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974B1 -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974B1
KR101683974B1 KR1020140100539A KR20140100539A KR101683974B1 KR 101683974 B1 KR101683974 B1 KR 101683974B1 KR 1020140100539 A KR1020140100539 A KR 1020140100539A KR 20140100539 A KR20140100539 A KR 20140100539A KR 101683974 B1 KR101683974 B1 KR 10168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pouch
lithium polymer
polymer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7362A (en
Inventor
김명훈
황창묵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974B1/en
Publication of KR2016001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단방향 또는 양방향 탭에 비해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탭의 방향 수가 증가되어 전극의 전류 패스(path)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isclose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the electrod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irections of the tab that can use current compared to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tab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wherein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minate, Lt; / RTI >

Description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 탭에 비해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탭의 방향 수가 증가되어 전극의 전류 패스(path)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an electrod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irections of a tab capable of using a current as compared with a unidirectional or bi- .

주지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한다. As is well known,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 not be charged.

일 예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의 경우에는 다수 개의 전지 셀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대용량의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low-capacity battery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ed in a pack form, it is mainly us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ortable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 computer and a camcorder.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motor-driving power source such as an apparatus requiring large power, a large-capacity secondary batter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is used.

이와 같은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데, 대표적인 예로서,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 등의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 파우치형의 경우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고 무게가 가벼워서 최근 슬림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전기자동차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Such a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a pouch type, a cylindrical type, a prismatic type, or the like. Among them, in the case of pouch type, its shape is comparatively free and its weight is lighter, and it has recently been us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hich are required to be slim and light in weight, and also used in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한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는 전극 탭의 방향에 따라 단방향과 양방향의 전극 탭을 갖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in a form having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tabs.

도 1은 단방향의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로서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를 보여준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Referring to FIG. 1, there is shown a pouch-typ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 a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상기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는 테두리를 따라 실링(sealing) 된 파우치 포장재(이하, '파우치'라 함)(11)을 구비하며, 상기 파우치(11)는 박막의 금속 필름과 그 양면에 절연성 필름이 부착되어 자유롭게 구부림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 has a pouch 11 sealed with a rim along the rim and the pouch 11 is formed of a thin film of metal film, A film is attached and provided in a freely bendable form.

그리고 상기 파우치(11)에는 전극적층체(미도시)가 내장되며, 상기 파우치(11)의 외부로 양극(+) 및 음극(-) 전극 탭(13, 15)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 탭(13, 15)이 단일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에 따라, 이를 단방향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라 한다. The positive electrode (+) and negative electrode (-) electrode tabs (13, 15) are protruded from the pouch (11) outside the pouch (11). Here, accor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electrode tabs 13 and 15 protrude in a single direction, it is referred to a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 having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도 2는 양방향의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는 상기 파우치(21)의 외부로 양극(+) 및 음극(-) 전극 탭(23, 25)이 돌출되는데,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 탭(23, 25)이 양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에 따라, 이를 단방향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라 한다.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an electrode tab in both directions. 2, positive and negative (-) electrode tabs 23 and 25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pouch 21, and eac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tabs 23 and 25 protrude toward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Thus, accor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electrode tabs 23 and 25 protrude in both directions, this is referred to a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20 having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그런데,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본 일반적인 단방향 전극 탭 또는 양방향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의 경우, 2개의 전극 탭만이 제한적으로 포함되어, 전극의 전류 사용 효율 증가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출력 향상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a general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or a bidirectional electrode tab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only two electrode tabs are limited, The improvement of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is limited.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2119호(2010.07.16. 공개일자)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2119 (published on July 16, 2010),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for a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 탭에 비해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탭의 방향 수가 증가되어 전극의 전류 패스(path)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the electrod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irections of the tab that can use current compared to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tabs.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의 전류 패스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차전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an electrode to improve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wherein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minate, Lt; / RTI >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마다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be arrang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At least one current path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wherein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minate, A secondary battery can be provided.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사각 형상의 상기 파우치의 네 변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protrude from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square pouch.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마다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urrent path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과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laminate;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 electrode tab is provided.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be arrang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사각 형상의 상기 파우치의 네 변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과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may protrude from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square pouch. At least one current path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nd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본 발명에 의하면, 탭의 방향 수가 증가되어 전극의 전류 패스(path)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directions of the tabs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the electrode.

예컨대, 다수 개의 양방향 전극 탭을 하나의 이차전지 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시킬 경우, 기존의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비해 전류 패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re dispos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one secondary battery, the current path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onventional bidirectional electrode tab.

그리고 다수 개의 단방향 전극 탭을 하나의 이차전지 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시킬 경우, 기존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비해 전류 패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are disposed so as to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in one secondary battery, the current path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전극의 전류 패스가 증가됨에 따라 이차전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urrent path of the electrode increases,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도 1은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서의 전류 패스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서의 전류 패스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idirectional electrode tab.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rrent path in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rrent path in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는 전극적층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stack.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한데, 예를 들면, 파우치형, 원통형, 각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파우치형이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는 파우치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ouch type, a cylindrical type, and a prismatic type. Of these, the pouch type is relatively free in shape and light in weight. Hereinafter,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pouch type as an example.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는 포장재인 파우치(110)와, 상기 파우치(110)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may include a pouch 110 as a packaging material and an electrode stacked body embedded in the pouch 1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140).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은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파우치(110)의 외부로 돌출된 양극 전극 탭과 음극 전극 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14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ouch 110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의 경우, 종래의 양방향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도 2의 도면부호 20)와는 달리, 하나의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 내에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극 패스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차전지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bidirectional electrode tab (reference numeral 20 in FIG. 2), on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140) within the housing (100). Thus, the electrode path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4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는 포장재인 파우치(110)의 내부에 소정의 전극적층체(120)가 내장되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이 상기 전극적층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 predetermined electrode stack 120 embedded in a pouch 110 as a packaging material, and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Not shown).

여기서,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은 제1 양방향 전극 탭(130)과 제2 양방향 전극 탭(140)으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Here,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140 are referred to as a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0 and a seco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40.

제1 양방향 전극 탭(130)과 제2 양방향 전극 탭(140)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0 and the seco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4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예컨대, 사각 형상의 파우치(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제1 양방향 전극 탭(130)은 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양방향 전극 탭(140)은 상기 제1 양방향 전극 탭(130)과 교차하는 방향, 즉 도 4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0 protrudes outward from the rectangular pouch 110, and the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0 may protrude up and down in FIG. The seco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4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0,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상기 제1 양방향 전극 탭(130)은 제1 양극 전극 탭(131)과, 제1 음극 전극 탭(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양방향 전극 탭(140) 역시 제2 양극 전극 탭(141)과, 제2 음극 전극 탭(1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0 may include a first positive electrode tab 131 and a first negative electrode tab 133. Similarly, the seco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40 may include a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 141 and a second negative electrode tab 143.

여기서, 제1 양극 전극 탭(131)과 상기 제1 음극 전극 탭(133)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양극 전극 탭(141)과 제2 음극 전극 탭(143)의 위치 역시 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position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tab 131 and the first negative electrode tab 133 can be changed from each other and the positions of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 141 and the second negative electrode tab 143 can be changed. The positions can also be changed with each other.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의 경우 이에 포함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서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좋다.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the case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ps included therein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at intervals.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의 경우 이에 포함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전류 패스 효율성이 향상되며, 이차전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rrangement, in the case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rrent path efficiency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the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included therein, and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is improved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서의 전류 패스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rrent path in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 내에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기존의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전류 패스(P1, P2)가 증가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since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140 are dispos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each other in on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100, compared to a case including a conventional bidirectional electrode tab, P1, and P2) are increased.

구체적인 전류 패스(P1, P2)의 실제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비해 복잡하게 형성되겠으나, 개념적인 이해를 위하여 도 5에서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 사이에서 나타나는 증가된 전류 패스를 간략히 도시하였다. The actual shape of the current paths P1 and P2 will be more complicated than the one shown in FIG. 5, but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increased current path shown between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14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100)에서는 제1 양방향 전극 탭(130)의 사이에서 도면부호 P1과 같은 전류 패스가 나타나게 되며, 제2 양방향 전극 탭(140)의 사이에서 도면부호 P2와 같은 전류 패스가 나타나게 된다. 즉, 단일의 양방향 전극 탭을 갖는 기존의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비해 전류 패스가 증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이차전지의 출력이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lithium polymer rechargeable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rrent path such as the reference numeral P1 appears between the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the seco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40, A current path such as P2 is displayed. That is, the current path can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a single bidirectional electrode tab, and as a result,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0)는 전극적층체(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130, 1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130 and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 220.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0)는 포장재인 파우치(210)와, 상기 파우치(210)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200 may include a pouch 210 as a packaging material and an electrode stacked body embedded in the pouch 2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230, 240, 250, 260.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은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단방향 전극 탭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양극 전극 탭과 음극 전극 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230, 240, 250, and 2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ed body contained in the pouch and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each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projecting in the same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0)의 경우, 종래의 단방향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도 1의 도면부호 10)와는 달리, 하나의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0) 내에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극 패스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차전지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reference numeral 10 in FIG. 1) (230, 240, 250, 260) within the electrode assembly (200). Thus, the electrode path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7 is a conceptual view briefly show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0)는 포장재인 파우치(210)의 내부에 소정의 전극적층체(220)가 내장되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이 상기 전극적층체(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7,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200 includes a predetermined electrode stack 220 embedded in a pouch 210 as a packaging material, and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230, 240, 250, and 26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 body 220.

여기서,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은 제1 단방향 전극 탭(230), 제2 단방향 전극 탭(240), 제3 단방향 전극 탭(250), 그리고 제4 단방향 전극 탭(260)으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230, 240, 250 and 260 may include a first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30, a secon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40, a thir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50, (260), respectively.

그리고 제1 단방향 전극 탭(230), 제2 단방향 전극 탭(240), 제3 단방향 전극 탭(250), 그리고 제4 단방향 전극 탭(260)은 사각 형상인 상기 파우치(210)의 네 변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The first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30, the secon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40, the thir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50 and the fourth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60 are connected to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pouch 210 As shown in Fig.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방향 전극 탭(230)은 상기 파우치(210)의 상측 변을 통해 돌출되는 제1 양극 전극 탭(231), 제1 음극 전극 탭(2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방향 전극 탭(240)은 상기 파우치(210)의 하측 변을 통해 돌출되는 제2 양극 전극 탭(241), 제2 음극 전극 탭(2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방향 전극 탭(250)은 상기 파우치(210)의 우측 변을 통해 돌출되는 제3 양극 전극 탭(251), 제3 음극 전극 탭(2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단방향 전극 탭(260)은 상기 파우치(210)의 좌측 변을 통해 돌출되는 제4 양극 전극 탭(261), 제4 음극 전극 탭(263)을 포함할 수 있다.7, the first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30 includes a first positive electrode tab 231 and a first negative electrode tab 233 protruding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pouch 210 can do. The secon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40 may include a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 241 and a second negative electrode tab 243 protruding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pouch 210. The thir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50 may include a third positive electrode tab 251 and a third negative electrode tab 253 protruding through the right side of the pouch 210. The fourth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60 may include a fourth positive electrode tab 261 and a fourth negative electrode tab 263 protruding through the left side of the pouch 210.

여기서, 제1 양극 전극 탭(231)과 상기 제1 음극 전극 탭(233)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양극 전극 탭(241)과 제2 음극 전극 탭(243)의 위치 역시 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양극 전극 탭(251)과 상기 제3 음극 전극 탭(253)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4 양극 전극 탭(261)과 상기 제4 음극 전극 탭(233)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ode tab 231 and the first cathode tab 233 may be changed and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ode tab 241 and the second cathode tab 243 may be changed They can be changed with each other. The positions of the third anode electrode tab 251 and the third anode tab 253 may be changed from each other and the positions of the fourth anode tab 261 and the fourth cathode tab 23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changed.

이와 같은 배치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의 경우 이에 포함되는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기존 대비 전류 패스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는 이차전지의 출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n arrangement, in the case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rrent path efficienc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ccording to the positions and the number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ps included therein, Can be improv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서의 전류 패스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rrent path in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200) 내에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기존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많은 수로 전류 패스(P1, P2, P3, P4)가 증가되어, 전류 패스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since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230, 240, 250 and 260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on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200, compared with the case of including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A larger number of current paths P1, P2, P3 and P4 are increased, and current path efficiency can be improved.

구체적인 전류 패스(P1, P2, P3, P4)의 실제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것에 비해 복잡하게 구현되겠으나, 개념적인 이해를 위하여 도 8에서는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230, 240, 250, 260) 사이에서 나타나는 전류 패스를 간략히 도시하였다. 8,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230, 240, 250, and 26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8 for the sake of conceptual understanding, though the actual shapes of the current paths P1, P2, P3, ) Are shown in simplified form.

이와 같이, 기존의 경우 하나의 단방향 전극 탭을 갖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전류 패스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차전지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the current path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having one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in the prior art, thereby improv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 are advantages.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 전술한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과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을 모두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both the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nd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다만, 이 경우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적으로 실시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도 상기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의 경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과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전류 패스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However, in this case,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may be modified and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pecific form. Also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t least one current path can be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nd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thereby improving current path efficienc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탭의 방향 수가 증가되어 전극의 전류 패스(path)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directions of the tabs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the electrode.

예컨대, 다수 개의 양방향 전극 탭을 하나의 이차전지 내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시킬 경우, 기존의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비해 전류 패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re dispos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one secondary battery, the current path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onventional bidirectional electrode tab.

그리고 다수 개의 단방향 전극 탭을 하나의 이차전지 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시킬 경우, 기존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비해 전류 패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are arranged so as to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in one secondary battery, the current path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conventional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전극의 전류 패스가 증가됨에 따라 이차전지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urrent path of the electrode increases, the output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지금까지 본 발명인 전류 패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improving the current path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P1, P2, P3, P4: 전극 패스
100: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110: 파우치
120: 전극적층체
130: 제1 양방향 전극 탭
131: 제1 양극 전극 탭
133: 제1 음극 전극 탭
140: 제2 양방향 전극 탭
141: 제2 양극 전극 탭
143: 제2 음극 전극 탭
200: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210: 파우치
220: 전극적층체
230: 제1 단방향 전극 탭
231: 제1 양극 전극 탭
233: 제1 음극 전극 탭
240: 제2 단방향 전극 탭
241: 제2 양극 전극 탭
243: 제2 음극 전극 탭
250: 제3 단방향 전극 탭
251: 제3 양극 전극 탭
253: 제3 음극 전극 탭
260: 제4 단방향 전극 탭
261: 제4 양극 전극 탭
263: 제4 음극 전극 탭
P1, P2, P3, P4: Electrode path
100: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10: Pouch
120: Electrode laminate
130: first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31: first anode electrode tab
133: First negative electrode tab
140: second bidirectional electrode tab
141: second anode electrode tab
143: Second negative electrode tab
200: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10: Pouch
220: electrode laminate
230: first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31: first anode electrode tab
233: first negative electrode tab
240: secon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41: second anode electrode tab
243: second negative electrode tab
250: third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51: Third anode electrode tab
253: Third negative electrode tab
260: fourth unidirectional electrode tab
261: Fourth anode electrode tab
263: fourth cathode electrode tab

Claims (14)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된 양극 전극 탭과 음극 전극 탭을 구비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 각각은, 서로 교차하거나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And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ed body and having anode electrode tabs and cathode electrode tab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ouch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or in the same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current path i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된 양극 전극 탭과 음극 전극 탭을 구비하는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And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ed body and having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ouch in the same direction,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ar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Wherein at least one current path i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사각 형상의 상기 파우치의 네 변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square pouch is protruded from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pouch.
삭제delete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에 내장되는 전극적층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된 양극 전극 탭과, 음극 전극 탭을 구비하는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과,
상기 전극적층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파우치의 외부로 돌출된 양극 전극 탭과 음극 전극 탭을 구비하는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과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전류 패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pouch and an electrode laminate embedded in the pouch,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ouch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stacked body and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tab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ouch in the same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current path is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idirectional electrode tab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bi-
Wherein the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is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전극 탭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bi-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방향 전극 탭은,
사각 형상의 상기 파우치의 네 변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는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lurality of unidirectional electrode tab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square pouch is protruded from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ular pouch.
삭제delete
KR1020140100539A 2014-08-05 2014-08-05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KR101683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39A KR101683974B1 (en) 2014-08-05 2014-08-05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539A KR101683974B1 (en) 2014-08-05 2014-08-05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62A KR20160017362A (en) 2016-02-16
KR101683974B1 true KR101683974B1 (en) 2016-12-08

Family

ID=5544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539A KR101683974B1 (en) 2014-08-05 2014-08-05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9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24A1 (en) * 2019-10-24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99B1 (en) 2017-02-23 2020-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cell with bus bar
KR102261707B1 (en) 2017-03-28 2021-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 Changing Selectively Combination Structure of Electrode Type
KR102137823B1 (en) * 2018-11-19 2020-07-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Lithium metal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26B1 (en) * 2005-07-21 2009-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Variable battery cartridge and medium-large battery module
KR100946579B1 (en) * 2005-10-21 2010-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Flexible Busbar for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24A1 (en) * 2019-10-24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362A (en)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147B1 (en) Battery module for vehicle's battery pack
US9786962B2 (en) Battery pack
JP6131501B2 (en) Battery cell including step structure
KR101792572B1 (en) Battery Cell Having Electrode Coated with Insulating Material
CN106299488B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30576B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it
US9209493B2 (en) Battery pack
KR101683974B1 (en)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KR102119535B1 (en)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Lead Facing Outer Surface of Electrode Assembly
KR102018256B1 (en) Battery Cell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101671421B1 (en) Flexibl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Electrode Pattern-Coated
KR20150112767A (en) Battery
US11189889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752869B1 (en) Lithium secondary cell
US20150072218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28603A (en) Separator of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KR20130090262A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it
JP2015531534A (en) Separation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0122008B2 (en) Electricity charging/discharging device with insulation package enclose member having electrode plate pair with multiple-sided electric conductive terminals
KR20150072236A (en) A Pouch Packaging Structure Having Sealed Terrace Area and a Method thereof
KR101245280B1 (en) Secondary battery with differential electrode structure
KR102576583B1 (en) Bettery cell
KR101995288B1 (en) Electrode assembly
KR20160049826A (en) Flexible lead tab of battery, battrey cell and stack of the same with the lead tab
KR20150122340A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Multi Electrode Ta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