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692B1 - Boiler having cook function - Google Patents

Boiler having cook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692B1
KR101693692B1 KR1020140140728A KR20140140728A KR101693692B1 KR 101693692 B1 KR101693692 B1 KR 101693692B1 KR 1020140140728 A KR1020140140728 A KR 1020140140728A KR 20140140728 A KR20140140728 A KR 20140140728A KR 101693692 B1 KR101693692 B1 KR 10169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vacuum
liquid
spac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7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5349A (en
Inventor
임성섭
Original Assignee
임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섭 filed Critical 임성섭
Priority to KR102014014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692B1/en
Publication of KR2016004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6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는, 내부에 제1 진공부와 공간부가 경계를 구획하여 적층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제2 진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진공부의 하부에는 제1 진공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진공부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부가 형성되는 보일러 본체; 상기 제1 진공부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제1 진공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부;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며 상기 제1 진공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와, 상기 액체의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하는 공간부 축열부재가 마련되는 열매체; 상기 제2 진공부에 채워지며 상기 공간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액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하도록 마련되는 제2 진공부 축열부재; 및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을 경유하여 설정된 난방구역으로 순환 배치된 뒤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액체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액체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is disclosed.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vacuum chamber and a space portion are formed by laminating a boundary therebetween and a second vacuum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And a cooking chamber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so as to cook food. A heater unit accommodated in the first vacuum chamber and being he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first vacuum chamber; A heating medium which is filled in the space and is heated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first vacuum, and a space heat storage member which accumulates a part of heat when heating the liquid; A second vacuum storage and heating member which is filled in the second vacuum and is heated by the liquid delivered from the space and is arranged to accumulate a part of the heat upon heating; And a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circulation path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form an outlet port on one side of the space part and connected to form an inlet 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part, And the liquid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Description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BOILER HAVING COOK FUNCTION}{BOILER HAVING COOK FUNCTION}

본 발명은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난방시 축열작용에 의해 열효율을 높이고 축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capable of enhancing thermal efficiency by heat accumulation action during heating of a boiler and cooking food using heat accumulation.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boiler is a device for warming a room by using heat generated in a combustion process.

이러한 보일러는 연소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연료가 소모되는 것으로, 연료에 소요되는 비용이 과다하고, 또한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대부분 공해물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Because these boilers undergo combustion processes, a large amount of fuel is consumed, the cost for the fuel is excessive, and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rocess is also the cause of most pollutants.

특히 대부분의 보일러는 물이 흐르는 가열배관에 연소되는 불이 직접 닿기 때문에, 가온을 위해서는 항상 연소과정이 진행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번 연소되어 배출된 연소가스는 다시는 사용할 수 없어 폐열이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most of the boilers directly reach the burning heat pipes, the combustion process must be carried out for heating. In addition, the combustion gas once burned and discharged can not be used any more, resulting in the disadvantage of waste heat.

또한 대부분의 보일러의 경우, 가열된 온수는 바로 실내로 공급되기 때문에 항상 연소과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어느 상황에서든 연료소모가 과다하게 소모되될 뿐만 아니라 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most boilers, since hot wate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iler, the combustion process must be performed at all times. Thus, the fuel consumption is excessively consumed in any situation and the efficiency of combustion is lowered.

또한, 대부분의 보일러는 고유의 난방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전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향상을 통한 고급화에 기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boilers do not have any other functions besides their own heating function, they can not contribute to the upgrading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the practicality is deteriorated.

이에 보일러의 난방시 발생하는 열의 축열작용에 의해 열효율을 높이면서도 난방 이외의 다른 기능으로써 축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capable of cooking food using heat storage as a function other than heating while raising the thermal efficiency by heating heat generated during heating of the boiler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2994호(2009.12.11.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32994 (Registered on December 11, 200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보일러의 난방시 축열작용에 의해 열효율을 높이고 축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capable of raising thermal efficiency by heat accumulation action during heating of a boiler and cooking food using heat accumul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제1 진공부와 공간부가 경계를 구획하여 적층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제2 진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진공부의 하부에는 제1 진공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진공부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부가 형성되는 보일러 본체; 상기 제1 진공부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제1 진공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부;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며 상기 제1 진공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와, 상기 액체의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하는 공간부 축열부재가 마련되는 열매체; 상기 제2 진공부에 채워지며 상기 공간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액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하도록 마련되는 제2 진공부 축열부재; 및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을 경유하여 설정된 난방구역으로 순환 배치된 뒤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액체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액체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vacuum cleaner having a first vacuum chamber and a second vacuum chamber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And a cooking chamber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so as to cook food. A heater unit accommodated in the first vacuum chamber and being he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first vacuum chamber; A heating medium which is filled in the space and is heated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first vacuum, and a space heat storage member which accumulates a part of heat when heating the liquid; A second vacuum storage and heating member which is filled in the second vacuum and is heated by the liquid delivered from the space and is arranged to accumulate a part of the heat upon heating; And a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circulation path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form an outlet port on one side of the space part and connected to form an inlet 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part, And a liquid circulation pipe provided to the boiler.

상기 공간부와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진공부의 경계면은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space and the first vacuum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protruding toward the space portion.

상기 조리부는, 상기 보일러 본체의 상부에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king portion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iler body and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thereof.

상기 액체는, 난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에 실험용 증류수로 마련되고, 난방 및 조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아세톤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quid is provided as experimental distilled water when performing only the heating function, and is provided as acetone when the heating and cooking function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상기 열원은, 상기 제1 진공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나무버너, 가스버너, 기름버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source is provided in one or more configurations selected from a wood burner, a gas burner, and an oil burner so that the first vacuum can be heated.

상기 공간부 축열부재와 상기 제2 진공부 축열부재는, 일정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상의 포졸란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pace division heat storage member and the second heat storage heat storage member are provided in a granular pozzolan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상기 액상 순환배관은,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에 접촉되되 접촉시 넓은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Wherei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so as to provide a wide contact surface upon contact.

상기 액체 순환배관 상에 상기 액체로부터 열교환하여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eat exchanger provided o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so as to be able to use hot water for heat exchange from the liquid.

상기 액체 순환배관 상에 액체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irculation pump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liquid o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상기 코팅층은, 포졸란 액상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ating layer is formed by coating a pozzolan liquid phase.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 혹은 히터부에 의해 제1 진공부 및 공간부를 가열하고 공간부의 열매체를 통해 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액체를 순환시켜 설정된 난방구역을 난방하거나 혹은 난방 과정에서 열매체의 액체로 제2 진공부를 가열하여 제2 진공부 축열부재를 통해 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조리부에 열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제공함으로써, 보일러의 난방시 열효율을 높이고 축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ource or the heater portion heats the first vacuum chamber and the space portion, accumulates heat through the heating medium of the space portion, circulates the liquid and heats the set heating z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that heats a bipod, accumulates heat through a second vacuum accumulating heat accumulating member, and simultaneously provides heat to the cooking unit to heat food, thereby enhancing thermal efficiency during heating of the boiler, It is possible to cook food by 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가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가 난방 및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boiler having the cooking function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boiler having the cooking function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heating func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heating and cooking func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가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가 난방 및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lane of a boiler having the cooking function shown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heating func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heating and cooking fun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본체(10)와, 히터부(20)와, 액체(32) 및 공간부 축열부재(34)가 마련되는 열매체(30)와,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와, 액체 순환배관(50)과, 열교환기(60)와, 그리고 순환펌프(70)를 포함한다.1 to 3, a boiler having a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iler body 10, a heater unit 20, a liquid 32 and a space heat storage member (not shown) A second circulation heat storage member 40, a liquid circulation pipe 50, a heat exchanger 60, and a circulation pump 70. The circulation pump 70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ump 30,

보일러 본체(10)는 보일러의 메인프레임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원형 혹은 사각 형상으로 마련된다. 보일러 본체(10)의 내부에는 제1 진공부(11)와 공간부(12)가 경계를 구획하여 적층 형성되고 공간부(12)의 상부에 제2 진공부(13)가 형성된다.The boiler body 10 forms a main frame of the boiler and is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 first vacuum 11 and a space 12 are defined by a boundary and a second vacuum 13 is formed in an upper part of the space 12 in the boiler body 10.

즉, 보일러 본체(10)는 그 내부의 하측에 제1 진공부(11)가 공간부(12)와 경계를 구획하여 적층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의 상측에는 제2 진공부(13)가 공간부(12)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때, 공간부(12)와 경계를 형성하는 제1 진공부(11)의 경계면은 공간부(12) 측으로 돌출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공간부(12)가 제1 진공부(1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요철 형상에 의해 제1 진공부(11)와 공간부(12) 간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공간부(12)를 신속하게 가열하면서도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boiler body 10 is arranged such that a first vacuum 1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iler body 10 by delimiting the space 12 from the space, and a second vacuum 1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And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se 12. At this time, the interface between the space 12 and the first vacuum 11 forming the boundary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protruding toward the space 12 side. This is because when the space 12 is heat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first vacuum 11,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vacuum 11 and the space 12 is widened by the concave- So as to secure a structure capable of minimizing heat loss while rapidly heating the substrate.

또한, 보일러 본체(10)는 제1 진공부(11)의 하부에 열원(15)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14)가 형성된다. 즉, 열원수용부(14)는 제1 진공부(11)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15)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열원(15)은 제1 진공부(11)를 가열할 수 있도록 나무버너, 가스버너, 기름버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boiler body 10, a heat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14 in which a heat source 15 is accommodat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vacuum 11. That is, the heat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14 is provid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heat source 15 for heating the first vacuum 11 is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heat source 15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configurations selected from a wood burner, a gas burner, and an oil burner so as to heat the first vacuum 11.

또한, 보일러 본체(10)는 제2 진공부(13)의 상부에 조리부(17)가 형성된다. 즉, 조리부(17)는 보일러 본체(10)의 상부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조리부(17)는 원형, 타원형 혹은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부(17)는 제2 진공부(13)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육류 등을 굽거나 혹은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가 안착되는 경우 조리용기에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boiler body 10 is also provided with a cooking cavity 17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That is, the cooking cavity 17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surface on the upper part of the boiler body 10. At this time, the cooking cavity 17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le or a rectangle. The cooking unit 17 serves to bake meat or the like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vacuum 13 or to transmit heat to the cooking vessel when the cooking vessel containing the cooking vessel is seated.

조리부(17)는 표면에 코팅층(17)이 형성된다. 이때, 조리부(17)는 포졸란(pozzolan) 액상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A coating layer 17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oking cavity 17. At this time, the cooking unit 17 may be formed by coating a pozzolan liquid phase.

여기서 포졸란은 황토의 대략 187배 이상의 효과를 지닌 슈퍼황토 혹은 황토엑기스라고 불리며, 음식물을 조리시 우수한 축열작용을 통해 일정한 온도의 열을 제공하면서도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Here, pozzolan is called super loess or ocher extract with an effect of about 187 times or more of loess, and it can provide heat at a constant temperature while minimizing heat loss through excellent heat storage when food is cooked.

히터부(20)는 제1 진공부(11)에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즉, 히터부(20)는 제1 진공부(11)에 수용되도록 보일러 본체(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제1 진공부(11)를 가열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히터부(20)는 보일러 본체(10)에 마련된 열원수용부(14)에 수용된 열원(15)이 제1 진공부(11)를 간접 가열하는 방식과 달리 제1 진공부(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진공부(11)를 직접를 가열하는 구조를 갖는다.The heater portion 20 is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vacuum 11. That is, the heater unit 20 is coupled to the boiler body 1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vacuum 11, and is heated by the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first vacuum 11. That is, the heater unit 2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heat source 15 accommodated in the heat source accommodating unit 14 provided in the boiler body 10 indirectly heats the first vacuum 11, And directly heating the first vacuum 11 in the accommodated state.

열매체(30)는 보일러 본체(10)에 마련된 공간부(12)에 채워지도록 마련된다. 즉, 열매체(30)는 액체(32)와 공간부 축열부재(34)로 마련되어 공간부(12)에 채워지는데, 액체(32)는 제1 진공부(1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고,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액체(32)의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한다. 이때,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일정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상의 포졸란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포졸란은 우수한 축열작용을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이온방출, 원적외선, 습도조절, 탈취작용, 독성중화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heating medium (30) is filled in the space (12) provided in the boiler body (10). That is, the heating medium 30 is provided by the liquid 32 and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34 and is filled in the space portion 12. The liquid 32 is heat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first vacuum 11, The space partition member 34 accumulates part of the heat when the liquid 32 is heated. At this time, the space-side heat storage member 34 is provided in a granular pozzola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se pozzolans are known to have effects such as anion emission, far infrared rays, humidity control, deodorization, and toxic neutralization while minimizing heat loss through excellent heat storage.

여기서 액체(32)는 보일러가 난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에 실험용 증류수로 마련되고, 보일러가 난방 및 조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아세톤으로 마련된다.Here, the liquid 32 is provided as experimental distilled water when the boiler performs only the heating function, and is provided as acetone when the boiler performs the heating and cooking functions at the same time.

즉, 보일러가 난방 기능만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경우는 대략 100℃ 미만의 열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액체(32)는 제1 진공부(1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되는 실험용 증류수로 채워지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boiler performs only the heating function independently, the heat is required to be less than about 100 DEG C, and the liquid 32 is filled with the distilled water for the experiment which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first vacuum 11 .

이와는 달리, 보일러가 난방 및 조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는 대략 100℃∼200℃ 미만의 열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액체(32)는 제1 진공부(1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독립적인 난방 조건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아세톤으로 채워지게 된다.In contrast, when the boiler performs the heating and cooking functions simultaneously, heat of about 100 ° C to less than 200 ° C is required, so that the liquid 32 is heated by the heat from the first vacuum 11, And is filled with acetone heated to a higher temperature.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는 보일러 본체(10)에 마련된 제2 진공부(13)에 채워지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는 공간부 축열부재(34)와 마찬가지로 일정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상의 포졸란으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2 진공부(13)의 열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vacuum storage member 40 is provided to be filled in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provided in the boiler body 10. At this time, the second vacuum heat storage member 40 is provided in a pozzolan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like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34, so that the heat of the second vacuum storage 13 is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액체 순환배관(50)은 열매체(30)에 마련된 액체(32)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액체 순환배관(50)은 공간부(12)의 일측에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진공부(13)의 하면을 경유하여 설정된 난방구역으로 순환 배치된 뒤 공간부(12)의 타측에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이에 따라 열매체(30)에 마련된 액체(32)의 순환경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is provided so as to form a circulation path of the liquid 32 provided in the heating medium 30. That is,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is circulated to a predetermined heating zone via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13 in a state where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ace 12 to form an outlet, So that the circulation path of the liquid 32 provided in the heating medium 30 can be formed.

또한, 액체 순환배관(50)은 제2 진공부(13)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즉, 액체 순환배관(50)은 제2 진공부(13)의 하면에 접촉되되 넓은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2 진공부(13)의 하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 조리부(17)로 열을 신속하게 전달하면서도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liquid circulating pipe 50 is provided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That is,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The heat can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loss can be minimized.

열교환기(60)는 액체 순환배관(50)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열교환기(60)는 액체 순환배관(50)을 순환하는 액체(32)로부터 열교환하며 이에 따라 온수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The heat exchanger (60) is provided o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The heat exchanger 60 heat-exchanges the liquid circulating pipe 50 from the circulating liquid 32, so that hot water can be used.

순환펌프(70)는 액체 순환배관(50)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순환펌프(70)는 액체 순환배관(50)을 따라 순환하는 액체(32)를 강제적으로 펌핑함으로써 액체(32)의 원활한 순환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 circulation pump (70) is provided o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This circulation pump 70 can forcibly pump the liquid 32 circulating along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moothly circulate the liquid 32.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oiler having the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도 4를 참조하면, 열원(15) 혹은 히터부(20)에 의해 제1 진공부(11)가 가열되면, 제1 진공부(11)는 열원(15) 혹은 히터부(20)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가열에 따라 발생된 열을 공간부(12)로 전달하게 된다.4, when the first vacuum 11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15 or the heater 20, the first vacuum 11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15 or the heater 20, At the same time, heat generated by heating is transferred to the space portion 12.

제1 진공부(11)의 열이 공간부(12)로 전달되면, 공간부(12)에 채워진 열매체(30)의 액체(32)와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제1 진공부(1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액체(실험용 증류수)(32)는 가열에 따라 일정한 온도를 갖는 온수로 변환되고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액체(32)의 가열시 일부 열을 축적하게 된다. 즉,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열의 일부를 축적하여 공간부(12)의 내부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eat of the first vacuum 11 is transferred to the space 12, the liquid 32 of the heat medium 30 and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34, which are filled in the space 1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liquid (experimental distilled water) 32 is converted into hot water having a constant temperature by heating, and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34 accumulates some heat when the liquid 32 is heated. That is, the space space heat accumulating member 34 accumulates a part of the heat to keep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ace part 12 constant, thereby increas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while minimizing the heat loss.

액체(32)가 가열되면, 액체(32)는 난방 기능만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액체 순환배관(50)을 따라 제2 진공부(13)를 경유하여 설정된 난방구역을 순환한 뒤 공간부(12)로 다시 유입되게 된다.When the liquid 32 is heated, the liquid 32 circulates in the space 12 through the heating zone, via the second vacuum 13, along the liquid circulation line 50 so as to perform only the heating function independently. As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부(17)에 음식물, 예를 들어서 육류 혹은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열원(15) 혹은 히터부(20)에 의해 제1 진공부(11)가 가열되면, 제1 진공부(11)는 열원(15) 혹은 히터부(20)에 의해 가열됨과 동시에 가열에 따라 발생된 열을 공간부(12)로 전달하게 된다.5, the first vacuum 11 is held by the heat source 15 or the heater unit 20 in a state where a cooking vessel containing food, for example meat or cooking food, is placed on the cooking vessel 17, The first vacuum 11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15 or the heater unit 20 and at the same tim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is transferred to the space 12.

제1 진공부(11)의 열이 공간부(12)로 전달되면, 공간부(12)에 채워진 열매체(30)의 액체(32)와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제1 진공부(11)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액체(아세톤)(32)는 가열에 따라 일정한 온도를 갖도록 변환되고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액체(32)의 가열시 일부 열을 축적하게 된다. 즉, 공간부 축열부재(34)는 열의 일부를 축적하여 공간부(12)의 내부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eat of the first vacuum 11 is transferred to the space 12, the liquid 32 of the heat medium 30 and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34, which are filled in the space 1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liquid (acetone) 32 is converted to have a constant temperature according to heating, and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34 accumulates some heat when heating the liquid 32. That is, the space space heat accumulating member 34 accumulates a part of the heat to keep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pace part 12 constant, thereby increas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while minimizing the heat loss.

액체(32)가 가열되면, 액체(32)는 난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액체 순환배관(50)을 따라 제2 진공부(13)를 경유하여 설정된 난방구역을 순환한 뒤 공간부(12)로 유입되게 된다.When the liquid 32 is heated, the liquid 32 is circulated along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to perform the heating function through the heating zone established via the second vacuum 13, and then flows into the space portion 12 .

이때, 제2 진공부(13)는 액체 순환배관(50)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되고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는 열의 일부를 축적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vacuum 13 is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liquid circulation pipe 50, and the second accumulator member 40 accumulates part of the heat.

즉,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는 열의 일부를 축적하여 제2 진공부(13)의 내부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vacuum accumulator 40 stores a portion of the heat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constant, thereby increas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while minimizing heat loss.

제2 진공부(13)가 가열되면, 조리부(17)에 안착된 육류 혹은 조리용기는 제2 진공부(13)와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is heated, the meat or the cooking container placed on the cooking chamber 17 is heat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second vacuum chamber 13 and the second vacuum chamber member 40, . ≪ / RTI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는, 열원(15) 혹은 히터부(20)에 의해 제1 진공부(11) 및 공간부(12)를 가열하고 공간부(12)의 열매체(30)를 통해 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액체(32)를 순환시켜 설정된 난방구역을 난방하거나 혹은 난방 과정에서 열매체(30)의 액체(32)로 제2 진공부(13)를 가열하여 제2 진공부 축열부재(40)를 통해 열을 축적함과 동시에 조리부(17)에 열을 제공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보일러의 난방시 열효율을 높이고 축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oiler having the cooking fun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vacuum 11 and the space portion 12 are heated by the heat source 15 or the heater portion 20, The heat is accumulated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30 and the liquid 32 is circulated to heat the set heating zone or the second heat exchanger 13 is heated by the liquid 32 of the heating medium 30 during the hea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heat the food by heating the food by heating the food by providing the heat to the cooking part 17 while accumulating the heat through the heat storage member 40. [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보일러 본체 11: 제1 진공부
12: 공간부 13: 제 2진공부
14: 열원수용부 15: 열원
16: 조리부 17: 코팅층
20: 히터부 30: 열매체
32: 액체 34: 공간부 축열부재
40: 제2 진공부 축열부재 50: 액체 순환배관
60: 열교환기
70: 순환펌프
10: boiler body 11:
12: space part 13:
14: heat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15: heat source
16: cooking zone 17: coating layer
20: heater part 30: heating medium
32: liquid 34: space heat storage member
40: Secondary accumulator member 50: Liquid circulation pipe
60: heat exchanger
70: circulation pump

Claims (10)

내부에 제1 진공부와 공간부가 경계를 구획하여 적층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제2 진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진공부의 하부에는 제1 진공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열원이 수용되는 열원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진공부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조리부가 형성되는 보일러 본체;
상기 제1 진공부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어 제1 진공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히터부;
상기 공간부에 채워지며 상기 제1 진공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액체와, 상기 액체의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하는 공간부 축열부재가 마련되는 열매체;
상기 제2 진공부에 채워지며 상기 공간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액체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시 열의 일부를 축적하도록 마련되는 제2 진공부 축열부재; 및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유출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을 경유하여 설정된 난방구역으로 순환 배치된 뒤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액체의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액체 순환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조리부는 상기 보일러 본체의 상부에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표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층은 포졸란 액상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And a second vacuum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pace par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vacuum is provided with a heat source accommodating a heat source to heat the first vacuum, And a cooking chamber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so as to cook food.
A heater unit accommodated in the first vacuum chamber and being heated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heat the first vacuum chamber;
A heating medium which is filled in the space and is heated by heat transmitted from the first vacuum, and a space heat storage member which accumulates a part of heat when heating the liquid;
A second vacuum storage and heating member which is filled in the second vacuum and is heated by the liquid delivered from the space and is arranged to accumulate a part of the heat upon heating; And
And a circulation path for circulating the liqui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chamber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form an outlet port on one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connected to form an inlet port on the other side of the space portion, And the liquid circulation pipe,
Wherein the cooking part is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a surface of the boiler body and having a coating layer formed on a surface thereof, and the coating layer is formed by coating a pozzolan liquid ph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와 경계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진공부의 경계면은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되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undary surface of the first vacuum chamber forming the boundary with the space portion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protruding toward the space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난방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에 실험용 증류수로 마련되고, 난방 및 조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 아세톤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is provided as experimental distilled water only when the heating function is performed and is provided as acetone when the heating and cooking function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제1 진공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나무버너, 가스버너, 기름버너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source is provided in one or more configurations selected from a wood burner, a gas burner, and an oil burner so as to heat the first vacu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축열부재와 상기 제2 진공부 축열부재는, 일정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상의 포졸란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 heat storage member and the second heat storage heat storage member are provided in a granular pozzolan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순환배관은,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에 접촉되되 접촉시 넓은 접촉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진공부의 하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vacuum, so as to provide a wide contact surface upon cont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순환배관 상에 상기 액체로부터 열교환하여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provided o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so as to use hot water to heat-exchange the liquid from the liqu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순환배관 상에 액체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능을 갖는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irculation pump provided to forcibly circulate the liquid on the liquid circulation pipe.
삭제delete
KR1020140140728A 2014-10-17 2014-10-17 Boiler having cook function KR101693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28A KR101693692B1 (en) 2014-10-17 2014-10-17 Boiler having cook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728A KR101693692B1 (en) 2014-10-17 2014-10-17 Boiler having cook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49A KR20160045349A (en) 2016-04-27
KR101693692B1 true KR101693692B1 (en) 2017-01-06

Family

ID=5591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728A KR101693692B1 (en) 2014-10-17 2014-10-17 Boiler having cook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6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52Y1 (en) * 1998-01-23 2000-11-15 조부연 A boiler
KR100526437B1 (en) * 2003-11-20 2005-11-08 중앙냉동기 주식회사 heating device of having heat pipe
KR100932994B1 (en) * 2008-08-01 2009-12-21 장길환 Multi-purpose boil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354A (en) * 2010-06-15 2011-12-21 정청식 Latent heat with excellent use of natural ocher gudol manufacturing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52Y1 (en) * 1998-01-23 2000-11-15 조부연 A boiler
KR100526437B1 (en) * 2003-11-20 2005-11-08 중앙냉동기 주식회사 heating device of having heat pipe
KR100932994B1 (en) * 2008-08-01 2009-12-21 장길환 Multi-purpose b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349A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0400T3 (en) Cooking accessory for a container that can be heated from a cooking machine
US2012013789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heating food items
KR200450498Y1 (en) Steam Cooker
KR101693692B1 (en) Boiler having cook function
JP6366104B2 (en) Steam generator
EP3748237B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and method for generating steam
RU103458U1 (en) DEVICE FOR COOKING
KR20090070462A (en) A boiler using heat transfer fluid
KR101480122B1 (en) Brazier having structure for recovering waste heat and Cooking utensil having the same
KR20080100914A (en) Apparatus of energy saved fireplace having boiler
CN103620311A (en) High efficiency range
KR20160109316A (en) Waste heat recovery type gas cooking device and heating and hot water supply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467947Y1 (en) Steam cooker
KR20110045433A (en) Hot water and heating system using waste-heat of boiling heat
WO2017058034A1 (en) A fired water heater
KR20100033633A (en) Fireplace having boiler with heat pipe device
KR101545205B1 (en) Enhanced heating fryers
KR20130004255U (en) Heating apparatus using wasting heat of cooking appliance
KR100735697B1 (en) Steam Generator for Steam Oven
KR101615261B1 (en) Steam frying pan
KR101476630B1 (en) Briquette boiler exhaust downstream expression
JP2012000074A (en)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86733A (en) Indoor heating implement containing water heater
KR20110111650A (en) A boiler system used a gas range waste-heat
KR200367139Y1 (en) Hot water boiler with hot air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