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710B1 -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 Google Patents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710B1
KR101689710B1 KR1020150096597A KR20150096597A KR101689710B1 KR 101689710 B1 KR101689710 B1 KR 101689710B1 KR 1020150096597 A KR1020150096597 A KR 1020150096597A KR 20150096597 A KR20150096597 A KR 20150096597A KR 101689710 B1 KR101689710 B1 KR 101689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otating body
frame
lower rotating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예령
Original Assignee
한예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예령 filed Critical 한예령
Priority to KR102015009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7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able and detachable baby car seat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a seat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and more specifically, to a rotatable and detachable baby car seat which not only can switch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by providing a rotary support at the center of the seat, but also can just detach a seat for a baby while a floor frame is fixed to the car seat by providing a detachment means between the floor frame fixing the seat to the car seat and a seat frame so that the seat for a baby can just be separated while the floor frame is fixed to the car seat.

Description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table and removable baby car seat,

본 발명은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트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전환할 수 있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table and removable child car seat capable of switching the direction of a seat back, forth,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중앙에 회전지지체를 구비하여 시트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를 카시트에 고정시키는 바닥프레임과 시트프레임 사이에 탈착 수단을 구비하여 바닥프레임은 카시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유아용 시트만을 분리할 수 있게 한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not only to the rotation of the seat in the center of the seat, but also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 as well as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ans between the seat frame and the floor frame for securing the seat to the seat, To a rotatable and detachable child car seat capable of separating only a child seat in a fixed state.

차량에는 탑승자의 편안한 탑승을 위해 카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카시트는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착석하였을 때 몸에 비해 시트 및 안전벨트가 너무 커 벨트가 목에 걸리거나 유아들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강하게 압박하여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The car is equipped with a car seat for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Since the car seat is manufactured on the basis of an ordinary adult, when the baby is seated on the car, the seat and the seat belt are too big compared to the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fant presses too hard to withstand and causes inconvenience.

이에 영유아를 위한 다양한 유아용 카시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Various child car seat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3.

특허문헌 1은 차량 시트 상에 탑재되는 착석부와, 착석부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을 구비하고, 착석부의 후방 저면에 앵커 부재가 설치된 후방 단부를 갖는 스트랩이 뻗어 있으며, 착석부와 앵커부재 사이의 스트랩 부분의 길이가 스트랩을 따라 스트랩 조임 장치의 미끄러짐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착석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결합되고, 스트랩에 의해 착석부를 차량 시트 상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스트랩 조임 장치를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이고,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3258 discloses a seat having a seat portion mounted on a vehicle seat and a seat back provided so as to be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a strap having a rear end portion provided with an anchor member on a rear bottom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he length of the strap portion between the straps can be adjusted by the slippage of the strap tightening device along the strap and is connected to the step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portion and which allows the strap to firmly fix the seating portion on the vehicle seat, A child car seat having a tightening device,

특허문헌 2는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 내에 안착되는 소아용 카시트와, 소아용 카시트를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소아용 카시트에 아이를 담아 들고 다니다가 차량으로 소아를 이동시킬 경우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되는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며,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body fixed to a seat of an automobile, a child car seat that is seated in the body,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hild car seat to the body, so that when the child carries the child in the child car seat, If it is fixed to the seat of the car,

특허문헌 3은 저면에 원통형 결합부가 형성된 좌대의 일측에 등받이를 결합하고,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과 받침대 등받이가 구비된 받침대를 구성하여 좌대가 회전되게 결합하되, 좌대의 양측 등받이 연결부에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각도조절판을 각각 설치하고, 등받이 양측에는 요홈에 삽탈되는 계지봉이 설치된 승강구를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등받이의 배면 상측 중앙에 설치된 각도조절레버와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하승강되게하고, 좌대의 결합부 저면에는 다수의 계지홈이 외주면에 형성된 원판상의 회전판을 결합하고, 받침대의 전면에는 상기 계지홈에 삽탈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 회전레버를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구성된 것이다. In Patent Document 3, a backrest is coupled to one side of a seat formed with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pedestal having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pedestal back is coupled to the pedestal, And an angle adjusting lev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and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ing lev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by means of a spring to raise and low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ckrest, A rotary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oupled with a rotary lever provided with fixing protrusions which ar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edestal.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에 탑승한 영유아를 보호할 수 있고, 영유아가 누운 자세로 등받이를 기울일 수 있어 영유아가 앉거나 누운 상태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Such a conventional child car sea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 a vehicle to protect infants and children on the vehicle, and infants can be inclined in a lying posture so that infants can sit on the vehicle in a sitting or lying state.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대부분이 등받이의 기울기 조절은 가능하지만 시트의 방향을 전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시트자체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들어 올린 후, 방향을 전환한 상태에서 다시 프레임에 조립하여야 하므로 시트의 방향 전환에 많은 힘이 소요됨으로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 방향 전환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child car seats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bu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orientation of the seat. In Patent Document 3,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However, since the sheet itself is separated from the frame and then lifted up,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frame again in the state of changing the direction, Or the elderly, it is difficult to change direction.

또한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대부분이 시트와 고정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유아용 카시트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수단을 해체한 후, 유아용 카시트 전체를 차량의 시트로부터 분리하여야 하므로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으로부터 잠깐 분리하여야 할 때에도 유아용 카시트 전체를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수밖에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In order to separate the child car seat from the conventional child car seat, most of the seat and the fixing means are integrally formed. In order to separate the child car seat, the fastening means is dismantled and the entirety of the child car seat must be separated from the seat of the vehicle. The entirety of the child car sea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even when it is inconvenient.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4451호1. Korea Patent No. 0784451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8696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18696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99139호3.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9913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시트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tatable and removable child car seat capable of easi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더욱이 본 발명은 시트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쉽게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바닥프레임을 제외한 시트부분만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원할 때마다 누구라도 쉽게 시트를 분리할 수 있게 한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and forth, right and left, but also makes it possible to separate only the seat portion excluding the bottom frame and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hild car seat to the vehicl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able and detachable child car seat capable of separating a seat.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카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카시트에 고정되는 바닥프레임 상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후단에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카시트로, 상기 시트가 설치되는 시트프레임과 바닥프레임 사이에 방향전환수단을 구비하여 시트를 전후좌우로 방향 전환할 수 있게 하되,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중심축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시트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방향설정홈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바닥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회전되는 시트프레임에 의해 다수의 방향설정홈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되었을 때, 정렬된 방향설정홈에 끼워져 결합됨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시트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방향고정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otary and removabl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at detachably mounted on a car seat of a vehicle, the seat being provided on a floor frame fixed to the car seat by fixing means, And a backrest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wherein the seat frame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switching means between a seat frame on which the seat is installed and a floor frame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and forth, The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The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The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The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And a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grooves When aligned with on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is switch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binding to an ordered orientation grooves sheet is made of a direction of the fixing pin for fixing so as not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방향고정핀은 바닥프레임에 핀회동판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의 전방까지 연장된 와이어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당겨짐에 의해 회동되어 방향설정홈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fixing pi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loor frame by means of a pinned copper plate, the wire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seat is connected, and the wire is pivoted to be separated from the direction setting groove.

상기 회전체는 상기 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회전체; 상기 하부회전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회전체가 중심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중심축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내면이 걸리며, 저면에는 하기 걸림수단의 걸림부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직상방에는 소폭의 로드관통홀과 대폭의 분리홀이 연장 형성된 고정판; 상기 하부회전체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회전체; 및 상기 상부회전체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회전체와 상부회전체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걸림부가 상기 고정판의 로드관통홀에 걸려 두 회전체가 분리되지 않게 하고, 상부회전체를 하부회전체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걸림부를 분리홀 측으로 이동시켜 걸림부가 분리홀을 관통하여 고정판을 벗어나게 하는 걸림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lower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shaft;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otating body so that the lower rotating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rotating body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A fixed plate having a small through hole and a large separa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groove; An upper rotating body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tating body;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rotating body so that when the lower rotating body is coupled to the upper rotating body, the lock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rod through hole of the fixing plate, And when the entire body is separated from the lower rotating body, the engaging portion may be moved toward the separating hole sid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separating hole and moves out of the fixing plate.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방에는 차량의 시트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등받이가 시트 측으로 밀리지 않게 하기 위한 전도방지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A rear portion of the bottom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nti-collision frame for preventing the seat of the vehicle from tilting forward and preventing the backrest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sea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는 유아가 시트에 앉아있거나 누운 상태에서도 유아가 바라볼 수 있는 방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otary and detachabl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adjus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ant can be seen even when the infant is sitting on the seat or lying down.

또한 바닥프레임과 고정수단은 차량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의 시트와 등받이 부분만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힘이 없는 노약자도 유아용 카시트를 쉽게 차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frame and the fixing means can easily separate only the upper seat and the backrest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bottom frame and the fixing means are fixed to the vehicle, so that the elderly who do not have the power can easily separate the child seat from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에서 방향전환수단과 탈착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방향전환수단과 탈착수단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방향전환수단의 일예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방향전환수단의 평면도
도 7은 탈착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8은 탈착수단을 구성하는 걸림수단의 사시도
도 9는 탈착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판과 걸림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탈착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판과 걸림수단의 작동상태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rotatable and detachabl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nly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rotatable and detachabl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and the removing means in the rotary and detachabl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and the attaching /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6 is a plan view of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gaging means constituting the attaching /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plate and the engaging means constituting the attaching /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xing plate and the engaging means constituting the attaching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이 참조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는 전후좌우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수단과, 시트 부분만을 바닥프레임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탈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Th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direction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and a detachment means for detaching only the seat portion from the floor frame.

먼저, 이러한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유아용 카시트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아가 착석하는 시트(20)와, 시트 후방에 설치된 등받이(30)을 포함하고, 시트(20)의 하부에는 시트를 차량의 카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00)이 설치된 바닥프레임(200)을 구비하고 있다. 1,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20 in which a baby is seated in the same manner as or similar to a normal baby carriage, and a backrest 30 provided behind the seat, 20 is provided with a floor frame 200 provided with fixing means 100 for fixing the seat to the car seat of the vehicle.

도 1은 시트(20)와 등받이에 완충재 및 커버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로, 실질적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탈착시키는 수단은 커버 안쪽에 설치된 프레임 상에 구비되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작동되는 프레임 부분을 일예로 설명하되, 도 1에 도시한 커버가 설치된 시트(20)와, 등받이(30)와 동일한 부호로 설명될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20 and a backrest with a cushioning material and a cover mounted thereon. The means for substantially switching the direction and detaching the seat 20 is provided on a frame provided inside the cover.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portion that is substantially operated with the cover remov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seat 20 and the backrest 30 provided with the cover shown in Fig.

상기 방향전환수단(10)은 상기 시트(20)가 설치되는 시트프레임(21)과 바닥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된 바닥프레임(2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시트(10)를 바닥프레임에 연결시키는 수단이다. The direction changing means 10 is provided between the seat frame 21 on which the seat 20 is installed and the floor frame 200 so as to be able to change the direction relative to the fixed floor frame 200, 10 to the floor frame.

상기 방향전환수단(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20)를 지지하는 시트프레임(21)의 저면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체(11)와, 상기 회전체가 소정의 각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방향고정핀(12)으로 이루어진다. 2,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10 includes a rotating body 11 integrally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seat frame 21 supporting the seat 20, And a direction fixing pin 12 which fixes it in a state without rotation.

상기 회전체(11)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시트 분리수단의 역할도 하게 된다. The rotating body 11 has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S. 3 to 7, and serves as a sheet separating means described below.

상기 회전체(11)는 시트프레임(21)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고, 바닥프레임(200)의 중앙에 설치된 중심축(200s)의 외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시트(20)가 회전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1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frame 21 and is detachably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center shaft 200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rame 200 and rotates around the center shaft, Can rotate.

회전체(1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방향설정홈(11g)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grooves 11g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1.

상기 방향설정홈(11g)은 시트(20)의 방향을 설정한 후, 시트가 회전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홈으로, 방향고정핀(12)이 끼워지거나 이탈됨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거나 고정되게 한다. The direction setting groove 11g is a groove for fixing the seat 20 so as not to be rotated afte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seat 20 so that the direction fixing pin 12 is fitted or disengaged so that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or fixed .

상기 방향설정홈(11g)은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방향을 전후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 3내지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회전체(11)의 중앙을 중심으로 4개가 등각을 이루고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the direction setting grooves 11g may be formed. Preferably, as shown in Figs. 3 to 4 and Fig. 6, four of the rotors 11 are formed in conformity with each other around the center of the rotator 11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heet can be adjust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방향고정핀(12)은 상기 바닥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회전되는 시트프레임에 의해 다수의 방향설정홈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되었을 때, 정렬된 방향설정홈에 끼워져 결합됨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시트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direction fixing pin 12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200 and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When the direction fixing pin 12 is aligned wit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grooves by the rotated seat frame, And serves to fix the sheet whose direction has been switch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etting groove so as not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방향고정핀(12)은 유아용 카시트의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시트의 후방에 대응 되는 부분의 바닥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있으며, 핀회동판(12r)에 의해 바닥프레임(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direction fixing pin 12 is fixed to the bottom frame 200 corresponding to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so as not to hinder the appearance of the child car seat and is mounted rotatably on the floor frame 200 by the pinning plate 12r do.

상기 핀회동판(12r)에는 시트의 전방까지 연장된 와이어(12w)가 연결되어 있어, 시트의 전방에서 와이어(12w)을 당기거나 밀어줌에 의해 회동되어 방향설정홈(11g)에 끼워지거나 방향설정홈으로부터 분리된다. A wire 12w extending to the front of the seat is connected to the pinned circuit board 12r so that the wire 12w is pivoted by pushing or pushing the wire 12w in front of the seat to be fitted into the direction setting groove 11g, And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물론, 와이어(12w)의 단부에는 와이어를 쉽게 당기거나 밀어줄 수 있도록 버튼 형태의 손잡이(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 knob (not shown) in the form of a button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12w so that the wire can be easily pulled or push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는 바닥프레임(200)으로부터 시트(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였다. The child car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seat 20 from the floor frame 200.

이렇게 시트를 바닥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회전체(11)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시트 분리를 위한 회전체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방향전환수단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The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seat from the floor fram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ng body 11.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body for separating the sea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시트(20)를 바닥프레임(200)에 탈착시키는 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체(11)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를 위한 회전체(11)는 바닥프레임(200)에 고정된 하부회전체(111)와, 하부회전체(111)의 상부에 탈착되는 상부회전체(113) 및 이들을 분리 및 결합하기 위한 고정판(112)과 걸림수단(114)을 포함한다. The means for detaching the seat 20 to the floor frame 200 is constituted by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body 11 as described above and the rotating body 11 for this purpose is constituted by a lower rotating body fixed to the floor frame 200, An upper rotating body 113 to be detach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tating body 111 and a fixing plate 112 and an engaging means 114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lower rotating body 111 and the lower rotating body 111.

상기 하부회전체(11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00)의 중앙에 설치된 중심축(200s)에 끼워져 회전할 수 있는 원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방향설정홈(11g)이 형성되어 있다. 7, the lower rotating body 1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k that can be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a center shaft 200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rame 200, and the direction setting groove 11g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상기 하부회전체(111)와 상부회전체(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할 수 있어 시트의 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의 역할도 한다. The lower rotating body 111 and the upper rotating body 113 are rotatable as described above and serve as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eat.

상기 하부회전체(111)의 중앙에 형성된 로드관통홀은 바닥프레임(200)에 설치된 중심축(200s)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하며, 이를 위해 고정판(112)이 설치되어 있다. The ro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rotating body 111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er shaft 200s provided in the bottom frame 200 and a fixing plate 112 is provided for this purpose.

상기 고정판(112)은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 형상을 갖는 판체로 내주면의 호는 중심축(200s)의 외주면과 동일한 자름을 갖으며, 하부회전판(111)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이 중심축(200s)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200d)에 걸림에 의해 하부회전판(111)이 중심축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7 to 9, the arc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2 has the same cutout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axis 200s, and is fixed to the lower rotation plate 11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revents the lower rotary plate 111 from separating from the central axis by engaging with the engagement step 200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shaft 200s.

상기 고정판(112)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상기 걸림수단(114)의 걸림부(114d)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직상방에는 소폭의 로드관통홀(112d)과 대폭의 분리홀(112e)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8, a sliding groove 112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12 so that the locking portion 114d of the locking means 114 can be horizontally moved. A small rod through hole 112d and a large separation hole 112e are formed.

상기 고정판(112)의 슬라이딩홈(112b)의 내부에는 걸림수단(114)이 슬라이딩홈(112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In the inside of the sliding groove 112b of the fixing plate 112, the engaging means 114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liding groove 112b.

상기 걸림수단(114)은 도 7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부(114r)의 일단에는 구형상의 걸림부(114d)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푸싱부(114p)가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부(114r)의 지름은 걸림부(114d)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7 to 9, the engaging means 114 has a spherical engaging portion 114d formed at one end of the rod portion 114r and a pushing portion 114p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114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ngaging portion 114d.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114)을 구성하는 로드부(114r)는 상기 고정판(112)에 형성된 로드관통홀(112d)을 통과하고, 걸림부(114d)는 분리홀(112e)을 통해서만 고정판(112)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즉, 도 10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수단(114)의 걸림부(114e)가 고정판 저면의 슬라이딩홈(112b)을 따라 이동하되, 걸림부(114e)가 분리홀(112e)와 정렬되었을 때만 걸림수단(114)이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걸림수단(114)이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면, 걸림수단(114)이 고정된 상부회전체(113)가 하부회전체(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rod portion 114r constituting the engaging means 114 passes through the rod through-hole 112d formed in the fixed plate 112, and the engaging portion 114d is separated It can escape from the fixing plate 112 only through the hole 112e. 10 (a), the engaging portion 114e of the engaging means 114 is moved along the sliding groove 112b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engaging portion 114e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hole 112e The engaging means 114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only when the engaging means 114 is aligned and the upper rotating body 113 to which the engaging means 114 is fixed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rotating body 111 It can be.

상기 걸림수단(114)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걸림부(114d)가 슬라이딩홈의 로드관통홀(112d) 직 하방에 놓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부회전체(113)가 하부회전체(111)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 engaging means 114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not show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14d is positioned below the rod through hole 112d of the sliding groove and the upper rotating body 113 And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lower rotating body 111 is maintained.

시트(20)를 바닥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걸림수단(114)의 푸싱부(114p)를 눌러 스프링이 압축되면, 걸림수단의 걸림부(114d)가 고정판(112)의 분리홀(112e)과 정렬된 상태가 되어 걸림수단을 고정판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시트(20)를 들어 올리면 시트가 바닥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When the spring is compressed by pressing the pushing portion 114p of the engaging means 114 when the seat 2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frame 200, the engaging portion 114d of the engaging means is engaged with the separating hole So that the engaging means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When the seat 20 is lifted in this state, the seat is separated from the floor frame 200.

상기 걸림수단(114)을 보다 용이하게 상부회전체(113)에 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회전체의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걸림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15)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A groove is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rotating body so that the engaging means 114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pper rotating body 113. A supporting plate 115 for supporting the engaging means can be fixedly installed hav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는 시트(20)와 등받이(30)를 절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상태에서 누울 수 있는 상태 또는 누울 수 있는 상태에서 앉을 수 있는 상태로의 상태 전환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기 시트(20)의 후단에 등받이(30)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The seat 20 and the backrest 30 can be folded so that the infant can sit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can sit or in a state in which the infant can be laid, The backrest 30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seat 20 for this purpose.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카시트는 회동되는 등받이(30)가 차량의 카시트 등받이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hild car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eferably capable of preventing the backrest 30 from being pushed by the car seat back of the vehicle.

즉, 차량에 구비된 카시트는 급정지할 때 전방으로 기울어지며, 이렇게 기울어지는 카시트가 유아용 카시트의 등받이를 밀면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한 유아에게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후방에는 차량의 시트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도방지프레임(4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car seat provided in the vehicle tilts forward when the driver stops suddenly. When the car seat tilts so as to push back the backrest of the child car seat, an impact may be applied to an infant seated on the child car seat. There is furth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an anti-reflection frame 40 for preventing the seat of the vehicle from tipping forward.

10: 방향전환수단
11: 회전체 11g: 방향설정홈
111: 하부회전체
112: 고정판 112b: 슬라이딩홈
112d: 로드관통홀 112e: 분리홀
113: 하부회전체
114: 걸림수단 114d: 걸림부
114r: 로드부 114p: 푸싱부
115: 지지판
12: 방향고정핀 12r: 핀회동판
12w: 핀작동와이어
20: 시트
21: 시트프레임
30: 등받이
40: 전도방지프레임
100: 고정수단
200: 바닥프레임 200s: 중심축 200d: 걸림턱
10: Direction switching means
11: Rotor 11g: Direction setting groove
111: Lower rotating body
112: Fixing plate 112b: Sliding groove
112d: rod through hole 112e: separation hole
113: Lower rotating body
114: Engaging means 114d:
114r: rod portion 114p: pushing portion
115: Support plate
12: direction fixing pin 12r: pinning copper plate
12w: Pin operation wire
20: Sheet
21: Sheet frame
30: Backrest
40: Fall prevention frame
100: Fixing means
200: bottom frame 200s: central axis 200d:

Claims (5)

차량의 카시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수단(100)에 의해 카시트에 고정되는 바닥프레임(200) 상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시트(20)와, 상기 시트의 후단에 힌지축(20h)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등받이(30)를 포함하는 유아용 카시트로,
상기 시트(20)가 설치되는 시트프레임(21)과 바닥프레임(200) 사이에 방향전환수단(10)을 구비하여 시트를 전후좌우로 방향 전환할 수 있게 하되,
상기 방향전환수단(10)은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에 설치된 중심축(200s)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시트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방향설정홈(11g)이 형성된 회전체(11)와, 상기 바닥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회전되는 시트프레임에 의해 다수의 방향설정홈 중 어느 하나와 정렬되었을 때, 정렬된 방향설정홈에 끼워져 결합됨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 시트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방향고정핀(12)으로 이루어며,
상기 회전체(11)는 상기 중심축(200s)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회전체(111);
상기 하부회전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회전체가 중심축(200s)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중심축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200d)에 내면이 걸리며, 저면에는 하기 걸림수단의 걸림부가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112b)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직상방에는 소폭의 로드관통홀(112d)과 대폭의 분리홀(112e)이 연장 형성된 고정판(112);
상기 하부회전체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시트프레임(21)이 결합된 상부회전체(113); 및
상기 상부회전체에 고정 설치되고, 일단에 걸림부(114d)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회전체와 상부회전체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걸림부(114d)가 상기 고정판의 로드관통홀에 걸려 두 회전체가 분리되지 않게 하고, 상부회전체를 하부회전체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걸림부(114d)를 분리홀(112e)측으로 이동시켜 걸림부가 분리홀을 관통하여 고정판을 벗어나게 하는 걸림수단(1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A seat 20 detachably mounted on a car seat of a vehicle and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a floor frame 200 fixed to the car seat by a fixing means 100 and a hinge shaft 20h at the rear end of the seat An infant car seat comprising a backrest (30) pivotally coupled,
A direction changing unit 10 is provided between the seat frame 21 on which the seat 20 is installed and the floor frame 200 so that the seat can be changed in the front,
The direction switching means 10 has a cylindrical shape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haft 200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frame 200 a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frame and has a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grooves 11g ), And a rotating body (11) fixed to the bottom frame,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and aligned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 setting grooves by a rotating seat frame, And a direction fixing pin (12) for fixing the direction-switched sheet by being engaged with the groove so as not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otating body 11 includes a lower rotating body 111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shaft 200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rotating body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otating body so that the lower rotating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200s. A fixed plate 112 having a small through hole 112d and a large separation hole 112e formed in the upper right chamber from the sliding groove;
An upper rotating body (113)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tating body and having a seat frame (21) coupled thereto; And
When the lower rotating body and the upper rotating body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e engaging portion 114d is engaged with the rod through hole of the fixed plate, And the engaging means 114 for moving the engaging portion 114d toward the separating hole 112e so as to separate the upper rotating body from the lower rotating body and allow the engaging portion to pass through the separating hole and to move out of the holding plate Features a rotatable and removable child car se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고정핀(12)은 바닥프레임(200)에 핀회동판(12r)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의 전방까지 연장된 와이어(12w)가 연결되며, 와이어가 당겨짐에 의해 회동되어 방향설정홈(11g)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 fixing pin 1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loor frame 200 by a pinning plate 12r and is connected to a wire 12w extended to the front of the seat. When the wire is pulled, Is separated from the groove (11g).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14)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걸림부(114d)가 슬라이딩홈의 로드관통홀(112d) 직하방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means (114) is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14d) is placed directly below the rod through hole (112d) of the slid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후방에는 차량의 시트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등받이(30)가 시트 측으로 밀리지 않게 하기 위한 전도방지프레임(4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및 탈착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rest fram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orward prevention frame (40) for preventing the seat back of the vehicle from tipping forward and preventing the backrest (30)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seat Baby car seat.
KR1020150096597A 2015-07-07 2015-07-07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KR101689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597A KR101689710B1 (en) 2015-07-07 2015-07-07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597A KR101689710B1 (en) 2015-07-07 2015-07-07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710B1 true KR101689710B1 (en) 2016-12-26

Family

ID=5773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597A KR101689710B1 (en) 2015-07-07 2015-07-07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71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09A (en)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car seat and method control the same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139B1 (en) 1997-12-31 2001-11-14 윤종용 Decimation filt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304178B1 (en) * 1997-01-08 2001-11-22 갓사이 겐조 Child safety seat for car
KR100784451B1 (en) 2000-10-11 2007-12-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Child car seat
KR20110044173A (en) * 2008-07-02 2011-04-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Child seat
US20110298257A1 (en) * 2010-06-04 2011-12-08 Arvin Grande Abadilla For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fant safety seat
KR20120018696A (en) 2010-08-23 2012-03-05 김태형 A baby car sea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178B1 (en) * 1997-01-08 2001-11-22 갓사이 겐조 Child safety seat for car
KR100299139B1 (en) 1997-12-31 2001-11-14 윤종용 Decimation filt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784451B1 (en) 2000-10-11 2007-12-11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Child car seat
KR20110044173A (en) * 2008-07-02 2011-04-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Child seat
US20110298257A1 (en) * 2010-06-04 2011-12-08 Arvin Grande Abadilla For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fant safety seat
KR20120018696A (en) 2010-08-23 2012-03-05 김태형 A baby car se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KR20210089009A (en)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car seat and method control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6419B2 (en) Stroller
US5277472A (en) Multi-function infant car seat including glider assembly
CA2763903C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US8313115B2 (en) Stroller
US20140008953A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US20040124610A1 (en) Safety seat anchoring mechanism for stroller
JPH0572559U (en) Vehicle seat
EP2832625B1 (en) A stroller frame and a foldable and detachable chair frame
US20080150247A1 (en)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a child carrier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CA2722153A1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EP3053485B1 (en) Adjustable booster seat
US20050051998A1 (en) Stroller suitable for seating and reclining of a baby
KR20180046742A (en) Headrest
KR101689710B1 (en) Rotable and removable baby car-seat
US20240108153A1 (en) Infant highchair
JP2011143920A (en)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multiple seating attitudes
AU2006203692A1 (en) Adjustable recline device for child safety seat
CN216942790U (en) Child car seat system
EP1418085B1 (en) Child car seat
GB2566816B (en) A stroller
KR20150075920A (en) Bicycle for child having a direction-changable and slidable seat
JPH1095346A (en) Seat device for infant
CN117208065A (en) Carrier frame capable of folding carrier and child bearing device
KR20190080115A (en) Car seat with adjustable angle of backrest with one h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