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374B1 - 라인 타입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라인 타입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374B1
KR101690374B1 KR1020140155559A KR20140155559A KR101690374B1 KR 101690374 B1 KR101690374 B1 KR 101690374B1 KR 1020140155559 A KR1020140155559 A KR 1020140155559A KR 20140155559 A KR20140155559 A KR 20140155559A KR 101690374 B1 KR101690374 B1 KR 10169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housing
power
fram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5575A (ko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노
Priority to KR102014015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3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려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인 타입 조명장치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모듈을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밀어넣는 것과 동시에 결합 및 전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명등(lamp)으로 사용하고 있는 형광등은 조도가 낮고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들보다 상대적으로 조도가 높고 소비전력이 낮은 조명등으로 발광다이오드(이하, "엘이디"라 통칭함)를 이용한 조명모듈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은 대부분 기존의 형광등의 외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의 형광등용 등기구에 형광등 대신 갈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탈착시 조명모듈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 단자를 등기구의 소켓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등기구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기존의 형광등과 소켓 결합구조의 불편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엘이디 조명모듈을 이용해 라인 타입의 조명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조명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소켓부분이 배치되는 영역 사이에 조도차이가 발생하여 연속되는 라인 형태의 조명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222803호(2005.08.1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단순하게 밀어넣는 것에 의해 결합 및 전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가 하우징 측의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조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조명모듈의 조명부가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미들커넥터를 이용한 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서도 라인 타입의 조명광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이용해 조명모듈이 하우징측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과 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스위치를 이용해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를 출몰시키고, 전원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스위치가 전원접속단자의 후단을 가압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접속단자가 임의로 위치 이동하여 조명모듈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엔드캡을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이 접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엔드캡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 전원선 및 접지선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용공간의 내부에 반사부재를 배치하여 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하는 조명모듈의 조명광이 수용공간의 개구를 향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연결블록이 삽입되는 연결홈부를 프레임의 측벽부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내측의 연결홈부와 외측의 연결홈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블록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우징의 설치환경에 따라 판형의 마감커버와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감커버를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외측면에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려 결합력을 제공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양 단부가 인접한 한 쌍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미들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커넥터는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들커넥터는 복수 마련되는 삽입몸체의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미들커넥터의 삽입몸체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가 배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말단부에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조명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에 대하여 1/2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원공급라인을 향해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에 의해 후단부가 돌출방향으로 지지 또는 지지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후단부가 조명모듈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전원접속단자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가 마련되어 하우징의 단부에 조립되는 엔드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전원라인이 삽입되는 접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는 접속홀 내에 하향 경사배치되는 경사편과, 상기 경사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드캡의 경사편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경사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접지선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접속하는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드캡에는 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은 수용공간의 개구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 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전원공급라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원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에는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홈부는 각각 전방이 개구되어 측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연결홈부와 측벽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판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부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스크류가 양단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홈부를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커버의 하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수용공간 내부로 단순하게 밀어넣는 것에 의해 결합 및 전원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가 하우징 측의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하우징의 개구부에 구조적으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도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명모듈의 조명부가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미들커넥터를 이용한 프레임간의 연결부위에서도 라인 타입의 조명광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영구자석을 이용해 조명모듈이 하우징측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조명모듈과 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스위치를 이용해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를 출몰시키고, 전원접속단자가 돌출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한 상태에서는 스위치가 전원접속단자의 후단을 가압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접속단자가 임의로 위치 이동하여 조명모듈이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엔드캡을 프레임의 단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원공급라인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이 접지되도록 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엔드캡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에 전원선 및 접지선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면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수용공간의 내부에 반사부재를 배치하여 수용공간의 내부를 향하는 조명모듈의 조명광이 수용공간의 개구를 향해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연결블록이 삽입되는 연결홈부를 프레임의 측벽부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설치환경에 따라 내측의 연결홈부와 외측의 연결홈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블록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시공이 간편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의 설치환경에 따라 판형의 마감커버와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마감커버를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외측면에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에 외부도선을 삽입/분리하는 작용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의 전원접속단자를 출몰시키는 스위치의 작용도,
도 1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마감커버를 선택하여 적용한 작용도,
도 1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1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12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14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크게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110),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120), 엔드캡(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측벽부(111a)와 측벽부(111a)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111b)에 의해 대략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프레임(111)과,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 개구부(112a)가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11a)의 내벽면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절연부재(112)와, 상기 절연부재(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개구부(112a)를 통해 노출되는 전원공급라인(113)과, 상기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판형의 제1마감커버(16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면에는 수용공간을 향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1연결홈부(114a)가 형성되고,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면에는 외측을 향해 일부 영역이 개구된 제2연결홈부(114b)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11)은 구조적 강성 및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우징(110)은 복수의 프레임(111)이 연결되어 원하는 길이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111)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록(150)과, 인접한 한 쌍의 하우징(110)의 전원공급라인(11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미들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록(150)은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에 마련된 제1연결홈부(114a) 또는 제2연결홈부(114b)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양 단부에는 연결블록(15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홈부(114a) 또는 제2연결홈부(114b)의 개구를 통해 헤드부가 노출되는 스크류(151)가 형성된다. 상기 미들커넥터(130)는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111)의 단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몸체(131)와, 상기 삽입몸체(13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원공급라인(113)에 접속하는 연결단자(132)와, 상기 복수의 삽입몸체(131)의 연결단자(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33)을 포함한다.
상기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모듈(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123)가 배치되는 조명부(122)와, 상기 조명부(122)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124)와, 상기 몸체부(124)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라인(113)에 접속하는 전원접속단자(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전원접속단자(121)의 후단부는 조명모듈(120)측에 고정 지지되고, 선단부는 몸체부(1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자유단 형태로 배치되므로 전원공급라인(113)을 향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은 물론, 외력에 의해 탄성 압축되면서 구부러져 몸체부(124)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밀어넣으면, 전원접속단자(121)의 선단부가 절연부재(112)를 타고 넘어가면서 탄력적으로 압축되었다가 개구부(112a)의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탄성 복원되면서 전원공급라인(113)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개구부(112a)와 맞물리면서 결합되어 조명모듈(120)이 프레임(111)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전원접속단자(121)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수용공간 내의 조명모듈(120)을 개구측으로 잡아당기면, 전원접속단자(121)가 개구부(112a)로부터 이탈하므로 필요에 따라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122)는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13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발광부(123)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말단부에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조명부(122)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에 대하여 1/2로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조명모듈(120)을 밀착 배치하였을 때, 조명모듈(120)의 연결부위에서도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라인 형태의 조명이 일정한 조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4)는 미들커넥터(130)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122)의 상측면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조명부(122)의 상측에 조명부(122)보다 길이가 짧은 몸체부(124)를 배치하여,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조명모듈(120)의 몸체부(124) 사이에 미들커넥터(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미들커넥터(130)를 이용해 복수의 프레임(111)들을 연결하더라도, 조명모듈(120)의 조명부(122)를 통한 라인 조명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명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120)의 몸체부(124) 내에는 전원공급라인(113)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발광부(123)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엔드캡(140)은 프레임(111)의 일측 단부에 조립되어 전원공급라인(11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세 개의 접속홀(141)이 형성되고 프레임(111)과 마주하는 전면에는 삽입편(143)이 형성된다. 세 개의 접속홀(141) 중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접속홀(141)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원공급라인(113)에 외부 전원도선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전원단자(144)가 배치되고, 중앙의 접속홀(141)에는 상기 프레임(111)에 외부 접지도선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단자(148)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단자(144)와 접지단자(148)는 각각 접속홀(141) 내에 배치되는 접속부(145)와, 상기 접속부(145)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가지며 상기 삽입편(143)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전원공급라인(113) 또는 프레임(111)에 접속하는 단자부(147)와, 접속부(145)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접속홀(141) 내에 경사 배치되는 경사편(146)으로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도선 또는 접지도선은 접속홀(141) 내에서 경사편(146)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삽입측 방향으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엔드캡(140)의 삽입편(143)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경사편(14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경사편(146)을 가압하기 위한 핀홀(142)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캡(140)의 삽입편(143)에 대응하여 프레임(111)의 단부에는 삽입편(143)이 삽입되는 삽입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캡(140)의 삽입편(143)은 상기 프레임(111)의 수용공간 개구를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111)측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11)의 개구를 통해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엔드캡(140)을 고정함에 따라, 조명모듈(120)의 외측면에 체결부재의 헤드부나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구멍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엔드캡(140)에 외부도선을 삽입/분리하는 작용도이다.
먼저, 도 8은 엔드캡(140)에 전원도선 또는 접지도선을 엔드캡(140)의 접속홀(141)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전원도선을 삽입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도선을 접속홀(141)에 삽입하면, 전원도선의 선단부가 전원단자(144)의 경사편(146)의 경사면에 의해 경사편(146)과 접속홀(141) 내벽 사이로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경사편(146)은 전원도선의 삽입에 의해 구부러져 탄성 압축되고, 전원도선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전원도선을 맞은편의 접속홀(141) 내벽을 향해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전원도선이 접속홀(141)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이러한 상태에서는 전원도선에 삽입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경사편(146)에 의해 전원도선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고, 경사편(146)이 쐐기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원도선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는 엔드캡(140)의 접속홀(141)로부터 전원도선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캡(140)의 핀홀(142)에 가늘고 긴 공구를 삽입하여 경사편(146)을 가압하면, 가압편이 전원도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원도선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전원도선을 삽입측으로 잡아당기면 접속홀(14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따른 다양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변형예>
첨부도면 중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1)가 하우징(110)의 전원공급라인(113) 전방에 마련된 개구부(112a)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명모듈(120)이 하우징(110)에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조명모듈(120)과 하우징(110)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하는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25)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11)의 상판부(111b) 내측면에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5)를 배치하고, 상기 조명모듈(120)의 상측면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결합부(125)를 배치한 다음, 조명모듈(120)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25)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한 쌍의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미들커넥터(130) 역시 삽입몸체(131)의 상측면에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부(134)를 배치함으로써,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15)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125)와 제3결합부(134)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결합부(115)와 제2결합부(125) 및 제3결합부(134)를 모두 영구자석으로 구성하거나, 제1결합부(115)를 영구자석으로 구성하고 제2결합부(125) 및 제3결합부(134)를 강자성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변형예>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1)를 출몰시키는 스위치(126)의 작용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조명모듈(120)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 하로 왕복 이동하는 스위치(126)를 부가하여, 스위치(126)의 위치에 따라 전원접속단자(121)가 조명모듈(120)의 측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명모듈(120)의 전원접속단자(121)는 일단부가 조명모듈(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자유단의 형태로 배치되며,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타단부가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스위치(126)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전원접속단자(121)로부터 이격되고, 도 12의 (b)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 후단을 가압하여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가 조명모듈(12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한 다음, 스위치(126)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원접속단자(121)가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가 전원공급단자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절연부재(112)의 개구부(112a)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는 스위치(126)에 의해 후단부가 가압 지지되어 돌출된 상태이므로, 임의로 함몰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조명모듈(120)이 수용공간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수용공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스위치(126)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위치(126)가 전원접속단자(121)의 타단부 후단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에는 전원접속단자(121)의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단부가 함몰방향으로 위치이동하면서 절연부재(112)의 개구부(112a)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조명모듈(120)을 프레임(111)의 수용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위치(126)가 단순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고정해제가 가능한 원터치 방식 스토퍼를 통해 위치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 3변형예>
첨부도면 중 도 13은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2마감커버(160b)를 적용한 작용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설치용도에 따라 프레임(111)의 외측면에 제1마감커버(160a) 대신 제2마감커버(160b)를 채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라인 타입 조명장치는 천장과 같은 설치대상면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 일측에 플랜지부(161)가 형성된 제2마감커버(160b)를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면에 조립함으로써,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단면의 프레임(111)을 매립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1)의 외측면에 제2마감커버(160b)를 조립한 상태에서, 프레임(111)의 상단을 설치대상면의 개구홈으로 삽입하면, 제2마감커버(160b)의 플랜지부(161)가 설치대상면의 개구홈 주변에 밀착 지지되어 프레임(111)의 삽입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프레임(111)을 매립형과 노출형으로 구분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로 제작한 다음, 용도에 따라 프레임(111)의 외측에 조립되는 판형의 제1마감커버(160a)와 플랜지부(161)가 형성된 제2마감커버(16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조립하면, 프레임(111)의 용도에 따라 각각 제작하여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유통이 간편하고, 재고확보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외측에 형성된 제1연결홈부(114a)가 천장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여기에 복수의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연결블록(150)을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면에 형성된 제2연결홈부(114b)에 연결블록(150)을 삽입하고, 수용공간의 개구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스크류(151)를 조임으로써 연결블록(150)이 제2연결홈부(114b)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측벽부(111a)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제1연결홈부(114a)와 제2연결홈부(114b)가 각각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10)이 매립된 상태에서는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에 형성된 제2연결홈부(114b)에 연결블록(150)을 삽입 고정하여 복수의 프레임(111)을 연결하고, 도 5와 같이 하우징(110)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측벽부(111a)의 외측에 형성된 제1연결홈부(114a)에 연결블록(150)을 삽입 고정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변형예>
첨부도면 중 도 14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조명모듈(12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모듈(120)은 몸체부(124)가 조명부(122)의 상측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즉, 몸체부(124)가 미들커넥터(1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조명부(122)의 상측면 양측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몸체부(124)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미들커넥터(130)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들커넥터(130)가 위치한 프레임(111)의 연결부분에서 조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미들커넥터(130)에 의해 조명모듈(120)의 설치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변형예>
첨부도면 중 도 15는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하우징(1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인 타입 조명장치의 변형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프레임(111)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모듈(120)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수용공간의 개구부(112a)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재(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벽면 양측에 반사부재(117)를 경사 배치함으로써, 조명모듈(120)의 발광부(123)로부터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벽면을 향하는 조명광이 개구부(112a)를 향하도록 반사시켜 조명광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117)는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광 반사 물질을 도포 또는 코팅하거나, 광 반사효율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117)가 프레임(111)의 측벽부(111a)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반사부재(117)에 의해 측벽부(111a)의 내측면에 위치한 제2연결홈부(114b)에 연결블록(15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반사부재(117)가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하우징, 111:프레임, 111a:측벽부, 111b:상판부, 112:절연부재,
112a:개구부, 113:전원공급라인, 114a:제1연결홈부, 114b:제2연결홈부,
115:제1결합부, 116:삽입홈, 117:반사부재, 120:조명모듈,
121:전원접속단자, 122:조명부, 123:발광부, 124:몸체부, 125:제2결합부,
126:스위치, 130:미들커넥터, 131:삽입몸체, 132:연결단자, 133:케이블,
134:제3결합부, 140:엔드캡, 141:접속홀, 142:핀홀, 143:삽입편,
144:전원단자, 145:접속부, 146:경사편, 147:단자부, 148:접지단자,
150:연결블록, 151:스크류, 160a:제1마감커버, 160b:제2마감커버,
161:플랜지부

Claims (25)

  1.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단자가 마련되어 하우징의 단부에 조립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전원라인이 삽입되는 접속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는 접속홀 내에 하향 경사배치되는 경사편과, 상기 경사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양 단부가 인접한 한 쌍의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미들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커넥터는 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몸체와, 상기 삽입몸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커넥터는 복수 마련되는 삽입몸체의 연결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미들커넥터의 삽입몸체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가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3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가 배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중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서 미들커넥터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는 미들커넥터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의 상측면 양측에 이격 배치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말단부에 배치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조명부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배치간격에 대하여 1/2로 설정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1.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조명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발광부가 배치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원공급라인을 향해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위치에 의해 후단부가 돌출방향으로 지지 또는 지지해제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후단부가 조명모듈의 저면으로 돌출되고, 원터치 방식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전원접속단자의 후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의 경사편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경사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핀홀이 관통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엔드캡에는 외부 접지선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접속하는 접지단자가 마련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캡에는 프레임의 단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편은 수용공간의 개구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프레임 측에 고정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전원공급라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전원접속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이 노출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19.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수용공간의 개구부를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0. 라인 타입 조명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라인 타입 조명모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양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와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판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라인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및,
    양 측면에 상기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라인 타입의 조명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원공급라인 전방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단자는 일측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타측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전원공급라인에 접속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와 맞물리고,
    상기 프레임의 측벽부에는 연결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부에 삽입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홈부는 각각 전방이 개구되어 측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연결홈부와 측벽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블록은 판면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부의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스크류가 양단부에 마련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홈부를 마감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의 하단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판부 내측면과 상기 조명모듈의 상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갖는 자성체와 영구자석, 또는 한 쌍의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20140155559A 2014-11-10 2014-11-10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69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59A KR101690374B1 (ko) 2014-11-10 2014-11-10 라인 타입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559A KR101690374B1 (ko) 2014-11-10 2014-11-10 라인 타입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75A KR20160055575A (ko) 2016-05-18
KR101690374B1 true KR101690374B1 (ko) 2016-12-27

Family

ID=5611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559A KR101690374B1 (ko) 2014-11-10 2014-11-10 라인 타입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201900026A (et) * 2019-11-05 2021-07-15 Osaühing Vecta Design Ripplae valgustisüsteemi kinnitusprofi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692B1 (en) * 2018-06-25 2023-03-29 Grandi Srl System for partitioning a space
IT201800006631A1 (it) * 2018-06-25 2019-12-25 Sistema per la partizione di un ambiente
KR102235275B1 (ko) * 2019-03-28 2021-04-05 주식회사 스마트전기조명 Led 조명등용 레일 및 연결 기구
KR102629995B1 (ko) * 2020-06-09 2024-01-25 최혜련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2418333B1 (ko) * 2020-10-07 2022-07-08 주식회사 토탈에이플러스조명 라인 조명 기구
KR102253822B1 (ko) * 2020-11-02 2021-05-20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일자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2636422B1 (ko) * 2020-12-14 2024-02-14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조명 모듈,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76Y1 (ko) * 2008-07-22 2010-06-09 주식회사 씨엠텍 형광등과 교체 가능한 발광표시소자 조명장치
KR101351358B1 (ko) * 2013-03-05 2014-01-23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803A (ja) 2004-02-05 2005-08-18 Kunihiro Tsuji スピーカならびにその電気器具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76Y1 (ko) * 2008-07-22 2010-06-09 주식회사 씨엠텍 형광등과 교체 가능한 발광표시소자 조명장치
KR101351358B1 (ko) * 2013-03-05 2014-01-23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E201900026A (et) * 2019-11-05 2021-07-15 Osaühing Vecta Design Ripplae valgustisüsteemi kinnitusprofi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575A (ko)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37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351358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8814383B2 (en) Lighting module
KR101622022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531751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1111531B1 (ko) 수배전반용 엘이디 조명장치
EP2284438A1 (en) Watertight spotlight fixture
KR101475888B1 (ko) Led 조명 장치
KR101748681B1 (ko) 조명등 천장 결합장치
KR101843060B1 (ko) Led 면발광 등기구
KR20200114287A (ko) Led 조명등용 레일 및 연결 기구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US9512967B2 (en) Straight type lamp
KR200465943Y1 (ko) 리미트 스위치 일체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2118890B1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KR100982429B1 (ko) 접지편을 구비한 점등제어장치
US20160298812A1 (en) LED light bulb
JP5788255B2 (ja) 照明ユニット
TWI458913B (zh) 光源模組及其發光二極體燈具
KR101124533B1 (ko) Smps의 결합 분리가 용이한 led 조명등
JP6695138B2 (ja) 照明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KR101641126B1 (ko) Led 면발광 등기구
KR200459862Y1 (ko) 엘이디 모듈 램프 가이드
KR102059344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