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59B1 -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859B1
KR101683859B1 KR1020150082562A KR20150082562A KR101683859B1 KR 101683859 B1 KR101683859 B1 KR 101683859B1 KR 1020150082562 A KR1020150082562 A KR 1020150082562A KR 20150082562 A KR20150082562 A KR 20150082562A KR 101683859 B1 KR101683859 B1 KR 101683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lens
protective case
image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태
Original Assignee
(주)한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보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한보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8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H04N5/225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일측에 렌즈홀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홀에 렌즈체가 장착되어 있는 보호케이스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장착되게 되면서 상기 스마트기기를 사용자들이 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A shield case fo smart device or its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의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스마트기기와 결합되어 사용자들이 스마트기기를 일반 카메라처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쉴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기기는 일반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이 가능하고, 특히 일측에는 1000만 화소 이상의 고성능 카메라모듈을 내장하여 영상통화 및 고화질의 사진 촬영이 가능한 기기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스마트기기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음성통화나 웹서핑 혹은 동영상 시청 등이 가능하여 다양한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사진을 타인과 공유하면서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 이용하게 되었다.
즉, 간단하게 예를 들면, 스마트기기를 통해 촬영된 사진을 실시간으로 인터넷상에 올리면서 사건현장이나 화재 현장의 소식을 신속하게 타인에게 알리거나 혹은 멋진 공연이나 좋은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면서 새로운 소통의 도구로 자리 잡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때 촬영된 사진은, 개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실시간으로 올려지면서, 단순히 과거의 추억을 떠올리기 위한 매개체에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토리나 정보를 만들어나가는 매개체로 변화하게 되었고, 이러한 욕구에 맞춰 스마트기기의 성능 역시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음성통화나 스케줄 관리, 또는 카메라나 컨트롤러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이 집약되어 있고, 특히 휴대가 가능하면서 한손으로 상기 스마트기기를 들고 통화하가 능하여야지만 하기 때문에 그 형상이 사진을 촬영하기 용이한 카메라와 다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사진을 찍을 때 스마트기기를 가로방향으로 눕힌 후, 상기의 스마트기기의 일측 상단과 일측 하단을 엄지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잡고, 디스플레이 창의 촬영버튼을 눌러 주게 되는데.
이때 스마트기기를 잡고 있는 왼손은 디스플레이창을 가리지 않기 위해 두 손가락으로 6-8mm정도 밖에 하지 않는 스마트기기의 일측 상단과 하단을 불완전하게 잡고 있을 수밖에 없어, 종종 상기 스마트기기를 떨어트리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고,
특히 일측 상단과 하단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타측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창의 촬영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손 떨림 현상 및 상기 스마트기기가 회동으로 인해 흐릿한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던 것이다.
더욱이 종래의 스마트기기는 렌즈가 케이스 안쪽에 내장되어 있을 수 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디지털 줌은 가능하나, 실질적으로 조리게 조절이나 확대 축소와 같은 광학 줌은 불가능하여 촬영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로 사진을 촬영할 때,
상기 스마트기기를 일반 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부족한 촬영감을 보충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호케이스의 일측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는 내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어 있을 때 배면에 위치한 렌즈와 동일선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렌즈홀과, 상기 렌즈홀에 끼워져 있는 렌즈체의 하부를 고정시켜 주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면서, 광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원통형의 렌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홀과 렌즈체를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영상이 내입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이패널에 보여지도록 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기기가 내입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스마트기기와 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통신모듈과, 지시명령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기 위한 쉴드 제어부와, 렌즈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체의 초점조절링과 줌링과 조리개 조절링을 컨트롤하는 렌즈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장착되어 있음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On되도록 하면서 쉴드 제어부로 장착사실을 보고하는 장착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케이스의 일측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는 내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어 있을 때 배면에 위치한 렌즈와 동일선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렌즈홀과, 상기 렌즈홀에 끼워져 있는 렌즈체의 하부를 고정시켜 주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면서, 광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원통형의 렌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홀과 렌즈체를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영상이 내입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이패널로 보여지도록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기기가 내입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스마트기기와 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통신모듈과, 지시명령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기 위한 쉴드 제어부와, 렌즈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체의 초점조절링과 줌링과 조리개 조절링을 컨트롤하는 렌즈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쉴드 제어부는 장착감지부를 통해 보호케이스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장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스마트기기 쪽으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스마트기기의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케이스의 렌즈홀에 렌즈체를 장착하는 한편, 내입부에 스마트기기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가 스마트기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가 촬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카마레모듈을 통해 렌즈홀 및 렌즈체를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모습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셔터버튼 또는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패널상에 구현되어 있는 셔터버튼을 눌러 사진을 촬영토록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지시명령을 받아들여 카메라모듈을 컨트롤하여 촬영된 사진을 확보하는 단계와,
이를 영상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영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입부에는 스마트기기가 장착되어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On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장착감지부가 이러한 사실을 쉴드 제어부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렌즈체가 탈부착되는 보호케이스가 스마트기기의 배면에 조립되게 되면서, 스마트기기를 일반 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별도로 카메라를 구매할 필요가 없게 되면서, 스마트기기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블럭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 및 이의 분해된 모습과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30)를 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보호케이스(10)로써, 이때의 보호케이스는 일면에 스마트기기(30)가 끼워지는 내입부를 형성하고, 타면에는 상기 스마트기기(30)가 내입부 안쪽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스마트기기(30)의 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렌즈홀(11)을 형성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렌즈홀(11)에는 테두리에는 렌즈체(18)의 하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마운트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마운트에 의해 렌즈홀(11)에 결합되어 있는 렌즈체(18)는 탈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광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 만곡 돌출된 그립부(14)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부(14)를 파지한 채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그립부(14)의 주변에는 플래쉬(17)와 셔터버튼(1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립부(14)의 내측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호케이스(10)의 일측단에는 연결커버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연결커버 오픈시 그립부(14) 내측으로 배터리를 삽입하거나 혹은 상기 연결커버 안쪽에 연결부(18)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8)에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그립부(14)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시켜 줄 수도 있다.
참고로, 렌즈홀(11)은 보호 케이스(10)를 관통한 홀로써, 상기 스마트기기(30)의 렌즈로부터 연장된 통공된 홀을 형성하여, 렌즈체(18)를 통해 확보한 피사체의 영상이 스마트기기(30)의 이미지센서에 착상되도록 한다.
또한, 마운트는 렌즈홀(11)에 끼워져 있는 렌즈체(18)를 고정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렌즈홀(11)의 내경 테두리를 감싸는 고정구(1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12)를 끼움결합하여 고정하거나 혹은 나사 등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구(12)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리브살(13)이 내경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체(18)의 하단이 렌즈홀(11)에 삽입된 후 회전 결합되어지면서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렌즈체(18)는 원통형의 렌즈 케이스 안쪽에 다수개의 렌즈를 일렬로 나란히 배치하고, 중간에는 조리개의 개폐정도를 결정하는 조래개 조절링이나 피사체에 대한 초점거리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초점 조절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렌즈체(18)의 하단에는 렌즈홀(11)에 끼워지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21)의 테두리에는 회전결합시 렌즈홀(11)의 리브살(13)과 맞물리는 걸림편(22)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렌즈체(18)는 외측에는 줌링이 형성되어 있고, 수동으로 상기 줌링을 움직여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지만, 그립부(14)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버튼(16) 조작을 통해 보호케이스(10)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 혹은 렌즈체(18)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가 움직이면서 보여지는 피사체의 영상이 자동으로 확대 또는 축소토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1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감아서 여유 있게 쥐고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에는 고무판과 같은 그립패드가 부착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그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그립패드에 복수의 골을 형성하여 파지시 그립감을 향상시켜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립부(14)의 주변에는, 스마트기기(30)의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스마트기기(30)의 촬영을 지시하는 보호케이스(10)의 셔터버튼(15)과, 줌인/줌아웃 기능을 위한 슬라이드버튼(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슬라이드버튼(16)은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카메라의 Focus나 Iris 혹은, Whitebalance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되어지고, 때에 따라서는 이동 방향에 따라 렌즈체(18)를 움직여 광학적으로 줌인 또는 줌아웃이 되면서 피사체의 모습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보여주도록 지시한다.
더불어 상기 슬라이드버튼(16)은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지 않았을 때에는 실시 예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주는 스크롤토록 하거나, 웹페이지나 촬영된 사진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슬라이드버튼(16)은 푸쉬되는 버튼일 수도 있지만, 터치버튼일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30)는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특히 카메라모듈(31)을 내장하고 있는 단말기로써, 대표적인 예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재나 IOS운영체제를 기반으로한 휴대 단말기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타블렛 PC일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스마트기기(30)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게 되면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보호케이스(10)를 컨트롤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호케이스(10)와 스마트기기(30)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0)는 스마트기기(30)가 내입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스마트기기(30)와 보호케이스(10)가 서로 연동하여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2)와, 상기 슬라이드버튼(16)이나 셔터버튼(15)의 동작에 따라 지정된 동작을 취하도록 하는 한편 지시명령을 활성화된 스마트기기(30)로 전달하는 쉴드 제어부(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때에 따라서는 렌즈체(18)의 모터를 움직여 주기 위한 렌즈 구동부(4)와,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30)가 장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장착감지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참고로, 근거리통신모듈(2)은 스마트기기(30)가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채널을 형성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마트기기(30)가 내장하고 있는 통신모듈 중 하나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 또는 IEEE 802.16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 또는 와이맥스 모듈(WiMAX Module)이거나 혹은 저젼력의 블루투스 모듈 혹은 이동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모듈 혹은 NDEF(NFC Data Exchange Format)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NFC모듈 중 하나이다. 더불어 이때의 근거리통신모듈(2)은 모듈화된 상태로 보호케이스(10) 안쪽에 내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쉴드 제어부(1)는 그립부(14) 주변에 형성도어 있는 셔터버튼(15)이나 눌려져 촬영을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받았을 때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을 컨트롤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스마트기기(30)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기기(30)의 카메라모듈(31)이 렌즈체(18)를 통해 보여지는 영상을 촬영토록 지시한다.
또한, 상기 쉴드 제어부(1)는 스마트기기(30)의 디스플레이패널(32) 상에 표출되고 있는 특정버튼을 터치하여 Focus나 Iris 혹은, Whitebalance 혹은 줌인 또는 줌아웃 하도록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받게 되면, 이를 분석하여 렌즈 구동부(4)를 컨트롤하여 렌즈의 초점이나 조리개 혹은 줌인이나 아웃토록 컨트롤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그립부(14)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버튼(16)을 터치하여 직접 렌즈 구동부(4)를 컨트롤하여 초점이나 조리개 혹은 줌인이나 아웃토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쉴드 제어부(1)는 실시 예에 따라 보호케이스(10)와 스마트기기(30)가 서로 채널을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30)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쉴드 제어부(1)는 장착감지부(3)를 통해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30)가 장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스마트기기(30) 쪽으로 전송하여,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구동부(4)는 상기 쉴드 제어부(1)에 의해 컨트롤되어져, 렌즈체(18)에 형성되어 있는 조리개 조절링이나 초점 조절링 혹은 줌링을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렌즈체(18)의 삽입부(21)가 렌즈홀(11) 안쪽에 삽입되어졌을 때, 삽입부(21) 내측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를 움직여 자동으로 조리개를 조절하거나 혹은 초점을 조절하거나 확대축소토록 한다.
또한, 장착감지부(3)는 스마트기기(30)가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내입부 안쪽에 스마트기기(30)가 장착되어 상기 스마트기기(30)의 배면과 보호케이스(10)가 서로 밀착되게 되면 눌려지면서 혹은 이를 감지하면서 쉴드 제어부(1)에 보고한다.
참고로, 스마트기기(30)는 촬영어플리케이션 및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고 있는 영상정보 저장부(33)와, 상기 보호케이스(10)와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와, 렌즈홀(11)을 통해 카메라모듈(31)에 매처진 피사체의 영상을 확보하는 카메라모듈(31)과, 상기 카메라모듈(31)을 통해 확보된 피사체의 영상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32)과, 지시명령에 따라 카메라모듈(31)을 통해 확대된 영상을 핸들링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영상정보 저장부(33)는 스마트기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체제와, 운영체제를 통해 실행되는 촬영어플리케이션 및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 통신부는 보호케이스(10)의 근거리통신모듈(2)과 채널을 형성하는 모듈로써, 이때의 통신부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 또는 IEEE 802.16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 또는 와이맥스 모듈(WiMAX Module) 혹은 저젼력의 블루투스 모듈이거나 NDEF(NFC Data Exchange Format)메시지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NFC모듈들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카메라모듈(31)은 고정 홀더 안쪽에 렌즈커버와 하나 이상의 렌즈를 내장하고 있고, 이러한 고정홀더 하단에 이미지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보드가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4)가 설치되어 있는 제어보드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보호케이스(10)의 렌즈체(18)와 렌즈홀(11)을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모습이 스마트기기(30)의 카메라모듈(31)을 통해 확보되었을 경우, 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4)에 보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패널(32)은 엘시디패널이나 Aoled패널과 같이 모듈화되어 스마트기기(30)에 내장된 패널로,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게 되면, 카메라모듈(31)을 통해 촬영된 영상뿐만 아니라 이의 영상을 핸들링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들이 표출된다. 참고로, 이때 표출되는 버튼에는 확대축소버턴, 셔터버튼, 초점 조절버튼, 조리개 조절버튼, 화이트발란스 버튼 등이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4)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주고, 카메라모듈(31)을 통해 확보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패널(32)에 표출하여 준다. 더불어 셔터버튼이나 특정 버튼 동작시 지시명령을 받아 카메라모듈(31)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을 핸들링하거나, 혹은 보호케이스(10)쪽으로 지시명령을 전송하여 렌즈체(18)의 초점이나 조리개 등을 조절하여 보여지는 영상을 핸들링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체(18)가 렌즈홀(11)에 마운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보호케이스(10)를 스마트기기(30)에 장착하기만 하면 사용자들은 스마트기기(30)를 일반 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부족한 촬영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기기(30)의 작동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먼저 보호케이스(10)의 렌즈홀(11)에 렌즈체(18)를 삽입한후, 상기 렌즈체(18)를 회전결합시켜 마운트에 의해 상기 렌즈체(18)가 고정되어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30)를 장착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0)의 배면에 보호케이스(10)가 조립되어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때 보호케이스(10)의 내입부에는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기기(30)가 장착되어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는 장착감지부(3)가 형성되어 있어, 자동으로 전원이 On되면서 감지된 사실을 쉴드 제어부(1)로 보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쉴드 제어부(1)는 근거리통신모듈(2)을 통해 내입부 안쪽에 장착되어 있는 스마트기기(3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30)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쉴드 제어부(1)는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0) 쪽으로 상기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기기(30)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카메라모듈(31)을 컨트롤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호케이스(10)의 슬라이드버튼(16) 혹은 스마트기기(30)의 디스플레이패널(32) 상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 버튼을 눌러 카메라모듈(31)이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도록 지시한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기기(30)의 특정버튼이 눌려져 촬영된 영상을 핸들링하는 확대/축소, 혹은 초점조절이나 조리개조절을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였을 때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4)가 통신부를 컨트롤하여 보호케이스(10)쪽으로 지시명령을 전송하고,
만일 보호케이스(10)의 슬라이드버튼(16)을 터치하여 촬영된 영상을 핸들링하는 확대/축소, 혹은 초점조절이나 조리개조절을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였을 때에는,
보호케이스(10)의 쉴드 제어부(1)가 이를 받아 들여 분석하고, 렌즈 구동부(4)를 구동시켜 렌즈홀(11)에 장착되어 렌즈체(18)의 줌링이나 조리개 조절링 또는 초점 조절링을 움직여 스마트기기(30)의 카메라모듈(31)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핸들링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촬영된 영상의 핸들링을 완료한 후, 보호케이스(10)의 셔터버튼이 눌러지게 되면, 사진을 촬영토록 하는 지시명령이 생성되게 되고, 이러한 지시명령을 스마트기기(30)로 전송하게 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마트기기(30)의 셔터버튼을 눌러 사진을 촬영토록 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4)가 카메라모듈(31)을 컨트롤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확보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확보된 이미지나 사진은 영상정보 저장부(33)에 저장되는 한편, 상기 이미지나 사진은 디스플레이패널(32)에 표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렌즈체(18)가 렌즈홀(11)에 마운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보호케이스(10)를 스마트기기(30)에 장착하기만 하면 사용자들은 스마트기기(30)를 일반 카메라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부족한 촬영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쉴드 제어부 2:근거리통신모듈
3:장착감지부 4:렌즈 구동부
10:보호케이스 11:렌즈홀
12:고정구 13:리브살
14:그립부 15:셔터버튼
16:슬라이드버튼 17:플래쉬
18:연결부
20:렌즈체 21:삽입부
22:걸림편
30:스마트기기 31:카메라모듈
32:디스플레이패널 33:영상정보 저장부
34:어플리케이션 제어부

Claims (15)

  1. 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 스마트기기가 수용되는 내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어 있을 때 배면에 위치한 렌즈와 동일선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렌즈홀과, 상기 렌즈홀에 끼워져 있는 렌즈체의 하부를 고정시켜 주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면서, 광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원통형의 렌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홀과 렌즈체를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영상이 내입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이패널에 보여지도록 하는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기기가 내입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스마트기기와 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통신모듈과, 지시명령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기 위한 쉴드 제어부와, 렌즈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체의 초점조절링과 줌링과 조리개 조절링을 컨트롤하는 렌즈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장착되어 있음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On되도록 하면서 쉴드 제어부로 장착사실을 보고하는 장착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2. 보호케이스의 일측에는 스마트기기가 수용되는 내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수용되어 있을 때 배면에 위치한 렌즈와 동일선상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렌즈홀과, 상기 렌즈홀에 끼워져 있는 렌즈체의 하부를 고정시켜 주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면서, 광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한 원통형의 렌즈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렌즈홀과 렌즈체를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영상이 내입부에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디스플이패널로 보여지도록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기기가 내입부에 장착되어 있을 때 스마트기기와 채널을 형성하는 근거리통신모듈과, 지시명령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기 위한 쉴드 제어부와, 렌즈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체의 초점조절링과 줌링과 조리개 조절링을 컨트롤하는 렌즈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쉴드 제어부는 장착감지부를 통해 보호케이스의 내입부에 스마트기기가 장착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스마트기기 쪽으로 전송하여 자동으로 스마트기기의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촬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렌즈홀이 형성되어 있는 타측에 만곡 돌출된 그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내측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보호케이스의 일측단에는 연결커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커버 오픈되었을 때 그립부 내측으로 배터리를 삽입하거나 혹은 상기 연결커버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통해 그립부 안쪽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를 충전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렌즈홀의 내경 테두리를 감싸는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리브살이 내경을 따라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홀에는 하부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체가 삽입된 후 회전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체는 원통형의 렌즈 케이스 안쪽에 다수개의 렌즈를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중간에는 조리개의 개폐정도를 결정하는 조래개 조절링와, 피사체에 대한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초점 조절링과, 줌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렌즈홀 안쪽에 삽입되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표면에 그립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스마트기기가 내장하고 있는 통신모듈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 또는 IEEE 802.16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와이파이 모듈(WiFi Module) 또는 와이맥스 모듈(WiMAX Module)이거나 혹은 저젼력의 블루투스 모듈 혹은 이동통신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모듈 혹은 NDEF(NFC Data Exchange Format)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NFC모듈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촬영어플리케이션 및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고 있는 영상정보 저장부와,
    상기 보호케이스와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통신부와,
    보호케이스의 렌즈홀과 렌즈체를을 통해 뷰잉된 파사체의 영상을 확보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확보된 피사체의 영상이 표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지시명령에 따라 카메라모듈을 통해 확되는 영상을 핸들링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
  12. 보호케이스의 렌즈홀에 렌즈체를 장착하는 한편, 내입부에 스마트기기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가 스마트기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가 촬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카마레모듈을 통해 렌즈홀 및 렌즈체를 통해 뷰잉된 피사체의 모습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셔터버튼 또는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패널상에 구현되어 있는 셔터버튼을 눌러 사진을 촬영토록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지시명령을 받아들여 카메라모듈을 컨트롤하여 촬영된 사진을 확보하는 단계와,
    이를 영상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영상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입부에는 스마트기기가 장착되어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On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장착감지부가 이러한 사실을 쉴드 제어부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의 촬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보호케이스의 슬라이드버튼 혹은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구현되어 있는 특정 버튼을 눌러 카메라모듈이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도록 지시하는 지시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는 지시명령을 받아들이는 단계와,
    상기 보호케이스는 지시명령을 분석하고, 렌즈 구동부를 구동시켜 렌즈홀에 장착되어 렌즈체의 줌링이나 조리개 조절링 또는 초점 조절링을 컨트롤하여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핸들링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핸들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패널상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의 촬영 방법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기기와 채널을 형성하였을 때,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포함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는 제어명령을 받아들여 프로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서치하고, 해당 촬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한 보호 케이스의 촬영 방법.
KR1020150082562A 2015-06-11 2015-06-11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KR10168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62A KR101683859B1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62A KR101683859B1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859B1 true KR101683859B1 (ko) 2016-12-09

Family

ID=5757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62A KR101683859B1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223A (ja) * 2010-07-23 2012-02-09 Nikon Corp マウント構造、カメラボディ及びレンズ鏡筒
KR101238965B1 (ko) * 2011-08-29 2013-03-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 결합 카메라
KR101385277B1 (ko) * 2012-10-19 2014-04-16 유연홍 휴대폰 장착용 광학렌즈
KR101478522B1 (ko) *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7223A (ja) * 2010-07-23 2012-02-09 Nikon Corp マウント構造、カメラボディ及びレンズ鏡筒
KR101238965B1 (ko) * 2011-08-29 2013-03-04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 결합 카메라
KR101385277B1 (ko) * 2012-10-19 2014-04-16 유연홍 휴대폰 장착용 광학렌즈
KR101478522B1 (ko) * 2013-07-18 2015-01-05 이문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83B2 (en) System for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camer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055220B1 (en) Enabling the integration of a three hundred and sixty degree panoramic camera within a mobile device case
KR102145542B1 (ko) 촬영 장치,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촬영 시스템 및 그 촬영 방법
US20160044227A1 (en) Image capturing device support with remote controller
TW201503681A (zh) 智慧型手機的附加式相機
US20150341555A1 (en) Panoramic camera
EP3142348A1 (en) Imaging device
US1009142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o perform a process based on state transition of viewfinder
JP2009210679A (ja) プロジェクタを内蔵する電子機器および投射ユニット
KR101855790B1 (ko) 전방위 카메라용 제어 워치
JP2006237809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2014003579A (ja) スマート端末機カメラリモコン
KR101683859B1 (ko)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JP2007174040A (ja) 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JP2021145240A (ja) 撮像装置
JP2012156760A (ja) 頭部装着型撮像装置
KR102021045B1 (ko) 스마트폰 보조장치
JP4110876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136163A (ja) 撮像装置
KR101718113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90143076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JP2012157039A (ja) 可視光通信装置
JP2022119705A (ja) 光学装置及び装着ユニット
JP6351394B2 (ja) 表示装置、通信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