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982B1 - Fog collecting filter - Google Patents

Fog collecting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982B1
KR101688982B1 KR1020160009531A KR20160009531A KR101688982B1 KR 101688982 B1 KR101688982 B1 KR 101688982B1 KR 1020160009531 A KR1020160009531 A KR 1020160009531A KR 20160009531 A KR20160009531 A KR 20160009531A KR 101688982 B1 KR101688982 B1 KR 101688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mesh
fog
filt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현의
오선종
김완두
이덕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9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g removing filter comprises: a mesh in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oss layer in which moss is attach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By attaching moss on the mesh for removing fog, a fog removing device which has excellent fog collection efficiency, is environmentally-friendly, and can be sustained semipermanently can be implemented.

Description

안개제거 필터 {Fog collecting filter} Fog collecting filter

본 발명은 안개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물망 형상을 갖는 안개제거 필터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removing fo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g removal filter having a net shape.

안개는 낮과 밤의 일교차에 의해서 대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지표 가까이에서 작은 물방울이 떠 있는 현상이다. 안개가 발생하면 가시거리가 줄어들기 때문에 자동차, 비행기, 배 운항 같은 교통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안개로 인한 사고나 지연을 줄이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공장지대나 도심에서 연기나 먼지와 결합하여 발생하는 스모그(연기와 안개)와 같은 대기오염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에 있다.Fog is a phenomenon in which atmospheric water vapor condenses due to diurnal variations of day and night, and small droplets float near the surface. Since fog causes a decrease in visibility, it causes traffic problems such as automobiles, airplanes, and ships, and studies are under way to reduce accidents and delays caused by fog. In addition, air pollution problems such as smog (smoke and fog) that occur in combination with smoke or dust in the factory area or the city center are also a problem to be solved.

기존의 안개제거 방법으로는 염화칼슘 초미립자나 건조공기를 이용한 안개제거 시스템 또는 안개 차단망을 이용한 방법들이 있다. 기존의 안개제거 시스템들은 설치비용, 모니터링 및 지속적인 관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현재 일부 상습 안개 발생 구간에서는 안개 방지 시스템으로 안개 차단망을 설치하여 평균 시정거리가 향상된다는 보고가 있으나 유동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복사안개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어 보다 능동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안개제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Conventional fog removal methods include ultracentrifugation of calcium chloride, fog removal system using dry air, or mist shielding network. Conventional fog removal systems have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cost, monitoring and continuous maintenance. It is reported that the average clearance distance is improved by installing mist shielding network as a fog prevention system in the section of some normal fog generation. However, there is no effect on the radiation fog occurring when there is almost no flow, .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52691호 (2013년 4월 9일 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252691 (issued on April 9, 20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개제거 그물망에 이끼를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안개 포집 효율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지속 가능한 안개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ist removing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fog collection efficiency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semi-permanently by installing moss on a fog removing n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개제거 필터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끼가 부착되어 형성된 이끼층;을 포함하는 안개제거 필터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g removal filter, comprising: a mesh network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moss layer formed by attaching moss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network.

이 때 상기 그물망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접착제층이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층 위에 상기 이끼층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액과 이끼의 혼합 용액이 상기 그물망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이끼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n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and the moss layer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lternatively, the moss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mixed solution of a culture medium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and moss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ynthetic resin may comprise a polyolef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물망의 표면에 대한 이끼의 부착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그물망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mesh may be wrinkled to enhance the ability of the mesh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mesh.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물망은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얇은 금속 와이어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합성수지가 이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sh may be made of a thin metal wire as a basic skeleton and may be surrounded by a synthetic resin in order to increase robustnes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끼로서 임의의 종(種)의 이끼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작이끼를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ny species of moss may be used as the moss, and 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moss can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개제거용 그물망에 이끼를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안개 포집 효율이 우수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지속 가능한 안개제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ist removing device can be realized which is excellent in fog collection efficiency and sustainable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emi-permanent manner, by attaching moss to the mesh for removing fog.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 및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 내지 도7은 유동이 있는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 및 도9는 유동이 없는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이끼 종류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use of a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S.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sh 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FIGS.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ate of flow,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ate of no flow,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mist removal filter according to the type of moss.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In the drawings, numerical values such as length, thickness, width, etc. of the components can b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s.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should be mentioned in advance that it is common knowledge in describing an invention, and that part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invention.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 필터(20)는 그물망 형상을 갖는 안개제거 필터이다. 안개제거 필터(20)는 복수개의 지지대(10)에 의해 세로로 세워져서 설치된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a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g removal filt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fog removal filter having a mesh shape. The mist removing filter 20 is installed vertically by a plurality of supports 10.

지지대(10)와 지지대(10)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수 내지 수십 미터가 될 수 있고 지지대의 높이도 수 미터에서 10미터 사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대(10)에 의해 지지되는 안개제거 필터(20)는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도로변이나 공항 근처, 논, 밭 등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10 and the support 10 can generally be several to several tens of meters and the height of the support can be between several meters and ten meters. Thus, the mist removing filter 20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s 10 can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n airport, a rice paddy, or a field, where the mist is frequently generated.

도2 및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안개제거 필터(20)는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망(21) 및 이 그물망(21)의 및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끼(24)가 부착되어 형성된 이끼층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ne embodiment, the fog removal filter 20 includes a net 21 of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oss layer formed by attaching moss 24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21 and the mesh 21.

그물망(21)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그물망(21)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물망(21)을 이루는 메쉬(mesh) 구조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각형 모양일 수 있다. 그물망(21)은 다수개의 가느다란 스트립 형상의 합성수지 재질을 서로 엮여서(weaving) 제작될 수 있다. The mesh 2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 one embodiment, the mesh 21 may be made of a polyolefin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the like. The mesh structure constituting the mesh 21 may be triangular, rectangular, or any polygonal shape. The net 21 may be manufactured by weaving a plurality of thin strip-shaped synthetic resin materials.

일 실시예에서 그물망(21)의 표면에 이끼(24)가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그물망(2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에 그물망(21)의 합성수지 재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처럼 표면에 주름(22)이 미리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름(22)이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로 그물망(21)을 만든 경우, 이끼를 그물망(21) 표면에 붙이기 위한 접착제나 배양액 등의 용액을 그물망에 도포할 때 용액이 주름의 골 부분에 비교적 많이 도포될 수 있어 이끼가 그물망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고 용이하게 안착하여 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 concavity and convexity on the surface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mesh 21, so that the moss 24 adheres well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synthetic resin material on which a corrugation 22 has been formed on the surface may be used, as schematically shown in cross section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of the net 21. When the mesh 2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the wrinkles 22 formed thereon, when applying a solution such as an adhesive or a culture solution for attaching the moss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So that the moss can be easily seated and attached without falling off the surface of the mesh.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주름 형상을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합성수지 재질에 엠보싱(embossing) 처리를 하여 표면에 요철 형상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그물망(21)의 표면에 요철을 가짐으로써 그물망의 표면에 이끼(24)가 더 잘 붙을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the wrinkle shape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emboss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orm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By thus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mesh 21, Allow the moss (24) to stick to the surface better.

도3을 참조하면, 그물망(21)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끼(24)가 부착된다. 이끼는 기공구조의 표면으로 친수 또는 초친수 특성을 나타내며, 건조 중량대비 최대 3000%까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끼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도 사멸하지 않고 수분이 공급되면 다시 광합성을 하여 생장을 지속한다. 따라서 그물망(21) 표면에 이끼(24)를 부착할 경우 수증기가 이끼 필터를 통과할 때 일부 수증기가 필터의 표면에 응축되거나 이끼에 흡수되어 안개를 포집하고 제거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안개 포집 효율이 우수하고 반영구적으로 지속 가능한 안개제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moss 24 is attach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21. Moss exhibits hydrophilic or superhydrophilic properties to the surface of the pore structure and is known to be able to absorb up to 3000% moisture by dry weight. In addition, the moss is not killed even when it is completely dried, and when water is supplied, the photosynthesis is continued to grow again. Therefore, when the moss 24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when water vapor passes through the moss filter, some water vapor can be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or absorbed by the moss to enhance the effect of collecting and removing mist.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og removal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fog and is sustainable semi-permanently.

그물망(21)의 표면에 이끼(24)를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그물망(21)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고 접착제층 위에 이끼(24)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로서 내수성이 우수한 천연물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As a method of attaching the moss 24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it is possible to apply an adhesive layer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and attach the moss 24 on the adhesive layer. At this time, a natural-based adhesive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can be used as an adhesive.

대안적 실시예로서, 이끼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배양액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배양액과 접착제를 혼합한 혼합 용액을 그물망(21) 표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이끼(24)를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이끼들을 합성수지의 그물망이 아닌 다양한 표면인 금속, 세라믹, 천연 섬유 등으로 구성된 그물망에도 부착할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a culture solution for supplying nutrients to moss can be used by mixing with an adhesive. That is, a mixed solution obtained by mixing a culture medium and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and the moss 24 may be applied thereon. In this way, mosses can be attached not only to the mesh of synthetic resin but also to the mesh consisting of various surfaces of metal, ceramics, natural fibers and the like.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서, 별도의 접착제층을 도포하지 않고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액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접착제 성분과 배양액, 및 이끼를 혼합한 혼합 용액을 그물망(21)의 표면에 도포하여 이끼층을 형성할 수 있다. 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nly the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adhesive component may be used without applying a separate adhesive layer. In this case, for example, a mixed solution obtained by mixing an adhesive component, a culture solution, and moss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mesh 21 to form a moss layer.

한편 도4는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4(a)는 피복 와이어(23)의 대략적인 형상을 나타내고, 도4(b)는 다수의 피복 와이어(23)들을 엮어서 형성한 그물망(21)의 일부를 도시한다. 4 (a) shows a rough shape of the cover wire 23, and FIG. 4 (b) shows a network structure of a plurality of cover wires 23 And shows a part of the network 21 formed.

도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 와이어(23)는 두 겹으로 된 합성수지(232) 및 이 합성수지(232) 안에 삽입된 강성이 강한 얇은 금속 와이어(231)를 포함한다. 합성수지(232)의 폭은 금속 와이어(231)의 직경의 수배 내지 수십배 큰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도시한 것처럼 금속 와이어(231)의 굵기에 비해 합성수지(232)가 충분히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이러한 피복 와이어(23)를 도4(b)에서와 같이 서로 엮어서 그물망(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피복 와이어(23)의 표면, 즉 합성수지(232)의 폭이 금속 와이어(231)의 직경 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합성수지(232)가 그물망(21)의 메쉬(mesh) 구조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또한 이 때 피복 와이어(23)들이 서로 구부러지고 교차하면서 그물망을 형성하므로 합성수지(232)가 자연적으로 접히면서 불규칙하고 많은 주름이 표면에 생기고, 따라서 그물망의 표면에 이끼(24)가 잘 붙을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4 (a), the cover wire 2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ouble-layered synthetic resin 232 and a thin rigid metal wire 231 inserted into the synthetic resin 232. [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ynthetic resin 232 is several times to several times as large as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231. Accordingly,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ynthetic resin 232 has a sufficiently wide width in comparison with the thickness of the metal wire 231 . Thereafter, the mesh wire 21 can be formed by weaving the cover wires 23 together as shown in Fig. 4 (b). The synthetic resin 232 occupies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mesh 21 because the surface of the covered wire 23, that is, the synthetic resin 232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231 In addition, at this time, since the cover wires 23 bend and cross each other to form a mesh, the synthetic resin 232 is folded naturally and irregular and many wrinkles are formed on the surface, and thus the moss 24 is fine on the surface of the mesh. A structure is formed.

이러한 도4의 대안적 구성에 따르면, 그물망(21)을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피복 와이어(23)로 형성함으로써 그물망의 견고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심한 바람이나 외란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lternative configuration of Fig. 4, the mesh 21 is formed of the covered wire 23 including the metal wire, so that the rigidity and the durability of the mesh can be improved, and damage due to severe wind or disturbance can be prevented .

도5 내지 도7은 유동이 있는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 필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5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flow state. FIG.

안개제거 필터(20)의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도5에 도시한 것처럼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사격형 단면을 갖는 관(30)의 중간에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 필터(20)를 설치하고, 가습기를 이용하여 관(30)의 한쪽 방향에서 다른쪽 방향으로 수증기(40)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 때 비교를 위해 필터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및 이끼층이 없는 필터를 설치한 경우도 함께 실험하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제거 필터로 공작이끼(Hypopterygium japonicum)가 부착된 안개제거 필터를 사용하였다. 관(30) 안의 온도는 24℃, 습도는 100%를 유지하였다.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the fog removal filter 20, a fog removal filt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tube 30 having a space-type cross section with an empty space as shown in Fig. And the water vapor 40 was continuously supplied from one side of the tube 30 to the other side by using a humidifier. In this case, a case where a filter is not installed for comparison and a case where a filter without a moss layer is installed were also tested. The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st removal filter having a hypopterygium japonicum Were used. The temperature in the tube (30) was maintained at 24 DEG C and the humidity was maintained at 100%.

도6은 시간에 따른 관(30) 내부의 시야변화를 관찰한 이미지로서, (a)는 관(30) 중간에 필터가 없는 경우이고, (b)는 이끼가 부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그물망 필터를 설치한 경우이고,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리올레핀 그물망 위에 이끼가 부착된 필터를 설치한 경우이다. 도6에서 시간이 120초 경과한 후의 모습에서 알 수 있듯이 필터를 설치하지 않은 (a)의 경우 관(30) 내부 시야가 불투명하여 잘 보이지 않지만, 필터를 설치한 (b)의 경우 시야가 다소 개선되었고, 이끼를 부착한 필터를 설치한 (c)의 경우 시야가 더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6 is a view showing an observation of a change in the visual field inside the pipe 30 with time, wherein (a) shows a case where there is no filter in the middle of the pipe 30, (b) shows a case where a polyolefin net- (C) shows a case where a filter having a moss is installed on a polyolefin me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FIG. 6 after 120 seconds have elapsed, in case (a) where no filter is installed, the inside view of the tube 30 is opaque and not visible, but in the case of (b) (C), in which a filter with a moss is installed, is further improved.

도7은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의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래프의 세로축은 그레이 값(Gray value)로서, 그레이 값이 높을수록 시야가 불투명하며 안개제거 필터를 통과하는 수증기량이 많음을 의미하고, 반대로 그레이 값이 낮을수록 시야가 투명하며 필터를 통과한 수증기량이 작음을 의미한다. 도7에서 A 그래프는 필터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이고 B 그래프는 이끼없이 폴리올레핀 필터만 설치한 경우이고, C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끼가 부착된 폴리올레핀 필터를 설치한 경우이다.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bove experiment using ImageJ software. The vertical axis of the graph indicates the gray value. The higher the gray value, the more the visibility is opaque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water vapor passing through the mist removal filter. On the contrary, the lower the gray value, It means small. In FIG. 7, a graph A shows a case where a filter is not installed, a graph B shows a case where only a polyolefin filter is installed without a moss, and a graph C shows a case where a polyolefin filter with a moss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필터가 있는 경우(B 그래프) 필터가 없는 경우(A 그래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고 필터에 이끼가 부착된 경우에(C 그래프)는 더욱 그 수치가 줄어들었다. 필터만 있는 경우에는 필터를 통과하던 수증기(40)가 필터의 그물망(21) 표면에 접촉하면서 응축되면서 수증기가 포집되어 통과한 양이 줄어든 것이고, 필터에 이끼(24)가 부착된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필터에 응축되는 효과와 이끼가 수증기를 흡수하는 효과로 인해 필터를 통과한 수증기량이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연속적으로 응축과 흡수가 되면서 통과하는 수증기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ere is a filter (B graph), the measure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when there is no filter (A graph) and when the filter is attached with moss (C graph), the value is further reduce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water vapor 40 passing through the filter is condensed while contacting with the surface of the mesh 21 of the filter, the amount of water vapor trapped and passed through is reduced, 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oss 24 is attached to the filter It can be seen that the condensation effect on the filter and the effect that the moss absorbs the water vapor have reduced the amount of water vapo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lso,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water vapor passing through the column is constantly maintained while being continuously condensed and absorbed.

도8 및 도9는 유동이 없는 상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fog removal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tate of no flow.

유동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끼의 안개 제거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도5에서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30)에 수증기를 주입하고 양쪽 단부를 막아 공기 유동을 제거한 후 수증기가 사라지는 현상을 일정 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이 때 관 내부의 온도는 24℃로 유지하고 습도는 100%로 유지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removing the mist from the moss in the absence of flow, water vapor was injected into the tube 3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5, and the air flow was removed by closing both ends, Lt; / RTI >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inside the tube was maintained at 24 ° C and the humidity was maintained at 100%.

도8은 시간에 따른 관 내부의 시야 변화를 관찰한 이미지로서, (a)는 관 안에 수증기가 갇혀있는 경우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표면에 이끼가 부착된 관 안에 수증기가 갇혀있는 경우이다. 도8에서 알 수 있듯이 이끼가 부착된 관의 경우는 수증기가 거의 제거되어 10초 후부터도 시야 확보가 가능하였으나, 이끼가 없는 관의 경우는 변화가 적고 120초가 지난 후에도 시야 확보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이끼가 부착된 관의 경우는 수증기를 관 안에 100%가 되도록 가득 채워도 이끼가 수증기를 흡수하여 이끼가 없는 관의 경우와 비교하여 초기상태를 같도록 만드는 것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FIG. 8 is an image showing a change in the visual field inside the tube with time, wherein (a) shows a case where water vapor is trapped in the tube, and (b) Is trapped. As can be seen from FIG. 8, in the case of a pipe with a moss attached thereto, it was possible to secure a view even after 10 seconds since the water vapor was almost removed. However, in the case of a pipe without a moss, have. Moreover, in the case of a tube with moss attached, it is difficult to make the initial state equal to that of a tube without moss by absorbing water vapor even if the water vapor is filled up to 100% in the tube.

도9는 Image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실험의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파란색 그래프는 이끼가 없는 필터를 사용한 경우로서, 그레이 값에 변화가 거의 없었다. 빨간색 그래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끼가 부착된 필터를 사용한 경우이고, 시간에 따라 그레이 값이 줄어들었다. 즉 관 내부의 수증기가 이끼에 포집, 흡수되면서 관 내부가 투명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experiment using ImageJ software. The blue graph shows a case in which a moss-free filter was used, and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gray value. The red graph shows the case where a filter with a moss is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ay value decreases with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inside of the pipe becomes transparent as the water vapor inside the pipe is trapped and absorbed by the moss.

도10은 이끼 종류에 따른 안개 제거 필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험을 위해 톳이끼(Rhacocarpus purpurascens), 우산이끼(Marchantia polymorpha), 및 공작이끼(Hypopterygium japonicum)를 사용하였다. 톳이끼는 주로 열대지방에 분포되어 있으며 태양광이 노출되는 돌이나 높은 산에 서식한다. 우산이끼는 전세계에 분포하며 습기가 있는 축축한 흙과 바위에 주로 서식한다. 그리고 공작이끼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주로 발견되며 나무 줄기나 암석, 토양, 부패한 통나무에 서식한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mist removal filter according to the type of moss. Rhacocarpus purpurascens, Marchantia polymorpha, and Hypopterygium japonicum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he mosse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tropics and live in rocks and high mountains where sunlight is exposed. Umbrella moss is distributed all over the world and mainly lives in damp, moist soil and rocks. Peacock moss is found mainly in China, Korea, and Japan and is found in tree trunks, rocks, soil, and decayed logs.

이끼의 수분흡수 실험을 위해 이끼시료는 뿌리쪽의 흙을 털어낸 후 물에 세척하였고 일주일 동안 온도 24℃, 습도 50% 조건에서 건조 시켰다. 이끼의 수분흡수 실험은 건조한 이끼를 이용하여 습도와 시간별로 흡수한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건조한 이끼는 아크릴 챔버 안에 넣고 가습기를 이용해 60, 80, 100%의 습도에서 30~300분까지 수분 공급시간을 조절하여 톳이끼, 우산이끼, 공작이끼의 수분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패트리디쉬에 동일한 건조중량(0.3g)의 이끼를 각각 넣어 동일 조건에서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온습도계(TESTO 645)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온습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이끼의 수분 흡수량은 측정감도가 ±0.02g인 전자저울(PW4KRC3-2-HBM)을 이용하여 실험 전후의 이끼 중량차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For the water absorption experiment of moss, the moss samples were washed with water after drying the soil on the root side and dried for 24 hours at a temperature of 50 ° C and a temperature of 24 ° C for one week. Moisture absorption of moss was measured by using dry moss and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per hour. Dry moss was placed in an acrylic chamber, and the water uptake of mosses, umbrella mosses, and moss mosses was measured by humidifier at 60, 80, and 100% humidity for 30 to 300 minutes. The same dry weight (0.3 g) of moss was added to the patridish, and the comparativ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continuously monitored by using a hygrometer (TESTO 645). Moisture absorption of moss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mos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using an electronic balance (PW4KRC3-2-HBM) with a measurement sensitivity of ± 0.02 g.

도10은 시간에 따른 이끼의 수분 흡수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A는 톳이끼, B는 우산이끼, C는 공작이끼의 그래프를 각각 나타낸다. 시간에 따른 이끼의 수분흡수량 측정은 온도 24℃, 상대습도 100%에서 측정하였다. 수분 흡수량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40분 이후부터 포화되어 수분 흡수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240분 동안 측정된 수분 흡수량은 우산이끼(1.6 ml), 톳이끼(1.8 ml) 그리고 공작이끼(2.5 ml) 순으로 측정되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끼가 없는 안개제거 필터에 비해 이끼가 부착된 필터가 더 좋은 안개제거 효과를 가지며, 특히 공작이끼가 다른 종류의 이끼에 비해 안개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값들은 이끼가 패트리디쉬 안에서 수증기를 머금고 있는 상태이므로 최대 약 800% 수분을 흡수하는 값을 보여주었지만, 그물망으로 제작되어 흡수한 수증기가 물방울로 모아져 아래로 흘러 모아짐으로써 계속 제거되는 상황으로 수증기가 제거되어진다면 더 높은 값을 보일 수도 있다. 더불어 수증기들이 모여 이끼를 통해 모여진 물방울들은 생활용수나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of moss according to time, wherein A is a moss, B is an umbrella, and C is a graph of a moss. Moisture absorption of moss was measured at a temperature of 24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100% over time. The amount of water uptake tended to increase linearly, and the amount of water uptake did not change after 240 minutes. The measured water uptake for 240 min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umbrella moss (1.6 ml), moss moss (1.8 ml) and peacock moss (2.5 ml). As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oss-attached filter has better fog removal effect than the moss-free fog removal filter, and especially the peacock moss is superior to the other kinds of moss. These values show that the moss absorbs up to about 800% moisture because the moss is faded in the steam in the patridish, but the water vapor absorbed by the mesh is collected by the water droplets and collected downward to be continuously removed If the steam is removed by the situation, it may show a higher value. Water droplets gathered through mosses together with water vapor can also be used as living water or agricultural water.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지지대
20: 안개제거 필터
21: 그물망
23: 피복 와이어
24: 이끼
10: Support
20: Fog removal filter
21: Network
23: Coated wire
24: Moss

Claims (7)

안개제거 필터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의 그물망(21); 및
상기 그물망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이끼가 부착되어 형성된 이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In the fog removal filter,
A synthetic mesh network 21; And
And a moss layer formed by attaching a moss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접착제층이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층 위에 상기 이끼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and the moss layer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 성분을 포함하는 배양액과 이끼의 혼합 용액이 상기 그물망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상기 이끼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ss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mixed solution of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and moss to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e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nthetic resin is a polyolef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의 표면에 대한 이끼의 부착 능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그물망의 표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mes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to increase the ability of the mesh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mes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다수의 피복 와이어들로 형성되고, 각각의 피복 와이어의 합성수지 내에 금속 와이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sh is formed of a plurality of cover wires coated with a synthetic resin, and a metal wire is inserted into the synthetic resin of each of the cover wi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끼가 공작이끼(Hypopterygium japonic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제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ss is a hypopterygium japonicum.
KR1020160009531A 2016-01-26 2016-01-26 Fog collecting filter KR101688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31A KR101688982B1 (en) 2016-01-26 2016-01-26 Fog collecting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531A KR101688982B1 (en) 2016-01-26 2016-01-26 Fog collecting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982B1 true KR101688982B1 (en) 2016-12-23

Family

ID=5773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531A KR101688982B1 (en) 2016-01-26 2016-01-26 Fog collecting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98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132A (en) * 2000-02-23 2001-08-28 Sliontec Corp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to which mosses are secured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by using the same
US20090176295A1 (en) * 2005-09-08 2009-07-09 Wolfgang Behrens Use of mosses and/or lichens, element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articulate matter content of air
WO2013036601A1 (en) * 2011-09-07 2013-03-1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reduce disinfection by-products in water treated with disinfectants
KR101252691B1 (en) 2011-11-08 2013-04-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duction of water from fog
CN204305761U (en) * 2014-12-11 2015-05-06 南京工业大学 A kind of liver moss adhera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4132A (en) * 2000-02-23 2001-08-28 Sliontec Corp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to which mosses are secured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by using the same
US20090176295A1 (en) * 2005-09-08 2009-07-09 Wolfgang Behrens Use of mosses and/or lichens, element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articulate matter content of air
WO2013036601A1 (en) * 2011-09-07 2013-03-14 Embro Corporation Use of moss to reduce disinfection by-products in water treated with disinfectants
KR101252691B1 (en) 2011-11-08 2013-04-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duction of water from fog
CN204305761U (en) * 2014-12-11 2015-05-06 南京工业大学 A kind of liver moss adher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andez et al. Fog water collection effectiveness: mesh intercomparisons
Groß Numerical simulation of canopy flows
Levia et al. Throughfall and stemflow in wooded ecosystems
Fu et al. A critical overview of pan evaporation trends over the last 50 years
Porté et al. Microclimate beneath pine plantation, semi-mature pine plantation and mixed broadleaved-pine forest
Cuartas et al. Interception water-partitioning dynamics for a pristine rainforest in Central Amazonia: marked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dry years
Link et al. The dynamics of rainfall interception by a seasonal temperate rainforest
Altimir et al. Foliage surface ozone deposition: a role for surface moisture?
Gavin et al. Modelling actual, reference and equilibrium evaporation from a temperate wet grassland
Mori et al. Deposition of traffic-related air pollutants on leaves of six evergreen shrub species during a Mediterranean summer season
Van der Molen et al. Climate is affected more by maritime than by continental land use change: A multiple scale analysis
CA2861749C (en) Passive dry deposition (pas-dd) collector
Ziegler et al. Throughfall in an evergreen-dominated forest stand in northern Thailand: Comparison of mobile and stationary methods
CN105466737B (en) Gaseous PAHs Passive sampler and its sampling determination method in a kind of case experiment
Weisberg et al. Spatial variation in tree seedling and krummholz growth in the forest-tundra ecotone of Rocky Mountain National Park, Colorado, USA
Liu et al. Using stable isotopes to determine sources of fog drip in a tropical seasonal rain forest of Xishuangbanna, SW China
KR102242497B1 (en) Outdoor Moss Tile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Wuyts et al. Comparison of forest edge effects on throughfall deposition in different forest types
Liu et al. Fog drip and its relation to groundwater in the tropical seasonal rain forest of Xishuangbanna, Southwest China: a preliminary study
Konishi et al.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throughfall in a lowland tropical rainforest, Peninsular Malaysia
Kim et al. Aerosol properties and associated regional meteorology during winter pollution event at Gosan climate observatory, Korea
KR101688982B1 (en) Fog collecting filter
Kyllönen et al. Atmospheric mercury fluxes in a southern boreal forest and wetland
Ago et al. Carbon dioxide fluxes from a degraded woodland in West Africa and their responses to main environmental factors
Imteaz et al.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quantification of fog-col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