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931B1 - Golf putter - Google Patents

Golf p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931B1
KR101686931B1 KR1020160036667A KR20160036667A KR101686931B1 KR 101686931 B1 KR101686931 B1 KR 101686931B1 KR 1020160036667 A KR1020160036667 A KR 1020160036667A KR 20160036667 A KR20160036667 A KR 20160036667A KR 101686931 B1 KR101686931 B1 KR 10168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grip portion
gripping
shaf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희선
Original Assignee
김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선 filed Critical 김희선
Priority to KR1020160036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9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0Handles with means for indicating correct hold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2Handles contoured according to the anatomy of the user's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golf putter having improved putting straightnes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olf putter comprises: a shaft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head portion provided on a lower end of the shaft to blow a golf ball and having a toe, a heal and a striking surface formed between the heel and the toe and at a predetermined width; and a grip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for a user to grasp and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shaft, wherein the grip portion has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repeated alternatel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urvature on an outer surface, a circular cross section is cut off at one side of the string such that a plane-shaped direction-instruction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on which the respective thumbs are positioned when the user grips the golf putter are formed to be spaced at predetermined gap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 the direction-instruction surface.

Description

골프 퍼터 {GOLF PUTTER} Golf Putter {GOLF PUTTER}

본 발명은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린 위에서 공을 홀컵에 넣을 때 사용되는 골프 클럽인 퍼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pu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tter that is a golf club used when putting a ball into a hole cup on a green.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공을 타격할 때 사용되는 클럽(club, 골프채)은 비거리나 용도에 따라 우드(wood), 아이언(iron), 웨지(wedge), 퍼터(putter)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우드는 가장 긴 클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거리가 길어 주로 장거리 타를 치는데 유용하다. 통상 첫번째 타를 치기 위한 1번 우드를 드라이버로 지칭하기도 한다. 아이언은 우드에 비해 비거리가 짧으며 주로 중단거리 타를 칠 때 사용된다. 아이언은 티(tee)를 사용하여 타격하는 드라이버 등과 달리 주로 페어웨이 위에서 공을 타격하는데 사용되며, 통상 헤드의 각도와 샤프트의 길이 순으로 1 내지 9번 아이언으로 구성된다. 웨지는 9번 아이언보다 샤프트 길이가 짧은 클럽으로, 피칭 웨지(pitching wedge), 어프로칭 웨지(approaching wedge), 샌드 웨지(sand wedge)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통상 특정한 용도로 단거리 타를 치는데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clubs (golf clubs) used when hitting a ball in golf are classified into wood, iron, wedge, and putter depending on the distance or use. Wood is made up of the longest clubs and is useful for long distance rides, mainly because of the long distance. Usually, the first wood for the first riding is referred to as a driver. Irons are shorter in distance than wood, and are used mainly for breaking distance riding. Iron is used to strike the ball on the fairway, unlike a driver who uses a tee to hit, usually consisting of 1 to 9 irons in the order of head angle and shaft length. A wedge is a shorter shaft than a 9 iron, and can be classified as a pitching wedge, an approaching wedge, a sand wedge, etc., and is usually short-lived for a specific purpose .

퍼터는 그린(green) 위에서 공을 홀컵(hole cup)에 넣는데 사용되는 클럽을 지칭한다. 대부분의 경우 골프 경기는 퍼터를 통해 공을 홀컵에 넣음으로써 해당 홀에서의 타가 마무리되기 때문에, 퍼터는 골프 클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예컨대, 경기당 퍼터를 사용하는 횟수를 고려해보면, 18홀 파(par) 72의 골프 경기에서 매 홀당 2회의 퍼팅을 한다고 했을 때, 사용자는 한 라운드당 총 36회의 퍼팅을 하게 되는데, 이는 전체 타수의 절반에 가까운 타수이다. 이와 같이 퍼터는 골프 경기에서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클럽이나, 다른 클럽들에 비해 그 사용에 매우 미세한 방향 조절과 타격 감각을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퍼팅 기술은 골프에 입문하는 초보 골퍼나 여가나 취미 목적의 일반 골퍼들에게 있어 여가 스포츠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A putter refers to a club used to put a ball into a hole cup on the green. In most cases, the putter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golf club, because in most cases the putter is used to put the ball into the hole cup and the rider in the hole finishes. For example, given the number of times a putter is used per game, a putt is played twice per hole in an 18-hole par 72 golf game, the user will make a total of 36 putts per round, It is close to half. Thus, a putter is a club that occupies a considerably high portion in a golf game, but has difficulties in that it requires a very fine directional control and a sense of hitting compared to other clubs. Therefore, putting technology is becoming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to access to leisure sports for beginner golfers who enter golf, and general golfers for leisure and hobby.

한편, 일반적으로 퍼터는 헤드의 모양에 따라 블레이드 타입(blade type)과 말렛 타입(mallet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블레이드 타입의 퍼터는 얇은 헤드의 전통적인 퍼터의 형태로서, 헤드의 무게를 토우(toe)와 힐(heel) 측에 분산시켜 스윗 스팟(sweet spot, 적절한 타격면)을 넓게 형성하게 된다.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280호에서는 이와 같은 블레이드 타입의 퍼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타입 퍼터는 비교적 미세한 힘이나 방향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타격감이 좋은 이점이 있으나, 조금만 잘못 타격할 경우 원하는 방향이나 거리를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퍼팅 기술이 요구되게 된다.In general, the putter can be divided into a blade type and a mallet ty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ead. A blade-type putter is a form of traditional putter with a thin head, which distributes the weight of the head to the toe and heel sides to form a sweet spot (sweet spot). For example,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23280, such a blade-type putter is disclosed. Such a blade-type putter has a relatively small force or directional manipulation, and has a good impact feeling to the user. However, since a desired direction or distance can not be matched if a slight error is hit, a high level of putting technique is required .

말렛 타입은 이러한 블레이드 타입의 조작상 어려움을 일부 개선코자 한 것으로, 헤드가 뒤쪽으로 소정정도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두꺼운 형태의 헤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말렛 타입은 헤드의 형상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안정된 어드레스를 만드는데 효과적이며, 초보 골퍼나 퍼팅의 타격 방향이 불안정한 골퍼들에게 있어 퍼팅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0944367호에서는 이와 같은 말렛 타입으로 전환 가능한 퍼터 헤드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말렛 타입의 경우 미세한 힘의 조절이나 타격감 등에 있어서는 블레이드 타입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각 사용자의 취향이나 퍼팅 기술의 숙련도에 따라 블레이드 타입 또는 말렛 타입이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숙련된 사용자의 경우 블레이드 타입, 초보 골퍼나 퍼팅 기술이 다소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 말렛 타입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The mallet type is intended to partially improve the operational difficulty of such a blade type, and the head has a head shape of a relatively thick shape extending to the rear to a predetermined extent. This type of mallet is known to provide a visually stable address due to the shape of the head and is known to improve putting stability for beginners and golfers with unstable hitting direction of the put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944367 discloses a putter head that can be switched to a mallet type.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llet type, blade type or mallet type is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aste of each user or skill of putting skill, and generally, skill For users with blade type, novice golfer or puttering technique, mallet type tends to be preferred.

한편, 초보 골퍼나 퍼팅 기술이 미숙한 사용자의 경우, 퍼팅의 어려움은 대부분 공의 방향 조절이나 퍼팅 직진성이 떨어지는데서 발생할 수 있다. 즉, 기술적 숙련도가 높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퍼팅시 타격된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굴러가지 않아 퍼팅에 실패하게 된다. 이는 퍼팅시 헤드의 타격면이 원하는 방향과 일치하지 않거나, 타격시 헤드에 가해지는 약한 충격으로 퍼터가 미세하게 비틀리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이다. 특히, 블레이드 타입의 경우, 상대적으로 헤드가 가볍고 민감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퍼팅시 타격면이 미세하게 비틀어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이 미세한 힘 조절이나 타격감에 있어 이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초보 골퍼들이 블레이드 타입 퍼터를 기피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experienced golfer or an inexperienced user, the difficulty of putting can be mostly caused by the direction of the ball or the lack of straightness of putting. That is,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 low technical skill, the putter does not roll the ball in the desired direction during the putting, so that the putting fails. This is a problem in that the striking surface of the head does not coincide with the desired direction during putting, or the putter is twisted slightly due to a slight impact applied to the head when struck.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blade type, since the head is relatively light and sensitive, a phenomenon that the striking surface is slightly twisted at the time of putting can easily occur, and even though this has an advantage in fine force adjustment or impact feeling This is why beginner golfers are avoiding blade-type putters.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280호 (2016년 3월 3일 공개)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23280 (published on Mar. 3, 2016) 등록특허공보 제10-0944367호 (2010년 2월 18일 등록)Patent Registration No. 10-0944367 (registered on Feb. 18, 20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퍼팅시 타격된 공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 퍼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golf putter which can improve the straightness of the ball struck when put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블레이드 타입의 퍼터에 있어서도 타격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골프 퍼터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golf putter that can easily adjust the hitting direction even in a blade-type put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그립 파지가 용이하고, 항상 일정한 그립 파지로 사용 및 퍼팅 연습이 가능한 골프 퍼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golf putter that is easy to grasp a user's grip, and can be used and put in practice with a constant grip gri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샤프트; 공의 타격을 위해 상기 샤프트 하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토우 및 힐과 상기 토우 및 힐 사이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는 타격면을 구비하는 헤드부;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샤프트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정부 및 골부가 교대로 반복되어 외면에 굴곡이 형성되고, 원형의 횡단면이 일측의 현을 중심으로 잘려나가 일측면에 평면 형태의 방향 지시면이 형성되되, 상기 방향 지시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파지시 각 엄지 손가락이 위치되는 복수개의 파지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되, 상기 각 파지홈은 상기 방향 지시면 상에 형성된 것인 골프 퍼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aft comprising: a shaf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ead portio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haft for blowing the ball and having a toe and a striking surface formed between the toe and the heel at a predetermined width; And a grip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for grasping the user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wherein the grip portion is formed by alternately repeating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rough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ircular cross-section is cut around one side of the string, a plane-shaped direction-indicating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the direction-indicating surface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thumb Wherein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in which fingers are positioned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gripping grooves is formed on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퍼터는, 그립부 외면에 형성된 굴곡과 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파지홈을 통해 퍼팅시 타격 충격으로 인한 퍼터의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퍼팅 직진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The golf put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torsion of the putter due to the impact impact at the time of putting through the curvatu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gripper grooves arranged corresponding thereto,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 퍼터는, 방향 지시면을 통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타격 방향을 인지 및 자세 교정할 수 있으며, 파지홈을 기준으로 각 사용자가 항상 일정한 그립 위치로 퍼팅이나 타격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보다 효과적인 퍼팅 연습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olf putt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and easily perceive the batting direction and correct the posture through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and it is also possible for each user to always put It is possible to perform more effective putting practice, et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퍼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 퍼터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그립부의 확대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퍼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golf p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golf putter shown in Fig.
FIG. 3 is a plan view of the golf putter shown in FIG. 1, viewed from above.
4 is an enlarged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p portion shown in Fig.
5 is a state of use of the golf putter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퍼터(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골프 퍼터(100)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golf put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golf putter 100 shown in FIG. FIG. 3 is a plan view of the golf putter 100 shown in FIG. 1, viewed from above.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는 샤프트(110), 헤드부(120) 및 그립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3, the golf put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haft 110, a head 120, and a grip 130.

샤프트(110)는 골프 퍼터(100)의 전체적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대략 바(bar)의 형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10)는 그라파이트(graphite), 스틸, 경량 스틸 등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110) 상부에는 그립부(130)가 구비되고, 샤프트(110) 하단에는 헤드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에 있어서 샤프트(110)는 공지된 다양한 재질, 형상,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된 재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ft 110 is a portion forming the overall contour of the golf putter 10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bar. The shaft 110 may be formed of graphite, steel, light steel or the like. The grip 110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110 and the head 12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shaft 110. . However, in the golf put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ft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known materials, shapes, structures,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erials.

헤드부(120)는 공의 타격을 위한 부분으로, 샤프트(110)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20)는 무게가 토우(toe, 121)와 힐(heel, 122) 측에 분산되어 대략 일(一)자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 타입이나, 헤드가 뒤쪽으로 소정정도 연장되어 대략 반달형으로 형성된 말렛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헤드부(120)는 상기의 블레이드 타입 또는 말렛 타입 외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portion 1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haft 110 as a portion for blowing the ball. The head 120 is a blade type in which the weight is dispersed on the side of the toe 121 and the heel 122 so as to form a substantially one- Type. Alternatively, the head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blade type or mallet type.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는 일반적으로 미숙련된 사용자에 있어 그 사용이나 조작이 어려운 블레이드 타입의 경우라도 후술할 그립부(130) 구성 등을 통해 퍼팅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헤드부(120)는 초보자에게 비교적 사용이 간편한 말렛 타입 외에 블레이드 타입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20)가 블레이드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since the golf put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maintain the putting straightness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grip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ven in the case of a blade type, which is generally difficult for an inexperienced user to use or manipulate, The unit 120 may be formed as a blade type in addition to a mallet type that is relatively easy to use for a novice user.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head unit 120 is formed as a blade type as illustrated in FIGS.

한편, 헤드부(120)는 퍼팅시 공이 접촉 및 타격되는 타격면(123)을 구비할 수 있다. 타격면(123)은 토우(121)와 힐(122) 사이에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 헤드부(120)의 설계시 공의 접촉 및 타격이 의도되는 일명 '스윗 스팟(sweet spot)'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평면인 타격면(123)에 직교하는 방향을 '스트로크 방향(P1)'으로 지칭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head portion 120 may have a striking surface 123 on which the ball is contacted and struck when putting. The striking surface 123 may be formed in a plane between the tow 121 and the heel 122 an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so-called 'sweet spot' in which the ball contact and strike is intended, . ≪ / RTI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lat striking surface 123 will be referred to as a stroke direction P1.

그립부(13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부분으로, 샤프트(110)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립부(130)는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전체 골프 퍼터(100) 길이의 2/3 이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그립부(13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증감 변경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130 may be provided on the shaft 110 as a portion for gripping the user. The grip portion 13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al surfac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extend approximately two-thirds or more of the length of the entire golf putter 100. However, the length of the grip portion 130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need.

그립부(130) 또는 그립부(130)의 외면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있어 그립부(130) 또는 그립부(130) 외면은 우드(woo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드 재질의 그립부(130)는 가공이 용이하고, 파지시 우수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우드의 고유 색상이나 무늬가 그립부(130) 외면에 노출되어 심미적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상품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or the grip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More preferab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or the grip portion 130 may be formed of wood. Such a grip portion 130 made of wo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processed and an excellent grip feeling can be obtained when gripping. In addition, the inherent color or pattern of the wood may be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130 to provide an aesthetic effect, thereby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of the product.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 그립부(130)는 퍼팅시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그립감을 개선하기 위해 굴곡, 홈 등이 구비된 특유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peculiar shape having bends, grooves, etc. in order to improve straightness and improve grip feeling at the time of putting.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그립부(130)의 확대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그립부(130)의 확대도이며, 도 4의 (b) 내지 (d)는 각각 도 4의 (a)에 표시된 b 내지 d선을 따라 취한 그립부(130)의 횡단면도임을 알려둔다.4 is an enlarged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p portion 130 shown in Fig. 4 (a) is an enlarged view of the grip portion 130, and FIGS. 4 (b) to 4 (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grip portion 130 taken along lines b to d shown in FIG. 4 Let us know.

도 4의 (a)를 참조하면, 그립부(130)는 샤프트(1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정도 연장 형성되되, 외면에 굴곡(131)이 형성될 수 있다. 굴곡(131)은 정부(131a)와 골부(131b)가 그립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정부(131a)는 그립부(130)가 반경방향으로 최대 돌출된 지점을 지칭하며, 골부(131b)는 반대로 그립부(130)가 오목하게 인입된 지점을 지칭한다.4 (a), the grip portion 130 is formed on the shaft 110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may be formed with a bend 131. The bend 131 may be formed by alternately repeating the length 131 of the grip 131 and the thickness 131b of the grip 130. At this time, the portion 131a refers to the point where the grip portion 130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to the maximum, and the valley portion 131b refers to the point where the grip portion 130 is concavely inserted.

도 4의 (b) 내지 (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정부(131a) 및 골부(131b)는 그립부(130)의 길이방향을 중심축(O)으로 그립부(130)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부(131a)에서 횡단면의 반경(R1)은 골부(131b)에서 횡단면의 반경(R2)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4A and 4B, each of the grooves 131a and the valleys 131b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ortion 130 as a center axis O, As shown in FIG. The radius R1 of the cross section in the section 131a may be larger than the radius R2 of the cross section in the valleys 131b by a predetermined amount.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정부(131a) 및 골부(131b)는 그립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개가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다만, 정부(131a) 및 골부(131b)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지나친 굴곡(131)으로 인해 파지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정부(131a) 및 골부(131b)의 반복 개수가 지나치게 적으면, 굴곡(131)으로 인한 충분한 파지 및 지지력 보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그립부(130)에 형성된 정부(131a) 및 골부(131b)의 개수는 각각 4 내지 8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a), a plurality of portions 131a and valleys 131b may be alternately repe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130. As shown in FIG. However, if the number of the portions 131a and the valleys 131b is excessively large, it may be inconvenient to grasp due to excessive bending 131. Conversely, if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portions 131a and 131b is excessively small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atisfactory gripping and supporting force assisting effect due to the bending 131. It is therefore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grooves 131a and the valleys 131b formed on the grip 130 is 4 to 8 respectively.

한편, 도 4의 (b) 내지 (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30)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되, 원형의 일부가 현(chord)을 중심으로 잘려나간 형태로 횡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의 현을 중심으로 잘려나간 횡단면은 그립부(130)에 방향 지시면(13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그립부(130)는 원형의 횡단면이 일측의 현을 중심으로 잘려나나 평면 형태의 방향 지시면(132)을 구비할 수 있다.4 (b) to 4 (d), the grip portion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s a whole, and a part of the circular portion is cut along a chord, Can be formed. Thus, the cross-section cut at one side of the string can form the direction-indicating surface 132 in the grip portion 130. That is, the grip portion 13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cut off on one side of the string, or may have a plane-shaped direction-indicating surface 132.

도 4의 (a)를 참조하면, 방향 지시면(132)은 그립부(130) 상단에서 하단까지 그립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그립부(130) 일측면에 평면 형태의 지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30)의 경우 외면에 굴곡(131)이 형성되는바, 도 4의 (a) 등에 도시된 방향 지시면(132) 또한 평면의 외곽 형상이 굴곡져 있는 것임을 알려둔다.4A,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130, and a plane-shaped pointed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130 . In the case of the grip portion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ved portion 13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shown in FIG. 4A or the like is also curved in the outer shape of the plane Let us know.

또한, 전술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방향 지시면(132)은 퍼팅시 공이 타격되는 타격면(123)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방향 지시면(132)에 직교하는 수선 방향(P2)은 타격면(123)에 직교하는 스트로크 방향(P1)과 대략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향 지시면(132)은 사용자가 그립부(130)를 통해 직관적으로 공의 궤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퍼팅시 원하는 방향으로 타격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그립부(130)를 파지하고 어드레스(address) 자세를 취하는 과정에서, 방향 지시면(132)을 원하는 타격 방향과 직교하도록 파지 및 자세 교정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어드레스 자세 등을 교정할 수 있게 한다.3,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triking surface 123 on which the ball is struck when putting. In other words, the perpendicular direction P2 to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can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troke direction P1 orthogonal to the striking surface 123. Such a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allows the user to intuitively perceive the ball trajectory through the grip 130 so that the ball can be struck in a desired direction during putting.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grasping the grip portion 130 and taking an address posture, the user grasps and corrects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desired hitting direction, thereby naturally correcting the address posture do.

다시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30)는 파지홈(133)을 구비할 수 있다. 파지홈(133)은 그립부(130)의 외면이 소정정도 오목하게 인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립부(130) 일측면에 형성된 방향 지시면(1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도 4의 (c) 참조).Referring again to FIG. 4 (a), the grip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gripping groove 133. The gripping grooves 133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part 130 to a predetermined degree and may be formed on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form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art 130 (c)).

또한, 파지홈(13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파지홈(133)은 그립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파지홈(133)은 그립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4 내지 8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총 6개의 파지홈(133)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각 파지홈(133)은 그립부(130) 외면에 형성된 굴곡(131)의 정부(131a)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각 파지홈(133)의 그립부(130) 길이방향 위치는 각 정부(131a)의 길이방향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13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ortions 130. More preferably, four to eight gripping grooves 133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30. In this embodiment, six gripping grooves 133 are provided in total. Each of the gripping grooves 133 may be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131a of the bending 13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130. That is,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130 of each grip groove 13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131a.

상기와 같은 파지홈(133)은 사용자가 그립부(130)를 파지시 각 엄지 손가락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그립부(130) 외면에 형성된 굴곡(131) 및 방향 지시면(132)과 함께 퍼팅시 골프 퍼터(100)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퍼팅 직진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The gripping groove 133 is a portion where each thumb is located when the user grasps the gripping portion 130. The gripping portion 130 includes a curved portion 131 and a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130, The putter 100 is prevented from twisting, an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in improving the putting straightness.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골프 퍼터(100)의 사용 상태도이다.5 is a state of use of the golf putter 100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오른손잡이의 사용자는 왼손을 그립부(130) 상부측에 파지하고, 오른손은 그 아래쪽의 그립부(130)에 파지하여 그립부(130)를 쥐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각 손의 엄지 손가락(T1, T2)을 그립부(130)에 마련된 각 파지홈(133a, 133b)에 위치시키고 그립부(130)를 파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한쪽 엄지 손가락(T1)이 위치한 파지홈(133a)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파지홈이 이격된 다른 파지홈(133b)에 다른 쪽의 엄지 손가락(T2)을 위치시킨 형태로 그립부(130)를 파지할 수 있다. 다만, 그립부(130)의 파지 방법은 각 사용자의 취향이나 신체 조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5, a conventional right-handed user grasps the left han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p portion 130, and the right hand grasps the grip portion 130 on the lower side thereof to grasp the grip portion 130. FIG. At this time, the user can place the thumbs (T1, T2) of each hand on the gripping grooves 133a, 133b provided on the gripping part 130 and grip the gripping part 130. More preferably, the user holds the grip 130 (130)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thumb (T2) is positioned in the other grip groove 133b in which one or more grip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the grip groove 133a in which the one thumb Can be graspe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gripping method of the grip portion 1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aste, body condition, and the like of each user.

상기와 같이 각 엄지 손가락(T1, T2)을 각 파지홈(133a, 133b)에 위치시키고 그립부(130)를 파지한 경우, 파지홈(133)을 통해 엄지 손가락(T1, T2) 부위가 지지될 수 있어 퍼팅시 타격 충격에 의해 골프 퍼터(100)가 비틀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타격면(123)에 공이 충돌되어 샤프트(110)를 축으로 골프 퍼터(100)가 비틀어지는 힘이 파지홈(133)이 위치된 각 엄지 손가락(T1, T2)을 통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의도하는 방향으로 퍼팅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퍼팅시 골프 퍼터(100)가 비틀려 타격된 공의 궤적이 직진성을 잃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퍼팅에 미숙한 사용자나 초보 골퍼라도 쉽게 퍼팅이나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thumbs T1 and T2 are positioned in the gripping grooves 133a and 133b and the gripping portion 130 is gripped as described above, the thumbs T1 and T2 are supported through the gripping grooves 133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olf putter 100 from twisting due to the impact impact at the time of putting. That is, the ball impacts on the striking surface 123 and the force of the golf putter 100 being twisted about the shaft 110 can be supported by the respective thumbs T1 and T2 on which the gripping grooves 133 are located ,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user to putting in a direction that is more easily intended. In other words, the golf putter 100 is twisted at the time of putting, so that the trajectory of the hit ball can be prevented from losing its straightness. Therefore, even a novice golfer or a novice golfer can putting or batting practice easily.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130)는 각 파지홈(133)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각 정부(131a)가 형성된 굴곡(131)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 파지홈(133)에 엄지 손가락(T1, T2)을 위치시키게 되면,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바닥 부위(H)가 자연스럽게 굴곡(131)의 각 정부(131a) 부위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견고하게 그립부(1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즉,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바닥 부위(H)가 그립부(130) 외면에 돌출된 각 정부(131a)에 밀착되어 좀 더 견고하게 그립을 쥘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타격시 충격으로 인한 그립의 풀림이나 골프 퍼터(1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grip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end 131 in which the respective portions 131a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respective gripping grooves 133. [ Therefore, when the thumbs T1 and T2 are positioned in the respective gripping grooves 133 as described above, the palm area H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s naturally positioned at the portion 131a of the bending 131, So that the user can more firmly grip the grip 130. In other words, the palm area H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131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so that the grip can be grasped more firmly. As a result, And the golf putter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 각 파지홈(133)은 그립부(130) 일측면의 방향 지시면(13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엄지 손가락(T1, T2)을 각 파지홈(133)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그립을 쥐게 되면, 자연스럽게 타격면(123)의 방향이 정렬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타격면(123)의 방향을 원하는 타격 방향과 일치시키는 방법 외에, 그립부(130)의 파지를 통해서도 자연스럽게 타격면(123)의 방향을 맞출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gripping grooves 133 is disposed on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ortion 130. Therefore, if the user grasps the grips in such a manner that the thumbs T1 and T2 are positioned in the respective gripping grooves 133, the direction of the striking surface 123 can be naturally aligned, The direction of the striking surface 123 can be naturally adjusted through the grip of the grip portion 130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matching the direction with the desired striking direction.

나아가, 파지홈(133)은 복수개가 그립부(130)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각 사용자는 파지홈(133)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그립 위치를 기억할 수 있으며, 파지홈(133)을 기준으로 항상 일정한 그립 위치로 퍼팅이나 타격 연습을 할 수 있어, 퍼팅 기술의 향상이나 보다 효과적인 퍼팅 연습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Further, since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133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art 130, each user can memorize the grip position suitable for him or her through the gripping groove 133, It is possible to perform putting or batting practice at a predetermined grip position, thereby improving the putting technique and more effective putting practic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골프 퍼터 110: 샤프트
120: 헤드부 121: 토우
122: 힐 123: 타격면
130: 그립부 131: 굴곡
132: 방향 지시면 133: 파지홈
100: Golf putter 110: Shaft
120: head part 121: tow
122: heel 123: striking face
130: grip portion 131:
132: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3: gripping groove

Claims (3)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샤프트(110);
공의 타격을 위해 상기 샤프트(110) 하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토우(toe, 121) 및 힐(heel, 122)과 상기 토우(121) 및 힐(122) 사이에 소정 넓이로 형성되는 타격면(123)을 구비하는 헤드부(120); 및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상기 샤프트(110)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그립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정부(131a) 및 골부(131b)가 교대로 반복되어 외면에 굴곡(131)이 형성되고, 원형의 횡단면이 일측의 현(chord)을 중심으로 잘려나가 일측면에 평면 형태의 방향 지시면(132)이 형성되되, 상기 방향 지시면(132)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의 파지시 각 엄지 손가락(T1, T2)이 위치되는 복수개의 파지홈(133)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되, 상기 각 파지홈(133)은 상기 방향 지시면(132)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방향 지시면(132)은, 상기 방향 지시면(132)에 직교하는 수선 방향(P2)이 상기 타격면(123)에 직교하는 스트로크 방향(P1)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파지홈(133)은, 상기 그립부(13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위치가 상기 각 정부(131a)의 길이 방향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20)는, 블레이드(blade) 타입으로 형성되며,
상기 그립부(130)는, 외면이 우드(wood)를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각 정부(131a)에서의 횡단면에 대한 반경(R1)은, 상기 각 골부(131b)에서의 횡단면에 대한 반경(R2)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파지홈(133)은, 상기 그립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4 내지 8개가 이격 형성되는 골프 퍼터.
A shaft 110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oe 121 and a heel 122 and a striking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width between the toe 121 and the heel 122 123; < / RTI > And
And a grip portion 130 provided on the shaft 110 for grasping the user and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110,
The grip portion 130 is formed by alternately repeating a plurality of portions 131a and a valley portion 131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curved portion 131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30.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ord And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on surfaces 132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the direction indication surface 132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espective thumbs T1 and T2 are positioned at the time of user's gripping, A plurality of holding grooves 133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of the holding grooves 133 is formed on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is formed such that a perpendicular direction P2 to the direction indicating surface 132 is perpendicular to a stroke direction P1 perpendicular to the striking surface 123,
Each of the gripping grooves 133 is formed so that a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30 corresponds to a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ortion 131a,
The head part 120 is formed as a blade type,
The grip portion 130 is formed of a wood material,
The radius R1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in the respective sections 131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adius R2 with respect to the cross section in each of the valleys 131b,
Wherein the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1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ur to eigh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 portion (13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6667A 2016-03-28 2016-03-28 Golf putter KR101686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67A KR101686931B1 (en) 2016-03-28 2016-03-28 Golf p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67A KR101686931B1 (en) 2016-03-28 2016-03-28 Golf put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931B1 true KR101686931B1 (en) 2016-12-15

Family

ID=5757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667A KR101686931B1 (en) 2016-03-28 2016-03-28 Golf p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9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2749A (en) * 2018-12-25 2019-03-08 深圳市绿瑞高尔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tandalone version is automatically for ball equip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890A (en) * 1997-01-27 1998-08-04 Howa Mach Ltd Grip for golf club, club for putter and grip mounting jig
KR20050041579A (en) * 2003-10-31 2005-05-04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Grip for golf club
US7458903B2 (en) * 2006-06-08 2008-12-02 Eaton Corporation Hand 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44367B1 (en) 2009-09-15 2010-03-02 윤창선 Putter head of golf
KR20140036526A (en) * 2012-09-17 2014-03-26 김덕규 Golf putter
KR20160023280A (en) 2014-08-22 2016-03-03 박충열 The put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890A (en) * 1997-01-27 1998-08-04 Howa Mach Ltd Grip for golf club, club for putter and grip mounting jig
KR20050041579A (en) * 2003-10-31 2005-05-04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Grip for golf club
US7458903B2 (en) * 2006-06-08 2008-12-02 Eaton Corporation Hand 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44367B1 (en) 2009-09-15 2010-03-02 윤창선 Putter head of golf
KR20140036526A (en) * 2012-09-17 2014-03-26 김덕규 Golf putter
KR20160023280A (en) 2014-08-22 2016-03-03 박충열 The pu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2749A (en) * 2018-12-25 2019-03-08 深圳市绿瑞高尔夫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tandalone version is automatically for ball equipment
CN109432749B (en) * 2018-12-25 2023-08-25 深圳市绿瑞高尔夫科技有限公司 Automatic ball equipment that supplies of single ed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2557B2 (en) Golf putter grip and golf putter incorporating same
US6022278A (en) Golf club, grip, and club positioning method
US4537403A (en) Golf club
US2321773A (en) Golfer's putter
US8096893B2 (en) Handle configuration and alignment feature for a golf club
EP1494764B1 (en) Handle configuration for a putter type golf club
US5954591A (en) Sports/golf training apparatus
US6296577B1 (en) Method of putting a golf ball
KR100907302B1 (en) Grip for golf club
US7699721B2 (en) Golf tee set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686931B1 (en) Golf putter
WO2003070331A1 (en) Golf club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US5553858A (en) Golf putter
JPS626826B2 (en)
US20090170621A1 (en) Golf grip training aid
US20130296066A1 (en) New golf putter suitable for very effective single- handed putting
EP0576630B1 (en) Racket handle
US5556345A (en) Golf club with improved shafts
US5377987A (en) Golf putter and method for putting
US20070123365A1 (en) Golf club grip
US4247104A (en) Tennis racquet
JP3244323U (en) hand first practice club
KR20090000467U (en) Grip for golf club
US20140329621A1 (en) Golf putting method
KR200397962Y1 (en) Grip of golf cl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