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408B1 - 기숙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숙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408B1
KR101679408B1 KR1020160053214A KR20160053214A KR101679408B1 KR 101679408 B1 KR101679408 B1 KR 101679408B1 KR 1020160053214 A KR1020160053214 A KR 1020160053214A KR 20160053214 A KR20160053214 A KR 20160053214A KR 101679408 B1 KR101679408 B1 KR 101679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strate
dormitory
perso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훈
엄연옥
Original Assignee
(주)삼경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경엠에스 filed Critical (주)삼경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05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24Patterned shielding plane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s
    • H05K1/0225Single or multiple openings in a shielding, ground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05K1/0298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기숙사의 내부 공간에 할당된 감지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문인식센서 및 NFC센서 및 적외선센서 및 홍채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및 개인정보를 저장한 개인단말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유저로부터 상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감지부;
통신기능에 의해서 상기 개인정보를 기숙사관리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개인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유저 각각의 저장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정보대조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증정보의 생성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의 출입 여부를 파악하는 기숙사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숙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기숙사의 출입 게이트 인근에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유저가 보유한 학생증, 신분증 등의 출입용인증수단이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의 생체인증수단을 감지하여 유저의 감지영역 출입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숙사 관리 시스템{Dormitor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기숙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인증하여 출입여부를 체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숙사 내부에 구비된 시설과의 상호 연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숙사의 경우, 출입하는 자의 신분 확인은 기숙사의 보안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기숙사 방마다 개별적인 열쇠 잠금이나 개별 카드키 등을 사용하여 보안성을 높였으나, 기숙사 방을 제외한 복도나 휴게실, 샤워실 등의 공동공간의 보안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입구에 중앙관리실을 두고 경비원이 일일이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가장 확실하게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나 과도한 인건비 부담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보안상의 문제 이외에도 전기나 가스 등 다양한 경제적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 다수의 인원이 공동 생활을 하는 특성상 공동구역에 사용되는 전등, 에어컨, 히터, 수도 등의 자원은 항상 공동 생활을 하는 인원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준비되어있어야 한다. 과거에는 특정 시간대에는 전등이나 에어컨, 히터 등을 모두 켜 두거나 꺼 두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아무도 다니지 않는 곳에 계속해서 켜져있는 전등이나 전열기구 등을 통해 불필요한 자원소모로 소비되는 유지관리비용이 상당하고, 전등이나 전열기구가 모두 꺼지는 시간대에는 이러한 자원을 사용하지 못해 불편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숙사 출입구 또는 기숙사 방과 연동하여 출입하는 자의 신분 확인과 자원의 사용을 제어 하는 기술이 일부 공개되어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4-0121054호 ‘기숙사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기숙사방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기숙사방에 위치 시 상기 기숙사방에 대한 전력 공급 정보 및 냉난방 가동 정보를 포함하는 활성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게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기숙사방 입실 여부에 따라 전력 및 냉난방 제어를 하는 기술에 불과하며, 출입하는 자의 신분이 이미 확인된 상태에서만 사용될 수 있는 전력 및 냉난방 제어 방법이라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해결 방안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2002-0083527호 ‘광송수신기를 이용한 출입보안시스템’은 개인식별정보인 고유ID를 내장하고, 고유ID를 광신호로 송신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출입문에 부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광송신되는 고유ID를 수신하기 위한 출입통제용 광수신기; 상기 광수신기와 연결되어 수신된 고유ID에 출입문 식별정보를 추가하여 중앙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컨트롤러; 및 출입허가자에 대한 고유ID가 등록되어 있는 통제용DB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된 정보의 고유ID가 통제용DB에 등록되어 있으면 출입을 허가하는 중앙통제장치를 포함하는 광송수신기를 이용한 출입보안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경우 휴대단말기를 신원확인수단으로 사용하여 출입통제기관마다 각각의 ID카드를 발급받을 필요 없이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보안관리체계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출입구에서의 개인의 인증과정만을 포함하므로 이러한 인증과정을 통해 추가적으로 전력 및 냉난방 제어를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되어있지 않으며, 최근 판매중인 휴대단말기에는 대부분 광송수신기가 포함되지 않아 앞으로의 활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입력받고 인증하여 출입여부를 체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숙사 내부에 구비된 시설과의 상호 연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숙사 입구에서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받아 인증하여 출입여부를 체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명의 유저가 여러 인증수단을 사용하여 복수의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인증과 연계되어 기숙사에 위치하는 조명 등 기타 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상기 기숙사의 내부 공간에 할당된 감지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문인식센서 및 NFC센서 및 적외선센서 및 홍채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및 개인정보를 저장한 개인단말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유저로부터 상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감지부; 통신기능에 의해서 상기 개인정보를 기숙사관리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개인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유저 각각의 저장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정보대조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증정보의 생성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의 출입 여부를 파악하는 기숙사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단말밴드는, 상기 유저에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개인정보가 코드 처리된 개인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비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콘은, 상기 감지영역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개인단말밴드는,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비콘에 상기 개인식별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개인단말밴드는, 상기 유저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유저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를 포함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상기 맥박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정보생성파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비콘에 상기 개인식별코드와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숙사관리서버는, 상기 개인정보의 수신 시간을 파악한 상태에서, 수신된 상기 개인정보 중에서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수신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개인정보추출파트 및, 추출된 상기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생체정보추출파트와, 추출된 상기 생체정보의 수치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일치여부판단파트 및, 상기 생체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생체정보를 중복인증정보로 설정하는 중복인증파악파트를 포함하는 생체정보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버튼과, 상기 버튼을 벽면에 고정하는 스위치케이스로 구성되는 스위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출입돌기와, 상기 출입돌기를 내외로 출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어셈블리 및, 상기 푸시 어셈블리의 일 면에 적층 배치되는 것으로,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인증정보의 최초 생성에 따라 상기 버튼이 ON 상태가 되도록 상기 푸시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스위치제어장치와, 상기 스위치제어장치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통신부와 상기 스위치제어장치를 하나의 다층인쇄기판으로 구성하여 일체화한 통합제어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다층인쇄기판은, 전면으로 노출된 것으로서, 상기 센서 및 상기 비콘을 구비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기판을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페이스와, 상기 스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을 둘러싼 둘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둘레부는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된 절연벽을 상호 마주보는 영역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절연벽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차폐된 제 1, 2 둘레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가 분할 형성되어 기판 처리된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를 각각 구비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판을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시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제 3 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기판은,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수평중공부 및, 상기 수평중공부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중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3 기판은, 상기 수직중공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직중공부와 내통되는 연동중공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우징은,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절곡부에서 각각 연장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숙사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1) 기숙사의 출입 게이트 인근에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유저가 보유한 학생증, 신분증 등의 출입용인증수단이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의 생체인증수단을 감지하여 유저의 감지영역 출입여부를 체크하고,
2) 특히 개인단말밴드를 활용하여 유저의 생체정보를 추가로 인증함으로써 한 명의 유저가 타인의 인증수단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한 명의 유저가 복수개의 타인 인증수단을 사용하여 출입을 인증하는 것을 방지하며,
3) 인증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기숙사에 위치하는 조명 등 기타 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위치에 부착되어 인증정보의 수신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장치 및 하우징을 통해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숙사 출입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제어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제어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6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기숙사의 출입게이트 인근에 형성되는 감지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감지부(100)와 기숙사관리서버(400)로 구성된다.
유저의 감지영역 통과 시 감지부(100)는 유저로부터 본인인증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입력받게 되고, 기숙사관리서버(400)는 감지부(100)와의 통신을 통해 개인정보로부터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의 감지영역 출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기숙사 유저 관리에 있어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숙사 관리 시 비상 상황이 발생하거나, 외부인의 침입 시도 시 기숙사 관리인은 기숙사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 외부인의 침입신호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유저 각각의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감지부(100)와, 통신기능에 의해 상기 개인정보를 개인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유저 각각의 저장정보와 개인정보를 대조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유저를 관리하는 기숙사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부(100)의 경우 지문인식센서, NFC센서, 적외선센서, 홍채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110)를 통해 유저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개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센서(110)와 통신하는 수단은 학생증, 사원증 등의 출입증 뿐 아니라 상기 유저에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개인단말밴드(120)를 포함한 다양한 출입용 카드, 밴드, 목걸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출입통제를 위해 사용되는 인증수단과 그 구성 및 기능이 일치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숙사관리서버(400)는 입력받은 개인정보와 기 저장한 저장정보 사이의 일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인증정보의 생성내역 및, 상기 기숙사에 구비된 출입게이트의 개폐내역을 등을 확인하여 기숙사에 살고 있는 유저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기숙사관리서버(400)는 수신한 상기 개인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유저 각각의 저장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정보대조부(410)와, 상기 인증정보의 생성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증내역확인부(430)와, 상기 출입게이트의 개폐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게이트내역확인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숙사관리서버(400)로 하여금 인증되지 않은 사람이 인증을 시도했는지의 여부와, 기숙사를 이용하는 유저가 언제 출입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할 수 있어 기숙사 관리에 보다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학생용 기숙사의 경우는 서버로 전송된 인증정보 생성내역 및 개폐내역을 통해 학생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시스템은 감지영역 일 측에 CCTV(3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므로, 상기 CCTV(300)를 통해 외부인의 출입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기숙사관리서버(400) 역시 CCTV(300)로부터 생성된 영상신호 등을 수신하는 자료수신부(4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CCTV(300)로부터 촬영된 영상자료를 수신하여 기숙사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지부(100)와 기숙사관리서버(400)는 통신부(200)를 통해 통신하게 되는데, 통신부(200)는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감지부(100)에서 상기 기숙사관리서버(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콘(21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비콘(210)은 개인단말밴드(120)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데, 이 때 상기 개인단말밴드(120)는 상기 유저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개인정보가 코드 처리된 개인식별코드를 포함한다.
개인단말밴드(12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스마트밴드와 같은 팔찌 타입의 본인인증 수단이며, 개인식별코드저장파트(121)를 통해 개인정보를 코드 처리하여 저장한다. 또한 개인단말밴드(120)에 시계 기능을 추가하여 기숙사를 이용하는 유저로 하여금 보다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비콘(210)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자면, 상기 통신부(200)에 포함되는 비콘(210)은 감지영역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유저가 감지영역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개인단말밴드(120)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콘(210)에 상기 개인식별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개인식별코드의 전송에 따라 상기 기숙사관리서버(400)에 포함된 정보대조부(410)는 개인정보와 저장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숙사의 유저 관리에 이러한 인증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상기 개인단말밴드(120)는 개인식별코드저장파트(121)를 통한 개인정보 저장 기능 외에도, 상기 유저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122) 및, 상기 유저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123)와,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상기 맥박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정보생성파트(124)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스마트워치로서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생체정보 역시 상기 비콘(210)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인증 수단으로서 인증정보 뿐 아니라 생체정보 역시 대조될 수 있어, 생체정보의 중복여부를 파악하여 본인인증에 있어 하나의 수단을 더 추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연동되는 기숙사관리서버(400)의 생체정보 인증 과정은, 개인정보추출파트(421)와 생체정보추출파트(422), 일치여부판단파트(423) 및 중복인증파악파트(424)로 구성되는 생체정보인증부(420)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개인정보추출파트(421)는, 상기 개인정보의 수신 시간을 파악하고,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수신된 개인정보를 추출한다. 이 때 특정 시간 범위라 함은 서버에서 관찰을 원하는 시간 대역을 일컫는다.
다음으로 생체정보추출파트(422)는, 상기 개인정보추출파트(421)에서 추출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유저의 생체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추출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유저의 생체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치여부판단파트(423)는, 추출된 상기 생체정보의 수치를 파악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일치의 기준은 체온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의 유사도에 따른 것으로서, 유사도가 기 설정된 기준 유사도를 초과할 경우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생체정보가 일치한다면, 동일한 유저가 두 개의 개인단말밴드(120)를 착용하고 인증정보 생성을 시도하는, 다시 말해 중복인증을 시도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복인증파악파트(424)는 수치 파악된 상기 생체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생체정보를 중복인증정보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중복인증정보는 기숙사관리서버(400)에 포함되는 중복인증내역확인부(450)를 통해 중복인증정보의 생성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감지부(100)를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것 외에도, 한 명의 유저가 두 개의 개인단말밴드(120)를 동시에 착용하고 인증을 시도하는, 다시 말해 한 명의 유저가 중복인증을 시도하는 경우를 적발할 수 있어 유저 관리에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 중복인증정보가 생성될 경우, 기숙사관리서버(400)는 중복인증정보의 생성에 따라 인증정보의 생성 역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숙사 출입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통해 기숙사 출입 프로세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비콘(210)은 감지영역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개인단말밴드(120)를 착용한 유저가 감지영역에 접근할 경우, 개인단말밴드(120)는 상기 감지신호를 인식하여 개인식별코드를 전송하게 된다.
개인식별코드는 개인정보가 코드 처리된 것이므로, 개인식별코드의 전송에 따라 상기 유저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며, 기숙사관리서버(400)에 포함된 정보대조부(410)는 저장정보와 개인정보를 대조하게 된다.
이 때 개인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인증정보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기숙사관리서버(400)에 포함된 인증내역확인부(430)를 통해 인증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다시 말해 인증정보 생성 실패내역 역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숙사관리서버(400)에 포함된 생체정보인증부(420)는 수신된 상기 생체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중복인증정보를 생성한다. 중복인증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경우, 인증정보가 생성된다.
이 때 수신된 생체정보 중 동일한 것, 다시 말해 다른 유저의 개인단말밴드(120)로부터 동일한 생체정보가 수신된 것이 판단될 경우 중복인증정보가 생성된다. 이를 통해 인증정보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중복인증정보가 생성될 경우 인증정보가 생성되지 않도록 기 설정한다면 생체정보인증부(420)에서 판단한 생체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출입게이트 인근의 감지영역에 설치되는데, 이 때 일반적인 출입게이트 근처에는 스위치(500)가 구비된다. 이 때 기숙사에 따라 다양한 설치물 및 소자 등을 제어하는 스위치(50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주로 출입게이트 인근에는 조명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500)와 조명 스위치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위치(500)가 구비된 기숙사를 이용하는 유저의 편의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한 인증정보 생성 시 스위치(500)를 제어하여 인증정보의 생성하여 스위치(500)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위치제어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위치제어장치(700)는 버튼(510)과, 상기 버튼(510)을 벽면에 고정하는 스위치케이스(520)로 구성되는 스위치(500)에 적용되고, 하우징(600)에 수용되어 상기 스위치케이스(520)와 결합되는데, 이 때 스위치제어장치(700)는 푸시 어셈블리(710) 및 제어부(720)로 구성되어 구동될 수 있다.
먼저, 푸시 어셈블리(710)는 스위치(500)에 구비된 버튼(510)의 양 측부를 향해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출입돌기(711)와 및 상기 출입돌기(711)를 구동하는 구동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출입돌기(711)는 구동부(712)에 포함된 모터에 각각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회전하며 돌출 및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에 포함된 상기 출입돌기(711)가 상기 버튼(510)의 일 측을 누르는 식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외의 다양한 물리적 구조를 이용하여 버튼(510)에 압력을 가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제어부(720)는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의 전면 측에 적층 배치되는 것으로,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생성된 순서에 따라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효과적인 스위치(500) 제어를 위해서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최초로 인증정보가 생성될 시 스위치(500)를 on 상태로 구동하고, 최후로 인증정보가 생성될 경우 스위치(500)를 off 상태로 구동하는 것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20)는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인증정보가 생성된 순서에 따라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에 포함되는 구동부(712)를 제어하여, 출입돌기(711)의 돌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우징(600)은, 후면이 스위치케이스(520)에 고정되며 관통 형성된 관통공(6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610)에 상술한 스위치제어장치(700)가 수용되며, 추가적인 커버(630)를 구비할 수 있어 상기 스위치제어장치(700)를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하여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통합제어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상기 감지부(100) 및 상기 통신부(200)와 상기 스위치제어장치(700)를 하나의 다층인쇄기판(800)으로 구성하여 일체화한 통합제어어셈블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부(100)와 통신부(200), 스위치제어장치(700)를 통합하여 하나의 다층인쇄기판(800)으로서 연동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다층인쇄기판(800)은 전면으로 노출된 것으로서, 상기 센서(110) 및 상기 비콘(210)을 구비한 제 1 기판(810)과, 상기 제어부(720)가 구비되는 제 2 기판(820),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가 구비되는 제 3 기판(830)의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3 기판(810, 820, 830) 사이에는 접착층(압착층)이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 1, 2, 3 기판(810, 820, 830) 각각의 사이는 물론 제 2 기판(820)에 구비된 빈 공간, 즉 스페이스(821)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체가 충진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제 1, 2, 3 기판(810, 820, 830)에 대한 안정적이고 내구성 있는 결합 관계를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기판(810)은 전면으로 노출된 것으로서, 상기 센서(110)와 상기 비콘(210)을 구비한 판상 형태의 기판이다. 이 때 센서(110) 및 상기 비콘(210)은 임베디드 타입(embeded type) 또는 기타 방법으로 제 1 기판(810)에 실장 처리될 수 있으며, 센서(110) 나 비콘(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체적인 PCB를 포함한 모듈로 이루어졌을 경우 그러한 모듈을 수용 및 지지하는 기판 내지 블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기판(820)은 상기 제 1 기판(810) 및 제 3 기판(8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기판(810)을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이들의 물리적인 지지/완충체 내지 중간 연결체로서의 역할을 겸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2 기판(820)은 상기 센서(110)와 비콘(210)을 구비한 제 1 기판(810)과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를 구비한 제 3 기판(830) 사이의 완충 역할 또는 범퍼 내지 전도 브리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제 1 기판(810) 및 제 3 기판(830)이 얇은 두께로 압착되었을 때 이러한 제 1 기판(810) 및 제 3 기판(830)에 형성된 패턴 간 전기적 쇼트나 구비된 모듈 및 와이어의 눌림 현상, 기타 불필요한 간섭과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충격에 대한 방어 공간 역시 확보할 수 있는 완충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불어 제 2 기판(820)은 제 1 기판(810)과 같이 단일 폐곡면의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개방 공간을 구비한 입체 구조, 다시 말해 중앙 부위가 관통된 스페이스(821)와, 상기 스페이스(821)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을 둘러싼 둘레부를 포함한다.
스페이스(821)는 제 1 기판(810)과 제 3 기판(830)에 각각 형성된 패턴부(와이어 본딩 구조와 같은 입체적 형상을 구비한 패턴 등) 임베디드 타입의 소자 내지 칩에 의한 돌출 구성된 회로가 압착 또는 변형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과 동시에 충분한 완충제가 그 내부에 충진되어 보다 안전한 완충 구조체(즉, 완충제에 의한 기립체, 완충제에 의한 중간 지지체)를 수립할 수 있는 기본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 1 기판(810)에 형성된 센서(110)를 이용한 개인정보 입력 시, 기숙사를 이용하는 유저가 사원증 내지 학생증, 상술한 개인단말밴드(120)와 같은 개인정보입력수단을 접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해 압력을 받게 되는 경우 그 압력을 완충하는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페이스(821)는 둘레부의 구조 내지 패턴에 따라 다양한 형상, 즉 중앙 부위는 물론 일 측으로 치우친 부위에 관통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 내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둘레부는 스페이스(821) 주변을 둘러싸 물리적 구조를 포함하여 지지 기능 및 패턴부에 의한 전도체 내지 기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 1 기판(810) 내지 제 3 기판(830)에 형성되는 패턴 및 모듈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둘레부는,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된 절연벽(822)을 상호 마주보는 영역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절연벽(822)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차폐된 제 1, 2 둘레부(823, 824)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2 둘레부(823, 824)에는 상기 제어부(720)가 분할 형성되어 기판 처리된 제 1 제어부(721) 및 제 2 제어부(722)가 각각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제 1 제어부(721)와 제 2 제어부(722)는 상기 센서(110) 및 비콘(210)을 각각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인증정보를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110)와 비콘(210)의 제어를 통해 인증정보의 생성여부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인증정보의 전달을 제어하여 상기 푸시 어셈블리(710)의 동작 역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분할 구성된 제 1 제어부(721) 및 제 2 제어부(722)는 절연벽(822)에 의해 상호 차폐되므로, 비콘(210)과 센서(11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720) 간의 오작동 및 쇼트 등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절연벽(822)에 의하여 제 2 기판(820)의 둘레부가 전기적으로 독립된 2개의 기판으로 확보될 수 있어 별도의 소자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기판(830)은, 상기 제 2 기판(8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판(820)을 적층 지지하며 전면으로 노출된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재 및 구동부(712)를 포함하는 푸시 어셈블리(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 2 기판(820)은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수평중공부(850) 및, 상기 수평중공부(850)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중공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3 기판(810, 830)은 상기 수직중공부(8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직중공부(840)와 내통되는 연동중공부(860)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3 기판(810, 820, 830)으로 구성되는 다층인쇄기판(800)의 공정 시 필요한 몰딩 처리에 있어 상측 방향에서 몰드액을 붓는 방법이 아닌, 상기 수평중공부(850)를 통해 몰드액을 주입하고 상기 수직중공부(840) 및 연동중공부(860)를 통해 몰드액이 퍼져 나가도록 구성할 수 있어 몰드 주입 공정의 편의성 및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직중공부(840), 수평중공부(850), 연동중공부(860)를 통한 몰드액 주입 시 측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그에 대한 외력 저항성이 증가할 뿐 아니라, 제 1, 2, 3 기판(810, 820, 830)의 층간 결합력 역시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600)은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620) 및, 상기 절곡부(620)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절곡부(620)에서 각각 연장된 단턱부(6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턱부(621)의 경우 탄성계수가 낮은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므로, 상기 스위치케이스(520)와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우징(6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관통공(610)의 크기에는 그 제한이 없으므로, 상술한 스위치제어장치(700)나,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 일체화된 통합제어어셈블리(900)가 상기 관통공(610)에 수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숙사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감지부 110 : 센서
120 : 개인단말밴드 121 : 개인식별코드저장파트
122 : 온도측정센서 123 : 맥박측정센서
124 : 생체정보생성파트 200 : 통신부
210 : 비콘 300 : CCTV
400 : 기숙사관리서버 410 : 정보대조부
420 : 생체정보인증부 421 : 개인정보추출파트
422 : 생체정보추출파트 423 : 일치여부판단파트
424 : 중복인증파악파트 430 : 인증내역확인부
440 : 게이트내역확인부 450 : 중복인증내역확인부
460 : 자료수신부 500 : 스위치
510 : 버튼 520 : 스위치케이스
600 : 하우징 610 : 관통공
620 : 절곡부 621 : 단턱부
630 : 커버 700 : 스위치제어장치
710 : 푸시 어셈블리 711 : 출입돌기
712 : 구동부 720 : 제어부
721 : 제 1 제어부 722 : 제 2 제어부
800 : 다층인쇄기판 810 : 제 1 기판
820 : 제 2 기판 821 : 스페이스
822 : 절연벽 823 : 제 1 둘레부
824 : 제 2 둘레부 830 : 제 3 기판
840 : 수직중공부 850 : 수평중공부
860 : 연동중공부 900 : 통합제어어셈블리

Claims (8)

  1. 기숙사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기숙사의 내부 공간에 할당된 감지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문인식센서 및 NFC센서 및 적외선센서 및 홍채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및 개인정보를 저장한 개인단말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유저로부터 상기 개인정보를 입력받되, 상기 개인단말밴드는 상기 개인정보가 코드 처리된 개인식별코드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유저에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인, 감지부;
    통신기능에 의해서 상기 개인정보를 기숙사관리서버로 전달하는 비콘;
    수신한 상기 개인정보와 기 저장된 상기 유저 각각의 저장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정보대조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증정보의 생성내역을 기반으로 상기 감지영역에 대한 상기 유저의 출입 여부를 파악하는 기숙사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비콘은, 상기 감지영역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개인단말밴드는, 상기 유저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와 상기 유저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를 포함한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체온 및 상기 맥박으로부터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생체정보생성파트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비콘에 상기 개인식별코드와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기숙사관리서버는,
    상기 개인정보의 수신 시간을 파악한 상태에서, 수신된 상기 개인정보 중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수신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개인정보추출파트 및,
    추출된 상기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각각의 상기 유저에 대한 상기 생체정보를 추출하는 생체정보추출파트와,
    추출된 상기 생체정보의 수치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일치여부판단파트 및,
    상기 생체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생체정보를 중복인증정보로 설정하는 중복인증파악파트를 포함하는 생체정보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버튼과, 상기 버튼을 벽면에 고정하는 스위치케이스로 구성되는 스위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출입돌기와, 상기 출입돌기를 내외로 출입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푸시 어셈블리 및,
    상기 푸시 어셈블리의 일 면에 적층 배치되는 것으로, 특정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인증정보의 최초 생성에 따라 상기 버튼이 ON 상태가 되도록 상기 푸시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스위치제어장치와,
    상기 스위치제어장치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비콘과 상기 스위치제어장치를 하나의 다층인쇄기판으로 구성하여 일체화한 통합제어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다층인쇄기판은,
    전면으로 노출된 것으로서, 상기 센서 및 상기 비콘을 구비한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기판을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페이스와, 상기 스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둘레 면을 둘러싼 둘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둘레부는 전기적으로 절연 처리된 절연벽을 상호 마주보는 영역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절연벽에 의해 전기적으로 각각 차폐된 제 1, 2 둘레부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가 분할 형성되어 기판 처리된 제 1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를 각각 구비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 기판을 적층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시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제 3 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된 수평중공부 및,
    상기 수평중공부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중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3 기판은,
    상기 수직중공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수직중공부와 내통되는 연동중공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절곡부에서 각각 연장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53214A 2016-04-29 2016-04-29 기숙사 관리 시스템 KR101679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14A KR101679408B1 (ko) 2016-04-29 2016-04-29 기숙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14A KR101679408B1 (ko) 2016-04-29 2016-04-29 기숙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408B1 true KR101679408B1 (ko) 2016-11-24

Family

ID=5770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214A KR101679408B1 (ko) 2016-04-29 2016-04-29 기숙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72B1 (ko) * 2017-09-05 2018-12-20 주식회사 와이키키소프트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단말을 이용한 통합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KR20210132902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18263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코아솔루션 저전력 체온감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출결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72B1 (ko) * 2017-09-05 2018-12-20 주식회사 와이키키소프트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단말을 이용한 통합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WO2019050085A1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와이키키소프트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 웨어러블 단말을 이용한 통합 인증방법 및 인증시스템
KR20210132902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34409B1 (ko) * 2020-04-28 2024-02-06 주식회사 아모센스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18263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코아솔루션 저전력 체온감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출결 시스템
KR102562988B1 (ko) * 2021-02-18 2023-08-03 주식회사 코아솔루션 저전력 체온감지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출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8449T3 (es) Sistemas y método de control de acceso que utiliza un teléfono inteligente
US20130076482A1 (en) Secure access system employing biometric identification
JP2008057129A (ja) 入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室管理方法
KR101679408B1 (ko) 기숙사 관리 시스템
JP201001532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2033048A (ja) 警備システム
FI72826B (fi) Anlaeggning foer att alstra en manoevreringssignal.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102234164B1 (ko) 접촉식 음주측정센서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사고 예방 방법
CN106408706A (zh) 一种智能门禁***
KR102110638B1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1733454B1 (ko)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526176A (ja) 電気安全カバー
JP6765070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0564996B1 (ko) 다중 인증을 지원하는 도어락
US20060088192A1 (en) Identification system
KR2021009930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JP7181710B2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100869293B1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8769A (ko) 다중 보안 기능을 갖는 출입 제어장치
KR100728656B1 (ko) 조작부와 잠금 장치가 분리된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방법
JP2019094727A (ja) 扉制御システム
US11132854B2 (en) Inconspicuous access control device
CN210422199U (zh) 防误闭锁装置及***
JP4510474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