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499B1 -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499B1
KR101692499B1 KR1020160095892A KR20160095892A KR101692499B1 KR 101692499 B1 KR101692499 B1 KR 101692499B1 KR 1020160095892 A KR1020160095892 A KR 1020160095892A KR 20160095892 A KR20160095892 A KR 20160095892A KR 101692499 B1 KR101692499 B1 KR 10169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r
vertical pipe
bar
tub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택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9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4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wherein an auxiliary bar capable of reinforcing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post, connecting supporting posts, or further supporting a mold around the supporting post is embedded in an upper vertical pipe of the supporting post. The supporting post comprises: a lower support pipe portion (1) which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includes a lower vertical pipe (12); an upper support pipe portion (2) which includes an upper vertical pipe (21)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pipe (12); a lifting ring (R)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pipe (12); a fixed pin (P) which penetrates the lower vertical pipe (12) and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ing (R) in close contact; and an auxiliary bar (3) which is mounted in the upper vertical pipe (21).

Description

건축용 동바리{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바리의 상부 수직관 내부에 동바리의 내부를 보강하거나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동바리 주위의 거푸집을 더 받혀줄 수 있는 보조바를 내장시킨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chitectural torsion bar having an auxiliary bar for reinforcing the inside of the torsion bar, connecting the torsion bars to each other, or supporting a form around the torsion bar, .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시공은 거푸집으로 건축구조물의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building structure is formed by forming the shape of the building structure with the formwork, and curing the concrete by placing the concrete in the formwork.

상기의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해당하는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될 경우에는 거푸집에 타설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해당하는 거푸집을 건축용 동바리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bove-mentioned building structure, when the concrete is laid on the formwork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mold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constructed for the construction It is supported by the east coast.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6-0029938호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a conventional architectural tile. First, as an example of conventional tile tile construc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29938, entitled " Connecting device for building tile and construction tile "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 상기 수직재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를 상기 제1연결부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수직재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이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이 형성된 체결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과 제1고정홀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과 제1고정홀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ventional connection device for a building construction harness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that is erected on a bas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 vertical member that supports a support object;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fastening and fixing a horizontal member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vertical member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And a second fixing hole formed on the receiving portion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fixing hole; and a second fixing hole formed on the second fixing hole,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xing hole and the first fixing hol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fixing pin is hel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ixed.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동바리를 제외하고 동바리의 수직재에 착탈되는 제1 연결부와 수평재를 상기 제1 연결부에 체결시키는 제2 연결부 및 다수의 수평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시공현장까지 운반해야 함으로써, 연결장치의 운반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연결장치의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which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vertical member of a tall build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horizontal member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tab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ansportation cost of the connecting device is increased due to the transportation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ing device is increased.

또한,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제1 연결들와 제2 연결부들 및 수평대들을 많은 구성품을 시공 현장에서 일일 조립해야 함으로써, 연결장치를 현장에 조립할 경우에 많은 시간이 걸려 동바리의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the first connecting parts, the second connecting parts, and the horizontal parts are assembled at a construction site every day,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assemble the connecting device in the field, I also had problems.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시공 후, 콘크리트의 타설시 전달되는 외부 진동으로 인하여 고정핀이 쉽게 빠지됨으로써, 동바리들의 연결력이 약해져 콘크리트의 타설시 동바리가 쓰러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onnecting device for building constru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ing pin is easily detached due to the external vibration transmitted when the concrete is laid after the construction, the connecting force of the tiles is weakened, I had a problem to make.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6-0029938호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29938 entitled "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동바리의 상부 수직관 내부에 동바리의 내부를 보강하거나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동바리 주위의 거푸집을 더 받혀줄 수 있는 보조바를 내장시킨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chitectural hull which has a reinforcing bar inside the upper vertical wall of the hull to reinforce the inside of the hull, connect the hulls to each other, or further support the form around the hul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을 이용하여 동바리들을 현장에서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harness which can be installed in a site in a quick and simple manner by using auxiliary bars incorporated in the harvester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를 이용하여 동바리 주위의 거푸집을 더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ing a mold around a hill by using an auxiliary bar built in the hil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를 이용하여 동바리 주위의 경사진 거푸집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buiding which can support a tilted form around a tile by using a sub-bar incorporated in the ti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며, 하부판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 수직관이 구비되며, 하부 수직관의 상부의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측 나사부의 전,후방에는 수직장홀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관부와; 상기 하부 수직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수직관을 포함하고, 상부 수직관의 전,후방에는 다수의 핀홀이 형성되며, 상부 수직관의 양측에는 보조바 삽입장홀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거푸집을 받혀주는 상부판이 구비되는 상부 지지관부와; 상기 외측 나사부에 승강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승강링과; 상기 수직장홀과 핀홀에 관통되고 상기 승강링의 상부에 밀착되는 고정핀과; 상기 보조바 삽입장홀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수직관의 내부에 세워지고, 중간이 중앙 힌지축에 의해 상기 상부 수직관에 연결되어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가 상기 상부 수직관의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핀홀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바 관통 핀홀이 형성되고, 두 개의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보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struction bui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bottom plat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 floor, a bottom vertical tub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 lower support tube portion in which a vertical hole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thread portion; A plurality of pinhole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vertical pipe, vertical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vertical pipe, An upper support tube portion having an upper plate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 elevating ring coupled to the outer threaded portion so as to be able to vertically move; A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hole and the pin hol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ring; The upper barrel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r insertion elongated hole and is raised inside the upper vertical barrel, and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barrel by the central hinge axi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protrude outside the upper vertical barrel And a plurality of bar-shaped pin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inholes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screw portions formed at two end por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의 상부를 상부 수직관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보조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바 고정수단은 상기 보조바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방지핀홀과, 상기 상부 수직관의 상부의 전,후방에 상기 회전 방지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핀 관통홀과, 상기 핀 관통홀들과 회전 방지핀홀에 이탈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상부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바는 상기 보조바 삽입장홀의 전후방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전,후방에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두 개의 단부에는 상기 나사부가 형성되는 원형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bar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auxiliary bar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A pin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evention pin hole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pipe; and a pin hole penetratingly formed in the pin hole and the rotation prevention pin hole Wherein the auxiliary bar is formed of a circular bar having flat surface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having the threaded portions formed on the two ends so as to reduce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auxiliary bar insertion slo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동바리에 구비된 두 개의 보조바 단부의 나사부를 체결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둘레에는 다수의 봉이 형성되는 연결 너트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struction harnes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nut tube connecting the screw portions of the two auxiliary bar ends provided on the two shaft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가 회전되어 보조바의 상,하부가 상부 수직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푸집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은 상기 보조바의 상부 단부의 나사부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출봉에 형성되는 받침 승강링과, 상기 보조바의 상부 단부의 나사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 승강링의 상부에 밀착되는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의 상부에 힌지부를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 거푸집이나 경사 거푸집의 하부를 받혀주는 각도 변경식 받침판,을 포함하며, 상기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가 회전되어 보조바의 상,하부가 상부 수직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보강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보강 지지수단은 상기 보조바의 하부 단부의 나사부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출봉에 형성되는 지지 승강링과, 상기 보조바의 하부 단부의 나사부에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 승강링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받침관과, 상기 하부 받침관의 하부에 힌지부를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에 밀착되는 각도 변경식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architectural hu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m support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pipe when the auxiliary bar is rotated , The form supporting means includes a support lift ring fixed to a threaded portion of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formed 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ods on the outside, And an angle changing type support plat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tube so as to be able to change its angle through a hinge portion to receive a horizontal form or a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formwork, The auxiliary bar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pipe, And the lower reinforcement supporting means includes a support lifting ring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ar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to be formed 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ods on the outer side, A lower supporting tube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and having an upper end adhe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lifting and lowering ring and an angle changing type supporting plat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supporting tube so as to be changeable in angle through a hinge portion, And a control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부관 내부에 보조바를 구비하여 동바리의 내부를 보강함에 따라, 동바리를 하나 씩 분리하여 시공할 경우에 거푸집의 지지력을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동바리를 하나 씩 분리하여 시공할 경우에 동바리의 사이 간격을 넓힘에 따라 동바리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auxiliary bars are provided inside the upper tube to reinforce the inside of the tiles, when the tiles are separated one by on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tiles is further improved to separate the tiles one by one When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the interval between the trenches is widen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trenches.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보조바를 이용하여 동바리들을 현장에서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시공시간을 최대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고,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제작비용의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연결너트를 통해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동바리들의 보조바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여 동바리들의 연결 시공후 동바리들이 쓰러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simply connect the horses in the field by using the auxiliary bar, if necessary, thereby maximizing the construction time for connecting the horses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ing means to a minimum and to secure the auxiliary bars of the talli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nuts more firmly, thereby preventing the tallies from falling down after the ties are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동바리를 연결하는 보조바를 동바리의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보조바의 별도 운반을 필요없게 하는 효과도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need for the separate transportation of the auxiliary bar by incorporating the auxiliary bar connecting the shore into the inside of the shore.

또한, 본 발명은,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를 이용하여 동바리 주위의 거푸집을 더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하부 지지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support the form around the hill by using the auxiliary bar built in the hill,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bottom supporting force of the hill.

또한, 본 발명은,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를 이용하여 동바리 주위의 경사 거푸집도 함께 지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inclined die around the hill by using the auxiliary bar built in the hi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주위의 수평 거푸집을 더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주위의 경사 거푸집을 더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mp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formwork around the hill is further supported by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further supporting an inclined die around a h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주위의 수평 거푸집을 더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 주위의 경사 거푸집을 더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formwork around the h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supported,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further supporting the hill formwork around the h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는 바닥에 밀착되고 하부 수직관(12)을 포함하는 하부 지지관부(1)와, 상기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수직관(21)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관부(2)와, 상기 하부 수직관(12)의 외측 상부에 체결되는 승강링(R)과, 상기 하부 수직관(12)과 상부 수직관(21)에 관통되고 상기 승강링(R)의 상부에 밀착되는 고정핀(P)과,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장착되는 보조바(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tr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upport tube portion 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floor and includes a lower end tube 12, and a lower end tube portion 1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tube 12 An elevating ring R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lower vertical pipe 12 and a lower vertical pipe 12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vertical pipe 12 and the upper vertical pipe 21, A fixing pin P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ring R and an auxiliary bar 3 mounted inside the upper vertical pipe 21.

상기 하부 지지관부(1)는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판(11)과, 하부판(11)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 수직관(21)이 상부에서 삽입되는 상기 하부 수직관(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관부(1)는 동바리의 하부를 바닥에 밀착시켜 동바리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lower support tube part 1 includes a lower plate 1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a lower vertical tube 12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plate 11 and whose upper part is opened to insert the upper, . Therefore, the lower support tube part 1 ha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buckle by closely contacting the lower part of the buckle to the floor.

상기 하부 수직관(1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승강링(R)이 체결되는 외측 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나사부(13)의 전,후방인 상기 하부 수직관(12)의 상부 전,후방에는 상기 고정핀(P)이 관통되는 수직장홀(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The lower vertical pipe 1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n outer threaded portion 13 to which the lifting ring R is fasten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In the upper and rear portions of the lower vertical pipe 12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threaded portion 13, there is formed a vertical hole 14 through which the fixing pin P passes.

또한, 상기 상부 지지관부(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천정에 위치되는 수평 거푸집(10)을 받혀주는 역할을 한다. 1 to 3, the upper support tube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tube 12 to support a horizontal mold 10 positioned on the ceiling.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 지지관부(2)는 상기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상부 수직관(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전,후방에는 상기 고정핀(P)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핀홀(2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양측에는 상기 보조바(3)가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보조바 삽입장홀(2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 거푸집(10)을 받혀주는 상부판(24)이 구비되는 것이다.The upper support tube portion 2 serving as such includes the upper vertical tube 21 inserted into the lower tube. A plurality of pinholes 22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to selectively insert the fixing pins P.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bar insertion elongated hole 23 is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so that the auxiliary bar 3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vertical pipe 21, Is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24 for receiving the horizontal form 10.

상기 승강링(R)은 하부 수직관(12)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 외측 나사부(13)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탭부가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링(R)의 둘레에는 승강링(R)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봉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lifting ring R is fastened to an outer threaded portion 1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pipe 12 and has a tab portion formed therein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by rota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ods are formed around the lifting ring R so that the lifting ring R can be easily rotated.

상기 상부관 고정핀(P)은 상기 수직장홀(14)과 핀홀(22)에 관통되고 상기 승강링(R)의 상부에 밀착되어 수직관(2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upper pipe fixing pin P penetrates the vertical hole 14 and the pinhole 2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ring R to fix the vertical pipe 21.

또한, 상기 보조바(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양측에 형성된 보조바 삽입장홀(23)에 삽입 관통되어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세워지게 내장되는 것으로, 동바리를 하나 씩 분리하여 시공할 경우에 상부 수직관(21)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역할을 하고, 또한, 후술하겠지만 필요에 따라 동바리를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동바리 상부 주위의 수평 거푸집(10)이나 경사 거푸집(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1 to 3, the auxiliary bar 3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r insertion long hole 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vertical straight pipe 21, And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used to connect the boats to each other if necessary, And serves to support the horizontal mold 10 and the warp mold 20 around it.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보조바(3)는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세워지게 내장되고, 중간이 중앙 힌지축(31)에 의해 상기 상부 수직관(21)에 연결되어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가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The auxiliary bar 3 having such a function is built up inside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vertical pipe 21 by a central hinge shaft 31,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s of which can be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straight pipe 21.

상기 보조바(3)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핀(P)이 선택적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핀홀(22)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바 관통 핀홀(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바(3)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두 개의 단부에는 후술할 연결 너트관(5)이 체결되거나, 또는 후술할 받침 승강링(61)과 지지 승강링(71)이 체결되는 나사부(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bar-hole pinholes 32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inholes 22 so that the fixing pins P can be selectively passed through the barholes. A connection nut pipe 5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two end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uxiliary bar 3 or a supporting and lifting ring 61 and a supporting and lifting ring 71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aded portion 33 be formed.

상기 보조바(3)는 상부 수직관(21)의 양측에 형성된 보조바 삽입장홀(23)의 전후방의 폭을 줄여 상부 수직관(21)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는 평탄면(27)이 형성되고 두 개의 단부에는 상기 나사부(33)가 형성되는 원형봉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n order to minimize the strength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by reducing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auxiliary bar insertion long holes (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Most preferably a circular bar having a flat surface 27 and two screw portions 33 formed at two ends thereof.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바(3)가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에서 보조바(3)의 상,하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수직관(2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조바(3)의 상부를 상부 수직관(21)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보조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1 to 3,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3 protrude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bar 3 is embedded in the upper vertical pipe 21,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auxiliary bar fixing means capable of selectively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to the upper vertical pipe 21 so as to prevent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

상기 보조바 고정수단은 보조바(3)의 상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바(3)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방지핀홀(34)과,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의 전,후방에 상기 회전 방지핀홀(34)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핀 관통홀(25)과, 상기 핀 관통홀(25)들과 회전 방지핀홀(34)에 이탈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상부 고정핀(4)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bar fixing means includes a rotation preventing pinhole 34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firmly fix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Through holes 25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prevention pinhole 34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on preventing pinhole 34 and the pinhole holes 25,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upper fixing pin 4 be made of a metal.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tong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를 사용하여 천정에 위치된 수평 거푸집(10)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 지지관부(2)를 구성하는 상부 수직관(21)의 내부 보조바(3)를 수직으로 세운다. 1 to 3, when the horizontal mold 10 positioned on the ceiling is supported by using the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vertical pipe 21, which constitutes the upper support pipe portion 2, The inner sub-bar 3 is vertically erected.

그리고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에 위치된 전,후방의 핀 관통홀(25)과 상기 보조바(3) 상부의 회전 방지핀홀(34)에 상부 고정핀(4)을 관통시켜 보조바(3)의 상부를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에 연결되게 고정한다. The upper fixing pin 4 is passed through the pin through holes 25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the rotation preventing pinhole 34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3)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tube (21).

다음 상기 하부 지지관부(1)의 하부 수직관(12)에 형성된 외측 나사부(13)에 상기 승강링(R)을 체결한 상태에서 하부 수직관(21)을 바닥에 세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수직관(21)을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에 위치된 상부판(24)을 상기 수평 거푸집(10)의 하부에 근접되게 위치시킨다.The lower vertical pipe 21 is placed on the floor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ring R is fastened to the outer screw portion 13 formed on the lower vertical pipe 12 of the lower support pipe portion 1. [ The upper vertical pipe 21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pipe 12 and the upper pipe 24 located above the upper vertical pipe 21 is positioned clos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ipe 10 .

다음 상기 하부 수직관(12) 상부의 전,후방 형성된 수직장홀(14)과 상부 수직관(21)에 형성된 다단으로 쌍을 이루는 전,후방 핀 관통홀(25) 중 한 쌍의 전,후방 핀 관통홀(25)과, 보조바(3)에 형성된 바 관통 핀홀(32)들 중 하나의 바 관통 핀홀(32)에 고정핀(P)을 삽입한다. A pair of front and rear pin through holes 25 formed in the upper and the lower main pipe 14 and the upper main pipe 2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rear upper portions of the lower main pipe 12, The fixing pin P is inserted into the pin through hole 25 and one bar through hole 32 of the bar through hole 32 formed in the auxiliary bar 3.

다음 승강링(R)을 회전시키면서 승강링(R)을 상승시킴에 따라, 승강링(R)을 상기 고정핀(P)의 하부에 밀착시키고 고정핀(P)을 상승시킴으로써, 고정핀(P)이 관통된 상부 수직관(21)을 상승시켜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판(24)을 수평 거푸집(10)의 하면에 밀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동바리의 설치를 완료하는 것이다. The lift ring R is raised while the next lift ring R is rotated so that the lift ring 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n P and the fixing pin P is raised, And the upper plate 24 formed on the upper vertical pipe 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old 10 so as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pipe .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바리를 분리식으로 설치하게 되면,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구비된 보조바(3)의 상부가 상부 고정핀(4)을 통해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보조바(3)의 하부가 고정핀(P)을 통해 상부 수직관(21)의 하부와 하부 수직관(12)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provided in the upper vertical pipe 21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through the upper fixing pin 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is firm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tube 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vertical tube 12 through the fixing pin P. [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동바리의 내부에 내장된 보조바(3)가 보강바의 역할을 함에 따라, 수평 거푸집(10)의 하부를 견고하게 받혀줌으로써, 동바리들의 시공시 동바리들의 간격을 넓혀 동바리의 시공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xiliary bar 3 built in the inside of the trench serves as a reinforcing bar,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trench 10 is firmly supported, thereby increasing the spacing of the trenche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trenches,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reduce the numb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동바리에 구비된 두 개의 보조바(3) 단부의 나사부(33)를 체결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연결 너트관(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nstruction bui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auxiliary bars 3 provided at two sides of a bridg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connect neighboring buckets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nut tube 5 connecting the screw portions 33 to each other through fastening.

그리고 상기 연결 너트관(5)의 외측 둘레에는 연결 너트관(5)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봉(5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ods 51 ar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nut tube 5 so that the connection nut tube 5 can be easily rota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먼저, 각각의 동바리을 구성하는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위치된 보조바(3)를 중앙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Therefore, when constructing the building b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auxiliary bar 3 located inside the upper vertical pipe 21 constituting each of the bridges is disposed around the center hinge axis 31 as a cent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protruded outward.

다음 상기 보조바(3)의 상,하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각각의 상부 수직관(21)을 각각의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고정핀(P)을 각각의 하부 수직관(12)의 수직장홀(14)과 각각의 상부 수직관(21)의 핀홀(22)에 관통 시킨 다음, 승강링(R)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동바리들의 하부 지지관부(1)와 상부 지지관부(2)를 수직으로 세워 시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각각의 동바리를 수직으로 세워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동바리들의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Each of the upper and lower vertical pipes 21 projecting out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uxiliary bar 3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lower vertical pipes 12, Through the vertical hole 14 of the straight pipe 12 and the pin hole 22 of each upper vertical pipe 21 and then raising the lift ring R, And the upper support tube portion 2 ar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ach hill vertically, it maintains a gap between the hill.

다음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동바리의 두 개의 보조바(3) 중 하나의 보조바(3) 단부에 연결너트관(5)를 체결한다. 그런 다음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보조바(3) 단부를 수평으로 눕힌 후, 연결 너트관(5)를 연결시키고자 하는 다른 하나에 보조바(3)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33)에 체결함으로써, 두 개 동바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수의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Next, the connecting nut tube 5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bar 3 of one of the two auxiliary bars 3 of two neighboring ones. Thereafter, the ends of the two auxiliary bars 3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re horizontally laid, and then the other one to be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nut tube 5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33 formed at the end of the auxiliary bar 3, It connects the two tribes to each other. And, through this process, many hors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동바리의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보조바(3)를 내장시킴으로써, 동바리를 연결하는 보조바(3)의 별도 운반을 필요없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possible to make it possible to eliminate the separate transportation of the auxiliary bar (3) connecting the shafts by incorporating the auxiliary bar (3) connecting the shafts inside the upper vertical pip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바(3)를 이용하여 동바리들을 현장에서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시공시간을 최대로 단축시킬 수 있고, 동바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의 제작비용의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the auxiliary bar 3 can be used to quickly and simply connect the horses in the field so that the construction time for connecting the horses to each other can be shortened to the utmost, To a minimum of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바(3)가 회전되어 보조바(3)의 상,하부가 상부 수직관(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3)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푸집 지지수단(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 to 3 and 5 and 6, the auxiliary bar 3 is rotat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3 are connected to the upper vertical pipe 21, (6)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6)은 동바리 상부 주위의 수평 거푸집(10)이나 경사 거푸집(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바(3)의 상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출봉(611)에 형성되는 받침 승강링(61)과, 상기 보조바(3)의 상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 승강링(61)의 상부에 밀착되는 승강관(62)과, 상기 승강관(62)의 상부에 힌지부(631)를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 거푸집(10)이나 경사 거푸집(20)의 하부를 받혀주는 각도 변경식 받침판(6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e support means 6 is fixed to the screw portion 33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horizontal formwork 10 or the inclined formwork 20 arou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33 of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elevating ring 61 An angle changing mechanism for changing the angular position of the elevation pipe 62 and the hinge 631 at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pipe 62 to receive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ormwork 10 or the inclined formwork 20, And a support plate 6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3)가 회전되어 보조바(3)의 상,하부가 상부 수직관(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3)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 지지수단(7)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bar 3 is rotat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3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support means (7).

상기 보강 지지수단(7)은 동바리의 하부를 보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바(3)의 하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출봉(711)에 형성되는 지지 승강링(71)과, 상기 보조바(3)의 하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 승강링(71)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받침관(72)과, 상기 하부 받침관(72)의 하부에 힌지부(731)를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에 밀착되는 각도 변경식 지지판(7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and supporting means 7 is fixed to the screw portion 33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so as to be able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lower portion of the barb an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by a plurality of protruding rods 711 A lower supporting tube 72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33 of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and having an upper e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lifting ring 71, And an angle-changeable support plate 73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tube 72 so as to be able to change its angle through a hinge portion 731 and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를 통해 동바리의 상부 주위의 수평 거푸집(10)이나 경사 거푸집(20)을 더 지지할 경우에는, 먼저,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위치된 보조바(3)를 중앙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support the horizontal formwork 10 or the inclined formwork 20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shore through the construction t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auxiliary bar 3 Are projected upward and downward with the center hinge axis 31 as a center.

다음 보조바(3)의 상,하부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부 수직관(21)을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고정핀(P)을 하부 수직관(12)의 수직 장홀(14)과 상부 수직관(21)의 핀홀(22)에 관통 시킨 다음, 승강링(R)을 상승시켜 동바리의 하부 지지관부(1)와 상부 지지관부(2)를 수직으로 세운다. The upper vertical pipe 21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pipe 12 whil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3 are protruded outward and then the fixing pin P is inserted into the lower vertical pipe 12, The upper support tube portion 1 and the upper support tube portion 2 are vertically set up by raising the lifting ring R .

다음 상기 승강관(62)을 보조바(3)의 상부 단부에 삽입한 다음, 보조바(3)의 상부 단부에 체결된 받침 승강링(61)을 회전 상승시켜 승강관(62)을 상승시킴에 따라, 승강관(62)의 상부에 위치된 각도 변경식 받침판(63)을 수평 거푸집(10)의 하면이나 경사 거푸집(20)의 하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거푸집 지지수단(6)의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Next, the elevating pipe 62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and then the elevating ring 6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is raised to lift the elevating pipe 62 , The angle changing type receiving plate 63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tube 6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ormwork 1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formwork 20 to complete the mounting of the form holding means 6 will be.

한편, 상기와 같이 거푸집 지지수단(6)의 장착을 완료한 후에는, 보조바(3)의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을 더 장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ounting of the form support means 6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reinforcement supporting means 7 of the auxiliary bar 3 can be further mounted.

따라서 상기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을 더 장착할 경우에는 보조바(3)의 하부 단부에 하부 받침관(72)을 삽입한 다음, 보조바(3)의 하부 단부에 체결된 지지 승강링(71)을 회전 하강시켜 하부 받침관(72)을 하강시킴에 따라, 하부 받침관(72)의 하부에 위치된 각도 변경식 지지판(73)을 바닥에 밀착시킴으로써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의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When the lower reinforcing and supporting means 7 is further mounted, the lower supporting pipe 72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and then the supporting lift ring (not shown)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The lower supporting pipe 72 is lowered by rotating the lower supporting pipe 72 downward so that the angularly changing supporting plate 73 located below the lower supporting pipe 7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3)와 거푸집 지지수단(6) 및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을 이용하여 동바리 주위의 수평 거푸집(10)을 더 지지함으로써 수평 거푸집(10)의 하부 지지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upports the horizontal mold 10 around the hill by using the auxiliary bar 3, the form support means 6 and the lower reinforcement supporting means 7 built in the hill,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lower bearing capacity.

또한 본 발명은 동바리에 내장된 보조바(3)와 거푸집 지지수단(6) 및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을 이용하여 동바리 주위의 경사 거푸집(20)도 함께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바리 주위의 경사 거푸집(20)을 함께 지지함으로써, 동바리 주위의 경사 거푸집(2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경사 동바리의 사용을 전혀 필요없게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support the inclined die 20 around the hill by using the auxiliary bar 3, the form support means 6 and the lower reinforcement supporting means 7 built in the hi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invention that makes it unnecessary to use a separate sloping ram to support the ramp form 20 around the ramp by supporting the ramp form 20 around the ramp.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하부 지지관부
11 : 하부판
12 : 하부 수직관
13 : 외측 나사부
14 : 수직장홀
2 : 상부 지지관부
21 : 상부 수직관
22 : 핀홀
23 : 보조바 삽입장홀
24 : 상부판
25 : 핀 관통홀
27 : 평탄면
3 : 보조바
31 : 중앙 힌지축
32 : 바 관통 핀홀
33 : 나사부
34 : 회전 방지핀홀
4 : 상부 고정핀
5 : 연결 너트관
51 : 봉
6 : 거푸집 지지수단
61 : 받침 승강링
611 : 돌출봉
62 : 승강관
63 : 각도 변경식 받침판
631 : 힌지부
7 : 하부 보강 지지수단
71 : 지지 승강링
711 : 돌출봉
72 : 하부 받침관
73 : 각도 변경식 지지판
731 : 힌지부
R : 승강링
P : 고정핀
10 : 수평 거푸집
20 : 경사 거푸집
1: lower support tube
11:
12: Lower vertical pipe
13: outer thread portion
14: Stool hall
2: upper support tube
21: upper vertical pipe
22: Pinhole
23: Insertion of auxiliary bar
24: Top plate
25: Pin through hole
27: Flat surface
3: Auxiliary bar
31: Central hinge axis
32: Bar through hole
33:
34: Anti-rotation pinhole
4: upper fixing pin
5: Connection nut tube
51: Rod
6: Form support means
61:
611:
62:
63: Angular adjustment type base plate
631: Hinge section
7: Lower reinforcement supporting means
71: Support lifting ring
711: protruding rods
72: Lower support tube
73: Angular changeable support plate
731: Hinge section
R: Lift ring
P: Fixing pin
10: Horizontal formwork
20: Slope form

Claims (4)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판(11)을 포함하며, 하부판(11)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하부 수직관(12)이 구비되며, 하부 수직관(12)의 상부의 외주연에는 외측 나사부(13)가 형성되고, 외측 나사부(13)의 전,후방에는 수직장홀(14)이 형성되는 하부 지지관부(1);
상기 하부 수직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수직관(21)을 포함하고, 상부 수직관(21)의 전,후방에는 다수의 핀홀(22)이 형성되며, 상부 수직관(21)의 양측에는 보조바 삽입장홀(2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거푸집을 받혀주는 상부판(24)이 구비되는 상부 지지관부(2);
상기 외측 나사부(13)에 승강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승강링(R);
상기 수직장홀(14)과 핀홀(22)에 관통되고 상기 승강링(R)의 상부에 밀착되는 고정핀(P);
상기 보조바 삽입장홀(23)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내부에 세워지고, 중간이 중앙 힌지축(31)에 의해 상기 상부 수직관(21)에 연결되어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가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외부로 돌출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에는 상기 핀홀(22)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바 관통 핀홀(32)이 형성되고, 두 개의 단부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되는 보조바(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And an upper threaded portion 12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1 and an outer threaded portion 13 is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ed threaded portion 12, A lower support tube portion 1 in which a vertical hole 14 is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screw portion 13;
A plurality of pinholes 22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a plurality of pinholes 22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 upper support tube portion 2 having an auxiliary bar insertion long hole 23 vertically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having an upper plate 24 for receiving a di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 elevating ring (R) fastened to the outer threaded portion (13)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 fixing pin P penetrating through the vertical hole 14 and the pin hole 22 and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ring R;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bar insertion elongated hole (23) and is set up inside the upper vertical tube (21), and the middle is connected to the upper vertical tube (21) by a central hinge shaft (31) And a plurality of bar-passing pinholes 32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inholes 22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3)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33);
And a roof for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3)의 상부를 상부 수직관(21)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보조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바 고정수단은 상기 보조바(3)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 방지핀홀(34)과, 상기 상부 수직관(21)의 상부의 전,후방에 상기 회전 방지핀홀(34)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핀 관통홀(25)과, 상기 핀 관통홀(25)들과 회전 방지핀홀(34)에 이탈 가능하게 관통 구비되는 상부 고정핀(4),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바(3)는 상기 보조바 삽입장홀(23)의 전후방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전,후방에는 평탄면(27)이 형성되고 두 개의 단부에는 상기 나사부(33)가 형성되는 원형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uxiliary bar fixing means capable of selectively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to the upper vertical pipe (21)
The auxiliary bar fixing means includes a rotation preventing pinhole 3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rotation preventing pinhole 34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an upper fixing pin (4) detachably provided in the pin through holes (25) and the rotation preventing pinhole (34)
The auxiliary bar 3 is a circular bar having a flat surface 27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a screw portion 33 formed on the two ends to reduce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auxiliary bar insertion long hole 23 And a plurality of torsion ba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동바리는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동바리에 구비된 두 개의 보조바(3) 단부의 나사부(33)를 체결을 통해 서로 연결하고 둘레에는 다수의 봉이 형성되는 연결 너트관(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uilding-
A connection nut tube 5 which connects the screw portions 33 of the end portions of the two auxiliary bars 3 provided at the two sid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fastening and has a plurality of rods formed around the rod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ridges for build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3)가 회전되어 보조바(3)의 상,하부가 상부 수직관(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3)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푸집 지지수단(6);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 지지수단(6)은 상기 보조바(3)의 상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출봉(611)에 형성되는 받침 승강링(61)과, 상기 보조바(3)의 상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 승강링(61)의 상부에 밀착되는 승강관(62)과, 상기 승강관(62)의 상부에 힌지부(631)를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평 거푸집(10)이나 경사 거푸집(20)의 하부를 받혀주는 각도 변경식 받침판(63),을 포함하며,
상기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보조바(3)가 회전되어 보조바(3)의 상,하부가 상부 수직관(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바(3)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보강 지지수단(7)은 상기 보조바(3)의 하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승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측에는 다수의 돌출봉(711)에 형성되는 지지 승강링(71)과, 상기 보조바(3)의 하부 단부의 나사부(33)에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지지 승강링(71)의 하부에 밀착되는 하부 받침관(72)과, 상기 하부 받침관(72)의 하부에 힌지부(731)를 통해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바닥에 밀착되는 각도 변경식 지지판(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struction barb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bar 3 is rotat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3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Further comprising die support means (6)
The form supporting means 6 includes a supporting elevating ring 61 which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33 at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formed 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ods 611, A lift tube 62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33 at the upper end of the bar 3 and having a lower e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elevating ring 61 and a hinge 631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tube 62, And an angle changing type receiving plate 63 mounted to be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through the inclined plate 20 and recei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orm 10 or the inclined form 20,
The auxiliary bar 3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bar 3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xiliary bar 3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pipe 21, And a lower reinforcing support means (7)
The lower reinforcing and supporting means 7 includes a support lifting ring 71 which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33 of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nd formed on a plurality of protruding rods 711, A lower supporting tube 72 inserted into the threaded portion 33 of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bar 3 and having an upper end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lifting ring 71 and a hinge And an angle-changeable support plate (73) mounted on the floor so as to be able to change its angle through the support plate (731).
KR1020160095892A 2016-07-28 2016-07-28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KR101692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92A KR101692499B1 (en) 2016-07-28 2016-07-28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892A KR101692499B1 (en) 2016-07-28 2016-07-28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2499B1 true KR101692499B1 (en) 2017-01-03

Family

ID=5779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892A KR101692499B1 (en) 2016-07-28 2016-07-28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49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67Y1 (en) * 2000-07-20 2001-01-15 주식회사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The support for construction
KR20140125910A (en) * 2013-04-18 2014-10-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upport structure of building
KR20160029938A (en)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세원 Coupling device for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and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KR101641576B1 (en) * 2015-10-30 2016-07-21 주식회사 진아스틸 A support descent equipment for slab form safe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67Y1 (en) * 2000-07-20 2001-01-15 주식회사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The support for construction
KR20140125910A (en) * 2013-04-18 2014-10-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upport structure of building
KR20160029938A (en)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세원 Coupling device for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and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KR101641576B1 (en) * 2015-10-30 2016-07-21 주식회사 진아스틸 A support descent equipment for slab form safe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992B1 (en) Concrete Sheeting System for A Bridge Pier
ES2217289T3 (en) FOUNDATION WITH PILOTS WITHOUT VOLTAGE.
KR101854772B1 (en) Brick wall support apparatu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rick wall using the same
US20070062142A1 (en) Concrete structure system
KR101451877B1 (en) Execution structure for concrete slab
KR101421212B1 (en) Basement Structure for power mono rail
KR101777746B1 (en) A support
JP6515279B2 (en) Anchor frame,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92499B1 (en) 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JP6865550B2 (en) How to build silo roof and silo roof structure
JP5620839B2 (en) Anchor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structure using it
US20200208420A1 (en) Concrete form
KR100997106B1 (en) Jig System for A Bridge Pier
KR101420303B1 (en) Spacer of reinforced bar adapted for base concrete
JP2017066804A (en) Mold support member, mold holding tool, and mold uni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0352506Y1 (en) Supporting structure of mold
WO2009130680A1 (en) A conveyor belt support
JP2630623B2 (en) Anchor bolt installation method and anchor bolt support device used for it
KR200381406Y1 (en) The support of a mold
KR200358791Y1 (en) Timbering system for construction
KR200143184Y1 (en) Support for wall forms
JP2017071960A (en) Earthquake resistant masonr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38505B1 (en) support fo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of
KR200367616Y1 (en) a vertical adjaustment device for supporting the a matrix
GB2452526A (en) A temporary fence and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