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874B1 - Cnt coolant pre heater - Google Patents

Cnt coolant pre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874B1
KR101673874B1 KR1020120015096A KR20120015096A KR101673874B1 KR 101673874 B1 KR101673874 B1 KR 101673874B1 KR 1020120015096 A KR1020120015096 A KR 1020120015096A KR 20120015096 A KR20120015096 A KR 20120015096A KR 101673874 B1 KR101673874 B1 KR 101673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layer
cnt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0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3883A (en
Inventor
장길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874B1/en
Publication of KR2013009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8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1Heat exchangers, burners, igni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8Connectors, water supply, housing, mounting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로서, 열교환매체의 가열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소형화 및 컴팩트화가 가능하며 또한 열교환매체 파이프라인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U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112)와, 상기 플레이트(112) 표면에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CNT(Carbon Nano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층(111)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발열부(110); 상기 발열부(110)를 수용하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열교환매체가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상기 발열층(111)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NT heater for cooling water heating, which can maximiz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medium, miniaturize and compact, and simplify the design of the heat exchange medium pipeline.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112 formed in a U-shaped bent shape, and a heat generating unit 120 having a plate 112, A heating portion 110 having a layer 111; A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portion 120 receiv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and having a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passage 121; The heat exchange medium is accommodated in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and absorbs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to be heated.

Description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CNT COOLANT PRE HEATER}[0001] CNT COOLANT PRE HEATER [0002]

본 발명은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 난방을 위한 냉각수 등과 같은 유체 상태의 열교환매체를 가열하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NT heater for cooling water hea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NT heater for heating a heat exchange medium in a fluid state such as cooling water for heating a vehicle interior.

휘발유, 경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이 현재 가장 일반적인 차량의 형태이나, 이러한 차량용 에너지원 역시 환경오염 문제 뿐 아니라 석유 매장량의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는 바, 현재 가장 실용화 단계에 가까운 기술 중 하나가 연료 전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구동되는 차량이다.Vehicles powered by engines powered by gasoline, diesel, and other energy sources are currently the most common forms of vehicles, but these automotive energy sources also require new sources of energy due to a variety of cause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reduced oil reserves.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is near to the practical use stage is a vehicle driven by a fuel cell as an energy source.

그런데, 이와 같은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에서는 종래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가지는 차량과는 달리 냉각수를 이용한 히팅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 엔진에서 매우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 시스템이 구비되며, 냉각수가 엔진으로부터 흡수한 열을 실내 난방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엔진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많은 열이 연료 전지를 사용하는 차량의 구동원에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방식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a vehicle using such a fuel cell, a heating system using cooling water can not be used unlike a conventional vehicle having an engine using oil as an energy source. That i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ehicle using an engine using an oil as an energy source as the driving source, a lot of heat is generated in the engine, a cooling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cooling the engine is provided, . However, since a large amount of heat such as that generated by the engine does not occur in the driving source of the vehicle using the fuel cell, there has been a limit to such a conventional heating method.

이에 따라 연료 전지 차량에서는, 공조 시스템에 열펌프(heat pump)를 추가하여 이를 열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전기 히터와 같은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거는 등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전지 히터는 공조 시스템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냉각수를 가열할 수 있어 현재 광범위하게 실제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Accordingly, in the fuel cell vehicl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uch as adding a heat pump to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using it as a heat source, or providing a separate heat source such as an electric heater. Among them, the battery heater can heat the cooling water more easily without greatly affect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actual use is widely practiced at present.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냉각수 히터들을 도시하고 있다.Figure 1 shows a variety of conventional coolant heaters.

도 1(A)는 한국특허등록 제0745455호("보조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히터", 2007.07.27)를 도시한 것으로, 내연 기관 차량 등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히터 형태이다. 엔진을 통과하여 나온 냉각수는 매우 고온이기 때문에 이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만 하면 차량 실내를 난방하기에는 충분하므로,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 차량의 차량용 히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핀을 통해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는 일반적인 열교환기 형태로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그러나 시동 초기나 동절기 등의 경우에는 냉각수가 충분히 뜨거워지지 않아 난방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1(A)와 같이 튜브들 사이에 전기를 이용하여 가열을 하는 보조 히터를 구비시키는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히터는, 내연 기관 차량에 비해 구동부 등 전장품의 발열량이 적고 적절한 작동 환경 온도 조건이 훨씬 낮은 연료 전지 차량의 경우 냉각수가 난방에 사용될 만큼 충분히 뜨겁기 못하여, 연료 전지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Fig. 1 (A) show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745455 ("auxiliary heater and hot water heater equipped therewith ", Jul. 27, 2007), which is a vehicle heater widely used generally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nd the like. Since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engine is very high in temperature, it is sufficient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imply by discharging the heat to the outside. Generally, the vehicle heater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is heat exchanged with external air through the tube- It is sufficient to form the heat exchanger in the form of a general heat exchanger. However, in the case of the start of the starting or the winter season, the cooling water is not sufficiently heated and the heating can not be performed. To solve this problem, an auxiliary heater for heating by using electricity is provided between the tubes as shown in FIG. Is widely used. However, in this type of heater, the cooling water is not hot enough to be used for heating in the case of a fuel cell vehicle in which the heating value of the electric parts such as the driving part is less than that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is much lower. have.

도 1(B)는 한국특허공개 제2010-0117759호("연료전지 차량용 히터 겸용 리저버", 2010.11.04)를 도시한 것으로, 현재 연료 전지 차량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히터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가 통과하는 탱크에 COD 히터 카트리지를 직접 삽입하여, 냉각수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히터는, 발열원인 COD 히터 카트리지와 냉각수 간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데 제한이 있어 가열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COD 히터 카트리지 자체의 부피 때문에 냉각수 히터 자체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1 (B) show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7759 ("Reservoir for Combination of Heater for Fuel Cell Vehicle ", 2010.11.04), which is a heater type widely used for fuel cell vehicles today.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D heater cartridge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tank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passes, and the cooling water is directly heated. However, this type of heater has a limitation in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D heater cartridge and the cooling water, which is a cause of heat generation, so that there is a limit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and the volume of the COD heater cartridge itself becomes large due to the volume of the COD heater cartridge itself .

도 1(C)는 일본특허공개 제2008-056044호("열매체 가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2008.03.13)를 도시한 것으로, 도 1(B)의 냉각수 히터보다 좀더 가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형태의 냉각수 히터를 제시하고 있다. 도 1(C)의 냉각수 히터는, 발열원인 PTC 전극판의 상하부에 판형 핀을 배치하고, 냉각수가 상기 판형 핀을 통과하여 유통되도록 하여, PTC 전극판으로부터 냉각수로의 열전달효율을 높여 냉각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냉각수 히터의 경우 종래의 냉각수 히터보다 가열 효율이 좋은 대신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발열원(PTC 전극판)이 별도의 부품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부품 수가 많아지고, 부피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PTC 전극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냉각수로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고 일부가 바깥쪽으로 전달되어 열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셋째, PTC 전극판으로부터 냉각수로의 열전달 경로 상에 절연층 등 여러 물체들이 존재하여 열저항이 커지고, 따라서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넷째, 이러한 형태의 냉각수 히터를 차량에 장착할 때 냉각수 파이프라인이나 전기 공급선 회로 등의 설계가 복잡해지며, 또한 냉각수 히터 자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실제 장착이 어려워진다.1 (C) is a view showing a heating medium heating device and a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using the same,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056044 (Mar. 13, 2008) A cooling water heater of a type that can be increased is proposed. In the cooling water heater of Fig. 1 (C), plate-like fins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TC electrode plate causing heat generation, and cooling water is allowed to flow through the plate-shaped fins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rom the PTC electrode plate to the cooling water, So that it is effectively heated. However, the cooling water heater of this type has a heating efficiency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cooling water heater, but has various problems as follows. First, since the heat source (PTC electrode plate) is inserted into a separate component,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the volume and weight increase. Seco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TC electrode plate can not be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cooling water, and a part of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o generate heat loss. Third, there exist various objects such as an insulating layer on the heat transfer path from the PTC electrode plate to the cooling water, thereby increasing the heat resistance and thus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inferior. Fourth, when the cooling water heater of this type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design of the cooling water pipeline or the electric power supply circuit becomes complicated. Also, since the cooling water heater itself has a large volume, the mounting becomes difficult.

이와 같이 종래의 냉각수 히터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으나, 연료 전지 차량에 사용되기 부적절하거나, 가열 효율이 충분히 높지 못하거나, 제작 및 장착이 어렵거나, 부피, 중량, 단가 등이 너무 큰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Although the conventional cooling water heaters are disclosed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they are not suitable for use in fuel cell vehicles, are not sufficiently high in heating efficiency, are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are too large in volume, weight, It has problems.

1. 한국특허등록 제0745455호 ("보조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히터", 2007.07.27)1. Korean Patent No. 0745455 ("Auxiliary heater and hot water heater equipped with it", 2007.07.27) 2. 한국특허공개 제2010-0117759호 ("연료전지 차량용 히터 겸용 리저버", 2010.11.04)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117759 ("Reservoir for Combination of Heater for Fuel Cell Vehicle ", Nov. 4, 2010) 3. 일본특허공개 제2008-056044호 ("열매체 가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용 공기 조절 장치", 2008.03.13)3.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56044 ("Heating medium heat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using the same, " Mar. 13, 20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로서, 열교환매체의 가열 효율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소형화 및 컴팩트화가 가능하며 또한 열교환매체 파이프라인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capable of maximiz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medium and achieving downsizing and compacting, And to provide a coolant-heated CNT heater that can simplify the media pipeline desig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U자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112a)와, U자 형태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12b)와, 상기 절곡부(112a)의 개방된 전후면을 막아 밀폐하는 밀폐부(112c)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12),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 형태 내부측에 형성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CNT(Carbon Nano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층(111)을 포함하는 발열부(110); 상기 발열부(110)를 수용하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상기 발열층(111)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기판(131) 및 상기 기판(131)과 상기 발열부(110)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덮어씌워져 구비되는 케이스(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부(130); 및 상기 케이스(132)의 밀폐로 인해 상기 U자 형태의 플레이트(112)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층이 상기 발열층(111)에 의해 가열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매체는 상기 발열층(111)의 발열을 전달받은 플레이트(112)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발열층(111)에 의해 가열된 상기 공기층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NT hea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nt portion 112a bent in a U-shape and an extension 112b extended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a U- A plate 112 including a sealing portion 112c for seal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112a and seal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112a; A heating unit 110 including a heating layer 111 including a carbon nanotube (CNT) for generating heat; A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portion 120 receiv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and having a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passage 121; A control circuit unit 130 including a substrate 131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and a case 132 covering the substrate 131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from outside, 130);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side the U-shaped plate 112 due to the sealing of the case 132. The air layer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And is heated by the air layer heated by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is heated by the plate 112,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발열층(111)은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CNT(Carbon Nanotube)층(111a)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CNT층(111a)과 접속되어 상기 CNT층(111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111b)과, 상기 CNT층(111a)의 노출을 방지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CNT층(111a)을 덮어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절연층(1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layer 111 is formed of a carbon nanotube layer 111a formed on the plate 112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power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the CNT layer 111a, An electrode 111b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NT layer 111a and an insulating layer 111c covering the CNT layer 111a to prevent the CNT layer 111a from being exposed to be isolated, .

또한, 상기 플레이트(112)는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측으로 돌출되는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late 112 is formed with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which protrudes toward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삭제delete

또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기 발열부(110) 일측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발열층(1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과열 방지 수단(1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NT heater 100 may include an overheat preventing unit 14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to block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ing medium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 상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14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45 provided on the heat exchange medium circulation port 121;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체가 플레이트 상에 인쇄 배치되어 U자 모양으로 배치 형성되되 U자의 바깥쪽에 열교환매체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발열체로부터 열교환매체로의 열전달효율을 극대화하여 열교환매체의 가열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는 큰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열체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로가 거의 없어, 발열체로부터 열교환매체로의 열전달에 있어서의 열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가열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elements are arranged on the plate in a printed U-shape, and the heat exchange medium is disposed outside the U-shaped elements, thereby maximiz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from the heating elements to the heat exchange medium, There is a big effect that can be done.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most no path for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escape to the outside, and heat loss in heat transfer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the heat exchanging medium hardly occurs.

특히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는, 종래의 히터에 비하여 부품 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소형화 및 컴팩트화가 가능하여 엔진 룸 내 공간활용성을 극대화해주는 큰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는 엔진 룸 내 열교환매체 파이프라인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소형화 및 컴팩트화 가능, 파이프라인 등의 설계 용이성 등으로 인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는 차량에 장착하기에도 매우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성 또한 높여 주는 다각적인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volume, and weight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heaters, and can be downsized and compact,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engine room. In addition,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ignificantly change the heat exchange medium pipeline in the engine compartment. Because of such miniaturization and compactness, ease of design of pipelines and the like,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easy to mount on a vehicle, and thus has various effects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는 과열 방지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전기 히터에서의 과열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화재, 부품 손상 및 파손, 열교환매체 누출 등의 위험성을 제거해 주는 큰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heat preventing structure, there is a great effect of eliminating the risk of fire, parts damage and breakage, and heat exchange medium leakage, which may be caused by overheating in the electric heater.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는 가열 효율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내연 기관 차량에 비하여 실내 난방, 오일 가열 등을 위한 냉각수를 원하는 온도까지 가열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연료 전지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대해서, 냉각수 히터, 오일 워머 등으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oling water-heating type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heating efficiency, the fuel cell vehicle, which has difficulty in heating the cooling water for the indoor heating, the oil heating, The hybrid vehicle can be effectively applied as a cooling water heater, an oil heater, or the like.

도 1은 종래의 다양한 냉각수 히터 형태들.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제작 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플레이트 형상의 여러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사용예.
1 shows a variety of conventional coolant heater types.
2 is a cooling-water-heated CNT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ep of manufacturing a coolant-heated CNT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te-like embodiment of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NT heater for cooling water he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NT heater for cool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110) 및 열교환매체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열교환매체가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상기 발열층(111)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흡수하여 가열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용도로 어디에나 적용할 수 있는데, 특히 차량의 냉각수 히터, 오일 워머 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하에서 각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olant-heated CNT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ing unit 110 and a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unit 120 as shown in FIG. 2 and the like, and the heat exchange medium is received in the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unit 120 And is formed to absorb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and to be heated.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application for heating fluid,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applications such as cooling water heaters, oil warmers, etc. of vehicles. Hereinafter, each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발열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112)와, 상기 플레이트(112) 표면에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CNT(Carbon Nano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층(111)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열전도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11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ncludes a plate 112 formed in a U-shaped bent shape, and a heat generating layer 11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112, including a carbon nanotube (CNT) (111). As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the plate 112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minimize thermal conduction resistance.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발열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의 제작 단계를 통해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일단 상기 플레이트(1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112a)를 가지는데, 여기에 U자 형태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2b)가 형성됨으로써, 도 2, 3, 4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위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위를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의 밀폐 및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heating portion 110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easily made through the manufacturing steps of the cooling water heating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once the plate 112 has a bent portion 112a that is bent in a U-shape as described above, an extension portion 112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U- (112b). The extension portion 112b is formed to cover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by covering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as shown in FIGS. 2, 3, 4 and so on, The sealing and coupling of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can be further facilitated.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에서 상기 절곡부(112a) 및 상기 연장부(112b) 모두에 상기 발열층(1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는 부분은 상기 절곡부(112a)로서 여기에만 상기 발열층(11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도 되겠으나, 보다 열교환매체의 가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될 수 있는 한 발열층(111)의 면적을 넓히는 것이 좋으므로, 상기 절곡부(112a)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부(112b)에 이르기까지, 열교환매체와 접촉되는 부위 모두에 상기 발열층(11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layer 111 is formed on both the bent portion 112a and the extended portion 112b of the plate 112 as shown in FIG.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may be formed only in the portion having the largest area as the bending portion 112a.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ing medium, a heat generating layer 111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layer 111 is formed on both the bent portion 112a and the extended portion 112b in a region contacting the heat exchange medium.

또한, 상기 플레이트(112)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된 상기 절곡부(112a)의 개방된 전후면을 막아 밀폐하는 밀폐부(112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3, 4에는 상기 밀폐부(112c)가 생략된 형태, 즉 상기 플레이트(112)가 절곡부(112a) 및 연장부(112b)만으로 되어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 경우라도, 상기 플레이트(112)가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에 꽉 끼도록 결합된다면 문제가 없겠으나, 대량 생산 과정에서 이러한 결합에 의한 밀폐를 완전히 보장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에는 상기 밀폐부(112c)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한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plate 112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112c that closes and seals the opened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shaped bent portion 112a. FIGS. 2, 3 and 4 show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112c is omitted, that is, the plate 112 is composed of only the bent portion 112a and the extended portion 112b. Even in this case, there is no problem if the plate 112 is tightly fitted to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art 120.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ensure the sealing due to such a coupling in the mass production proc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aling portion 112c is formed on the plate 112 as shown in FIG.

도 5(A)는 상기 플레이트(112)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상태인 상기 플레이트(112)를 적당한 형태로 절단하고, 상기 발열층(111)을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형성시킨다. 도 5(B)는 상기 플레이트(112)를 절곡하여 상기 절곡부(112a) 및 상기 연장부(112b)가 형성되는 과정까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112c)를 절곡하여, 상기 절곡부(112a)의 U자형으로 되어 개방된 전후면을 막아 주고, 상기 밀폐부(112c)의 끝단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해 줌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12) 중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부분(즉 상기 절곡부(112a) 부분)은 외부(즉 열교환매체)와 안전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5A is an exploded view of the plate 112. As shown in FIG. 5A, the plate 112 is cut into a proper shape, and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is cut on the plate 112 . 5B shows a process of bending the plate 112 to form the bent portion 112a and the extended portion 112b. Finally, as shown in Fig. 5 (C), the sealing portion 112c is bent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ent portion 112a which are opened to be U-shaped, and the end of the sealing portion 112c The portion of the plate 112 accommodated in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that is, the portion of the bent portion 112a) can be securely sealed with the outside (that is, the heat exchange medium) .

상기 발열층(111)은 CNT(Carbon Nanotube)를 이용하여 발열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발열층(111)은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CNT(Carbon Nanotube)층(111a)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CNT층(111a)과 접속되어 상기 CNT층(111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111b)과, 상기 CNT층(111a)의 노출을 방지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CNT층(111a)을 덮어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절연층(1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CNT층(111a)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CNT층(111a)은 그 물질적 특성상 상기 내부관(112) 외면 상에 인쇄 및 소결하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11c)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절연용 필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극(111b)은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부분이다. 도 4(B)에서는 상기 전극(111b)이 상기 절연층(111c)에 의하여 외부와 절연되고 별도의 전력공급선이 상기 절연층(111c)을 통과하여 상기 전극(111b)과 연결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전극(111b)이 상기 절연층(111c)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전력공급선이 노출된 상기 전극(111b)과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외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발열층(111)이 상술한 바와 같이 CNT로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상기 발열층(111)을 형성하는 과정은 CNT층(111a)을 인쇄하는 방법 등으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heating layer 111 generates heat by using carbon nanotubes (CNTs). 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layer 111 includes a CNT (Carbon Nanotube) layer 111a formed on the plate 112 to generate heat by being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a CNT layer 111a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 electrode 111b connected to the CNT layer 111a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NT layer 111a and an insulating layer 111c covering the CNT layer 111a to prevent the CNT layer 111a from being exposed, The CNT layer 111a is formed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generate heat. The CNT layer 111a can be easily formed by printing and sinter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112 due to its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insulating layer 111c can be formed by applying a generally used insulating film or the like can do. The electrode 111b is an electrical connection part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FIG. 4B, the electrode 111b is insu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insulating layer 111c and another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1b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111c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lectrode 111b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layer 111c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1b where the power supply line is exposed And may be formed in any form as long as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established. When the heating layer 111 is made of CNT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forming the heating layer 111 on the plate 112 is very easy, for example, by printing the CNT layer 111a Lt; / RTI >

특히, 상기 발열층(111)은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 형태 내부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층(111)이 CNT층(111a), 절연층(111c) 등과 같은 얇은 박막이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열교환매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면 손상이 일어나거나 누전이 발생될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앞서 상기 플레이트(112)의 구조에서 상기 밀폐부(112c)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발열층(111)이 형성된 부분에 열교환매체가 새어 들어가서 열교환매체가 상기 발열층(111)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shaped inner side of the plate 112. 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ing layer 111 is formed in a form such that the thin film such as the CNT layer 111a and the insulating layer 111c is adhered thereto, if i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medium,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becoming. The heat exchange medium leaks into the portion where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is formed such that the sealing portion 112c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plate 112 so that the heat exchanging medium is sepa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To prevent direct contact.)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는 상기 발열부(110)를 수용하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는 말 그대로 열교환매체가 수용되는 용기로서, 상기 발열부(110)에서 발산되는 열이 열교환매체로 흡수될 수 있도록 열교환매체를 담아 두고 있는 역할만 하면 되는 바, 그 형태나 재질 등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art 120 accommodates the heat generating part 110 and is formed so that the heat exchange medium is introduced or discharged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path 121. The heat exchanging medium accommodating unit 120 is a container in which the heat exchanging medium is literally contained. The heat exchanging medium accommodating unit 120 only needs to contain the heat exchanging medium so that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can be absorbed by the heat exchanging medium.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hape or material.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 수가 많지 않고 제작이 용이하므로, 종래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에 비하여 부품 단가, 조립 공정 등이 훨씬 간소화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단순한 구조 및 적은 부품 수로 인하여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종래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에 비하여 훨씬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어,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엔진 룸 내 공간활용성을 크게 높여 주며, 장착 또한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켜 준다.
As described above, the CNT hea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 simple structure and thus has a small number of parts and is easy to manufacture.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NT heater for cooling water heating, Simplified. In addition, due to the simple structure and the small number of parts,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uch smaller in volume and weight than the CNT heater of the conventional coolant-heating type, and the miniaturization and compactness of the coolant- Can be achieved. Accordingly,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the space utilization in the engine room and facilitates mounting, thereby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의 실제 작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발열부(110) 및 열교환매체 수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부(110)는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있는 형태로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에는 열교환매체 유통구(121)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통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상시 열교환매체가 채워져 있게 되는데, 상기 플레이트(112)가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매체 역시 상기 플레이트(112)의 외측면을 따라 U자 형태로 흘러가게 된다.The actual operation of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CNT heater 100 includes a heat generating unit 110 and a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unit 120.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ncludes the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unit 12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 medium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um circulation port 121, and the plate 112 is filled with the heat exchange medium. The heat exchange medium also flows in a U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12, as shown in FIG.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는 전력을 받아 발열하도록 CNT(Carbon Nano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층(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열층(111)에서 발열이 되면, 이 열은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형 내부로도 물론 발산되겠지만, 대부분의 열량이 상기 플레이트(112)를 통해 전도된 후 상기 플레이트(112) 외측의 열교환매체로 전달되게 된다. 외측 방향의 발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얇은 금속재로 되어 있으므로 열손실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내측 방향에 발열에 대하여 부연하자면,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형 내부로 발산된 열은 그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가열하여 온도를 올리게 된다. 그런데 이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와 밀폐되어 있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열량은 거의 손실되지 않고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가열됨으로써 공기의 온도보다 열교환매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결국 열은 공기에서 열교환매체 쪽으로 전달되게 된다. 즉, 상기 발열층(111)이 상기 플레이트(112)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열전달 방향은 열교환매체 쪽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a heating layer 111 including carbon nanotubes (CNTs) is provided on the plate 112 to receive power. When heat is generated in the heating layer 111, the heat will be dissipated into the U-shaped inside of the plate 112. However, most of the heat is conducted through the plate 112, And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 medium. In the heat genera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since the plate 112 is made of a thin met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heat loss hardly occurs. In addition, the heat emitted to the U-shaped inside of the plate 112 increases the temperature by heating the air contained therein. However, since this portion is seal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figure, the air can not escape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t is used for heating the air with little loss. As the air is heate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 medium become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 so that th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air to the heat exchange medium. That is, even if the heating layer 111 is provided inside the plate 112, the heat transfer direction is finally made toward the heat exchange medium.

이와 같이 상기 발열층(111)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열교환매체로 전달되어 흡수됨으로써 열교환매체의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층(111)이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 형태 내부 측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특히 상기 밀폐부(112c)까지 형성해 주게 되면, 열교환매체가 상기 발열층(111)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위험성이 거의 제거된다. 따라서 매우 안정적으로 열교환매체의 가열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Heat generated in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is transferred to and absorbed by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ed in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thereby heating the heat exchange medium. At this time, if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shape of the plate 112 and the heat insulating layer is formed up to the sealing portion 112c as described above, 111) is substantially elimin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heating of the heat exchange medium very stably.

특히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매체와 접촉되는 상기 플레이트(112) 상의 모든 면적 부분에 상기 발열층(111)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매체와의 열전달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열교환매체의 가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heating layer 111 may be formed on all areas of the plate 112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medium. By thus maximizing the heat transfer area with the heat exchange medium,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perform heating of the heat exchange medium.

이처럼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유체의 가열 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냉각수 히터, 오일 워머 등과 같은 장치로서 활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종래에 내연 기관 차량의 경우 엔진의 작동 온도가 높아서 (실내 난방이나 오일 가열(warming) 등을 위한) 냉각수 가열이 용이한 반면 연료 전지 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상대적으로 작동 온도가 낮아서 냉각수를 원하는 온도만큼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 때 연료 전지 차량이나 차이브리드 차량 등의 실내 난방이나 오일 가열 등을 위하여 열교환매체를 가열하는 냉각수 히터 또는 오일 워머 등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를 적용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매체 가열 효율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종래의 냉각수 히터에 비해 원하는 온도까지 냉각수를 가열하는 것이 훨씬 용이해지고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aximizing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fluid, and thus it is very suitable to be utilized as a device such as a coolant heater, oil heater or the like of a vehicle.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since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engine is high (for heating indoor or heating), the operation temperature of the fuel cell vehicle or the hybrid vehicle is relatively low, It is difficult to heat up as much as possible. In this case, when the coolant-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cooling water heater or oil heater for heating the heat exchange medium for indoor heating of the fuel cell vehicle or differential bridged vehicle, oil heating, etc.,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medium is maximized. Therefore, it is much easier to heat the cooling water to a desired temperature than the conventional cooling water heater, and has a great advantage that energy consumption can be saved.

여기에서 적용예로서 차량에 있어서 열교환매체가 냉각수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유체 형태로 된 열교환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용도라면 어떤 용도에나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ase where the heat exchange medium is cooling water in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heating a heat exchange medium in fluid form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used for any purpose if it is used.

또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기 발열층(111)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기판(131) 및 상기 기판(132)을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덮어씌워져 구비되는 케이스(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부(13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111)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서 발열을 하게 되는데, 상기 발열층(111)으로 전달하는 전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31)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판(131) 및 상기 케이스(13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발열부(110)의 윗부분(즉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형 부분의 상측 개방부 부분)을 밀폐하여 (가열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음으로써) 열손실을 막는 역할 또한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판(131)이 구비될 경우, 당연히 상기 발열층(111)의 전극(111b)은 상기 기판(131)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e CNT heater 100 includes a substrate 131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heating layer 111 and a case 132 covering the substrate 132 from the outside A control circuit unit 130; And the like. The heating layer 111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heat, and the substrate 131 is provided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ower to be transferred to the heating layer 111.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that is,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U-shaped portion of the plate 112) is sealed by providing the substrate 131 and the case 132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heat loss). When the substrate 131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111b of the heating layer 111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131.

또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110) 일측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발열층(1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과열 방지 수단(1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과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열 방지 수단(140)은, 바이메탈 구조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과전류 차단 장치의 다양한 구성 중에서 적절한 구성을 설계자의 편의나 목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4,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ing medium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Overheating means (140) for shutting off the heat; So as to prevent fire due to overheating.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140 can selectively adopt an appropriate configuration among the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generally known overcurrent shut-off devices such as a bimetal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ience and purpose of the designer.

또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 상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14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45)는 상기 온도 센서(145)에서 측정된 온도 값 신호에 의하여 상기 발열층(111)으로의 전력 공급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매체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발열층(111)으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45)는 상기 제어회로부(130)의 상기 기판(131)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차량의 중앙제어수단 등에 연결되어 열교환매체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45 provided on the heat exchange medium circulation port 121; As shown in FIG. The temperature sensor 145 controls the supply of power to the heating layer 111 by the temperature signal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45 so tha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 medium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111 may be cut off. The temperature sensor 145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131 of the control circuit unit 130 or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a central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o monit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 medium.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110)는 CNT 발열층(111)이 구비되며 U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플레이트(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면적을 최대화하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 때, CNT는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112)의 형상이 다소 복잡해진다 해도 큰 상관이 없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2)의 열교환면적으로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플레이트(112)는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측으로 돌출되는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로써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 형상의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includes the plate 112 having the U-shaped U-shaped heat generating layer 111, thereby minimizing heat loss to the outside, The heat exchange area is maximized. At this time, since the CNT can also be formed by a method such as printing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hape of the plate 112 becomes somewhat complicated, it does not matter much. Therefor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plate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112 is formed with a structure for enhanc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protruding toward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side. For example, Various variations of the shape of the plate 112 are possible a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6은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로서 요철부(112p)가 형성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요철부(112p)는 상기 플레이트(112)의 상면, 측면 또는 하면 중 어디에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측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112p)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의 상면, 측면 또는 하면에 일자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의 상면, 측면 또는 하면에 일자로 짧게 다수 개가 열을 이루고, 이러한 열이 다수 개 나란하게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되, 각 열의 요철이 서로 교번된 형태가 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rregular portion 112p is formed on the plate 112 as a structure for increasing heat exchange performance. The concavity and convexity 112p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the sid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12, or on the top surface,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A,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12p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12p are extended in a straight line on the upper surface, the side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112, 6A and 6B, a plurality of short rows are formed on the top, side, or bottom surface of the plate 112, and a plurality of such rows are arranged side by side. May be alternat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로서 상기 요철부(112p)와 같은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열교환면적이 더욱 넓어져 열교환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가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요철부(112p)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비드 형상으로 된다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112) 외측면에 구비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112)에서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발열층(111)으로부터 열교환매체로의 열전달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 때 상기 요철부(112p)의 크기나 형상은, 상기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 형성으로 인한 CNT의 인쇄 용이성이나, 상기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CNT 발열층(111)의 손상 가능성이나, 또는 상기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로 인한 흐름 저항 증가에 따른 열교환매체의 유통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As th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n the plate 11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2p, the heat exchange area is further widened,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further maximized. Th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2p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structure may be a bead shape or a pin shap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11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protruded toward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from the plate 112 and heat transfer from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to the heat exchange medium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Of course. At this time,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concavo-convex portion 112p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ase of printing of the CNT due to the formation of the structure for enhanc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or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he CNT heating layer 111 in the course of forming the heat- , Or the flowability of the heat exchange medium due to the increase of the flow resistance due to th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가 차량의 냉각수 히터로서 사용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FIG. 7 shows an example of using a coolant-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an example in which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is used as a coolant heater of a vehicl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냉매를 열교환매체로 하여 압축기(210), 응축기(220), 팽창 밸브(230), 증발기(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함으로써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는 냉방 시스템(200)과, 냉각수를 열교환매체로 하여 엔진 또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5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로 흡수하여 라디에이터(310)에서 발산함으로써 구동부를 냉각하는 냉각 시스템(300)이 구비된다. 상기 냉방 시스템(200)의 상기 증발기(2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장치(400)가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240)가 주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냉각하면, 이 공기가 상기 공조 장치(400)에 의하여 차량 실내로 불어들어가도록 함으로서 냉방이 수행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냉각 시스템(300)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상기 구동부(500)로부터 상당한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 열을 실내 난방에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공조 장치(400)에 냉각수가 통과하는 히터부(32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7, a vehicle generally includes a compressor 210, a condenser 220, an expansion valve 230, and an evaporator 240 using a refrigerant as a heat exchange medium to cool or heat the air, A cooling system 300 that uses the cooling water as a heat exchange medium to cool the driving unit by absorbing heat generated by a driving unit 500 such as an engine or a motor with cooling water and radiating the heat from the radiator 310, Respectively. 7, the air conditioner 400 is provided in the evaporator 240 of the cooling system 200. When the evaporator 240 absorbs heat from the surroundings and cools the air, The air is blown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by the air conditioner 400 so that the cool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since the cooling water circulating in the cooling system 300 absorbs considerable heat from the driving unit 500, the heater unit 400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is passed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400 320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500)가 엔진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구동부(500)에서 매우 많은 열이 발생하며, 따라서 상기 히터부(320)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실내를 난방하기에 충분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연료 전지 차량이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구동부(500)에 엔진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열이 발생되는 모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실내 난방에 이용될 만큼 냉각수 온도를 충분히 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연 기관 차량의 경우에라도 동절기 등에 시동된 지 얼마 안 된 시점, 즉 엔진이 충분히 뜨거워지지 않은 시점에서는 역시 마찬가지로 냉각수가 충분히 고온이 되지 못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since the driving unit 500 is an engine, a great deal of heat is generated in the driving unit 500.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heater unit 320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Lt; / RTI > However, in the case of a fuel cell vehicle or a hybrid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aise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sufficiently to be used for indoor heating because the driving unit 500 includes a motor that generates relatively less heat than the engine. Further, even in the cas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the cooling water does not reach a sufficiently high temperature at a time when the engine has not started sufficiently in the winter season, that is, when the engine is not sufficiently heated.

이러한 경우에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냉각수 히터가 사용되는데, 이 때 냉각수 히터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를 채용하여 줌으로써, 냉각수의 가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내연 기관 차량, 연료 전지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등 어떤 차량에든 냉각수 가열을 위한 냉각수 히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 cooling water heater is used to heat the cooling water. By employing the cooling water heating CNT heat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s a cooling water heat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water do. That is,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can be used as a coolant heater for cooling water heating in any vehicle such 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a fuel cell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이러한 예는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가 사용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오일 워머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유체를 가열하는 장치로서라면 어디에나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기 예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is example is one example in which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100 may be used as an oil heater of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본 발명의)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110: 발열부 111: 발열층
111a: CNT(Carbon Nanotube, 탄소나노튜브)층
111b: 전극 111c: 절연층
112: 플레이트 112a: 절곡부
112b: 연장부 112c: 밀폐부
112p: 요철부
120: 열교환매체 수용부 121: 열교환매체 유통구
130: 제어회로부
131: 기판 132: 케이스
140: 과열 방지 수단
100: Cooling water heated CNT h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heating portion 111: heating layer
111a: CNT (Carbon Nanotube) layer
111b: Electrode 111c: Insulating layer
112: plate 112a:
112b: extension part 112c:
112p:
120: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1: Heat exchange medium flow passage
130: Control circuit
131: substrate 132: case
140: means for preventing overheating

Claims (10)

U자 형태로 절곡되는 절곡부(112a)와, U자 형태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12b)와, 상기 절곡부(112a)의 개방된 전후면을 막아 밀폐하는 밀폐부(112c)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12), 상기 플레이트(112)의 U자 형태 내부측에 형성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CNT(Carbon Nanotub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층(111)을 포함하는 발열부(110);
상기 발열부(110)를 수용하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를 통해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상기 발열층(111)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기판(131) 및 상기 기판(131)과 상기 발열부(110)를 외부로부터 밀폐하도록 덮어씌워져 구비되는 케이스(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회로부(130); 및
상기 케이스(132)의 밀폐로 인해 상기 U자 형태의 플레이트(112)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층이 상기 발열층(111)에 의해 가열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매체는 상기 발열층(111)의 발열을 전달받은 플레이트(112)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발열층(111)에 의해 가열된 상기 공기층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A bent portion 112a that is bent in a U-shape, an extension portion 112b that extends vertically from both ends of the U-shaped portion, and a sealing portion that hermetically seals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bent portion 112a And a heat generating layer 111 formed on the U-shaped inner side of the plate 112 and including a carbon nanotube (CNT)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electric power, (110);
A heat exchange medium receiving portion 120 receiv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0 and having a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passage 121;
A control circuit unit 130 including a substrate 131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and a case 132 covering the substrate 131 and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from outside, 130);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side the U-shaped plate 112 due to the sealing of the case 132, and the air layer is heated by the heating layer 111,
Wherein the heat exchange medium is heated by the plate (112) which receives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and is heated by the air layer heated by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층(111)은
상기 플레이트(112) 상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CNT(Carbon Nanotube)층(111a)과,
외부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CNT층(111a)과 접속되어 상기 CNT층(111a)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111b)과,
상기 CNT층(111a)의 노출을 방지하여 절연되도록 상기 CNT층(111a)을 덮어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절연층(111c)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ing layer (111)
A CNT (Carbon Nanotube) layer 111a provided on the plate 112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electric power,
An electrode 111b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onnected to the CNT layer 111a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CNT layer 111a,
An insulating layer 111c covering the CNT layer 111a so as to prevent the CNT layer 111a from being exposed,
And a cooling water-heating type CNT he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12)는
상기 열교환매체 수용부(120) 측으로 돌출되는 열교환성능 증대용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ate (112)
Wherein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heat exchange medium accommodating portion (120) sid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기 발열부(110) 일측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상기 발열층(111)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과열 방지 수단(1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The CNT heater (1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An overheat preventing unit 14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0 to block power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layer 111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ing medium rises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level;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100)는
상기 열교환매체 유통구(121) 상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14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가열식 CNT 히터.
The CNT heater (10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ant-heated CNT heater
A temperature sensor 145 provided on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 port 121;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water heating type CNT heater.
KR1020120015096A 2012-02-15 2012-02-15 Cnt coolant pre heater KR101673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96A KR101673874B1 (en) 2012-02-15 2012-02-15 Cnt coolant pre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096A KR101673874B1 (en) 2012-02-15 2012-02-15 Cnt coolant pre 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883A KR20130093883A (en) 2013-08-23
KR101673874B1 true KR101673874B1 (en) 2016-11-09

Family

ID=4921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096A KR101673874B1 (en) 2012-02-15 2012-02-15 Cnt coolant pre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8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270B1 (en) * 2013-12-17 2019-10-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2161539B1 (en) * 2015-01-30 2020-10-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KR102352057B1 (en) * 2015-09-22 2022-0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102352084B1 (en) * 2015-09-22 2022-01-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102408704B1 (en) * 2015-09-23 2022-06-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102413769B1 (en) * 2015-10-05 2022-06-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RU2718556C1 (en) * 2019-09-18 2020-04-08 Виктор Сахибович Ягубов Thermal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based on self-regulating electric heat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55B1 (en) 2005-12-27 2007-08-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ub heater and hot water heater with the same
KR100764940B1 (en) * 2006-03-31 2007-10-09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Electric heater for vehicle
JP4981386B2 (en) 2006-08-30 2012-07-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Heat medium heat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1090716B1 (en) 2009-04-27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servoir for fuel cell vehicle having heater
KR20110011032A (en) * 2009-07-27 2011-02-08 오영한 Preheater with carbon ribbon
KR20110016558A (en) * 2009-08-12 2011-02-18 (주)나영일렉트로닉스 Electric water boiler
KR101318636B1 (en) * 2010-06-14 2013-10-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Heater using carbon nanotube heat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883A (en) 201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874B1 (en) Cnt coolant pre heater
KR101764598B1 (en) Cooling-Water Heater
KR101903492B1 (en) Battery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and battery temperature regulation unit
JP5757502B2 (en) Battery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JP6879122B2 (en) Battery temperature controller
US11541725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for vehicle
JP6693480B2 (en) Terminal cooling device
KR20110089317A (en) Battery module
KR20130099462A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JP6059984B2 (en) Electric heating heater core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and vehicl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2010532066A (en) Battery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ing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JP5951205B2 (en) Heat medium heat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CN105070974A (en) Battery pack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JP2011143911A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unit and vehicular air-conditioning system
KR20110131885A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111070B2 (en) Heat exchanger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63892B1 (en)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CN115257300A (e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with eight-way valve and vehicle
CN115257302A (en)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module with ten-way valve and vehicle
KR100683215B1 (en) Heater core unit for vehicles
KR20140077713A (en) Generative heat exchanger for vehicle
CN220639596U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CN112002925A (en) Fuel cell automobile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437866A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0349121Y1 (en) Heater device having heating element of the cooling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