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179B1 -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179B1
KR101706179B1 KR1020160065793A KR20160065793A KR101706179B1 KR 101706179 B1 KR101706179 B1 KR 101706179B1 KR 1020160065793 A KR1020160065793 A KR 1020160065793A KR 20160065793 A KR20160065793 A KR 20160065793A KR 101706179 B1 KR101706179 B1 KR 10170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bal
index
weight
indica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택
최윤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제 1 계산모듈로서,
상기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는 글로벌 역량 지표,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1 가중치 모듈; 및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2 가중치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evaluating global entry validity and method for evaluating global entry validity}
본 발명은 기업의 글로벌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객관적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자원보유역량, 글로벌 경영자 역량, 현지사업역량, 현지학습역량, 외부자원 활용 역량, 경영성과 등을 유형화하여 평가 지표를 수립함으로써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 평가 모형을 설계하거나,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술사업화 핵심역량 정도를 척도로 중소기업들을 등급화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중소기업청의 글로벌역량진단평가는 수출 인프라, 시장이해역량, 마케팅실행역량, 수출확대역량, 지속성장역량 등을 포함하는 평가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소기업진흥공단의 글로벌 평가는 4대 부문(준비, 활동, 심화, 수출액)의 평가 지표, 월드클래스 300 프레임 워크는 기술확보, 시장확대, 투자, 경영혁신 및 고용 등 4개 분야의 평가 지표 등을 각각 포함하는 등 다수의 글로벌 진출 타당성 관련 평가 모델이 제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지표의 다수는 진출 기업의 역량 평가 목적을 위주로 하는 지표이며, BMO 평가 모델과 같은 일부 지표에서는 기술 자체의 특징을 반영하는 지표에 포함을 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글로벌 진출 국가에 따른 수출입 관련 차별점이 존재하고, 수출 혹은 기술이전을 희망하는 제품의 산업별 종류에 따라서도 상이한 특징들이 존재함에도 관련 내용을 반영하는 평가 지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0001] Gupta, A.K. and Govindarajan, V., “Cultivating a global mindset”,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6(1), 2002.
[0002] Johanson J. E.(1), “Factor influencing the early internationalization high technology start-ups: US and UK evidence”,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Vol. 2, 20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제 1 계산모듈로서, 상기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는 글로벌 역량 지표,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1 가중치 모듈; 및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2 가중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는 글로벌 역량 지표,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산업별 특징을 반영하여 글로벌 진출의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국가별 특징을 반영하여 글로벌 진출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 자체의 특징을 반영하여 글로벌 진출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를 반영하여 글로벌 진출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이다.
도 2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 중 글로벌 역량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 중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글로벌 역량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3 가중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3 가중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글로벌 역량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에 산업별에 따른 평가지표 간 차이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산업별 평가 지표와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글로벌 역량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는 제 1 계산모듈, 제 1 가중치모듈, 및 제 2 가중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는 전술한 모듈 외에 제 3 가중치 모듈, 제 4 가중치 모듈 및 제 5 가중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계산모듈은(100)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들을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는 글로벌 역량 지표,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지표들은 1단계 지표, 2 단계 지표 및 3 단계 지표가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다. 제 1 가중치 모듈(110)은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치 모듈(120)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3 가중치 모듈(130)은 전술한 1 단계 지표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4 가중치 모듈(140)은 전술한 2 단계 지표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치 모듈(150)은 전술한 제 3 단계 지표에 기설정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2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 중 글로벌 역량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글로벌 역량(global competence)은 경영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주요 자원과 핵심 기능을 효율적으로 결합한 핵심 역량의 효율적인 해외이전을 통한 글로벌 고객만족 능력이라 할 수 있다((Porter,1996; Craig& Douglas, 2000). 여기서 핵심역량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들이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고객의 이익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으며, 역량이 고객의 이익과 연결될 때 핵심역량의 기능을 수행한다(javidan, SMJ, 1998). 따라서 중소기업의 글로벌 역량은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독특한 자원 또는 핵심역량을 다른 경쟁기업들보다 효과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배치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역량 지표 또는 글로벌 역량에 관한 지표는 1 단계 지표로 글로벌 경영자 역량 지표, 글로벌 기술 역량 지표, 및 글로벌 마케팅 역량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경영자 역량에 관한 지표는 2 단계 지표로 글로벌 마인드에 관한 지표, 혁신 및 CSR에 관한 지표 및 교육 및 시스템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마인드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경영진 수출확대의지 수준에 관한 지표, 글로벌 사업 전담 조직에 관한 지표 및 전사적인 글로벌 마케팅 목표 및 관리 수준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혁신 및 CSR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혁신 추진력에 관한 지표 및 글로벌 CSR 인식 수준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교육 및 시스템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역량 강화 교육에 관한 지표 및 시스템에 의한 정보관리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기술역량에 관한 지표는 2 단계 지표로 기술우수성에 관한 지표, 기술 경쟁력에 관한 지표 및 기술 개발 인프라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우수성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핵심기술의 보유 건수에 관한 지표, 기술의 전문성, 차별성에 관한 지표 및 기술사업화 전략 보유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술 경쟁력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지적재산권의 경쟁력 정도에 관한 지표, 품질/디자인 경쟁력에 관한 지표 및 가격 경쟁력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술 개발 인프라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글로벌 R&D투자비중에 관한 지표 및 연구개발 전담 인력 및 조직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마케팅 역량에 관한 지표는 2 단계 지표로 글로벌 시장 환경 분석에 관한 지표, 글로벌 마케팅 전략에 관한 지표 및 글로벌 고객 관계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시장 환경 분석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시장조사 수준에 관한 지표, 시장에 대한 정보보유 수준에 관한 지표, 및 시장요구사항 파악 및 활용 수준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은 3 단계 지표로 시장 세분화에 관한 지표 및 표적 고객 설정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고객 관계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촉진 활동에 관한 지표, 고객정보 관리 수준에 관한 지표, 적극적 고객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관한 지표, A/S 대응 수준에 관한 지표 및 잠재고객발굴 활동수준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 중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 단계 지표인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는 제 2 단계 지표로 글로벌 시장 환경에 관한 지표, 글로벌 공급 환경에 관한 지표, 글로벌 수요 환경에 관한 지표, 및 글로벌 특수 환경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시장환경에 관한 지표는 제 3 단계 지표로 시장의 규모에 관한 지표, 시장 성장률에 관한 지표, 및 시장 안정성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공급 환경에 관한 지표는 제 3 단계 지표로 투자 수익률에 관한 지표, 사업자금 규모에 관한 지표, 경쟁자 시장 점유율에 관한 지표, 공급자 교섭력에 관한 지표 및 대치 기술의 출현 가능성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수요 환경에 관한 지표는 제품 수명 주기에 관한 지표, 수요증가에 따른 단위원가 감소 수준에 관한 지표, 산업의 경기 및 계절의 민감도에 관한 지표 및 기술의 응용 및 확장 가능성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수요 환경에 관한 지표는 제 3 단계 지표로 제품 수명 주기에 관한 지표, 수요 증가에 따른 단위 원가 감소 수준에 관한 지표, 산업의 경기 및 계절의 민감도에 관한 지표 및 기술의 응용 및 확장 가능성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글로벌 특수 환경에 관한 지표는 제 3 단계 지표로 글로벌 사업 수행에 대한 경제/사회적 우호요인에 관한 지표, 글로벌 시장 내 리더십 확보 가능성 및 지속 가능 기간에 관한 지표, 정치, 사회, 환경, 공정 거래상 우대사항에 관한 지표. 경제 사회적 파급효과에 관한 지표, 및 정부지원혜택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1 단계 지표인 경영성과에 관한 지표는 2 단계 지표로 재무성과에 관한 지표 및 비재무성과에 관한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재무성과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성장성에 관한 지표(매출액 증가율), 수익성에 관한 지표(영업이익율), 안정성에 관한 지표(부채비율), 활동성에 관한 지표(총자산회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비재무성과에 관한 지표는 3 단계 지표로 인적자원성과에 관한 지표(이직율, 복리생비율), 고객성과에 관한 지표(고객만족도, 핵심고객만족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글로벌 역량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3 가중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3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역량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도 4에서 베타 값은 통계를 통해 분석된 각 항목의 중요한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한 값이며, 평균 대비 값은 항목 전체 베타 값의 평균 대비 각 항목의 비율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제 3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역량 지표에 대해 베타 값은 0.375, 평균 대비 값은 1.415를 기반으로 가중치 70.8%를 부여할 수 있다. 제 3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역량 지표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전술한 70.8%의 가중치는 60%의 가중치로 조정할 수 있다. 글로벌 역량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3 가중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3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대해 베타 값은 0.155, 평균 대비 값은 0.584를 기반으로 가중치 29.2%를 부여할 수 있다. 제 3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역량 지표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및 경영성과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전술한 29.2%의 가중치는 30%의 가중치로 조정할 수 있다. 제 3 가중치 모듈은 경영성과 지표에 대해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글로벌 역량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4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 내의 글로벌 시장 환경 지표, 글로벌 공급 환경 지표, 글로벌 수요 환경 지표 및 글로벌 특수 환경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4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시장 환경 지표에 베타 값 0.035, 평균값 대비 0.22 가중치 5.7%, 조정 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4 가중 치 모듈은 글로벌 공급환경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307, 평균 대비 값 1.99, 가중치 49.8%, 조정가중치 4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4 가중 치 모듈은 글로벌 수요환경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231, 평균 대비 값 1.49, 가중치 37.4%, 조정가중치 3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4 가중 치 모듈은 글로벌 특수환경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044, 평균 대비 값 0.28, 가중치 7.1%, 조정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 치 모듈은 시장의 규모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057, 평균 대비 값 0.64, 가중치 21.3%, 조정가중치 2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 치 모듈은 시장의 성장률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099, 평균 대비 값 1.11, 가중치 37.1%, 조정가중치 4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 치 모듈은 시장의 안전성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111, 평균 대비 값 1.25, 가중치 41.6%, 조정가중치 4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7은 글로벌 역량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에 산업별에 따른 평가지표 간 차이 분석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서 평균값은 각 항목의 제조업 혹은 비제조업에 따른 영향력 정도를 통계적으로 평균하여 나타낸 값이고, t값은 항목들의 영향성을 판단하는 통계량으로 유의 수준을 구하기 위한 검정 통계량이며, 유의 수준은 t값을 활용한 통계 분석을 통해 각 항목이 유의한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할 수 있는 값으로 작은 값을 가질수록 유의하다고 판단한다. 도 7에서 제시된 글로벌 역량지표를 구성하는 개별 지표들 중 기술 우수성에 관한 지표 및 기술 경쟁력에 관한 지표의 경우 산업별 즉 제조업/비제조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기술 우수성 지표의 경우 제조업의 경우 평균값이 3.74, t값이 2.811, 유의수준 0.005이며 비제조업의 경우 평균값이 3.40임을 인할 수 있다. 기술 경쟁력 지표의 경우 제조업의 경우 평균값이 3.88, t값은 2.495, 유의수준 0.013이며 비제조업의 경우 평균값은 3.58 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산업별 평가 지표와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역량 지표에 대해 산업별에 따른 즉 제조업/ 비제조업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역량 지표를 구성하는 전술한 2 단계 지표인 기술 우수성 지표 및 기술 경쟁력에 관한 지표에 대응하는 3 단계 개별 지표들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중치 모듈은 제조업의 경우 핵심기술의 보유 건수 지표에 베타 값 0.06, 평균값 대비 0.49 가중치 16.4%, 조정 가중치 1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모듈은 제조업의 경우 기술의 전문성/차별성 지표에 베타 값 0.095, 평균 대비 값 0.78, 가중치 26%, 조정가중치 2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제조업의 경우 기술산업화 전략 보유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1, 평균 대비 값 1.73, 가중치 57.5%, 조정가중치 6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비제조업의 경우 기술 우수성에 관한 지표에 베타 값 0.02, 평균 대비 값 0.49, 가중치 5.3%, 조정가중치 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비제조업의 경우 기술의 전문성/차별성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27, 평균 대비 값 1.18, 가중치 60.2%, 조정가중치 6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비제조업의 경우 기술산업화 전략보유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13, 평균 대비 값 1.03, 가중치 34.5%, 조정가중치 3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참고로 산업별에 따른 가중치 고려 없이 제 5 가중치 모듈에 의해 전술한 지표인 핵심기술의 보유건수에 대한 지표, 기술 전문선/차별성에 대한 지표 및 기술산업화 전략 보유에 대한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했을 경우 제 5 가중치 모듈은 핵심기술의 보유 건수 지표에 대한 베타 값은 0.021, 평균 대비 값은 0.20, 가중치 6.5%, 조정 가중치 10%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치 모듈은 기술의 전문성/차별성 지표에 대한 베타 값은 0.123, 평균 대비 값은 1.15, 가중치 38.2%, 조정 가중치 40%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치 모듈은 기술산업화 전략 보유 지표에 대해 베타 값은 0.178, 평균 대비 값은 1.66, 가중치 55.3%, 조정 가중치 50%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중 치 모듈은 제조업의 경우 지적재산권의 경쟁력 정도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063, 평균 대비 값 0.40, 가중치 13.2%, 조정가중치 1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중 치 모듈은 제조업의 경우 품질 /디자인의 경쟁력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122, 평균 대비 값 0.77, 가중치 25.6%, 조정가중치 2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제조업의 경우 가격 경쟁력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92, 평균 대비 값 1.84, 가중치 61.2%, 조정가중치 6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비제조업의 경우 지적재산권의 경쟁력 정도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06, 평균 대비 값 1.15, 가중치 38.4%, 조정가중치 4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중 치 모듈은 비제조업의 경우 품질 /디자인의 경쟁력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88, 평균 대비 값 1.61, 가중치 53.6%, 조정가중치 5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 치 모듈은 비제조업의 경우 가격 경쟁력 지표에 베타 값 0.043, 평균 대비 값 0.24, 가중치 8%, 조정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참고로 산업별에 따른 가중치 고려 없이 제 5 가중치 모듈에 의해 전술한 지표인 지적재산권의 경쟁력 정도, 품질/디자인의 경쟁력, 및 가격 경쟁력에 가중치를 부여했을 경우 제 5 가중치 모듈은 지적재산권의 경쟁력 정도에 대한 베타 값은 0.004, 평균 대비 값은 0.03, 가중치 1.0%, 조정 가중치 5%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치 모듈은 기술의 품질/디자인의 경쟁력 지표에 대한 베타 값은 0.182, 평균 대비 값은 1.38, 가중치 46%, 조정 가중치 45% 부여할 수 있다. 제 5 가중치 모듈은 가격경쟁력 지표에 대해 베타 값은 0.21, 평균 대비 값은 1.59, 가중치 53.0%, 조정 가중치 50% 부여할 수 있다.
도 9는 글로벌 역량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가중치 모듈은 5 단계 지표인 핵심기술의 보유 건수 지표, 기술의 전문성/차별성 지표, 기술사업화 전략보유 지표, 지적재산권 경쟁력정보 지표, 품질/디자인 경쟁력 지표 및 가격 경쟁력 지표에 산업별로 즉 제조업/비제조업별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이 도 8에서 전술한 구체적인 수치에 따라 전술한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중치 모듈이 핵심기술 보유 건수의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1 가중치 모듈은 3에서 제조업의 경우 5로, 비제조업의 경우 2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이 기술의 전문성/차별성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1 가중치 모듈은 12에서 제조업의 경우 8로, 비제조업의 경우 18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이 기술사업화 전략보유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1 가중치 모듈은 15에서 제조업의 경우 17로, 비제조업의 경우 10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이 지적재산권의 경쟁력 강도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1 가중치 모듈은 6에서 제조업의 경우 18로, 비제조업의 경우 48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이 품질/디자인경쟁력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1 가중치 모듈은 54에서 제조업의 경우 30으로, 비제조업의 경우 6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이 가격경쟁력 지표에 제조업과 비제조업에 따라 달리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1 가중치 모듈은 60에서 제조업의 경우 72로, 비제조업의 경우 12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0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즉 미국, 일본, 유럽, 동남아시아 및 중국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를 구성하는 전술한 3 단계 개별 지표들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국의 경우 제 2 가중치 모듈은 투자수익률 지표에 베타 값 0.129, 평균값 대비 0.66 가중치 13.2%, 조정 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모듈은 사업자금 규모 지표에 베타 값 0.273, 평균 대비 값 1.39, 가중치 27.9%, 조정가중치 3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경쟁자 시장 점유율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65, 평균 대비 값 1.35, 가중치 27%, 조정가중치 3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공급자 교섭력 지표에 베타 값 0.203, 평균 대비 값 1.04, 가중치 20.7%, 조정가중치 2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대체 기술의 출현 가능성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11, 평균 대비 값 0.56, 가중치 11.2%, 조정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제품수명주기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041, 평균 대비 값 0.24, 가중치 6.1%, 조정가중치 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치 모듈은 수요증가에 따른 단위원가 감소 수준 지표에 베타 값 0.08, 평균값 대비 0.48 가중치 11.9%, 조정 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모듈은 사업의 경기 및 계절 민감도 지표에 베타 값 0.147, 평균 대비 값 0.88, 가중치 21.9%, 조정가중치 2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기술의 응용 및 확장 가능성 지표에 베타 값 0.404, 평균 대비 값 2.40, 가중치 60.1%, 조정가중치 6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글로벌 사업수행에 대한 경제/사회적 우호요인 지표에 베타 값 0.04, 평균 대비 값 0.31, 가중치 6.3%, 조정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글로벌 시장 내 리더십 확보 가능성 및 지속기간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224, 평균 대비 값 1.76, 가중치 35.1%, 조정가중치 35%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정치, 사회, 환경, 공정 거래상 우대사항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078, 평균 대비 값 0.61, 가중치 12.2%, 조정가중치 1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경제, 사회적 파급효과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199, 평균 대비 값 1.56, 가중치 31.2%, 조정가중치 3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 2 가중 치 모듈은 정부지원혜택 지표에 대해 베타 값 0.097, 평균 대비 값 0.76, 가중치 15.2%, 조정가중치 16%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1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단계(S1100),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1110), 글로벌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S1120)를 포함한다. 제 1 계산모듈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은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 내지 10에서 전술한 바 있다. 제 1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 내지 10에서 전술한 바 있다. 제 2 가중치 모듈은 글로벌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 내지 10에서 전술한 바 있다.
100 : 제 1 계산모듈
110 : 제 1 가중치모듈
120 : 제 2 가중치모듈

Claims (11)

  1.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제 1 계산모듈로서,
    상기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는 복수의 개별지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별지표들은 글로벌 역량 지표 및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를 포함하고;
    상기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1 가중치 모듈; 및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2 가중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는 상기 복수의 개별지표들 간의 관계정보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상기 관계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지표들 간의 회귀분석 값에 기반하고,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는 글로벌 진출 시장에 대한 국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의 부여는 상기 글로벌 진출 시장에 대한 국가 정보 중 기설정된 시장 규모에 대응하는 국가 정보에만 부여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지표들에 각각 기설정된 제 3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 3 가중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장 규모에 대응하는 국가 정보는 미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또는 유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는 글로벌 시장 환경 지표, 글로벌 공급 환경 지표 또는 글로벌 수요환경 지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글로벌 역량지표는 글로벌 경영자 역량 지표, 글로벌 기술 역량 지표 또는 글로벌 마케팅 지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5. 제 1 계산모듈이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글로벌 진출 타당성 지표는 복수의 개별지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별지표들은 글로벌 역량 지표, 및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를 포함하고;
    제 1 가중치 모듈이 상기 글로벌 역량 지표에 산업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제 2 가중치 모듈이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에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는 상기 복수의 개별지표들 간의 관계정보에 기초하여 조정되고
    상기 관계정보는 상기 복수의 개별 지표들 간의 회귀분석 값에 기반하고,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는 글로벌 진출 시장에 대한 국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국가별에 따른 기설정된 제 2 가중치의 부여는 상기 글로벌 진출 시장에 대한 국가 정보 중 기설정된 시장 규모에 대응하는 국가 정보에만 부여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3 가중치 모듈이 상기 복수의 개별지표들에 각각 기설정된 제 3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
  7. 제 6 항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장 규모에 대응하는 국가 정보는 미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또는 유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사업 매력도 지표는 글로벌 시장 환경 지표, 글로벌 공급 환경 지표 또는 글로벌 수요환경 지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글로벌 역량지표는 글로벌 경영자 역량 지표, 글로벌 기술 역량 지표 또는 글로벌 마케팅 지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65793A 2016-05-27 2016-05-27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70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793A KR101706179B1 (ko) 2016-05-27 2016-05-27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793A KR101706179B1 (ko) 2016-05-27 2016-05-27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179B1 true KR101706179B1 (ko) 2017-02-15

Family

ID=5811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793A KR101706179B1 (ko) 2016-05-27 2016-05-27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1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828A (ko) * 2006-11-29 2008-06-03 한국기술거래소 아이디어 사업화 타당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활용한 기술평가보고서 작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저장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64479A (ko) * 2013-12-03 2015-06-11 사단법인 한국정보기술서비스산업협회 공공서비스 수출 사업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50080215A (ko) * 2013-12-31 2015-07-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828A (ko) * 2006-11-29 2008-06-03 한국기술거래소 아이디어 사업화 타당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활용한 기술평가보고서 작성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저장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64479A (ko) * 2013-12-03 2015-06-11 사단법인 한국정보기술서비스산업협회 공공서비스 수출 사업화 플랫폼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150080215A (ko) * 2013-12-31 2015-07-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외 초장대 교량 건설 프로젝트 진출 유형 도출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001] Gupta, A.K. and Govindarajan, V., "Cultivating a global mindset",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6(1), 2002. [0002] Johanson J. E.(1), "Factor influencing the early internationalization high technology start-ups: US and UK evidence",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Vol. 2, 2004.
연구보고서(공공기관 해외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표준지침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13.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The impact of supply chain practices and quality management on firm performance: Evidence from China's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
Das et al. Impact of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ngh et al. Strategy development by small scale industries in India
Resta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lean operations in product-oriented product service systems
Quesada et al. Critical factors affecting supply chain management: A case study in the US pallet industry
Norris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innovation orientation within business and management studies: A systematic review and paths for future research
Isaksson et al. Outsourcing strategies and their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small manufacturing firms in Sweden
Belas et al. Business environment quality factors research-SME management's platform
Petroni et al. Identifying manufacturing flexibility best practice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ho et al. The impact of diversity of innovation channels on innovation performance in service firms
Janeš Empirical verification of the balanced scorecard
Arefieva et al. Diagnostics of external environment effects upon enterprise competitive positions in the context of its economic security
Haider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agility-is there a need to develop a new instrument?
Laosirihongthong et al. Improving supply chain operations by adopting RFID technology: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enabling factors
Sharma et al. Performance measurement of information system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 strategic perspective
Novitasari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Competitive Advantage and Firm Performance in PROPER Companies in Indonesia
KR101706179B1 (ko) 글로벌 진출 타당성 평가 장치 및 방법
Andersson et al. Heterogeneous distributions of firms sustained by innovation dynamics—a model with empirical illustrations and analysis
Trollman A novel approach to assessing manufacturer progress toward sustainability
Beardsell The influence of CSR disclosure on corporate governance and company performance
Venkatesh et al. Sustenance of Indian apparel manufacturing industry in post MFA period-a strategic analysis
Vladimirov et al. Significance of globalization-specific factors for SME competitiveness: a conceptual model and an empirical test
Volik et al. Features of autom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interaction with customers
Koralova-Nozharova et al. The digitalization of transport infrastructure and its impact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Palazzo et al. Decision-Making Strategies and Tools: State-of-the-Art and Adv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