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385B1 - 링거 거치대 - Google Patents

링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385B1
KR101674385B1 KR1020140169413A KR20140169413A KR101674385B1 KR 101674385 B1 KR101674385 B1 KR 101674385B1 KR 1020140169413 A KR1020140169413 A KR 1020140169413A KR 20140169413 A KR20140169413 A KR 20140169413A KR 101674385 B1 KR101674385 B1 KR 101674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brake pad
weight
main colum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450A (ko
Inventor
김창영
이임건
허경용
임판석
이갑녀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40169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3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링거를 높게 거치하며 이동 가능한 링거 거치대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복수의 주행바퀴가 구비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세워지는 주기둥부, 상기 주기둥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링거 거치용 폴대, 상기 주기둥부 또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저부의 주행바퀴와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에 접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링거 거치대{Hanger for ringer}
본 발명은 의료용 링거를 높게 거치하며 이동 가능한 링거 거치대와 관련된다.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동식 링거 거치대는 링거를 걸어둘 수 있는 T 자형 폴대, 기둥 및 바퀴가 달린 바닥판으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폴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거나, 기둥에 상자형 바구니 또는 손잡이를 부설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링거 거치대는 바닥판의 면적에 비하여 높이가 높은 것으로 무게 중심이 상당히 높게 위치한다. 나아가 무거운 수액을 걸어둔 경우에는 그 무게 중심이 더 높게 형성된다.
한편 환자들은 링거 거치대를 밀고 다니며 이동하는데, 바닥판에 설치된 바퀴들이 배치된 평면적은 링거 거치대의 무게 중심에 비하여 작으므로, 환자가 급하게 링거 거치대를 밀거나 기대는 등 잘 못 다루면 링거 거치대가 쓰러지기 쉽다. 또한 대형 병원의 경우 잦은 증축으로 신 건물과 구 건물 사이에 경사로나 단턱이 많으며, 화장실이나 검사실의 단턱이나 산책 중 고르지 못한 지면에 바퀴가 걸려 링거 거치대가 스러질 수 있다. 링거 거치대가 쓰러지면 환자에게 연결된 수액줄이 당겨져 사고가 발생하거나, 수액줄을 타고 혈액이 역류하므로 좋지 않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식 링거 거치대의 또 다른 문제점은 경사진 지면에 고정하여둘 수단이 없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화장실 바닥은 배수를 위해 어느 정도 경사 구배를 형성하고 있는데, 화장실을 이용할 때에 링거 지지대가 낮은 지대로 스스로 이동함으로써 보호자가 동행하지 아니한 환자는 화장실 이용에 불편을 겪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07765호 (2004.12.2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848호 (2002.03.14)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경사진 지면에서 링거 거치대를 안정되게 세울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복수의 주행바퀴가 구비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세워지는 주기둥부, 상기 주기둥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링거 거치용 폴대, 상기 주기둥부 또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기저부의 주행바퀴와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에 접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보조바퀴를 상하로 완충 이동 가능케 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바퀴는 지면과 수직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주기둥부에는 상기 보조바퀴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상기 기저부의 바닥에 위치하는 브레이크패드,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부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주기둥부의 내면에 접하며 하단부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는 수직관, 상기 주기둥부의 중간에 연결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와 상기 수직관 사이에 위치하는 무게추용 강관, 일단은 상기 수직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강관에 연결되며, 중간부는 상기 도르래유닛에 감겨지는 메인와이어 및 상기 수직관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주기둥부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의 트리거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작동와이어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트리거를 당김에 따라 상기 작동와이어가 상기 수직관과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주기둥부에 대하여 상기 폴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부에는 상기 폴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무게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폴대에 연결된 링거의 무게 변화에 따라 링거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교체 시기를 알리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유닛은 거치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링거의 교체 시기를 감지하는 작동은 상기 거치대가 멈춘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거치대가 이동 중 임을 감지한 상태에서는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제어유닛의 교체 시기 알림은 경고음 발생, 램프 점등, 디스플레이트 화면 출력, 무선 신호 방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저부는 교차하는 중앙부가 상기 주기둥부을 회전축으로 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다리, 각 상기 회전다리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의 축을 따라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기 주행바퀴,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다리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전방의 주행바퀴와 후방의 주행바퀴 간의 차축거리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조절유닛을 작동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어느 한 회전다리에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1 래크, 나머지 회전다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래크에 비하여 작은 회전 반경을 가지는 호 형상의 제2 래크, 상기 제1 래크와 상기 제2 래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래크 및 상기 제2 래크에 결합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링거 거치대의 이동 중에 링거가 쉽게 쓰러지지 아니하므로 안전성이 증대된다.
또한 브레이크패드가 지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화장실 바닥 등 경사진 바닥에서 거치대를 잡고 있지 아니하여도 거치대가 임의로 이동하지 아니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링거 교체 시기에 대한 알림을 통해 환자나 간호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넘어지는 사고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차축이 가변되는 기저부를 통해 이동식 링거 거치대의 사용이 더욱 안전해진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거 거치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승강부와 스위치부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무게센서와 제어유닛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기저부에 대한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기저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제어유닛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거 거치대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거 거치대의 전반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거 거치대(100)는 기저부(10), 주기둥부(20) 및 폴대(30)를 포함한다.
기저부(10)는 복수의 주행바퀴(11)가 구비되는 대략 판 부재로, 지면과 접하며 주행바퀴(11)의 회전을 통해 링거 거치대(100)가 지상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주행바퀴(11)는 지면과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하기 용이하다.
기저부(10)의 상부에는 주기둥부(20)가 세워진다. 주기둥부(20)는 내부가 빈 강관 등으로 제작된다. 이때 주기둥부(20)는 상하부를 분할하고, 상부의 강관이 하부의 강관에 삽입되면서 주기둥부의 전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지름이 큰 강관의 외주면에 나사홀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볼트(22)를 체결하여 간격이 조절된 주기둥부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볼트(22)의 위치를 주기둥부(20)의 중간보다 조금 높게 형성하여 둠으로써 키가 작은 어린이나, 허리를 곧게 피기 어려운 노령 환자 등도 손쉽게 주기둥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주기둥부(20)의 상단에는 링거팩을 걸 수 있는 폴대(3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하나의 폴대(3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폴대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링거 거치대(100)는 주기둥부(20)에 연결되는 연장부(41)와, 연장부(41)의 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바퀴(42)를 포함한다.
연장부(41)는 막대의 형태로, 일단부가 주기둥부(20)의 중간 즈음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지면을 향하도록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41)의 타단에는 지면에 접하는 보조바퀴(42)가 결합되는데, 연장부(41)가 일측으로 길게 뻗어 있으므로, 보조바퀴(42)는 주행바퀴(11)와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과 접하게 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연장부는 주기둥부가 아닌 기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가 C 형으로 휘어진 형강이나 브래킷으로 제작되는 경우 일단부는 기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보조바퀴를 연결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바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조바퀴를 위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연장부의 형상을 변경하면 주기둥부와 기저부 모두에 연장부가 결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연장부(41)에는 보조바퀴(42)를 상하로 완충 이동 가능케 하는 완충부재(43)를 구비할 수 있다. 완충부재(43)는 공기 스프링 완충기 등 보조바퀴(42)를 쉽게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완충부재(43)가 구비된 경우, 고르지 못한 지면이나 낮은 턱을 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보조바퀴(42)는 지면과 수직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일측으로 연장된 보조바퀴(42)는 링거 거치대(100)의 진행 방향이 전환과 함께 보조바퀴(42)의 진행 방향이 함께 변경될 수 있게 됨으로써, 링거 거치대(100)의 주행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주기둥부(20)에는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21)가 구비되며, 이 손잡이(21)의 방향은 보조바퀴(42)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통상 환자들은 링거 거치대(100)를 밀고 다니는데,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21)를 잡고 링거 거치대(100)를 밀 때에 보조바퀴(42)가 거치대의 전진 방향에 놓이는 것이 거치대를 넘어지지 않게 하는데 주요하다.
따라서 손잡이(21)를 보조바퀴(42)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장착한 것은, 거치대(100)를 밀고 다니는 환자에게 보조바퀴(42)가 가능한 진행 방향을 향하도록 유도하는 의미가 있다. 보조바퀴(42)가 진행 방향 선단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갑자기 링거 거치대를 밀거나 기대는 경우에 보조바퀴가 지지하여 링거 거치대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링거 거치대(100)에는 정지 상태에서 링거 거치대(1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패드(51)를 구비한다. 구성을 살펴보면, 기저부(10)의 바닥에 위치하는 브레이크패드(51), 이 브레이크패드(51)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주기둥부(20)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브레이크패드(51)를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승강부(52) 및 브레이크패드(51)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53)를 포함한다.
브레이크패드(51)는 승강부(52)의 작동에 따라 지면과 접촉하거나 상승하는 부분으로, 지면과 접촉하였을 때에 미끄럼마찰을 크게 하여 링거 거치대(10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면과 접촉하는 브레이크패드(51)의 바닥면은 주름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판 등 마찰력이 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승강부(52)와 스위치부(53)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부(52)와 스위치부(53)를 이해하기 쉽도록 일부 구성을 간략히 하여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부(52)는 수직관(521), 도르래(522), 무게추용 강관(523), 메인와이어(524) 및 작동와이어(525)를 포함한다.
주기둥부(20)의 빈 내부에 대응하여 기저부(10)가 관통되어 있고, 브레이크패드(51)는 주기둥부(20)의 하단부에 내접하며 상하 이동하는 수직관(521)에 결합되어 있다. 수직관(521)의 외경은 주기둥부(20)의 내경에 대응하는 것으로, 브레이크패드(51)가 주기둥부(2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한다.
수직관(521)의 위에는 무게추용 강관(523)이 위치한다. 이때 무게추용 강관(523)도 수직관(521)과 마찬가지로 외경 사이즈가 주기둥부(20)의 내경에 대응함으로써 주기둥부(20)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르래(522)는 무게추용 강관(523)보다 높은 위치에서 주기둥부(20)의 내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메인와이어(524)는 도르래(522)에 걸쳐지며 일단은 수직관(521)에, 타단은 무게추용 강관(523)에 결합된다.
이로써 브레이크패드(51) 및 수직관(521)이 상승하면 무게추용 강관(523)이 하강하고, 반대로 무게추용 강관(523)이 상승하면 브레이크패드(51) 및 수직관(521)이 하강하며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패드(51) 및 수직관(521)을 합친 무게와 무게추용 강관(523)의 무게를 조절하여, 브레이크패드(5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패드(51) 및 수직관(521)의 합친 무게와 무게추용 강관(523)의 무게를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브레이크패드(51)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는 무게추용 강관(523)의 무게를 더 가볍게 설정한 경우에는 외력(스위치부의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패드(51)가 항상 내려가 있도록(지면에 접촉하여 링거 거치대의 임의의 움직임이 방지되는 상태) 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패드(51)와 수직관(521)의 합친 무게와 무게추용 강관(523)의 무게가 같은 것으로 본다. 이때 기저부(10)의 바닥면과 브레이크패드(51) 사이에는 약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526)을 개재할 수 있다. 이 스프링(526)에 의해 브레이크패드(51)는 항상 지면을 향하도록 가압되며, 브레이크패드(51)가 하강하려는 힘은 오로지 스프링(526)의 복원력만큼으로 한정된다.
작동와이어(525)는 수직관(521)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타단부는 스위치부(53)에 연결된다.
스위치부(53)에는 트리거(531)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트리거(531)를 당기거나, 당겼던 트리거(531)를 놓아 줄 수 있다. 작동와이어가 트리거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와이어를 당기면 수직관과 브레이크패드가 상승하고, 당겼던 트리거를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직관과 브레이크가 하강하고 작동와이어가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도시한 실시예서는 직경 차가 서로 다른 도르래유닛(533)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트리거(531)를 당기는 길이에 비하여, 브레이크패드(51)의 승강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살펴보면 도르래유닛(533)의 작은 직경부에는 트리거와 연결되는 보조작동와이어(532)가 수차례 감겨져 있고, 큰 직경부에는 작동와이어(525)가 수차례 감겨져 있다. 사용자가 트리거를 당기면 도르래유닛(533)이 수 회 회전하며, 직경부들의 직경 차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작동와이어(525)가 위로 당겨진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잡이(21)에는 보조작동와이어(532)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트리거(531)는 1회 당겼을 때에 당겨진 위치를 고정하고, 한 번 더 당기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위 푸시푸시 버튼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승강부(52)는 스프링(526)의 복원력을 작게 하여 적은 힘으로 사용자가 트리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약력이 약한 노약자 등이 손쉽게 브레이크패드(51)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스위치부(53)는 트리거(531)의 작은 작동 거리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패드(51)의 충분한 상하 이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와 도 8은 폴대(30)에 거치된 링거팩(P)의 잔여 수액을 검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구성에 대한 도면들이다.
폴대(30)에 거치댄 링거팩(P)의 잔여 수액의 검지는 폴대(30)의 무게를 측정하고, 링거팩(P)을 설치할 당시의 폴대 무게와 대비하여 이루어진다.
폴대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폴대(30)는 주기둥부(20)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주기둥부(20)에 고정된 무게센서(61)가 폴대에 연결되어 폴대(30)의 무게를 측정한다.
주기둥부(20)에는 폴대(30)의 기둥이 결합되는 복수의 부시(31)가 상하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어, 폴대(30)가 수직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구속한다.
무게센서(61)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과 같이 정밀 무게 측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공지된 것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무게센서(61)는 주기둥부(20)의 내부에 고정되며, 폴대(30)의 기둥으로부터 가해지는 무게를 측정한다.
제어유닛(60)은 무게센서(61)로부터 발송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수액의 무게 변화에 따라 링거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교체 시기를 알린다.
제어유닛(60)은 전자장치로 주기둥부(20)에 거치되며, 대략 손잡이(21)와 같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참고).
제어유닛(60)은 시간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무게값을 수신하면서, 지속적으로 미리 설정하여둔 기준 무게값과 대비 판단한다. 측정된 무게값이 기준 무게값과 동일하거나 낮아지는 경우에 링거 교체 시기로 판별한다.
링거의 교체 시기 알림은 경고음 발생, 램프 점등, 디스플레이트 화면 출력, 무선 신호 방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유닛(60)은 스피커(64), 발광램프(65), 스크린(66), 무선 송신기(67) 등을 적절히 구비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 방출은 와이 파이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신 대상을 간호사 스테이션(S)으로 할 수 있다.
추가 구성으로 제어유닛(60)은 거치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운동 감지 센서는 링거 거치대가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알려진 바와 같이 자이로센서(62), 가속도센서 등 공지된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68)는 운동 감지 센서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함으로써 링거 거치대(100)가 이동 중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전술한 링거의 교체 시기를 감지하는 작동은, 링거 거치대(100)가 멈춘 상태에서 수행되고, 링거 거치대(100)가 이동 중 임을 감지한 상태에서는 중지되도록 제어된다.
링거 거치대(100)가 움직이는 동안에는 링거팩(P)의 출렁거림, 거치대(100)의 진동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 측정된 무게값을 신뢰할 수 없으므로, 거치대(100)가 멈춘 상황에서만 링거 교체 시기 판별 작동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60)의 작동은 수액의 투여가 종료된 상황을 알려주어 간호사가 적절히 링거를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링거 거치대(100)가 쓰러져 이동이 멈춘 상태에서 폴대(30) 무게가 가벼진 것으로 감지하여 교체 신호를 발하므로, 링거 거치대가 넘어진 상황을 간호사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램프(65)는 색상을 달리하여 다양한 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은 링거의 교체 시점을 알리는 수단으로, 주황색은 감지 작동이 멈춘 상태임을 나타낸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정상작동 여부를 알리기 위하여 녹색이나 파란색을 정기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입력부(63)는 설정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작동 개시, 환자의 이력 입력, 링거의 종류나 정보의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링거 투입액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 기준무게값을 조절할 수 있다.
스크린(66)은 입력되는 내용을 확인케 하거나, 송수신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유닛(60)의 작동으로 환자의 보호가 더욱 강화되며, 링거 투액의 마감을 체크하여야 하는 간호사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폴대는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폴대마다 무게센서를 장착하며, 복수의 링거팩에 대한 링거 교체 시기를 알리도록 제어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거 거치대의 거저부에 관련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거 거치대는 기저부, 주기둥부 및 폴대를 포함하며, 전술한 실시예의 보조바퀴, 브레이크, 무게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사실상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저부(10)는 주행방향에 맞추어 주행바퀴(11)의 축간 거리를 늘리는 작동으로, 링거 거치대(100)의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저부(10)는 교차하는 중앙부가 상기 주기둥부을 회전축으로 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다리(12)와, 각 회전다리(12)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의 축을 따라 자유 회전이 가능한 주행바퀴(11), 회전다리들(12)에 연결되어 회전다리들(1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13)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전방의 주행바퀴(11)와 후방의 주행바퀴(11) 간의 차축 거리(L)를 증대시키도록 각도조절유닛을 작동시키는 제어유닛(도 8 참고)을 포함한다.
회전다리(12)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회전다리(12)의 바닥 양단부에는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한 주행바퀴(11)가 구비된다. 또한 회전다리(12)의 중심은 상하로 겹쳐지며, 각자 수직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주기둥부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평상 시에 한 쌍의 회전다리(12)는 십자가 형태로 직교한 상태를 유지하며, 정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주행바퀴들(11)이 지면을 지지한다.
각도조절유닛(13)은 회전다리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도시된 실시예서 각도조절유닛(13)은 제1 래크(131), 제2 래크(132), 피니언(133) 및 구동모터(134)를 포함한다.
제1 래크(131)는 어느 한 회전다리(12)의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다리(12)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원의 곡률에 따라 호 형상으로 휘어져 있다. 제1 래크(131)의 내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래크(132)는 나머지 회전다리(12)의 상부에 결합되며, 회전다리(12)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원의 곡률에 따라 호 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면서, 제1 래크(131)에 비하여 작은 곡률을 가진다. 제2 래크(132)의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133)은 제1 래크(131)와 제2 래크(132)의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제1 래크(131)의 톱니 및 제2 래크(132)의 톱니에 결합되어 있다. 피니언(133)의 회전에 방향에 따라 회전다리들(12)의 각도는 변경된다.
구동모터(134)는 주기둥부에 결합되는 고정브래킷(13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구동모터(134)의 출력축은 피니언(133)과 연결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제어유닛(60)에는 자이로센서(62)가 구비되어, 링거 거치대(100)의 이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링거 거치재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수단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68)는 검출된 거치대(100)의 진행에 방향에 따라 진행방향을 향하는 전방의 두 주행바퀴(11)와 후방의 두 주행바퀴들(11) 사이의 간격, 즉 차축 거리(L)를 증대시키도록 구동모터(134)를 작동시킨다.
도 6은 링거 거치대(100)가 움직이지 않거나, 도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 중인 때로, 회전다리는 직교한 상태이다. 한편 도 7은 도면의 상부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거치대(100)가 이동 중인 상태로, 구동모터(134)의 회전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차축 거리(L)가 증대되도록 회전다리(12)가 회전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거치대(100)가 도면의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면, 제어유닛은 피니언(13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왼쪽의 주행바퀴들과 오른쪽의 주행바퀴들의 차축 거리를 증대시키게 된다.
각도조절유닛(13)은 이상에서 설명한 래크들(131,132)과 피니언(133) 외에 회전다리(1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다리에 양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액추에이터를 통해, 피스톤의 신축에 따라 회전다리들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회전다리들에 연결되는 링크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주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놓인 주행바퀴들과 후방의 주행바퀴들의 차축 간격을 증대시킴으로서 안정된 링거 거치대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100 : 거치대
10 : 기저부 11 : 주행바퀴 12 : 회전다리 13 : 각도조절유닛
131 : 제1 래크 132 : 제2 래크 133 : 피니언
134 : 구동모터 135 : 고정브래킷 L : 차축 거리
20 : 주기둥부 21 : 손잡이 22 ; 고정볼트
30 : 폴대 31 : 부시
41 : 연장부 42 : 보조바퀴 43 : 완충부재
51 : 브레이크패드 52 : 승강부 521 : 수직관 522 : 도르래
523 : 무게추용 강관 524 : 메인와이어 525 : 작동와이어 526 : 스프링
53 : 스위치부 531 : 트리거 532 : 보조작동와이어 533 : 도르래유닛
60 : 제어유닛 61 : 무게센서 62 : 자이로센서 63 : 입력부
64 : 스피커 65 : 발광램프 66 : 스크린 67 : 송신기 68 : 중앙처리장치
P : 링거팩 S : 스테이션

Claims (11)

  1. 복수의 주행바퀴가 구비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상부에 세워지는 주기둥부;
    상기 주기둥부의 상부에 연결되는 링거 거치용 폴대;
    상기 주기둥부 또는 상기 기저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저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
    상기 기저부의 주행바퀴와 이격된 위치에서 지면에 접하면서 지면과 수직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에 결합 설치되는 보조바퀴;
    상기 보조바퀴를 상하로 완충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재;
    상기 보조바퀴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주기둥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기저부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주기둥부의 내부에서 승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승강시켜 지면에 접촉시키거나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는,
    상기 주기둥부의 내면에 접하며 하단부가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는 수직관;
    상기 주기둥부의 내부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
    상기 주기둥부의 내부에서 상기 도르래와 상기 수직관 사이에 설치되는 무게추용 강관;
    일단은 상기 수직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무게추용 강관에 연결되며, 중간부는 상기 도르래에 감겨지는 메인와이어; 및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지면을 향하도록 탄성 가압하기 위해, 상기 기저부의 바닥면과 상기 브레이크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트리거;
    큰 직경부와 작은 직경부를 구비하는 도르래유닛;
    일단은 상기 도르래유닛의 큰 직경부에 복수회 감겨진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직관에 결합되는 작동와이어; 및
    일단은 상기 도르래유닛의 작은 직경부에 복수회 감겨진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트리거에 결합되는 보조작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트리거를 당기면 상기 도르래유닛이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와이어가 상기 수직관과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수직관과 연결된 메인와이어에 의해 상기 무게추용 강관이 하강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트리거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관과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하강하고, 상기 수직관과 연결된 메인와이어에 의해 무게추용 강관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주기둥부에 대하여 상기 폴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주기둥부에는 상기 폴대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무게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폴대에 연결된 링거의 무게 변화에 따라 링거 교체 시기를 판단하고, 교체 시기를 알리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거치대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운동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링거의 교체 시기를 감지하는 작동은
    상기 거치대가 멈춘 상태에서 수행되고,
    상기 거치대가 이동 중 임을 감지한 상태에서는 중지되는 링거 거치대.
  9. 제7항에서,
    상기 제어유닛의 교체 시기 알림은
    경고음 발생, 램프 점등, 디스플레이트 화면 출력, 무선 신호 방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
  10. 제1항에서,
    상기 기저부는
    교차하는 중앙부가 상기 주기둥부을 회전축으로 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다리,
    각 상기 회전다리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의 축을 따라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기 주행바퀴,
    상기 한 쌍의 회전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다리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 및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전방의 주행바퀴와 후방의 주행바퀴 간의 차축거리를 증대시키도록 상기 각도조절유닛을 작동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
  11. 제10항에서,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어느 한 회전다리에 결합되는 호 형상의 제1 래크,
    나머지 회전다리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래크에 비하여 작은 회전 반경을 가지는 호 형상의 제2 래크,
    상기 제1 래크와 상기 제2 래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래크 및 상기 제2 래크에 결합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
KR1020140169413A 2014-12-01 2014-12-01 링거 거치대 KR10167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13A KR101674385B1 (ko) 2014-12-01 2014-12-01 링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13A KR101674385B1 (ko) 2014-12-01 2014-12-01 링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50A KR20160065450A (ko) 2016-06-09
KR101674385B1 true KR101674385B1 (ko) 2016-11-09

Family

ID=5613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413A KR101674385B1 (ko) 2014-12-01 2014-12-01 링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03A1 (ko) * 2017-09-28 2019-04-04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약액흡입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0531B (zh) * 2018-03-15 2020-08-25 东阳市特意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用具有跟随功能的吊瓶支架
WO2020149455A1 (ko) * 2019-01-14 202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84517B1 (ko) * 2023-12-04 2024-07-12 강준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이동형 링거 걸이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884A (ja) * 2001-10-22 2003-05-07 Paramount Bed Co Ltd 座幅変更機能を有する椅子装置
JP2006007855A (ja) * 2004-06-23 2006-01-12 Combi Corp キャスター
EP2138072B1 (en) 2008-06-25 2012-08-01 Medline Industries, Inc. Intravenous fluid container stand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13141490A (ja) * 2012-01-10 2013-07-22 Yoshida Dental Mfg Co Ltd 点滴スタンド走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848Y1 (ko) 2001-12-31 2002-03-23 이승갑 이동형 링게르 홀더
KR102179533B1 (ko) 2013-02-28 2020-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랜으로부터의 셀 접속 제어 및 유효한 주변 무선랜 엑세스포인트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884A (ja) * 2001-10-22 2003-05-07 Paramount Bed Co Ltd 座幅変更機能を有する椅子装置
JP2006007855A (ja) * 2004-06-23 2006-01-12 Combi Corp キャスター
EP2138072B1 (en) 2008-06-25 2012-08-01 Medline Industries, Inc. Intravenous fluid container stand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2013141490A (ja) * 2012-01-10 2013-07-22 Yoshida Dental Mfg Co Ltd 点滴スタンド走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03A1 (ko) * 2017-09-28 2019-04-04 케이티메드 주식회사 약액흡입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50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385B1 (ko) 링거 거치대
US6708705B2 (en) Braking cane
KR101674396B1 (ko) 회전다리를 포함하는 링거 거치대
US4113222A (en) Intravenous pole
US3123400A (en) Invalid s chair
US5636651A (en) Adjustably controllable walker
US20140091543A1 (en) Vehicle with at least three stable bearing points on the ground
US9186289B2 (en) Anti-tipping safety device
US20140231171A1 (en) Leveling leg for a ladder
US20150137567A1 (en) Lifting and lowering chair
JP2011251115A (ja) 昇降装置
US20070105694A1 (en) Exercise machine with device for handling on wheels
JP2017046966A5 (ko)
JP2015171511A (ja) 歩行訓練装置
US20180265159A1 (en) Self-balancing powered unicycle device
US20160296407A1 (en) Structural frame to assist patien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9065573A (ja) 作業用ゴンドラ
US20210228427A1 (en) Extended wheelchair and an attachment device for the wheelchair
KR20200049092A (ko) 링거 거치대
KR20190083135A (ko) 이동식 링거대
WO2008020049A1 (en) Movement limiting apparatus
KR101887459B1 (ko) 레버를 이용한 편리한 보행 보조차
CN111067766A (zh) 一种用于辅助老年人行走的可调节的智能医疗设备
EP3412270A1 (en) A treatment table
KR102098891B1 (ko) 원통형 구조물 터닝 롤 장치용 롤 이탈 방지 센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