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181B1 -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181B1
KR101694181B1 KR1020150052911A KR20150052911A KR101694181B1 KR 101694181 B1 KR101694181 B1 KR 101694181B1 KR 1020150052911 A KR1020150052911 A KR 1020150052911A KR 20150052911 A KR20150052911 A KR 20150052911A KR 101694181 B1 KR101694181 B1 KR 10169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protrusion
release liner
inclined portion
jo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983A (ko
Inventor
우진태
임종윤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18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
    • C09J2201/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접합부재로서, 일면은 기준면,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 및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함몰부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정상부, 제1 정상부에서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내측경사부, 및 제1 정상부에서 기준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제1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제1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함몰부는 기저부, 및 기저부에서 제1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하며, 선형으로 연장된 선형음각패턴인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MICROSTRUCTURED ADHESIVE TAPE, RELEASE LINER AND PREPARATION METHOD OF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이형라이너 및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합물품은 다양한 분야에서 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광고용 필름, 건축마감용 필름, 인테리어 필름, 보호용 필름, 라벨 및 테이프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 LED TV, OLED TV 등의 디지털 TV,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접합물품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자기기는 나노(nano) 내지는 마이크로(micro) 규모의 정밀 소자를 포함하며, 이에 사용되는 접합물품의 접합 특성은 전자기기의 성능 및 효과에 민감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특성이 보다 개선된 접합물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중 전자기기, 특히 광학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피착 과정 중에 접합물품과 피착체 사이에 공기 등의 유체가 포집되면 광학 디스플레이 기기 완제품의 현격한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종래의 접합물품은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터널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현저한 접합력 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터널 구조를 가지면서 접합력이 향상된 접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접합력이 향상된 접합 테이프를 제조하기 위한 이형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터널 구조를 가지면서 접합력이 향상된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접합부재로서, 상기 일면은 기준면,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에서 상기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내측경사부, 및 상기 제1 정상부에서 상기 기준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제1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함몰부는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하며, 선형으로 연장된 선형음각패턴인 접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는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이형라이너로서, 상기 일면은 기준면,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돌출부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함몰부는 제1 기저부, 상기 제1 기저부에서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내측경사부, 및 상기 제1 기저부에서 상기 기준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제1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는 정상부, 및 상기 정상부에서 상기 제1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하며, 선형으로 연장된 선형양각패턴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를 준비하는 단계; 접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재의 일면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고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표면 형상을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피착체와 피착 후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접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층은 소정의 쿠션기능을 수행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피착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표면 미세구조로 인한 접합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공기 배출 능력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접합 테이프 외부에서 공기배출터널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유체 분산성이 더욱 개선되며, 접합 테이프가 피착체에 부착되는 속도가 증가되고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가접합된 상태에서 부착위치의 조정이 가능하여 부착위치 오류로 인한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 테이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합부재를 Ⅲ-Ⅲ`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합부재 상면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이형라이너를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접합 테이프를 ⅩⅠa-ⅩⅠa`, ⅩⅠb-ⅩⅠ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확대사시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들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평면도들이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접합 테이프(100)의 일 부분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평면상에서 확장된 시트(sheet) 형상이거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band)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띠 형상의 접합 테이프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X는 접합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을, Y는 접합 테이프(100)의 너비 방향을, Z는 접합 테이프(100)의 두께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X가 접합 테이프의 너비 방향, Y가 길이방향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부재(200)를 포함한다.
접합부재(200)는 접합력을 가져 피착체와 접합이 가능하게 한다. 접합 테이프(100)에서 피착체와 접합되는 접합면은 접합부재(200)의 일면(상면) 및/또는 타면(하면)이다. 도 1에서는 접합부재(200)의 상면이 접합면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접합부재(200)의 상면은 요철면을 포함한다. 요철면은 접합 테이프(100)를 피착체에 접합할 때, 공기 터널을 형성함으로써 접합 테이프(100)와 피착체 간 들뜸 현상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접합부재(200)의 상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된다.
접합부재(200)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 또는 점착력을 갖는 점착제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는 러버계, 폴리우레탄계, 변성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200)는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접합부재(200) 자체에 우수한 복원력 및 충격흡수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접합부재(200)의 구성물질은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피착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질이 선택될 수 있다.
접합부재(200)의 점도는 10 내지 100,000 cps이거나, 500 내지 3,000 cps이거나, 1,000 내지 2,000 cps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접합부재(200)의 두께는 목적 또는 용도를 고려하여 선택되며, 일반적으로 10 내지 70㎛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부재(200)는 접착력이나 점착력을 갖는 물질 이외에 다른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는 전자파 차폐기능이나 방열기능 등을 수행하는 금속 입자 또는 탄소 소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입자로는 Ag, Al, BN, Cu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소재의 예로는 탄소섬유(carbon fiber),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접합부재(200)는 충전제, 가소제, 발포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난연제, 증점제, 착색제, 섬유상 강화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는 접합 테이프(100)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0)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빛 차단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 접합부재(200)는 착색제로서 차광 물질, 예컨대 블랙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부재(200)의 상면에 배치된 이형라이너(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형라이너(800)는 수지층(800a) 및 지지층(8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라이너(800)의 수지층(800a)은 접합부재(200) 상면의 요철면에 형합하는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형라이너(8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부재(200)의 하면에는 소정의 층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재층, 쿠션층, 차광층, 색상층, 방열층, 전자파 차폐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접합부재(200)의 하면에는 또 다른 이형라이너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합 테이프(100)는 접합부재(200)의 상면뿐만 아니라, 접합부재(200)의 하면도 접합면으로 사용 가능한 양면 접합 테이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접합 테이프의 경우 접합부재의 하면 또한 상기 접합부재의 상면과 동일한 요철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상기 하면의 요철구조는 상기 상면의 요철구조에 비해 제1 방향(X) 및/또는 제2 방향(Y)으로 소정 거리만큼 시프트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접합부재(200)의 상면 구조와 이형라이너(8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접합 테이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합부재를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합부재 상면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접합부재(200)의 상면은 기준면(300), 기준면으로부터 일측(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500), 및 기준면(300)으로부터 타측(하측)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함몰부(400)를 포함한다.
기준면(300)은 접합부재(200)의 주된 접합면을 구성한다. 기준면(300)의 면적은 접합부재(200) 상면 전체 면적의 50% 이상일 수 있다. 기준면(300)은 돌출부(500)와 함몰부(400)가 형성되는 기준이 된다.
기준면(300)은 평탄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탄면'이란 접합 테이프를 평면 상에 놓았을 때 굴곡이 전혀 없는 평탄한 면뿐만 아니라 공정 또는 제조상의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소정의 표면 조도를 가진 표면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기준면(300)은 함몰부(400) 및 돌출부(500)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2개의 인접한 기준면(300) 사이에는 2개의 돌출부(500)와 하나의 함몰부(400)가 배치된다. 2개의 돌출부(500)는 함몰부(400)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돌출부(510) 및 함몰부(400)의 폭 방향 타단에 배치된 제2 돌출부(520)를 포함한다.
기준면(300),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함몰부(400)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는 각각 선형양각패턴이고, 함몰부(400)는 선형음각패턴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은 제2 방향(Y)이다. 이 경우 연장되는 함몰부(400)의 양 말단부는 접합 테이프(100)의 제2 방향(Y) 말단까지 이어질 수 있다. 함몰부(400)는 공기배출터널(air sweep tunnel)로써 역할을 하며, 접합 테이프(100)의 말단까지 이어진 공기배출터널을 통해 유체 등이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제1 돌출부(510)는 제1 방향(X)을 따라 기준면(30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함몰부(400)는 제1 돌출부(510)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제2 돌출부(520)는 함몰부(400)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을 따라 인접하여 순차 배치되어 있는 기준면(300), 제1 돌출부(510), 함몰부(400), 및 제2 돌출부(520)는 하나의 기본단위를 이룬다. 상기 기본단위는 제1 방향(X)을 따라 반복될 수 있다.
상기 기본단위는 반복되기 때문에, 제1 방향(X)으로 일정한 피치만큼 끊어서 다른 기본단위로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 기준면의 절반, 제1 돌출부(510), 함몰부(400), 제2 돌출부(520), 타측 기준면의 절반이 하나의 기본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본단위의 피치(P1)는 1㎛ 이상 10,000㎛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및 함몰부(400)가 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피치에 따라 배열되는 경우, 방향성에 따른 접합력의 편차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 테이프(100)가 피착체와 부착 후, 리워크(rework) 작업이 필요한 경우 접합력이 더 작은 방향으로 접합 테이프(100)를 박리함으로써 리워크를 더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및 함몰부(400)가 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피치에 따라 배열되면, 접합 테이프(100)에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및 함몰부(400)의 연장방향으로의 꺾임 특성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테이프(100)가 각진 피착체와 부착되는 경우, 피착체의 각진 모서리가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및 함몰부(40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접합 테이프(100)를 배치하면 부착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아울러, 접합부재(200)에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및 함몰부(400)가 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피치에 따라 배열됨으로 인해, 접합 테이프(100)가 피착체와 부착 후 접합 테이프(100) 표면에서 시인되는 패턴의 형상이 균일하여 외관이 향상되고 광학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및 함몰부(400)가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면, 공기 배출의 경로 길이, 배출 단면적 및 공기 배출의 분산성 등이 최적화된 다중 공기배출터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돌출부(510) 및 제2 돌출부(520)는 함몰부(400)를 기준으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연장 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단면에서, 제1 돌출부(510) 및 제2 돌출부(520)는 각각 정상부(510_3, 520_3) 및 정상부(510_3, 520_3)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하향 경사진 2개의 경사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돌출부(510) 및 제2 돌출부(520)의 경사부 중 함몰부(400)를 향하는 경사부를 내측경사부(510_1, 520_1), 기준면(300)을 향하는 경사부를 외측경사부(510_2, 520_2)로 지칭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10) 및 제2 돌출부(520)의 정상부(510_3, 520_3)로부터 하향 경사진 외측경사부(510_2, 520_2)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고, 변곡점을 기준으로 다시 경사가 완만해지며 경사부 최하단에 이를 수 있다. 또한 내측경사부(510_1, 520_1)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경사부 최하단에 이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510)의 내측경사부(510_1)가 기준면(300)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θ1)은 외측경사부(510_2)가 기준면(300)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θ2)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평균 경사각이란, 임의의 구간 내에서 기울기가 다른 여러 경사를 평균한 경사각을 의미하며, 경사부 전체에서 경사부 최하단에서 정상부까지의 수평거리에 대한 고저차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제1 돌출부(510)의 내측경사부(510_1)가 기준면(300)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은 46 내지 90°이고, 제1 돌출부(510)의 외측경사부(510_2)가 기준면(300)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은 10 내지 44°일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520)의 정상부(520_3)에서 내측경사부(520_1)의 최하단까지의 직선거리(ℓ1)는 정상부(520_3)에서 외측경사부(520_2)의 최하단까지의 직선거리(ℓ2)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 직선거리의 비(ℓ1/ ℓ2)는 1/5.6 이상이고, 1 미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측경사부는 기준면에 대해 역경사, 즉 내측경사부와 기준면은 둔각을 이룰 수도 있다.
내측경사부(510_1, 520_1)와 외측경사부(510_2, 520_2)의 경사각 차이에 의해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형상은 함몰부(400) 측으로 깊은 경사를 갖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형상이 된다. 즉,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정상부(510_3, 520_3)는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바닥면의 중심축과 어긋나 있으며, 인접하는 함몰부(400) 쪽으로 치우쳐 있다. 내측경사부(510_1, 520_1)의 경사각이 외측경사부(510_2, 520_2)의 경사각보다 큰 것은 접합부재(200)를 피착체에 부착할 때, 돌출부(500)가 쓰러지는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제1 돌출부(510)와 제2 돌출부(520)의 정상부(510_3, 520_3)는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뾰족한 꼭지를 이룰 수도 있다.
제1 돌출부(510)와 제2 돌출부(520)의 높이(h500)는 기준면(300)으로부터 정상부(510_3, 520_3)에 이르는 거리로 정의된다. 제1 돌출부(510)와 제2 돌출부(520)의 높이(h500)는 3㎛ 내지 50㎛일 수 있다. 제1 돌출부(510)와 제2 돌출부(520)의 폭(w500)은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가 기준면(300)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양단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제1 돌출부(510)와 제2 돌출부(520)의 폭(w500)은 3㎛ 내지 30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함몰부(400)의 연장 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함몰부(400)의 단면에서, 함몰부(400)는 기저부(400_3) 및 기저부(400_3)로부터 상향 경사진 2개의 경사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한 함몰부(400)의 2개의 경사부 중, 제1 돌출부(510)에 인접한 경사부를 제1 경사부(400_1)로, 제2 돌출부(520)에 인접한 경사부를 제2 경사부(400_2)로 지칭한다.
함몰부(400)의 기저부(400_3)로부터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400_1)와 제2 경사부(400_2)는 각각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경사부 최상단에 이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경사부(400_1)와 제2 경사부(400_2)는 함몰부(400)의 중심선에 대해 상호 선대칭일 수도 있다.
함몰부(400)의 기저부(400_3)는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뾰족한 골을 이룰 수도 있고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탄한 면을 이룰 수도 있다.
함몰부(400)의 깊이(d400)는 기준면(300)의 높이로부터 기저부(400_3)에 이르는 거리로 정의된다. 함몰부(400)의 깊이(d400)는 3㎛ 내지 100㎛일 수 있다. 함몰부(400)의 폭(w400)은 함몰부(400)가 기준면(300)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양단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함몰부(400)의 폭(w400)은 200㎛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00)의 폭은 함몰부의 최상단에서 가장 넓고, 함몰부(400)의 기저부(400_3)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10)의 내측경사부(510_1)와 함몰부(400)의 제1 경사부(400_1), 또는 제2 돌출부(520)의 내측경사부(520_1)와 함몰부(400)의 제2 경사부(400_2)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굴곡이 거의 없이 동일한 경사를 갖는 하나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510)의 정상부(510_3)로부터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부(510_1)는 완면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함몰부(400)의 제1 경사부(400_1)와 맞닿고, 함몰부(400)의 제1 경사부(400_1)는 내측경사부(510_1)와 동일한 경사를 유지하다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며 함몰부(400)의 기저부(400_3)에 이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의 내측경사부의 경사각은 함몰부의 제1 경사부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돌출부의 정상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상기 내측경사부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상기 함몰부의 상기 제1 경사부와 맞닿고, 상기 함몰부의 제1 경사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측경사부보다 작은 경사를 유지하다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며 상기 함몰부의 기저부에 이를 수도 있다.
함몰부(400)의 크기는 제1 돌출부(510) 및 제2 돌출부(520)의 크기, 부피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높이(h500)의 평균 높이는 함몰부의 깊이(d400)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h500) 높이의 합은 함몰부의 폭(w400)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 돌출부의 평균 부피와 제2 돌출부의 평균 부피의 합은 함몰부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의 평균 부피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이형라이너를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800)는 수지층(800a)을 포함한다. 수지층(800a)은 그 자체로 이형라이너(800)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형라이너(800)는 일체형 이형라이너이다.
이형라이너(800)는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물품을 만들거나, 접합물품을 사용하기 전에 접합물품을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형라이너(800)는 접합부재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되, 이형라이너(800)가 취급 및 가공에서 통상 접하게 되는 힘에 의해 접합부재 표면으로부터 조기에 분리되지 않을 정도의 이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800a)의 재질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재질로 코팅된 층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형라이너(800)의 제조방법 및 구체적인 구조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포함하는 이형라이너(8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은 요철면을 포함한다. 요철면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전사패턴을 포함하고 있으며, 접합 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 접합부재에 구조화된 패턴을 전사(transfer)하는 역할을 한다.
이형라이너(800)는 전사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에 소정의 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층(80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층(800b)은 수지층(800a)을 지지하여 이형라이너(800) 전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층(800b)은 부직포 등의 섬유 기재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 코팅공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는 전사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타면에 소정의 표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표시물은 인쇄층일 수 있다. 상기 표시물은 문자, 도형, 문양, 또는 그림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물은 이형라이너의 상면에 형성된 전사패턴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이형라이너의 타면이 상기 소정의 표시물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공정 시, 공정을 수행하는 기술자가 리워크가 용이하거나 꺾임 특성의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기준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은 전술한 접합부재 상면에 형성된 접합패턴과 역상(reverse image)을 갖는 전사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패턴과 전사패턴이 맞물린 상태로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은 접합부재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역상이라 함은 상기 접합패턴과 전사패턴의 입체적 구조가 실질적으로 역상임을 뜻하는 것이지, 상기 양 패턴의 폭, 높이 및/또는 크기 등의 수치가 반드시 1:1로 대응됨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합부재의 함몰부에 대응되는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에는 정상부(650_3), 제1 경사부(650_1), 및 제2 경사부(650_2)를 포함하는 이형라이너(800)의 돌출부(65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합부재의 제1 및 제2 돌출부에 대응되는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에는 각각 기저부(710_3, 720_3), 내측경사부(710_1, 720_1), 및 외측경사부(710_2, 720_2)를 포함하는 이형라이너(800)의 제1 및 제2 함몰부(710, 7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합부재의 기준면에 대응되는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에는 이형라이너(800)의 기준면(600)이 위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재의 상면과 이형라이너(800)의 상면은 서로 형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타 구체적인 제1 및 제2 함몰부(710, 720), 돌출부(650)의 높이, 깊이, 폭, 배열 상태, 및 경사부의 각도들 간의 관계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합 테이프를 피착체와 부착하기 위해 이형라이너(800)를 먼저 제거한다. 이형라이너(800)를 제거하면, 접합부재(200) 상면의 요철면이 노출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재(200) 상면의 요철면이 피착체(900)를 향하도록 배치하고, 접합부재(200)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피착체(900)에 접촉시킨다. 이 때, 접합부재(200) 상면에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정상부가 가장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정상부가 가장 먼저 피착체(900)에 접촉될 수 있다. 즉, 가압단계 전에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가 피착체(900)와 약한 힘으로 가접합될 수 있다.
피착체(900)와 접합부재(200)를 대면하여 배치한 후, 상기 가접합 공정을 수행하여 임시적으로 부착하고, 원하는 위치에 배치가 되지 않았을 경우 리워크를 통해 다시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가접합 상태에서는 피착체(900)와 접합부재(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력의 저하, 또는 공정상의 결함 발생 없이 부착위치를 조정할 수가 있으며, 이를 통해 부착위치 오류로 인한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이서, 접합부재(200)와 피착체(900)를 가압하여 본접합, 즉 완전한 부착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단계는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를 피착체(900) 측으로 눌러 가압할 수도 있거나, 피착체(900)를 접합부재(200) 측으로 눌러 가압하거나, 양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과정은 상기 접촉단계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접합부재(200)와 피착체(900)가 가압되는 과정 중에 있어, 함몰부(400)의 제1 경사부, 기저부, 및 제2 경사부로 둘러싸이는 영역은 제1 공기배출터널(AT1)로써, 제2 돌출부(520)의 외측경사부, 기준면(300), 및 제1 돌출부의 외측경사부로 둘러싸이는 영역은 제2 공기배출터널(AT2)로써 기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터널은 접합부재 너비 말단까지 이어질 수 있다.
피착 및 가압 과정 중에 포집될 수 있는 공기 또는 수분 등의 유체 물질은 제1 및 제2 공기배출터널(AT1, AT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되고 그 결과, 공기 등으로 인한 기포층(air pocket)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배출터널(AT1, AT2)은 유체가 접합부재(200)와 피착체(900) 사이에 갇히지 않고 배출될 수 있는 통로(path) 역할을 한다.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두 가지의 공기배출터널(AT1, AT2)을 구비하는 접합 테이프는 공기터널의 영역이 증가되므로, 공기배출 특성, 즉 유체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합 특성 및 접합 테이프가 피착체(900)에 부착되는 속도가 증가되고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접합부재(200)와 피착체(900)가 가압되는 과정 중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배출터널(AT1, AT2)을 통해 공기 등이 배출됨과 동시에 유동성을 갖는 제1 돌출부(510) 및 제2 돌출부(520)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는 피착체(900)에 의해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서,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한 함몰부(400)측(A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꺾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가 꺾이는 정도의 한계는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정상부가 기준면(300)과 동일한 레벨이 되거나, 또는 그 이하가 될 때까지이다.
가압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외측 경사면이 기준면(300)과 동일한 레벨까지 완전히 펴지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에 인접한 접합부재(200)의 기준면(300)이 부분적으로 피착체(900)에 맞닿지 않아 피착체(900)와의 접촉 면적은 다소 줄어들 수 있지만, 공기배출터널은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내측경사부 및 외측경사부가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의 관계, 제1 돌출부(510)의 내측경사부와 함몰부(400)의 제1 경사부와의 관계, 제2 돌출부(520)의 내측경사부와 함몰부(400)의 제2 경사부와의 관계,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높이/부피, 함몰부(400)의 깊이/부피, 및/또는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와 함몰부(400) 간의 인접거리를 일정한 관계에 있도록 설계하여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 형상의 변형을 의도하는 대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접합부재(200)와 피착체(900)가 가압되어 밀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접합부재(200)와 피착체(900)가 완전히 가압되면, 접합부재(200)의 기준면(300)과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외측경사부가 피착체(900)의 표면에 맞닿게 되고, 이들 사이에 결합력이 부여된다. 도 8에서는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외측경사부가 기준면(300)과 동일한 레벨까지 펴져서, 각각 피착체(900)에 밀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정상부는 상호 마주 보며 이격될 수 있다. 즉,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가 함몰부(400)의 상부 일부만을 덮는 경우 피착체(900) 부착 후에도 잔존하는 제1 공기배출터널(AT1`)은 잔존하는 기포, 또는 수분배출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습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접합 테이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의 정상부는 상호 맞닿아 함몰부의 상부를 완전히 덮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배출터널을 통해 공기 등이 배출된 후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에 의해 함몰부는 외부와 차단되고, 그 결과 제1 공기배출터널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견고한 접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질적으로 접합에 기여할 수 있는 접합면적(S1, S1`)은 접합부재(200) 상면 전체 면적에서 함몰부(400)의 평면상 면적(S2, S2`)을 제외한 면적이다. 함몰부(400)는 피착체(900)와 직접 맞닿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것처럼 피착체(900)에 의해 압력을 받아 형상이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각 외측경사부는 피착체(900)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피착체(900) 부착 후에 실질적으로 접합에 기여하는 접합면적(S1`)은 본래의 접합면적(S1)에 비해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외측경사부 면적만큼 증가할 수 있다.
접합부재 표면에 공기배출을 위한 미세구조가 형성된 접합 테이프는 상기 미세구조로 인해 현저한 접합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는 피착체와 부착 시 미세구조에 발생하는 변형을 통해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변형된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의 형상은 접합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피착체(900)와 부착 후 접합 테이프 외부에서 제1 공기배출터널이 시인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피착체(900) 부착 후에도 잔존하는 제1 공기배출터널(AT1`) 영역은 소정의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층은 일종의 쿠션역할을 수행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피착체(900) 및 피착물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접합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접합 테이프를 ⅩⅠa-ⅩⅠa`, ⅩⅠb-ⅩⅠb`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101)는 접합부재(201)를 포함한다. 접합부재(201)의 상면은 기준면(301), 기준면으로부터 일측(상측)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501), 및 기준면(301)으로부터 타측(하측)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함몰부(401)를 포함한다.
기준면(301)은 함몰부(401)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으로 2개의 인접한 기준면(301) 사이에는 2개의 돌출부(501)와 하나의 함몰부(401)가 배치되거나, 기준면(301) 사이에는 하나의 함몰부(401`)만이 배치된다. 2개의 돌출부(501)는 함몰부(401)의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돌출부(511) 및 함몰부(401)의 폭 방향 타단에 배치된 제2 돌출부(521)를 포함한다.
함몰부(401)는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연장된다. 함몰부(401)는 격자 형상인 선형음각패턴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에에서, 상기 연장방향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이다. 이 경우 연장되는 함몰부(401)의 양 말단부는 접합 테이프(101)의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 말단까지 이어질 수 있다. 함몰부(401)는 공기배출터널로써 역할을 하며, 접합 테이프(101)의 말단까지 이어진 공기배출터널을 통해 유체 등이 배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511) 및 제2 돌출부(521)는 함몰부(401)에 인접하여 함몰부(401)의 연장방향(X, Y)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돌기형양각패턴일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방향은 함몰부(401)의 연장방향과 같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이다.
제1 돌출부(511)는 제1 방향(X)을 따라 기준면(30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함몰부(401)는 제1 돌출부(51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제2 돌출부(521)는 함몰부(40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방향(X)을 따라 인접하여 순차 배치되어 있는 기준면(301), 제1 돌출부(511), 함몰부(401), 및 제2 돌출부(521)는 하나의 기본 단위를 이룬다. 상기 기본단위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될 수 있다.
제1 방향(X)을 따라 반복되는 상기 기본단위의 피치(P2)는 1㎛ 이상 10,000㎛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되는 상기 기본단위의 피치(P2`)는 1㎛ 이상 10,000㎛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P2와 P2`의 비는 7:5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예를 들어 P2와 P2`의 비는 1:10 내지 10:1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 및 함몰부(401)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 및 배열되는 피치(P2, P2`)를 조절하여, 방향성에 따른 접합력의 편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함몰부(401)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격자 형상을 이루며 일정한 피치에 따라 연장되면, 접합 테이프(101)에 함몰부(401)의 연장방향(제1 방향, 제2 방향)의 꺾임 특성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테이프(101)가 곡면 형상의 피착체와 부착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두 방향의 꺾임 특성을 갖고 있는 접합 테이프(101)는 곡면과의 들뜸 없이 보다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P2와 P2`의 비가 7:5인 실시예에서, 분할된 하나의 기준면(301)에는 제1 방향(X)을 따라 7개의 돌출부(501)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방향(Y)을 따라 5개의 돌출부(501)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함몰부(401)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함몰부(401)에 동시에 인접하는 기준면(301)의 4개의 꼭지점에 돌출부(501)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을 따라 5개의 돌출부가 배치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3개의 돌출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함몰부와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함몰부에 동시에 인접하는 기준면의 4개의 꼭지점에는 돌기형양각패턴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격자 형상의 함몰부에 의해 분할된 기준면의 어느 한 변에는 오직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접하는 돌출부와 이격배치되어 소정의 공기배출구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돌출부(511) 및 제2 돌출부(521)는 함몰부(401)를 기준으로 대칭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의 이격방향 중 일 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의 단면에서, 제1 돌출부(511) 및 제2 돌출부(521)는 각각 정상부(511_3, 521_3), 정상부(511_3, 521_3)로부터 함몰부(401)를 향하는 내측경사부(511_1, 521_1), 및 정상부(511_3, 521_3)로부터 기준면(301)을 향하는 외측경사부(511_2, 521_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11) 및 제2 돌출부(521)의 정상부(511_3, 521_3)로부터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부(510_1, 520_1)와 외측경사부(510_2, 520_2)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변곡점 없이 경사부 최하단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부(511)의 내측경사부(511_1)가 기준면(301)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θ3)은 외측경사부(511_2)가 기준면(301)에 대해 형성하는 평균 경사각(θ4)보다 클 수 있다.
내측경사부(511_1, 521_1)와 외측경사부(511_2, 521_2)의 경사각 차이에 의해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의 형상은 함몰부(401) 측으로 깊은 경사를 갖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완만한 경사를 갖는 형상이 된다. 즉,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의 정상부(511_3, 521_3)는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 바닥면의 중심축과 어긋나 있으며, 인접하는 함몰부(401) 쪽으로 치우쳐 있다. 내측경사부(511_1, 521_1)의 평균 경사각(θ3)이 외측경사부(511_2, 521_2)의 평균 경사각(θ4)보다 큰 것은 접합부재(201)를 피착체에 부착할 때, 돌출부(501)가 쓰러지는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제1 돌출부(511)와 제2 돌출부(521)의 정상부(511_3, 521_3)는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뾰족한 꼭지를 이룰 수도 있다. 제1 돌출부(511)와 제2 돌출부(521)의 높이(h501)는 3㎛ 내지 50㎛일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511)와 제2 돌출부(521)의 폭(w501)은 3㎛ 내지 300㎛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함몰부(401)의 연장 방향 중 일 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함몰부(401)의 단면에서, 함몰부(401)는 기저부(401_3), 기저부(401_3)로부터 제1 돌출부(511)에 인접하여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401_1), 및 기저부(401_3)로부터 제2 돌출부(512)에 인접하여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부(401_2)를 포함한다.
함몰부(401)의 기저부(401_3)로부터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401_1)와 제2 경사부(401_2)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경사부 최상단에 이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경사부(401_1)와 제2 경사부(401_2)는 함몰부(401)의 중심선에 대해 상호 선대칭일 수도 있다.
함몰부(401)의 기저부(401_3)는 완만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뾰족한 골을 이룰 수도 있고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탄한 면을 이룰 수도 있다. 함몰부(401)의 깊이(d401)는 3㎛ 내지 100㎛일 수 있다. 또한 함몰부(401)의 폭(w401)은 200㎛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511)의 내측경사부(511_1)와 함몰부(401)의 제1 경사부(401_1), 또는 제2 돌출부(521)의 내측경사부(521_1)와 함몰부(401)의 제2 경사부(401_2)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굴곡이 거의 없이 하나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511)의 정상부(511_3)로부터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부(511_1)는 완면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함몰부(401)의 제1 경사부(401_1)와 맞닿고, 함몰부(401)의 제1 경사부(401_1)는 내측경사부(511_1)의 경사를 유지하다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며 함몰부(401)의 기저부(401_3)에 이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의 정상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부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며 함몰부의 제1 경사부와 맞닿고, 함몰부의 제1 경사부는 더욱 경사가 급해지다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며 함몰부의 기저부에 이를 수도 있다.
한편, 돌출부(501) 간의 이격거리(r1, r2, r3)는 돌출부(501)의 배치 개수 및/또는 돌출부(501)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돌출부(501) 간의 이격거리(r1, r2, r3)는 돌출부(501)의 높이(h501)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501)이 피착체에 밀착될 때 인접한 다른 돌출부(501)와 상호 간에 지지하며 함몰부(401) 방향으로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만약, 돌출부(501) 간의 이격거리(r1, r2, r3)가 돌출부(501)의 높이(h501)보다 클 경우, 피착체와 부착 시 돌출부(501)가 함몰부(40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돌출부(501) 간의 이격거리(r1, r2, r3)는 동일할 수 있으나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501)의 이격방향(제2 방향, Y)을 따라 배열되는 인접한 제1 돌출부(511) 간의 이격거리(r1)는 다른 제1 돌출부(511) 간의 이격거리(r2)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함몰부(400)의 폭 방향 일측의 제1 돌출부(511) 간의 이격거리(r1)는 함몰부(400)의 폭 방향 타측의 제2 돌출부(521) 간의 이격거리(r3)와 상이할 수 있다. 그 결과, 임의의 제1 돌출부(511)와 임의의 제2 돌출부(521)는 상호 마주보지 않고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와 함몰부(400)의 기타 구체적인 구조와 형상 및 피착체와 부착시 제1 및 제2 돌출부(511, 521)와 함몰부(400)에 발생하는 변형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와 동일하며,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를 용이하게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인바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접합 테이프를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확대사시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돌기형양각패턴인 돌출부(502a, 502b)와 기준면(302)이 맞닿는 면은 일부가 절개된 원일 수 있다. 즉, 돌출부(502a, 502b) 밑면 중 일부는 선형음각패턴인 함몰부(402)측과 평행한 선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돌출부(502b)의 정상부는 일부가 절개되어 평탄한 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502a, 502b)는 정상부 및 정상부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함몰부(402)를 향해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부와 정상부로부터 제1 방향(X)을 따라 기준면(302)를 향해 하향경사진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경사부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하향경사지는 형상의 경사부이고 상기 외측경사부는 정상부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이루다 점차 경사가 급해지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돌기형양각패턴인 돌출부(503a, 503b)와 기준면(303)이 맞닿는 면은 원일 수 있다.
일례에서, 돌출부(503a)의 내측경사부는 정상부로부터 완만한 하향 경사를 이루다 소정의 높이에서 돌출부(503a)방향 역경사를 이루며 경사부 최하단에 이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돌출부(503b)는 상부에 볼록한 입체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 때 상기 볼록한 입체부는 함몰부(403)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돌기형양각패턴인 돌출부(504a, 504b)과 기준면(304)이 맞닿는 면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돌출부(504b)의 밑면이 삼각형인 경우, 삼각형의 한 변이 선형음각패턴인 함몰부(404)의 연장방향(제2 방향Y)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은 이등변삼각형 내지는 정삼각형일 수 있다. 돌출부(504b)는 밑면과 측면이 모두 삼각형인, 정사면체 내지는 사면체, 즉 삼각뿔의 입체적 부피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돌출부(504a)의 밑면이 사각형인 경우, 사각형의 한 변은 선형음각패턴인 함몰부(404)의 연장방향(제2 방향Y)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은 직사각형 내지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사각형이 직사각형인 경우 직사각형의 장변이 함몰부(40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504a)의 정상부의 모양이 사각형인 경우 돌출부(504a)는 정상부로부터 함몰부(404)를 향해 하향 경사진 내측경사부, 상기 내측경사부와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외측경사부, 및 그 외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2개의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4개의 경사부는 평평하다. 상기 외측경사부와 상기 내측경사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그 외 2개의 경사부는 상변이 짧고 하변이 긴 역사다리꼴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함몰부(405, 406, 407)의 연장 방향(제2 방향, Y)에 수직인 방향(제1 방향, X)으로 자른 함몰부(405, 406, 407)의 단면에서, 함몰부(405, 406, 407)는 기저부, 기저부로부터 제1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 및 기저부로부터 제2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부를 포함한다.
도 15의 실시예에서 함몰부(405a, 405b)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평탄한 면을 포함하는 기저부를 포함한다. 기저부는 기준면(305)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는 기저부로부터 상향 경사지되, 수직 경사를 형성하거나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함몰부(405a)의 단면은 사각형이거나 함몰부(405b)의 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함몰부(406a)의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는 기저부로부터 제1 및 제2 돌출부(516a, 526a)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되, 임의의 반경(R)을 갖는 반원의 일부 또는 임의의 곡률 반경을 갖는 타원, 포물선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함몰부(406b)의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는 기저부로부터 제1 및 제2 돌출부(516b, 526b)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되, 임의의 반경(R`)을 갖는 형상으로 상향 경사지다가 소정의 높이에서 수직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함몰부(407a, 407b)의 기저부에 또 다른 양각 또는 음각의 형상을 포함하는 점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이는, 일 평면 상에서 임의의 그루브(groove)는 서로 상대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가상의 일 평면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음각(양각)패턴은 가상의 다른 평면 상에서 양각(음각)패턴으로 간주 될 수 있고,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의 평면도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접합부재(208)를 위에서 직각으로 본 평면시점에서, 함몰부(408)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격자 형상의 선형음각패턴일 수 있다. 이 경우, 함몰부(408)에 의해 분할되는 하나의 기준면(308)의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의 길이 비는 약 1:1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돌출부(518, 528)는 각각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선형양각패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518, 528)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함몰부(408)의 폭 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배치되지 않고,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함몰부(408)의 폭 방향 일측 및 타측 적어도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돌출부(518, 528)는 제2 방향(Y)을 따라 직선의 형태로 단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격자 형상의 함몰부(408)의 폭, 길이, 깊이, 종횡비 및/또는 제1 및 제2 돌출부(518, 528)가 배치되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접합 테이프(108) 전체의 방향성에 따른 접합력의 편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함몰부(409a, 409b)는 실질적으로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선형음각패턴이되, 곡선의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함몰부(409a, 409b)는 각각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선형음각패턴뿐만 아니라 다른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접합부재(209)를 위에서 직각으로 본 평면시점에서, 돌출부(509a)는 함몰부(409a)의 폭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선형양각패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돌출부(509b)는 함몰부(409b)의 폭 방향 일측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돌기형양각패턴일 수 있다. 또는 돌출부는 함몰부 폭 방향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선형양각패턴과 돌기형양각패턴이 혼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합부재의 평면시점에서, 선형음각패턴(460a 460b)은 개방곡선(opened-curve) 및/또는 하나 이상의 폐곡선(closed-curve)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라이너(800)는 접합부재(200)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이형라이너(800)의 일면(상면)은 기준면(600), 기준면(600)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50), 기준면(600)으로부터 함몰되며 돌출부(650)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함몰부(710) 및 기준면(600)으로부터 함몰되며 돌출부(650) 폭 방향 타단에 배치된 제2 함몰부(720)를 포함한다.
기타 구체적인 이형라이너(800) 일면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형라이너(800)와 동일한 미세구조를 갖는다.
한편, 접합부재(200)가 형성되어 준비된다. 이는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형성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재를 준비하고, 상기 기재 일면에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부직포 등의 섬유기재 혹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 코팅공정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1을 참조하면, 이형라이너(800)와 접합부재(200)는 가압수단을 통해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이형라이너(800)의 돌출부(650)가 접합부재(200) 일면을 통해 접합부재(200) 내측으로 침투하되, 접합부재(200) 타면까지 관통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접합부재(200) 타면에 기재가 배치되는 경우, 이형라이너(800) 돌출부(650)의 정상부가 상기 기재와 이격되도록 밀착시킨다. 한편, 이형라이너(800)의 제1 함몰부(710) 및 제2 함몰부(720) 역시 접합부재(200) 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공정 단계에 있어서 가압의 정도 및 기타 공정 조건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 결과 접합부재(200) 일면에 이형라이너(800) 일면 미세구조의 역상(reverse image)을 구현하여 접합부재(200) 일면에는 함몰부(400),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형라이너(800)의 돌출부(650)는 접합부재(200) 내측으로 침투하여 접합부재(200) 일면에 함몰부(400)를 전사하고, 유동성 있는 접합부재(200)는 이형라이너(800)의 제1 및 제2 함몰부(710, 720)와 밀착하도록 변형, 예를 들어 융기(uplift)하여 접합부재(200) 일면에는 제1 및 제2 돌출부(510, 520)가 형성된다. 또한 이형라이너(800)의 기준면(600)에 대응되는 접합부재(200)의 일면엔 패턴이 전사되지 않으며 접합부재(200)의 기준면(300)으로 남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형라이너(800)의 표면 형상을 건조된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전사한 후에,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써,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가 제조된다. 필요에 따라 이형라이너(800)는 박리(released)되어 제거되고, 이형라이너(800)가 제거된 상태의 접합 테이프를 제조 및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접합 테이프
200 : 접합부재
300 : 기준면
400 : 함몰부
510 : 제1 돌출부
520 : 제2 돌출부
600 : 기준면
650 : 돌출부
710 : 제1 함몰부
720 : 제2 함몰부
800 : 이형라이너
900 : 피착체

Claims (19)

  1.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접합부재로서,
    상기 일면은 기준면,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제1 정상부, 상기 제1 정상부에서 상기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내측경사부, 및 상기 제1 정상부에서 상기 기준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제1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함몰부는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제1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하며, 선형으로 연장된 선형음각패턴인 접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면의 면적은 상기 일면의 면적의 50% 이상인 접합 테이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함몰부 폭 방향 타단에 배치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제2 정상부, 상기 제2 정상부에서 상기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내측경사부, 및 상기 제2 정상부에서 상기 기준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제2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제2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는 각각 상기 함몰부의 깊이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의 합은 상기 함몰부의 폭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부피의 합은 상기 함몰부의 부피보다 작거나 같은 접합 테이프.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순차 배치되고,
    상기 기준면,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함몰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하나의 기본단위를 이루며, 상기 기본단위는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배치되는 접합 테이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제1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함몰부의 제1 경사부의 평균경사각과 동일하거나 더 큰 접합 테이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음각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선형음각패턴,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선형음각패턴과 교차하는 제2 선형음각패턴을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단속적으로 배치되는 돌기형양각패턴인 접합 테이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형양각패턴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돌기형양각패턴의 높이보다 작은 접합 테이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선형양각패턴인 접합 테이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의 상기 일면에 대면하여 밀착되며, 상기 접합부재의 상기 일면에 형합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이형라이너를 더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의 타면은 상기 접합부재 일면과 동일한 형상을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14.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는 이형라이너로서,
    상기 일면은 기준면,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돌출부 폭 방향 일단에 배치된 제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함몰부는 제1 기저부, 상기 제1 기저부에서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내측경사부, 및 상기 제1 기저부에서 상기 기준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제1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는 정상부, 및 상기 정상부에서 상기 제1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를 포함하며, 선형으로 연장된 선형양각패턴이며,
    상기 기준면의 면적은 상기 일면의 면적의 50% 이상인 이형라이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함몰되며 상기 돌출부 폭 방향 타단에 배치된 제2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함몰부는 제2 기저부, 상기 제2 함몰부에서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내측경사부, 및 상기 제2 기저부에서 상기 기준면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2 외측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내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은 상기 제2 외측경사부의 평균경사각보다 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상부에서 상기 제2 함몰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2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이형라이너.
  16. 제14 항 및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형라이너를 준비하는 단계;
    접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재의 일면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고 상기 이형라이너 일면의 표면 형상을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 일면에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의 일면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건조된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인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형라이너 돌출부의 정상부가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내측으로 침투하되, 상기 기재와 이격되도록 접합부재용 조성물과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상에 상기 이형라이너의 일면을 밀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형라이너 돌출부의 최상부가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 내측으로 침투하되, 상기 기재와 이격되도록 접합부재용 조성물과 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형라이너 함몰부를 상기 접합부재용 조성물과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합 테이프 제조방법.
KR1020150052911A 2015-04-15 2015-04-15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694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11A KR101694181B1 (ko) 2015-04-15 2015-04-15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11A KR101694181B1 (ko) 2015-04-15 2015-04-15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83A KR20160122983A (ko) 2016-10-25
KR101694181B1 true KR101694181B1 (ko) 2017-01-09

Family

ID=5744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11A KR101694181B1 (ko) 2015-04-15 2015-04-15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1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766A (ja) 2002-09-30 2004-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KR101281355B1 (ko) 2009-12-28 2013-07-02 (주)엘지하우시스 인서트 엠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409A (ja) * 1994-11-10 1996-05-28 Oji Kako Kk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687126B2 (en) * 2005-08-22 2010-03-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and release lin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766A (ja) 2002-09-30 2004-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KR101281355B1 (ko) 2009-12-28 2013-07-02 (주)엘지하우시스 인서트 엠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983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9182B2 (ja) 接着物品及び剥離ライナー
JP2010033057A5 (ja) 光学シート
TWI489656B (zh) 發光二極體、發光二極體之製造方法、發光二極體模組及發光二極體模組之製造方法
US10946616B2 (en) Bonding layer having discrete adhesive patches
KR20100060016A (ko) 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27845B1 (ko) 패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11497476U (zh) 一种强稳定性离型膜
CN103909757A (zh) 柔性印刷板及其制造方法以及液晶面板用基板的制造方法
KR101694182B1 (ko)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694181B1 (ko) 미세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접합 테이프, 이형라이너 및 접합 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1725237B1 (ko) 공기배출기능이 향상된 점착시트
KR20150041867A (ko)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KR20200003079A (ko) 마이크로 유로 디바이스
JP2003336018A (ja) 粘着シート
KR101588824B1 (ko) 종횡 비율이 상이한 마름모형 엠보싱을 갖는 점착 시트
WO2020240389A1 (en) Repositionalble adhesive sheets with pyramidal structures
JP4801178B2 (ja) 光反射体及び面状光源装置
KR20160099929A (ko) 점착 테이프
JP2009062454A (ja) 易貼付性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030334A1 (ja) 転写シート、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8004956A (ja) 光学ユニット及び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21076682A (ja) 光制御フィルター
JP2003336017A (ja) 粘着シート
KR20160091179A (ko) 백라이트 유닛을 위한 광학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8639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