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801B1 - High convergence generator - Google Patents

High convergenc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801B1
KR101688801B1 KR1020150125272A KR20150125272A KR101688801B1 KR 101688801 B1 KR101688801 B1 KR 101688801B1 KR 1020150125272 A KR1020150125272 A KR 1020150125272A KR 20150125272 A KR20150125272 A KR 20150125272A KR 101688801 B1 KR101688801 B1 KR 10168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emperature sensor
supply pipe
piston
pist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복규
Original Assignee
전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복규 filed Critical 전복규
Priority to KR102015012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8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8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1/00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r relative disposition of cylinders or by being built-up from separate cylinder-crankcase elements
    • F01B1/02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r relative disposition of cylinders or by being built-up from separate cylinder-crankcase element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2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B23/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0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all in on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1/00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 F02G1/04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 F02G1/043Hot gas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of closed-cycle type the engine being operat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mass of working gas which is heated and cooled in one of a plurality of constantly communicating expansible chambers, e.g. Stirling cycle type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convergence generator, comprising: at least one double piston cylinder having a cylinder of which an internal width is formed to be different, and a first and a second piston inserted inside the cylinder formed to have a different size, and coupled by a coupling means generating heat energy by movement of the first and the second piston; a heat emitting unit collecting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a collection tank storing the heat energy supplied from the heat emitting unit; and at least one Stirling engine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heat energy supplied from the collection tank.

Description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HIGH CONVERGENCE GENERATOR}[0001] HIGH CONVERGENCE GENERATOR [0002]

본 발명은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피스톤 실린더 구동 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스텔링 엔진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in which energy efficiency is improved by supplying heat energy generated in driving a double piston cylinder to a stering engine.

스텔렝 엔진은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진 밀폐공간 내에 헬륨, 수소 등의 작동가스를 밀봉하고, 이를 외부에서 가열 및 냉각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피스톤 운동을 통해 기계적인 에너지를 생산하는 엔진이다.The Stelereng engine is an engine that produces mechanical energy through piston motion generated by sealing the working gas such as helium and hydrogen in a closed space made up of a piston and a cylinder, and heating and cooling the working gas from the outside.

스텔링 엔진은 화석연료를 연소시킬 필요 없이, 공기의 힘만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스텔링 엔진은 열 에너지만 있으면,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스텔링 엔진 구동 시 진동이나 소음, 배기가스가 다른 엔진에 비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The stering engine is able to operate only with the force of the air without burning the fossil fuel. The stering engine can be driven only by thermal energy. In addition, when the stering engine is driven, vibration, noise, and exhaust gas are advantageous in comparison with other engines.

일반적으로, 스텔링 엔진은 열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중 열효율이 높은 장치이다. 또한, 스텔링 엔진은 외연기관이므로, 연료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다. 스텔링 엔진은 연소 시 폭발 행정이 없기 때문에 진동 소음이 낮고, 실린더 외부에서 열원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 스텔링 엔진은 석유와 같은 액체연료, 가스연료, 고체연료 등 다양한 형태의 열원 사용이 가능하다. Generally, a stering engine is a device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among devices that convert therm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Further, since the stering engine is an outer combustion engine, the choice of the fuel is wide. The stering engine has low vibration noise because there is no explosion stroke in the combustion, and it is easy to control the heat source outside the cylinder. Stelling engines can use various types of heat sources, such as liquid fuels such as petroleum, gaseous fuels, and solid fuels.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자동차 엔진, 선박의 기관, 가정용 발전기, 우주항공분야 등에 활용되며, 다양한 구성의 스텔링 엔진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사용되고 있다.Due to these characteristics, power generating devices using various types of stering engines, which are utilized in automobile engines, ship engines, household generators, aerospace, etc., are being used.

그러나, 스텔링 엔진의 구동을 위해서는 열 에너지의 공급원이 필요하다. 또한, 스텔링 엔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열 에너지가 필요하다.However, a source of heat energy is required to drive the stering engine. Further, high heat energy is requir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tering engine.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료, 유압 및 공기압을 절감할 수 있는 열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모색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technique for using a heat source capable of reducing fuel, hydraulic pressure and air pressure has been sought.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094188호(발명의 명칭: 스털링 기계)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An invention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94188 (the name of the invention: Stirling machine)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중 피스톤 실린더 구동 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스텔링 엔진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in which energy efficiency is improved by supplying heat energy generated in driving a double piston cylinder to a stering engin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피스톤 실린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저장하는 포집탱크; 및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텔링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ylinder formed with different internal widths, a first piston and a second piston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formed in different sizes, And at least one double piston cylinder for generating heat energy by operation of the second piston; A heat dissipation unit for collecting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A collection tank for storing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at least one stering engine for receiving the heat energy supplied from the collecting tank to generate power.

상기 방열부와 상기 포집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부에서 포집된 상기 열 에너지를 상기 포집탱크로 공급하는 제1 공급관; 및 상기 스텔링 엔진과 상기 포집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포집탱크에 저장된 열 에너지를 상기 스텔링 엔진으로 공급하는 제2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supply pipe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collecting tank for supplying the heat energy collected by the heat dissipating unit to the collecting tank; And a second supply pipe formed between the stelling engine and the collecting tank and supplying the heat energy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to the stelling engine.

상기 포집탱크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방열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rst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tank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상기 방열부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제1 공급관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3 온도센서; 상기 제2 공급관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4 온도센서; 및 상기 스텔링 엔진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포집탱크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5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temperature sensor attached inside the heat dissipation unit; A third temperature sensor attached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A fourth temperature sensor attached inside the second supply pipe; And a fifth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ering engine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fluid supplied through the collecting tank.

상기 스텔링 엔진에 연결되고, 상기 스텔링 엔진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포집탱크 및 상기 방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탱크 내부의 유체와 상기 방열부 내부의 유체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tering engine and controlling on / off operation of the stering engine; And a circulation pipe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to circulate the fluid inside the collection tank and the fluid inside the heat dissipation unit.

상기 제1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1 안전밸브; 상기 제1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1 개폐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밸브는 상기 제2 온도센서, 제3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유체의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안전밸브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방열부의 열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상기 제1 안전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 개폐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first safety valve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A first pump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And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wherein the first safety valve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The first safety valve may be closed so that the heat energy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afety valv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2 안전밸브;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2 펌프; 및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2 개폐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전밸브는 상기 제1 온도센서, 제4 온도센서 및 제5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유체의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스텔링 엔진에 일정한 유체가 공급되도록 제2 안전밸브, 제2 펌프 및 제2 개폐구의 작동 및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A second safety valve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A second pump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The second safety valve is operated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cond safety valve is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afety valve, the second pump, and the second door, and on / off so that a predetermined fluid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stelling engines.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설정된 수준 이상의 온도 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전밸브의 개폐동작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afety valves include a solenoid valve,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by a temperature or a fluid pressure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olenoid val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afety valves And on / off of the first and second pumps can be controlled.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방출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면적이 증가되며,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도록 내측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unit increases the area for collecting the heat energy radia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to attenuate the noise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방출되는 열 에너지가 전도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세라믹층; 상기 세라믹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탄소섬유층; 및 상기 탄소섬유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보온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unit may include: a metal layer through which thermal energy emit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is conducted; A ceramic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A carbon fibe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layer; And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rbon fiber layer.

상기 보온재층과 제1 공급관, 제2 공급관, 포집탱크 및 스텔링 엔진의 외측면은 보온재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온재는 코르코, 펠트, 글라스울, 석면, 포옴폴리스틸렌, 염질 섬유판, 석선, 암선, 계조토, 염기성 탄산마크네슘, 탄소섬유, 유리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layer, the first supply pipe, the second supply pipe, the collecting tank, and the stering engine is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rn, felt, glass wool, asbestos, foam polystyrene, , A grained soil, basic magnesium carbonate, carbon fiber, and glass fiber.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집탱크와 맞닿아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unit is formed to enclose the double piston cylinder, and the heat energy genera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can be transmitted by abutting the collecting tan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유해가스 배출이 적고, 친환경적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with less noxious gas emission and being environmentally friend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저공해, 탈석유, 연비향상이 가능한 차세대 가정용/산업용 열병합 발전엔진을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next generation household / industrial cogeneration engine capable of low pollution, de-petroleum, and improved fuel econom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타 엔진에 비해 높은 고열이 발생하는 시스템으로써, 발전 효율이 높다.In addition, the high-efficiency fusion combined-cycl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high heat as compared with other engines, and thus has high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유압 및 공압을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In addition, the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venience of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pneumatic press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다양한 형태의 고효율 발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 efficiency fusion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struct various types of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이중 피스톤 실린더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방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방열부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igh efficiency fusion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piston cylinder for a high efficiency hybrid composite power generator,
3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dissipating unit of a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heat dissipation unit of a high efficiency hybri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can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cover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ir own meaning,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 comprising, "" comprising, "or" having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ttached herewith.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이중 피스톤 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double piston cylinder of a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도 2의 (a)는 폭발 전 또는 1행정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폭발 후 또는 1 행정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2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explosion or one stroke, and Fig. 2 (b) shows the state after the explosion or after one strok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1)는 스텔링 엔진(10), 이중 피스톤 실린더(20), 방열부(30), 포집탱크(40), 제1 공급관(50), 제2 공급관(60), 연결프레임(70), 순환관(80), 제1 온도센서(110), 제2 온도센서(120), 제3 온도센서(130), 제4 온도센서(140), 제5 온도센서(150), 제1 안전밸브(210), 제1 펌프(220), 제1 개폐구(230), 제2 안전밸브(310), 제2 펌프(320), 제2 개폐구(330), 제1 피스톤(410), 제2 피스톤(420), 연결볼트(430), 너트(440), 실린더(450) 및 유압실(46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ring engine 10, a double piston cylinder 20, a heat dissipating unit 30, a collecting tank 40,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connection frame 70, the circulation pipe 80, 4 temperature sensor 140, a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a first safety valve 210, a first pump 220,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 230, a second safety valve 310, a second pump 320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 330, a first piston 410, a second piston 420, a connecting bolt 430, a nut 440, a cylinder 450 and a hydraulic chamber 460.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제1 피스톤(410), 제2 피스톤(420), 연결볼트(430), 너트(440), 실린더(450) 및 유압실(4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볼트(430)와 너트(440)는 결합수단을 형성한다.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can generate thermal energy.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may include a first piston 410, a second piston 420, a connecting bolt 430, a nut 440, a cylinder 450 and a hydraulic chamber 460. Here, the connecting bolt 430 and the nut 440 form a coupling means.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연결볼트(430)와 너트(440)의 결합에 의해서 제1 피스톤(410) 및 제2 피스톤(42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피스톤(410) 및 제2 피스톤(420)은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piston 410 and the second piston 420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ing bolt 430 and the nut 440. [ Also, the first piston 410 and the second piston 420 can be joined by welding.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실린더(450)의 내부 폭을 다르게 형성하고, 실린더(450)의 내부에 크기가 다른 제1 피스톤(410) 및 제2 피스톤(420)을 연결볼트(430)로 고정할 수 있다. 연결볼트(430)에 체결하는 너트(440)로 제1 피스톤(410) 및 제2 피스톤(4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has an inner wid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cylinder 450. The first piston 410 and the second piston 420 having different sizes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450 by the connecting bolts 430 can do.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piston 410 and the second piston 420 can be adjusted by a nut 440 fastened to the connecting bolt 430.

너트(440)는 제1 피스톤(410) 및 제2 피스톤(420)의 외측 또는 내측 부위에 형성되어, 연결볼트(430)와 체결될 수 있다.The nut 440 may be formed on the outer or inner portion of the first piston 410 and the second piston 420 and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bolt 430.

실린더(450) 내부의 제1 피스톤(410) 및 제2 피스톤(420)이 1행정 하는 경우, 폭발 압력이 유압실(460)만큼 되어야 하나, 일정유압이나 모든 압력의 힘이 표면에서 힘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제2 피스톤(420)을 사용하여 유압실(460)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피스톤(420)의 부피만큼 압축가스, 유압 및 공기압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2 피스톤(420)의 부피만큼 연료가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스톤(420)의 마찰계수에 따른 손실 에너지보다도 더 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first piston 410 and the second piston 420 in the cylinder 450 make one stroke, the explosion pressure must be equal to that of the hydraulic chamber 460. However, The volume of the oil pressure chamber 460 can be reduced by using the second piston 420.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ressed gas,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ir pressure are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second piston 420. Thus, fuel can be saved by the volume of the second piston 420. Further, energy greater than the loss energy due to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econd piston 420 can be obtained.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폭발행정 또는 압축행정 시 내부의 공간이 작아 연료가 적게 투입될 수 있다.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의 폭발행정 또는 압축행정은 반복적인 사이클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동작하므로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has a small internal space during an explosion stroke or a compression stroke, so that less fuel can be injected. The explosion stroke or the compression stroke of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has a repetitive cycle and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to save fuel.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가솔린, 디젤, 유압, 공기피스톤 및 실린더 등 다양한 방식의 실린더 및 피스톤에 적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솔린 실린더, 디젤 실린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각종 중장비용 실린더, 내연기관용 실린더 등에 사용될 수 있다.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cylinders and pistons such as gasoline, diesel, hydraulic, air piston and cylinder. Specifically, it can be used for gasoline cylinders, diesel cylinders, hydraulic cylinders, pneumatic cylinders, various heavy duty cylinders, cylinder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the like.

특히,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행정 시 약 300도의 발열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1)는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의 구동 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한다.Particularly,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generates heat of about 300 degrees during the stroke. The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heat energy generated whe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is drive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1)에 사용하는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일반적인 실린더에 비해 연료 소모량이 20% 적고, 발열량은 1.7배 높으며, 추진력은 1.2배 높은 특징이 있다.The dual piston cylinder 20 used in the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el consumption amount is 20% lower, the heat generation amount 1.7 times higher, and the propulsion force 1.2 times higher than a general cylinder.

또한,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방열부(30)는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할 수 있다. 방열부(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heat dissipating unit 30 can collect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포집탱크(40)는 방열부(30)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포집탱크(40)는 열 손실이 적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포집탱크(40)의 구조는 후술할 방열부(30)의 돌출부(500), 금속층(510), 세라믹층(520), 탄소섬유층(530) 및 보온재층(540)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부(30)에 사용된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lecting tank 40 can store the heat energy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lecting tank 40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small heat loss. The structure of the collecting tank 4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protrusions 500, the metal layer 510, the ceramic layer 520, the carbon fiber layer 530, and the insulating layer 540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have. Further, i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used for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30.

스텔링 엔진(10)은 포집탱크(40)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스텔링 엔진(10)은 열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화하는 외연기관이다. 상세하게는, 스텔링 엔진(10)은 공간 안의 가스를 서로 다른 온도에서 압축 및 팽창시켜 열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The stering engine 10 may receive the heat energy supplied from the collection tank 40 to generate power. The stering engine 10 is an ex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converts heat energy into kinetic energy. Specifically, the stering engine 10 is a device that compresses and expands the gas in the space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convert therm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스텔링 엔진(10)은 가스, 액체 및 고체 연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텔링 엔진(10)은 연소조건의 최적화 및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청정한 연소가 가능하다. 또한, 스텔링 엔진(10)은 배기열 손실이 없고, 재생열 교환기에 의한 열 에너지 회수를 통해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텔링 엔진(10)은 왕복동 방식의 내연기관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현저하게 작아, 실내 설치 및 소형 기관의 동력원으로 적합하다.Stelling engine 10 may use both gas, liquid, and solid fuel. Further, the stering engine 10 is capable of optimizing and controlling combustion conditions. As a result, clean combustion is possible. Further, the stering engine 10 is advantageous in that it has no exhaust heat loss and can have a high efficiency by recovering heat energy by a regenerative heat exchanger. Further, the stering engine 10 is significantly less noise and vibration than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is suitable as a power source for indoor installation and small-sized engines.

스텔링 엔진(10)은 등온팽창, 등적냉각, 등온압축, 등적가열의 4개 과정으로 동작된다. 스텔링 엔진(10)은 고온열교환기, 재생열교환기, 저온열교환기의 3종류 열교환기와 복수의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Stelling engine 10 operates in four stages: isothermal expansion, isothermal cooling, isothermal compression, and isothermal heating. The stering engine 10 may be composed of three kinds of heat exchangers of a high temperature heat exchanger, a regenerative heat exchanger, a low temperature heat exchanger, and a plurality of pist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1)는 알파형 스털링 엔진, 베타형 스털링 엔진, 감마 디스플레이서형 스털링 엔진, 감마 로터리형 스털링 엔진, 링봄형 스털링 엔진, 프리피스톤형 스털링 엔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lpha type Stirling engine, a Beta type Stirling engine, a Gamma Display type Stirling engine, a Gamma rotary type Stirling engine, a Ring spring type Stirling engine, a Free piston type Stirling engine, .

또한, 스텔링 엔진(1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tering engine 1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제1 공급관(50)은 방열부(30)와 포집탱크(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급관(50)은 방열부(30)에서 포집된 열 에너지를 포집탱크(4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관(50)은 열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금속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ipe 50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nd the collecting tank 40. The first supply pipe (50) can supply the heat energy collected by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to the collecting tank (40). Further, the first supply pipe 50 may be formed of a metal wire capable of transmitting thermal energy.

제2 공급관(60)은 스텔링 엔진(10)과 포집탱크(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급관(60)은 포집탱크(40)에 저장된 열 에너지를 스텔링 엔진(10)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second supply pipe (60) may be formed between the stering engine (10) and the collecting tank (40). The second supply pipe (60) can supply heat energy stored in the collection tank (40) to the stering engine (10).

연결프레임(70)은 이중 피스톤 실린더(20)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를 연결하는 프레임이다. 연결프레임(70)은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를 병렬 또는 직렬로 배열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frame 70 is a frame connecting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whe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is formed in a plurality. The connecting frame 7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uch that the double piston cylinders 20 can be arranged in parallel or in series.

순환관(80)은 포집탱크(40)와 방열부(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순환관(80)은 포집탱크(40)의 차가운 유체와 방열부(30)의 뜨거운 유체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또는, 순환관(80)은 포집탱크(40)의 뜨거운 유체와 방열부(30)의 차가운 유체가 순환되는 통로일 수 있다. 순환관(80)은 포집탱크(40)와 방열부(30)에 연결되고, 포집탱크(40)와 방열부(30)의 열 에너지가 서로 순환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순환관(80)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pipe (80) may be formed between the collection tank (40) and the heat dissipation part (30). The circulation pipe (80) is formed to circulate the cold fluid of the collecting tank (40) and the hot fluid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lternatively, the circulation pipe 8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ot fluid of the collecting tank 40 and the cool fluid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re circulated. The circulation pipe 8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4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30 so that the heat energy of the collection tank 40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30 can be circula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circulation pipe 80 may be formed in plural.

제1 온도센서(110)는 포집탱크(4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방열부(3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온도센서(11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온도센서(110)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llection tank 4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30.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2 온도센서(120)는 방열부(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120)는 방열부(30) 표면 또는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온도센서(12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센서(120)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r the space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3 온도센서(130)는 제1 공급관(5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온도센서(130)는 제1 공급관(50)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온도센서(13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3 온도센서(130)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may be attach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lso,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wireless communication.

제4 온도센서(140)는 제2 공급관(6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4 온도센서(140)는 제2 공급관(60)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4 온도센서(14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4 온도센서(140)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may be attach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5 온도센서(150)는 스텔링 엔진(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포집탱크(40)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5 온도센서(15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5 온도센서(150)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ering engine 1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collecting tank 40.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may be attach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1 안전밸브(210)는 제1 공급관(5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안전밸브(21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전밸브(210)는 설정된 수준 이상의 온도 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전밸브(21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제1 안전밸브(210)는 제2 온도센서(120) 및 제3 온도센서(130)에서 측정된 유체의 온도에 대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first safety valve 2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first safety valve 210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The first safety valve 210 may be opened by a temperature or fluid pressure above a predetermined level. Also, the first safety valve 21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safety valve 210 may operate to correspond to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easured at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

제1 펌프(220)는 제1 공급관(5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펌프(220)는 제1 공급관(50)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펌프(22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pump 22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first pump 220 can regulate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50. Also, the first pump 22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1 개폐구(230)는 제1 공급관(5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폐구(230)는 제1 공급관(5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구(23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23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first door 230 can discharge the fluid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50 to the outside. Also, the first door 23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2 안전밸브(310)는 제2 공급관(6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안전밸브(310)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전밸브(310)는 설정된 수준 이상의 온도 또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전밸브(31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안전밸브(310)는 제1 온도센서(110), 제4 온도센서(140) 및 제5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유체의 온도에 대응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2 안전밸브(31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afety valve 31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second safety valve 310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The second safety valve 310 may be opened by a temperature or fluid pressure above a predetermined level. Also, the second safety valve 31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safety valve 310 may operate to correspond to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easured a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and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safety valve 3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제2 펌프(320)는 제2 공급관(6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펌프(320)는 제2 공급관(60)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펌프(32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펌프(3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ump 32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second pump 320 can regulate the pressure of the fluid inside the second supply pipe 60. Also, the second pump 32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pump 320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pumps.

제2 개폐구(330)는 제2 공급관(6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개폐구(330)는 제2 공급관(60)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구(330)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제2 개폐구(33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 closing port 330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ort 330 can discharge the fluid inside the second supply pipe 60 to the outside. Also, the second door 33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second door 33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openings.

또한, 본 발명의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1)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된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be connected to a device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ttached.

제어부는 스텔링 엔진(10)에 연결되고, 스텔링 엔진(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stering engine 10 and can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tering engine 10. [

또한, 제어부는 제1 온도센서(110), 제2 온도센서(120), 제3 온도센서(130), 제4 온도센서(140) 및 제5 온도센서(150)를 통해 측정되는 각 영역에 위치한 유체의 온도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each region measur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30,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and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being located can be delivered.

또한, 제어부는 제5 온도센서(150)에서 측정된 온도가 각 스텔링 엔진(10)에 일정한 양의 유체 또는 열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각각의 제2 안전밸브(310), 제2 펌프(320) 및 제2 개폐구(330)의 개폐 및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each of the second safety valve 310 and the second pump 320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is supplied to the stering engine 10 by a predetermined amount of fluid or thermal energy. Closing and on / off of the second door 330 can be controlled.

이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된 각 스텔링 엔진(10)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가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각 스텔링 엔진(10)에 공급되는 열 에너지가 다르도록 제어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ermal energy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ering engines 10 can be constantly supplied. In addition, the user can control the heat energy supplied to each stering engine 10 through the control unit.

또한, 제어부는 제1 안전밸브(210)을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방열부(30)의 열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제1 안전밸브(210)를 폐쇄시키고, 제1 개폐구(2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afety valve 210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loses the first safety valve 210 to release the heat energy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pen the one door 230.

또한, 제어부는 제2 안전밸브(3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포집탱크(40)의 열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제2 안전밸브(310)를 폐쇄시키고, 제2 개폐구(3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safety valve 310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closes the second safety valve 310 to release the heat energy of the collection tank 40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door 330 to open.

이와 같이 제어부가 방열부(30) 또는 포집탱크(40) 내부의 열 에너지를 방출시킬 수 있어, 방열부(30) 또는 포집탱크(40) 내부에 유체가 응축되어 발생될 수 있는 폭발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can dissipate the heat energy inside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or the collecting tank 40, thereby preventing the explosio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condensation of the fluid inside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or the collecting tank 4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제어부는 제1 안전밸브(210) 및 제2 안전밸브(310)의 개폐동작에 대응하도록 제1 펌프(220) 및 제2 펌프(32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on / off of the first pump 220 and the second pump 320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safety valve 210 and the second safety valve 310.

제1 공급관(50), 제2 공급관(60), 포집탱크(40) 및 스텔링 엔진(10)의 외측면은 보온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온재는 제1 공급관(50), 제2 공급관(60), 포집탱크(40) 및 스텔링 엔진(10) 내부의 열 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온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것이 좋다. 보온재는 코르코, 펠트, 글라스울, 석면, 포옴폴리스틸렌, 염질 섬유판, 석선, 암선, 계조토, 염기성 탄산마크네슘, 탄소섬유, 유리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collecting tank 40 and the stering engine 10 may be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an prevent the heat energy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50,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collecting tank 40 and the stering engine 1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It is recommended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rcor, felt, glass wool, asbestos, foam polystyrene, solid fiber board, cored wire, dark wire, graphene sheet, basic marc nickel carbonate, carbon fiber and glass fiber.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방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방열부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 dissipating unit of a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heat dissipating unit of a high efficiency hybrid integrat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방열부(30)는 내측면에 돌출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30)의 내측면에 돌출부(500)가 형성됨으로써,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방출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내부 면적이 증가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protrusion 5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FIG. The protruding portion 50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30 so that the internal area for collecting heat energy emit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is increased.

방열부(30) 내부의 표면이 ‘-‘ 형상인 경우보다 표면이 엠보싱 처리되어 ‘ㅗ’ 형상인 경우, 표면에 더 많은 열 에너지가 접촉될 수 있다. 이처럼 방열부(30)의 내측면에 돌출부(500)가 형성됨으로써,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더 많이 수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is embossed rather than '-' shape, more heat energy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Since the protrusion 50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mor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can be collected.

또한, 방열부(30)의 내측면에 돌출부(500)가 형성됨에 따라,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돌출부(500)에 의해 난반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50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the noise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can be irregularly reflected by the protrusion 500.

참고로, 난반사는 소리가 어떤 표면에 닿는 경우,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여 흩어지는 현상이다. 소리가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될 경우, 공명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공명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기계 또는 금속 같은 물체가 파괴될 가능성 있다. For reference, diffuse reflec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when a sound touches a certain surface, it does not reflect in a certain direction but reflects in various directions and is scattered. If sound is reflected in a certain direction, resonance may occur. When resonance occu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object such as a machine or a metal is destroyed.

본원발명에서는 방열부(30)의 내측면에 돌출부(500)를 형성하여, 이러한 공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50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to prevent such a resonance phenomenon.

또한, 소리가 난반사 됨으로써,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ound is diffusely reflected, so that the noise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can be attenuated.

방열부(30)는 금속층(510), 세라믹층(520), 탄소섬유층(530), 보온재층(5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unit 30 may include a metal layer 510, a ceramic layer 520, a carbon fiber layer 530, and a heat insulating layer 540.

금속층(510)은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방출되는 열 에너지가 전도되는 층이다. 금속층(510)은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이 높을수록 열 에너지가 흐르는 속도가 빠르다.The metal layer 510 is a layer through which thermal energy emit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is conducted. The metal layer 510 may be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conductivity. The higher the conductivity, the faster the heat energy flows.

참고로, 열은 온도가 높은 부분과 온도가 낮은 부분이 존재할 때, 시간이 흐르면서 온도가 높은 부분에서 온도가 낮은 부분으로 열이 이동한다. 이러한 현상은 고체, 액체, 기체에 관계없이 모든 물질에 있어서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물체의 온도가 다른 부분보다 높다는 뜻은, 그 부분의 분자들의 운동이 다른 부분보다 더 활발하다는 뜻이다. For reference, heat travels from a high temperature part to a low temperature part over time, when there is a high temperature part and a low temperature part. This phenomenon occurs in all materials regardless of solid, liquid, or gas. The temperature of the object is higher than other parts, which means that the motion of the molecules in that part is more active than the other parts.

열의 전달방법은 전도, 대류, 복사가 있다. 전도는 고체 내 온도차이가 나는 분자들이 상호작용에 의하여 위치는 변화하지 않고,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내부 에너지만 전달하는 방식이다. 대류는 액체나 기체 내부에서 온도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높은 에너지의 분자가 낮은 에너지의 분자쪽으로 이동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복사는 같은 물체가 아닌 상태에서 매질이 없이 열이 전달 되는 것으로, 열이 발산 및 흡수에 의하여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Heat transfer methods include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Conduction is the way in which molecules in a solid-state temperature difference transfer their internal energy from a high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without changing its position by interaction. Convection is the way in which a high energy molecule moves toward a low energy molecule and transfers energy when the temperature is not uniform within the liquid or gas. Radiation is the transfer of heat without the medium in the state of not being the same object, and the heat transmits energy by divergence and absorption.

금속층(510)은 알루미늄, 금, 은, 텅스텐, 철, 구리, 청동, 황동, 납, 니켈, 백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510)에 사용되는 금속은 열전도율이 높은 것이 좋다. 열전도율은 단위시간당 전달되는 열 에너지를 의미한다. 또한, 금속층(510)은 제1 열 에너지 전달선 및 제2 열 에너지 전달선과 연결될 수 있다.The metal layer 5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um, gold, silver, tungsten, iron, copper, bronze, brass, lead, nickel and platinum. The metal used for the metal layer 510 preferably has a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refers to the thermal energy delivered per unit time. In addition, the metal layer 5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and the second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세라믹층(520)은 금속층(510)의 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세라믹층(520)은 열전도율이 낮은 것이 좋다. 세라믹층(520)은 금속층(510)의 열 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세라믹은 경도, 강도 및 내열성이 높은 물질이다. 세라믹층(520)에 사용되는 세라믹은 열 전도율이 낮은 세라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세라믹층(520)의 열 전도율이 낮은 원리를 이용하여, 방열부(30) 내부의 열 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세라믹층(520)은 알루미나, 탄화규소, 질화 알루미늄, 질화 규소, 산화 지르코늄, 이산화규소, 사이알론, 유리 세라믹스, 서멧, 생체 세라믹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ramic layer 5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510. The ceramic layer 520 preferably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ceramic layer 520 may prevent the thermal energy of the metal layer 51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Ceramics are materials with high hardness,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The ceramic used for the ceramic layer 520 is preferably a ceramic having a low thermal conductivity. The heat loss inside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30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eramic layer 520 is low. The ceramic layer 5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a, silicon carbide,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zirconium oxide, silicon dioxide, sialon, glass ceramics, cermet, and biological ceramics.

탄소섬유층(530)은 세라믹층(520)의 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탄소섬유층(530)은 방열부(3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섬유는 비강도, 비탄성률이 매우 높다. The carbon fiber layer 53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layer 520. The carbon fiber layer 530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30. [ Carbon fiber has very high non-elasticity and non-elasticity.

또한, 탄소섬유층(530)는 탄소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소재는 강도가 우수하다. 탄소섬유층(530)이 탄소소재를 포함함으로써, 방열부(3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탄소소재는 탄소나노튜브, SWCNT, MWCNT, 카본블랙, 그래핀, 그래파이트, 그래파이트 옥사이드, 풀러렌, REDUCE GRAPHENE 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carbon fiber layer 530 may include a carbon material. Carbon materials have excellent strength. Since the carbon fiber layer 530 includes a carbon material, the strength of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30 can be improved. The carbon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rbon nanotubes, SWCNT, MWCNT, carbon black, graphene, graphite, graphite oxide, fullerene, and REDUCE GRAPHENE OXIDE.

또한, 탄소섬유층(530)은 무기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소재는 열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무기소재는 열적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무기소재는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산화아연,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실리카, 실리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 fiber layer 530 may include an inorganic material. The inorganic material can impart thermal conductivity. In addition, inorganic materials have properties that can maintain thermal stability. The inorganic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itanium dioxide, alumina, zinc oxide, zirconia, zeolite, silica, and silicide.

보온재층(540)은 탄소섬유층(530)의 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온재층(540)은 방열부(30)의 열 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보온재층(540)은 코르코, 펠트, 글라스울, 석면, 포옴폴리스틸렌, 염질 섬유판, 석선, 암선, 계조토, 염기성 탄산마크네슘, 탄소섬유, 유리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layer 54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rbon fiber layer 530. The heat insulating layer 540 can prevent the heat energy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e heat insulation layer 5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rrugated cardboard, felt, glass wool, asbestos, foamed polystyrene, a wool fiberboard, a marble, a corrugated cardboard, a grained soap, a basic marcasite carbonate, carbon fiber and glass fiber.

서술한 바와 같이 방열부(30)는 돌출부(500), 금속층(510), 세라믹층(520), 탄소섬유층(530) 및 보온재층(540)으로 구성되어,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가 열 손실 없이, 제1 공급관(50)을 통해 포집탱크(40)로 이동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unit 30 includes the protrusion 500, the metal layer 510, the ceramic layer 520, the carbon fiber layer 530,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540. The heat generated by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The heat energy can be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tank 40 through the first supply pipe 50 without heat los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high efficiency fusion composit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on the difference from the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도 1과 대비하여, 도 1에 도시된 방열부 및 제1 공급관이 다른 실시 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high efficiency fused composit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first supply pipe shown in FIG. .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s omitted, and the modified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는 스텔링 엔진(10), 이중 피스톤 실린더(20), 방열부(30), 포집탱크(40), 제2 공급관(60), 제1 온도센서(110), 제2 온도센서(120), 제4 온도센서(140), 제5 온도센서(150), 제2 안전밸브(310), 제2 펌프(320) 및 제2 개폐구(33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high efficiency hybrid combined cycle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ring engine 10, a double piston cylinder 20, a heat dissipation unit 30, a collecting tank 40, A first temperature sensor 110,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a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a fifth temperature sensor 150, a second safety valve 310, a second pump 320, And the second door 330 is included.

상기 스텔링 엔진(10), 이중 피스톤 실린더(20), 포집탱크(40), 제2 공급관(60), 제1 온도센서(110), 제2 온도센서(120), 제4 온도센서(140), 제5 온도센서(150), 제2 안전밸브(310), 제2 펌프(320) 및 제2 개폐구(330)는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A second temperature sensor 110,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20, a fourth temperature sensor 140,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140. The stenting engine 10,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the collecting tank 40, the second supply pipe 6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50, the second safety valve 310, the second pump 320, and the second door 330 a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FIG.

구체적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열부(30)는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30)가 이중 피스톤 실린더(20)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방열부(30)에서 포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to enclose the dual piston cylinder 20.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so that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can collect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

방열부(30)는 포집탱크(40)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가 방열부(30)에서 별도의 공급관 없이, 포집탱크(4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방열부(30) 내부에서 유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내부에 순환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portion 30 may be formed to abut the collecting tank 40. Accordingly, the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20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collecting tank 40 without a separate supply pipe in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 In this case, a circulation path may be formed inside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fluid can be circulated.

도 5를 참조하면, 방열부(30) 내부의 열 에너지의 순환은 화살표의 방향처럼 순환될 수 있다. 이처럼, 뜨거운 유체가 포집탱크(40)에 전달되고, 차가워진 유체가 다시 방열부(30)로 순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irculation of the thermal energy inside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can be circulated like the arrow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hot fluid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tank 40, and the cooled fluid can be circulated to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gain.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열 에너지 전달선(도면 미도시)은 방열부(30)와 포집탱크(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 에너지 전달선은 방열부(30)에 포집되는 열 에너지를 포집탱크(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열 에너지 전달선은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열 에너지 전달선은 알루미늄, 금, 은, 텅스텐, 철, 구리, 청동, 황동, 납, 니켈, 백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열 에너지 전달선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first thermal energy transfer line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nd the collecting tank 40.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fer line can transfer the thermal energy collected in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to the collecting tank 40.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luminum, gold, silver, tungsten, iron, copper, bronze, brass, lead, nickel, and platinum. Further,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may be formed in plural.

제6 온도센서(도면 미도시)는 제1 열 에너지 전달선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6 온도센서는 제1 열 에너지 전달선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 에너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6 온도센서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6 온도센서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A sixth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The sixth temperature senso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nergy moving inside the first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The sixth temperature sensor may be attach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sixth temperature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2 열 에너지 전달선(도면 미도시)은 방열부(30)와 스텔링 엔진(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열 에너지 전달선이 방열부(30)와 스텔링 엔진(10)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이중 피스톤 실린더(20)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스텔링 엔진(10)의 열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A second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unit 30 and the stering engine 10. [ The second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ng unit 30 and the stelling engine 10 so that the thermal energy generated in the dual piston cylinder 20 can be directly used as a heat energy source for the stering engine 10. [ .

제7 온도센서(도면 미도시)는 제2 열 에너지 전달선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7 온도센서는 제2 열 에너지 전달선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열 에너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7 온도센서는 무선통신모듈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7 온도센서는 제어부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venth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The seventh temperature sensor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nergy moving inside the second thermal energy transmission line. The seventh temperature sensor may be attach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lso, the seventh temperature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y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제어부는 제6 온도센서 및 제7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각 영역에 위치한 열 에너지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receive information of thermal energy located in each region measured through the sixth temperature sensor and the seventh temperature senso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clear to the person.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10 : 스텔링 엔진
20 : 이중 피스톤 실린더
30 : 방열부
40 : 포집탱크
50 : 제1 공급관
60 : 제2 공급관
70 : 연결프레임
80 : 순환관
110 : 제1 온도센서
120 : 제2 온도센서
130 : 제3 온도센서
140 : 제4 온도센서
150 : 제5 온도센서
210 : 제1 안전밸브
220 : 제1 펌프
230 : 제1 개폐구
310 : 제2 안전밸브
320 : 제2 펌프
330 : 제2 개폐구
410 : 제1 피스톤
420 : 제2 피스톤
430 : 연결볼트
440 : 너트
450 : 실린더
460 : 유압실
500 : 돌출부
510 : 금속층
520 : 세라믹층
530 : 탄소섬유층
540 : 보온재층
1: High efficiency hybrid composite generator
10: Stelling engine
20: Double piston cylinder
30:
40: collection tank
50: first supply pipe
60: Second supply pipe
70: Connection frame
80: Circulation tube
110: first temperature sensor
120: second temperature sensor
130: third temperature sensor
140: fourth temperature sensor
150: fifth temperature sensor
210: First safety valve
220: first pump
230: 1st door
310: Second safety valve
320: Second pump
330: second opening / closing door
410: first piston
420: second piston
430: Connecting bolt
440: nut
450: Cylinder
460: Hydraulic chamber
500: protrusion
510: metal layer
520: ceramic layer
530: carbon fiber layer
540:

Claims (11)

내부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피스톤 실린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저장하는 포집탱크;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텔링 엔진;
상기 방열부와 상기 포집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부에서 포집된 상기 열 에너지를 상기 포집탱크로 공급하는 제1 공급관;
상기 스텔링 엔진과 상기 포집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포집탱크에 저장된 열 에너지를 상기 스텔링 엔진으로 공급하는 제2 공급관;
상기 포집탱크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방열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센서;
상기 방열부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제1 공급관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3 온도센서;
상기 제2 공급관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4 온도센서;
상기 스텔링 엔진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포집탱크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5 온도센서;
상기 스텔링 엔진에 연결되고, 상기 스텔링 엔진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포집탱크 및 상기 방열부와 연결되어, 상기 포집탱크 내부의 유체와 상기 방열부 내부의 유체가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관;
상기 제1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1 안전밸브;
상기 제1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1 개폐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밸브는 상기 제2 온도센서, 제3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유체의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안전밸브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방열부의 열 에너지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상기 제1 안전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 개폐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And a first piston and a second piston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have different sizes and are coupled by a coupling means, wherein the first piston and the second piston move by heat energy At least one double-piston cylinder for generating a pressure;
A heat dissipation unit for collecting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A collection tank for storing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t least one stering engine for receiving the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collection tank to generate power;
A first supply pipe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collecting tank for supplying the heat energy collected by the heat dissipating unit to the collecting tank;
A second supply pipe formed between the stelling engine and the collecting tank for supplying thermal energy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to the stelling engine;
A first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tank for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 second temperature sensor attached inside the heat dissipation unit;
A third temperature sensor attached inside the first supply pipe;
A fourth temperature sensor attached inside the second supply pipe;
A fifth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ering engin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collecting tank;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tering engine and controlling on / off operation of the stering engine;
A circulation pipe connected to the collection tank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to circulate the fluid inside the collection tank and the fluid inside the heat dissipation unit;
A first safety valve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A first pump provided in the first supply pipe; And
And a first opening / closing part provided on the first supply pipe,
The first safety valve operates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loses the first safety valve to discharge the heat energy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to the outsid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afety valv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high-efficiency composite composite power gener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2 안전밸브;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2 펌프; 및
상기 제2 공급관에 구비되는 제2 개폐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전밸브는 상기 제1 온도센서, 제4 온도센서 및 제5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유체의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텔링 엔진에 일정한 유체가 공급되도록 제2 안전밸브, 제2 펌프 및 제2 개폐구의 작동 및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afety valve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A second pump provided in the second supply pipe; And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provided on the second supply pipe,
The second safety valve operates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measur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he fourth temperature sensor and the fifth temperature sensor,
Wherein,
And controls the operation and on / off of the second safety valve, the second pump, and the second door so that a constant fluid is supplied to the at least one stering engine.
내부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피스톤 실린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저장하는 포집탱크; 및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텔링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방출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면적이 증가되며,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도록 내측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And a first piston and a second piston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have different sizes and are coupled by a coupling means, wherein the first piston and the second piston move by heat energy At least one double-piston cylinder for generating a pressure;
A heat dissipation unit for collecting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A collection tank for storing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And at least one stering engine for receiving the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collecting tank to generate power,
The heat-
Wherein an area for collecting heat energy emit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is increas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o as to attenuate noise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방출되는 열 에너지가 전도되는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세라믹층;
상기 세라믹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탄소섬유층; 및
상기 탄소섬유층의 타면 상에 형성되는 보온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8,
The heat-
A metal layer through which thermal energy emit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is conducted;
A ceramic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etal layer;
A carbon fiber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eramic layer; And
And a hea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rbon fiber lay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층과 제1 공급관, 제2 공급관, 포집탱크 및 스텔링 엔진의 외측면은 보온재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온재는 코르코, 펠트, 글라스울, 석면, 포옴폴리스틸렌, 염질 섬유판, 석선, 암선, 계조토, 염기성 탄산마크네슘, 탄소섬유, 유리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layer, the first supply pipe, the second supply pipe, the collecting tank and the stering engine are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thermal insulation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of corrugated cardboard, felt, glass wool, asbestos, foamed polystyrene, solid fiber board, marble, rock, .
내부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삽입되며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2 피스톤이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피스톤 실린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수집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저장하는 포집탱크; 및
상기 포집탱크로부터 공급된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텔링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집탱크와 맞닿아 상기 이중 피스톤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열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융복합 발전기.
And a first piston and a second piston which are inserted into the cylinder and have different sizes and are coupled by a coupling means, wherein the first piston and the second piston move by heat energy At least one double-piston cylinder for generating a pressure;
A heat dissipation unit for collecting heat energy generated in the double piston cylinder;
A collection tank for storing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heat dissipation unit; And
And at least one stering engine for receiving the thermal energy supplied from the collecting tank to generate power,
Wherein the heat dissipating unit is formed to enclose the double piston cylinder, and the heat energy generated from the double piston cylinder is transmit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collecting tank.
KR1020150125272A 2015-09-04 2015-09-04 High convergence generator KR101688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272A KR101688801B1 (en) 2015-09-04 2015-09-04 High convergenc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272A KR101688801B1 (en) 2015-09-04 2015-09-04 High convergence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801B1 true KR101688801B1 (en) 2016-12-27

Family

ID=5773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272A KR101688801B1 (en) 2015-09-04 2015-09-04 High convergence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8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2283A3 (en) * 2017-03-28 2018-12-19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device component with a ceramic part, a metal part and an additional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usehold device compon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805A (en) * 2002-02-13 2003-01-15 Katsuhiro Ito Stiring engine power plant using waste heat and natural heat
KR101239846B1 (en) * 2011-05-24 2013-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tirling engine of which the heat-exchange parts are improved
KR20140013860A (en) * 2012-07-27 2014-02-05 전복규 Double pistion cylin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805A (en) * 2002-02-13 2003-01-15 Katsuhiro Ito Stiring engine power plant using waste heat and natural heat
KR101239846B1 (en) * 2011-05-24 2013-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tirling engine of which the heat-exchange parts are improved
KR20140013860A (en) * 2012-07-27 2014-02-05 전복규 Double pistion cylinder
KR101415218B1 (en) * 2012-07-27 2014-07-08 전복규 Double pistion cyl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2283A3 (en) * 2017-03-28 2018-12-19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device component with a ceramic part, a metal part and an additional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household device compon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9437B (en) Highly effective high temperature external combustion engine
JP4580247B2 (en) Engine system
CN102094708A (en) Self-cooling backheating movable cylinder fuel-air engine and Stirling engine
CN101839230A (en) Thermocompressor system
CN101581286A (en) Solar energy stirling engine device
US20070101717A1 (en) Energy recuperation machine system for power plant and the like
CN103883425B (en) A kind of take thermal accumulator as the double-acting type hydraulic transmission Stirling engine of thermal source
US6192683B1 (en) Device for converting therm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CN101988442A (en) Conjugated zero-distance high-low temperature heat source thermomotor
JP2009236456A (en) Pulse tube-type heat storage engine
KR101688801B1 (en) High convergence generator
US4413473A (en) Heat transfer components for Stirling-cycle, reciprocating thermal machines
JP2007009782A (en)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JP2009198084A (en) Pulse pipe type heat storage engine
JP2007527480A (en) Collision heat exchanger for Stirling cycle machine
CN110878722A (en) Opposed free piston Stirling generator system adopting annular combustor to provide heat
CA2714097C (en) Cogeneration apparatus for heat and electric power production
Gehlot et al. Development and fabrication of Alpha Stirling Engine
EP0078850B1 (en) Heat transfer components for stirling-cycle, reciprocating, thermal machines
CN110273778B (en) Heater for Stirling engine and Stirling cycle system
TWI512191B (en) Pulse tube stirling engine
CN201367951Y (en) Efficient high-temperature ex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112241A (en) Stirling engine
KR101738871B1 (en) Thermal to mechanical engine module
JPH10318042A (en) Stirling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