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388B1 -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388B1
KR101681388B1 KR1020140178410A KR20140178410A KR101681388B1 KR 101681388 B1 KR101681388 B1 KR 101681388B1 KR 1020140178410 A KR1020140178410 A KR 1020140178410A KR 20140178410 A KR20140178410 A KR 20140178410A KR 101681388 B1 KR101681388 B1 KR 101681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propane
desorbent
stream
contain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114A (ko
Inventor
김철진
박덕수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388B1/ko
Priority to PCT/KR2015/013201 priority patent/WO2016093558A1/ko
Priority to US15/534,832 priority patent/US10221111B2/en
Publication of KR2016007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12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adsorption, i.e. 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hydrocarbons with the aid of solids, e.g. with ion-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62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07C11/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3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dehydrogenation with formation of free hydrogen
    • C07C5/327Formation of non-aromatic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24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2Hydrocarbons
    • B01D2257/7022Aliphatic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11Methods relating to the process cycle i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13Pressu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2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m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서는 프로판 함유 공급원료를 탈수소화 반응시켜 얻어진 반응 생성물을 종래의 저온 분리 방식 대신에 흡착 공정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프로필렌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Process for Separating Propylene from Dehydrogenation Products of Propane-containing Feedstock}
본 발명은 프로판 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프로판 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을 종래의 저온 냉동 시스템 및 생성물 스플리터에 의한 분리 방식 대신에 흡탈착 공정을 포함하는 분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프로필렌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 프로필렌 등과 같은 경질 올레핀은 석유화학 산업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화학 제품(옥소-알코올, 아크릴로니트릴,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탄올, 아크릴산 등) 및 플라스틱 제품(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빌딩 블록으로 사용되는 중요 화학 원료이다. 특히, 프로필렌은 무색의 저비점의 화합물로서 통상 고분자 그레이드(최소 약 99.5% 순도), 화학 그레이드(약 90∼96% 순도) 및 리파이너리 그레이드(약 50∼70% 순도)로 거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질 올레핀은 나프타 또는 케로센을 수증기 공존 하에서 열분해(즉, 스팀 크래킹)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최근 프로필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열분해 방식의 제조방법으로는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프로필렌 합성 방법(예를 들면, 경질유분의 접촉분해 공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예시된 공정으로부터 생성되는 반응생성물의 조성(중량%)의 예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팀 크래킹
공정의 반응생성물
경질유분 접촉분해 공정의
반응생성물
메탄 16.13 13.91
에틸렌 32.05 20.71
에탄 2.91 8.93
프로필렌 16.65 22.06
프로판 0.35 3.04
C4 10.94 8.97
C5 5.71 7.81
C6 이상 14.18 13.58
기타 1.08 0.99
최근 널리 상용화되고 있는 공정으로서 프로판의 탈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프로필렌 제조 공정이 알려져 있는 바, 하기 반응식 1에 의하여 프로필렌이 합성된다.
[반응식 1]
C3H8 → C3H6 + H2
프로판의 탈수소화 반응은 프로판을 원료로 탈수소 반응을 통해 프로필렌만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식으로서, 통상 고온의 흡열반응을 통하여 짧은 체류시간 동안 반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프로판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은 주로 프로필렌, 미반응 프로판 및 수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 부생성물이 역시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저온 분리 공정(약 -100℃의 냉각 과정을 수반함)을 통하여 C3 혼합 가스(프로필렌 및 프로판)보다 비점이 낮은 성분들을 분리하고, C3 혼합 가스는 C3 생성물 분리탑(C3 product splitter) 내에서 다단 증류 공정을 거쳐 프로필렌 및 프로판으로 분리한다. 이때, C3 생성물 분리탑에서는 프로필렌은 상단 흐름(overhead stream)으로, 그리고 프로판은 하단 흐름(bottom stream)으로 제거된다(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6,218,589호 등).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 기술, 즉 저온 분리 공정 및 C3 생성물 분리탑을 이용하여 프로판의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프로판-함유 원료는 원료 증발기(1)로 이송되어 주로 프로판을 분리한 다음, 반응 원료 히터(2)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기상 상태)로 고온의 탈수소 반응기(3)로 도입되어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반응 생성물로 전환된다. 상기 반응 생성물은 열교환기(스팀 생산기; 4)와 열교환한 다음, 반응 생성물 압축기(5)에서 승압된 후, 재차 열교환기(6)를 거쳐 생성물 가스 건조 넉-아웃(knock-out) 드럼(7)으로 이송되어 비점에 따라 분리된다. 상기 넉-아웃 드럼(7)의 상단 흐름(기상 생성물)은 생성물 가스 건조기(product gas dryer; 8)를 거친 다음, 냉동 시스템인 제1 생성물 가스 냉각기(product gas chiller; 9)를 경유하여 탈에탄탑(deethanizer; 10)으로 이송된다. 한편, 넉-아웃 드럼(7)의 하단 흐름(액상 생성물)은 탈에탄탑 피드 건조기(deethanizer feed dryer; 11)를 거쳐 탈에탄탑(deethanizer; 10)로 이송된다. 이때, 전체 공정 중 가장 낮은 비점을 갖는, 수소, 메탄 등의 유분은 제1 생성물 가스 냉각기(9)로부터 분리되어 수소 압축기(17)에서 승압된 다음, 수소 정제부(18)에서 수소 및 연료 가스(fuel gas)로 각각 회수된다.
탈에탄탑(deethanizer; 10)에서는 C2 유분을 상단(탑상) 흐름으로 분리하고, C2 유분은 제2 생성물 가스 냉각기(12)에 의하여 연료 가스가 회수된다. 이때, 에틸렌 냉동 압축기(16)를 사용하여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탈에탄탑(deethanizer; 10)의 하단(탑저) 흐름은 생성물 건조 처리 베드(product dryer treater beds; 13)를 거쳐 C3 생성물 분리탑(C3 product splitter; 14)으로 이송된다. 상기 C3 생성물 분리탑(14)에서는 프로필렌을 상단 흐름으로 분리하고, 프로필렌 냉동 압축기(15)로 이송하여 제2 생성물 가스 냉각기(12)에서 열 교환 후 제품으로 회수된다. 상기 C3 생성물 분리탑(14)의 하단(탑저)에서는 프로판을 분리하여 원료 증발기(1)로 리사이클한다.
한편, 원료 증발기(1)의 하단 흐름은 오일제거탑(deoiler; 19)로 이송하여 프로필렌 및 C4+ 유분으로 분리하는데, 이때 상기 오일제거탑(19)의 탑상 유분인 프로필렌은 원료증발기(1)에서 회수하고, 하단(탑저) 유분은 탈부탄탑(debutanizer; 20)로 이송한다. 탈부탄탑(20)에서는 상단(탑정)으로 C4 유분을 분리하고, 탑저로는 C5+ 유분을 분리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은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 분리에 있어 각 물질 간에 비점차이를 이용하므로 C3 혼합가스보다 비점이 낮은 성분들의 제거를 위하여 과다 에너지가 사용되는 저온 분리 공정(약 -100℃로 냉각)을 사용한다. 또한,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로필렌과 파라핀 간의 비점 및 상대 휘발 특성이 유사하므로 C3 생성물 분리탑(14)은 다수(약 200)의 증류 분리탑의 단수를 필요로 한다.
구 분 비점(℃) 비고
프로필렌 -47.8 1 기압
프로판 -42.1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 분리 방법에 있어서, 저온 분리 공정 및 C3 생성물 스플리터는 과도한 에너지를 소비하는 등, 공정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저온 분리 공정 및 C3 생성물 분리탑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적인 공정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술한 C3 생성물 분리탑을 대체하는 기술로서 국내특허공개번호 제2012-0033368호는 프로판의 탈수소 반응생성물 중 C3 혼합물(프로판과 프로필렌 혼합물)로부터 프로필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고, 탈착제에 의한 치환 탈착 방식으로 프로판과 분리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착탑 내 과도한 압력 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경질 올레핀과 파라핀을 분리할 수 있는 공정(등압 또는 약간의 압력 변동을 수반하는 공정)으로서, 먼저 올레핀을 선택적으로 흡착제에 흡착시키면서 파라핀을 통과시켜 별도의 증류 컬럼을 거쳐 분리 회수하는 한편, 흡착된 올레핀을 탈착제로 치환 탈착(displacement desorption)시켜 별도의 증류 컬럼을 거쳐 분리 회수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방식은 앞서 언급된 종래기술에서 요구하는 C3 생성물 분리탑을 대체하여 정압(또는 약간의 압력 변동을 수반함) 및 상온 조건 하에서 프로필렌 및 프로판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상기 분리 방식을 프로판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에 적용할 경우, 흡착제의 열화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프로판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의 분리를 위하여 상술한 흡착-치환 탈착 방식의 분리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흡착제의 열화로 인한 분리 효율의 저하 현상을 억제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 수소화 반응 생성물 분리에 있어서 다량의 에너지가 소비되는 저온 분리 공정 및 C3 생성물 분리탑을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설비 투자비 및 운영비를 낮추면서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처럼,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의 분리 방법에 흡착 공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흡착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속적인 연구 결과,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생성물 중 C4 올레핀(특히, 이소부틸렌)을 비롯한 부생성물이 후단에 위치하는 올레핀의 선택적 흡착-치환 탈착 방식의 프로필렌 분리 공정에 있어서 흡착제의 열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흡착제의 열화에 의한 분리 효율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한 공정 및 올레핀의 선택적 흡착-치환 탈착 분리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a)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를 탈수소화 반응시켜 형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약 25 내지 50 중량%의 프로필렌, 약 40 내지 65 중량%의 프로판, 및 약 1 내지 8 중량%의 C4+ 탄화수소를 함유함;
b)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탈프로판탑으로 이송하여 하단(바닥) 흐름으로서 상기 C4+ 탄화수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분리하는 한편, 상단 흐름으로서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흡착 분리 유닛으로 이송하여 올레핀의 선택적 흡착-탈착 방식에 의하여 (i) 프로판-풍부 흐름 및 (ii) 프로필렌-풍부 흐름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탄화수소 중 C4 올레핀 화합물(C4=)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약 0.5 내지 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탄화수소 중 이소부틸렌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약 0.1 내지 2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탄화수소 중 1,3-부타디엔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0.2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탄화수소 중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BTX)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약 0.1 내지 1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프로판탑으로 이송하기에 앞서, 즉 단계 b) 이전에 가압 및/또는 냉각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탈프로판탑으로 이송하기에 앞서, 즉 단계 b) 이전에 수소, 메탄, C2 탄화수소(에탄 및 에틸렌), 일산화탄소 및/또는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일부를 경가스 흐름(light gas stream)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하단으로 분리된 C4+ 탄화수소를 탈부탄탑으로 이송하여 C4 탄화수소 및 C5+ 탄화수소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C5+ 탄화수소로부터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BTX)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상단으로 분리된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수소, 메탄, C2 탄화수소 및 C3 탄화수소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소량의 C4+ 탄화수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상단으로 분리된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상기 흡착 분리 유닛으로 이송하기에 앞서, 즉 단계 c) 이전에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 수소화 반응기(MAPD converter)를 포함시켜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분리 제거되지 않은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MAPD)을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제거하여 제2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형성하고 이를 흡착 분리 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c)에서 사용되는 흡착 분리 유닛은 병렬 연결된, 적어도 2개의 흡착제-충진된 흡착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 분리 유닛은 흡착제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에 보호탑(guard b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으로부터 프로판을 분리하여 상기 단계 a)로 리사이클함으로써 상기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와 함께 탈수소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은 프로판 이외에 수소, 메탄, 에탄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탈착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판-풍부흐름으로부터 탈착제를 분리하여 탈착제가 분리된 프로판-풍부흐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판-풍부흐름으로부터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c)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착제가 분리된 프로판-풍부흐름을 증류탑,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및 멤브레인 분리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수소, 연료 가스(메탄 및 에탄) 및 프로판으로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은 프로필렌 이외에 에틸렌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탈착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 중 에틸렌 및 탈착제를 각각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c)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의 후단 공정의 탈수 및 탈황 조업 조건에 따라 상기 a) 단계 후단 (즉, 상기 b) 단계 이전), 상기 b) 단계 후단(즉, 상기 c) 단계 이전) 등에 수분 제거 및/또는 황 화합물 제거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제공되는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은, 프로필렌 및 프로판을 저온 분리 공정 및 C3 생성물 분리탑(200 이상의 분리 단(트레이)을 가짐) 없이 흡착탑 및 보다 적은 수의 증류 단(트레이)을 갖는 분리탑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투자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 중 프로필렌을 흡착 분리 방식에 의하여 분리하는 단계의 전단에 탈프로판탑을 배치함으로써 프로필렌 및 프로판을 분리하는 과정 중 야기되는 흡착제의 열화 현상을 억제하여 분리 효율을 높은 수준으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향후 광범위한 적용이 기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공정을 예시하는 공정도이고;
도 2는 흡착 분리 유닛에 사용 가능한 흡착제 중 제올라이트 13X를 사용하여, 흡착(가압) 및 탈착(감압) 단계에 따른 프로판,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노말부탄, 이소부탄 및 부타디엔(1,3-부타디엔)의 흡착량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탈프로판탑, 흡착 분리 유닛(올레핀 흡탈착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공정을 예시하는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원료 증발기 2, 102: 원료 히터
3, 103: 탈수소 반응기 4: 열 교환기(스팀 생산기)
5, 105: 반응 생성물 압축기 6: 열 교환기
7, 106: 반응 생성물 건조 넉-아웃 드럼 8, 107: 생성물 가스 건조기
9: 제1 생성물 가스 냉각기 10: 탈에탄탑
11: 탈에탄탑 피드 건조기 12: 제2 생성물 가스 냉각기
13: 생성물 건조 처리 베드 14: C3 생성물 분리탑
15: 프로필렌 냉동 압축기 16: 에틸렌 냉동 압축기
17: 수소 압축기 18: 수소 정제부
19: 디오일러 20: 탈부탄탑
104: 압축기 석션 드럼 108: 탈프로판탑
109: 올레핀 흡탈착 유닛 110: 탈착제 드럼
111: 프로판 분리탑 112: 에틸렌 분리탑
113: 프로필렌 분리탑 114, 115: 프로판/수소 정제부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별 구성에 관한 세부 사항은 후술하는 관련 기재의 구체적 취지에 의하여 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탈프로판탑"은 탄소수 3 이상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탄소수 3이하의 탄화수소를 분리하도록 설계된 컬럼을 의미한다.
"탈부탄탑"는 탄소수 4 이상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혼합물로부터 탄소수 4이하의 탄화수소를 분리하도록 설계된 컬럼을 의미한다.
"C4+ 탄화수소"는 주로 탄소수가 4 또는 그 이상인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PSA"는 상이한 흡착 특성을 갖는 적어도 2가지 가스를 함유하는 다성분계 가스 혼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가스가 가압 조건 하에서 흡착 영역을 거치면서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반면, 다른 성분은 흡착 영역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 압력을 저하시켜 흡착된 성분을 탈착시키는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가스 혼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멤브레인 분리"는 멤브레인에 대한 가스 성분 간의 확산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혼합 가스를 분리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풍부"라는 용어는 해당 흐름 내 특정 성분 또는 화합물이, 예를 들면 적어도 약 30 몰%, 구체적으로 약 50 몰%,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70 몰%, 경우에 따라서는 적어도 90 몰%로 함유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특정 분리 공정으로 도입된 흐름 내 특정 성분이 상기 특정 분리 공정에 의하여 분리된 흐름 중 해당 흐름으로 적어도 80%, 구체적으로 적어도 90%로 분리되어 배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판-함유 공급원료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로서 순수 프로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형적으로는 LPG로부터 유래된다. 구체적으로,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는 천연가스(natural gas) 플랜트로부터 유래되는 프로판-풍부 LPG 유분이거나, 정유 공정, 예를 들면 수소화분해 공정 또는 FCC 공정의 부생성물로서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로판-함유 공급원료 내 프로판 함량은, 예를 들면 적어도 70 중량%,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8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90 중량%, 특히 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93 중량%일 수 있다.
탈수소화 반응
상기 프로판-함유 공급원료 중 프로판은 탈수소화 반응기 내에서 전술한 반응식 1에 따라 프로필렌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프로판 탈수소화 공정으로서, Lummus Technology사의 Catofin? 공정, UOP사의 Oleflex™ 공정, Linde/BASF사의 PDH 공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탈수소화 반응은 전형적으로 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바, 상술한 촉매로서, 예를 들면 백금-주석/알루미나 촉매, 크롬 산화물/알루미나(또는 지르코늄) 촉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atofin? 공정은 크롬 산화물(알칼리 조촉매 함유)/알루미나 촉매(크롬 산화물 함량: 약 18 내지 20 중량% 및 알칼리 금속 약 1 내지 2 중량%)를 사용하여 고정층 단열 반응기 내에서 수행되며, Oleflex™ 공정은 Pt-Sn/알루미나 촉매를 사용하여 이동층 단열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탈수소화 반응은 예를 들면 약 500 내지 700℃(전형적으로 약 550 내지 650℃, 보다 전형적으로 약 580 내지 62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탈수소화 반응은 복수의 반응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각각의 반응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특정 반응기에서 탈수소화 반응이 수행될 때, 다른 반응기에서는 재생 과정이 수행되도록 구성하여 연속 운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탈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공급원료 내 프로판이 프로필렌으로 전환됨으로써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이 생성되는 바, 이때 프로필렌 이외에도 미반응물 및 다양한 부생성물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탈수소화 반응에 의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수소(H2), 수분(H2O), 메탄(CH4), 아세틸렌(C2H2), 에틸렌(C2H4), 에탄(C2H6), 메틸아세틸렌(MA, C3H4), 프로파디엔(PD, C3H4), 프로필렌(C3H6), 프로판(C3H8), 부타디엔(C4H6), 이소부틸렌(i-C4H8), 1-부텐(1-C4H8), c-2-부텐, t-2-부텐, 펜텐,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의 적어도 일부는 스팀 가스 및/또는 질소 등의 비활성 가스로 이루어진 퍼지가스에 의하여 퍼징되어 후단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는 바, 다만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퍼지 가스 및 퍼지 가스의 부반응으로 인한 부생성물을 불순물로서 더 함유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예를 들면 수분(H2O), 질소(N2),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다만, 퍼징에 의하여 혼입될 수 있는 이러한 성분들의 함량은 퍼지 가스의 종류, 반응/퍼지 시간 등의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정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외에도, 탈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상기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에 불순물로서 포함된 황 화합물, 탈수 반응에서 열 용량 증가 및 반응기 내부 코팅을 목적으로 사용된 황 화합물을 불순물로 함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필렌-함유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은, 예를 들면 약 25 내지 50 중량%(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45 중량%)의 프로필렌, 약 40 내지 65 중량%(구체적으로 약 45 내지 60 중량%)의 프로판, 및 약 1 내지 8 중량%(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5 중량%)의 C4+ 탄화수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MAPD)과 같이 분자 내에 삼중결합 또는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C3 화합물을 미량(예를 들면, 약 500 wppm 이하) 함유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있어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탄화수소 중 C4 올레핀 화합물(예를 들면, 이소부틸렌, 1-부텐(1-C4H8), c-2-부텐, t-2-부텐 등)의 함량은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약 0.5 내지 3 중량%(구체적으로 약 1 내지 1.5 중량%) 범위일 수 있고, 특히 이소부틸렌의 함량은 약 0.1 내지 2 중량%(구체적으로 약 0.5 내지 1.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탄화수소 중 1,3-부타디엔의 함량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약 0.01 내지 0.2 중량%(구체적으로, 약 0.03 내지 0.1 중량%) 범위일 수 있고, BTX 함량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약 0.1 내지 1 중량%(구체적으로, 약 0.15 내지 0.7 중량%) 범위일 수 있다.
탈프로판탑에 의한 탈수소화 생성물의 분리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중 C4 올레핀 성분, 특히 이소부틸렌의 존재는 후단의 흡탈착 공정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이소부틸렌은 냉동 분리 방식 및 생성물 스플리터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분리 과정에서는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후단에 위치하는 등압 흡착 분리 과정 중 흡착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본 발명이 특정 이론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올라이트(예를 들면, 제올라이트 X 또는 Y) 흡착제가 충진된 프로판-프로필렌 분리용 흡착탑의 조건 하에서 상술한 성분들은 흡착제에 흡착된 후 치환 탈착이 용이하게 일어나지 않도록 작용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부반응(다이머 및 트라이머와 같은 올리고머, 그리고 그 이상의 고분자량 나프탈렌류 코크를 생성하는 반응)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성분이 제올라이트가 충진된 흡착탑으로 유입될 경우, 프로필렌 성분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제의 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킴으로써 수명 단축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2는 흡착 분리 유닛에 사용 가능한 흡착제 중 제올라이트 13X를 사용하여, 흡착(가압) 및 탈착(감압) 단계에 따른 프로판,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노말부탄, 이소부탄 및 부타디엔(1,3-부타디엔)의 흡착량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프로판, 프로필렌, 노말부탄 및 이소부탄의 경우, 탈착곡선(빈 도형 심볼)에서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흡착량이 거의 0에 근접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프로판, 프로필렌, 노말부탄 및 이소부탄은 제올라이트 13X에 물리적으로 흡착되고, 흡착된 성분의 대부분이 탈착 가능한 가역성을 가짐을 의미한다. 반면, 1-부텐, 이소부틸렌(이소부텐), 부타디엔(1,3-부타디엔)의 경우 흡착된 성분들이 탈착되지 못하여 압력이 0에 근접함에도 불구하고 흡착된 성분이 존재한다. 이는 1-부텐, 이소부틸렌(이소부텐) 및 부타디엔(1,3-부타디엔)과 같은 성분 중 흡착된 성분의 일부가 화학적인 흡착을 하여 흡착제의 표면에 계속 존재하게 되므로 흡착제 성능을 저하시키는 성분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이소부틸렌(이소부텐)의 경우, 탈착이 가장 어려운 성분으로서, 흡착제의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전술한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을 구성하는 개별 성분이 후속 올레핀 흡착-치환 탈착 방식의 프로판-프로필렌 분리 공정(올레핀 흡-탈착 유닛)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올레핀 흡-탈착 유닛의 전단에 탈프로판탑을 설치하여 하단 흐름으로서 C4+ 탄화수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분리하는 한편, 상단 흐름으로서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C3 이하의 탄화수소 및 수소 함유)을 분리한다. 이처럼, 탈프로판탑을 흡탈착 공정의 전단에 구비시켜 C4+ 탄화수소 내 이중결합 화합물(올레핀 및 디올레핀) 및 BTX 성분들, 특히 이소부틸렌을 실질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탈프로판탑의 상단 흐름(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프로필렌 및 프로판 각각의 함량은, 예를 들면 약 30 내지 50 중량%(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45 중량%) 및 약 40 내지 65 중량%(구체적으로, 약 45 내지 6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이때, 이소부틸렌의 함량은 약 0.3 중량% 이하(구체적으로, 약 0.2 중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약 0.1 중량% 이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탈프로판탑의 상단 흐름(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프로필렌 및 프로판 이외에도 수소, C1 및 C2 탄화수소, 기타 C3 탄화수소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불순물로서 수분, 질소, 일산화탄소 및/또는 이산화탄소를 더 함유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있어서, 탈수소화 반응에 의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에 함유된 이소부틸렌의 적어도 약 70%(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80%, 보다 구체적으로 약 90%)가 탈프로판탑의 하단 흐름으로서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이소부틸렌 함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되지 않을 경우, 이소부틸렌이 다른 올레핀 화합물(1-부텐 등)에 비하여 제올라이트 포어의 입구로 도입되는데 보다 제한되므로 흡탈착 과정 중 제올라이트 결정의 외측면에서 이소부틸렌의 올리고머화 및/또는 고분자화 반응이 현저히 일어나 흡착제의 열화 현상이 현저히 증가한다.
또한,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1,3-부타디엔과 같은 다이올레핀 성분, 그리고 BTX 성분은 탈프로판탑의 상단 흐름(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에 각각 약 500 wppm 이하(구체적으로 약 300 wpp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0 wppm 이하) 및 약 100 wppm 이하(구체적으로 약 50 wpp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 wppm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구체예에서와 같이 프로판의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성분들 중 후단의 흡착 분리 유닛에 악영향을 미치는 특정 성분들의 대부분은 흡착 분리 유닛의 전단에 탈프로판탑을 배치함으로써 일거에 제거될 수 있다. 더욱이, 후단의 흡착 분리 유닛으로 유입되는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에 존재하는 C4 올레핀 성분(특히, 이소부틸렌)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추후 리사이클하는 프로판 가스의 순도를 종래의 냉동 분리 시스템 공정 수준과 동등하거나 향상된 수준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탈프로판탑의 운전 조건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약 50 내지 100℃(구체적으로 약 55 내지 90℃)의 상단(top) 온도, 약 120 내지 150℃(구체적으로, 약 130 내지 140℃)의 하단(bottom) 온도, 그리고 약 20 내지 40 kg/cm2(보다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35kg/cm2)의 압력 범위일 수 있다. 이때, 트레이의 수는, 예를 들면 약 100 내지 170, 구체적으로 약 130 내지 16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을 프로판-프로필렌 분리를 위한 흡착 분리 유닛으로 이송하기에 앞서 탈프로판탑을 설치하여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C4+ 유분(구체적으로 C4+ 올레핀 및 디올레핀, 그리고 BTX), 특히 이소부틸렌을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후단의 흡탈착 단계에서 사용된 흡착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부생성물 중 C3 탄화수소에 상당하는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MAPD)은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기는 하나,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에 미량으로 존재하고, 탈프로판탑의 분리 과정 중 일부가 하단(바닥) 흐름으로 분리된 C4+ 유분 내에 함유될 수 있어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에 후단의 흡착 분리 유닛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MAPD의 함량이 허용 한도(예를 들면, 약 10 wppm)에 근사하거나 다소 초과할 경우, 선택적으로 탈프로판탑과 흡탈착 단계 사이에 MAPD 수소화 반응기를 포함시켜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분리 제거되지 않은 MAPD를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제거하여 제2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형성하고 이를 흡착 분리 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MAPD의 적어도 약 90%(구체적으로, 적어도 약 95%)가 제거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선택적 수소화 반응은 VIII족 금속, 특히 VIII족 금속/지지체 촉매(금속 함량: 예를 들면, 약 0.01 내지 1 중량%)의 존재 하에서 수행 가능하다. 상기 VIII족 금속의 예로서 Ru, Rh, Pd, Ir 및 Pt를 예시할 수 있고, 지지체로서 알루미나, 실리카-알루미나 등의 무기 산화물(구체적으로, 내화성 무기 산화물), 활성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수소화 반응은, 예를 들면 약 50 내지 100℃(구체적으로 약 60 내지 80℃)의 온도 및 약 10 내지 40 kg/cm2(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35 kg/cm2)의 압력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약, C4+ 탄화수소 내 올레핀 화합물까지 수소화 반응을 통하여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소화 반응 중 프로필렌까지 수소화되어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탈프로판탑을 MAPD 수소화 반응기로 대체할 수 없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탈프로판탑으로 이송하기에 앞서 탈프로판탑 및 후단 공정의 안정성 확보 및 공정 운전 조건(온도, 압력 등) 달성, 공정 설비의 사이즈, 재질 등의 설계 용이성을 위하여 가압 및/또는 냉각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수 반응 이후의 단계에서 운전 조건에 따라서는 탈수 및/또는 탈황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후단 공정의 탈수 및/또는 탈황 단계는, 예를 들면, 냉각에 의한 수분 고체화 방지, 수분 및 황 화합물에 의한 흡착제의 열화 방지, 프로필렌 생산물의 규격관리를 위한 수분 및 황 화합물 제거 등을 목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수 단계 및/또는 탈황 단계가 도입되는 위치는 탈수 및/또는 탈황 조업의 조건, 투자비, 운영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수 반응 단계의 후단(및 탈프로판탑의 전단), 탈프로판탑의 후단(및 후술하는 올레핀 흡-탈착 유닛의 전단) 등에 도입될 수 있다.
한편,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탈프로판탑으로 유입되는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프로판보다 비점이 낮은 수소, 메탄, 에탄, 에틸렌, 일산화탄소 및/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탈프로판탑으로 주입된 후 빠른 속도로 탑의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탈프로판탑의 성능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탈프로판탑으로 도입하기에 앞서, 수소, 메탄, C2 탄화수소(예를 들면, 에탄 및 에틸렌 포함), 일산화탄소 및/또는 이산화탄소 성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경가스 흐름(light gas stream)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가스 흐름의 분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넉-아웃 드럼, 멤브레인, 흡착탑 및 증류탑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경가스 흐름의 분리는 공정의 투자비 및 운영비를 최소화하면서 탈프로판탑의 성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분리 성능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경가스 흐름 내에 소량의 프로판, 프로필렌 및 C4+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경가스 흐름에 포함될 수 있는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선택적으로(optionally) 상기 경가스 흐름으로부터 프로판을 추가 분리하고 리사이클하여 상기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와 함께 탈수소화 반응시키는 것 역시 가능하다.
프로필렌 선택적 흡착-치환 탈착에 의한 프로판-프로필렌 분리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프로판탑의 상단 흐름인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H2, CH4, 그리고 C3 이하의 탄화수소(에탄, 에틸렌, 프로판 및 프로필렌)를 포함하는 흐름으로서 흡착 분리 유닛(올레핀 흡-탈착 유닛)으로 도입된다. 흡착 분리 유닛으로 도입되는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불순물로서 수분, 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또는 황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 중 수분 및 황 화합물은 제올라이트가 충진된 흡착탑으로 유입될 경우 흡착 분리 유닛의 성능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 화합물은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기공 및 표면에 화학적 흡착하여 흡착제의 수명 저하를 유발하고, 수분은 흡착제 기공 및 표면에 강하게 흡착하여 흡착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중 불순물인 수분 및 황 화합물의 농도가 허용 한도(예를 들면, 약 20 wppm)에 근사하거나 초과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소화 반응 단계 이후부터 프로판-프로필렌 분리 단계 사이에 탈황 및/또는 탈수(수분 제거 또는 건조)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흡착제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착 분리 유닛의 전단에 보호탑(guard b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탑을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이소부틸렌, 황 화합물, 수분, 부타디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가스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여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흡착 분리 유닛은 프로필렌-함유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선택적으로(selectively) 분리할 수 있는 한, 특정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올레핀 흡탈착 유닛은 흡착제가 충진된 적어도 2개의 흡착탑, 상기 유닛의 내부 유체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흡착탑(흡착제가 충진됨)을 사용하고, 각각의 흡착탑을 흡착-탈착의 기본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연속적인 운전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분리 효율성 및 수율 개선을 목적으로 각각의 흡착탑에 대하여 흡착 단계 및 탈착 단계 이외에 세정 단계(또는 세정 및 회수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시켜 조업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흡착-세정-탈착, 또는 흡착-회수-세정-탈착).
또한, 프로필렌 회수를 위한 탈착 단계는 탈착제 주입에 의한 치환-탈착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탈착 단계 중 약간의 압력강하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흡착 분리 유닛으로서, 예를 들면 국내특허공개번호 제2012-33368호에 개시된 분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흡착 분리 유닛 내 흡착탑(4개의 흡착탑 사용할 경우) 각각의 운전은 하기 표 3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흡착탑 1 흡착 회수 세정 탈착
흡착탑 2 탈착 흡착 회수 세정
흡착탑 3 세정 탈착 흡착 회수
흡착탑 4 회수 세정 탈착 흡착
본 구체예에 있어서, 흡착제는 올레핀 성분 및 파라핀 성분 중 올레핀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한, 특정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 가능한 흡착제의 예로서, π-착합체를 형성하는 π-착체, 제올라이트 X(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2,882,244호), 제올라이트 Y(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3,130,007호)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올라이트 X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π-착체 흡착제에 의한 흡착 방식은, 금속과 올레핀 간에 착합체를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바, 금속 이온이 은(Ag) 이온인 경우, Ag(I)의 비어 있는 최외각 5s 오비탈에 올레핀의 2p 결합 오비탈이 π-전자를 제공하여 금속 이온과 올레핀 간의 σ 결합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전자가 채워진 Ag 이온의 4d 오비탈에서 올레핀의 비어있는 π*의 2p 비결합 오비탈에 전자가 제공되는 방법으로 π-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π-착체 결합은 보통 약 4 내지 15 kcal 정도로 물리적 흡착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 데르 발스 힘보다는 강하여 올레핀에 대한 우수한 선택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올라이트 X 및 Y는 실리카와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 산화물로 형성되는 분자체(즉,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상기 제올라이트의 미세결정성 분자체 구조로 인하여, 올레핀 성분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을 얻을 수 있다. 흡착제로서 이러한 제올라이트 입자는 바인더 성분(예를 들면, 클레이 또는 알루미나)과 혼합하여 압출시킨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경우에 따라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으로 이온 교환(ion-exchange) 또는 개질(modification)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 있어서, 흡착탑은 전형적으로 가스 상에서 운전될 수 있도록 흡착탑 내 온도 및 압력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흡착은 예를 들면 약 70 내지 140℃, 구체적으로는 약 80 내지 110℃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압력 조건은 주어진 온도 조건, 장치 사이즈 및 재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압력이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지나치게 큰 사이즈의 파이프 또는 설비가 필요할 수 있는 반면, 압력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재질 선정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약 5 내지 40 kgf/㎠, 구체적으로는 약 10 내지 30 kgf/㎠ 범위에서 정할 수 있다. 또한, 흡착탑의 공급원료의 공간속도(WHSV)는, 예를 들면 약 0.3 내지 5 hr-1,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1.5 hr-1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흡착탑 내 공정조건의 구체적인 수치 범위는 예시적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비해 낮은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흡착 단계에 의하여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예를 들면 흡착탑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흡착탑 내에 충진된 흡착제에 의하여 올레핀 성분은 선택적으로 흡착제 기공 및 표면에 흡착되는 반면, 파라핀 성분은 실질적으로 흡착되지 않고, 흡착탑의 상부 측으로 배출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열교환기 또는 가열 장치에 의하여 1차적으로 가열된 후에 흡착탑으로 공급될 수 있다. 흡착 단계에 의하여 프로판-풍부 흐름이 분리되는 바, 이때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은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중 H2, CH4, 및 C3 이하의 파라핀계 탄화수소 이외에 앞선 탈착 단계에서 흡착제 내에 존재하는 탈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있어서, 프로판 및 연료 가스(메탄 및 에탄) 각각의 함량은, 예를 들면 약 20 내지 50 중량%(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40 중량%) 및 약 1 내지 10 중량%(구체적으로, 약 1 내지 5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탈착제의 함량은 예를 들면 약 40 내지 70 중량%(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이외에도, 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 화합물 등을 소량 함유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프로필렌 역시 소량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착 단계가 종료되면 흡착제 내에 함유된 올레핀 성분을 탈착제에 의하여 치환 탈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탈착제로서 전형적으로는 C3 탄화수소에 비하여 비점이 높은(즉, 분자량이 큰)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흡착제에 흡착된 올레핀 성분 대신 탈착제가 흡착이 되면서 앞서 흡착된 물질들이 탈착되는 원리인 치환탈착(displacement desorption)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탈착제는 흡착되는 올레핀 성분보다 높은 탄소수를 갖는 성분, 특히 파라핀계 탈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탈착제로서 C4 탄화수소(구체적으로는, i-부탄, n-부탄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C4 탄화수소가 풍부한 유분(C4 탄화수소 함량이 적어도 약 80 중량%, 구체적으로 약 90 중량%)을 사용할 수 있다.
탈착제는 흡착탑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도입되며(일종의 향류 퍼징), 탈착된 올레핀 성분(에틸렌 및 프로필렌) 및 탈착제 성분을 함유하는 프로필렌-풍부 흐름이 하단으로 배출된다. 그 결과, 프로필렌-풍부 흐름 내 프로필렌 및 에틸렌 각각의 함량은, 예를 들면 약 30 내지 60 중량%(구체적으로, 약 35 내지 45 중량%) 및 약 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탈착제의 함량은 예를 들면 약 40 내지 70 중량%(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6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술한 치환-탈착 단계는 종래의 PSA 단계와 같이 압력 변동을 요하지 않은 정압 혹은 약간의 압력변동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프로필렌의 회수 및 프로판의 리사이클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을 프로판 분리탑으로 이송하여, 상단 흐름으로서 H2, CH4, C2H6 및 C3H8을 함유하는 가스 혼합물을 분리하는 한편, 하단 흐름으로서 탈착제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프로판 분리탑은, 예를 들면 약 20 내지 35 kgf/㎠(보다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30 kgf/㎠)의 압력 조건, 그리고 상단 약 40 내지 80℃(보다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70℃) 및 하단 약 90 내지 140℃(보다 구체적으로, 약 110 내지 135℃)의 온도 조건 하에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판 분리탑의 트레이 수는, 예를 들면 약 70 내지 110(구체적으로, 약 80 내지 10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탈착제가 분리된 프로판-풍부 흐름은 당업계에 알려진 분리수단, 예를 들면 증류탑,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멤브레인 분리 또는 이의 조합을 통하여 C3H8, 연료 가스(CH4 및 C2H6) 및 수소로 각각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분리된 프로판은 리사이클하여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와 함께 탈수소화 반응기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PSA 분리 방식은 예를 들면 Knaebel 등의 "Pressure swing adsorption", Wiley-VCH, (1994)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멤브레인 분리 방식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4,589,896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참고자료로서 포함된다.
한편,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은 프로필렌(C3=) 이외에도 에틸렌(C2=) 및 탈착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미량의 아세틸렌류를 함유할 수 있는 바, 선택적으로(optionally) 에틸렌 분리탑을 통하여 프로필렌-풍부 흐름을 분리하여 상단으로 오프-가스(예를 들면, 에틸렌, 구체적으로 에틸렌 및 미량의 아세틸렌 함유)를 분리하고, 하단으로 프로필렌 및 탈착제 함유 흐름을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프로필렌 및 탈착제 함유 흐름을 프로필렌 분리탑으로 이송하여 상단 흐름으로서 프로필렌, 그리고 하단 흐름으로서 탈착제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필렌 분리탑 전단에 에틸렌 분리탑을 배치할 경우, 고순도(예를 들면, 약 99% 이상, 구체적으로 약 99.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약 99.8% 이상)의 프로필렌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 분리탑은, 예를 들면 약 20 내지 35 kgf/㎠(보다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30 kgf/㎠)의 압력 조건, 그리고 상단 약 30 내지 70℃(보다 구체적으로, 약 40 내지 60℃) 및 하단 약 80 내지 110℃(보다 구체적으로, 약 90 내지 10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분리탑은, 예를 들면 약 20 내지 35 kgf/㎠(보다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30 kgf/㎠)의 압력 조건, 그리고 상단 약 40 내지 80℃(보다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70℃) 및 하단 약 90 내지 140℃(보다 구체적으로, 약 110 내지 135℃)의 온도 조건 하에서 운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에틸렌 분리탑 및 프로필렌 분리탑 각각의 트레이 수는, 예를 들면 약 15 내지 45(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50) 및 약 60 내지 100(구체적으로, 약 70 내지 90) 범위일 수 있다.
탈착제의 리사이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판-풍부 흐름 및 프로필렌-풍부 흐름으로부터 각각 분리된 탈착제는 회수되어 상기 올레핀 흡탈착 유닛으로 리사이클될 수 있다. 이때, 리사이클되는 탈착제 흐름은 올레핀 흡탈착 유닛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메이크업-탈착제가 보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탈착제를 건조하여, 예를 들면 약 70 내지 100℃로 승온된 상태(가스 상)에서 올레핀 흡탈착 유닛으로 도입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탈프로판탑의 하단 흐름으로 분리된 C4+ 유분은 부탄(이소부탄 및 n-부탄) 이외에도 이소부틸렌, 1-부텐 및 1-펜텐을 비롯하여 소량의 1,3-부타디엔 및 BTX를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특히 고부가가치의 BTX를 증류탑 등을 이용하여 별도로 분리 회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공정을 예시하는 공정도이다.
상기 구체예에 따르면,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는 앞선 모드에서 리사이클되는 프로판과 결합된 상태에서 원료증발기(101)로 공급된다. 상기 원료증발기에서 증발된 공급원료(S1)는 열 교환 후, 원료 히터(102)로 유입되어 약 500 내지 700℃(구체적으로 약 550 내지 650℃)까지 승온시킨 후, 탈수소화 반응기(103)로 이송되어 탈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공급원료 내 프로판이 프로필렌으로 전환되는데, 이와 함께 부반응 역시 일어난다.
상기 탈수소화 반응기(103)로부터 배출되는 프로필렌-함유 생성물(S2; 가스 상)은 가스 흐름에 따라 이동하고, 선택적으로 퍼지 가스(예를 들면, 스팀 가스)에 의하여 퍼징된 후(예를 들면,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의 대부분이 가스 흐름에 따라 이송시키고, 일부 반응기 내부에 존재하는 탈수 반응 생성물을 퍼징에 의하여 이송함), 열 교환에 의하여 약 25 내지 50℃(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40℃, 보다 구체적으로 약 35℃)로 냉각된다. 상기 퍼지 가스로서 스팀 가스 이외에도 질소 등의 비활성 가스를 사용하거나, 또는 스팀과 비활성 가스의 혼합 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냉각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S3)은 압축기 석션 드럼(compressor suction drum; 104)으로 이송되어 액상 성분을 제거한다. 이후, 압축기 석션 드럼(104)을 거친 가스 상의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흐름(S4)은 압축기(105)로 도입되어 승압된다(예를 들면, 약 0.3 내지 1 kg/cm2에서 약 20 내지 35 kg/cm2으로 가압). 상기 압축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흐름(S5)은 반응 생성물 건조 넉-아웃 드럼(106)으로 이송되어 후단 분리 공정이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을 정도로 압력이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이 조절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S6)은 생성물 가스 건조기(107)로 도입되어 잔여 수분(S7)을 제거한다.
수분이 제거된 생성물 흐름(S8; 예를 들면, 수분 함량 약 20 wppm 이하)은 탈프로판탑(108)으로 이송되어 상단 흐름(S9)으로서 수소, 메탄 및 C3 이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흐름을 얻는다. 한편, 탈프로판탑(108)의 하단 흐름(S10)은 C4+ 유분을 함유하는 바, 대표적으로 부타디엔(C4H6), 이소부틸렌(i-C4H8), 1-부텐(1-C4H8), c-2-부텐, t-2-부텐, 펜텐,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을 함유한다. 또한, 생성물 내에 미량 존재하는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MAPD) 성분의 일부가 분리 과정에서 상기 하단 흐름 내로 혼입될 수도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탈프로판탑(108)으로부터 분리된 하단 흐름(S10)은 C4 탄화수소를 비롯하여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BTX)과 같은 고부가가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단 흐름(S10)을 탈부탄탑(도시되지 않음)로 이송하여, C4 생성물(특히, C4 올레핀 또는 디올레핀) 흐름 및 C5+ 생성물로 분리하여, 이로부터 원하는 성분들을 회수할 수도 있다.
탈프로판탑(108)의 상단 흐름(S9)은 주로 수소 및 C3 이하의 탄화수소를 함유한 상태에서 올레핀 흡탈착 유닛(109)로 도입된다. 이때, 상기 상단 흐름(S9)이 흡착제를 통과하면서 올레핀 성분만이 흡착제에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한편, 흐름(S9) 내 수소, 파라핀계 탄화수소 등은 흡착되지 않고 흡착제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흡착 과정 중 프로판-풍부 흐름(S11)이 배출된다. 또한, 흡착제 내에는 앞선 프로필렌 탈착 모드에서 사용된 탈착제(구체적으로, C4 파라핀계 탈착제)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S11) 내에는 수소 및 C3 이하의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비롯하여 탈착제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파라핀-풍부 흐름(S11)은 프로판 분리탑(111)으로 이송되어, 상단에서 수소 및 C3 이하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흐름(S12), 그리고 하단에서 탈착제-함유 흐름(S13)을 각각 분리한다.
상술한 흡착 단계가 완료되면, 탈착 단계, 즉 치환 탈착 방식에 의한 올레핀의 탈착 단계로 전환(스위칭)된다. 흡착 단계 및 탈착 단계의 기본 조업 단계 이외에도 분리 수준 및 수율을 높이기 위한 추가 단계, 예를 들면 세정 단계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탈착 단계를 통하여 프로필렌-풍부 흐름(S14)이 배출되는데, 상기 흐름(S14)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비롯하여 탈착제(구체적으로, C4 파라핀계 탈착제)를 함유한다. 이후, 상기 흐름(S14)은 에틸렌 분리탑(112)으로 이송되어, 상단 흐름(S15)으로서 오프 가스(에틸렌 및 미량의 아세틸렌 함유)가 분리되고, 하단 흐름(S16)으로서 프로필렌 및 탈착제를 함유하는 흐름이 배출된다. 이후, 상기 하단 흐름(S16)은 프로필렌 분리탑(113)으로 이송되어 상단 흐름(S17)으로서 프로필렌 및 하단 흐름으로 탈착제(S18)가 각각 분리된다.
이와 같이, 올레핀 흡탈착 유닛(109)로부터 분리된 프로필렌-풍부 흐름을 에틸렌 분리탑을 거쳐 프로필렌 분리탑으로 공급함으로써 회수되는 프로필렌 제품의 순도를 약 99% 이상, 구체적으로 99.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99.6%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분리탑으로부터 분리된 탈착제-함유 흐름(S18)은 탈착제 드럼(110)을 거쳐 올레핀 흡탈착 유닛(109)으로 리사이클되어 탈착제로 사용된다.
한편, 프로판 분리탑(111)으로부터 배출된 상단 흐름(S12)은 제1 PSA 유닛(114)으로 유입되는데, 상기 제1 PSA 유닛은 가압(예를 들면, 약 15 내지 30 kg/cm2) 하에서 프로판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고 수소 및 연료 가스(메탄 및 에탄)를 통과시킨다. 이후, 압력을 낮춤에 따라 프로판을 회수할 수 있는 바, 이때 분리된 프로판(S23)은, 예를 들면 적어도 약 90 중량%의 순도를 갖게 되며, 리사이클되어 프로판-함유 공급원료(S1)와 함께 원료 증발기(101)로 도입된다.
수소 및 연료가스 함유 흐름(S19)은 제2 PSA 유닛(가압 조건: 예를 들면, 약 15 내지 30 kg/cm2)으로 이송되어 각각 고순도의 수소 및 연료 가스로 분리하여 회수된다. 상기 고순도의 수소(예를 들면, 적어도 약 90 몰%의 순도)는 탈프로판탑(108)의 상단 흐름 내에 함유되는 MAPD의 수소화 단계(도시되지 않음)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경우, 수소 소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판 분리탑(111)의 하단 흐름(S13)으로 배출되는 탈착제-함유 흐름은 탈착제 드럼(110)을 거쳐 올레핀 흡탈착 유닛(109)로 리사이클되어 탈착제로 사용된다.
상기 제1 PSA 유닛과 제2 PSA 유닛은 상기 프로판 분리탑(111)으로부터 배출된 상단 흐름(S12)의 혼합가스 중 수소, 연료가스 및 프로판 가스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 공정은 PSA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SA, 멤브레인, 증류탑 및 흡착탑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에 불과하며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공정에 따라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를 탈수소화 반응시킨 후, 프로필렌을 분리 회수하였다. 이때, 흡탈착 유닛(흡착탑)에서의 치환 탈착에 사용되는 C4 탈착제로서 i-부탄 및 n-부탄의 혼합물(4:6)을 사용하였다. 상기 공정 중 탈수소화 반응기(103), 탈프로판탑(108), 올레핀 흡탈착 유닛(109), 프로판 분리탑(111), 에틸렌 분리탑(112) 및 프로필렌 분리탑(113)의 운전 조건을 하기 표 4 내지 9에 나타내었다.(탈수소화 반응 후 스팀으로 이루어지는 퍼지 가스가 10,395kg/hr로 공급됨).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1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2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3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4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5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6
또한, 공급원료 및 각 단계 별 흐름의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 내지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7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8
Figure 112014120551654-pat00009
Figure 112014120551654-pat00010
또한, 상기 공정의 최종 생성물의 량을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120551654-pat00011
상기 표에 따르면, 흐름(S17) 내 프로필렌의 농도는 약 99.8%로서, 종래의 냉동 분리 공정 및 C3 생성물 분리탑을 사용하지 않고도,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화 반응 생성물로부터 고분자 그레이드의 프로필렌 규격(99.5%이상)을 충족하는 고순도의 프로필렌을 분리할 수 있고, 전체 공정의 투자비 및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흡탈착 유닛의 전단에 탈프로판탑을 구비함으로써 흡탈착 유닛의 흡착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0)

  1. a)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를 탈수소화 반응시켜 형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25 내지 50 중량%의 프로필렌, 40 내지 65 중량%의 프로판 및 1 내지 8 중량%의 C4+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상기 C4+ 탄화수소 중 이소부틸렌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임;
    b)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탈프로판탑으로 이송하여 하단(바닥) 흐름으로서 상기 C4+ 탄화수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분리하는 한편, 상단 흐름으로서 C3 이하의 탄화수소 및 수소를 함유하는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흡착 분리 유닛으로 이송하여 흡착 단계 및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올레핀의 선택적 흡착-탈착 방식에 의하여 (i) 프로판-풍부 흐름 및 (ii) 프로필렌-풍부 흐름으로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탈착 단계는 탈착제 주입에 의한 치환 탈착 방식임; 및
    d)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4+ 탄화수소 중 C4 올레핀 화합물의 함량은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이고, 상기 C4+ 탄화수소 중 1,3-부타디엔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0.01 내지 0.2 중량%이며, 그리고 상기 C4+ 탄화수소 중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BTX)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0.1 내지 1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 앞서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20 내지 35 kg/cm2로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 앞서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로부터 수소, 메탄, C2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적어도 일부를포함하는 경가스 흐름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분리된 C4+ 탄화수소를 탈부탄탑으로 이송하여 C4 탄화수소 및 C5+ 탄화수소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5+ 탄화수소로부터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BTX)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수소 및 C3 이하의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프로필렌 및 프로판의 함량은 각각 30 내지 50 중량% 및 40 내지 65 중량% 범위이고, 이소부틸렌의 함량은 0.3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내 1,3-부타디엔을 포함하는 다이올레핀 성분 및 BTX 성분은 각각 500 wppm 이하, 100 w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으로부터 프로판을 분리하여 상기 단계 a)로 리사이클함으로써 상기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와 함께 탈수소화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는 프로필렌보다 높은 탄소수를 갖는 파라핀계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는 C4 탄화수소, 또는 C4 탄화수소-풍부 유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프로판탑은 50 내지 100℃의 상단 온도, 120 내지 150℃의 하단 온도, 그리고 20 내지 40 kg/cm2의 압력 조건 하에서 운전되며, 그리고 트레이의 수는 100 내지 17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로판-풍부 흐름은 프로판 이외에 수소, 메탄, 에탄 및 탈착제를 함유하고, 프로판 분리탑에 의하여 상단 흐름으로서 수소, 메탄, 에탄 및 프로판을 분리하는 한편, 하단 흐름으로서 탈착제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제가 분리된 프로판-풍부 흐름을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및 멤브레인 분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리 공정에 의하여 프로판, 메탄 및 에탄인 연료가스 및 수소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프로판을 상기 단계 a)로 리사이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으로부터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c)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은 프로필렌 이외에 탈착제를 함유하고, 프로필렌을 탈착제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한 다음, 상기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c)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탈착제를 함유하고, 이를 에틸렌 분리탑으로 공급하여 상단 흐름으로서 에틸렌을 함유하는 오프 가스를 분리하는 한편, 하단 흐름으로서 프로필렌 및 탈착제를 함유하는 흐름을 분리하며, 그리고 상기 하단 흐름을 프로필렌 분리탑으로 이송하여 상단 흐름으로서 프로필렌 및 하단 흐름으로서 탈착제를 각각 분리한 다음, 상기 분리된 프로필렌을 회수하고 상기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c)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 (MAPD)을 함유하고, 상기 단계 b)와 상기 단계 c) 사이에서 상기 탈프로판탑에 의하여 분리 제거되지 않은 메틸아세틸렌 및 프로파디엔 (MAPD)을 선택적 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제거하여 제2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형성한 다음, 이를 흡착 분리 유닛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a) 프로판-함유 공급원료를 탈수소화 반응시켜 형성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은 25 내지 50 중량%의 프로필렌, 40 내지 65 중량%의 프로판, 및 1 내지 8 중량%의 C4+ 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상기 C4+ 탄화수소 중 이소부틸렌의 함량은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임;
    b) 상기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열 교환에 의하여 25 내지 50℃로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20 내지 35 kg/cm2로 승압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d) 상기 승압 건조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탈프로판탑으로 이송하여 하단 흐름으로서 상기 C4+ 탄화수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분리하는 한편, 상단 흐름으로서 수소 및 C3 이하의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제1 정제된 프로필렌-함유 생성물을 흡착 분리 유닛으로 이송하여 흡착 단계 및 탈착 단계를 포함하는 올레핀의 선택적 흡착-탈착 방식에 의하여 (i) 수소, C3 이하의 파라핀계 탄화수소 및 탈착제를 함유하는 프로판-풍부 흐름 및 (ii) 에틸렌, 프로필렌 및 탈착제를 함유하는 프로필렌-풍부 흐름으로 분리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탈착 단계는 탈착제 주입에 의한 치환 탈착 방식임; 및
    f) 상기 프로판-풍부 흐름을 프로판 분리탑으로 이송하여 탈착제를 분리한 후에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c)로 제공하고, 상기 탈착제가 분리된 프로판-풍부 흐름으로부터 프로판을 분리하여 단계 a)로 리사이클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판이 분리된 잔여 흐름을 각각 수소 및 연료 가스로 분리 회수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f)와 별도로, 상기 프로필렌-풍부 흐름을 에틸렌 분리탑으로 이송하여 상단 흐름으로서 에틸렌-함유 오프 가스, 그리고 하단 흐름으로서 프로필렌 및 탈착제를 함유하는 흐름으로 분리하고, 상기 프로필렌 및 탈착제를 함유하는 흐름을 프로필렌 분리탑으로 이송하여 프로필렌 및 탈착제로 각각 분리한 다음, 상기 분리된 프로필렌을 회수하는 한편, 상기 분리된 탈착제를 단계 e)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 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KR1020140178410A 2014-12-11 2014-12-11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KR101681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410A KR101681388B1 (ko) 2014-12-11 2014-12-11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PCT/KR2015/013201 WO2016093558A1 (ko) 2014-12-11 2015-12-04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US15/534,832 US10221111B2 (en) 2014-12-11 2015-12-04 Method for separating propylene from dehydrogenation reaction products of propane-containing feedst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410A KR101681388B1 (ko) 2014-12-11 2014-12-11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114A KR20160071114A (ko) 2016-06-21
KR101681388B1 true KR101681388B1 (ko) 2016-12-12

Family

ID=5610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410A KR101681388B1 (ko) 2014-12-11 2014-12-11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21111B2 (ko)
KR (1) KR101681388B1 (ko)
WO (1) WO20160935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22B1 (ko) 2019-10-08 2020-01-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출증류를 이용한 프로펜 분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691B1 (ko) * 2016-09-09 2018-06-18 주식회사 효성 프로판 탈수소 반응을 이용한 프로필렌 제조 공정 내 에틸렌 제조방법
KR101899036B1 (ko) * 2016-11-09 2018-10-29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올레핀 함유 혼합가스로부터 경질 올레핀 분리방법
KR101921190B1 (ko) 2017-01-18 2018-11-23 효성화학 주식회사 알칸의 탈수소화 방법
KR101946152B1 (ko) * 2017-06-01 2019-02-11 효성화학 주식회사 경질 올레핀의 회수방법
KR102179574B1 (ko) * 2017-06-07 2020-11-16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환원 전처리를 포함하는 올레핀 제조 방법
KR102179176B1 (ko) * 2017-06-07 2020-11-16 에스케이가스 주식회사 순환유동층 공정을 이용한 올레핀의 제조방법
KR101985784B1 (ko) * 2017-09-13 2019-06-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올레핀과 파라핀의 분리 공정
CN107602324A (zh) * 2017-10-11 2018-01-19 中石化上海工程有限公司 丙烷脱氢工艺与石脑油裂解前脱丙烷工艺耦合的方法
KR20200125960A (ko) * 2018-02-22 2020-11-05 보레알리스 아게 방법
CN111004080A (zh) * 2018-10-08 2020-04-14 中国石化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丙烷脱氢制丙烯反应产物的分离方法及分离装置
CN109574786A (zh) * 2018-12-26 2019-04-05 四川天采科技有限责任公司 丙烷脱氢制丙烯反应混合气冷油吸收与psa耦合的分离方法
KR102028140B1 (ko) * 2019-03-06 2019-10-02 한국화학연구원 탄화수소 정제를 통한 경질 올레핀 추출 시스템 및 탄화수소 정제를 통한 경질 올레핀 추출 방법
US11136280B2 (en) * 2019-05-29 2021-10-05 Uop Llc Process and system for removal of light ends and non-condensables to prevent buildup in an olefin/paraffin membrane separation process
US11198661B2 (en) * 2019-09-10 2021-12-14 Kellogg Brown & Root Llc Process for recovery of propylene from a propane dehydrogenation process
WO2021050628A1 (en) * 2019-09-10 2021-03-18 Kellogg Brown & Root Llc Refrigeration recovery from reactor feed in a propane dehydrogenation system
KR102298756B1 (ko) * 2019-09-16 2021-09-03 한화토탈 주식회사 흡착분리 및 올레핀 전환 공정을 결합한 프로필렌 제조방법
CN115304447A (zh) * 2021-05-08 2022-11-08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整合丙烷脱氢装置与乙烯装置的冷剂的***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999B1 (en) 1999-11-30 2001-09-25 Uop Llc Process for separating propylene from propane
CN103664455A (zh) 2012-09-05 2014-03-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丙烯的制备方法
KR101470675B1 (ko) 2010-08-26 2014-1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경질 올레핀 분리를 위한 치환탈착공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5011A (en) * 1992-05-29 1994-11-15 The Boc Group, Inc. Method of producing unsaturated hydrocarbons and separating the same from saturated hydrocarbons
US5368011A (en) * 1993-06-09 1994-11-29 Rheem Manufacturing Company, A Delaware Corp. Appliance combustion chamber
US20090312591A1 (en) * 2006-03-29 2009-12-17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propene from propa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999B1 (en) 1999-11-30 2001-09-25 Uop Llc Process for separating propylene from propane
KR101470675B1 (ko) 2010-08-26 2014-1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경질 올레핀 분리를 위한 치환탈착공정
CN103664455A (zh) 2012-09-05 2014-03-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丙烯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422B1 (ko) 2019-10-08 2020-01-2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출증류를 이용한 프로펜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65430A1 (en) 2018-09-20
US10221111B2 (en) 2019-03-05
KR20160071114A (ko) 2016-06-21
WO2016093558A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388B1 (ko) 프로판-함유 공급원료의 탈수소반응 생성물로부터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방법
US5856607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ethylbenzene frome dilute ethylene streams
KR101522933B1 (ko) 프로필렌 제조
US5332492A (en) PSA process for improving the purity of hydrogen gas and recovery of liquefiable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aceous effluent streams
EP2931688B1 (en) Process for removing light components from an ethylene stream
US9303227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LPG from PSA tail gas
CN105555923B (zh) 用于催化重整的方法
EP2134667B1 (en) Separation of olefins from olefins/paraffins mixed gas
KR20070047330A (ko) 올레핀-함유 탄화수소 스트림의 알킨 및/또는 디엔의선택적 수소화 방법
KR102257649B1 (ko) 촉매 탈수소화 공정에서의 미량의 클로라이드 오염물의 고온 제거 방법
US8747785B2 (en)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gasoline benzene content by alkylation with dilute ethylene
EP3204470B1 (en) Regeneration process of an adsorber used to adsorb oxygen and/or sulfur out of organic compositions
CN104892339A (zh) 一种由异丁烷制备正丁烷的方法
CN107602333B (zh) 一种甲醇制烯烃反应气的分离方法
US8895793B2 (en)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gasoline benzene content by alkylation with dilute ethylene
RU250551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бензола в бензине при алкилировании разбавленным этиленом
CN112723972B (zh) 一种回收炼厂干气用作乙烯原料的方法
US20160090336A1 (en) Removal of aromatic contaminants in olefin stream from paraffin dehydrogenation
CN111943797A (zh) 纯化烃物流的方法
CN114478167A (zh) 一种金属有机骨架材料回收炼厂干气的方法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