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355B1 - 견인형 방제기 - Google Patents

견인형 방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355B1
KR101692355B1 KR1020140170340A KR20140170340A KR101692355B1 KR 101692355 B1 KR101692355 B1 KR 101692355B1 KR 1020140170340 A KR1020140170340 A KR 1020140170340A KR 20140170340 A KR20140170340 A KR 20140170340A KR 101692355 B1 KR101692355 B1 KR 10169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tube
pipe
liqui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597A (ko
Inventor
이승기
김웅
전명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3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07Atomisers or mist blowers mounted on a frame and guided by hand; Atomiser ba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형 방제기에 관한 것으로, 이 견인형 방제기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체결되고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상부로 공급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3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프레임 표면과 체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상기 제1 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주입구; 상기 제1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부재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견인형 방제기{PEST CONTROL MACHINE}
본 발명은 견인형 방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추나 오이 등을 재배하기 위하여 농가에서 농작물의 병충해를 방지하고자 농약(살충제, 영양제 등)을 살포하고 있다. 농약 살포 시에는 작업자가 직접 인력식 살포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살포하고 있다. 이는, 소량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대량으로 농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인력식 분무기의 사용이 불가함으로 주로 동력장치로부터 분사액을 공급받아 살포하는 동력식 살포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동력식 살포장치로는 작업자가 직접 분사기를 들고 농작물에 살포하거나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살포장치를 통해 작업자가 견인 이동하면서 농작물에 분사액을 살포하도록 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작업자가 농작물에 분사액을 골고루 살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분사기를 장시간 들고 살포작업을 해서 작업자로서는 힘이 들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살포장치를 견인 이동하면서 살포토록 함에 있어 장시간 살포작업을 할 수는 있으나 분사노즐이 일정한 높이에서만 살포하도록 된 구조로서 농작물의 성장 정도에 따른 골고루 살포가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방제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2000-0013342A(2000년 07월 15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효율이 개선된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농작물의 성장 정도에 따라 분사구 위치를 조절 가능한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형 방제기는,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체결되고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상부로 공급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3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프레임 표면과 체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되게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상기 제1 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주입구; 상기 제1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부재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2 관; 및 상기 제2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제2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또한,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3 관; 상기 제3 관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상기 제3 관에 연결되어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 및 상기 제3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제3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한다.
또한,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하여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함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제1 관을 제1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U”자 형태의 제1 체결부재를 사용한다.
또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2 체결부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형 방제기는, 캐스터가 장착된 프레임을 사용하여 효율이 개선된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조절하여 농작물의 성장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를 다수 개 연결하여 방제 효율이 개선된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 및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외부충격에 대한 강성을 갖는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행방향으로 손잡이를 끌면 작업자의 키에 맞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견인형 방제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형 방제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연결부재의 정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간략한 설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형 방제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연결부재의 정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간략한 설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형 방제기(10)는, 지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캐스터가 부착된 프레임(300)과 상기 프레임(300)의 표면과 체결되고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제1 연결부재(210)와 상기 제1 연결부재(210)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상부로 공급하는 제2 연결부재(230)와 상기 제2 연결부재(230)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3 연결부재(250)를 구비하는 연결부재(200); 상기 프레임(300) 표면과 체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된 손잡이(100)를 포함한다.
프레임(300)은 연결부재(200)와 손잡이(100) 등을 지지한다. 프레임(300)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300)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프레임(300)은 외부저장부(미도시)를 적재하여 이동 가능하다.
프레임(300)은 이동을 위하여 하단부에 다수개의 캐스터가 배치된다. 캐스터는 균등한 힘을 분산하기 위하여 3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캐스터 재질은 연질의 고무재질을 사용한다.
손잡이(100)는 프레임(30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100)는 A지점(도 1을 참조)에서 핸들부가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100)는 견인형 방제기(10)의 이동형태에 맞도록 이동한다. 손잡이(100)는 사용자가 끌고 이동시에 사용자 키(손목 위치)에 맞게 이동한다. 즉, 손잡이(100)는 B지점(도 1을 참조)에서 견인위치에 따라 각도가 조절된다.
연결부재(200)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기 위한 제1 연결부재(210)와 액체를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2 연결부재(230)와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제3 연결부재(25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200)는 제1 연결부재(210)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 연결부재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제3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액체를 분사한다. 즉, 연결부재(200)는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30) 및 제3 연결부재(250)를 조합하여 연결 가능하다.
연결부재(200)는 농작물의 성장 높이에 맞도록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30) 및 제3 연결부재(250)를 조합한다. 연결부재(200)는 복수 개를 프레임(300)에 설치하여 방제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200)는 액체 분사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미도시)를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재(210)는 외부에서 액체를 주입 받는다. 제1 연결부재(210)는 액체를 이동하는 제1 관(213); 제1 관(213)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제1 관(213)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주입구(215) 및 제1 관(213)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제1 관(213)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hole)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프레임(300)에 고정한다(도 4를 참조).
제1 관(213)은 외부에서 주입된 액체(농약, 방충제 및 영양제 등)를 이송한다. 제1 관(213)은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관(213)은 사각형, 다각형 및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관(213)은 액체가 이동하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된다. 제1 관(213)은 제2 관(233) 및 제3 관(253)가 연결된다. 제1 관(213)의 하단부는 액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또한, 제1 관(213)의 하단부는 별도 부재를 사용하여 하단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주입구(215)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다. 주입구(215)는 외부의 저장공간(미도시)에서 모터, 실린더 등으로 구동된 액체를 공급받는다. 즉, 주입구(215)는 모터, 실린더 등으로 구동된 액체가 주입되는 입구를 제공한다. 주입구(215)는 외부의 저장공간에 연결된다. 주입구(215)는 외부의 저장공간과 고무호스 및 연결관 등으로 연결된다. 주입구(215)는 제1 관(213)의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주입구(215)는 제1 관(213)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된다.
제1 플레이트(211)는 제1 관(213)을 고정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액체의 입출력시 발생 된 진동을 억제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플레이트(213) 재질은 강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1 플레이트(211)는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 모터, 실린더 등의 진동을 억제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프레임(300)의 이동시에 발생 된 진동을 억제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이동중에 발생 된 충격으로부터 제1 관(213)을 보호한다. 즉, 제1 플레이트(211)는 견인형 방제기(10)가 이동시에 발생 된 외부충격으로부터 제1 관(213)을 보호한다. 제1 플레이트(211)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hole)이 형성된다. 고정홈(hole)은 일정한 배열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hole)은 제1 관(213)을 따라 배치된다. 고정홈은 길이 방향을 갖도록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제1 플레이트(2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제1 플레이트(211)와 후술할 고정부재(290)가 제1 체결부재(270)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고정홈은 제1 연결부재(210)를 브라켓을 사용하여 프레임(300)에 고정한다. 브라켓은 “ㄱ”형태,“ㄷ”형태 및 “E”형태 등을 사용하여 프레임(30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재(230)는 이송된 액체를 제3 연결부재(250)로 이송한다. 제2 연결부재(230)는 액체를 이송하는 제2 관(233); 제2 관(233)을 고정하는 제2 플레이트(231)를 포함한다(도 5를 참조).
제2 관(233)은 제1 관(213)에서 이송된 액체를 제3 관(253)으로 이송한다. 제2 관(233)은 제1 관(213)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제 2관(233)은 제1 관(213)에 체결된다.
제2 플레이트(231)는 제2 관(233)을 고정한다. 제2 플레이트(231)는 액체의 입출력시 발생한 진동을 억제한다. 제2 플레이트(231)는 제1 플레이트(211)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2 플레이트(231)는 제1 플레이트(211) 및 제3 플레이트(251)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2 플레이트(231)는 모터, 실린더 등의 진동을 억제한다. 제2 플레이트(231)는 제1 플레이트(21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2 플레이트(231)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플레이트(211)에서 이격(간격 두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플레이트(231)는 이동중에 발생 된 충격으로부터 제2 관(233)을 보호한다. 즉, 제2 플레이트(231)는 견인형 방제기(10)가 이동시에 발생 된 외부충격으로부터 제2 관(233)을 보호한다. 제2 플레이트(231)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hole)이 형성된다. 고정홈(hole)은 일정한 배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고정홈은 제2 관(233)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길이 방향을 갖도록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제2 플레이트(2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제2 플레이트(231)와 고정부재(290)가 제1 체결부재(270)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제3 연결부재(250)는 이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제3 연결부재(250)는 액체를 이동하는 제3 관(253); 제3 관(253)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제3 관(253)에 연결되어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255); 및 제3 관(253)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제3 관(253)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제3 플레이트(251)를 포함한다(도 6을 참조).
제3 관(253)은 이송된 액체를 분사구(255)로 이송한다. 제3 관(253)은 제2 관(233)에 체결된다. 제3 관(253)은 제2 관(233) 및 제1 관(213)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3 플레이트(251)는 제3 관(253)을 고정한다. 제3 플레이트(251)는 액체의 입출력시 발생 된 진동을 억제한다. 제3 플레이트(251)는 제2 플레이트(231)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3 플레이트(251)는 제1 플레이트(211) 및 제2 플레이트(231)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제3 플레이트(251)는 모터, 실린더 등의 진동을 억제한다. 제3 플레이트(251)는 제2 플레이트(23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3 플레이트(251)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플레이트(231)에서 이격(간격을 두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플레이트(231)는 이동중에 발생 된 충격으로부터 제3 관(253)을 보호한다. 즉, 제3 플레이트(231)는 견인형 방제기가 이동시에 발생 된 외부충격으로부터 제3 관(253)을 보호한다. 제3 플레이트(231)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홈(hole)이 형성된다. 고정홈(hole)은 일정한 배열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고정홈은 제3 관(253)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길이 방향을 갖도록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제3 플레이트(25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홈은 제3 플레이트(251)와 고정부재(290)가 제1 체결부재(270)를 사용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분사구(255)는 제3 관(253)을 통하여 이송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한다. 분사구(255)는 분사되는 높이에 따라 각도를 조절한다. 분사구(255)는 분사방향을 조절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사구(255)는 재배 종류에 따라 균일한 영양 공급을 위해 지면에 대하여 45°를 유지할 수도 있다. 분사구(255)는 일 예로 장미에 액체를 공급시 줄기 방향과 분사구(255) 방향이 45°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는, 액체(방충, 농약, 영양제 등의) 효과를 최대한 얻기 위함이다. 또한, 장미 잎에 직접분사를 막아주면서 작업자의 호흡기 오염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분사구(255)는 분사부위가 복수 개로 갈라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분사구(255)는“Y”형태,“M”형태 및 중공형태 등을 사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분사구(255)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제1 체결부재(270)는 “U”형태, “M”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된다. 제1 체결부재(270)는 제1 관(213), 제2 관(233), 제3 관(253)을 각각 제1 플레이트(211), 제2 플레이트(231) 및 제3 플레이트(253)에 결합한다. 또한, 제1 체결부재(270)는 제1 플레이트(211), 제2 플레이트(231) 및 제3 플레이트(253)를 고정부재(290)에 체결한다(도 7을 참조). 즉, 제1 체결부재(270)는 제1 관(213), 제2 관(233), 제3 관(253)을 고정부재(29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제2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30) 및 제3 연결부재(250)의 연결부위를 연결한다. 즉,제2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 관(213), 제2 관(233) 및 제3 관(253)이 서로 연결하면서 누수를 방지한다. 제2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 관(213), 제2 관(233) 및 제3 관(253)을 연결하기 위하여 체결부위를 암수 등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체결부재(미도시)는 제1 관(213), 제2 관(233) 및 제3 관(253)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29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연결부재(200)를 보호한다(도 7을참조). 고정부재(290)는 연결부재(200)를 프레임(300)에 고정한다. 즉, 고정부재(290)는 제1 연결부재(210)와 제2 연결부재(230) 및 제3 연결부재(25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된다. 고정부재(290)는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 고정부재(290)는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30) 및 제3 플레이트(250)를 고정한다.
이상, 일부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0: 견인형 방제기 100: 손잡이
200: 연결부재 210: 제1 연결부재
211: 제1 플레이트 213: 제1 관
215: 주입구 230: 제2 연결부재
231: 제2 플레이트 233: 제2 관
250: 제3 연결부재 251: 제3 플레이트
253: 제3 관 255: 분사부
270: 제1 체결부재 290: 고정부재
300: 프레임

Claims (7)

  1.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표면과 체결되고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상부로 공급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는 제3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프레임 표면과 체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축 연결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상기 제1 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받는 주입구; 및
    상기 제1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부재가 형성된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2 관; 및
    상기 제2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액체를 이동하는 제3 관;
    상기 제3 관에 적어도 1개 이상 연결되고, 상기 제3 관에 연결되어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구; 및
    상기 제3 관의 외주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관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제3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제3 연결부재는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3 연결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3 연결부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방제 작업 중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 및 상기 제3 관의 연결에 의하여 형성되는 관로의 연결 유지 능력을 높이며,
    상기 제1,제2,제3 관을 각각, 상기 제1,제2,제3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U"자 형태 또는 "M"자 형태의 제1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방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2 체결부재를 사용하며,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암수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형 방제기.
KR1020140170340A 2014-12-02 2014-12-02 견인형 방제기 KR10169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40A KR101692355B1 (ko) 2014-12-02 2014-12-02 견인형 방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40A KR101692355B1 (ko) 2014-12-02 2014-12-02 견인형 방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97A KR20160066597A (ko) 2016-06-13
KR101692355B1 true KR101692355B1 (ko) 2017-01-04

Family

ID=5619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340A KR101692355B1 (ko) 2014-12-02 2014-12-02 견인형 방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3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27B1 (ko) * 2007-10-30 2008-02-27 서정헌 견인형 다구·다단식 액체분사장치
KR101218732B1 (ko) * 2010-11-15 2013-01-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주형 농기구용 정전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342A (ko) 1998-08-07 2000-03-06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실밥 채집장치
KR20000020303U (ko) * 1999-05-03 2000-12-05 신정웅 농업용 분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27B1 (ko) * 2007-10-30 2008-02-27 서정헌 견인형 다구·다단식 액체분사장치
KR101218732B1 (ko) * 2010-11-15 2013-01-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주형 농기구용 정전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597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8348U (ja) 液体散布機
KR20170102687A (ko) 농작물 뿌리병충해 방제장치
KR20100009157A (ko) 비닐하우스용 작물 약액 살포기
KR102053187B1 (ko) 폭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농약살포장치
KR101330833B1 (ko) 다기능 생력농기계
KR200484036Y1 (ko) 다목적 약액 분사기
JP2009142168A (ja) 液体散布装置
KR100966115B1 (ko) 농약살포장치
KR101746112B1 (ko) 지게형 농약 분무장치
KR101692355B1 (ko) 견인형 방제기
KR20110024213A (ko) 농약 살포기
RU244137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опрыскиватель
KR102465257B1 (ko) 분사 높이와 방향이 조절되는 조향이동방제장치
JP6818383B1 (ja) 液体散布装置
KR20190051546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약액 살포장치
CN209359427U (zh) 一种具有折叠罩的喷雾机
KR101607003B1 (ko) 자주식 방제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상 물질 살포 장치
KR100779662B1 (ko) 약제살포기
KR101746110B1 (ko) 지게형 농약 분무장치
KR100746604B1 (ko) 농업용 휴립 비닐피복기
KR200443618Y1 (ko) 이동식 제초ㆍ살균용 화염방사기
CN110463680A (zh) 一种行走式农田除草遮蔽装置
KR20180000926U (ko) 등 지게식 농약 분무대
KR101397917B1 (ko) 물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물 살포기
KR200422831Y1 (ko) 비닐하우스용 약제살포 장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