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642B1 -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642B1
KR101686642B1 KR1020140130175A KR20140130175A KR101686642B1 KR 101686642 B1 KR101686642 B1 KR 101686642B1 KR 1020140130175 A KR1020140130175 A KR 1020140130175A KR 20140130175 A KR20140130175 A KR 20140130175A KR 101686642 B1 KR101686642 B1 KR 10168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peration mode
pressure sensing
valu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8153A (en
Inventor
최종덕
기경일
김미선
문영
한상호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상호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642B1/en
Publication of KR2016003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보행 보정 장치의 한 특징은 발의 발꿈치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압력 감지부, 발의 발볼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압력 감지부, 동작 모드와 동작 모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보다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원하는 부분에 대한 압력 상태를 정확히 판정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보행 보정 훈련을 행할 수 있으므로 훈련의 효과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정상 상태로의 걸음걸이도 좀더 신속하게 행해져 자신의 보행 상태를 정상 상태로 바꾸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correcting apparatus. One feature of the gait correct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ressur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 heel of a foot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of the state,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value of the sensing signal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tate, a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for the operation mode and the operation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is at leas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as a steady state when the pressure is greater than one reference valu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cisely determine the pressure state with respect to the desired portion and perform the gait correction training for the desired portion, so that the effect of the training improves, thereby making the gait to the steady state more quickly, It is changed to a normal state.

Description

보행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0002]

본 발명은 보행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t correc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는 해결이 되었으나, 오히려 스트레스, 성인병 및 비만 등 건강에 관한 문제가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As the income level improv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basic food and shelf issues have been solved, but health problems such as stress, adult diseases and obesity have been raised as social problems.

한편,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시대가 도래되어 전국민 차원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운동 및 자세 교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보행 자세 역시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health has been increasing in the whole nation due to the arrival of the wellbeing age, and as a result, interest in exercise and posture correction has increased, and pace of posture has also become a major concern.

사람의 보행은 무게 중심을 몸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사람은 이동할 때 신체 일부 무게를 자신의 앞에 두어 무게 중심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하고 보행한다. 보행 시 신체의 일부분을 자신의 무게 중심 앞에 둘 때 다리를 들어올리고 상체는 꼿꼿이 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행 속도가 빠르거나, 하지의 근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머리를 앞에 내놓게 된다.A person's walking starts from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front of the body. Thus, when a person moves, he or she move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forward by placing the weight of the body part in front of him. Ideally, you should lift your legs and straighten your upper body when you put a part of your body in front of your center of gravity during your walk. However, in general, people who have a fast walking speed or lack of strength in the lower legs put their heads forward.

머리가 앞으로 나오면 자연스럽게 등이 굽게 되어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head comes forward, the back is bent naturally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caused.

또한, 뇌졸증 환자와 같이 신체의 움직임을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환자나 장애인의 경우 좌우 비대칭 보행이 이루어져, 정상인에 비해 낙상 위험과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In addition, patien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can not control body movements such as stroke patients have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fall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ecause of the asymmetric gait.

따라서, 이런 환자나 장애인일 경우, 별도의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는 재활 운동을 시행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a rehabilitation exercise for calibrating the walking posture is performed using a separate rehabilitation device.

하지만, 재활 장비의 비용이 고가이므로, 개인적으로 가정에서 설치할 수 없어 재활 운동을 위해서는 별도의 재활 치료 기관을 이용해야 하므로,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된다.However, since the cost of rehabilitation equipment is expensive, it can not be installed at home individually, so a separate rehabilitation center must be used fo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so that the inconvenience of users who are not free to walk is increased.

더욱이, 재활 훈련을 하는 치료자가 정확하게 자신의 보행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알 수 없어, 재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Furthermore, the therapist who perform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can not know whether his / her walking motion is being performed correctly, and the rehabilitation effect is deteriorated.

또한, 재활 장비가 설치된 공간이 제한된 공간이므로, 정상적인 보행과 같은 이동 훈련이 어렵고, 재활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서만 재활 치료가 행해진다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pace in which the rehabilitation equipment is installed is limited, movement training such as normal walking is difficult,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is performed only in the space where 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s installed.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901호(공고일자: 2004년 7월 30일, 발명의 명칭: 보행교정용 신발)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57901 (Date of Notification: July 30, 2004, entitled "Walking Sho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소에 관계없이 보행 동작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보행 재활 운동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alking and rehabilitation of a user by performing a walking operation regardless of a plac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는 발의 발꿈치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압력 감지부, 발의 발볼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압력 감지부, 동작 모드와 동작 모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보다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sens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 heel of a foot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A second pressure sensing part for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 storage part storing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for an operation mode and an operation mode, and a storag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arts and the storage part, When the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is greater than th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as a normal state.

상기 동작 모드는 제1 내지 제3 동작 모드 중 하나이고, 상기 기준값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을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제어 유닛은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동작 모드가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의 감지 신호의 입력 순서에 의해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먼저 행해지고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후에 행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과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각각 판정하고,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mode is one of the first to third operation modes, and the reference value includes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pressure sensor Determining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when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at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pressure value to be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by reading only the sensed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when the mode is the operation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third operation mode,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is determined to be in the normal state by the input order of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The pressure sensing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performed first and the sensed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are read out to determine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and the pressure value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후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기까지의 착지 간격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것이 좋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when the landing interval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that the state is normal.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의 상기 제1 및 제2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The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operation mode can b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and the reference valu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at the time of the third operation mode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which require rehabilitation.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이며,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의 제1 및 제2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인 것이 좋다.Wherein the reference value at the tim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opposite to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opposite to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arget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arget pressure value and the second target target pressure value.

상기 특징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된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설정 시간 내에 동작 상태로 전환되면,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설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제1 평균 압력값과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제2 평균 압력값을 판정하고, 상기 제2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판정하고, 상기 제1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 판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모드 '0'을 초과하고,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가 아니거나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라도 제1 및 2 압력 감지부에 의해 각각 감지된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일 경우, 동작 모드를 제3 동작 모드로 판정할 수 있다.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reads a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A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a heel portion of a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is calculated using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during a preset time and a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a foot portion of a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A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is determined; when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is '0',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0' Mode, the first and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exceed the mode " 0 ",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is detec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first, and then the second pressure sensing Or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is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even if the pressure is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fter the pressure is first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When the sensed first and second mean pressure values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the operation mode can be determined as the third operation mode.

상기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opposite to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respectively.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동작 상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판독하여 동작 모드를 판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by reading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te within the set time.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보다 이상일 경우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보행 보정 장치는 상기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n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And a status notif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operating by receiving the operation status notification signal.

상기 특징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는 발 형상의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갑피부, 그리고 상기 갑피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의 발꿈치 부분에 대응하는 뒷부분에 제1 압력 감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발의 발볼 부분에 대응하는 앞부분에 상기 제2 압력 감지부가 장착되는 밑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gait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it correction device comprises a carapace having a foot insertion space and a first pressure sensing part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apace and corresponding to a heel of the foot, And a soleset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설정 시간 내에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압력 감지부 및 제2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발꿈치 부분 및 발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comprising: reading a signal output from an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to determine whether an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has been operated within a set time;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mode and a reference value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reading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Determining a pressure value to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oot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and if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a state of the applied pressure as a normal state.

상기 정상 상태 판정 단계는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동작 모드가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의 감지 신호의 입력 순서에 의해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먼저 행해지고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후에 행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과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각각 판정하고,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steady-state determination step may include reading onl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operation mode to determine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when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step of determining a stat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as a normal state, a step of reading only the sensed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operation mode, Determining a stat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as a normal state when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third operation mode, determining that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The pressure sensing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is performed first and the pressure sensing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performed after the input order of the sensing signal of the negative, And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is determined based on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respectively, by reading the sens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Determining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when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s a steady state.

상기 특징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설정 시간 내에 동작되면,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설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제1 평균 압력값과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제2 평균 압력값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모드 '0'을 초과하고,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가 아니거나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라도 제1 및 2 압력 감지부에 의해 각각 감지된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3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ading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during a set time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operated within a set time, Determining a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and a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using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ensing means,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s the first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0',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s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0' 2 average pressure value exceeds mode " 0 ",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is not the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fter the pressure is first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The first and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respectively, even if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fter the pressure is sensed first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third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and second target pressure values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상기 특징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후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기까지의 착지 간격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착지 간격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발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landing interval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to the pressure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nd when the landing interva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the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can be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1 평균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2 평균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갖고,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제1 평균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갖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2 평균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갖는 것이 좋다.Wherein the reference value has a value larger than the first averag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selected and the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averag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selected, Mod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have a value larger than the first averag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have a value larger than the second averag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신발 형태로 보행 보정 장치가 이루어져 있어, 신발 대신 착용하여 자신의 보행 상태를 점검하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별도의 설치 공간이 불필요하다.According to this aspect, since the walking correction devi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hoe, it is worn instead of shoes to check its own walking condition, so that it is easy to use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또한, 원하는 부분에 대한 압력 상태를 정확히 판정하여 원하는 부분에 대한 보행 보정 훈련을 행할 수 있으므로 훈련의 효과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정상 상태로의 걸음걸이도 좀더 신속하게 행해져 자신의 보행 상태를 정상 상태로 바꾸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state for the desired portion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and the gait correc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for the desired portion, the effect of the training improves, thereby making the gait to the steady state more quickly, State.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제1 또는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태 알림부의 동작 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태 알림부의 동작 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a) and 1 (b) are diagrams of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perspective view and (b) is a bottom view.
2 is a block diagram of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timing of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mod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timing of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hird operation mod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do.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100)는 도 1의 (a)와 (b)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발 형상의 삽입 공간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이 삽입되는 갑피부(10)와 갑피부(10) 하부에서 갑피부(10)와 접하게 위치하는 밑창부(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a) and 1 (b),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shaped insertion space And a sole part (20)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kin (10) at the lower part of the skin part (10).

갑피부(10)는 삽입 공간에 삽입된 발을 감싸고 있으며, 비, 바람, 먼지, 충격 등과 같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삽입 공간에 삽입된 발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도보 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skin 10 covers the fo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and protects the foo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rain, wind, dust, shock, etc., and stably fixes the position of the foot inserted in the insertion space, .

이러한 갑피부(10)에는 사용자의 착용 동작이나 벗음 동작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밈부(11)가 존재한다.At least one tucking portion 11 is provided on the skin 10. The tucking portion 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kin 10. [

각 여밈부(11)는 갑피부(10)에서 사용자의 발등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세로 방향(즉 발등에서 발바닥 쪽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게 위치하고, 벨크로(Velcro)를 이용하여 갑피부(10)의 해당 부분과의 잠금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Each of the fastening portions 1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e portion in the carapace 1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foot to the sole), and the carapace 10 to be locked.

이러한 갑피부(10)는 직물, 천연 가죽, 인조 가죽, 나일론(nylon)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The skin 10 comprises one or more materials such as fabric, natural leather, artificial leather, nylon, and the like.

밑창부(20)는 갑피부(10)와 바로 접해있는 안창과 안창과 접해 있으며 통행로에 직접 접하는 겉창을 구비한다.The sole portion 20 has an insol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10 and an outsole in contact with the insole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ssage.

안창은 충격 흡수 기능과 발을 안정적으로 잡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insole has a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a function to hold the foot stably.

이러한 안창은 가볍고, 신축성이 강하며, 충격 흡수력이 좋은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These insole are made of light, stretchy, shock-absorbing material.

예를 들어, 안창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파일론(phyl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insole may be made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phylon, or polyurethane.

겉창은 신발의 제일 밑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땅이나 아스팔트 등과 같은 통행로에 직접 닿는 부분이다.The outsol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hoe and directly touches the path, such as the ground or asphalt.

따라서, 겉창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마찰력에 강해, 마모가 잘 되지 않아야 된다.Therefore, the outsole should not slip, be strong against friction, and not wear out.

이러한 겉창의 재료로는 고무, 폴리우레탄(ploy urethan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된다.As the material of the outsole, rubber, plyyurethane, ethylene vinyl acetate, etc. are used.

이처럼 본 예의 보행 보정 장치가 신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본 장치를 용이하게 착용한 후 자신의 보행 상태를 점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form of a shoe, the user can easily wrestle the apparatus and check his / her walking state.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본 예의 보행 보정 장치는 시작 스위치(31), 종료 스위치(32),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즉, 압력값)에 따라 해당하는 상태의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 시작 스위치(31), 종료 스위치(32),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 및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50), 그리고 동작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 알림부(60), 동작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부(70), 동작 제어부(50)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80),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31-33, 41, 42, 50-8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90)를 구비한다.In order to check the walking condition of the user,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art switch 31, an end switch 32, an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the start switch 31, the end switch 32,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and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An operation control unit 50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and a status notification unit 60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a display unit 70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And a power supply unit 90 connected to these components 31-33, 41, 42, and 50-80.

시작 스위치(31)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예, 온 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변경되어 보행 보정 장치(100)의 동작을 시작하는 해당 상태의 동작 시작 신호를 출력하고, 종료 스위치(32)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예,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변경되어 보행 보정 장치(100)의 동작을 종료하는 해당 상태의 동작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The start switch 31 outputs an operation start signal in the corresponding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state (e.g., the ON state or the OFF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and the end switch 32 (For example, an ON state or an OFF sta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outputs an operation end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to end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는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보행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 모드와 각 해당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is a switch for judging the user's walking state and sett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mode and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walking state.

이러한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 역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동작 상태(예,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가 변경되어 해당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also changes the operation state (e.g., the on state or the off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본 예의 경우, 동작 모드는 발꿈치와 그 주변 부위인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는 모드인 발꿈치 압력 크기 감지 모드(예, 제1 동작 모드), 발볼과 그 주변 부위인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는 모드인 발볼 압력크기 감지 모드(예, 제2 동작 모드) 및 발볼 부분과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는 발바닥 압력크기 감지 모드(예, 제3 동작 모드)를 구비한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heel pressure magnitude sensing mode (e.g., a first motion mode), which is a mode for determin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and a heel portion around the heel, (E.g., a second operation mode), which is a mode for determining a pressure value, and a foot pressure sensing mode (e.g., a third operation mode) for determin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football and heel .

이때, 제1 동작 모드는 사용자 발바닥의 발볼 부분 쪽으로 몸무게 이동이 불완전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 발꿈치 닿기는 가능하지만 발볼 부분 쪽으로의 몸무게 이동이 불완전한 경우에 해당되며, 제2 동작 모드는 사용자 발꿈치로 몸무게 이동이 불완전하여 발볼 부분만 지면에 닿고 발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아 발꿈치 쪽으로의 몸무게 이동이 불완전한 경우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first operation mode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user's body movement is incomplete toward the football por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ach the heel during walking, but the body weight movement toward the football portion is incomplet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movement is incomplete and only the football part touches the ground and the heel does not touch the ground and the weight movement toward the heel is incomplete.

또한, 제3 동작 모드는 사용자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이 모두 지면에 닿지만, 지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못한 경우에 해당된다.In the third mode of operation, both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of the user touch the ground, but the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ground is not normal.

본 예의 경우, 이러한 동작 모드는 동작 제어부(5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보행 상태가 자동으로 판정된다.In this example, this operation mod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by the user.

이들 스위치(31-33)는 갑피부(10)에 위치할 수 있다.These switches 31-33 can be located on the skin 10.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는 도 1의 (b)에 도시한 것처럼 밑창부(20)의 안창 내에 장착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41 and 42 are mounted in the insole of the sole portion 20 as shown in FIG. 1 (b).

제1 압력 감지부(41)는 밑창부(20)의 뒷부분(21)에 장착되어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압력 감지 신호(예, 제1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The first pressure sensing part 41 is mounted on the rear part 21 of the shoe sole 20 and senses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and outputs a pressure sensing signal of the corresponding state .

제2 압력 감지부(42)는 밑창부(20)의 앞부분(22)에 장착되어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압력 감지 신호(예, 제2 압력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The second pressure sensing part 42 is mounted on the front part 22 of the shoe sole 20 to sense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and output a pressure sensing signal in the corresponding state (e.g., a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

따라서, 본 예에서, 밑창부(20)의 뒷부분(21)은 발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밑창부(20)의 앞부분(22)은 발볼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이다.Therefore, in this example, the rear portion 21 of the sole portion 20 corresponds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22 of the sole portion 20 corresponds to the toe portion.

동작 제어부(50)는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 유닛(51), 제어 유닛(51)과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memory)와 같은 저장부(52) 및 제어 유닛(51)과 연결되어 있는 타이머(timer)(53)를 구비하고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ncludes a control unit 51 tha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using an input signal, a storage unit 52 such as a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1, And a timer 53 which is provided with a timer.

이러한 동작 제어부(50)의 제어 유닛(51)은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로부터 인가되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신호를 각각 판정하여 사용자의 보행 상태, 즉, 걸음걸이 상태를 판정하여 치료 모드인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동작 모드에 맞게 사용자의 걸음걸이가 행해질 경우 상태 알림부(60)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방금 행한 자신의 걸음걸이가 해당 동작 모드에 적합한 상태로 행해진 정상 상태임을 알려준다.The control unit 51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determine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s a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and determines the walking state of the user, And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in the treatment mode. When the user's gait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the state notification unit 60 is driven so that the user's own gait, In the normal state.

저장부(52)는 제어 유닛(51)에 의해 판정된 사용자의 동작 모드와 상태 알림부(60)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준값, 즉 해당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걸음걸이가 행해질 때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져야 하는 압력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다.The storage unit 52 stores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51 and a reference value for operating the state notification unit 60, that is,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And stores a pressure reference value to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reference values.

이때, 제1 동작 모드일 때, 기준값은 발꿈치 부분에 가해져야 하는 발꿈치 압력값이고, 제2 동작 모드일 때, 기준값은 발볼 부분에 가해져야 하는 발볼 압력값이며, 제3 동작 모드일 때, 기준값은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각각 가해져야 하는 발꿈치 압력값이다.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reference value is a heel pressure value to be applied to the heel.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reference value is a toe ball pressure value to b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In the third operation mode, Is the heel pressure value that should be applied to the heel and football, respectively.

따라서, 제1 및 제2 동작 모드일 때, 설정되는 기준값은 하나인 반면, 제3 동작 모드일 때 설정되는 기준값은 두 개(즉,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이다.Accordingly, the reference value set i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 modes is one, while the reference value set in the third operation mode is two (i.e.,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타이머(53)는 제어 유닛(51)에 연결되어 제어 유닛(51)의 제어 동작에 따라 시간을 계수하여 해당 상태의 신호를 제어 유닛(51)으로 전달한다.The timer 53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1 and counts the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51 and transfers the signal of the state to the control unit 51. [

상태 알림부(60)는 사용자의 걸음걸이 상태가 설정된 해당 동작 모드에 적합하게 정상적으로 행해졌을 경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상태 알림부로서, 동작 제어부(50)의 제어 유닛(51)에 연결되어 제어 유닛(51)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정해진 소리를 출력하거나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부저(buzzer)나 스피커(speaker),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ate notifying unit 60 is an operation state informing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when the user's walking state has been normal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operation mode. The state notifying unit 6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1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And may be a buzzer, a speaker,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ound or generating ligh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1.

표시부(70)는 제어 유닛(51)과 연결되어 있고, 제어 유닛(51)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The display unit 7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1 and outputs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1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user.

본 예에서, 표시부(70)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한 예는 최종 목표 압력값, 현재의 기준값, 현재의 동작 모드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an example of the data output to the display unit 70 may be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current reference value, and the current operation mode.

인터페이스부(80)는 보행 보정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The interface unit 80 serves as a pathway to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인터페이스부(8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보행 보정 장치(100) 내부의 해당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보행 보정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8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so as to transmit the data to a corresponding component in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or to transmit data in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to an external apparatus.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입력 및 출력 포트(audio input and output) 포트 및 비디오 입력 및 출력 포트(video input and output port), 이어폰 포트(earphone 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80)에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or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 audio input and output port, and a video input and output port a video input and 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80.

전원부(90)는 보행 보정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전압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장치로서,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와 같은 휴대용 배터리(battery)를 이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90 generates and supplies at least one voltag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100, and a portable battery such as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can be used.

본 예에서, 동작 제어부(50), 상태 알림부(60), 인터페이스부(80) 및 전원부(90)는 역시 갑피부(10)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the interface unit 80, and the power source unit 90 may be located on the skin 10 as well.

이때, 전원부(90)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과 휴대용 배터리의 교체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태 알림부(60) 역시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좀더 용이하게 발생하는 소리나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ower source unit 9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input operation by the user and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portable battery can be performed. Also, at least a part of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 user can easily detect sound or light.

반면, 동작 제어부(50)는 전체가 갑피부(10)속에 내장되어 갑피부(10)에 의해 외부 환경이나 충격으로부터 동작 제어부(50)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is built in the skin 10 to protect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or impact by the skin 10.

본 예에서, 저장부(52)와 타이머(53)는 동작 제어부(40) 내에 위치하지만, 이와는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동작 제어부(40) 외부에 동작 제어부(4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장착될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storage unit 52 and the timer 53 are located 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but may alternativel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as an element separate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

다음,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a control method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전원 스위치(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전원부(90)가 동작하여 보행 보정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보행 보정 장치의 동작이 시작되어 동작 제어부(50)가 동작한다(S10).First, when the power source unit 9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a power switch (not shown) and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is supplied,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starts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50 operates (S10).

다음, 제어 유닛(51)은 시작 스위치(3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시작 스위치(31)가 동작 상태(예,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 S12).Next, the control unit 51 reads the signal output from the start switch 31 and determines whether the start switch 31 is in an operating state (e.g., an ON state) (S11, S12).

시작 스위치(31)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 유닛(51)은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타이머(53)에 의해 계수된 설정 시간 내에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가 비동작 상태(예, 오프 상태)에서 동작 상태(예, 온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S13-S15).The control unit 51 reads out the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and outputs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within the set time counted by the timer 53. [ (For example, an ON state) from a non-operating state (e.g., OFF state) (S13-S15).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가 설정 시간 내에 온 상태로 전환된 상태로 판정되면, 제어 유닛(51)은 사용자의 걸음 상태에 맞는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새롭게 판정하기 위한 동작 상태로 판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has been switched to the on state within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mode for judging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newly corresponding to the user's walking state is determined.

따라서, 제어 유닛(51)은 사용자에 맞는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실시한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51 performs an operation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suitable for the user.

하지만, 설정 시간 내에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가 동작 상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S15), 제어 유닛(51)은 새롭게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설정하는 대신 이미 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이용하는 상태로 판정한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is not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te within the set time (S15), the control unit 51 does not newly set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따라서, 제어 유닛(51)는 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 설정된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현재의 동작 모드와 현재의 기준값으로 판정한다(S16).Therefore, the control unit 51 read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and determines the already set operation mode and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as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the current reference value (S16 ).

그런 다음, 판정된 동작과 기준값에 따른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판정하는 동작을 실시한다(S30).Then, an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user's walk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and the reference value is performed (S30).

다시 단계(S14)로 넘어가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의 온 동작으로 인해, 제어 유닛(51)의 동작 상태가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 상태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먼저 상태 알림부(60)로 제1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재활 운동이 불필요한 정상 상태의 발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동작을 안내한다.If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51 is the operation stat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due to the 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after the process goes back to the step S14, And output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notification unit 60 to guide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of the steady state requiring no rehabilit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태 알림부(60)에서 제1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거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면, 재활 운동이 필요 없는 정상 상태의 발에 보행 보정 장치를 착용한 후 걷기 동작을 실시한다.Accordingly, when the guidan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or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urned on, the user wears the walking correction device in a normal state foot requiring no rehabilitation, and then performs a walking operation do.

따라서, 제어 유닛(51)은 정상 상태의 발에 인가되는 압력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제1 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설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각각 판정한다(S18, S19).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ssure state applied to the foot of the steady state, the control unit 51 output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n outputs the signal outpu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41 and 42 And determines the press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respectively (S18 and S19).

이때,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 의해 각각 감지되는 압력 감지 횟수는 적어도 한번이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pressure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is at least once.

이로 인해, 제어 유닛(51)은 정상 상태의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한다.As a result,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of the normal-state foot.

그런 다음, 제어 유닛(51)은 설정 시간 동안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적어도 한번 판정된 발꿈치 부분의 압력의 평균을 산출하고 또한 설정 시간 동안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적어도 한번 판정된 발볼 부분의 압력의 평균을 판정하여(S20), 발꿈치 부분의 압력값에 대한 평균값을 발꿈치 부분에 대한 최종 목표 압력값(예, 제1 최종 목표 압력값)으로 판정하고 발볼 부분의 압력값에 대한 평균값을 발볼 부분에 대한 최종 목표 압력값(예, 제2 최종 목표 압력값)으로 판정한 후 저장부(52)에 저장한다(S21).Then, the control unit 51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pressures of the heel portion determined at least once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during the set time, and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pressures at least once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42 The average of the pressure values of the heel portion is determined as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e.g., the first final target pressure value) for the heel portion, and the pressure of the ball portion (E.g., the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 for the ball portion and stores the average value in the storage unit 52 (S21).

이처럼, 정상 상태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대한 최종 목표 압력값이 정해지면, 제어 유닛(51)은 상태 알림부(60)로 제2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재활 운동이 필요한 비정상 상태의 발에 인가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안내한다.When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for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is determined by u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of the steady state, the control unit 51 outputs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And guides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reference value by u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ot of the abnormal state requiring mo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태 알림부(60)를 통해 제2 알림 신호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거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면, 비정상 상태의 발에 보행 보정 장치를 착용한 후 걷기 동작을 실시한다.Accordingly, when the guidanc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nnouncement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or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urned on, the user wears the walking correction device at the foot of the abnormal state, and then performs the walking operation.

다음, 제2 알림 신호의 출력이 완료되면, 제어 유닛(51)은 비정상 상태의 발에 인가되는 압력 상태를 판정하기 위해, 설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 의해 감지된 압력값을 각각 판정한다(S23, S24).Next, when the output of the second announcement signal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51 sets the output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for the set time to determine the pressure state applied to the foot of the abnormal state And determines the press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respectively (S23 and S24).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 의해 각각 감지되는 압력 감지 횟수는 적어도 한번이다.Also in this case, the number of pressure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is at least once.

이로 인해, 제어 유닛(51)은 비정상 상태의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한다.For this reason,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in the abnormal state.

그런 다음, 제어 유닛(51)은 설정 시간 동안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적어도 한번 판정된 발꿈치 부분의 압력값에 대한 평균 압력값을 산출하고 또한 설정 시간 동안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적어도 한번 판정된 발볼 부분의 압력의 평균을 판정하여(S20),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의 평균값(예, 제1 평균 압력값)과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의 평균 압력값(예, 제2 평균 압력값)을 각 산출한다(S26).Then, the control unit 51 calculates the average pressure value for the pressure value of the heel portion determined at least once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during the set time, and also calculates the average pressure value for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42 The average pressure value of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toe portion i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e.g.,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For example,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is calculated (S26).

다음, 제어 유닛(51)은 설정 시간 동안 판정된 압력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Next,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of the user by using the pressure value determined during the set time.

예를 들어, 설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 중에서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서만 압력이 감지되고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한 압력 감지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 즉, 사용자의 보행 상태가 발꿈치 부분만을 이용하여 걸음걸이가 행해질 경우,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판정되는 제2 평균 압력값의 크기는 '0'이 된다. For example, during the set time, the pressure is sensed only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and the pressure sensing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is performed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is '0' when the user's gait is performed using only the heel portion.

따라서, 이런 상태일 경우, 제어 유닛(51)는 현재 이용자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산출된 제1 평균 압력값보다 설정비율(예, 5% 내지 10%)만큼 큰 압력값을 제1 동작 모드에 대한 기준값으로 설정한다.Therefore, in such a state, the control unit 51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current user to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sets the pressure value larger by a set ratio (for example, 5% to 10%) than the calculated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set as the reference value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반면, 설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 중에서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서만 압력이 감지되고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한 압력 감지가 행해지지 않아 사용자의 보행 상태가 발볼 부분만을 이용하여 걸음걸이가 행해질 경우,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판정되는 제1 평균 압력값의 크기는 '0'이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set time, the pressure is sensed only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art 42 among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arts 41 and 42, and the pressure sensing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art 41 is not performed,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is '0' when the walking state is performed using only the football portion.

따라서, 이런 상태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현재 이용자의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 설정하고, 산출된 제1 평균 압력값보다 설정 비율(예, 5% 내지 10%)만큼 큰 압력값을 제2 동작 모드에 대한 기준값으로 설정한다.Therefore, 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51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current user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sets the pressure value (for example, 5% to 10%) larger than the calculated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set as the reference value for the second operation mode.

하지만, 설정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 모두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어, 제1 평균 압력값과 제2 평균 압력값이 모드 '0'을 초과하지만,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가 아니거나(즉,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 일 때거나),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라도 제1 및 2 압력 감지부(41, 42)에 의해 각각 감지된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제3 동작 모드로 판정한다. However, 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both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41 and 42 during the set time, the first and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exceed the mode '0' When the pressure is not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art 42 after the pressure is first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art 41 (that is, when the pressure is first detect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art 42) Or 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is first detec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and then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The first and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third operation mode.

이때, 발꿈치 부분을 위한 기준값(예, 제1 기준값)과 발볼 부분을 위한 기준값(예, 제2 기준값)은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산출된 발꿈치 부분에 대한 제1 평균 압력값과 발볼 부분에 대한 제2 평균 압력값보다 각각 설정비율(예, 5% 내지 10%)만큼 큰 압력값으로 설정한다.At this time, a reference value (e.g., a first reference value) for the heel portion and a reference value (e.g., a second reference value) for the ball portion ar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for the calculated heel portion, 2 Set a pressure value that is larger than the average pressure value by a set ratio (for example, 5% to 10%).

하지만,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 의해 감지된 압력의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41)→제2 압력 감지부(42)이고, 제1 압력 감지부(41)의 평균 압력값과 제2 압력 감지부(42)의 평균 압력값이 각각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상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재활 운동을 위한 해당 발의 보행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이럴 경우, 제어 유닛(51)은 표시부(70)를 통해 현재의 정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 후 리턴 단계로 넘어간다.However, the order of sensing the pressure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41 and 42 is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42, and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And the average pressure value of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are respective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the control unit 51 sets the walk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foot for rehabilitation to the normal state .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 informs the user of the current normal state via the display unit 70, and then proceeds to the returning step.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보행 상태에 해당하는 동작 모드와 기준값이 정해지면, 제어 유닛(51)은 설정된 기준값과 최종 목표 압력값을 비교하여, 설정된 기준값이 최종 목표 압력값을 초과하는지 판정한다(S27).When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user's walking state are determined, the control unit 51 compares the set reference value with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t reference value exceeds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S27).

따라서, 설정된 기준값이 최종 목표 압력값을 초과할 경우, 제어 유닛(51)은 설정된 기준값을 최종 목표 압력값으로 재설정하여(S28) 판정된 동작 모드와 그에 따른 기준값을 저장부(52)에 저장한다(S29).Therefore, when the set reference value exceeds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control unit 51 resets the set reference value to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S28), and stores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an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 in the storage unit 52 (S29).

하지만, 설정된 기준값이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단계(S26)에서 판정된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저장부(52)에 저장한다(S29).However, when the set reference valu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control unit 51 stores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determined in step S26 in the storage unit 52 (S29).

본 예의 경우, 최종 목표 압력값을 측정하기 전과 동작 모드 및 기준값을 설정하기 전에 제1 알림 신호와 제2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7, S22)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단계(S17, S22)는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re are steps S17 and S22 for outputting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before measuring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and before setting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but these steps (S17 and S22) Can be omitted.

이러한 단계(S17, S22)가 생략될 경우, 제어 유닛(51)제1 및 제2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17, S22) 없이 곧바로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할 수 있다. If the steps S17 and S22 are omitted, the control unit 51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notification signals S17 and S22 without directly outputting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Can be read out.

또한, 별도의 측정 시작 스위치를 이용하여 최종 목표 압력값의 측정 동작을 제어할 경우, 제어 유닛(51)은 측정 시작 스위치가 동작될 경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최종 목표 압력값을 설정하고, 또한, 동작 모드 및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asurement operation of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is controlled by using the separate measurement start switch, the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can be set, and also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t.

이처럼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33)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 최종 목표 압력값, 동작 모드 및 기준값이 정해지면, 제어 유닛(51)은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른 사용자의 재활 동작을 실행한다.When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operation mode, and the reference value are determi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33, the control unit 51 executes the user's rehabili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따라서, 제어 유닛(51)은 단계(S26, S16)에 의해 판정되어 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S30)일 때 제1 압력 감지부(4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31)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감지된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인 제1 압력값을 판정한다(S32).Therefore,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is the first operation mode S30, which is determined by the steps S26 and S16 and is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S31) and determines a first pressure value which is a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S32).

그런 다음, 제어 유닛(51)은 판정된 제1 압력값이 저장부(52)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3).Then,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first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stored by the storage unit 52 (S33).

판정된 제1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상태 알림부(60)로 정상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S34). 이때, 제어 유닛(51)은 표시부(70)로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의 최종 목표 압력값, 현재 판정된 제1 압력값, 및 기준값을 표시할 수 있다. If the determined first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51 outputs a normal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to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S34).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1 outpu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70 to display the current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currently determined first pressur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따라서, 상태 알림부(60)는 제어 유닛(5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정해진 소리나 빛을 출력하여, 현재 행해진 사용자의 걸음 동작에 의해 설정 부위인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계속해서 기준값 이상의 압력이 발꿈치 부분에 가해질 수 있는 걸음걸이를 행하여 해당 부위의 보행 압력 능력을 강화시키는 재활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tate notifying unit 60 operates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1 to output a predetermined sound or light for a set time, and outputs a sound pressure or a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ly, the user continues to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for strengthening the walking pressure ability of the corresponding part by performing a stepping such that a pressure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can be applied to the heel part.

그런 다음, 제어 유닛(51)은 종료 스위치(3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여 종료 스위치(32)가 사용자에 의해 동작 상태(예, 온 상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한다(S35, S36).Then, the control unit 51 out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end switch 32 to judge whether the end switch 32 has been switched to the operating state (e.g., ON state) by the user (S35, S36).

따라서 종료 스위치(32)가 온 상태가 되면, 제어 유닛(51)은 리턴 단계(S100)로 넘어가 재활 동작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제어 유닛(51)은 단계(S31)로 넘어가 계속해서 제1 동작 모드에 따른 재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nd switch 32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51 proceeds to the returning step S100 and ends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Otherwise, the control unit 51 proceeds to the step S31, And performs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하지만, 단계(S26, S16)에 의해 판정되어 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일 때(S37), 제어 유닛(51)은 제2 압력 감지부(4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38)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감지된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인 제2 압력값을 판정한다(S39).However, when the operation mode determined by the steps S26 and S16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is the second operation mode (S37), the control unit 51 outputs the output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S38) and determines a second pressure value that is a pressur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42 (S39).

그런 다음, 제어 유닛(51)은 판정된 제2 압력값이 저장부(52)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0).Then,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secon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stored by the storage unit 52 (S40).

판정된 제2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상태 알림부(60)로 정상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S41). 이 경우에도 제어 유닛(51)은 표시부(70)로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의 최종 목표 압력값, 현재 판정된 제1 압력값, 및 기준값을 표시할 수 있다. If the determined secon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51 outputs a normal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to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S41). In this case also, the control unit 51 outputs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70 to display the current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currently determined first pressure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따라서, 상태 알림부(60)는 제어 유닛(5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정해진 소리나 빛을 출력하여, 현재 행해진 사용자의 걸음 동작에 의해 설정 부위인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계속해서 기준값 이상의 압력이 발볼 부분에 가해질 수 있는 걸음걸이를 행하여 해당 부위의 보행 압력 능력을 강화시키는 재활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the state notifying unit 60 operates with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51 to output a predetermined sound or light for a set time,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ly, the user continuously performs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strengthen the walking pressure ability of the corresponding part by performing a stepping motion such that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can be applied to the football part.

이러한 제2 동작 모드는 단계(S35, S36)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종료 스위치(32)가 동작될 때까지 행해진다(S42, S43).This second operation mode is performed until the end switch 32 is operated by the user (S42, S43),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teps S35 and S36.

따라서, 동작 모드가 제1 또는 제2 동작 모드일 경우,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압력 감지 신호(sg1) 또는 제2 압력 감지 신호(sg2)에 의해 판정된 압력값이 해당 기준값(ref1, 또는 ref2) 이상일 때 상태 알림부(60)는 동작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or second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sg1 or the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sg2 outputt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ref1 or ref2, the state informing unit 60 operates.

또한, 저장부(52)에 의해 저장된 동작 모드가 제3 동작 모드일 때(S44), 제어 유닛(51)은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인 제1 압력값과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인 제2 압력값을 판정한다(S45, S46).When the operation mode stored by the storage unit 52 is the third operation mode (S44), the control unit 51 reads the detection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A first pressure value which is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a second pressure value which is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ball foot portion are determined (S45, S46).

그런 다음, 제어 유닛(51)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의 입력 순서를 이용하여 재활이 필요한 비정상 상태의 발의 착지 순서에 따른 사용자의 보행 패턴을 판정한다.Then,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e walking patter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anding order of the abnormal state requiring rehabilitation, using the input order of the sens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41 and 42 do.

따라서, 제어 유닛(51)은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41, 42)의 감지 신호의 입력 순서에 의해 발볼 부분보다 발꿈치 부분이 먼저 착지되어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한 압력 감지가 먼저 행해지고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한 압력 감지가 나중에 행해졌는지 판단한다(S47).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1 determines that the heel portion is landed earlier than the football portion according to the input order of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41 and 42, and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41 And whether or not the pressure sensing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is performed later is determined (S47).

이때, 대안적인 예에서, 제어 유닛(51)는 추가로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인 착지 간격 즉,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압력 감지 시점 후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한 압력 감지 시점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control unit 51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and then 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ressure sensing point of time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after the pressure sensing point is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

발의 착지 순서가 발꿈치 부분에서부터 발볼 부분 쪽으로 이루어질 경우, 또는 발꿈치 부분에서부터 발볼 부분 쪽으로 이루어지고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의 착지 간격이 설정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제어 유닛(51)은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판정된 제1 압력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정하고, 또한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판정된 제2 압력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정한다(S48).When the landing order of the feet is made from the heel portion toward the kickball portion or from the heel portion toward the kickball portion and the landing interval between the heel portion and the kickball portion is within the set time range, the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furth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4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S48).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판정된 제1 압력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제2 압력 감지부(42)에 의해 판정된 제2 압력값이 제2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어 유닛(51)은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상태 알림부(60)로 출력하여(S49), 정상적으로 제5 동작 모드에 의해 정해진 동작을 수행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제어 유닛(51)은 표시부(70)로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의 최종 목표 압력값, 현재 판정된 제1 및 제2 압력값, 및 제1 및 제2 기준값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4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4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S49), and notifies the user that the predetermined operation has been normally performed in the fifth operation mode. Further, the control unit 51 may output a signal to the display unit 70 to display the current final target pressure value, the currently determined first and second pressure values, and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따라서, 동작 모드가 제3 동작 모드일 경우,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압력 감지부(41)에 의해 출력되는 제1 압력 감지 신호(sg1)와 제2 압력 감지 신호(sg2)가 서로 중복되고, 각각의 압력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압력값이 각각 제1 기준값(ref1)과 제2 기준값(ref2) 이상일 때 상태 알림부(60)는 동작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third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pressure sensing signal sg1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signal sg2 output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4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tate notifying unit 60 operates when the pressure values determined by the respective pressure sensing signal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ref1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ref2, respectively.

그런 다음, 이미 설명한 것처럼, 종료 스위치(3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제3 동작 모드를 이용한 재활 동작을 계속 실행하거나 재활 동작을 종료하고 리턴 단계(S100)로 넘어간다(S50, S51).Then, as already described, the signal output from the end switch 32 is read and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using the third operation mode is continuously executed or the rehabilitating operation is end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00 (S50, S51).

본 예에 따른 보행 보정 장치는 사용자의 왼발 또는 오른발에 각각 신발 대용으로 착용하여 해당 발의 설정 부위에 기준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재활 운동을 실시하므로, 정상 보행을 위한 적정 압력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재활 동작이 이루어진다.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apply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to the setting region of the foot by worn on the left foot or the right foot of the user for each footwear substitute, An intensive rehabili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이때, 정상 상태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이용하여 최종 목표 압력값을 설정하고, 현재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압력 상태를 이용하여 기준값이 정해지므로 사용자의 몸 상태에 따른 적절한 재활 운동이 행해진다. 또한, 자신의 재활 동작이 정상 상태로 행해질 경우, 상태 알림부(60)를 통해 즉각적으로 알려주므로 사용자의 재활 의지가 향상되어 재활 동작의 효율이 증가한다.At this time, the final target pressure value is set by using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foot of the steady state, and the reference value is determined by using the pressure state of the foot requiring the current rehabilitation exercise, so that appropriate rehabilitation exercis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In addition, when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a normal state, the user is immediately informed via the status notification unit 60 that the rehabilitation will is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the rehabilitation operation is increased.

또한, 본 예의 발 근육 재활 장치는 신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신발 대신 본 예의 보행 보정 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하면 되면,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보행 보정 장치를 설치해야 할 별도의 공간 역시 불필요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는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foot muscle rehabili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hoe, it is easy to use after wearing the walking corr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place of the shoes,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Since the space is also unnecessary,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is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the right.

10: 갑피부 20: 밑창부
21: 밑창부의 뒷부분 22: 밑창부의 앞부분
31: 시작 스위치 32: 종료 스위치
33: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 41, 42: 압력 감지부
50: 동작 제어부 51: 제어 유닛
52: 저장부 53: 타이머
60: 상태 알림부 70: 표시부
80: 인터페이스부 90: 전원부
10: skin 20: outsole
21: rear part of the sole 22: front part of the sole
31: start switch 32: end switch
33: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41, 42:
50: operation control unit 51: control unit
52: storage unit 53: timer
60: status notification unit 70: display unit
80: Interface part 90: Power part

Claims (15)

발의 발꿈치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압력 감지부;
상기 발의 발볼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값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압력 감지부;
제1 내지 제3 동작 모드 중 하나와 상기 제1 내지 제3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가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가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의 감지 신호의 입력 순서에 의해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먼저 행해지고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후에 행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과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각각 판정하고,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발꿈치 부분 및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보행 보정 장치.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of the foot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ed state;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sens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ed stat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for one of the first to third operation modes and one of the first to third operation modes is stored;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and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rein when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the first operation mode, only the sensed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is read to determine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Determining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to be a normal state when the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When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the second operation mode, only the sensed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read to determine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Determining a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ll foot portion as a steady state if it is not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hen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the third operation mode, the pressure sensing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is performed first according to the input order of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And a pressure value to b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a pressure value to b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are respectively determined by reading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A step of determining a stat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as a steady state when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is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and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is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후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기까지의 착지 간격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발꿈치 부분 및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보행 보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landing interval after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before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control signal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And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pressure drop is a normal state.
제1항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며,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의 상기 제1 및 제2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보행 보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value at the time of the first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 heel portion of a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The reference value at the tim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at the time of the third operation mod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pressure values respectively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제4항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이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의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이며,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의 제1 및 제2 기준값은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반대편 발의 발꿈치 부분과 발볼 부분에 각각 가해지는 압력값에 따라 정해지는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인 보행 보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nal target pressur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opposite to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Wherein the reference value at the tim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nal target pressure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 football portion of a foot opposite to a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values in the third operation mode are equal to or lower than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determined according to pressure values respectively applied to a heel portion and a football portion of a foot opposite to the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된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설정 시간 내에 동작 상태로 전환되면,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설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제1 평균 압력값과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제2 평균 압력값을 판정하고,
상기 제2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로 판정하고,
상기 제1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제2 동작 모드로 판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모드 '0'을 초과하고,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가 아니거나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라도 제1 및 2 압력 감지부에 의해 각각 감지된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일 경우, 동작 모드를 제3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보행 보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When a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read and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te within the set time,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need a rehabilitation motion A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a heel portion of a foot and a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a football portion of a foot requiring a rehabilitation motion are determined,
Determining that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operation mode when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is '0'
And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0'
When the first and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exceed the mode '0' and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is not the pressure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fter the pressure is sensed first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may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respectively, even if the pressure is first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n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to be the third operation mode.
삭제delete 제6항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동작 상태로 전환되지 않을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를 판독하여 동작 모드를 판정하는 보행 보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reads the operation mod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not switched to the operation state within the set time.
제1항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의해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보다 이상일 경우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동작 상태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n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pressure value determined b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is greater than th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And a status inform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operating by receiving the operation status informing signal.
제1항에서,
발 형상의 삽입 공간을 구비하는 갑피부; 및
상기 갑피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의 발꿈치 부분에 대응하는 뒷부분에 제1 압력 감지부가 장착되고 상기 발의 발볼 부분에 대응하는 앞부분에 상기 제2 압력 감지부가 장착되는 밑창부;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pidermis having a paw shaped insertion space; And
And a solenoid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rapace and having a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mounted on a rear portion corresponding to a heel portion of the foot and a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mounted on a front portion corresponding to a football portion of the foot, .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동작 모드 설정 스위치가 설정 시간 내에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상기 설정 시간 내에 동작하지 않을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와 기준값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압력 감지부 및 제2 압력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발꿈치 부분 및 발볼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압력값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고,
동작 모드가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만을 판독하여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압력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며,
동작 모드가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의 감지 신호의 입력 순서에 의해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먼저 행해지고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한 압력 감지가 후에 행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각각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과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각각 판정하고, 상기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클 때 상기 발꿈치 부분 및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Reading a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operated within a set time;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and a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does not operate within the set time;
Determining a pressure value applied to at least one of a heel portion and a football portion by reading a sensed signal outpu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t least one reference value,
Wherein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first operation mode, onl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is read to determine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when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pressure drop is a normal stat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second operation mode, only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read to determine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ball portion, and when the determined pressur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state of the applied pressure is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third operation mode, the pressure sensing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is performed first by the input order of the sensing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the pressure sensing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performed after And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a pressure valu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re determined by reading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portions, And determining a state of a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as a steady state when a pressure value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greater than a second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the football portion.
삭제delete 제11항에서,
상기 동작모드 설정 스위치가 설정 시간 내에 동작되면, 상기 제1 및 제2 압력 감지부에서 설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제1 평균 압력값과 재활 운동이 필요한 발의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제2 평균 압력값을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평균 압력값이 '0'일 때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모드 '0'을 초과하고,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가 아니거나 압력 감지 순서가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먼저 압력이 감지된 후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상태라도 제1 및 2 압력 감지부에 의해 각각 감지된 제1 및 제2 평균 압력값이 제1 및 제2 최종 목표 압력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제3 동작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Reading a sensing signal output during the set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when the operation mode setting switch is operated within a set time;
Determining a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a heel portion of a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using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pressure sensing portion and a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applied to a foot portion of a foot requiring rehabilitation;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s the first operation mode when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is '0';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as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is '0';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exceed the mode '0' and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is not the pressure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fter the pressure is sensed first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The pressure sensing sequence may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s sensed by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sensing units, respectively, even if the pressure is first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n sensed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And determining the third mode of operation when the first target mode and the second target mode are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and second final target pressure values.
제13항에서,
상기 제1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후 상기 제2 압력 감지부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기까지의 착지 간격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착지 간격이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상기 발꿈치 부분 및 상기 발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의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정하는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landing interval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range after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el portion and the football portion is a steady state.
제13항에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일 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1 평균 압력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제2 동작 모드일 때, 상기 기준값은 상기 제2 평균 압력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갖고,
상기 제3 동작 모드일 때,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제1 평균 압력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갖고,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2 평균 압력값보다 설정 비율만큼 큰 값을 갖는 보행 보정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selected,
Wherein the reference value has a value larger than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when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rein the first reference value has a value larger than the first average pressur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average pressure value by a predetermined ratio, / RTI >
KR1020140130175A 2014-09-29 2014-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KR101686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75A KR101686642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75A KR101686642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53A KR20160038153A (en) 2016-04-07
KR101686642B1 true KR101686642B1 (en) 2016-12-15

Family

ID=5578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175A KR101686642B1 (en) 2014-09-29 2014-09-29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6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18A (en)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비라이프 Apparatus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pati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3032B (en) * 2019-07-25 2022-03-22 南京德朔实业有限公司 Rear-walking type self-pushing work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01Y1 (en) 2004-05-04 2004-07-30 정환덕 Shoes for walking reform
KR101252634B1 (en) * 2006-04-07 2013-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for analyzing walking motion
KR20100127148A (en) * 2009-05-25 2010-12-03 조준형 Beautiful walking conpensation shoes
KR20120085064A (en)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플렉스엘시디 Wearable gait analysis apparatus and gait analysis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30112082A (en) * 2012-04-03 2013-10-14 주식회사 이-클리오 Exercise management and gait correlation system usig smart sho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18A (en) 2019-12-04 2021-06-14 주식회사 비라이프 Apparatus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of degenerative brain disease pat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53A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1248A1 (en) Exercise Treadmill
CN106063987B (en) Wearabl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US7771371B2 (en) Sports shoe with sensing and control
US20200234604A1 (en) Mobility aid
US8384551B2 (en)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stresses placed on a user
US7355519B2 (en) Body force alarm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67580A1 (en) Rehabilitation System
KR2014005183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
US20180333078A1 (en) Passive foot sensor insole real-time feedback device
KR1017748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WO2013106339A1 (en) System for monitoring running steps
GB2538445A (en) System for aiding a user to move
KR1016866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walking condition
KR101625591B1 (en) Shoe-type exercise device
JP2019217182A (en) Walking state measurement device
JP2016101227A (en) Load detection device and walking assist device
US11969051B2 (en) Internet connected adjustable structural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footwear
US20180336798A1 (en) Passive foot sensor real-time feedback method
KR102306130B1 (en) Exercise assistant system using wearable stimulation member
KR102282205B1 (en)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KR20190071924A (en) Device for analyzing walking condition of insole type
CN115590283B (en) Intelligent shoe-pad of subregion regulation and control
KR20180024156A (en) Functional shoes insole and shoes for analysis gait pattern having the same
KR20240071960A (en) Method for setting zero point of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KR2020010280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l by switching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