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481B1 -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481B1
KR101699481B1 KR1020150053573A KR20150053573A KR101699481B1 KR 101699481 B1 KR101699481 B1 KR 101699481B1 KR 1020150053573 A KR1020150053573 A KR 1020150053573A KR 20150053573 A KR20150053573 A KR 20150053573A KR 101699481 B1 KR101699481 B1 KR 10169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rug
growth
elevator
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493A (ko
Inventor
임운영
임영서
Original Assignee
임운영
임영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운영, 임영서 filed Critical 임운영
Priority to KR102015005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4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00Stationary apparatus or hand tools for forming or binding straw, hay or the like into bund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 A01K2227/703Worms, e.g. Caenorhabdities eleg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각각의 상기 생육 공간에는 상기 생육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재안착이 가능한 깔개가 배치되고, 상기 깔개의 전단에는 당김용 구멍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가로막이 형성되고, 상기 생물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승강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기;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수확을 위해 상기 깔개를 당겨서 감을 수 있는 윈치; 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가 상기 깔개를 당겨서 감는 동안 상기 깔개 상부의 수확물이 상기 승강기 위의 소정 공간에 수집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람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기계화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하게 생물을 수확하고 생육 공간에 생물을 다시 이식할 수 있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Apparatus for harvesting and reimplanting life in large scale growth facilities}
본 발명은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양생물은 토양 표면에 밀접하거나 토양 내부에서 생장하는 생물들로, 지렁이, 곤충류, 균류, 조류 등이 있다. 토양생물의 생장을 위해서는 적절한 온도, 습도, 암흑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지렁이는 땅 속에 구멍을 파면서 그 밑바닥의 흙을 삼켜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지렁이는 통기나 수분 흡수가 잘 되도록 흙을 일구어주므로 이들이 지나다닌 토지에서는 식물이 잘 자라게 된다.
한편, 지렁이의 배설물은 항문으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설물에는 칼슘과 그 밖의 영양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식물이 생장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기름진 흙이다. 또한, 지렁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해주어 환경오염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지렁이는 환경에 매우 유익한 토양생물이고 그 분변토는 좋은 천연비료가 될 수 있어 대량 생육을 통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래적 생육법에서는 대량 생육과 자동화가 불가능하고, 지렁이의 분변토를 수확하고 생육 공간에 지렁이를 입식하는 작업을 주로 사람의 노동력에 의존하고 있어 과다한 노동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지렁이와 같은 토양생물의 대량 생육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생육상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형태의 대단위 생육 시설을 구축하고, 분변토의 수확과 지렁이의 입식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자동화하여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2002-00334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사람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기계화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하게 생물을 수확하고 생육 공간에 생물을 다시 이식할 수 있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각각의 상기 생육 공간에는 상기 생육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재안착이 가능한 깔개가 배치되고, 상기 깔개의 전단에는 당김용 구멍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가로막이 형성되고, 상기 생물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승강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기;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수확을 위해 상기 깔개를 당겨서 감을 수 있는 윈치; 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가 상기 깔개를 당겨서 감는 동안 상기 깔개 상부의 수확물이 상기 승강기 위의 소정 공간에 수집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한 다단 실린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단 실린더는 상기 윈치에 감겨진 상기 깔개의 가로막을 가압하면서 신장되어 상기 깔개를 상기 생육 공간에 재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의 아래에서 상기 승강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보조 대차;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대차로부터 공급되는 적재물을 상기 다단 실린더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적재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실린더에 의해 상기 깔개를 재안착시키는 동안 상기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된 상기 적재물 내의 내용물을 상기 깔개 위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에는 경사지게 상하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생물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상기 승강기 위에서 상기 윈치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깔개로부터 수확된 수확물을 횡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된 수확물을 상기 슬라이딩 슈트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깔개로부터 수확된 수확물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슬라이딩 슈트로 차례로 이송되어,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상기 윈치, 상기 다단 실린더 및 상기 견인장치가 탑재되는 장비 장착부; 상기 장비 장착부의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기 위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레일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승강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부 이동대차;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기계화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하게 생물을 수확하고 생육 공간에 생물을 다시 이식할 수 있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단위 생육 시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대단위 생육 시설 내부에 배치되는 생육칸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육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상 지지대와 생육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깔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생물을 수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생물을 입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승강기 및 승강기 위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대단위 생육 시설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다. 여기서, 생육 공간은 소정의 영역으로 나누어지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면을 가져서, 그 위에 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토양생물을 대단위로 생육하기 위한 대단위 생육 시설의 일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대단위 생육 시설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가지면 되고,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단위 생육 시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대단위 생육 시설 내부에 배치되는 생육칸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라인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육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육상 지지대와 생육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깔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100)은 예를 들어, 남향의 산지형 경사지(1)에 설치되고,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생육칸(S)을 갖는다. 이러한 경사지(1)는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지형을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지(1) 상에는 대단위 생육 시설(100)로 인해 고중압이 작용하므로, 경사지(1)는 강경 지반이 되어야 한다.
생육칸(S)들은 도 1의 지붕(150)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각각의 생육칸(S)은 내력벽(110), 생육상 지지벽(115), 생육상 지지대(120), 생육상(125)을 포함한다.
내력벽(110)은 경사지(1)를 따라 설치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나의 생육칸(S)에는 2개의 내력벽(110)이 설치될 수 있다. 내력벽(110) 위에는 지붕(150)을 지지하기 위한 지붕지지기둥(151)이 설치되므로, 내력벽(110)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
생육상 지지벽(115)은 2개의 내력벽(110) 사이에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생육상 지지벽(115)은 내력벽(110)과 마찬가지로 경사지(1)를 따라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생육칸(S)에는 7개의 생육상 지지벽(115)이 설치되어, 전체 8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생육상 지지대(120)는 내력벽(110)과 생육상 지지벽(115) 사이 그리고 생육상 지지벽(115)들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도 2에서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이 된다. 생육상 지지대(120)는 경사지(1)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 생육상 지지대(120)는 60개 층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120) 사이의 높이는 0.8m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생육칸(S)의 수직 높이는 대략 48m가 될 수 있다. 도 3에서, 생육상 지지대(120)는 수평방향으로 수 m 정도 연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육상(125)은 판형으로 되어 각각의 생육상 지지대(120) 위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생육상(125)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 판으로 형성되고 충분한 내력을 갖도록 돌출된 골형부(125a)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골형부(125a)는 횡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생육상(125) 위에는 깔개(128)가 안착될 수 있다. 도 6에서 위의 도면은 깔개(128)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아래의 도면은 깔개(128)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깔개(128)는 인장강도와 투수성이 우수한 매트 형태로 될 수 있다. 깔개(128)는 토양생물이 생장할 수 있으면서, 수확을 위해 생육상(12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수확 후에는 다시 생육상(125) 위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깔개(128)의 전단에는 수확시에 견인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당김용 구멍(128a)이 형성되고, 깔개(128)의 후단에는 수확시에 수확물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형태의 가로막(1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생육상 지지대(120)와 생육상(125)은 액체가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깔개(128)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는 생육상(125) 및 생육상 지지대(120)를 통과하여 경사지(1)를 따라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내력벽(110)에 인접하여 슬라이딩 슈트(138)가 위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슈트(138)는 내력벽(110)을 따라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슈트(138)는 생육상(125)에서 수확한 수확물을 중력에 의해 미끄러지게 하여 생육칸(S)의 하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생육칸(S)의 하부에는 컨베이어(139)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슈트(138)에서 낙하된 수확물을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내력벽(110)의 상부에는 주행용 형강(135)이 설치되어,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승강시설이 승강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2개의 내력벽(110)에 설치된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서 승강기(130)가 생육칸(S) 내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기(130)에는 작업용 대차가 탑재되어, 생육칸(S)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생육칸(S)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상부 레일(141)과 하부 레일(142)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부 이동대차(147) 및 하부 이동대차(140)가 각각 상부 레일(142)과 하부 레일(141)을 따라 생육칸(S)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승강기(130)는 하나의 생육칸(S) 내에서 상하로 승강되고, 상부 이동대차(147)는 승강기(130)를 탑재한 상태에서 승강기(130)의 생육칸(S)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 이동대차(140)도 마찬가지의 기능을 한다.
승강기(130)를 하나의 생육칸(S)에서 다른 생육칸(S)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하는 생육칸(S)의 하단에 하부 이동대차(140)를 위치시킨다. 다음에, 승강기(130)를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켜 하부 이동대차(140)에 탑재한다. 다음에, 하부 이동대차(140)를 하부 레일(141)을 따라 다른 생육칸(S)으로 이동시킨 후, 승강기(130)를 다른 생육칸(S)의 내력벽(110)에 설치된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승강시키면 된다.
승강기(130)가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하부 이동대차(140)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부 이동대차(140)에는 주행용 형강(135)과 동일한 형태의 탑재용 레일(145)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기(130)는 주행용 형강(135)과 연속하여 위치되는 탑재용 레일(145)을 따라서 하부 이동대차(14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100)에 따르면, 하나의 승강기(130)와 하나의 하부 이동대차(140)만 구비하면, 승강기(130)를 다수의 생육칸(S)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이 가능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생장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생물을 수확하고 입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생물을 수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생물을 입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서 승강기 및 승강기 위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이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을 수확하고 입식하기 위한 것으로, 사람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기계화된 방법으로 신속, 정확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대단위 생육 시설은 예를 들어, 지렁이와 같은 토양생물을 생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렁이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한다. 지렁이의 배설물을 포함하는 분변토는 칼슘과 그 밖의 영양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 식물이 생장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천연비료가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각각의 생육 공간, 즉 생육상(125) 위에는 지렁이가 생육할 수 있도록 깔개(128)가 놓여진다. 이러한 깔개(128)는 생육상(125)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재안착이 가능하다. 깔개(128)의 전단에는 당김용 구멍(128a)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가로막(128b)이 형성된다.
깔개(128) 위에는 지렁이가 이식되고, 이식된 지렁이는 깔개(128) 위에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먹이로부터 영양분을 섭취하고 배설함으로써 깔개(128) 위에는 분변토가 쌓이게 된다.
본 발명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깔개(128)로부터 분변토를 수확하고, 다시 깔개(128)를 생육 공간에 재배치하는 과정에서 지렁이를 용이하게 입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렁이의 분변토를 수확하고 지렁이를 깔개(128) 위에 입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지렁이 외에도 깔개(128)와 같은 구조에서 생육할 수 있는 생물이면서 깔개(128)로부터 수확하고 깔개(128)에 입식이 가능한 생물은 모두 포함된다. 즉, 깔개(128)를 당겨 감아서 생물 또는 그 부산물을 수확할 수 있고, 깔개(128)를 다시 원위치하는 과정에서 생물을 깔개(128) 위에 입식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은 이러한 생물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승강기(130), 하부 이동대차(140), 윈치(160), 다단 실린더(170), 보조 대차(180), 견인장치(190), 제1 컨베이어 벨트(165), 제2 컨베이어 벨트(167), 장비 장착부(175), 이동 레일(176) 등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기(130)는 승강 레일(또는 주행용 형강)(135)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에는 하부 레일(141)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 하부 이동대차(140)가 설치되고, 승강기(130)는 하부 이동대차(140)에 탑재된 상태에서 하부 레일(141)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승강기(130)가 승강 레일(135)을 따라 하부 이동대차(140)에 탑재될 수 있도록 하부 이동대차(140)에는 승강 레일(135)과 동일한 형태의 탑재용 레일(145)이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기(130)는 승강 레일(135)과 연속하여 위치되는 탑재용 레일(145)을 따라서 이동 대차(140)에 탑재될 수 있다.
승강기(130) 위에는 윈치(160), 다단 실린더(170), 견인장치(190), 제1 컨베이어 벨트(165) 등이 배치될 수 있다(도 14 참조). 승강기(130) 위에 배치되는 장비 장착부(175)에는 윈치(160), 다단 실린더(170), 견인장치(190) 등이 탑재될 수 있다. 장비 장착부(175)는 승강기(130) 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이동 레일(176)을 따라서, 승강기(130) 위에서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장비 장착부(175) 위에 장착되는 윈치(160), 다단 실린더(170) 및 견인장치(190)는 승강기(130)가 종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함께 승강되고, 또한 승강기(130)와는 독립적으로 승강기(130) 위에서 이동 레일(176)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윈치(160)는 승강기(130) 위에 배치되고 깔개(128) 위의 분변토를 수확하기 위해 깔개(128)를 당겨서 감을 수 있다. 윈치(160)가 깔개(128)를 당겨서 감는 동안, 깔개(128) 상부의 수확물, 즉 지렁이 및 분변토는 승강기(130) 위의 소정 공간, 예를 들어 제1 컨베이어 벨트(165) 위에 수집될 수 있다.
다단 실린더(170)는 승강기(130) 위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도 2에서 지면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방향을 말하고, 도 7에서 생육상(125)[또는 깔개(128)]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된다. 이후에, 깔개(128)를 생육상(125) 위에 다시 원위치시킬 때, 다단 실린더(170)는 윈치(160)에 감겨진 깔개(128)의 가로막(128b)을 가압하면서 신장되어 깔개(128)를 생육상(125) 위에 재안착시킬 수 있다.
보조 대차(180)는 승강 레일(135)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고, 승강기(130)의 아래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견인장치(190)는 승강기(130) 위에 배치되고 보조 대차(180)로부터 공급되는 적재물(예를 들어, 입식용기)을 다단 실린더(170)의 위쪽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견인장치(19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판(191)과, 이러한 지지판(191) 위의 적재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19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깔개(128)로부터 지렁이 및 분변토를 수확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7에서 깔개(128) 위에는 지렁이 및 분변토(이하, 분변토)(15)가 적층되어 있다. 분변토(15)를 수확하기 위해, 윈치(160)와 연결되어 연장되는 연결부(161)를 깔개(128)의 당김용 구멍(128a)에 연결하고, 윈치(160)를 회전시킨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 윈치(160)를 회전시킴에 따라, 깔개(128)는 윈치(160)에 의해 당겨지면서 윈치(160)에 감기게 된다. 깔개(128)가 윈치(160)에 감기는 동안, 깔개(128) 위의 분변토(15)는 윈치(160) 아래로 낙하되어 제1 컨베이어 벨트(165) 위에 떨어지게 된다. 제1 컨베이어 벨트(165)는 승강기(130) 위에서 윈치(160)의 후단에 배치되고 분변토(15)를 횡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도 14 참조).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 벨트(165) 위의 분변토(15)는 제1 컨베이어 벨트(165)와 인접하게 연결된 제2 컨베이어 벨트(167) 위로 떨어진다. 제2 컨베이어 벨트(167)는 제1 컨베이어 벨트(165)에서 이송된 분변토(15)를 슬라이딩 슈트(138)로 이송한다. 제2 컨베이어 벨트(167)는 제1 컨베이어 벨트(165)와 슬라이딩 슈트(138)를 연결한다. 제1 컨베이어 벨트(165)가 슬라이딩 슈트(138)와 연결될 수 있다면, 제2 컨베이어 벨트(167)는 생략될 수 있다.
슬라이딩 슈트(138)는 경사지게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고, 분변토(15)를 중력에 의해 미끄러지게 하여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에는 컨베이어(139)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슈트(138)에서 낙하된 수확물을 다른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슈트(138)의 하부에는 수확물이 컨베이어(139) 위로 정확히 낙하될 수 있도록 수확시에만 연결되는 탈착형 연결슈트(137)가 연결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 깔개(128)는 후단의 가로막(128b)만 남기고 윈치(160)에 완전히 감겨지고, 분변토(15)는 자동으로 제1 컨베이어 벨트(165), 제2 컨베이어 벨트(167), 슬라이딩 슈트(138)를 거쳐서 컨베이어(139)로 낙하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깔개(128)로부터 분변토(15)의 수확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깔개(128)를 생육상(125) 위에 재안착시킴과 동시에 지렁이를 깔개(128) 위에 입식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보조 대차(180)는 승강기(130)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하고, 보조 대차(180) 위의 적재물(10)은 견인장치(190)의 지지판(191) 위로 올려진다. 보조 대차(180) 위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적재물(10)을 지지판(191) 위로 올릴 수 있다. 적재물(10) 안에는 깔개(128)에 입식하기 위한 지렁이가 수용될 수 있다. 지지판(191) 위에 올려진 적재물(10)은 견인부(192)에 의해 다단 실린더(170)의 상부로 올려진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면, 다단 실린더(170)가 깔개(128)를 생육상(125) 위에 재안착시키기 위해 가로막(128b)을 가압하면서 신장되는 동안, 작업자는 적재물(10) 내의 지렁이(20)를 깔개(128) 위로 낙하시킨다. 그에 따라, 깔개(128)가 생육상(125) 위에 원위치됨과 동시에 깔개(128) 위에는 지렁이(20)가 입식될 수 있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 깔개(128)는 생육상(125) 위에 완전히 재안착되고, 지렁이(20)도 깔개(128) 위에 입식되어 있다. 다단 실린더(170)가 신장되는 속도는 지렁이(20)가 깔개(128) 위에 낙하되는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변토(15)의 수확과 지렁이(20)의 입식은 연속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생육상(125)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이동 레일(176)을 따라 승강기(130) 위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음 생육상(125)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승강기(130)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고, 하나의 사육칸(S)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승강기(130)는 하부 이동대차(140)에 탑재되어 다음 사육칸(S)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확 및 입식 장치에 따르면, 윈치(160)에 의해 깔개(128)를 당겨서 감는 과정에서 분변토(15)를 원하는 위치에 수집할 수 있고, 다단 실린더(170)가 깔개(128)의 후단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깔개(128) 위에 지렁이(20)를 입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업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기(130)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기계화된 방법으로 신속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승강기(130) 하부에는 보조 대차(180)가 배치되어, 지렁이(20)를 수용하는 적재물(10)을 다단 실린더(170)의 상부로 이송하여 깔개(128)가 재배치되는 동안 지렁이(20)를 깔개(128) 위에 입식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130)와 하부 이동대차(140)에 의해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육상(125) 간의 이동, 생육칸(S) 간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장관리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대단위 생육 시설
110 : 내력벽
115 : 생육상 지지벽
120 : 생육상 지지대
125 : 생육상
125a : 골형부
128 : 깔개
128a : 당김용 구멍
128b : 가로막
130 : 승강기
131 : 이동 레일
135 : 주행용 형강
138 : 슬라이딩 슈트
140 : 하부 이동대차
141 : 하부 레일
142 : 상부 레일
145 : 탑재용 레일
147 : 상부 이동대차
150 : 지붕
160 : 윈치
165 : 제1 컨베이어 벨트
167 : 제2 컨베이어 벨트
170 : 다단 실린더
175 : 장비 장착부
176 : 이동 레일
180 : 보조 대차
190 : 견인장치
191 : 지지판
192 : 견인부

Claims (6)

  1. 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다수의 생육 공간을 갖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각각의 상기 생육 공간에는 상기 생육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재안착이 가능한 깔개가 배치되고,
    상기 깔개의 전단에는 당김용 구멍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가로막이 형성되고,
    상기 생물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승강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기;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수확을 위해 상기 깔개를 당겨서 감을 수 있는 윈치;
    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가 상기 깔개를 당겨서 감는 동안 상기 깔개 상부의 수확물이 상기 승강기 위의 소정 공간에 수집되도록 하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한 다단 실린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단 실린더는 상기 윈치에 감겨진 상기 깔개의 가로막을 가압하면서 신장되어 상기 깔개를 상기 생육 공간에 재안착시킬 수 있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의 아래에서 상기 승강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보조 대차;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대차로부터 공급되는 적재물을 상기 다단 실린더의 상부로 이송하기 위해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적재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는 견인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실린더에 의해 상기 깔개를 재안착시키는 동안 상기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된 상기 적재물 내의 내용물을 상기 깔개 위로 낙하시킬 수 있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에는 경사지게 상하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슈트가 설치되고,
    상기 생물의 수확 및 입식 장치는,
    상기 승강기 위에서 상기 윈치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깔개로부터 수확된 수확물을 횡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서 이송된 수확물을 상기 슬라이딩 슈트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벨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깔개로부터 수확된 수확물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슬라이딩 슈트로 차례로 이송되어,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로 이송될 수 있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위에 배치되고 상기 윈치, 상기 다단 실린더 및 상기 견인장치가 탑재되는 장비 장착부;
    상기 장비 장착부의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기 위에 설치되는 이동 레일;
    을 더 포함하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단위 생육 시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레일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승강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부 이동대차;
    를 더 포함하는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KR1020150053573A 2015-04-16 2015-04-16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KR101699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73A KR101699481B1 (ko) 2015-04-16 2015-04-16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573A KR101699481B1 (ko) 2015-04-16 2015-04-16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493A KR20160123493A (ko) 2016-10-26
KR101699481B1 true KR101699481B1 (ko) 2017-01-24

Family

ID=5725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573A KR101699481B1 (ko) 2015-04-16 2015-04-16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4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9452A (zh) * 2019-06-22 2019-08-23 长兴特林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生物质发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34Y1 (ko) 2002-07-15 2002-11-13 임상근 분변토 생산을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KR100664574B1 (ko) 2006-01-09 2007-01-04 서인석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101022025B1 (ko) 2010-08-17 2011-03-16 조장은 식물 재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656Y1 (ko) 2002-11-08 2003-02-15 김병관 가축 사료의 자동 급이장치
KR100671469B1 (ko) * 2004-02-19 2007-01-18 주식회사 바이오쏜 식물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434Y1 (ko) 2002-07-15 2002-11-13 임상근 분변토 생산을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KR100664574B1 (ko) 2006-01-09 2007-01-04 서인석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101022025B1 (ko) 2010-08-17 2011-03-16 조장은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493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6329C (en) Procedure and modular structure for continuously growing an aeroponic crop
US20130340329A1 (en) Harvesting Device, Grow Space, Grow System and Method
US20070256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Movement of Plants
CN110720436A (zh) 一种黑水虻自动化养殖生产线
EP3484271B1 (de) Verfahren und anlage zu dessen durchführung, zum industriellen anbauen, ziehen, ernten, waschen, verpacken, etikettieren und kühllagern von pflanzen, insbesondere von salaten, gemüsen oder feldfrüchten
FI72029C (fi) Anlaeggning foer odling av vaexter.
CN106414374A (zh) 蠕虫收获设备
CN111802331A (zh) 一种黑水虻循环养殖生产线
KR101699481B1 (ko)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수확 및 입식을 위한 장치
CN205357803U (zh) 蛆粪自分离设备及组合装置
DE102015116966B3 (de) Stellage zur Aufnahme von Mastgeflügelkäfigen und Mastgeflügelkäfig
KR200233594Y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CN113317283A (zh) 一种立体黑水虻养殖机构、养殖***和养殖方法
KR200294434Y1 (ko) 분변토 생산을 위한 지렁이 사육장치
KR20010034743A (ko)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713542B1 (ko) 대단위 생육 시설에서 생물의 생장관리를 위한 급이장치
KR102027487B1 (ko)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WO2007012313A1 (de) Anlage zum anbau von pflanzen
KR200361010Y1 (ko) 적층식 지렁이 사육장치
KR20170036674A (ko) 토양생물의 대단위 생육 시설
WO2018115092A1 (de) Agrareinheit, agrarmodul, agrar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grarsystems
JP3500456B2 (ja) 栽培槽による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JPH08256611A (ja) ハウス用パレット自動搬送システム
CN112293354A (zh) 一种养殖盒取放机
KR102376591B1 (ko)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배양되는 미세조류의 수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수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