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324B1 - 노즐 - Google Patents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324B1
KR101701324B1 KR1020140187160A KR20140187160A KR101701324B1 KR 101701324 B1 KR101701324 B1 KR 101701324B1 KR 1020140187160 A KR1020140187160 A KR 1020140187160A KR 20140187160 A KR20140187160 A KR 20140187160A KR 101701324 B1 KR101701324 B1 KR 101701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discharge port
nozzle
length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739A (ko
Inventor
윤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7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3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내공부를 갖는 노즐 몸체; 상기 용강이 상기 내공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변 및 하부변과, 상기 상부변과 하부변의 양쪽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측변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변과 상기 하부변 간의 거리는 상기 상부변 및 상기 하부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고, 용강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형상을 변경하여 토출구로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이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노즐의 막힘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즐{Nozzle}
본 발명은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주조 시 용강의 정체를 억제하여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공정은 정련이 완료된 용강이 담겨 있는 래들(ladle)이 연속주조기에 안착되어 액체 상태의 용강이 래들에서 턴디쉬(tundish)를 거쳐 주형(mold)으로 이동하면서 고체 상태의 주편으로 변하는 공정이다. 이때, 침지노즐은 턴디쉬 하부에 위치하여 턴디쉬에 수용된 용강을 주형으로 공급한다.
침지노즐은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내공부를 갖는 노즐 몸체와, 용강이 내공부에서 주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침지노즐에 의해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강은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유속 또는 유량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된다.
한편, 연속주조 시 주조 초기에는 침적노즐로 공급되는 용강이 노즐의 내벽과 접촉하면서 용강의 온도가 저하되어 노즐의 내벽에 부착층이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부착층은 침지노즐의 내공부를 따라 흐르는 용강의 흐름을 불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즉, 부착층은 침지노즐의 내공부에서 용강의 흐름을 방해하여 토출구으로 토출되는 용강류를 일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편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편류는 주형에 공급된 용강 탕면에 파동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에 의해 탕면 상부에 위치하는 슬래그나 몰드 파우더가 주형 내부의 응고층에 포집되어 제조되는 주편의 결함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침지노즐 내부의 부착층이 성장하여 노즐이 막히게 되면, 주조가 중단되어 주조 실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침지노즐의 내벽에 부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노즐 내벽에 아르곤 가스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침지노즐로 공급된 아르곤 가스가 용강 중으로 혼입되어 탕면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333077B KR 2008-0054697A KR 2004-0056164A
본 발명은 토출구의 폭 및 높이를 제어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노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노즐은,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내공부를 갖는 노즐 몸체; 상기 용강이 상기 내공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변 및 하부변과, 상기 상부변과 하부변의 양쪽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측변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변과 상기 하부변 간의 거리는 상기 상부변 및 상기 하부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변의 길이는 상기 노즐 몸체의 내경에 대해서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상부변의 길이와 상기 하부변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변의 길이는 상기 상부변의 길이에 대하여 60 내지 70%일 수 있다.
상기 상부변과 상기 하부변 간의 거리는 상기 상부변의 길이에 대해서 105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변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몸체에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는 상기 노즐 몸체에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몸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은, 용강이 토출되는 토출구의 형상을 변경하여 토출구로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이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노즐의 막힘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즉, 토출구의 폭 제어를 통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용강의 유속 변화에 의해 토출구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침지노즐 막힘 현상에 따른 주편 품질의 저하나 조업 중단을 방지하여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용강이 토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토출되므로, 노즐 내에서 용강의 흐름이 변경, 예컨대 편류되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어 용강이 주형으로 토출되면서 탕면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이 구비되는 연속주조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침지노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7 내지 도 9는 연속주조 후 침지노즐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주조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속주조 설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주조 설비는 용강을 수송하는 래들(10)이 래들 터렛유닛(20)에 안착되어 교대로 턴디쉬(30)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래들 터렛유닛(20)은 회전 구동되는 스윙 타워(21)의 양측에 래들(1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래들 받침대(23)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래들 받침대(13)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래들(10)을 안착시키고, 스윙 타워(21)의 회전에 의해 래들(10)을 교대로 턴디쉬(30)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턴디쉬(30)의 하부에는 용강을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주편으로 생산하는 주형(60)이 설치되며, 주형(40)의 하부에는 주편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핀치롤(62)이 설치된다. 이때 래들(10)의 저면에는 콜렉터 노즐(Collector Nozzle, 11)이 구비되고, 상기 콜렉터 노즐(11)과 연결되어 래들(10) 내부의 용강을 턴디쉬(30)로 포어링(Pouring)시키는 쉬라우드노즐(Shroud Nozzle, 51)이 설치되며, 턴디쉬(30)의 저면에는 용강을 주형(60)으로 유출시키는 통로인 침지 노즐(40)이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노즐(51)은 래들(10) 하부의 콜렉터 노즐(11)과 턴디쉬(30)를 연결시켜 용강 주입 시 강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연주설비 일 측에 설치된 노즐 장착유닛(50)에 지지되어 노즐 장착유닛(50)의 조작에 의해 콜렉터 노즐(11)에 연결된다. 즉, 노즐 장착유닛(50)의 수평축 끝에는 링 형태의 안착구가 설치되어 쉬라우드노즐(51)이 수직상태로 놓이게 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노즐 장착유닛(50)이 구동되면서 수직으로 놓인 쉬라우드노즐(51)을 래들(10) 하부의 콜렉터 노즐(11)에 정확히 맞춰 장착하게 된다.
여기에서 래들(10) 내에 수용된 용강은 콜렉터 노즐(11)과 쉬라우드노즐(51)을 서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턴디쉬(30)로 유출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용강이 대기와 접촉되거나, 턴디쉬(30) 내에 존재하는 슬래그 등이 용강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쉬라우드노즐(51)을 턴디쉬(30) 내의 용강에 침적시키게 된다.
그리고 턴디쉬(30)로 장입된 용강은 침지 노즐(40)을 통해 주형(60)으로 주입되며, 이때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침지 노즐(40)을 주형(60) 내에 주입된 용강에 침적시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침지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노즐, 즉 연속주조용 침지노즐은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내공부를 갖는 노즐 몸체(41)와, 용강이 내공부에서 외측, 즉 주형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노즐 몸체(41)의 외벽에서 주형 내 슬래그(또는 몰드 파우더)와 접촉하는 영역에는 노즐 몸체(4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슬래그 라인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노즐 몸체(41)는 알루미나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슬래그 라인부(42)는 주형 내 슬래그에 대해서 내식성을 갖는 지르코니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토출구(43)는 노즐 몸체(41)를 관통하며 형성되어 노즐 몸체(41)의 내공부를 통해 공급되는 용강을 주형으로 토출시킨다. 토출구(43)는 주형 내로 공급되는 용강에 침지되도록 배치되어 용강이 주형으로 주입될 때 용강 토출로 인한 탕면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토출구는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형상의 토출구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 상부측에서 용강이 침지노즐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용강이 정체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강이 정체되는 영역에서는 보통 용강의 온도가 비교적 낮게 측정되고 있어 토출구가 막히거나 침지노즐의 내공부가 막히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토출구의 형상을 변경하여 용강이 정체되는 영역을 저감시킴으로써 토출구 막힘, 즉 노즐 막힘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베르누이는 유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다는 법칙을 이용하여 베르누이 정리를 발표하였다. 예컨대 굵기가 변하는 관에 공기를 흐르게 하고, 굵기가 다른 부분의 아래에 각각 가느다란 유리관을 연결하면, 비교적 굵은 쪽에 연결된 유리관 내의 물 높이는 낮아지고, 가느다란 쪽에 연결된 유리관 내의 물 높이는 높아진다. 또한, 같은 높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경우,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증가하고 비교적 넓은 통로를 흐를 때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유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유체의 속력이 감소하면 유체 내부의 압력은 높아진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토출구의 폭 및 높이를 제어하여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침지노즐의 막힘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즉, 토출구의 높이를 제어하여 용강의 유속 및 유량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토출구의 폭 제어를 통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침지노즐의 막힘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43)는 노즐 몸체(41)를 하향 경사지게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노즐 몸체(41)의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정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43)는 노즐 몸체(41)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의 토출구(43)가 서로 대향하며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출구(43)는 네 개의 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변(43a)과 하부변(43b), 그리고 상부변(43a)과 하부변(43b)의 양쪽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변(43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변(43a)과 하부변(43b) 간의 거리, 즉 토출구(43)의 높이(H)는 상부변(43a)과 하부변(43b) 간의 거리는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토출구(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3)를 형성하는 네 개의 변 중 상부변(43a)은 노즐 몸체(41)의 내경에 대해서 90 내지 100% 정도의 길이(W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변의 길이(W1)가 제시된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토출구(43)를 통해 토출되는 용강의 양이 감소하여 용강을 주형에 원활하게 공급하기 어렵고, 제시된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용강이 지나치게 많이 공급되어 용강이 주형으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변(43b)의 길이(W2)는 상부변(43a)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전자의 경우에는 토출구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변(43b)의 길이(W2)는 상부변(43a)의 길이(W1)에 대하여 60 내지 70%정도를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변(43b)의 길이(W2)가 제시된 범위보다 작은 경우 토출구의 하부측을 통해 토출되는 용강의 유량이 지나치게 감소할 수 있고, 토출구의 막힘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그 막힘 현상이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부변(43b)의 길이(W2)가 제시된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토출구의 상부측과 하부측 간의 용강의 유속 및 유량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부변(43a)의 길이(W1)에 대하여 하부변(43b)의 길이(W2)를 제시된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부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변(43b)의 길이(W2)가 상부변(43a)의 길이(W1)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경우에는 하부변(43b)의 길이(W2)가 상부변(43a)의 길이(W1)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경우보다 토출구의 상부측으로 토출되는 용강의 유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하부변(43b)의 길이(W2)가 상부변(43a)의 길이(W1)의 60% 정도를 차지하는 경우보다 하부변(43b)의 길이(W2)가 상부변(43a)의 길이(W1)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경우보다 토출구의 하부측으로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토출구로 토출되는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부분적으로 제어하여 노즐의 막힘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상부변(43a)과 하부변(43b) 간의 거리, 즉 토출구(43)의 높이(H)는 상부변(43a)의 길이(W1)에 대하여 105 내지 120%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구(43)의 높이가 상부변(43a)이나 하부변의 길이(W1, W2), 즉 토출구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면 토출구 내에서의 용강의 유속 또는 유량 제어가 용이하여 토출구의 막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변(43a)과 하부변(43b) 간의 거리(H)가 제시된 범위보다 크면 토출구(43)의 면적이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강의 양을 제어하기 어렵다. 또한, 상부변(43a)과 하부변(43b) 간의 거리가 제시된 범위보다 작으면 토출구(43)에서의 유량 조절이 어려워 노즐 막힘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침지노즐의 토출구는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또는 역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토출구는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부변(43a)과 하부변(43b)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측변(43c)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 내에서 상부변과 하부변 및 상부변과 하부변 간의 거리, 즉 높이를 조절하여 침지노즐의 토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형성되는 토출구의 면적은 5% 이내의 편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토출구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거나 큰 경우 용강의 유량 제어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노즐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즐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시뮬레이션은 두께가 250㎜이고, 폭이 1300㎜인 주편을 주조하되, 주조속도는 1.3m/min, 아르곤 가스 공급량은 8ℓ/min, 침지노즐의 침적 깊이는 190㎜인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지노즐은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크기의 토출구를 갖도록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상부변(㎜) 하부변(㎜) 높이(상부변과 하부변 간 거리)(㎜) 면적(㎟)
실시 예1 80 80 90 7225
실시 예2 85 70 95 7363
실시 예3 85 65 95 7125
비교 예 85 85 85 7225
실시 예1의 경우 토출구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이고, 실시 예2 및 3의 경우에는 토출구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이때, 실시 예2와 3은 토출구 하부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며, 실시 예2에 비해 실시 예3의 토출구 하부변의 길이가 작은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비교 예의 경우에는 토출구가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침지노즐의 토출구 형상이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6을 참조하면, 토출구가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교 예의 경우, 토출구의 상부측에서 용강이 역류하는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토출구의 약 70 내지 90㎜ 정도 이상의 높이에서 용강의 유속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다시 말해서 용강이 침지 노즐의 내공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용강의 유속이 변화함에 따라 토출구의 약 80㎜ 정도의 높이와, 58㎜ 정도의 높이에서 유속이 0이 되는 정체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강이 역류하거나 정체 영역으로 인해 침지노즐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실시 예1 내지 3의 경우에는 용강이 높이 상부 방향에서 용강이 상부측에서 용강이 유속이 침지노즐의 내공부로 다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토출구의 약 90㎜ 정도의 높이 이하에서는 용강의 유속이 다시 증가하게 되고, 유속이 0이 되는 정체 영역은 60 내지 70㎜ 정도의 높이에서 한 번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토출구가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비교 예(종래기술)에 비해 침지노즐의 막힘 현상이 억제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연속주조 후 침지노즐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으로, 각각의 사진에서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침지노즐이고, b)는 종래기술에 의한 침지노즐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속주조 후 대체적으로 토출구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a)의 토출구에 비해 b)의 토출구 주변에 다량의 응고물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연속 주조 후 토출구의 상부측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데, a)에 비해 b)에, 즉 종래기술의 토출구 상부측에 응고물이 두껍게 형성되어 노즐 막힘이 상당량 진행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침지노즐의 내공부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양자 모두 침지노즐 내벽에 응고물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나, 특히 b)의 침지노즐 내공부가 더 좁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구의 높이 및 폭을 제어하여 용강의 유속 및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침지노즐의 막힘 현상을 개선하여 침지노즐 막힘에 의해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래들 11: 콜렉터 노즐
20: 래들 터렛유닛 30: 턴디쉬
40: 침지노즐 43: 토출구
51: 쉬라우드노즐 60: 주형

Claims (8)

  1. 용강이 이동할 수 있는 내공부를 갖는 노즐 몸체;
    상기 용강이 상기 내공부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상부변 및 하부변과, 상기 상부변과 하부변의 양쪽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측변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변의 길이는 상기 상부변의 길이에 대하여 60 내지 70%이며,
    상기 상부변과 상기 하부변 간의 거리는 상기 상부변 및 상기 하부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상부변의 길이에 대해서 105 내지 120%인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변의 길이는 상기 노즐 몸체의 내경에 대해서 90 내지 100%인 노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변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노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몸체에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는 상기 노즐 몸체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노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몸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노즐.
KR1020140187160A 2014-12-23 2014-12-23 노즐 KR101701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60A KR101701324B1 (ko) 2014-12-23 2014-12-23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160A KR101701324B1 (ko) 2014-12-23 2014-12-23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39A KR20160076739A (ko) 2016-07-01
KR101701324B1 true KR101701324B1 (ko) 2017-02-01

Family

ID=5650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160A KR101701324B1 (ko) 2014-12-23 2014-12-23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3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512A (ja) * 2002-12-27 2004-07-29 Jfe Steel Kk 連続鋳造方法及び浸漬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3338U (ko) * 1987-08-25 1989-03-01
KR950008975Y1 (ko) * 1993-12-18 1995-10-18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고속주조용 침지노즐
KR100333077B1 (ko) 1997-12-26 2002-10-1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에서의용강균일공급노즐
JP4079415B2 (ja) * 2002-04-26 2008-04-23 黒崎播磨株式会社 薄スラブ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20040056164A (ko)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비대칭 노즐 출구를 갖는 침지 노즐 장치
KR20080054697A (ko) 2006-12-13 2008-06-19 주식회사 포스코 고속주조를 위한 침지 노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9512A (ja) * 2002-12-27 2004-07-29 Jfe Steel Kk 連続鋳造方法及び浸漬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39A (ko)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674B1 (ko) 스토퍼
TWI451923B (zh) Immersion nozzle
KR101701324B1 (ko) 노즐
TW201713428A (zh) 環狀進模口
JP2017177178A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そのタンディッシュを用いた連続鋳造方法
CN100346909C (zh) 具有动态稳定性的浸入式水口及其使用方法
KR100406424B1 (ko) 연속주조중 노즐막힘 방지를 위한 오리피스형 노즐
EP3900855A1 (en) Rotatable insert and submerged nozzle
KR101722951B1 (ko) 침지 노즐
JP2018051598A (ja) 下注ぎ造塊設備
JP2002301549A (ja) 連続鋳造方法
JP2000237852A (ja) 浸漬ノズル
KR101969105B1 (ko) 노즐
JP2001347348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6152834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6497200B2 (ja) ストリップ鋳造装置用浸漬ノズルおよびストリップ鋳造装置
KR20150041953A (ko) 스토퍼
JP2001232449A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KR101044762B1 (ko) 용강 와류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턴디쉬 오픈노즐
JP6792179B2 (ja) 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7172432B2 (ja) 異鋼種連続鋳造用仕切板及び異鋼種連続鋳造方法
JPH06262302A (ja) ステンレス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722952B1 (ko) 스토퍼
KR101914089B1 (ko) 용융물 처리장치 및 용융물 처리방법
KR101632036B1 (ko) 용융물 유속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