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446B1 - 휴대용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446B1
KR101678446B1 KR1020150048464A KR20150048464A KR101678446B1 KR 101678446 B1 KR101678446 B1 KR 101678446B1 KR 1020150048464 A KR1020150048464 A KR 1020150048464A KR 20150048464 A KR20150048464 A KR 20150048464A KR 101678446 B1 KR101678446 B1 KR 10167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support
support member
p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549A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ublication of KR2016001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2Dismountable chairs connected by bar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47C4/028Upholstered chairs, e.g. metal, plastic or wooden chai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지면 상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에 접촉하고, 각각의 타단은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의자 {Portable Chair}
본 발명은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 및 조립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 등을 기대어도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이나 낚시 등의 야외 활동의 증가로,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의자가 제공되고 있다.
휴대용 의자는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가 간단해야 한다. 야외의 경우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가 많으므로, 고르지 못한 지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휴대용 의자는 사용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의 무게를 견고하게 지탱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사용시 여러 개의 일자형 다리들을 교차하여 고정 부재로 고정할 수 있는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다리들을 한 점에 모아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경우, 다리들을 고른 지면에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 의자의 좌우 및 전후 균형이 맞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자의 등받이부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앉는 자세 이외에 몸을 기대어 쉴 수 없어 사용에 있어 제약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는 자세 이외에도 몸을 기대어 쉴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르지 못한 지면에 대해서도 설치가 용이하며,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를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에 있어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지면 상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에 접촉하고, 각각의 타단은 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지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의 타단은 상기 제3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2개의 상기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하나의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타단은 그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3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타단은 그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3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의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각각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 제1 허브 또는 제2 허브에 탄성 줄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단위 프레임들이 탄성 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중앙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3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중앙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은 지면에 대하여 60도 이하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의 타단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의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는 각각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조인트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의 타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은 각각 상기 슬롯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슬롯을 따라 돌출부가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는 자세 이외에도 몸을 기대어 쉴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르지 못한 지면에 대해서도 설치가 용이하며,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를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에 있어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측면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시트 천이 적용된 휴대용 의자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제1 허브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제1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시트 천이 적용된 휴대용 의자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측면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에 관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는, 제1 지지 부재(10), 제2 지지 부재(20),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 및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는 지면 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각각의 일단도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휴대용 의자에서 사용자가 앉는 방향인 의자의 앞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전방"에 반대방향인 의자의 뒷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지지 부재(10)를 중심으로 제1 전방 폴 프레임(110)과 제1 후방 폴 프레임(130)이 연결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의자의 좌측 프레임을 형성하고, 제2 지지 부재(20)를 중심으로 제2 전방 폴 프레임(120)과 제2 후방 폴 프레임(140)이 연결되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의자의 우측 프레임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과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에 시트 천(90)(도 4 참조)이 적용되어 의자를 형성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은 사용자의 좌석부를 형성하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은 사용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을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에 접촉하고, 각각의 타단은 지면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으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하중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를 통하여 지지되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으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하중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 및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을 통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가 휴식을 위하여 의자에 앉는 경우, 사용자는 의자의 등받이에 기대게 되므로, 전방 폴 프레임들보다는 후방 폴 프레임들에 하중이 더 많이 전달된다. 본 발명의 경우 후방 폴 프레임들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후방 폴 프레임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휴식을 위하여 의자에 앉거나 기대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지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지지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들의 타단은 상기 제3 지지 부재(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지지 부재(30)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들이 연결되어,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지지 부재(10, 20, 30)의 경우 프레임들에 전달되는 하중을 지면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며, 프레임들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2 및 제3 지지 부재(10, 20, 30)들은 지면에 접촉하는 지지부와 폴 프레임 또는 지지 프레임이 삽입되는 2 이상의 삽입 홀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평면 형상의 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2 이상의 삽입 홀들을 포함함으로써 프레임들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및 제3 지지 부재(10, 20, 30)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지지 부재(30)가 없이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들이 직접 지면으로 하중을 전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들 각각의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의자의 좌우 균형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로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만을 수평하게 배치하면 의자의 좌우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30)로는 의자의 등받이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지지 부재(30)가 배치된 지면의 높이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가 배치된 지면의 높이가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가 배치된 지면의 높이만 동일하다면 좌우 균형을 맞춘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의자가 설치되는 지면의 굴곡에 대한 영향력을 최소화하여, 지면에 대한 제약이 적고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에 제1 및 제2 허브(40, 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들의 일단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및 제2 허브(40, 50)가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 상에 유지되도록, 후방 폴 프레임들을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가운데 부분에 허브가 고정되게 하는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허브(40, 50)를 통하여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과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을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허브(40, 50)는 부채꼴 형상의 구조물로서, 지지 프레임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과, 후방 폴 프레임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 사이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후방 폴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 또는 지지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경사각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도 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는 이를 연결하는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00)으로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를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중이 과도하게 부가되더라도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 중 하나 이상은 각각 제1 지지 부재(10), 제2 지지 부재(20), 제3 지지 부재(30), 제1 허브(40) 또는 제2 허브(50)에 탄성 줄(S)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것은 휴대시 프레임들을 분리하여 해체할 수 있으며, 사용시 프레임들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폴 프레임, 지지 프레임들은 휴대와 사용을 위하여 접거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휴대시에는 제1 지지 부재(10), 제2 지지 부재(20) 및 제3 지지 부재(30)로부터 폴 프레임들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 프레임도 제1 및 제2 허브(40, 50) 및 제3 지지 부재(30)로부터 분리하여 접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폴 프레임들 또는 지지 프레임들을 분리하더라도, 각각의 프레임들은 탄성 줄(S)을 통하여, 각각의 지지 부재 또는 허브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폴 프레임들이 탄성 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다른 프레임들에 비하여 길이가 긴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이 각각 3개의 단위 프레임들(131, 133, 135; 141, 143, 145)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 경우, 후방 폴 프레임들을 길게 형성하더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어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폴 프레임 또는 지지 프레임도 분리 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에는,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00)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다.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00)과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의 조립체를 중심으로 다른 조립체들을 분리하여 접거나, 조립하게 하기 위함이다. 분리하여 접는 경우 부품들이 전부 분리되는 경우 부품들을 전부 분리해 놓으면 조립에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탄성 줄에 의해 부품들이 꼬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00)과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의 조립체를 유지하여, 즉, 휴대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 부분은 조립된 상태로 유지하여 이 부분을 중심으로 분리 및 조립하도록 형성하여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분리 및 조립이 편리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00)도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에 탄성 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길이(L1)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길이(L1)를 상기 길이(L2)보다 길게 함으로써, 등받이부의 길이가 긴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등받이부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사용자가 등 전체를 기댈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머리까지 기댈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편안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등받이부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즉,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들은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휴식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은 지면에 대하여 60도 이하의 경사각(α)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은 지면에 대하여 대략 45도의 경사각(α)을 갖는다. 경사각이 낮아질수록 사용자 누워 쉬기 편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들이 지면 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이 이를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등 전체와 머리 부분까지 기대어 쉴 수 있으며, 누운 자세로 쉴 수 있는 휴대용 휴식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휴식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타단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천(90)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천(90)이 각각의 폴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휴대시 따로 분리하여 조립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시트 천(90)이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 활동 후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하며, 동일한 의자 프레임에 대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시트 천(90)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천(9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포켓(91, 92, 93, 94)을 포함할 수 있다.
포켓(91, 92, 93, 94)을 구비함으로써, 조립이 보다 간편하고, 사용시 안정적으로 시트 천(90)을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는 자세 이외에도 몸을 기대어 쉴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등받이부를 길게 형성하면서도,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지면 쪽으로 기울어진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등 부분 또는 등과 머리를 기대어 눕거나 기대어 쉴 수 있는 휴대용 휴식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르지 못한 지면에 대해서도 설치가 용이하며,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의자의 좌우 균형을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유지하므로, 전체 다리 또는 지지 부재가 고르지 못한 지면에 설치하더라도, 제1 및 제2 지지 부재만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면 의자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르지 못한 지면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를 지면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에 있어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앉는 자세를 취하거나, 눕거나 기대는 자세를 취하더라도 제1 및 제2 지지 부재와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또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과 제3 지지 부재)을 통하여 사용자를 지지하므로 사용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팔걸이용 프레임을 더 구비한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의자 프레임은 제1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 및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과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이 연결되어, 의자의 좌/우측 프레임을 형성한다. 그리고, 일단은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에 접촉하고, 타단은 지면에 접촉하여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지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제1 실시예는 하나의 제3 지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제2 실시예는 2개의 제3 지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3 지지 부재의 개수는 원하는 의자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제2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상기 제3 지지 부재(31, 33)를 포함하며, 하나의 제3 지지 부재(31)는 상기 제1 지지 부재(10)의 후방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제3 지지 부재(33)는 상기 제2 지지 부재(20)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210)의 타단은 그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3 지지 부재(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220)의 타단은 그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3 지지 부재(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의자의 후방에서 2개의 제3 지지 부재(31, 33)로 지면에 대해 2점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의자의 후방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후방에 기대더라도 좌우로 쉽게 흔들리지 않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를 연결하는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10)을 포함하고, 2개의 제3 지지 부재(31, 33)들을 연결하는 제2 중앙 지지 프레임(330)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중앙 지지 프레임(310, 330)으로 지지 부재들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중이 과도하게 부과되더라도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 및 제3 지지 부재(31, 33)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일단은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의 일단이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이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면 방향으로)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타단에 고정시키거나, (지면 반대 방향으로) 위로 회전시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허브(40, 50)에서 연장된 브라켓(41)에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제1 허브(40)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제1 허브(40)의 전방으로 브라켓(41)이 연장 형성되며,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의 단부에 결합된 힌지 구조물 또는 이를 관통하는 힌지 조인트(43)가 상기 브라켓(41)에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팔걸이용 프레임(420)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은 각각 제1 및 제2 허브(40, 50)를 중심으로, 지면 방향으로 그리고 지면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이 힌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의 타단은 각각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및 제2 연결 부재(60, 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제1 연결 부재(6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제1 연결 부재(6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2 연결 부재(70)도 동일하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부재(60)는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H1)이 형성된 제1 하우징(61)과 제1 전방 폴 프레임(110)의 타단부가 관통하는 관통홀(H2)이 형성된 제2 하우징(63)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61)은 제2 하우징(63)의 측면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형 몰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61)에는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이 삽입되는 삽입홀(H1)이 형성되며, 삽입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슬롯(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에는 슬롯(6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출부(411)는 슬롯(65)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연결 부재(60)와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은 서로에 대한 위치가 가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의 경우 제1 연결 부재(60)는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으로부터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돌출부(411)는 슬롯(65)에서 팔걸이용 프레임 쪽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연결 부재(60)는 최소한의 삽입 깊이(D1)을 갖고 연결된다.
한편, 도 7b의 경우, 제1 연결 부재(60)는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으로부터 밀어 넣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돌출부(411)는 슬롯(65)에서 연결 부재 쪽에 위치한 상태로 결합을 유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연결 부재(60)는 최대한의 삽입 깊이(D2)를 갖고 연결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제1 연결 부재(60)에 대한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의 삽입 깊이는 가변적이 될 수 있다. 즉, 최소한의 삽입 깊이(D1)와 최대한의 삽입 깊이(D2) 사이에서 가변적인 삽입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63)에는 제1 전방 폴 프레임(110)이 삽입되는 관통홀(H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H2)은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들에는 관통홀(H2)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들의 본체부(113, 123)의 직경보다 작은 삽입부(111, 1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63)은 삽입부(111, 121)를 따라서 이동하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들의 본체부(113, 123)를 넘어서 이동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들은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은 제1 및 제2 연결 부재(60, 70)에 삽입 깊이가 가변적으로 결합되므로, 의자 프레임들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들은 삽입부(111, 121)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의자 프레임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시트 천(90)이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단부에서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단부까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 전방 폴 프레임(110, 120) 및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하부는 결합된 상태에서 닫힌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겠다. 즉, 도 8에서, P1-P2-P3를 잇는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만일 P3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면, 시트 천(90)을 장착하기 위하여, 삼각형 구조 부분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P2-P4을 잇는 부분만을 구부려서 장착해야 한다.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일부 부분(P2-P4)만을 움직여 시트 천(90)을 장착하려면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의 경우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이 전방 폴 프레임(110, 120)에 소정의 간격만큼 (화살표 R1인)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P1-P2-P3의 삼각형 구조 부분이 고정되지 않게 된다. 즉, 전체 프레임들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움직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일부 부분(P2-P4)만을 움직이지 않고, 전체 프레임들을 움직여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시트 천(90)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일 예로,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상부에 시트 천(90)을 먼저 끼우고,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의 하부와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을 서로 거리가 가까워 지도록 (화살표 f1, f2 방향의) 미는 힘을 가하여 전방/후방 폴 프레임(110, 120, 130, 140)들의 간격을 가깝게 한 뒤,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상부에 시트 천(90)을 장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폴 프레임(130, 140)과 전방 폴 프레임(110, 120)의 위치를 약간씩 조절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힘만으로도 시트 천(90)의 장착이 가능해 진다.
사용자의 사용 위치에 따라서 힘이 가해지는 방향이 바뀌는데, 팔걸이용 프레임(410, 42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면, 의자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허브, 지지 부재 또는 연결 부재에 많은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결국, 이는 의자 프레임들의 연결부가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연결될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들의 결합에 있어 움직임을 허용하여 응력을 완화함으로써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허브, 지지 부재 또는 연결 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는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의자 프레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휴대 및 보관을 위해 분리되어 접힐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110, 120)들은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 줄(S)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130, 140)은 2이상의 단위 프레임(131, 133, 141, 143)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와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 줄(S)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후방 폴 프레임(130)의 상부 단위 프레임(131)은 하부 단위 프레임(133) 또는 제1 허브(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탄성 줄(S)로 연결될 수 있다.
반면, 모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경우 부품들을 전부 분리하고 전부 조립해야 하므로 번거로워 진다. 따라서, 재조립의 편리함을 위해 접히는 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면 일부 부품들은 연결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단위 프레임(133)과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은 제1 허브(40)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허브(40)를 중심으로 하부 단위 프레임(133)과 나란하게 접힐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허브(40)에 제1 팔걸이용 프레임(410)과 하부 단위 프레임(133)이 분리 가능하게, 또는 탄성 줄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은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210, 220)과 제1 및 제2 허브(40, 50)는 탄성 줄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로 제1 및 제2 허브(40, 50)에 많은 프레임들이 연결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다른 프레임들과 분리시켜 보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줄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10, 20)와 2개의 제3 지지 부재(31, 33) 사이의 제1 중앙 지지 프레임(310)과 제2 중앙 지지 프레임(330)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더라도, 보관 및 휴대의 불편함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중앙 지지 프레임(310, 330)과 지지 부재들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탄성 줄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팔걸이용 프레임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않는 경우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팔걸이를 제공하면서도 부품들 사이의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휴대용 의자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립, 보관 및 휴대의 편리함을 위해 부품들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탄성 줄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에 있어 조립 및 보관이 편리한 휴대용 의자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다른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바, 이상에서는 일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제1 지지 부재
20: 제2 지지 부재
30: 제3 지지 부재
40: 제1 허브
50: 제2 허브
60: 제1 연결 부재
70: 제2 연결 부재
110: 제1 전방 폴 프레임
120: 제2 전방 폴 프레임
130: 제1 후방 폴 프레임
140: 제2 후방 폴 프레임
210: 제1 지지 프레임
220: 제2 지지 프레임
300, 310: 제1 중앙 지지 프레임
330: 제2 중앙 지지 프레임
410: 제1 팔걸이용 프레임
420: 제2 팔걸이용 프레임

Claims (17)

  1. 지면 상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타단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고, 각각의 타단은 지면에 접촉하여, 의자의 등받이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지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의 타단은 상기 제3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하나의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타단은 그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3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타단은 그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3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의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각각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제3 지지 부재, 제1 허브 또는 제2 허브에 탄성 줄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단위 프레임들이 탄성 줄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제1 중앙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3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제2 중앙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은 지면에 대하여 60도 이하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의 타단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시트 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용 의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제1 및 제2 후방 폴 프레임의 타단이 각각 삽입되는 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3.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허브에는 각각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조인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6.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의 타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 부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및 제2 전방 폴 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용 프레임은 각각 상기 슬롯 내부에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슬롯을 따라 돌출부가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자.
KR1020150048464A 2014-08-05 2015-04-06 휴대용 의자 KR101678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552 2014-08-05
KR1020140100552 201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49A KR20160016549A (ko) 2016-02-15
KR101678446B1 true KR101678446B1 (ko) 2016-11-23

Family

ID=5535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464A KR101678446B1 (ko) 2014-08-05 2015-04-06 휴대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43A (ko) 2017-11-10 2019-05-20 김우석 조립식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925B1 (ko) * 2016-06-15 2017-10-31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침대
KR101917731B1 (ko) * 2016-11-22 2018-11-13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물품의 탄성줄 프레임 변위장치
KR102291322B1 (ko) * 2019-11-27 2021-08-24 주식회사 카라신 조립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144A (ja) 1998-10-29 2000-05-16 Sanghwan Han 携帯用折畳式椅子
WO2014081883A1 (en) * 2012-11-21 2014-05-30 Alite Designs, Inc. Portable chairs and methods thereof
KR101474483B1 (ko) 2014-06-25 2014-12-19 오성듀랄루민(주) 레저용 절첩식 의자
KR200476870Y1 (ko) 2014-11-18 2015-04-09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4097B2 (en) 2006-04-28 2008-06-10 Frederick K. Park Collapsible support frame for furni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144A (ja) 1998-10-29 2000-05-16 Sanghwan Han 携帯用折畳式椅子
WO2014081883A1 (en) * 2012-11-21 2014-05-30 Alite Designs, Inc. Portable chairs and methods thereof
KR101474483B1 (ko) 2014-06-25 2014-12-19 오성듀랄루민(주) 레저용 절첩식 의자
KR200476870Y1 (ko) 2014-11-18 2015-04-09 (주) 휘맥스 인터내셔널 용접부를 구비한 간이 의자의 프레임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43A (ko) 2017-11-10 2019-05-20 김우석 조립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49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013B1 (ko) 휴대용 의자
KR102270286B1 (ko) 의자 구조 및 의자
JP6723688B2 (ja) 椅子
US7303232B1 (en)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office chairs
KR101678446B1 (ko) 휴대용 의자
JP5976747B2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EP2580993A1 (en) Chair
US8465091B2 (en) Adjustable office chair
EP2832263B1 (en) Chair
US8465095B2 (en) Chair with tiltable back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US20150115671A1 (en) Swing Chair
CN212368646U (zh) 一种可折叠穿布式看台椅
WO2008004583A1 (fr) Structure de chaise inclinable
EP2592971B1 (en) A sitting arrangement
CN211795404U (zh) 一种折叠椅
JP6130732B2 (ja) 椅子
CN214179866U (zh) 餐椅的铰链结构
KR200401280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작동구조
US8096619B2 (en) Foldable leisure chair
KR20130028631A (ko) 접이식 의자
KR20100034425A (ko) 간이의자
CN217524374U (zh) 一种椅背组件及椅子
JP2019013274A (ja) 組み立て式座椅子
CN218219627U (zh) 一种折叠看台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