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688B1 -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 Google Patents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688B1
KR101690688B1 KR1020140153407A KR20140153407A KR101690688B1 KR 101690688 B1 KR101690688 B1 KR 101690688B1 KR 1020140153407 A KR1020140153407 A KR 1020140153407A KR 20140153407 A KR20140153407 A KR 20140153407A KR 101690688 B1 KR101690688 B1 KR 101690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p
negative electrode
dispose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4179A (en
Inventor
홍지준
김인중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Priority to KR102014015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88B1/en
Priority to PCT/KR2015/010152 priority patent/WO2016072618A1/en
Publication of KR2016005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의 전극체를 수용하는 캔과 전극체의 음극판 간의 접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코인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며, 복수개의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대로 적층되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음극판이 각각 배치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캔; 상기 캔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캡; 및 상기 캔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캔에 수용된 전극체와 상기 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캡에 의해 상기 캔의 상부가 덮이거나 차단되면 상기 전극체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과 동일한 수평자세로 변형되는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which is configured to facilitate connection between a can accommodating an electrode body of a secondary battery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of an electrode body An electrode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disposed a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body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having an open top; A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can; And a cap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housed in the ca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an is opened, and when the upper part of the can is covered or blocked by the cap, And a conductor that is deformed into a posture.

Description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본 발명은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의 전극체를 수용하는 캔과 전극체의 음극판 간의 전기적 접합 또는 접속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thode plate we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thode plate welded structure configured to facilitate electrical connection or connection between a can accommodating an electrode body of a secondary battery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of an electrode body To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형 이차전지(1)는 복수개의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체(10)와, 상기 전극체(10)를 밀봉하는 외장 케이스(20)로 구성될 수 있다.1,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1 includes an electrode body 10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11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12 are alternately stacked, And an outer case (20).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20)는, 상기 전극체(10)를 수용하는 캔(21)과 상기 캔(21)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거나 덮는 캡(2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er case 20 may include a can 21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a cap 22 for blocking or covering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n 21.

그리고, 상기 전극체(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양극판(11)에서 방출하는 양이온을 안정적으로 흡장할 수 있도록 상기 음극판(1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cathode plate 12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so as to stably store positive ions emitted from the cathode plate 11.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인형 이차전지(1)는, 상기 전극체(10)의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상기 외장 케이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in-type secondary battery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its function wh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ase 20.

따라서, 상기 코인형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양극판(11)에서 돌출형성된 양극리드(11a)를 상기 캔(21)의 바닥면과 연결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그 작업 방식으로 초음파 용접 등의 용접방식 또는 초음파 용착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in type secondary battery, the cathode lead 11a protruded from the cathode plate 11 must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1. In this case, Or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may be used.

즉, 상기 전극체(10)를 상기 캔(21)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캔(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상기 양극판(11)의 양극리드(11a)를 상기 캔(21)의 바닥면에 초음파 용접 또는 초음파 용착방식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층된 다수개의 양극판(11)의 양극리드(11a)들을 모두 한 군데 모아서 캔(21)의 내측 바닥에 용접 등을 하여 양극판(11)과 캔(2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That is, the cathode lead 11a of the cathode plate 11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1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n 21 in a state where the electrode body 10 is accommodated in the can 21, By ultrasonic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At this time, the positive electrode leads 11a of the plurality of laminated positive electrode plates 11 are all gathered and weld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can 2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can 2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 후에는 초음파 용접 또는 초음파 용착방식으로 상기 음극판(12)에서 돌출 형성된 음극리드(12a)를 상기 캡(22)의 저면에 접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However, after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join the anode lead 12a protruded from the cathode plate 1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22 by ultrasonic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왜냐하면, 용접전극 또는 용착전극이, 상기 양극판(11)의 양극리드(11a)를 상기 캔(21)의 바닥면에 접합시킬 시에는, 상기 캔(21)의 개방된 상부를 통과하여 상기 캔(21)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용접 전극 또는 용착전극이 상기 음극판(12)의 음극리드(12a)를 상기 캡(22)의 저면과 접합시킬 시에는 상기 캔(21)의 개방된 상부가 상기 캡(22)에 의해 차단되거나 덮인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캔(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cathode lead 11a of the cathode plate 11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1, the welding electrode or the welding electrode passes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n 21, 21). When the cathode lead 12a of the cathode plate 12 is joined to the bottom of the cap 22, the open top of the can 21 is connected to the cap 22 by the welding electrode or the welding electrode It can not be inserted into the can 21 because it is blocked or covered.

즉, 상기 용접 전극 또는 용착 전극은, 양극판(11)의 양극리드(11a)를 상기 캔(21)의 바닥면에 접합시킬 시에는, 상기 캔(2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양극판(11)의 양극리드(11a) 및 상기 캔(21)의 바닥면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나, 상기 양극판(11)의 양극리드(11a)가 상기 캔(21)의 바닥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음극판(12)의 음극리드(12a)를 상기 캡(22)의 저면에 접합시킬 시에는 상기 음극판(12)의 음극리드(12a) 및 상기 캡(22)의 저면을 수직방향으로 가압할 수가 없다.That is, when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1, the welding electrode or the welding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n 21,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1 can be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a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21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2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22 are vertically aligned with each other when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2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22. [ Direction.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캡(22)이 캔(21)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때 상기 캡(22)의 저면을 상기 전극체(10)의 최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2)과 단순 접촉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22 is simp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electrode body 10 when the cap 22 covers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n 21 Method was used.

하지만, 위와 같은 단순 접촉방식은 상기 음극판(12)과 상기 캡(22)의 저면 사이에 접촉저항이 증가되는 현상을 유발하고 결국 코인형 이차전지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제공한다.However, the simple contact method as described above cause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22 is increased, thereby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coin type secondary batter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연성을 갖는 전선의 일단 및 타단을 상기 음극판(12) 및 상기 캡(22)의 저면에 각각 용접 또는 용착 방식으로 접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위와 같은 방식은 상기 캡(22)을 상기 캔(21)의 상단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선의 얽힘이나 뒤틀림을 감안하여 상기 캔(21)을 공간을 늘려야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캔(21)의 내부에 잔여공간이 형성되어 코인형 이차전지의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has been proposed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wire are respective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2 and the cap 22 by welding or wel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of the can 21 must be increased in consideration of entanglement or distortion of electric wir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an 21 to the upper end of the can 21. Accordingly, The energy density per volume of the coin type secondary battery may be reduced.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8-0029840호의 '코인형 전지'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ior art document related thereto is 'coin battery'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298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캔에 결합되지 않은 캡의 저면과 상기 캔에 수용된 전극체의 음극판 중 가장 위쪽에 있는 음극판에 높이는 도전체를 용접 또는 용착방식으로 캡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캡이 캔에 결합 될 시에는 상기 음극판과 동일한 수평적 자세로 변형되어 상기 캔에 수용될 수 있는 도전체를 제공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in which a height of a bottom surface of a cap not coupled to a can, When the cap is coupled to the ca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ducto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n by being deformed into the same horizontal posture as the negative plat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대로 적층되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음극판이 각각 배치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캔; 상기 캔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캡; 및 상기 캔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캔에 수용된 전극체와 상기 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캡에 의해 상기 캔의 상부가 덮이거나 차단되면 상기 전극체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과 동일한 수평자세로 변형되는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upper and lower ends;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body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having an open top; A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can; And a cap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housed in the ca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can is opened, and when the upper part of the can is covered or blocked by the cap, And a conductor that is deformed into a posture.

또한,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전극체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과 접합되는 제1접합편; 상기 제1접합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극체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 가능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가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되는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 또는 선회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접합되는 제2접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onductor may include: a first joint piece to be joined to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A plate that is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unit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member, An incision formed on the plate; And a second joint piece which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the incision section is formed and which is protruded or pivoted on a plate pivot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to join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ut-out portion may be continuously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

또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전기적으로 접합되거나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joining piece may protrude spirally on the plat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또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캔의 중심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joining piece may protrude from the plate towar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ca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ㄷ자 형상 또는 아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plate in either a U-shape or an arc shape.

또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절개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선회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전기적으로 접합되거나 접속될 수 있다.The second joining piece may protrude from the plate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while being pivoted in a space formed by the cut portion.

또한, 상기 제2접합편이 상기 절개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선회되는 방향 및 상기 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절개공의 형성위치 및 상기 캡의 배치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is pivo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ut por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protrudes from the plat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ut- have.

또한, 상기 캔에 상기 캡이 결합되면, 상기 제2접합편의 윗면 및 저면은 상기 캡의 저면 및 상기 전극체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의 윗면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p is coupled to the ca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joint member may b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body.

본 발명은, 캔에 수용된 전극체의 음극판과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캡이 도전체에 의해 용접 또는 용착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캡과 음극판 사이에 발생되는 접촉저항이 방지되어 전지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tact resistance generated between the cap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from being generated because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body housed in the can and the cap that blocks the open top of the can can be connected by a conductor by welding or welding. The life of the battery is prolonged.

또한, 본 발명은, 도전체를 전극체의 음극판 및 캡 각각과 용접 또는 용착방식으로 전기적 접합하는 작업방식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이차전지의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work by electrically joining the conductor with each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cap of the electrode body by welding or weld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worker is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전극체의 음극판 및 캡을 용접 또는 용착방식으로 연결하는 도전체가 상기 캡이 캔에 결합될 시에는 적층된 음극판과 동일한 모양이 되도록 평면을 갖는 판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캔 내부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캔 내부에 잔여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p is coupled to the can, a conductor connecting the anode plate and the cap of the electrode body by welding or welding is transformed into a plate shape having a flat shape so as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stacked cathode plate, The remaining space is not formed in the can, and energy density per volume can be maintain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인형 이차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이차전지에 있어서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에 의해 도전체의 제1접합편이 음극판에 접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도전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전체에서 제2접합편이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도전체의 제2접합편이 캡의 저면과 접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전체에서 제2접합편이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도전체의 제2접합편이 캡의 저면과 접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체의 접합편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회되어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1 is a sectional view of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thode plate w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junction piece of a conductor is bonded to a negative electrode plate by a welding terminal or a welding terminal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FIG. 2;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ductor according to Figure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protrudes from the conductor shown in Fig. 4 on the plate.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of the conductor according to Fig. 4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du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protrudes from the conductor shown in Fig. 7 on the plate.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of the conductor shown in Fig. 7 is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joining piece of a condu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forward or backward and protruded from a plat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판 용접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thode plate w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FI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단자 용접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100)는, 복수개의 양극판(111)과 음극판(113)이 교대로 적층되되 캡(130)과 마주 보는 상단과 캔(120)과 마주 보는 하단에는 상기 음극판(113)이 각각 배치되는 전극체(110)와, 상기 전극체(110) 및 전해액을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캔(120)과, 상기 캔(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캡(130) 및 상기 캔(12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캔(120)에 수용된 전극체(110) 중 음극판(113)과 상기 캡(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캡(130)에 의해 상기 캔(120)의 상부가 덮이거나 차단되면 상기 전극체(110)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과 동일한 평평한 모양으로 변형되는 도전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6, a coin type secondary battery 100 having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w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111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113 stacked alternately, An electrode body 110 in which the cathode plate 113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facing the anode 130 and a lower end facing the anode can 130 and an electrode body 110 accommodating the electrode body 110 and the electrolyte, A can 130 that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 120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can 120 and a cap 130 that is received in the can 120 in an open state of the can 120. [ The cathode 130 of the electrode unit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130. When the upper part of the can 120 is covered or blocked by the cap 130, And a conductor 140 that is deformed into the same flat shape as the disposed negative electrode plate 113.

상기 전극체(11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양극판(111) 및 음극판(113)은 상기 캔(120)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지며, 대략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트랙(track) 모양으로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111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113 constituting the electrode assembly 110 are formed in a shape or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n 120 and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or a track shape .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양극판(111) 및 음극판(113)에는 양극 리드(111a) 및 음극 리드(113b)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lead 111a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13b may protrude from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111 and negative electrode plate 113, respectively.

상기 복수개의 양극판(111)에서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양극 리드(111a)들은, 본 명세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란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용착 방식으로 상기 캔(120)의 저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음극판(113)에서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음극 리드(113a)들은, 상기 캔(120)의 상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athode leads 111a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thode plates 1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n 120 in a welding or welding manner as described in the technical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leads 113a formed in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113 may protrud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an 120.

상기 캔(12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극체(110)의 양극 단자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an 120 may have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an open top and serve as a positive terminal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상기 캡(130)은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캔(1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전극체(110)의 음극 단자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ap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 120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can 120 and may serve as a negative terminal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상기 도전체(140)는, 상기 전극체(110) 중 가장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과 상기 캡(1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캡(130) 및 상기 음극판(11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거나 접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전체(140)는 캡(130)과 용접 또는 용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The conductor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cathode plate 113 dispos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electrode bodies 110 and the cap 13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p 130 and the cathode plate 113 Can be bonded. For this purpose, the conductor 140 may be bonded to the cap 130 by welding or welding.

상기 도전체(140)는 도전성이 우수한 구리금속 또는 니켈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체(110)의 가장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과 접합되는 제1접합편(141); 상기 제1접합편(14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극체(110)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 가능한 플레이트(143); 상기 플레이트(143)에 형성되는 절개부(145); 및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되는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 또는 선회되어 상기 캡(130)의 저면과 접합되는 제2접합편(147);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ductive member 140 may be made of copper metal or nickel met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The conductive member 14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A joining piece 141; A plate 143 which is placed on the cathode plate 113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piece 141 and is pivotable to the open top of the can 120; A cutout 145 formed in the plate 143; And a second joining piece 140 disposed on an area formed by the cutout part 145 and protruding or turning on a plate 143 pivot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120 to be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30. [ (147).

상기 제1접합편(1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체(110)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의 음극 리드(113a)와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에 의해 상기 음극 리드(113a)와 용접 방식 또는 용착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서로 접합될 수 있다.3, the first joining piece 141 is joined to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13a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3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body 110,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13a by a welding method or a welding method.

상기 제1접합편(141)이 상기 음극 리드(113a)와 접합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상기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가 상기 캔(12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캔(12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an 120 is opened so that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n 120 in order for the first connecting piece 141 to be bonded to the anode lead 113a. .

상기 플레이트(143)는 상기 전극체(110)의 최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43)는 상기 양극판(111) 또는 음극판(113)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양극판(112) 또는 음극판(113)이 형성하는 면적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 및 그 상면 및 저면이 평행한 수평면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plate 143 may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ode plate 113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 plate 143 may have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11 or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anode plate 112 or the cathode plate 113 may have various sizes as long as they have a siz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area formed by the cathode plate 112 or the cathode plate 113 and a horizontal plan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arallel.

상기 플레이트(143)는 상기 음극 리드(113a)와 접합된 제1접합편(141)에서 선회되어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plate 143 may be pivoted at the first joint piece 141 joined to the negative electrode lead 113a and expos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120. [

그리고, 상기 절개부(1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43)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145)는 상기 플레이트(143)의 일측 테두리부에서 상기 플레이트(143)의 중심을 향해 나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utout portion 145 may be continuously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 143. That is, the cut-out portion 145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e 143 at one edge of the plate 143.

한편, 절개부(145)는 도전체(140)에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폭 또는 갭(gap)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5)가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전체(145)에 컷팅된 라인만 형성되지만, 일정한 폭 또는 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개부(145)의 폭이나 갭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도전체(145)가 없는 형태가 될 수 있다.Meanwhile, the cutout portion 145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or a gap as well as a slit shape in the conductor 140. In the case where the incision portion 145 is formed in a slit shape, only the line cut in the conductor 145 is formed. However, when the incision portion 145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or gap,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r the gap of the incision portion 145 The conductor 145 may be omitted.

상기 제2접합편(147)은,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접합편(147)은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45) 상에서 나선형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joining piece 147 may be formed on the plate 143 as the cutout 145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a portion where the cutout 145 is not formed on the plate 143, and it may protrude in a spiral shape on the plate 145 as shown in FIG. 5 have.

상기 제2접합편(14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체(110)의 음극판(113)에 놓여져 있던 플레이트(143)가 캡(130) 쪽으로 선회된 상태에서 상기 캡(130)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43)는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선회되어 세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6, the plate 143, which is placed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13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is pivoted toward the cap 130, and the cap 130 Can be proj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disposed. Here, the plate 143 is preferably rotated at an angle of at least 90 degrees.

왜냐하면, 작업자가,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을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로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을 순차적으로 가압하여야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이 정확하게 접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operator joins the second joint piece 147 and the cap 130 to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is horizontally laid down, And the cap 130 are sequentially pressed,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can be accurately joined.

만약, 상기 플레이트(143)가 90도 미만의 각도로 선회된다면, 작업자는 상기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를 기울인 상태로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을 접합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용접 또는 용착 작업 자세가 불편해져 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이 부정확하게 접합될 수 있다.If the plate 143 is pivot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the operator must join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with the welding terminal or welding terminal tilted, , The worker's welding or welding work posture becomes inconvenient, and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may be incorrectly joined.

그리고, 상기 제2접합편(14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캔(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캔(120)의 중심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접합편(147)은 캔(120)의 바닥에서부터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may protrude from the plate 14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can 12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 120 desirable. That is,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preferably protruded in th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can 120 to the top.

만약,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캔(120)의 중심 방향을 향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되면, 상기 제2접합편(147)과 접합되는 상기 캡(130)을 상기 캔(120)의 상부 측에 배치시켜야 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캡(130)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캔(120)에 수용된 전극체(110)에 간섭을 받게 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의 접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When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projected on the plate 143 toward the center of the can 120, the cap 130, which is joined to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n this stat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130 is interfered with the electrode body 110 housed in the can 120, and the worker moves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can not be easily carried out.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130)과 상기 캔(120)을 완전히 결합하지 않고 상기 캡(130)을 상기 캔(120)의 외측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접합편(147)을 상기 캡(130)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시키면, 작업자가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의 접합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6, the cap 130 and the can 120 are not fully engaged but the cap 13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n 120, The operator can easily carry out the joining operation of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by projecting the joining piece 147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p 130 is disposed.

상기 캡(130)을 향해 돌출된 나선형 형상의 제2접합편(147)은 그 상단이 상기 캡(130)의 저면 중앙과 접촉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로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을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캡(130)을 서로 접합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protruding toward the cap 13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center of the cap 130. In this state, The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are sequentially pressed so that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can bond the cap 130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캡(130)을 상기 캔(120)의 상단에 결합하면, 상기 제2접합편(147)은 상기 캡(130)의 저면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 수용되어 상기 플레이트(143)와 동일한 평면을 갖게 되고, 결국 상기 도전체(140)의 윗면 및 저면은 상기 캡(130)의 저면 및 상기 전극체(110)의 상단에 배치된 음극판(113)의 윗면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캔(120)의 내부에는 잔여공간이 남지 않게 된다.When the cap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 120 in order to cover or block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an 120,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ductor 140 are received on the plate 143 and have the same plane as the plate 143 as shown in FIG.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thode plate 113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body 110, respectively. Therefore, no remaining space is left inside the can 12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43)에 상기 절개부(145)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접합편(147) 또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145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n the plate 143 so that the second joint piece 147 is also spirally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상기 플레이트(143)에 ㄷ자 형상 또는 호의 형상을 갖는 절개부(145')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제2접합편(147')이 배치될 수 있다.That is, a cutout 145 'having a U-shaped or arcuate shape may be formed on the plate 143, so that the second joint piece 147' is form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utout 145 ' Can be arranged.

상기 제2접합편(147')은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음극판(113)에 놓여져 있던 플레이트(143)가 상기 캔(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선회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선회되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될 수 있다.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utout portion 145' and the plate 143 placed on the cathode plate 113 is rotated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an 110 8 and 9, it can be pivo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ut-out portion 145 'and protrude from the plate 143. As shown in FIG.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선회되어 돌출된 제2접합편(14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캔(120)의 상단과 결합되지 않은 상기 캡(130)의 저면과 용접 또는 용착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The second joint piece 147 'pivoted on the plate 143 is welded or wel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30 which is not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can 120, Can be bonded.

그리고,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선회되는 각도는 적어도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작업자가,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을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로 접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의 저면을 순차적으로 가압하여야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이 정확하게 접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turned on the plate 143 is preferably at least 90 degrees. This is because in the process of joining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cap 130 to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the worker can easily place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in the vertically standing state, 147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30 in order to accurately bond the second joint piece 147' and the cap 130 to each other.

만약, 상기 제2접합편(147')이 90도 미만의 각도로 선회된다면, 작업자는 상기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를 기울인 상태로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의 저면을 접합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용접 또는 용착 작업 자세가 불편해져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의 저면이 부정확하게 접합될 수 있다.If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pivoted at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the operator may place the welding terminal or the welding terminal in the inclined state of the bottom of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So that the worker's welding or welding work posture becomes uncomfortable, so that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30 can be bonded incorrectly.

그리고,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선회되는 방향 및 상기 캔(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절개부(145')의 형성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캡(130)의 배치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147 'is pivo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cutout portion 145'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ate 143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can 110, May be variously selected depending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ut-out portion 145 ', and may be variously select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p 130.

즉,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된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상부로 선회되어 상기 캔(12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된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is turned upward on the plate 143 pivot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120 and protruded outward of the can 1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ivoted in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on the plate 143 pivoted to the open top of the can 120 and the plate 143,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캔(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돌출되는 방향 또한 상기 캔(120)의 중심 또는 중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protrudes on the plate 143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 120 may also protrud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r the center of the can 120.

이때, 상기 제2접합편(147')은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상기 캔(120)의 중심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joining piece 147 'protrud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can 120 on the plate 143.

왜냐하면, 상기 제2접합편(147')이 상기 플레이트(143) 상에서 상기 캔(12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면, 상기 캡(130)이 필연적으로 상기 캔(120)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캔(120)과 상기 캡(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작업자가 용접단자 또는 용착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접합편(147')과 상기 캡(130)의 저면을 접합시키는 작업이 수행하기에는 그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second joint piece 147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can 120 on the plate 143, the cap 130 is inevitably disposed above the can 120 . More specifically,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can 120 and the cap 130, an operator may use a welding terminal or a welding terminal to connect the second joint piece 147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130 Because the space is too narrow for the operation of joining the two.

그리고,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캡(130)을 상기 캔(120)의 상단에 결합하면, 상기 제2접합편(147')은 상기 캡(130)의 저면에 가압을 받으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45')가 형성하는 공간 내로 수용되어 상기 플레이트(143)와 동일한 평면을 가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cap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n 120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can 120, the second joint piece 147 ' And is receiv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utout portion 145 'to have the same plane as the plate 143, as shown in FIG.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캔(120)에 수용된 전극체(110)의 음극판(113)과 상기 캡(130)은 상기 도전체(140)를 매개로 하여 단순 접촉방식이 아닌 용접 또는 용착 방식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athode plate 113 and the cap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housed in the can 120 may be welded or welded to each other via the conductive member 140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판 용접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100)는, 캔(120)에 수용된 전극체(110)의 음극판(113)과 상기 캔(12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캡(130)이 도전체(140)를 매개로 하여 용접 또는 용착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캡(130)과 음극판(113) 사이에 발생되는 접촉저항이 방지되어 전지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The coin type secondary battery 100 having the cathode plate w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thode plate 113 of the electrode body 110 housed in the can 120 and the cathode plate 113 of the can 120, The cap 130 blocking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ap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welding or welding method via the conductor 140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generated between the cap 130 and the cathode plate 113 And the lifetime of the battery can be prolong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판 용접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100)는, 도전체(140)를 전극체(110)의 음극판(113) 및 상기 캡(130) 각각과 용접 또는 용착방식으로 접합하는 작업방식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이차전지의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The coin type secondary battery 100 having the cathode plate we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or 140 is welded or welded to the cathode plate 113 and the cap 130 of the electrode assembly 110,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 is improv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전체(140)가 상기 캡(130)이 캔(120)에 결합될 시에는 평면을 갖는 판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캔(1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캔(120) 내부에 잔여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or 140 is deformed into a flat plate shape when the cap 130 is coupled to the can 120, the conductor 140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n 120, The remaining space is not formed in the can 120, so energy density per volume can be maintain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코인형 이차전지 110 : 전극체
111 : 양극판 113 : 음극판
120 : 캔 130 : 캡
140 : 도전체 141 : 제1접합편
143 : 플레이트 145, 145' : 절개부
147, 147' : 제2접합편
100: Coin type secondary battery 110: Electrode body
111: positive electrode plate 113: negative electrode plate
120: can 130: cap
140: conductor 141: first bonding piece
143: plate 145, 145 ': incision
147, 147 ': the second joining piece

Claims (9)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적층된 복수개의 양극판과 복수개의 음극판을 포함하며, 가장 상단과 가장 하단에는 상기 음극판이 각각 배치되는 전극체;
상기 전극체 및 전해액을 수용하며, 상부가 개방된 캔;
상기 캔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하는 캡; 및
상기 전극체 중 가장 상단에 배치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캡 사이에 면접촉하도록 개재되어 상기 음극판 전체와 상기 캡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체;를 포함하며,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양극판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양극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양극 리드는 한 군데 모아서 상기 캔의 내측 바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층된 상기 복수개의 음극판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음극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음극 리드는 한 군데 모아진 상태에서 상기 도전체를 통해 상기 캡의 저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전체는 상기 전극체 중 가장 상단에 배치된 상기 음극판의 음극 리드에 접합되는 제1접합편; 상기 제1접합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극체 중 가장 상단에 배치된 상기 음극판의 상면에 놓여지며,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선회 가능하게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로 선회되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 또는 선회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접합되는 제2접합편;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음극판의 상면과 면접촉하도록 상기 음극판의 상면에 놓여지고 상기 음극판이 형성하는 면적에 포함되는 크기 및 상하면이 평행한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캔의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캔의 바닥에서부터 상기 캡의 중심 방향으로 향해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접촉된 후, 상기 캡이 상기 캔의 상단에 결합되면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캡의 저면에 의해 가압을 받으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수용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도록 변형되어 상기 도전체의 상면은 상기 캡의 저면과 면접촉하고 상기 도전체의 하면은 상기 전극체 중 가장 상단에 배치된 상기 음극판의 상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An electrode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alternately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s being disposed a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sitions, respectively;
A can containing the electrode body and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having an open top;
A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n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can; And
And a conductive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on the uppermost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cap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ntir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cap,
The positive electrode lead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so as to protrude from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stacked togeth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bottom of the can,
The negative electrode lead formed integrally with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so as to protrude from the stacked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through the conductor in a state of being gathered together,
The conductor comprising: a first joint piece joined to a negative electrode lead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A plate disposed on an uppermost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electrode assembl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member, the plate being pivotable toward an open top of the can; An incision formed on the plate; And a second joint piece disposed in a region formed by the cutout portion and projected or pivoted on the plate pivot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an so as to be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Wherein the plate has a horizontal plane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node plat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athode plate,
The second joint piece protrudes on the plate from the bottom of the can toward the center of the can in the state that the upper part of the can is open and contacts the bottom of the can, The second joint piece is received on the plate while being press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and deformed to have the same plane as the plate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o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And the lower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electrode bodi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continuously rot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전기적으로 접합되거나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joining piece
Wherein the plate is spirally protruded on the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캔의 중심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joining piece
Wherein the can is protruded on the pl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can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of the c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ㄷ자 형상 또는 아크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t-
And a cathode plate welded on the plate, the cathode plate welded on the pl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편은,
상기 절개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선회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되어 상기 캡의 저면과 전기적으로 접합되거나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second joining piece
Wherein the protrusion is protruded on the plate in a pivoting state in a space formed by the cut-out por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합편이 상기 절개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선회되는 방향 및 상기 캔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절개부의 형성위치 또는 상기 캡의 배치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판 용접 구조를 갖는 코인형 이차전지.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is pivoted in a space formed by the cut portion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joint piece protrudes from the plat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n vary depending on a formation position of the cut portion or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p Coin -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 cathode plate welded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140153407A 2014-11-06 2014-11-06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KR101690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07A KR101690688B1 (en) 2014-11-06 2014-11-06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PCT/KR2015/010152 WO2016072618A1 (en) 2014-11-06 2015-09-25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ode plate weld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07A KR101690688B1 (en) 2014-11-06 2014-11-06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79A KR20160054179A (en) 2016-05-16
KR101690688B1 true KR101690688B1 (en) 2016-12-28

Family

ID=5590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407A KR101690688B1 (en) 2014-11-06 2014-11-06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0688B1 (en)
WO (1) WO201607261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311A (en)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Coin type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0125A1 (en) * 2020-09-17 2022-03-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076A (en) * 2000-11-28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oin-shaped battery
JP2004139777A (en) *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WO2012066637A1 (en) * 2010-11-16 2012-05-24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771A (en) * 2000-07-25 2002-02-08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battery
JP2005268071A (en) * 2004-03-19 2005-09-29 Sanyo Electric Co Ltd Cel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102009060800A1 (en) * 2009-06-18 2011-06-09 Varta Microbattery Gmbh Button cell with winding electrode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076A (en) * 2000-11-28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coin-shaped battery
JP2004139777A (en) *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WO2012066637A1 (en) * 2010-11-16 2012-05-24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311A (en) 2019-07-30 2021-02-09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Coin type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618A1 (en) 2016-05-12
KR20160054179A (en)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4565B2 (en) Secondary battery
KR102629053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JP5716398B2 (en)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241560B (en) Rechargeable battery
CN110692149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KR102275421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4404818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6230543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TW200814397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improved safety and capacity
JP4526996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8963311A (en) Secondary battery and pole piece thereof
JP5164155B2 (en) Flat battery
CN101958427A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110078A (en) Busbar
KR101002542B1 (en) Secondary battery with terminal plate
KR101690688B1 (en) Coin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plate welded structure
JP2016162755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over
US10109837B2 (en) Secondary battery
CN106257730A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22378B1 (en) Second Battery
JP2017079139A (en) Sealed battery
JP2013020731A (en) Secondary battery
JP5717016B2 (en) battery
KR101805232B1 (en) Battery cell having a combination structure with rivet
CN108370018A (en) Charge storag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