브리지부(166)의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형성할 경우에 제2 브리지부(166)와 인접한 제1 브리지부(156)의 방향은 X축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브리지부(166)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형성할 경우에 제2 브리지부(166)와 인접한 제1 브리지부(156)의 방향은 제2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djacent to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re form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When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i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djacent to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b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djacent to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ridge portion 166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여기서, 제2 연결부(164)와 제2 센서 전극들(162a, 162b, 162c)은 동일층에서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연결부(164)와 제2 센서 전극들(162a, 162b, 162c)은 절연층 상에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명 전극 재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등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라우팅 라인(168)은 금속 재질로, 금속 재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알루미늄 네오듐(AlNd), 몰리브덴 티탄(Mo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층체일 수 있다. 제2 브리지부(166)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 또는 투명 전극 재질을 이용해서 한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166a)과 투명 전극 재질(166b)로 적층된 형태의 두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64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e same lay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164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re form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insulating layer.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may b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 Indium Tin Zinc Oxide (ITZO), and ATO (Antimony Tin Oxide).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routing line 168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silver (Ag), chromium (Cr), molybdenum (Mo) , Aluminum neodymium (AlNd), and molybdenum titanium (MoTi), or a laminate composed of at least any one metal. 6A,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using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166a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166b as shown in FIG. 6B.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리지부(166)는 보호막에 컨택홀(262,264)을 형성하여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접속할 수 있으나, 제2 브리지부(166)는 보호막 및 컨택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리지부(166)와 제1 연결부(154)는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전극들(162a,162b,162c)은 보호막 없이 직접 접촉된다.6A and 6B,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connect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by forming contact holes 262 and 264 in the protective layer, The portion 166 can directly contact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without forming the protective film and the contact hole. Accordingly,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54 are formed with a protective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electrodes 162a, 162b,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에 대한 한 픽셀(SP)의 센싱 면적은 종래의 한 픽셀의 센싱 면적보다 분할되어 센싱력이 향상되었다. 구체적으로, 종래 터치 패널에 대한 하나의 센싱 픽셀 내의 센서 전극은 손가락(또는 포인터)의 터치 면적과 동일한 하나의 센서 전극으로 형성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센싱 픽셀(SP)은 손가락 터치 면적의 1/4배 되는 센서 전극들을 4개로 배치하여 종래보다 4배의 센싱력을 가진다. 즉, 단위 셀을 분할함에 따른 단위 셀 내의 터치 센싱력이 증가된다. 이와 같이, 센서 전극들의 수는 증가하였으나, N개의 센서 전극들을 하나의 라우팅 라인으로 묶음으로써 배선은 증가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센싱 픽셀 내의 센서 전극은 손가락의 터치 면적의 1/4 배를 설명하였지만, 1/n배로 더욱 분할된 센서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area of one pixel (SP) of the touch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by the sensing area of a conventional pixel, and the sensing performance is improved. Specifically, the sensor electrode in one sensing pixel of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is formed of one sensor electrode which is the same as the touch area of the finger (or pointer). However, one sensing pixel (S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r sensing electrodes arranged at four times as much as a finger touch area and four times as much sensing power as the conventional one. That is, the touch sensing force in the unit cell increases as the unit cell is divided. In this way, although the number of sensor electrod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wiring lines has not increased since the N sensor electrodes are bundled into one routing line. In addition, although the sensor electrode in the sensing pix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1/4 times the touch area of the finger, it can be formed as the sensor electrode further divided by 1 / n.

도 7은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하나의 센싱 픽셀 내에 제1 브리지부(156) 또는 제2 브리지부(166)가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신호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A shown in FIG. 3.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ignal flow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bridge part 156 or the second bridge part 166 in one sensing pixe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 픽셀(SP) 내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브리지부들(156)과 한 개의 제2 브리지부(166)가 스크래치 또는 단선(Open)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따른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7, in the case where two first bridge portions 156 and one second bridge portion 166 formed in one sensing pixel SP generate a signal flow due to a scratch or open defect, Will be described.

X축 방향의 제1 센싱 신호(SS1)가 제1 라우팅 라인(158)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 흐름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A signal flow in which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n the X-axis direction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routing line 158 will be described first.

우선, X축 방향의 제1 센싱 신호(SS1)가 제1 라우팅 라인(158)을 통해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과 짝수번째(Xeven)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152c)로 공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들(152a,152b)과 연결된 제1 브리지부(156)가 불량이 발생되어 제1 센싱 신호(SS1)는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152b)으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First,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n the X-axis direc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routing line 158 to the odd-numbered (Xodd)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152b, 152c and the even- 152a, 152b, and 152c.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s 152a and 152b of the odd-numbered (Xodd) is defective and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s connected to the odd-numbered (Xodd) 1 sensor electrode 152b.

이에 따라, 제1 센싱 신호(SS1)는 짝수번째(Xeven) 제1 센서 전극(152b)으로 공급되며, 제1 센싱 신호(SS1)는 제1 연결부(154)를 통해 제1 리던던시부(159)로 공급된다.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s suppli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b of the even numbered Xeven and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s supplied to the first redundancy unit 159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54. [ .

구체적으로, 제1 브리지부(156)를 통해 연결된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152b)은 제1 브리지부(156)가 단선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신호가 전달되기 어렵다. 이와 반대로, 제1 연결부(154)는 제1 센서 전극(152b)과 동일층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1 센싱 신호(SS1)가 공급되는데 문제가 없다. 이때, 제1 연결부(154)는 짝수번째(Xeven) 제1 센서 전극(152b)과 동일층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므로 컨택홀(252,254)에 의해 형성된 접속된 제1 브리지부(156)에 비해 단선이나 스크래치 발생될 확률이 확실히 적다. Specifically,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b connected to the odd-numbered (Xodd) sensor through the first bridge unit 156 is not easily transmitted because the first bridge unit 156 is disconnected or scratches ar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connection unit 15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b,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s not supplied. Since the first connection part 15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 152b of the even numbered Xeve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ridge part 156 formed by the contact holes 252 and 254,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cratches is certainly small.

이 후, 제1 리던던시부(159)로 공급된 제1 센싱 신호(SS1)는 제1 리던던시부(159)와 연결된 홀수번째(Xodd) 제1 센서 전극(152a)으로 공급된다.Thereafter,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supplied to the first redundancy unit 159 is supplied to the odd-numbered (Xodd) first sensor electrode 152a connected to the first redundancy unit 159.

이와 같이, 제1 브리지부(156)와 이와 인접한 제2 브리지부(16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및 스크래치에 취약한 브리지부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다. Thus,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djacent to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if a bridge portion that is vulnerable to static electricity and scratches is defective.

Y축 방향의 제2 센싱 신호(SS2)가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n the Y-axis direction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outing line 168 will be described.

우선, Y축 방향의 제2 센싱 신호(SS2)가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통해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b)과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b)로 공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번째(X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을 연결하는 제2 브리지부(166)는 불량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b,162a)을 연결하는 제2 브리지부(166)는 불량이 발생되었으므로 제2 센싱 신호(SS2)는 홀수번째(X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로 전달된다. First,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n the Y-axis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odd-numbered (Yod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b and the even-numbered (Yeven) second sensor electrodes 162b through the second routing line 168, .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bridge unit 166 connecting the odd-numbered (Xod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has no defect, but the even-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b and 16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s transmitted to the odd-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because the second bridge unit 166 is defective.

즉, 홀수번째(Xodd) 제2 센서 전극(162b)으로 공급된 제2 센싱 신호(SS2)는 제2 연결부(164)를 통해 제2 브리지부(166)로 공급된다. That is,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supplied to the odd-numbered (Xodd) second sensor electrode 162b is supplied to the second bridge unit 166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164.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8 is a plan view of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 상에 탑재된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패널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패널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touch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and a touch panel mounted on the liquid crystal panel. Here, the liquid crystal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치 패널은 위치 감지 전극으로서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센서 전극 패턴부가 형성된 센서 기판(130)과, 센서 기판(130)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커버 기판(132)과, 액정 패널(110)의 상부 편광판(118) 상에 형성된 제1 점착층(120)과, 센서 기판(130) 상에 형성된 제2 점착층(122)을 포함한다. The touch panel includes a sensor substrate 130 having first and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s functioning as position sensing electrodes, a cover substrate 132 formed to face the sensor substrate 130, A first adhesive layer 120 formed on the polarizing plate 118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22 formed on the sensor substrate 130.

센서 기판(130)은 제1 센서 전극 패턴부, 제2 센서 전극 패턴부, 센서부 FPC(Flexa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170)를 구비한다.The sensor substrate 130 includes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unit,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unit, and a sens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hereinafter, FPC) 170.

제1 센서 전극 패턴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도 8에 도시된 B 영역과 C 영역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will not be described,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B region and C region shown in FIG.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제2 방향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예로 들어 Y축 방향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마름모 형태 또는 다이아몬드 형태의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과,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과 동일층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연결해주는 제2 연결부(164)와,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컨택홀(262,264)을 통해 접속하는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과 동일층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연결해주는 제2 리던던시부(159)와, M(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2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168a,168b)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제2 센싱 신호(SS2)를 공급하는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라우팅 라인(168)은 M개의 제2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신호를 공급하지만,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과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s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second direction to sense a change in capacitance in the second direction. Here, the second direction may be Y-axis direction, for example. For this,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s formed in the second layer i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in the rhombic or diamond shape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 second connection part 164 for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hrough contact holes 262 and 264 A second bridge unit 166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162a, 162b, 162c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162c in the first direction and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 redundant portion 159 and a second routing portion 169 for combining the lines 168a and 168b of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to one line and supplying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Line < / RTI > At this time, the second routing line 168 combines the lines of the M second sensor electrodes into one line to supply the signal, but the odd-numbered (Yod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162c and the even- (Yeven)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re combined into one lin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그리고, 제2 브리지부(166)와 이와 인접한 제1 브리지부(15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2 브리지부(166)와 제1 브리지부(156)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제1 브리지부(156)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형성할 경우에 제1 브리지부(156)와 인접한 제2 브리지부(166)의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제1 브리지부(156)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형성하며, 제2 브리지부(166)의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형성된 것만을 예로 들었지만, 제1 브리지부(156)의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형성하며, 제2 브리지부(166)의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제1 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다.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djacent to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re form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djacent to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Although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is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i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b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X-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Y-axis direction. Alternatively, the first direction may be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X-axis direction.

여기서, 제2 연결부(164), 제2 리던던시부(169) 및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은 동일층에서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연결부(164), 제2 리던던시부(169) 및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은 절연층 상에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명 전극 재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등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라우팅 라인(168)은 금속 재질로, 금속 재질로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알루미늄 네오듐(AlNd), 몰리브덴 티탄(Mo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적층체일 수 있다. 제2 브리지부(166)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 또는 투명 전극 재질을 이용해서 한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166a)과 투명 전극 재질(166b)로 적층된 형태의 두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64, the second redundancy portion 169,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e same layer. The second connection part 164, the second redundancy part 169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are formed as transparent electrodes on the insulating layer, and ITO (Indium Tin Oxide ),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Tin Zinc Oxide (ITZO), and Antimony Tin Oxide (ATO).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routing line 168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silver (Ag), chromium (Cr), molybdenum (Mo) , Aluminum neodymium (AlNd), and molybdenum titanium (MoTi), or a laminate composed of at least any one metal. 6A,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using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166a and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166b as shown in FIG. 6B.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리지부(166)는 보호막에 컨택홀(262,264)을 형성하여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과 접속할 수 있으나, 제2 브리지부(166)는 보호막 및 컨택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센서 전극들(162a,162b,162c)을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리지부(166)와 제1 연결부(154)는 보호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제2 브리지부(166)와 제2 전극들(162a,162b,162c)은 보호막 없이 직접 접촉된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by forming contact holes 262 and 264 in the protective layer, The portion 166 can directly contact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162b, and 162c without forming the protective film and the contact hole. Accordingly,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54 are formed with a protective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and the second electrodes 162a, 162b, d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제1 센싱 전극 패턴부에만 리던던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제1 및 제2 센싱 전극 패턴부들 모두 리던던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dundant portion can be formed only in the first sensing electrode pattern por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dundant portion can be formed in all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 pattern portion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A영역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A 영역 중 제2 리던던시부를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제2 리던던시부가 형성된 경우에 따른 B 영역의 신호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 A reg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except for the second redundancy portion of the A reg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gnal flow diagram of the B region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redundancy portion is formed will be described .

도 9는 도 8에 도시된 C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C 영역 내에 제1 브리지부(156) 또는 제2 브리지부(166)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신호 흐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C shown in FIG. 8, and is a plan view showing a signal flow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first bridge part 156 or the second bridge part 166 in the C area.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픽셀 내에 형성된 제1 브리지부(156)와 제2 브리지부(166)에 스크래치 또는 단선(Open)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따른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A signal flow according to a case where scratch or open defect occurs in the first bridge portion 156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formed in the sensing pixel as shown in FIG. 9 will be described.

Y축 방향의 제2 센싱 신호(SS2)가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 흐름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A signal flow in which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n the Y-axis direction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routing line 168 will be described first.

우선, Y축 방향의 제2 센싱 신호(SS2)가 제2 라우팅 라인(168)을 통해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과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로 공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과 연결된 제2 브리지부(166)가 불량이 발생되어 제2 센싱 신호(SS2)는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부(162a,162c)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First,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n the Y-axis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odd-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and the even-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Yeven) through the second routing line 168 162a and 162c.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connected to the odd-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is defective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s divided into odd-numbered (Yodd) 2 sensor electrode portions 162a and 162c.

이에 따라, 제2 센싱 신호(SS2)는 짝수번째(Yeven)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로 공급되며, 제2 센싱 신호(SS2)는 제2 연결부(164)를 통해 제2 리던던시부(169)로 공급된다. Accordingly,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s supplied to the even-numbered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and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s supplied to the second redundancy unit 162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unit 164, (169).

구체적으로, 제2 브리지부(166)를 통해 연결된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은 제2 브리지부(166)가 단선 또는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제2 브리지부(166)를 통해 제2 센싱 신호(SS2)가 전달되기 어렵다. 이와 반대로, 제2 연결부(164)는 제2 센서 전극들(162a,162c)과 동일층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므로 제2 센싱 신호(SS2)가 공급되는데 문제가 없다. 이때, 제2 연결부(164)는 제2 센서 전극과 동일층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므로 컨택홀(262,264)을 통해 접속되는 제2 브리지부(166)에 비해 단선이나 스크래치 발생 확률이 확실히 적다. Specifically,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connected to the odd-numbered (Yod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connected to the second bridge unit 166 are disconnected or scratched by the second bridge unit 166,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s difficult to be transmitted. In contrast, since the second connection part 16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162a and 162c, 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is not supplie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6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wire breakage or scratching is certain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bridge portion 166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holes 262 and 264.

이 후, 제2 리던던시부(169)로 공급된 제2 센싱 신호(SS2)는 제2 리던던시부(169)와 연결된 홀수번째(Yodd) 제2 센서 전극(162a)으로 공급된다.The second sensing signal SS2 supplied to the second redundancy unit 169 is supplied to the odd second sensor electrode 162a connected to the second redundancy unit 169. [

이와 같이, 제1 센서 전극 패턴부와 제2 센서 전극 패턴부 모두에 리던던시부(159,169)를 형성함으로써 제1 또는 제2 브리지부(156,166)에 대한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감지가 가능하므로 터치 패널의 불량율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Since the redundant portions 159 and 169 are formed in both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 this way, even if defects of the first or second bridge portions 156 and 166 occur,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X축 방향의 제1 센싱 신호(SS1)는 제1 연결부(154)를 통해 제1 리던던시부(159)로 공급된다. The first sensing signal SS1 in the X axis direction is supplied to the first redundancy unit 159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unit 154. [

이와 같이, 제2 브리지부와 이와 인접한 제1 브리지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정전기 및 스크래치에 취약한 브리지부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터치 동작이 가능하다. Thus, the second bridge portion and the first bridge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bridge portion ar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the 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if a failure occurs in the bridge portions that are vulnerable to static electricity and scratche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액정 패널 112 : 상부 기판
114 : 하부 기판 116 : 하부 편광판
118 : 상부 편광판 120, 122 : 제1 및 제2 점착층
130 : 센서 기판 132 : 커버 기판
152a, 152b,152c : 제1 센서 전극 154 : 제1 연결부
156 : 제1 브리지부 158 : 제1 라우팅 라인
159 : 제1 리던던시부 162a,162b,162c : 제2 센서 전극
164 : 제2 연결부 166 : 제2 브리지부
168: 제2 라우팅 라인 169 : 제2 리던던시부
170 : 센서부 FPC
110: liquid crystal panel 112: upper substrate
114: lower substrate 116: lower polarizer plate
118: upper polarizer 120, 122: first and second adhesive layers
130: sensor substrate 132: cover substrate
152a, 152b, 152c: first sensor electrode 154: first connection portion
156: first bridge portion 158: first routing line
159: First redundancy units 162a, 162b, and 162c:
164: second connection portion 166: second bridge portion
168: second routing line 169: second redundancy section
170: Sensor part FPC

Claims (1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제1 센서 전극들,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다른층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브리지부 및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리던던시부를 포함하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서 상기 제1 센서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센서 전극들,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다른층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브리지부를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브리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수직 교차하고, 상기 제2 브리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first sensor electrodes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the first connection unit positioned i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the adjacent first sensor electrod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sensor electrodes which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art including a first redundancy part connected in two directions; And
Second sensor electrodes located on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first sensor electrodes, second connection electrodes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locat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including a second bridge portion connecting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ridg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지부 및 상기 제2 브리지부와 상기 제1 센서 전극들, 상기 제2 센서 전극들,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리던던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1 브리지부를 해당 제1 센서 전극들과 접속하는 컨택홀 및 상기 제2 브리지부를 해당 제2 센서 전극들과 접속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and between the first sensor electrode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first redundancy portion, ,
Wherein the protective film includes a contact hole connecting the first bridge part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a contact hole connecting the second bridge part to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브리지부는 금속 재질 또는 투명 전극 재질을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층과 투명 전극 재질을 포함하는 층의 적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ridge portions are a laminated structure of a single layer including a metal material or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or a layer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a layer including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전극 패턴부는 N(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1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라우팅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art further comprises a first routing line for supplying signals by combining N lines of first sensor electrodes into N lin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M(여기서, M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제2 센서 전극들의 라인들을 하나의 라인으로 결합하여 신호를 공급하는 제2 라우팅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routing line for supplying a signal by combining lines of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of M (where M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to one lin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지부와 제1 센서 전극들은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first sensor electrode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리지부와 제2 센서 전극들은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sensor electrode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는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층에 위치하고, 인접한 상기 제2 센서 전극들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리던던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edundancy unit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the adjacent second sensor electrodes in the first direction.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센서 전극들,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 층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브리지부, 및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동일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1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리던던시부를 포함하는 제1 센서 전극 패턴부; 및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센서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센서 전극들,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동일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센서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2 브리지부를 포함하는 제2 센서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브리지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수직 교차하고, 상기 제2 브리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A first sensor electrode located on a substrate, a first connection unit locat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bridge unit connecting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bridge unit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first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a first redundancy portion to which the first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s connected; And
Second sensor electrode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ensor electrodes on the substrate, second connection electrodes positioned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ing second sensor electrodes adjacen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sensor electrode pattern portion including a second bridge portion which is located on a different layer from the two sensor electrodes and connects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bridg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전극들,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1 리던던시부, 상기 제2 센서 전극들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1 브리지부 및 상기 제2 브리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제1 브리지부가 해당 제1 센서 전극들과 접속하는 컨택홀 및 상기 제2 브리지부가 해당 제2 센서 전극들과 접속하는 컨택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rotect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or electrodes,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redundancy portion,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bridge portion,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
Wherein the protective film comprises a contact hole in which the first bridge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a contact hole in which the second bridge pa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리지부는 상기 제1 센서 전극들과 직접 접촉되며, 상기 제2 브리지부는 상기 제2 센서 전극들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bridge port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ensor electrodes and the second bridge portion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sensor electrodes.
KR1020100099720A 2010-10-13 2010-10-13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KR101706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20A KR101706234B1 (en) 2010-10-13 2010-10-13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720A KR101706234B1 (en) 2010-10-13 2010-10-13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30A KR20120038130A (en) 2012-04-23
KR101706234B1 true KR101706234B1 (en) 2017-02-15

Family

ID=4613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720A KR101706234B1 (en) 2010-10-13 2010-10-13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2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6343B2 (en) 2019-04-29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Input-sensing circuit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040B1 (en) 2013-02-05 2020-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KR102132631B1 (en) * 2013-11-19 2020-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built-in touch screen
EP3388927A4 (en) * 2015-12-11 2019-08-07 Alps Alpine Co., Ltd. Capacitive sensor
JP6509371B2 (en) 2015-12-11 2019-05-0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Capacitance sensor
CN111938629A (en) * 2019-05-14 2020-11-17 杭州疆域创新医疗科技有限公司 Sensor, monitor and sensor manufacturing method
CN110413156B (en) 2019-08-06 2021-08-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ouch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6498A (en) * 2008-10-03 2010-04-15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JP2010211702A (en) * 2009-03-12 2010-09-24 Seiko Eps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6498A (en) * 2008-10-03 2010-04-15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JP2010211702A (en) * 2009-03-12 2010-09-24 Seiko Epson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6343B2 (en) 2019-04-29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Input-sensing circuit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130A (en) 201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492B1 (en)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panel
KR101686108B1 (en)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panel
JP5912015B2 (en) LCD with built-in touch screen panel
US861085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706234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ame
KR10131934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ssociated with Touch Panel
JP5538566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US888492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parallax barrier sharing single board
TWI417779B (en)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392198B (en) Electrode base board and possess display device and the touch panel of this electrode base board
JP2014211825A (en) Display device
JP2016024292A (en) Display device with sensor
CN109839779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658149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JPWO2014156066A1 (en) Input device
JP2017129960A (en) Display device with sensor
JP6117138B2 (en) Display device with sensor
JP2010191287A (en) Display
JP6074287B2 (en) Display device
KR101859469B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16627A (en) Touch screen device
JP2015099407A (en) Input device
KR101768488B1 (en) Display device
JP2019185051A (en) Display device
JP201615727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